KR20110102570A - 직화구이기 - Google Patents

직화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570A
KR20110102570A KR1020100021640A KR20100021640A KR20110102570A KR 20110102570 A KR20110102570 A KR 20110102570A KR 1020100021640 A KR1020100021640 A KR 1020100021640A KR 20100021640 A KR20100021640 A KR 20100021640A KR 20110102570 A KR20110102570 A KR 2011010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plate
opening
guider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0002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2570A/ko
Publication of KR2011010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염을 구이기판의 개구부로 유도하는 화염가이더를 구비하여 구이기판에 화염의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식물을 타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고, 상기 화염가이더를 구이기판에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화염을 구이기판으로 반사시키는 열반사체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화염유입공(24)이 형성된 구이기본체(20)와, 상기 화염유입공(24)의 선단과 이격되고 중앙에 개구부(31)가 형성된 구이기판(30)과,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어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상기 개구부(31)로 가이드하는 화염가이더(40)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이기본체(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된 뚜껑(50)을 포함하며,
상기 화염가이더(40)는 중앙의 단관 형상인 결합부(41)와, 이 결합부(41)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가이드부(4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41)에는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42)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는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돌기(42)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된 가이드공(34)과, 이 가이드공(34)을 통과한 결합돌기(42)가 안착되는 안착홈(33)이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직화구이기{Roaster}
본 발명은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염을 구이기판의 개구부로 유도하는 화염가이더를 구비하여 구이기판에 화염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식물을 타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고, 상기 화염가이더를 구이기판에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화염을 구이기판으로 반사시키는 열반사체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육류 등을 구울 때, 프라이팬이나 석쇠와 같은 불판 위에 육류를 올리고, 불판의 하측에서 불판을 직접 가열하여 육류를 익히게 되는데, 열이 가해지는 불판의 상면과 접하는 육류의 일면은 육류가 전부 익기 전에 쉽게 타버리게 된다. 이에 따라, 불판에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음식물을 타지 않으면서도 고르게 익힐 수 있는 직화구이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직화구이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직화구이기는 음식물을 올려놓도록 된 구이기본체(1)와, 이 구이기본체(1)를 커버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이기본체(1)는 중앙부에 상하로 화염통로(2)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단턱(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1a)에는 중앙에 개구부(3a)가 형성된 불판(3)의 테두리부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뚜껑은 금속재로 된 뚜껑본체(4)의 중앙에 개구부(5)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5)에는 투시창을 형성하는 유리(6)가 끼워져서 구이기의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뚜껑의 중앙인 유리(6)의 중앙에 결합공(7)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8)과 뚜껑을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10)가 상기 결합공(7)에 함께 나사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이기 뚜껑은 반사판(8)이 유리(6)에 결합되기 때문에 반사판(8)의 하중에 의해 유리(6)가 깨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가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일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손으로 잡으면 힘이 손잡이(10)의 돌출된 부위로 편중되고 상기 유리(6)에도 손잡이(10)가 결합된 결합공(7)의 둘레부 일측으로 힘이 편중되어 유리(6)의 손상이 촉진된다. 또한, 반사판(8)을 뚜껑에 결합시키거나 뚜껑에서 분리시킬 때에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9)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판(8)과 대응되는 뚜껑의 중앙부위 및 반사판(8)의 배면의 세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2에서와 같이, 반사판(8)을 뚜껑의 유리(6)에 부착시키지 않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즉, 원형의 금속판 형상이며 중앙에 삽입홈(12)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화염공이 형성되도록 성형된 지지대(11)를 구이기본체(1)의 화염통로(2) 상단에 결합시키고, 반사판(8)에는 중앙에 폴대(8a)를 하측으로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폴대(8a)를 지지대(11)의 삽입홈(12)에 끼움으로써, 반사판(8)이 뚜껑의 유리(6)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 반사판(8)의 결합문제와는 별개로, 도 1 및 도 2에서, 화염통로(2)의 직경이 불판(3)의 개구부(3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화염통로(2)를 통과하는 화염은 불판(3)의 개구부(3a)를 통해 반사판(8)에 반사되어 불판(3)에 올려진 음식물을 간접 가열할 뿐만 아니라, 개구부(3a)의 둘레부인 불판(3)을 직접 가열하게 되어 불판(3)에 올려진 육류 등의 음식물이 가열된 불판(3)에 의해 직접 가열됨에 따라 도입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육류가 익기도 전에 타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한편, 상기 지지대(11)에 형성된 삽입홈(12)의 직경은 비교적 작은데다가 불판(3)과 지지대(11)가 소정간격 이격 형성될 뿐만 아니라 되도록 많은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해서 불판(3)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a)의 직경이 비교적 작아서, 사용자는 불판(3)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a)를 통해 지지대(11)에 형성된 삽입홈(12)에 반사판(8)의 폴대(8a)를 끼우기가 비교적 쉽지만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염을 구이기판의 개구부로 유도하는 화염가이더를 구비하여 구이기판에 화염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식물을 타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고, 상기 화염가이더를 구이기판에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이때 화염가이더도 구이기판과의 면접촉을 되도록 회피하여 음식물을 타지 않고 골고루 익히면서 구이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며, 화염을 구이기판으로 반사시키는 열반사체를 화염유입공의 중심부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중앙에 화염유입공(24)이 형성된 구이기본체(20)와, 상기 화염유입공(24)의 선단과 이격되고 중앙에 개구부(31)가 형성된 구이기판(30)과,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어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상기 개구부(31)로 가이드하는 화염가이더(40)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이기본체(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된 뚜껑(50)을 포함하며,
상기 화염가이더(40)는 중앙의 단관 형상인 결합부(41)와, 이 결합부(41)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가이드부(4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41)에는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42)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는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돌기(42)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된 가이드공(34)과, 이 가이드공(34)을 통과한 결합돌기(42)가 안착되는 안착홈(33)이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의 직경이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염유입공(24)에는 그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지지바(25)가 구비되고, 이 지지바(25)의 교차점에는 선단이 상기 화염가이더(40)의 선단부와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직립된 폴대(26)가 구비되며, 상기 폴대(26)의 상단에 수직 연장되게 결합되는 수직바(61)와, 중앙부가 상기 수직바(61)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구이기판(30)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63)으로 구성된 열반사체(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 상단에는 그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지지바(25)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25)의 교차점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수직바(61)와, 중앙부가 상기 수직바(61)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구이기판(30)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63)으로 구성된 열반사체(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염유입공(24)과 구이기판(30) 사이에 화염을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로 유도하는 호퍼 형상의 화염가이더(40)를 구비함으로써, 화염을 개구부(31)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화염이 구이기판(30)을 직접 가열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음식물이 구이기판(30)에 의해 직접 가열됨에 따라 덜 익은 상태에서 까맣게 타게 되던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는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외경을 상기 개구부(3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기 화염가이더(40)와 구이기판(3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화염가이더(40)로 유도되는 화염이 구이기판(30) 및 그 개구부(31)를 직접 가열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대향되는 두 개 이상의 안착홈(33)과 상하로 관통된 두 개 이상의 가이드공(32)을 이격 형성하고,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에 대향되는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42)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화염가이더(40)를 상측으로 밀고 수평 회전시키기만 하면,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돌기(42)가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형성된 가이드공(32)을 통과하여 개구부(31)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되어 결합돌기(42)가 안착홈(33)에 안착되어 화염가이더(40)가 구이기판(30)에 결합되므로, 화염가이더(40)를 구이기판(30)에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서 세척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반사판(63)과 수직바(61)로 이루어진 열반사체(60)를 고정시킬 때, 구이기판(30)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상단에 지지바(25)에 의해 상기 열반사체(60)의 수직바(6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또한, 상기 수직바(61)가 고정되는 폴대(26)를 화염유입공(24)의 중심부에서 직립되어 그 선단이 적어도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수직바(6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를 통해 육안으로 화염유입공(24)에 구비된 고정홈 내지 고정돌기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나서 반사판(63)과 수직바(61)로 이루어진 열반사체(60)를 매우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직화구이기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직화구이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 중 구이기판과 화염가이더의 결합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 중 구이기판과 화염가이더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실시예 중 구이기판과 화염가이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중앙에 화염유입공(24)이 형성된 구이기본체(20)와, 상기 화염유입공(24)과 이격되고 중앙에 개구부(31)가 형성된 구이기판(30)과,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어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상기 개구부(31)로 가이드하는 화염가이더(40)와, 상기 화염가이더(40)를 통해 유입된 화염을 구이기판(30)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열반사체(60)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이기본체(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된 뚜껑(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이기본체(20)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이며 중앙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화염이 유입되도록 된 화염통로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단턱(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염통로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소정길이 절곡된 절곡부(22)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22)의 선단으로 이루어지는 직경을 갖는 화염유입공(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2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보조화염공(2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구이기본체(20)의 하측에 구비된 열원에서 분출된 화염의 대부분은 화염유입공(24)을 통과하며, 소정량의 화염만이 보조화염공(23)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염유입공(24)에는 그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십자 형상의 지지바(25)가 배치되고, 이 지지바(25)가 교차되는 화염유입공(24)의 중심부에는 폴대(26)가 직립 형성된다. 이때, 폴대(26)의 선단은 후술할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상단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대(26)가 지지바(2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폴대(26)의 하단이 지지바(25)에 나사(28)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이기판(30)은 테두리부가 구이기본체(20)의 단턱(21)에 걸려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개구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이기판(30)은 개구부(31)로 갈수록 약간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상향경사진 부분에 복수개의 돌기(36)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조리될 때 발생되는 기름이 개구부(31)에서 방사상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개구부(31)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32)에는 상하로 관통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이드공(34)이 대향되게 배치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착홈(33)이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공(34)과 안착홈(33)의 개수는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이기판(30)에는 기름이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된 복수개의 배출공(35)이 형성된다.
상기 화염가이더(40)는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는 단관 형상의 결합부(41)와, 이 결합부(41)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가이드부(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41)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42)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42)는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가이더(40)가 구이기판(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43)의 외측단은 화염통로의 절곡부(22)를 커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화염가이더(40)의 가이드부(43)의 외측단의 직경은 상기 화염유입공(24)의 직경과 대응되어, 화염통로의 화염유입공(24)을 통과하는 화염은 화염가이더(40)로 유입되고, 화염통로의 관통공(23)을 통과하는 화염은 화염가이더(4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화염가이더(40)를 구이기판(3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에 구비된 결합돌기(42)가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형성된 가이드공(32)에 대응되게 화염가이더(40)를 구이기판(30)의 하측에 배치시키고, 도 5의 (a)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42)가 구이기판(30) 개구부(31)에 형성된 가이드공(32)을 관통하도록 화염가이더(4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그런 후에, 도 5의 (b)에서와 같이, 화염가이더(40)를 수평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결합돌기(42)가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형성된 안착홈(33)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뚜껑(5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이며 중앙부에 개방부(52)가 형성된 뚜껑본체(51)와, 상기 개방부(52)에 끼워지는 유리(53)와, 상기 뚜껑본체(51)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반사체(60)는 구이기본체(20)의 화염유입공(24)을 통해 구이기본체(20) 내부로 유입된 열을 방사상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략 우산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열반사체(60)는 수직바(61)와, 중앙부가 상기 수직바(61)의 상단에 결합되며 화염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반사판(6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63)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복수개의 골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화염이 반사판(63)에 부딪치면서 반사판(63)의 원주방향으로 유도되지 않고 반경방향 외측으로만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바(61)의 하단에는 화염유입공(24)의 지지바(25)에서 직립된 폴대(26) 상단의 고정돌기(27)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62)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직바(61)에 고정돌기(27)가 끼워지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더(26)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수직바(61)에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29는 구이기판(30)의 배출공(35)을 통해 구이기본체(20)로 유입된 화염이 배출되는 통풍구이다.
따라서, 화염유입공(24)과 구이기판(30) 사이에 화염을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로 유도하는 호퍼 형상의 화염가이더(40)를 구비함으로써, 화염을 개구부(31)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화염이 구이기판(30)을 직접 가열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음식물이 구이기판(30)에 의해 직접 가열됨에 따라 덜 익은 상태에서 까맣게 타게 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더욱이,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는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외경을 상기 개구부(31)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기 화염가이더(40)와 구이기판(3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화염가이더(40)로 유도되는 화염이 구이기판(30)을 직접 가열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와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가 면접촉하는 경우에는, 금속판의 두께가 두꺼워졌을 뿐 상기 결합부(41)와 개구부(31)가 별개로 분리할 수 없으므로, 결합부(41) 내부의 화염은 개구부(31)를 직접 가열하는 것과 동일하며, 개구부(31)는 구이기판(30)의 일부분이므로 상기 결합부(41) 내부의 화염이 구이기판(30)을 직접 가열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화염공(23)과 구이기판(30)간에 소정간격이 이격 형성되므로, 보조화염공(23)을 통과하는 소량의 화염은 구이기판(30)을 크게 가열하지 못하지만, 대부분의 화염은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를 통과하기 때문에,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가 상당히 가열될 수 있는 것인데, 본 발명에 의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대향되는 안착홈(33)과 상하 관통된 가이드공(32)을 형성하고,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에 대향되는 결합돌기(42)를 형성하여, 화염가이더(40)를 상측으로 밀고 수평 회전시키기만 하면 화염가이더(40)가 구이기판(30)에 결합되므로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화염유입공(24)의 중심부에서 직립된 폴대(26)의 선단이 적어도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반사판(63)과 수직바(61)로 이루어진 열반사체(60)를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열반사체(60)의 수직바(61)가 고정되는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가 구이기판(30)에 의해 가려지는 화염유입공(24)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수직바(61)가 결합되는 폴대(26)의 상단이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를 통해 열반사체(60)의 수직바(61)가 고정되는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수직바(61)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구이기판과 화염가이더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번 실시예에서 상기 화염유입공(24)에 구비되었던 십자형태의 지지바(25)가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상단에 구비된 것으로, 열반사체(60)의 수직바(61)가 지지바(25)의 교차점에 수직 결합된다. 이때, 지지바(25)의 교차점에 고정돌기(27)가 형성되어 열반사체(60)의 수직바(61)에 형성된 고정홈(62)에 끼워지거나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전번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폴대가 지지바(25)에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가이더(40)를 구이기판(30)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열반사체(6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27)가 구이기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부품수를 줄이면서 열반사체(60)를 매우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열반사체(60)의 수직바(61)가 고정되는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가 구이기판(30)에 의해 가려지는 화염유입공(24)에 형성되지 않고, 구이기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된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에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를 통해 열반사체(60)의 수직바(61)가 고정되는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수직바(61)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화염유입공(24) 대신 화염가이더(40)에 지지바(25)를 형성하여 화염유입공(24)을 통해 화염이 구이기본체(20) 내부 깊숙이까지 좀 더 유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번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에 두 개의 가이드공(34)과 안착홈(33)을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공(34)과 안착홈(33)이 각각 4개인 것을 예시하였으며, 개수가 많아질수록 좀 더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개수가 너무 많아지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성형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공(34)과 안착홈(33)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요구되며 4개 정도이면 안정적일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열반사체(60)는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의 돌출부(32)에 끼워지거나 돌출부(32)의 상면에 안착되는 수직기둥(64)과, 이 수직기둥(64)의 상단에 구비된 반사판(63)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기둥(64)이 돌출부(32)에 안착될 때, 도시하진 않았지만 수직기둥(64)의 하단에는 화염가이더(40)에 구비된 결합돌기(42)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기둥(64)에는 화염이 구이기판(30)으로 분산되도록 분출공(65)이 형성된다. 따라서, 열반사체(60)를 구이기판(30)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열반사체(60)의 착탈이 더욱 더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염유입공(24)에는 두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바가 구비되지 않고, 숯이나 필터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세라믹체(70)가 구비된다. 이 세라믹체(70)는 화염유입공(24)의 테두리부에 걸려지도록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71)에 담겨지게 된다. 도면에는 세라믹체(70)를 약식 도시한 것이어서, 케이스(71)에 다량의 세라믹체(70)가 틈새 없이 꽉 차게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화염유입공(24)에는 보조화염공은 형성되지 않아서, 화염이 세라믹체(70)를 통하지 않고 구이기본체(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케이스(71)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통공(72)이 형성되어, 화염이 세라믹체(7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열된 세라믹체(70)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육류나 생선이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비린내가 세라믹체(70)에 의해 탈취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번 실시예에서도 화염유입공(24)에 세라믹체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중앙에 화염유입공(24)이 형성된 구이기본체(20)와, 상기 화염유입공(24)의 선단과 이격되고 중앙에 개구부(31)가 형성된 구이기판(30)과,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어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상기 개구부(31)로 가이드하는 화염가이더(40)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이기본체(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된 뚜껑(50)을 포함하며, 상기 화염가이더(40)는 중앙의 단관 형상인 결합부(41)와, 이 결합부(41)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가이드부(4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41)에는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42)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에는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돌기(42)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된 가이드공(34)과, 이 가이드공(34)을 통과한 결합돌기(42)가 안착되는 안착홈(33)이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판(30)의 개구부(31)의 직경이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가이더(40)의 결합부(41) 상단에는 그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지지바(25)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25)의 교차점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수직바(61)와, 중앙부가 상기 수직바(61)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구이기판(30)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63)으로 구성된 열반사체(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유입공(24)에는 그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지지바(25)가 구비되고, 이 지지바(25)의 교차점에는 선단이 상기 화염가이더(40)의 선단부와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직립된 폴대(26)가 구비되며, 상기 폴대(26)의 상단에 수직 연장되게 결합되는 수직바(61)와, 중앙부가 상기 수직바(61)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화염유입공(24)을 통해 유입된 화염을 구이기판(30)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63)으로 구성된 열반사체(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KR1020100021640A 2010-03-11 2010-03-11 직화구이기 KR20110102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40A KR20110102570A (ko) 2010-03-11 2010-03-11 직화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40A KR20110102570A (ko) 2010-03-11 2010-03-11 직화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70A true KR20110102570A (ko) 2011-09-19

Family

ID=4495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40A KR20110102570A (ko) 2010-03-11 2010-03-11 직화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25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48A (ko) * 2018-08-03 2020-02-12 하정순 수직형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48A (ko) * 2018-08-03 2020-02-12 하정순 수직형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801B1 (en) Stove top barbecue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KR20110108538A (ko) 다용도 조리기
KR101547264B1 (ko) 휴대용 오븐
KR100582691B1 (ko) 오븐
KR20140139860A (ko) 기름이 분리 배출되는 이중팬
KR20110102570A (ko) 직화구이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110042628A (ko) 숯불 구이기
EP1793718B1 (en) Arrangement for a grill
KR20190093916A (ko) 구이용 불판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200459604Y1 (ko) 찜통형 직화 조리기구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102259170B1 (ko) 회전식 조리기구
KR20190091086A (ko) 캠핑용 버너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KR200196622Y1 (ko) 육류 구이판
US20160255995A1 (en) Stove-top barbecue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KR101254132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101935866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253394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구이판
KR200338478Y1 (ko) 투시창을 갖는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