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821B1 -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821B1
KR102393821B1 KR1020200091705A KR20200091705A KR102393821B1 KR 102393821 B1 KR102393821 B1 KR 102393821B1 KR 1020200091705 A KR1020200091705 A KR 1020200091705A KR 20200091705 A KR20200091705 A KR 20200091705A KR 102393821 B1 KR102393821 B1 KR 10239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espresso
pressure
hollow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946A (ko
Inventor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이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호 filed Critical 이건호
Priority to PCT/KR2020/0107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29685A1/ko
Publication of KR2021001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43Vacuum-type 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o the upper bowl in which the ground coffee is placed and subsequently the heat source is cut-off and the water is sucked through the filter by the vacuum in the lower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valve at the water heating container outle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는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포트,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포트 내부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원두 가루 저장 공간을 가지는 바스켓, 바스켓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가지는 필터,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에스프레소 저장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및 포트와 컨테이너 사이에 개재되어 포트 내부와 컨테이너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추출장치{ESPRESSO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압력에서 짧은 시간에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프레소는 곱게 갈아 압축한 원두 가루에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통과시켜 추출한 커피를 말하는데, 동일한 원두를 사용하더라도 추출 시의 압력, 온도 및 추출 시간에 따라 그 맛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최상의 커피 맛을 내기 위해 다양한 에스프레소 추출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 중 모카포트(Mocha Pot)는 1933년에 개발된 가정용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로 부피가 작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지금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모카포트는 가열된 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고 간편하게 고품질의 에스프레소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카포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카포트(10)는 물을 수용하는 포트(11), 원두 가루를 수용하는 바스켓(13), 및 추출된 에스프레소를 수용하는 컨테이너(15)를 포함한다.
포트(11)를 가열하면 내부의 물이 끓으면서 수증기가 발생하고 포트(11)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증가된 압력은 물을 수관(14)을 따라 상승시키고, 상승된 고온의 물이 바스켓(13) 내부의 원두 가루(20)를 통과하면서 에스프레소가 추출된다. 추출된 에스프레소는 배출관(16)을 지나 컨테이너(15)에 수용된다.
한편, 커피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압 하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에스프레소를 추출하여야 한다. 이에 커피 전문점에서 사용하는 상업용 에스프레소 추출장치의 경우 대부분 9bar 정도의 높은 압력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모카포트(10) 장치의 경우 내부 압력이 1bar 정도로 낮은 편이며, 포트(11) 내부의 압력 상승에 따라 물이 서서히 상승하기 때문에 추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원두 가루가 물에 젖어 있는 시간이 길어져 에스프레소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에스프레소의 추출 시점을 제어할 수 없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그 외에도, 종래의 모카포트(10) 장치는 배출관(16) 말단의 배출공(17)을 통한 에스프레소의 배출이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토출되는 에스프레소가 사방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15) 상단에 뚜껑(18)을 설치하였으나, 뚜껑(18)을 덮으면 에스프레소 추출이 완료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높은 내부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물이 가열되는 동안 원두 가루가 물에 젖지 않도록 하고, 가열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적절한 시점에 추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맛과 향이 향상된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최상의 맛과 향을 가진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추출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에스프레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원두 가루에서 추출된 에스프레소가 컨테이너 속으로 배출될 때 사방으로 비산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에스프레소 추출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는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포트,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포트 내부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원두 가루 저장 공간을 가지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을 가지는 필터,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에스프레소 저장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및 상기 포트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포트 내부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포트바디, 상기 포트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포트바디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추출 압력에 도달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1 압력 밸브, 및 상기 포트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포트바디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안전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2 압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추출 압력은 4bar 내지 5bar이고, 상기 안전 압력은 6bar 내지 7bar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전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포트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목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포트 내부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원두 가루를 수용하며 저면에는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미세 구멍들이 구비된 원두 수용부, 상기 원두 수용부 상부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원두 수용부에서 상기 포트의 내부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 형상의 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내부에 에스프레소를 저장하며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테이너바디, 및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되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중공을 가지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의 일측은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포트 내부와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꺾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중공의 꺾인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컨테이너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을 폐쇄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컨테이너바디에 결합되도록 지지하고, 필요 시 제어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 상기 조작부의 반대측에서 일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한 쌍의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안착되어 상기 중공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한 쌍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어밸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포트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증기압 배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 배출홈은 한 쌍의 실링부재 중 컨테이너바디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중공을 밀폐하는 실링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는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에스프레소의 비산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는, 상기 배출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과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 및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커버하되 상기 배출공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많이 돌출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의 중심선은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30도 내지 45도로 경사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는 내부 압력을 희망하는 목표 압력까지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고압으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목표 압력에 도달한 이후 적절한 시점에 가열된 물이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에 형성된 증기압 배출홈으로 인해, 사용자가 제어밸브를 개방하기 전이라도 가열된 물이 원두 수용부까지 상승하여 원두 가루를 고르게 적실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맛과 향이 향상된 에스프레소를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에스프레소 추출 타이밍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누구나 용이하게 최상의 맛과 향을 가진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카포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를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어밸브 및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형태의 증기압 배출홈을 가지는 실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증기압 배출홈의 존재 여부에 따른 물의 상승 정도를 비교한 단면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를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포트(110), 포트(110) 내부에 수용되며 원두 가루가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바스켓(120), 바스켓(120) 상면을 덮는 필터(130), 포트(110) 상부에 결합되며 추출된 에스프레소를 저장하는 컨테이너(140), 컨테이너(140) 상단에 결합되어 추출되는 에스프레소를 컨테이너(140)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150), 및 포트(110)와 컨테이너(140) 사이에 개재되어 에스프레소 추출 개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밸브(160)를 포함한다.
포트(110)는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을 갖는 포트바디(111), 및 포트바디(111)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압력 밸브들(113, 115)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바디(111)는 상면이 개방된 그릇 형상을 가지며, 포트바디(111)의 상부에는 컨테이너(140)가 결합될 수 있다. 포트바디(111)의 상기 개방된 상면은 컨테이너(140) 및 후술하는 제어밸브(16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트바디(111)에 열을 가하면 내부에 저장된 물이 끓으면서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포트바디(111)와 컨테이너(140)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끼워 맞춤 또는 자석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포트바디(111)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압을 견딜 수 있는 강도의 결합 방식이 채택되어야 한다.
포트바디(111)는 외부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포트바디(111)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포트바디(111)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 가벼운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에스프레소 추출장치(100)의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 압력 밸브(113)는 포트바디(111)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에스프레소 추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밸브(113)는 기 설정된 추출 압력에 도달하면 포트바디(111)의 내부와 외부(대기)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출 압력은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압력으로서, 예를 들면 4bar 내지 5bar일 수 있다. 즉,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4bar에 도달하면 제1 압력 밸브(113)가 작동하여 포트바디(111) 내부의 수증기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며, 사용자는 이를 신호로 제어밸브(160)를 조작하여 에스프레소 추출을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구든지 최적의 에스프레소 추출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압력 밸브(113)는 포트바디(11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안전 밸브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단순히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추출 압력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압력 밸브(113)는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고, 포트바디(111)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추출 압력에 도달하면 소리나 시각적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추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압력 밸브(115)는 포트바디(111)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압력 밸브(115)는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안전 압력에 도달하면 포트바디(111)의 내부와 외부(대기)를 연통시켜 포트바디(111)의 내부 압력이 상기 안전 압력을 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전 압력은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으로서, 예를 들면 6bar 내지 7bar일 수 있다.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제2 압력 밸브(115)가 작동하여 압력을 제한하고, 사용자는 제2 압력 밸브(115)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제어밸브(160)를 조작하지 않음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에스프레소 추출장치(100)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바디(111) 내부의 안전 압력이 7bar로 설정된 경우,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7bar에 도달하면 제2 압력 밸브(115)가 작동하여 포트바디(11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은 7bar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2 압력 밸브(115)는 사용자에게 에스프레소 추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바디(111) 내부 압력이 상기 안전 압력까지 도달한 이후에 사용자가 제어밸브(160)를 개방하게 되면, 지나치게 높은 압력 하에서 에스프레소 추출이 진행되므로 에스프레소의 품질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 밸브(113)가 작동한 이후부터 제2 압력 밸브(115)가 작동하기 이전 상태에서 에스프레소 추출을 진행하였을 때 최상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압력 밸브(115) 역시 제1 압력 밸브(11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에스프레소 추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압력 밸브(115)는 포트바디(111)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바스켓(120)에 원두 가루를 넣고, 원두 가루의 양에 맞는 물을 포트바디(111)에 채워 넣어야 한다. 원두와 물의 양이 맞았을 때 최상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포트바디(111) 내부에 눈금을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포트바디(111)의 크기가 작아 잘 보이지 않은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2 압력 밸브(115)의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물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바디(111) 내부에 60ml의 물이 채워지는 높이에 제2 압력 밸브(115)를 설치하면, 사용자는 포트바디(111)에 넣어야 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압력 밸브(113)는 제2 압력 밸브(115)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제1 압력 밸브(113)와 제2 압력 밸브(115)가 별개로 설치된 에스프레소 추출장치(100)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압력 조절 밸브만을 설치하여 포트바디(111) 내부 압력을 제한하면서 사용자에게 추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바스켓(120)은 포트바디(111)에 결합되는 안착부(121), 원두 가루를 수용하는 원두 수용부(123), 및 포트바디(111) 내부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원두 수용부(12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관(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스켓(120)은 포트바디(111)의 상면에 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착부(121)의 외주면은 원두 수용부(123)의 외주면보다 외측방향으로 더 많이 돌출된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의 안착부(121)가 포트바디(111) 상면에 거치될 수 있다. 이것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스켓(120)과 포트바디(111)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안착부(121)의 외측면과 포트바디(111)의 내측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안착부(121)와 포트바디(11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121)는 원두 수용부(123)의 상측 또는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원두 수용부(123) 및 수관(125)은 포트바디(11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포트바디(111)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포트바디(11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원두 수용부(123)는 분쇄된 원두 가루를 수용하며, 가열된 물이 원두 가루를 통과한 이후에는 원두 찌꺼기를 수용할 수 있다. 포트바디(111) 내부의 가열된 물은 수관(125)을 통해 원두 수용부(123)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원두 수용부(123)의 저면에는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미세 구멍들이 구비될 수 있다.
수관(125)의 상단은 원두 수용부(123)를 향해 개방되고, 하단은 포트바디(111) 내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관(125)은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포트바디(111) 내부의 가열된 물은 수관(125)을 통해 원두 수용부(123)로 공급될 수 있다.
필터(130)는 바스켓(12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들(131)을 가질 수 있다. 필터(130)는 추출된 에스프레소가 배출관(143)을 향해 상승할 때 원두 수용부(123)의 원두 가루나 이물질이 추출된 에프스레소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테이너(140)는 내부에 에스프레소 저장 공간을 갖는 컨테이너바디(141), 컨테이너바디(141) 내부에서 컨테이너바디(141)의 바닥면을 관통해 상방으로 연장하는 배출관(143), 및 컨테이너바디(141)의 외측면에 연결된 손잡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바디(141)는 포트(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바디(141)는 포트바디(111)의 상부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컨테이너바디(141)의 내주면과 포트바디(111)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바디(141)의 외주면과 포트바디(111)의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컨테이너바디(141)의 저면과 포트바디(111)의 상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 형상의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와 홈부(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결합됨으로써 컨테이너바디(141)와 포트바디(111)가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컨테이너바디(141)와 포트바디(111)가 결합되는 몇 가지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끼워맞춤 또는 자석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포트바디(111)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압을 견딜 수 있는 강도의 결합 방식이 채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스프레소 추출장치(100)는 컨테이너바디(141)와 포트바디(111) 사이에 개재되는 포트바디 실링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바디 실링부재는 포트바디(111) 내부의 수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트바디 실링부재는 고무 링일 수 있다.
배출관(143)은 컨테이너바디(141)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중공(144)을 가질 수 있다. 중공(144)의 하단은 컨테이너바디(14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필터(130)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단은 컨테이너바디(141)의 내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130)를 통과한 에스프레소는 중공(144)을 거쳐 컨테이너바디(141)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배출관(143)에서 컨테이너바디(141)로 에스프레소가 배출될 때, 압력차로 인하여 에스프레소가 강하게 뿜어져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에스프레소 추출장치(100) 주변이 오염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가이드(150)는 에스프레소가 컨테이너바디(141) 내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가이드(150)는 배출관(143)에 결합되는 결합부(151), 결합부(151)를 관통하여 중공(144)에 연통하는 배출공(153), 및 결합부(151) 상단을 커버하는 비산 방지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51)는 배출관(143)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51)와 배출관(143)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출공(153)은 결합부(151)에 관통 형성되며, 배출관(143)의 에스프레소가 컨테이너바디(141) 내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공(153)은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53)의 중심선은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30도 내지 45도의 경사각(θ)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가이드(150)에 1개의 배출공(153)만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포트(111) 및 바스켓(120)의 크기, 중공(144)의 크기, 제어밸브(160)의 개방압력 등에 따라 배출공(153)의 크기 및 개수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비산 방지부(155)는 결합부(151)의 상단에 구비되며 배출되는 에스프레소가 상방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산 방지부(155)는 원판 형상, 돔 형상, 원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비산 방지부(155)는 배출공(153)보다 외측으로 더 많이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야 하며, 이 경우 배출공(153)에서 배출되는 에스프레소가 상방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산 방지부(155)의 외주면은 컨테이너바디(141)의 내주면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비산 방지부(155)가 원판 형상을 가지는 경우, 비산 방지부(155)의 지름은 컨테이너바디(141)의 지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바디(141)의 내주면과 비산 방지부(155)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142)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142)을 통해 에스프레소 추출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비산 방지부(155)가 컨테이너바디(141)의 개방된 상면을 완전히 커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비산 방지부(155)의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비산 방지부(155)의 상기 투명한 부분을 통해 에스프레소 추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포트바디(111)를 가열하면 내부에 수용된 물이 끓으면서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다. 반면 컨테이너바디(141)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포트바디(111) 내부와 컨테이너바디(141)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포트바디(111) 내부의 물이 수관(125), 원두 수용부(123), 필터(130), 및 배출관(143)을 순차적으로 거쳐 컨테이너바디(141)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포트바디(111) 내부의 물이 끓음에 따라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은 증가하나, 원두 수용부(123) 상부는 외부와 연통하여 대기압으로 압력이 일정하다. 따라서 압력차가 발생하면 포트바디(111) 내부의 물은 수관(125)을 따라 상승하고 원두 수용부(123)에 저장된 원두 가루를 적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두 수용부(123) 상부에 제어밸브(160)를 설치하여 포트바디(111)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킴으로써 원두 가루가 물에 젖는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밸브(160)는 포트(110)와 컨테이너(140) 사이에 개재되며 포트(110)와 컨테이너(14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즉, 포트바디(111)의 내부 공간은 배출관(143)의 중공(144)을 통해 컨테이너바디(141) 및 외부(대기)와 연통되어 있으나, 그 사이에 제어밸브(160)가 개재됨으로써 포트바디(111)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밸브(160)가 중공(144)을 폐쇄하여 포트바디(111) 내부를 밀폐시키면, 물이 끓음에 따라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후, 밀폐된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목표 압력에 도달하면 제어밸브(160)를 조작하여 중공(144)을 개방할 수 있다. 중공(144)이 개방되면 포트바디(111) 내부와 컨테이너바디(141) 내부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해 물의 상승 및 에스프레소 추출이 비로소 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밸브(160)를 이용하여 포트바디(111)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포트바디(111) 내부에 형성된 고압을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되는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밸브(160)를 개방하는 상기 포트바디(111) 내부의 목표 압력은 제1 압력 밸브(113)가 작동하는 추출 압력과 동일한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바디(111)의 추출 압력이 5bar로 설정된 경우, 포트바디(111) 내부 압력이 5bar에 도달하면 제1 압력 밸브(113)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사용자는 제1 압력 밸브(113)가 작동한 것을 확인한 이후 제어밸브(160)를 개방하여 약 5bar의 압력으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압력 밸브(115)는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제2 압력 밸브(115)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제어밸브(160)를 조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상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밸브(160)는 컨테이너바디(141)의 일측에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고, 이것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밸브(160)는 컨테이너바디(141)를 관통하여 중공(144)을 폐쇄하는 삽입부(161), 및 삽입부(161)의 일단에 구비되는 조작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63)를 이용하여 삽입부(161)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중공(144)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중공(144)이 상하로 연장하되 중간에서 한 번 꺾인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삽입부(161)가 중공(144)의 상기 꺾인 부분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공(144)이 꺾인 부분을 가지는 경우 단순히 상하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경우보다 중공(144)을 완전히 밀폐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포트바디(111) 내부의 기밀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밸브(160)는 삽입부(161)를 컨테이너바디(141)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며 필요 시 제어밸브(160)가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165) 및 포트바디(111) 내부의 수증기가 중공(144)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65)는 삽입부(16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일 수 있고, 실링부(167)에는 개구부(168-1)를 갖는 환형의 실링부재(168)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168)는 한 쌍의 고무 링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167)는 제어밸브(160)의 길이방향으로 조작부(163)의 반대쪽에 마련되며, 상기 실링부재(168)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봉 형상의 외주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실링부(167)는 컨테이너바디(14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하단에 형성된 중공(144)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중공(144)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실링부재(168) 또한 컨테이너바디(141)의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144) 및 제어밸브(160)가 삽입되는 방향의 중공(144)을 밀폐하기 위해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중공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실링부재(168)는 증기압 배출홈(168-2)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도 5 및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증기압 배출홈(168-2)은 환형의 실링부재(168) 외주면에서 상기 제어밸브(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연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증기압 배출홈(168-2)은 반드시 그 위치나 단면의 형상이 상기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링부재(168)의 단면을 제어밸브(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실링부재(168)를 기준으로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상기 증기압 배출홈(168-2)은 미세한 직경의 단면을 가진 홈으로, 포트 (110)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뿐 아니라, 포트(110)가 중공(144)을 통해서 컨테이너바디(141)와 연통되도록 하여, 포트(110) 내부와 컨테이너바디(141)의 압력 차이로 인한 물의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증기압 배출홈(168-2)의 직경은 포트바디(111) 내부의 물이 원두 수용부(123)까지만 상승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압 배출홈(168-2)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4, 5 및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링부(167)와 실링부재(168)는 제어밸브(160)와 함께 포트바디(111) 내부를 밀폐하여, 포트바디(111)와 컨테이너바디(141)의 압력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포트바디(111) 내부의 물이 컨테이너바디(141)까지 상승하지 않게 함으로써 에스프레소의 추출을 제어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밸브(160)와 실링부재(168)가 중공(144)을 완전히 밀폐한 상태에서는 끓는 물이 포트바디(111) 내부 및 수관(125)의 하부에만 위치하며, 제어밸브(160)를 작동시켜 중공(144)을 개방하는 경우에 비로소 수관(125)을 타고 상승하여 원두 수용부(123)의 원두 가루를 적신 다음 배출관(143)을 따라 올라와 에스프레소가 추출된다.
그러나 실링부재(168)에 증기압 배출홈(168-2)이 더 형성된 경우에는, 포트바디(111)의 내부와 컨테이너바디(141)가 증기압 배출홈(168-2)를 통해 연통된다. 그로 인해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밸브(160)를 작동시켜 중공(144)을 개방하기 전이라도, 상기 포트바디(111) 내부에 수용된 끓는 물이 압력 차이에 의해 수관(125)를 타고 원두 수용부(123)까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원두 수용부(123)에 수용된 원두 가루를 충분히 적시게 된다. 그 후 사용자는 제1 압력 밸브(113) 등에 의해 적절한 에스프레소 추출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밸브(160)를 개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증기압 배출홈(168-2)이 실링부재(168)에 더 구비되는 경우, 원두 가루가 물에 적셔져 충분히 뜸을 들인 상태에서 에스프레소를 추출 할 수 있게 된다. 즉, 실링부재(168)에 증기압 배출홈(168-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밸브(160) 개방 시 순간적으로 물이 강하게 상승하여 원두 가루를 고루 적시지 못한 상태에서 에스프레소 추출이 시작되는 반면, 증기압 배출홈(168-2)이 구비된 경우에는 제어밸브(160)를 개방하기 전에 포트바디(111) 내부의 물이 원두 수용부(123)까지 상승하여 원두 가루 전체가 고루 적셔진 상태가 되며, 제어밸브(160) 개방 시 이미 고루 적셔져 있는 원두 가루에 물이 통과하면서 에스프레소가 안정적으로 추출되게 된다. 그 외에도 에스프레소 추출 전에 뜸을 들이는 경우, 원두 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가 제거되어, 원두가 가지고 있는 맛과 향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기압 배출홈(168-2)은 한 쌍의 실링부재(168) 중에서 컨테이너 바디(141)의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144)을 밀폐하는 실링부재(168)에 형성될 수 있으며, 증기압 배출홈(168-2)를 통해 증기를 배출하고 물의 상승을 유도하면서도, 사용자가 제어밸브(160) 조작 시 증기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바(bar)형태의 제어밸브(16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밸브(160)는 중공(14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밸브(160)는 압력센서와 전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센서가 포트바디(11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전자 밸브가 작동하여 중공(144)을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에 개시된 에스프레소 추출장치(100)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포트(110)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물은 추출하려는 에스프레소의 양에 따라 정해진 양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압력 밸브(115)가 설치된 높이까지 물을 채우면 용이하게 정해진 양을 맞출 수 있다. 원두 수용부(123)에는 원두 가루를 공급하고, 바스켓(120) 및 필터(130)를 포트(110) 내부에 삽입한다. 이후, 컨테이너(140)를 포트(110)에 결합하고, 제어밸브(160)를 조작하여 중공(144)을 폐쇄한다.
이후 포트(110)에 열을 가하여 내부의 물을 끓인다.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면 포트(110) 내부의 압력은 증가하게 되고, 포트(110)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추출 압력에 도달하면 제1 압력 밸브(113)가 작동하여 에스프레소 추출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제2 압력 밸브(115)는 포트(110)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재(168)에 증기압 배출홈(168-2)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제어밸브(160)를 조작하기 전이라도, 포트바디(111) 내부에 수용된 끓는 물이 원두 수용부(123)까지 상승하여 수용된 원두 가루를 고루 적시게 된다.
그 후, 제1 압력 밸브(113)가 작동하면 사용자는 제어밸브(160)를 조작하여 중공(144)을 개방한다. 그러면 포트(110) 내부와 컨테이너(140) 내부 사이의 압력차로 인하여 포트(110) 내부의 물이 수관(125)을 따라 상승하고, 가열된 물이 원두 수용부(123), 필터(130), 배출관(143) 및 배출공(153)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에스프레소가 추출된다. 추출된 에스프레소는 컨테이너(14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150)는 배출되는 에스프레소가 비산하지 않도록 배출 방향을 가이드하고, 사용자가 진행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경우, 포트바디(111) 내부에서 형성된 고온 고압에 의해 에스프레소가 추출되므로, 에스프레소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제어밸브(160)를 조작하여 적절한 에스프레소의 추출 시점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100)는 사용자가 목표하는 내부압력 및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에스프레소의 추출을 제어하여, 본인의 기호에 맞는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최상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는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고압 환경 하에서 추출 속도를 조절하면서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맛과 향이 향상된 에스프레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에스프레소가 사방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추출 진행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카포트 100: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110: 포트 120: 바스켓
130: 필터 140: 컨테이너
150: 가이드 160: 제어밸브

Claims (12)

  1.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포트;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포트 내부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원두 가루 저장 공간을 가지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가지는 필터;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에스프레소 저장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및
    상기 포트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포트 내부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포트바디;
    상기 포트바디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포트바디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추출 압력에 도달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1 압력 밸브; 를 포함하되,
    상기 포트바디 내부의 압력이 4bar 내지 5bar의 추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압력 밸브가 작동하여 상기 포트바디 내부의 수증기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제어밸브의 조작을 통한 최적의 에스프레소의 추출 가능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포트바디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안전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2 압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압력은 6bar 내지 7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포트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목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포트 내부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원두 가루를 수용하며, 저면에는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미세 구멍들이 구비된 원두 수용부;
    상기 원두 수용부 상부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원두 수용부에서 상기 포트의 내부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 형상의 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내부에 에스프레소를 저장하며, 상기 포트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포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테이너바디; 및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되,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중공을 가지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의 일측은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포트 내부와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내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꺾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중공의 꺾인 부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컨테이너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을 폐쇄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컨테이너바디에 결합되도록 지지하고, 필요 시 제어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
    상기 조작부의 반대측에서 일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한 쌍의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안착되어 상기 중공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한 쌍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어밸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포트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증기압 배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 배출홈은
    한 쌍의 실링부재 중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중공을 밀폐하는 실링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에스프레소의 비산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배출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과 상기 컨테이너바디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 및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커버하되, 상기 배출공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많이 돌출되는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의 중심선은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30도 내지 45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KR1020200091705A 2019-08-13 2020-07-23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KR10239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0719 WO2021029685A1 (ko) 2019-08-13 2020-08-13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43 2019-08-13
KR20190099043 2019-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46A KR20210019946A (ko) 2021-02-23
KR102393821B1 true KR102393821B1 (ko) 2022-05-04

Family

ID=7468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705A KR102393821B1 (ko) 2019-08-13 2020-07-23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064B1 (ko) * 2021-09-27 2023-10-24 경윤현 설정온도에서의 구동되는 비전기식 커피 추출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790A1 (en) * 2004-05-28 2005-12-08 Bialetti Industrie S.P.A.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and the like
WO2008087481A1 (en) * 2007-01-19 2008-07-24 Forever S.R.L. Coffee-maker structure for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US20120070552A1 (en) * 2004-07-30 2012-03-22 Illycaffe' S.P.A.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btaining beverages
US20140161945A1 (en) * 2011-07-22 2014-06-12 Marco Ciaramelli Beverage production method and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790A1 (en) * 2004-05-28 2005-12-08 Bialetti Industrie S.P.A.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and the like
US20120070552A1 (en) * 2004-07-30 2012-03-22 Illycaffe' S.P.A.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btaining beverages
WO2008087481A1 (en) * 2007-01-19 2008-07-24 Forever S.R.L. Coffee-maker structure for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US20140161945A1 (en) * 2011-07-22 2014-06-12 Marco Ciaramelli Beverage production method an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46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1080B1 (en) Screw press coffee brewing apparatus
US9259116B2 (en) Stove top device for making espresso coffee
EP0174314A1 (en) Automatic coffee pot
JP2008507999A (ja) 飲料を得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US3020823A (en) Piston and cylinder action coffee maker
JP6835845B2 (ja) 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を運転する方法
KR102393821B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CA2251884C (en) Microwavable beverage maker
KR101190168B1 (ko) 차 제조장치
KR101116227B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JP7218001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0451890Y1 (ko) 수동식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JPWO2020105594A5 (ko)
EP3554319B1 (en) Stee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KR101983339B1 (ko)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CN109310228B (zh) 饮料冲泡器
US2467817A (en) Coffee-making device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US3396654A (en) Coffee maker
US1803232A (en) Coffee machine
KR101910638B1 (ko) 기능성 커피 추출기
KR101651569B1 (ko)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KR101882752B1 (ko) 커피 추출기
WO2021029685A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US1619967A (en) Coffee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