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10B1 -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710B1
KR101773710B1 KR1020160063490A KR20160063490A KR101773710B1 KR 101773710 B1 KR101773710 B1 KR 101773710B1 KR 1020160063490 A KR1020160063490 A KR 1020160063490A KR 20160063490 A KR20160063490 A KR 20160063490A KR 101773710 B1 KR101773710 B1 KR 10177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d
hole
handle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우진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에스지 filed Critical (주)우진에스지
Priority to KR102016006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는 용기를 통해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공을 자중으로써 차단하고 있는 증기배출캡을 상승시켜 증기를 상향 배출하고, 용기를 가열하는 불을 소화시키면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캡이 하강하여 증기배출공을 차단하는 구조로서 조리이후에 음식냄새의 퍼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 있으며, 증기배출구가 설치되는 뚜껑의 관통의 크기를 뚜껑면적의 ⅓~ ¼의 직경으로 형성하여 음식이 끓는 상태에서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과도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식조리시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Handle for a cooking vessel lid having a steam pressure regulation}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뚜껑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개선하여 국물이 있는 국이나 찌개 등의 음식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에 대해 뚜껑을 조리용기로부터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증기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증기를 조절 배출하여 조리시간 단축과 동시에,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사례를 방지하고,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는 음식 냄새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냄비, 궁중팬, 전골팬 등과 같은 조리용기들은 모든 가정의 주방, 음식점 등의 영업식당에서 사용하는 주방용기이다.
상기와 같은 조리용기들은 크기별로 구비하여 사용하며, 제품에 따라서는 뚜껑이 구비된 것과 구비되지 않은 제품이 있으며, 상기 뚜껑 또한 금속소재 외에도 외부에서 쉽게 조리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글라스로 제작되며,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조리시 혹은 조리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 뚜껑을 편리하게 여닫는 용도로 활용된다.
상기 조리용기들의 손잡이는 뚜껑의 중앙 상부에 꼭지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혹은 '¬자' 형상으로 절곡된 손잡이 등 다양하게 부착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증기 배출을 위한 증기배출공이 소정의 위치에 천공되어 있어, 음식 조리시 냄비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가열에 의한 증기압의 발생으로 조리용기의 뚜껑이 급작스럽게 튀어 올라와 뒤집어 지거나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사례를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600호(명칭: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가 선행기술로 게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상단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키이가 돌출되며 중앙으로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천공된 고정구를 뚜껑과 면접부에 내열성 패킹이 위치되도록 키홈이 형성되게 뚜껑에 천공된 결합구멍의 하측에서 결합하고, 상기 고정구의 나사부에는 측방으로 약 170° 각도로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증기배출부를 나사 결합하되, 상기 나사부 외주에는 증기배출부재에 의해 뚜껑에 밀착되는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증기배출부재에는 증기배출공과 연통되는 증기조절공이 형성되고 증기조절공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캡을 회동 가능하게 씌우고, 상기 캡의 중앙에는 결합공을 천공하여 증기배출부재에 고정볼트로 고정한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즉, 손잡이를 회전식으로 돌려 증기배출을 조절하도록 한 구조이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에 따른 부품제작 조립에 따른 인건비 비용이 높아져, 조리용기의 구입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조합되는 만큼 증기가 배출되는 부분에서는 각종 음식에 조미된 조미료 등 및 기름기가 쌓여 묵혀질 수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사용이 오래되면 외관이 지저분해지기 일쑤이며, 사용자는 이에 대해 분해 청소가 쉽지 않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조리용기는 말 그대로 음식을 가열, 조리하는 주방용기로서 상기와 같은 증기배출의 목적에서 손잡이를 회전식으로 돌려 증기배출을 조정하도록 함은 불필요한 한 동작이 많아지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묵은 때 및 음식물 잔해 찌꺼기가 끼이는 사례가 발생하여 손잡이가 제대로 회전 동작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아울러, 증기의 배출은 인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음식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식 조리시 증기를 배출하기 전까지 자리를 지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증기배출구조는 증기가 용기 내부로부터 상향 유도되어 측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빠른 증기배출조절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조리가 완료되어 경과된 후 음식 냄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잡이의 회전동작을 이용한 배출구멍을 차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뚜껑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개선하여 국물이 있는 국이나 찌개 등의 음식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에 대해 뚜껑을 조리용기로부터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증기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증기를 조절 배출하여 조리시간 단축과 동시에,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사례를 방지하고,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는 음식 냄새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의 중앙에 마련된 관통공에 연결되어 요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용기의 상부로부터 뚜껑을 안착 및 들어내기 위해 구비되는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일측에 원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체결나사로서 상기 뚜껑에 마련되는 결합공을 통해 뚜껑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관통공 저부에서 상향 안내되어 뚜껑의 상부로 상향 돌출되며, 중앙에 경사진 내경을 갖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단은 관통공의 저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향 증기가 유도되는 경사공이 형성되며, 하부 외측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증기배출구와; 상기 증기배출구의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뚜껑으로부터 증기배출구를 고정하는 너트부재와; 상부에 다수개의 증기분할공이 형성되고, 중앙 내측에는 상기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공을 증기배출공의 경사진 내경에 안내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저면에는 증기압이 중앙에 집중되는 원뿔홈이 함몰 형성된 개폐돌부가 부착되며, 하단은 상기 손잡이의 안내공 저부에 걸려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배출캡;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증기배출구의 상부에 헐거운 상태로 씌워져 증기압 정도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구조로 손잡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는 용기를 통해 음식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공을 자중으로써 차단하고 있는 증기배출캡을 상승시켜 증기를 상향 배출하고, 용기를 가열하는 불을 소화시키면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캡이 하강하여 증기배출공을 차단하는 구조로서 조리 이후에 음식 냄새의 퍼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증기배출구가 설치되는 뚜껑의 관통의 크기를 뚜껑면적의 ⅓~ ¼의 직경으로 형성하여 음식이 끓는 상태에서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과도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식조리시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손잡이가 적용된 조리용기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및 이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주요부분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뚜껑(10)의 중앙에 마련된 관통공(11a)에 연결되어 요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관통공(1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용기(20)의 상부로부터 뚜껑을 안착 및 들어내기 위해 구비되는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는, 일측에 원형의 가이드공(102)이 형성되며, 체결나사(S)로서 상기 뚜껑(10)에 마련되는 결합공(11b)을 통해 뚜껑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뚜껑(10)의 관통공(11a) 저부에서 상향 안내되어 뚜껑의 상부로 상향 돌출되며, 중앙에 증기배출공(121)이 형성되고, 하단은 관통공(11a)의 저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22)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향 증기가 유도되는 경사공(123)이 형성되며, 하부 외측둘레에는 수나사부(124)가 형성된 증기배출구(120)가 안내되며,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수나사부(124)에는 뚜껑(10)으로부터 증기배출구(120)를 고정하는 너트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너트부재(140)는 향후 뚜껑으로부터 상기 수나사부의 체결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증기배출구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너트부재의 하부 즉, 뚜겅의 관통공과 접하는 부분에는 무독성이면서 내열성을 갖는 패킹을 관통공으로 돌출된 증기베출구에 선 결합후에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증기배출구(120)에는 배출캡(130)이 씌워지는 형태로 안내된다.
상기 배출캡(130)은 상부에 다수개의 증기분할공(161)이 형성되고, 중앙 내측에는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증기배출공(121)을 증기압에 의해 개폐하는 개폐돌부(162)가 부착되며, 하단은 상기 손잡이(100)의 안내공(102) 저부에 걸려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턱(16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캡(160)은 증기압에 의해 증기배출구(120)로부터 부상되도록 두께 1.5mm~ 2mm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성형하여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자중이 가벼운 알루미늄, 혹은 동소재의 판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증기배출공(121)은 경사진 내경을 갖고, 상기 증기배출캡(160)의 개폐돌부(162)는 증기배출공(121)의 경사진 내경에 따라 경사지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증기배출캡(160)의 개폐돌부(162) 저면에는 증기압이 중앙에 집중되는 원뿔홈(162a)이 함몰 형성된다.
한편, 상기 증기배출구(120)가 안내되는 뚜껑(10)의 관통공(11a)은 증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뚜껑 지름의 ⅓~ ¼의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20)의 용적 대비 상부에 차지하는 뚜껑의 크기에 대해 조리시 과도하게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뚜껑의 개폐 없이 자동으로 증기압에 의해 상하 승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의 적용,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조리용기의 사용은 뚜껑(10)에 마련된 손잡이(100)를 잡고 용기(20) 위에 덮거나 완전히 개방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음식의 조리시 뚜껑(10)을 덮은 상태에서 가열 조리함에 있어, 음식물이 끓는 시점에서부터 용기(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서서히 상승하여 뚜껑의 저면측으로 모이게 되고, 증기압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첨부된 도 3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0)과 손잡이(100)를 연결하는 위치에 너트부재(140)에 의해 고정 설치된 증기배출구(120)를 통해 상부로 증기는 배출하게 된다.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상부에 씌워진 증기배출캡(140)은 첨부된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증기배출공(121)을 자중에 의해 차단한 상태에서 조리가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증기압이 점차 높아지면, 첨부된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기배출구(120)측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공(123)을 통해 증기는 증기배출캡(160)의 개폐돌부(162)를 상향 밀어낸다.
여기서 상기 개폐돌부(162)의 저면은 원뿔홈(162a)이 형성되어 있어 증기압은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경사공(123)에서 점차 중앙으로 집중되어 상기 개폐돌부(162)를 상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증기배출캡(160)은 증기압에 의해 상승하며, 이때의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증기배출공(121)을 통해 증기배출캡(160)의 상부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증기분할공(161)을 통해 상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증기배출은 증기압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상기 증기배출캡(160)을 첨부된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최대로 상승시켜 증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증기배출캡(160)은 손잡이(100)의 일측에 형성된 원형의 가이드공(102)을 따라 상승되며, 증기배출캡(160)의 걸림턱(163)은 상기 가이드공(102)의 저부에서 걸려 증기배출캡(160)이 더이상 상부로 상승하지 않는 상태에서 증기를 배출한다.
첨부된 도 3 및 도 6은 증기압 미발생상태, 도 4 및 도 7은 증기압 소량 발생, 도 5 및 도 8은 증기압 과도한 발생시를 나타낸 것으로, 증기압에 따라 상기 증기캡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증기배출캡(160)은 증기압에 의해 증기배출구(120)로부터 부상되기 용이한 알루미늄 또는 동소재의 얇은 금속판을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그 두께는 1.5mm~ 2mm의 두께로서 증기압에 의해 쉽게 상승할 수 있는 무게로 상승동작과 그 반대로 하강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증기배출구(120)로부터 증기배출캡(160)의 하강동작은 사용자가 음식이 끓는 상태에서 불을 줄여 조절하면, 그만큼 증기는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증기배출캡(160)은 증기압에 의해 상기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공을 차단하는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상기 증기배출구(120)가 안내되는 뚜껑(10)의 관통공(11a)은 뚜껑(10) 지름의 ⅓~ ¼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음식이 끓는 과정 중 굳이 뚜껑을 들어내지 않더라도 증기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고, 용기(20)를 가열하고 있던 불을 소화시키나 혹은 용기(20)에 뚜껑(10)이 닫힌 평상시라면, 상기 증기배출캡(160)의 개폐돌부(162)가 증기배출구(120)의 증기배출공(121)을 그 자중에 의해 다시 차단해주기 때문에, 음식 냄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공기의 유입으로 음식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100)는 뚜껑(10)의 결합공(11b)으로부터 고정된 체결나사(S)를 풀어 손잡이(100)를 해체하면, 상기 증기배출캡(160)을 분리할 수 있고, 너트부재(140)를 증기배출구(120)의 수나사부(124)로부터 풀면, 뚜껑(10)으로부터 증기배출구(120)를 뚜껑(10)의 관통공(11a)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향후 청소가 쉽고, 증기배출캡(160)의 손상시 교체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뚜껑 11a: 관통공
11b: 결합공 20: 용기
100: 손잡이 102: 안내공
120: 증기배출구 121: 증기배출공
122: 걸림턱 123: 경사공
124: 수나사부 140: 너트부재
160: 증기배출캡 161: 증기분할공
162: 개폐돌부 162a: 원뿔홈
163: 걸림턱 S: 체결나사

Claims (5)

  1. 뚜껑(10)의 중앙에 마련된 관통공(11a)에 연결되어 요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관통공(11a)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용기(20)의 상부로부터 뚜껑을 안착 및 들어내기 위해 구비되는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는, 일측에 원형의 가이드공(102)이 형성되며, 체결나사(S)로서 상기 뚜껑(10)에 마련되는 결합공(11b)을 통해 뚜껑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뚜껑(10)의 관통공(11a) 저부에서 상향 안내되어 뚜껑의 상부로 상향 돌출되며, 중앙에 경사진 내경을 갖는 증기배출공(121)이 형성되고, 하단은 관통공(11a)의 저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22)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향 증기가 유도되는 경사공(123)이 형성되며, 하부 외측둘레에는 수나사부(124)가 형성된 증기배출구(120)와;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수나사부(124)에 체결되어 뚜껑(10)으로부터 증기배출구(120)를 고정하는 너트부재(140)와;
    상부에 다수개의 증기분할공(161)이 형성되고, 중앙 내측에는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증기배출공(121)을 증기배출공(121)의 경사진 내경에 안내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저면에는 증기압이 중앙에 집중되는 원뿔홈(162a)이 함몰 형성된 개폐돌부(162)가 부착되며, 하단은 상기 손잡이(100)의 안내공(102) 저부에 걸려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턱(163)이 형성된 배출캡(1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증기배출구(120)의 상부에 헐거운 상태로 씌워져 증기압 정도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구조로 손잡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63490A 2016-05-24 2016-05-24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10177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90A KR101773710B1 (ko) 2016-05-24 2016-05-24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90A KR101773710B1 (ko) 2016-05-24 2016-05-24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710B1 true KR101773710B1 (ko) 2017-08-31

Family

ID=5976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490A KR101773710B1 (ko) 2016-05-24 2016-05-24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7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55B1 (ko) 2011-04-06 2012-11-21 전현구 냄비 뚜껑 손잡이
KR101388807B1 (ko) * 2014-02-14 2014-04-23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440614B1 (ko) 2014-03-18 2014-09-18 주식회사 로이첸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일체로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
US20160287018A1 (en) 2013-10-18 2016-10-06 Breville Pty Limited Lid with Check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55B1 (ko) 2011-04-06 2012-11-21 전현구 냄비 뚜껑 손잡이
US20160287018A1 (en) 2013-10-18 2016-10-06 Breville Pty Limited Lid with Check Valve
KR101388807B1 (ko) * 2014-02-14 2014-04-23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440614B1 (ko) 2014-03-18 2014-09-18 주식회사 로이첸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일체로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US11666178B2 (en) Grease strainer for cooking apparatus
US20080223222A1 (en) Baking or Heating Pot Provided With Adjustable Device For Inner Vapours Breathing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773710B1 (ko)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US6095366A (en) Global warming cover
US20170303743A1 (en) Cooking apparatus with strainer
RU196505U1 (ru) Крышка чайника
KR102193754B1 (ko)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101591246B1 (ko) 수증기 조절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19066Y1 (ko) 조리용기용 넘침방지 뚜껑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100055189A (ko) 증기배출조절용 음식 조리용기 덮개
CN205338681U (zh) 一种排气锅盖
GB2489392A (en) Saucepan lid with an adjustable access window
KR102648107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가진 진공 조리기
KR101359043B1 (ko)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KR200359511Y1 (ko) 수증기가 자동으로 배출 및 차단되는 바이오 냄비 뚜껑의구조
CN207168393U (zh) 一种方便引流的锅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20010000534U (ko) 압력 및 진공조리기
AU2015200789B2 (en) Vessel for microwave heating and cooking
MXPA04002453A (es) Tapa para utensilio de coc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