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07Y1 -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07Y1
KR200263807Y1 KR2020010034300U KR20010034300U KR200263807Y1 KR 200263807 Y1 KR200263807 Y1 KR 200263807Y1 KR 2020010034300 U KR2020010034300 U KR 2020010034300U KR 20010034300 U KR20010034300 U KR 20010034300U KR 200263807 Y1 KR200263807 Y1 KR 200263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outer cylinder
steam discharge
li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성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광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07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상향 개구된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외통에 결합되는 외통뚜껑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압력용기와, 상기 외통뚜껑의 내부에 상기 외통뚜껑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압력용기와 상호 협조적으로 압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뚜껑과, 일단은 상기 용기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압력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뚜껑과 상기 외통뚜껑사이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증기배출관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증기배출관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외통뚜껑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캡본체와; 증기가 압축되어 하류측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소정 거리 이격된 상류측에 증기의 유동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취반후 증기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STEAM DISCHARGE CAP FOR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반후 증기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증기배출캡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증기배출캡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은,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외통(11)과, 외통(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향 개구된 통형상의 압력용기(13)와, 외통(11)의 상부영역을 개폐할 수 있도록 외통(11)에 힌지결합되는 외통뚜껑(15)과, 외통뚜껑(15)의 내측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용기(13)의 개구를 개폐하는 용기뚜껑(17)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뚜껑(15)과 용기뚜껑(17)에는 취반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정장치(19)가 구비되어 있으며, 압력조정장치(19)의 일측에는 취반후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증기배출관(21)이 매입되어 있다.
증기배출관(21)의 일측에는 증기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장치(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증기배출장치(23)는 증기유로를 개폐하는 밸브(24a)와 밸브(24a)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24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증기배출관(21)의 말단영역에는 복수의 배출구(26)가 형성된 증기배출캡(25)이 결합되어 있다. 증기배출관(21)의 끝단부 외경면에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증기배출캡(25)의 내경면에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내부에 물과 쌀이 수용된 압력용기(13)가 외통(11)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가 가열되어 압력이 일정 이상 상승하게 되면, 압력조정장치(19)는 내외가 연통되도록 상승하여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취반이 완료되면 도시 않은 제어부는 솔레노이드(24b)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증기배출유로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부의 증기는 증기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증기배출캡(25)의 배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는, 별도의 소음감쇠수단이 마련됨이 없이 압력용기(13)의 내부와 외부를 단순히 연통되게 형성하여 증기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어, 고압의 증기가 배출구(26)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될 경우, 비교적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되고 발생된 소음은 주변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불쾌감을 주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취반후 증기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증기배출캡영역의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증기배출캡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증기배출캡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캡의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외통 13 : 압력용기
15 : 외통뚜껑 17 : 용기뚜껑
21 : 증기배출관 32 : 캡본체
34 : 캡부 35 : 배출구
37 : 바디 38 : 연장관부
39 : 암나사부 40 : 격벽부
42 : 유입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내부에 상향 개구된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외통에 결합되는 외통뚜껑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압력용기와, 상기 외통뚜껑의 내부에 상기 외통뚜껑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압력용기와 상호 협조적으로 압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뚜껑과, 일단은 상기 용기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압력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뚜껑과 상기 외통뚜껑사이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증기배출관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증기배출관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외통뚜껑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캡본체와; 증기가 압축되어 하류측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소정 거리 이격된 상류측에 증기의 유동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는 증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격벽부에 의해 형성된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증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캡본체는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유동단면적에 비해 확장된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의 사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증기배출캡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외통뚜껑(15) 및 용기뚜껑(17) 사이에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장치(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증기배출장치(23)의 유출측에는 내부에 증기의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증기배출관(21)이 결합되어 있다. 증기배출관(21)의 말단영역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31)이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증기배출캡(31)은, 일단은 증기배출관(21)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35)를 구비하여 상기 외통뚜껑(15)의 외부에 노출되게 결합되는 캡본체(32)와, 배출구(35)의 상류측에 증기의 유동단면적이 축소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는 격벽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캡본체(32)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캡부(34)와, 캡부(34)의 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증기배출관(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된 바디(37)로 이루어져 있다. 캡부(34)에는 외부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구(35)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바디(37)의 중앙영역에는 증기배출관(21)의 말단을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되고 증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된 연장관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관부(38)의 내경면에는 증기배출관(21)의 외경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2)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장관부(38)는 바디(37)의 내측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방향을 따라 끝단에는 연장관부(38)의 내부의 증기가 소정 압축되면서 통과하여 바디(37)와 캡부(34)의 내부에 형성된 증기유동공간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구(42)를 구비한 격벽부(4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유입구(42) 및 배출구(35)는 증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취반 완료후 증기배출장치(23)가 증기배출유로를 개방하게 되면 압력용기(13) 및 용기뚜껑(17)의 내부의 증기는 증기배출유로를 따라 유입구(42)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유입구(42)는 증기배출유로에 비해 축소된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증기는 유입구(42)를 통과하면서 압축되어 캡본체(32)의 내부 공간으로 팽창된다. 캡본체(32)의 내부 공간으로 팽창된 증기는 압력이 저하됨과 아울러 음파에너지의 일부를 소실하게 된다. 캡본체(42)의 내부 공간으로 팽창된 증기는 다시 배출구(35)를 통과하면서 압축되고 대기중으로 팽창되어 음파에너지의 일부를 또 소실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음파에너지, 즉 비교적 낮은 소음수준으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기술적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기배출캡(51)은, 일단은 증기배출관(21)의 말단에 상호 연통되게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배출구(55)를구비하여 외통뚜껑(15)의 외부에 노출되게 결합되는 캡본체(52)와, 증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배치되고 상류측의 증기가 하류측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유입구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격벽부(61a~61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캡본체(52)는 복수의 배출구(55)가 관통형성된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캡부(54)와, 캡부(54)의 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어 내부에 증기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바디(57)를 구비하고 있다. 바디(57)에는 증기의 유동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된 제1확장구간부(58a) 및 제2확장구간부(58b)가 증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증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1확장구간부(58a)의 상류측 단부에는 제1격벽부(6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확장구간부(58a)의 하류측 단부에는 제2격벽부(61b)가 결합되어 있다. 제2확장구간부(58b)의 상류측 단부영역에는 제3격벽부(61c)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격벽부(61a~61c)는 유동하는 증기가 각각 압축되어 그 하류측으로 팽창될 수 있게 유동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62a~62c)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각 유입구(62a~62c)들은 해당 하류측에 배치된 유입구와 증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 거리 이격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증기배출장치(23)에 의해 증기배출유로가 개방되면 압력공간의 증기는 증기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하고, 제1 내지 제3격벽부(61a~61c)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압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되어 압력이 낮아짐과 아울러 음파에너지를 소실하게 됨으로써 낮은 소음수준으로 배출구(55)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캡의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증기배출캡(71)은, 일단이 증기배출관(21)의 말단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대기중으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75)를 구비하여 외통뚜껑(15)에 노출되게 결합되는 캡본체(72)와, 배출구(75)의 상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증기가 하류측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유입구를 형성하는 격벽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캡본체(72)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배출구(75)가 관통형성된 캡부(74)와, 일측은 캡부(74)의 개구영역을 차단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증기배출관(21)의 말단에 삽입결합되는 바디(77)를 구비하고 있다. 바디(77)의 상류측 단부에는 격벽부(8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부(80)에는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구(8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입구(82)와 배출구(75)는 증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디(77)의 상류측 단부 외경면에는 증기배출관(21)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8)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79)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은 증기배출관의 말단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배출구를 구비하여 외통뚜껑의 외부에 노출되게 결합되는 캡본체와, 배출구의 상류측에 증기의 유동단면적이 축소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는 격벽부를 구비하여 증기의 음파에너지중 일부를 소실한 비교적 낮은 소음 수준으로 증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증기의 배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이 제공된다.

Claims (3)

  1. 내부에 상향 개구된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부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외통에 결합되는 외통뚜껑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압력용기와, 상기 외통뚜껑의 내부에 상기 외통뚜껑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압력용기와 상호 협조적으로 압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뚜껑과, 일단은 상기 용기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압력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용기뚜껑과 상기 외통뚜껑사이를 경유하여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증기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증기배출관을 구비한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증기배출관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외통뚜껑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캡본체와; 증기가 압축되어 하류측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의 소정 거리 이격된 상류측에 증기의 유동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증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격벽부에 의해 형성된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증기의 유동방향에 가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증기배출유로의 유동단면적에 비해 확장된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KR2020010034300U 2001-11-08 2001-11-0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KR200263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00U KR200263807Y1 (ko) 2001-11-08 2001-11-0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00U KR200263807Y1 (ko) 2001-11-08 2001-11-0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07Y1 true KR200263807Y1 (ko) 2002-02-09

Family

ID=7311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00U KR200263807Y1 (ko) 2001-11-08 2001-11-08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29A (ko) 2019-06-10 2020-12-18 세신퀸센스 주식회사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29A (ko) 2019-06-10 2020-12-18 세신퀸센스 주식회사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6300C1 (ru)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подаваемого под давлением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тока малого расхода в пульсирующий поток большого расх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00004426A3 (en) A control valve trim for high-pressure fluid flow
GR3007499T3 (ko)
US7044436B2 (en) Regulation valve
JP2939859B2 (ja) 貯湯式温水器の排水装置
RU2000129145A (ru) Газовый клапан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газового импулльса
KR200263807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캡
JP2018501862A (ja) 流れおよび圧力解放の制御のための膜バルブ
BG106163A (en) Device in a valve
KR101994230B1 (ko) 연결기능을 갖는 가스레인지용 밸브
JP3879916B2 (ja) 回転ベーンポンプの排気機構
JPH0914460A (ja) 流量制御弁
CN109027319A (zh) 一种调温水阀
SU1737074A1 (ru) Водо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57146963A (en) Valve using flexible tube
JP4689080B2 (ja) 無極性浴槽用循環金具
GB2042687A (en) Steam Turbine Control Valve
KR100191569B1 (ko) 취사기구
IT1311040B1 (it) Valvola per intercettare i fluidi, in particolare per fluidi a bassapressione.
CN209027073U (zh) 一种改进出水嘴的热水机
JP3444566B2 (ja) フロ―ト弁
RU2016320C1 (ru) Затвор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SU1504642A1 (ru) Регул тор уровн воды
JPS6182084A (ja) 流体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SU17366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пол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