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752B1 - 커피 추출기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752B1
KR101882752B1 KR1020170066597A KR20170066597A KR101882752B1 KR 101882752 B1 KR101882752 B1 KR 101882752B1 KR 1020170066597 A KR1020170066597 A KR 1020170066597A KR 20170066597 A KR20170066597 A KR 20170066597A KR 101882752 B1 KR101882752 B1 KR 10188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hole
coffee
main body
bo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일
김준용
Original Assignee
최중일
김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일, 김준용 filed Critical 최중일
Priority to KR102017006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추출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보일링 배럴(10); 상기 보일링 배럴(10)에 결합된 메인 바디(20); 상하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통과홀(32)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 바디(20)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20)의 내부에 추출 챔버를 형성하는 추출판(30); 상기 추출판(3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의 상기 추출 챔버에 내장되며 상기 추출판(30)의 상기 통과홀(32)과 상기 메인 바디(20)의 상기 추출 챔버에 연통된 토출홀(44)을 구비한 서플라이관(40);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게이트홀(51)을 구비하며 상기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결합된 바스켓(50); 바닥부(62)에서 상면부(64)까지 연통된 홀을 구비하여 상기 바스켓(50) 내부의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스퀴징 부재(60);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리키지홀(72)을 구비하여 상기 바스켓(50)의 외주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키지홀(72)은 상기 바스켓(50)의 상기 게이트홀(51)과 만나는 슬리브(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기{Coffee extractor}
본 발명은 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추출 원료를 복수회 짜내는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가 일상적인 기호식품이 된 요즘, 쉽고 간편하게 커피를 먹기 위한 방법으로 인스턴트 커피가 널리 보급되었다. 하지만 커피 전문점의 수가 급속히 증가할 만큼 국민 대다수가 고품질의 커피를 원하고 있는 추세에서 원두커피를 직접 만들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기를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모카 커피 포트는 혼합 커피 제조에 사용되는 맛이 강한 커피인 모카(moka, 에스프레소에 초콜릿의 맛을 첨가한 커피)로부터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 기구를 말한다.
종래의 모카 커피 포트는 추출구, 뚜껑 손잡이, 뚜껑, 손잡이, 컨테이너, 평면 필터, 가스켓, 분쇄 커피 바스켓, 보일러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모카 커피 포트에 의하면, 먼저 보일러에 물을 넣고, 분쇄 커피 바스켓에 분쇄 커피(커피 추출 원료)를 채워 넣고 평평히 하고, 분쇄 커피 바스켓을 보일러 상단에 결합한 후, 컨테이너를 그 위쪽에 결합시키고 가열하면 수증기의 압력으로 인해 분쇄 커피로부터 커피가 추출되어 추출구를 통해 분사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커피가 담기게 된다. 상기 컨테이너에 추출된 커피를 커피잔 등에 딸아서 마시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커피 추출기는 커피 추출 원료에서 커피를 제대로 추출하지 못하게 되어 아직 커피가 추출될 수 있는 상태의 커피 추출 원료를 버리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커피의 추출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커피의 풍미가 제대로 살아나지 못하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8775호(2012.03.23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262177호(2013.05.02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2648호(2016.11.21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추출 원료를 복수회 짜내는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서 커피 추출 효율이 기존에 비하여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커피 추출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링 배럴; 상기 보일링 배럴에 결합된 메인 바디; 상하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통과홀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추출 챔버를 형성하는 추출판; 상기 추출판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추출 챔버에 내장되며 상기 추출판의 상기 통과홀과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추출 챔버에 연통된 토출홀을 구비한 서플라이관;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게이트홀을 구비하며 상기 보일링 배럴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결합된 바스켓; 바닥부에서 상면부까지 연통된 홀을 구비하여 상기 바스켓 내부의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스퀴징 부재;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개폐홀을 구비하여 상기 바스켓의 외주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홀은 상기 바스켓의 상기 게이트홀과 만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기가 제공된다.
상기 슬리브에는 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스켓의 상기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스퀴징 부재는 바닥부와 상면부 사이에 부양 공간부가 확보되고, 상기 홀은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홀과,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스켓의 내주면에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퀴징 부재에는 상기 바닥부에서 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부에 걸려지는 로워 연장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홀은 상기 서플라이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보일링 배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은 상단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보일링 배럴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안착홈에 결합되고, 상기 추출판과 상기 보일링 배럴의 상단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홀은 바스켓의 상하부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에는 중심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구는 슬리브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구의 바닥부에는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조절판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판에는 상기 부구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홀과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조절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구의 바닥부에는 조절판의 양쪽 측단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톱퍼는 부구의 바닥부를 아래 방향 또는 위쪽 방향으로 눌러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판에는 레버돌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피 추출 원료에서 커피를 적어도 2회 정도 눌렀다가 해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커피를 제대로 추출하게 되므로, 아직 커피가 추출될 수 있는 상태의 커피 추출 원료를 버리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으며, 커피의 추출이 제대로 되어서 커피의 풍미가 제대로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기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보일링 배럴에 바스켓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기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스켓과 슬리브 및 부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저면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주요부인 슬리브와 부구 및 스퀴징 부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조절판과 바스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조절판의 조절홀과 바스켓에 구비된 바닥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저면도
도 19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조절판과 바스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피 추출기의 바스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바스켓을 채용한 커피 추출기의 종단면도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기에서 바스켓에 게이트홀이 한 개인 실시예의 구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기는 보일링 배럴(10), 메인 바디(20), 추출판(30), 서플라이관(40), 바스켓(50), 스퀴징 부재(60), 슬리브(70) 및 부구(80)를 구비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보일링 배럴(10)은 내부에 보일링 챔버를 구비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일링 배럴(10)은 단면 원형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에는 보일링 챔버와 연통된 바스켓 결합홀이 구비된다. 바스켓 결합홀의 주위에는 걸침부(12)가 구비된다. 걸침부(12)에는 오목한 홈 형태의 플랜지 안착홈이 구비된다.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된다. 또한, 보일링 배럴(10)에는 안전밸브(14)가 구비된다. 안전밸브(14)는 나사부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안전밸브(14)는 체크밸브로 구성되며, 보일링 배럴(10)의 내부가 과압이 될 때에 과압을 보일링 배럴(1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보일링 배럴(10)에 결합된다. 메인 바디(20)는 단면 원형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바디(20)의 하단부측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부가 보일링 배럴(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메인 바디(20)가 보일링 배럴(10) 위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바디(20)에는 뚜껑(22)과 손잡이(2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추출판(30)이 결합되어 있다. 추출판(30)은 메인 바디(20) 내주면의 나사부 위쪽에서 메인 바디(2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추출판(30)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통과홀(32)이 구비된다. 추출판(30)은 메인 바디(20)의 내부에 추출 챔버를 형성한다. 추출판(30)의 상면과 뚜껑(22)의 사이에 메인 바디(20) 내부의 추출 챔버가 확보된다.
상기 추출판(30)에 서플라이관(40)이 구비된다. 서플라이관(40)의 하단부가 추출판(30)의 상면 중앙부에 배치된다. 서플라이관(40)이 추출판(30)의 중앙부에 세워져 있다. 서플라이관(40)의 하단부가 확장판(42)에 고정되고, 확장판(42)은 추출판(30) 위에서 메인 바디(2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서플라이관(40)이 추출판(30)의 중앙부에 세워져 있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메인 바디(20) 내부의 추출 챔버에 서플라이관(40)이 내장된다. 서플라이관(40)은 메인 바디(20) 내부의 추출 챔버에 세워져 있다. 서플라이관(40)에는 토출홀(44)이 구비된다. 서플라이관(40)의 토출구는 추출판(30)의 통과홀(32)과 메인 바디(20)의 추출 챔버에 연통된다. 서플라이관(40)이 추출판(30)의 복수개의 통과홀(32) 중에서 중심부에 인접한 일부의 통과홀(32)과 연통되고, 상기 서플라이관(40)이 관형상으로 구성(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서플라이관(40)의 토출구가 추출판(30)의 통과홀(32)과 메인 바디(20)의 추출 챔버 사이에 연통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토출홀(44)은 서플라이관(4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보일링 배럴(10) 내부에 형성된 보일링 챔버에는 바스켓(50)이 결합된다. 상기 바스켓(50)은 상하단부에 개방부가 있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바스켓 결합홀에 바스켓(5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50)은 상단부에 플랜지부(52)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52)가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 안착홈에 결합된다. 바스켓(50)의 플랜지부(52)가 보일링 배럴(10)의 걸침부(12)에 형성된 플랜지 안착홈에 결합되므로, 바스켓(50)의 플랜지부(52)가 보일링 배럴(10)의 걸침부(12)에 걸쳐진 상태에서 바스켓(50)은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내장된다. 한편, 상기 바스켓(50)이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내장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바스켓(50)의 하단부는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보다 더 위쪽에 떠 있게 된다. 바스켓(50)의 하단부와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바스켓(50)의 내주면에는 단턱부(54)가 구비된다. 바스켓(50)의 하단부보다 더 위쪽의 내주면에 단턱부(5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스켓(50)에는 게이트홀(51)이 구비된다. 게이트홀(51)은 바스켓(5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다. 게이트홀(51)은 바스켓(50)의 내부에 형성된 커피 원료 수용부를 바스켓(50)의 외부로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게이트홀(51)은 바스켓(50)의 상하부를 따라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된다. 바스켓(50)의 하측에 구비된 게이트홀(51)은 로워 게이트홀(51)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50) 내부의 커피 원료 수용부에는 스퀴징 부재(6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퀴징 부재(60)는 바닥부(62)에서 상면부(64)까지 연통된 홀을 구비한다. 상기 스퀴징 부재(60)는 바닥부(62)와 상면부(64) 사이에 부양 공간부가 확보된 드럼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스켓(50)이 원통형 배럴 형상이어서 스퀴징 부재(60)는 원통형 드럼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퀴징 부재(60)의 홀은 바닥부(62)의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홀(62H)과, 상기 상면부(64)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홀(64H)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퀴징 부재(60)는 보일링 배럴(10)의 내부에 확보된 보일링 챔버와 추출판(30)의 통과홀(32)과 연통된 홀을 구비(즉, 바닥홀(62H)과 상부홀(64H)을 구비)한 부재로서, 스퀴징 부재(60)가 바스켓(50) 내부의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퀴징 부재(60)에는 로워 연장편이 더 구비된다. 로워 연장편은 바닥부(62)에서 더 아래로 연장된다. 바스켓(50) 내주면의 단턱부(54)에 스퀴징 부재(60)의 로워 연장편이 걸려진다. 스퀴징 부재(60)가 가장 아래로 내려간 상태에서 로워 연장편의 하단부가 바스켓(50) 내주면의 단턱부(54)에 걸려진다. 상기 바닥부(62)는 바스켓(50)의 단턱부(54)에서 위로 떠 있게 된다.
상기 바스켓(50)의 외주면에는 슬리브(7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리브(70)는 바스켓(5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바스켓(50)이 단면 원통형이어서 슬리브(70)도 단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슬리브(70)는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리키지홀(72)을 구비한다. 상기 슬리브(70)가 바스켓(50)을 따라서 승강할 때에 리키지홀(72)은 바스켓(50)의 게이트홀(51)과 만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7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비드가 구비되어, 상기 비드에 리키지홀(7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홀(51)은 바스켓(5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리키지홀(72)도 슬리브(7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70)에는 부구(80)가 구비된다. 연결 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부구(80)가 연결된다. 부구(80)는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부양성이 있는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보일링 배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50)은 상단부에 플랜지부(52)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52)가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 안착홈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바디(20)가 보일링 배럴(10)의 위쪽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추출판(30)과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 사이에 실링부재가 개재된다. 메인 바디(20)가 상기 나사부들에 의해 보일링 배럴(10) 위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링부재는 메인 바디(20)의 하단부에 구비된 추출판(30)과 보일링 배럴(10) 상단부의 플랜지홈에 걸쳐진 바스켓(50)의 플랜지부(52)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바스켓(50)에는 스톱퍼가 구비된다. 스톱퍼는 바스켓(50)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70)가 가장 아래로 내려와 있을 때에 슬리브(70)의 하단부가 스톱퍼에 걸쳐져서 슬리브(70)의 하단부도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에서 위로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여 커피 원료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는 커피 추출을 위해 끓여줄 물이 채워져 있다. 물의 수위는 안전밸브(14)의 바로 아래 높이까지 올라와 있다.
상기 스퀴징 부재(60)가 바스켓(50)에서 제일 아래에 내려온 상태에서 스퀴징 부재(60)의 위쪽에 확보된 커피 원료 수용부에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원료를 채운다.
상기 커피 원료가 채워진 바스켓(50)을 보일링 배럴(10)의 바스켓 결합홀에 삽입한다. 그러면, 바스켓(50)이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내장되고, 상기 보일링 챔버에 채워진 물에 바스켓(50)의 일부가 잠겨진다. 바스켓(50)에 채워진 커피 원료의 일부가 물에 잠길 수도 있다.
상기 부구(80)는 물의 수면 위에 떠 있게 되어서 부구(80)에 의해 슬리브(70)가 부구(80)의 높이만큼 위쪽으로 올라가 있게 된다. 슬리브(70)가 물을 끊이기 전에 위로 올라가 있을 때에는 슬리브(70)의 리키지홀(72)은 바스켓(50)의 게이트홀(51)보다 위쪽에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보일링 배럴(10)을 가스불 등의 화염에 의해 가열하면 보일링 챔버에 채워진 물이 끓게 된다. 물이 끓으면 수증기가 발생하는데, 수증기가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에 구비된 바닥홀(62H)을 통해서 수증기가 빠져나가게 되지만, 바닥홀(62H)의 사이즈가 작고 하나 밖에 없어서 수증기에 의한 증기압이 스퀴징 부재(60)를 위로 밀어서 스퀴징 부재(60)와 메인 바디(20)의 추출판(30) 사이에서 커피 원료가 눌려지므로, 스퀴징 부재(60)가 커피 원료를 누르는 방식에 의해 커피 원료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고, 상기 추출된 액상의 커피는 메인 바디(20)에 세워져 있는 서플라이관(40)으로 들어와서 서플라이관(40)에 구비된 토출홀(44)을 통해 메인 바디(20) 내부의 추출 챔버로 토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슬리브(70)와 부구(8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인하여 커피 추출 과정에서 본 발명만의 특징이 나오게 된다.
상기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담긴 물이 끓으면서 수증기가 발생하면 스퀴징 부재(60)는 수증기에 의한 증기압에 의해 위로 상승하는 반면, 물이 끓으면서 증발하여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부구(80)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슬리브(70)도 하강하고, 슬리브(70)가 하강하다가 바스켓(50)의 게이트홀(51)에 슬리브(70)의 리키지홀(72)이 만나게 되면, 증기압이 상기 게이트홀(51)과 리키지홀(72)을 통해서 물의 수면 위로 빠지게 되면서 상기 바스켓(50)의 하단 개방부에서부터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에 작용하였던 증기압이 대기압과 같아지므로, 위로 눌려져 있던 스퀴징 부재(60)가 바스켓(50)에서 다시 아래로 내려온다.
다음, 계속해서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물이 계속 끓어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부구(80)도 낮아진 물의 수위만큼 내려가고, 부구(80)가 연결된 슬리브(70)도 아래로 더 내려가는데, 슬리브(70)가 더 아래로 내려가면 상기 바스켓(50)의 게이트홀(51)에서 슬리브(70)의 리키지홀(72)이 어긋나게 되어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다시 물이 증발하는 수증기의 증기압이 발생하여, 상기 증기압으로 아래로 내려와 있던 스퀴징 멤버를 다시 위로 밀어 올려서 커피 원액을 다시 눌러주므로, 커피 원액에서 다시 상기와 같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어 메인 바디(20) 내부의 추출 챔버로 액상의 추출 커피가 공급된다. 바스켓(50)의 게이트홀(51)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징 부재(60)에 의해 커피 원료(2)를 가압(스퀴징)하는 과정과 가압 해제 과정이 두 번 반복된다. 상기 게이트홀(51)은 바스켓(5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퀴징 부재(60)에 의해 커피 원료를 가압(스퀴징)하는 과정과 가압 해제 과정이 두 번 반복되는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6 참조.
한편, 상기 게이트홀(51)이 바스켓(50)에 상하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홀(51)이 바스켓(50)에 상하 두 개가 구비된 경우 스퀴징 부재(60)에 의해 커피 원료를 가압(스퀴징)하는 과정과 가압 해제 과정이 세 번 반복된다. 이하에서 상기 게이트홀(51)이 바스켓(50)에 상하 두 개가 구비된 경우에 커피 원료(2)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4 참조.
상기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담긴 물이 끓으면서 수증기가 발생하면 스퀴징 부재(60)는 수증기에 의한 증기압에 의해 위로 상승하는 반면, 물이 끓으면서 증발하여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부구(80)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슬리브(70)도 하강하고, 슬리브(70)가 하강하다가 바스켓(50)의 게이트홀(51)에 슬리브(70)의 리키지홀(72)이 만나게 되면, 증기압이 상기 게이트홀(51)과 리키지홀(72)을 통해서 물의 수면 위로 빠지게 되면서 상기 바스켓(50)의 하단 개방부에서부터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에 작용하였던 증기압이 대기압과 같아지므로, 위로 눌려져 있던 스퀴징 부재(60)가 바스켓(50)에서 다시 아래로 내려온다.
다음, 계속해서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물이 계속 끓어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부구(80)도 낮아진 물의 수위만큼 내려가고, 부구(80)가 연결된 슬리브(70)도 아래로 더 내려가는데, 슬리브(70)가 더 아래로 내려가면 상기 바스켓(50)의 게이트홀(51)에서 슬리브(70)의 리키지홀(72)이 어긋나게 되어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다시 물이 증발하는 수증기의 증기압이 발생하여, 상기 증기압으로 아래로 내려와 있던 스퀴징 멤버를 다시 위로 밀어 올려서 커피 원액을 다시 눌러주므로, 커피 원액에서 다시 상기와 같이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어 메인 바디(20) 내부의 추출 챔버로 액상의 추출 커피가 공급된다.
이어서,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물이 거의 증발되어 없어지면 부구(80)는 더 내려와서 슬리브(70)의 하단부가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에 닿게 되는데, 상기 슬리브(70)의 하단부가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에 닿을 때에는 바스켓(50)의 최하측에 있는 로워 게이트홀(51)에 슬리브(70)의 리키지홀(72)이 만나게 되어서 증기압이 로워 게이트홀(51)과 리키지홀(72)을 통해서 물의 수면 위로 빠지게 되면서 상기 바스켓(50)의 하단 개방부에서부터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에 작용하였던 증기압이 없어지고 대기압과 같아지므로, 상기 스퀴징 부재(60)가 바스켓(50)을 따라 다시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 바디(20)의 추출 챔버에 추출되어 있는 액상의 커피(모카 커피나 원두 커피 등)을 커피잔 등에 딸아 마시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기는 커피 추출 원료에서 커피를 적어도 2회 정도 눌렀다가 해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커피를 제대로 추출하게 되므로, 아직 커피가 추출될 수 있는 상태의 커피 추출 원료를 버리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으며, 커피의 추출이 제대로 되어서 커피의 풍미가 제대로 살아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구(80)와 슬리브(70)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 효율을 높이는 구조라서 커피 추출 효율을 높이는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퀴징 부재(60)가 가장 아래로 내려간 상태에서도 로워 연장편의 하단부가 바스켓(50) 내주면의 단턱부(54)에 걸려지면서 바닥부(62)는 바스켓(50)의 단턱부(54)에서 위로 떠 있게 되므로,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가 바스켓(50)의 단턱부(54)에 닿아서 수막에 의한 스틱 현상(들러붙는 현상)에 의해 스퀴징 부재(60)가 증기압으로 제대로 밀어 올려지지 못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스퀴징 부재(60)에 의해 커피 추출 원료를 눌러서 커피를 추출하는 기능에 있어서 보다 확실하다.
한편, 상기 게이트홀(51)은 바스켓(50)의 상하부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바스켓(50)의 하단부에 가장 인접한 게이트홀(51)은 로워 게이트홀(51)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로워 게이트홀(51) 위에서 상하로 순차적으로 구비된 게이트홀(51)이 세 개인 경우, 편의상 위에서부터 제1게이트홀(51) 제2게이트홀(51) 및 제3게이트홀(51)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로워 게이트홀(51)을 제외한 다른 게이트홀(51)이 제1게이트홀(51) 내지 제3게이트홀(51)과 같이 복수개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슬리브(70)의 리키지홀(72)이 제1게이트홀(51), 제2게이트홀(51), 제3게이트홀(51)에서 어긋나있다가 다시 만날 때마다 상기 스퀴징 부재(60)의 상승과 하강이 여러 번 반복된다. 로워 게이트홀(51)과 제1게이트홀(51) 내지 제3게이트홀(51)이 구비된 경우 스퀴징 부재(60)에 의해 커피 원료를 눌러서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네 번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게이트홀(51) 내지 제3게이트홀(51)과 같이 여러 개의 게이트홀(51)이 구비된 경우에는 커피 커피 원료를 더욱 많은 횟수로 스퀴징하여(눌러서) 커피를 추출하게 되므로, 커피 추출 효율이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바스켓(50)에는 중심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1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커트(160)는 바스켓(50)의 하단부에서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스커트(160)의 하단부는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에서 위쪽으로 떠 있어서, 상기 스커트(160)의 하단부와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스커트(160)의 하단부와 보일링 배럴(10)의 바닥부(62) 사이에 스페이스를 편의상 포우밍 스페이스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스커트(160)가 구비된 경우에는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서 물이 끓을 때 생기는 거품이 포우밍 스페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스퀴징 부재(60)의 홀과 추출판(30)의 통과홀(32)과 서플라이관(40)의 토출홀(44)을 통해서 토출되면서 추출 액상 커피에 거품이 생기게 하므로, 추출 커피의 맛이 더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구(80)는 슬리브(7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부구(80)가 슬리브(70)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구(80)가 슬리브(7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된 것이다. 부구(8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대칭된 위치에 구비된 경우 균형있게 슬리브(70)가 승강되므로, 커피 추출을 위한 슬리브(70)의 승강 작동시 보다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에는 힌지부(154)에 의해 회동 가능한 조절판(150)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판(150)에는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에 형성된 바닥홀(62H)과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조절홀(150H)이 구비된다. 스퀴징 부재(60)의 바닥홀(62H)은 원주형으로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퀴징 부재(60) 바닥부(62)에는 조절판(150)의 양쪽 측단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스톱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판(150)의 조절홀(150H)이 스퀴징 부재(60)의 바닥홀(62H)과 완전히 어긋나서 폐쇄되었을 때에 조절판(150)의 한쪽 측단부가 접촉되는 스톱퍼는 클로즈 스톱퍼라 할 수 있고, 상기 조절판(150)의 조절홀(150H)이 스퀴징 부재(60)의 바닥홀(62H)과 완전히 만나서 개방되었을 때에 조절판(150)의 다른 쪽 측단부가 접촉되는 스톱퍼는 오픈 스톱퍼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는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를 아래 방향 또는 위쪽 방향으로 눌러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조절판(150)에는 레버돌편(152)이 더 구비된다. 레버돌편(152)은 조절판(150)을 힌지부(154)를 중심으로 돌리기 위해 손으로 잡는 돌기이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150)을 돌려서 조절홀(150H)과 스퀴징 부재(60)의 바닥홀(62H) 사이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면, 상기 서플라이관(40)의 토출홀(44)을 통해서 공급되는 추출 액상 커피의 농도(진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추출 커피의 맛을 좀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절판(150)이 클로즈 스톱퍼와 오픈 스톱퍼에 의해 과도하게 스퀴징 부재(60)의 바닥홀(62H)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절판(150)에 의해 추출 커피의 맛을 좀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다.
또한, 상기 스퀴징 부재(60)의 바닥부(62)를 눌러주는 방식에 의해 클로즈 스톱퍼와 오픈 스톱퍼를 형성하므로, 제작시 보다 간단하고 간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조잘판에 구비된 레버돌편(152)을 손으로 잡고 조절판(150)을 힌지부(154)를 기준으로 돌릴 수 있으므로, 조절판(150)의 조작이 보다 편리하다.
한편, 상기 슬리브(70)는 개방부에 의해 양단부를 구비한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직경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70)의 직경은 다이어미터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이어미터 조절수단은 슬리브(70)의 한쪽 단부에 기단부가 고정되며 길이 방향(슬리브(7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홀 또는 복수개의 픽싱 조절홀(150H)이 구비된 다이어미터편과, 상기 슬리브(70)의 다른 쪽 단부에 인접 배치되어 장홀 또는 픽싱 조절홀(150H)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다이어미터편의 선단부를 슬리브(70)의 다른 쪽 단부측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70)의 직경을 조절하게 되면, 슬리브(70)와 바스켓(50) 사이의 밀착도와 이격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증기압에 의해 바스켓(50) 내부의 스퀴징 부재(60)를 밀어 올릴 때에 슬리브(70)와 바스켓(50) 사이로 증기압이 세어나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슬리브(70)가 바스켓(50)을 따라 승강 작동되는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보일링 배럴 12. 걸침부
14. 안전밸브 20. 메인 바디
22. 뚜껑 24. 손잡이
30. 추출판 32. 통과홀
40. 서플라이관 42. 확장판
44. 토출홀 50. 바스켓
51. 게이트홀 52. 플랜지부
54. 단턱부 56. 스톱퍼
60. 스퀴징 부재 62. 바닥부
62H. 바닥홀 64. 상면부
64H. 상부홀 70. 슬리브
72. 리키지홀 80. 부구
150. 조절판 150H. 조절홀
152. 레버돌편 154. 힌지부
156. 스톱퍼 160. 스커트

Claims (6)

  1. 보일링 배럴(10);
    상기 보일링 배럴(10)에 결합된 메인 바디(20);
    상하면으로 연통된 통과홀(32)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 바디(20)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20)의 내부에 추출 챔버를 형성하는 추출판(30);
    상기 추출판(3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20)의 상기 추출 챔버에 내장되며 상기 추출판(30)의 상기 통과홀(32)과 상기 메인 바디(20)의 상기 추출 챔버에 연통된 토출홀(44)을 구비한 서플라이관(40);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게이트홀(51)을 구비하며 상기 보일링 배럴(10) 내부의 보일링 챔버에 결합된 바스켓(50);
    바닥부(62)에서 상면부(64)까지 연통된 홀을 구비하여 상기 바스켓(50) 내부의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스퀴징 부재(60);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된 리키지홀(72)을 구비하여 상기 바스켓(50)의 외주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키지홀(72)은 상기 바스켓(50)의 상기 게이트홀(51)과 만나는 슬리브(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70)에는 부구(80)가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50)에는 게이트홀(51)이 구비되고, 상기 게이트홀(51)은 바스켓(50)의 상하부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슬리브(7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슬리브(70)의 상기 리키지홀(72)이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홀(51)과 어긋나있다가 다시 만날 때마다 상기 스퀴징 부재(60)의 상승과 하강이 여러 번 반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50)의 상기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스퀴징 부재(60)는 바닥부(62)와 상면부(64) 사이에 부양 공간부가 확보되고, 상기 홀은 상기 바닥부(62)의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홀(62H)과, 상기 상면부(64)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홀(64H)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50)의 내주면에는 단턱부(54)가 구비되고, 상기 스퀴징 부재(60)에는 상기 바닥부(62)에서 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단턱부(54)에 걸려지는 로워 연장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44)은 상기 서플라이관(4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기 보일링 배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50)은 상단부에 플랜지부(52)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52)가 상기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안착홈에 결합되고, 상기 추출판(30)과 상기 보일링 배럴(10)의 상단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기.
KR1020170066597A 2017-05-30 2017-05-30 커피 추출기 KR10188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597A KR101882752B1 (ko) 2017-05-30 2017-05-30 커피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597A KR101882752B1 (ko) 2017-05-30 2017-05-30 커피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752B1 true KR101882752B1 (ko) 2018-07-27

Family

ID=6307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597A KR101882752B1 (ko) 2017-05-30 2017-05-30 커피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752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0655A (en) * 1938-03-01 1939-11-21 Abbate Louis Michael Electric siphon coffee maker
JPS50154285U (ko) * 1974-06-05 1975-12-20
JPH02299623A (ja) * 1989-05-16 1990-12-11 Sanyo Electric Co Ltd サイフォン式コーヒー液抽出装置
JPH07148071A (ja) * 1993-11-26 1995-06-13 Toshiba Home Technol Corp サイフォン式コーヒー抽出器
KR200141033Y1 (ko) * 1996-10-23 1999-03-20 윤광렬 사이펀식 차추출기
JP2003010048A (ja) * 2001-07-02 2003-01-14 Oshima Tetsuo サイフォンコーヒー抽出器具
US6564697B2 (en) * 2000-11-30 2003-05-20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US6823771B2 (en) * 2002-10-08 2004-11-30 Pietro Piazza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KR20120028775A (ko) 2010-09-15 2012-03-23 이상훈 모카포트 원리를 이용한 캡슐형 커피메이커
KR101262177B1 (ko) 2012-05-18 2013-05-14 이상래 커피 추출기
KR20140099856A (ko) * 2014-07-31 2014-08-13 홍기원 취수시스템
KR20160132648A (ko) 2015-05-11 2016-11-21 김경숙 모카포트용 커피홀더
KR101684178B1 (ko) * 2015-10-08 2016-12-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펀을 이용한 액체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0655A (en) * 1938-03-01 1939-11-21 Abbate Louis Michael Electric siphon coffee maker
JPS50154285U (ko) * 1974-06-05 1975-12-20
JPH02299623A (ja) * 1989-05-16 1990-12-11 Sanyo Electric Co Ltd サイフォン式コーヒー液抽出装置
JPH07148071A (ja) * 1993-11-26 1995-06-13 Toshiba Home Technol Corp サイフォン式コーヒー抽出器
KR200141033Y1 (ko) * 1996-10-23 1999-03-20 윤광렬 사이펀식 차추출기
US6564697B2 (en) * 2000-11-30 2003-05-20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010048A (ja) * 2001-07-02 2003-01-14 Oshima Tetsuo サイフォンコーヒー抽出器具
US6823771B2 (en) * 2002-10-08 2004-11-30 Pietro Piazza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KR20120028775A (ko) 2010-09-15 2012-03-23 이상훈 모카포트 원리를 이용한 캡슐형 커피메이커
KR101262177B1 (ko) 2012-05-18 2013-05-14 이상래 커피 추출기
KR20140099856A (ko) * 2014-07-31 2014-08-13 홍기원 취수시스템
KR20160132648A (ko) 2015-05-11 2016-11-21 김경숙 모카포트용 커피홀더
KR101684178B1 (ko) * 2015-10-08 2016-12-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펀을 이용한 액체 배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375A (en) Automatic coffee pot
JP5368563B2 (ja) 容器に挿入された挿入部を有する飲料メーカー
US20070272086A1 (en) Moka Coffee Pot
US6823771B2 (en)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US2562433A (en) Coffee pot
US9259116B2 (en) Stove top device for making espresso coffee
WO2021032190A1 (zh) 料杯及饮料酿造机
JP2009219847A (ja) 上昇管を有するコーヒーメーカー
KR102393821B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KR101882752B1 (ko) 커피 추출기
US2313112A (en) Beverage making device
US2346924A (en) Coffee maker
KR101910638B1 (ko) 기능성 커피 추출기
CN109310228B (zh) 饮料冲泡器
KR101983339B1 (ko)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CN208259563U (zh) 一种茶叶萃取壶
US2467817A (en) Coffee-making device
KR19980021753U (ko) 사이펀식 차(茶)추출기
US2577200A (en) 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makers
US2844088A (en) Coffee percolator
US1963012A (en) Percolating unit
US2926595A (en) Coffee urn or the like
US3396654A (en) Coffee maker
US3334573A (en) Perco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