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998B1 -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998B1
KR101632998B1 KR1020140181376A KR20140181376A KR101632998B1 KR 101632998 B1 KR101632998 B1 KR 101632998B1 KR 1020140181376 A KR1020140181376 A KR 1020140181376A KR 20140181376 A KR20140181376 A KR 20140181376A KR 101632998 B1 KR101632998 B1 KR 101632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ap
pin
main body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남균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뚜껑의 상면에 스팀캡이 구비된 경우에도 내솥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본체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 스팀캡;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승강레버; 상기 본체뚜껑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시 상기 승강레버에 의해 상승하는 제1핀; 상기 제1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핀과 함께 상승하되, 상승시 상단부가 상기 무게추에 접촉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스팀캡의 저면을 관통하는 제2핀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Remaining pressure removing apparatus of 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압력조리기의 뚜껑 개방 시에 내솥 내부에 잔류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압력조리기는 내솥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내솥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인 전기압력조리기는 조리될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솥, 상기 내솥을 내부에 수납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는 본체뚜껑, 상기 본체뚜껑의 저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덮는 내솥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내솥 내부는 증기로 인해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되므로,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장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증기배출밸브의 끝단에 설치되어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추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취사 진행중 혹은 완료 후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로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내솥 내부의 조리물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증기 및 열로 인해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상기 내솥의 내부에 잔류하거나 새로이 발생된 증기 등으로 인해 상기 내솥뚜껑을 개방함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내솥 내의 증기가 분출되어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거나, 상기 내솥 내의 압력으로 인해 내솥뚜껑이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8271호의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내솥의 개방을 위해 잠금손잡이를 돌리면 잠금손잡이에 연결된 잠금링이 회전하고, 상기 잠금링의 회전에 따라 돌기가 회전하면서 경사체를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며, 상기 회동하는 경사체에 의해 상승된 레버가 무게추(개폐추)를 상승시킴으로써 증기배출밸브(배기관)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는 증기배출밸브와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대기중으로 직접 배출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증기배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탱크의 냉각수에서 응축시키는 전기압력조리기의 경우 증기배출밸브와 냉각수탱크 사이를 증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연결해야 하므로 상기한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2914호의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밸브와 솔레노이드밸브에서 배출된 밥물이 전기압력조리기 본체의 외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뚜껑의 상면에 스팀캡(스팀커버)이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한 종래의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뚜껑의 상면에 스팀캡이 구비된 경우에도 내솥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본체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 스팀캡;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승강레버; 상기 본체뚜껑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시 상기 승강레버에 의해 상승하는 제1핀; 상기 제1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핀과 함께 상승하되, 상승시 상단부가 상기 무게추에 접촉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스팀캡의 저면을 관통하는 제2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뚜껑의 폐쇄시 상기 제1핀과 제2핀은 각각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하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캡의 저면에는 상향 돌출된 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핀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2핀삽입구멍에 삽입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캡에는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핀의 하강시 상기 제2핀과 제2핀삽입구멍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제2핀패킹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핀에는 제2핀몸통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연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핀의 상승시 상기 무게추가 구비된 스팀캡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팀캡은,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배출밸브와 제2핀이 관통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증기유로는, 상기 증기배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1증기유로와, 상기 본체뚜껑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2증기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증기유로와 제2증기유로는 서로 격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팀캡은, 상기 무게추의 상부가 대기에 연통하도록 제1대기개방홀이 형성된 상부캡과, 상기 증기배출밸브와 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핀이 관통하고 상기 상부캡과의 사이 공간에 상기 증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캡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증기유로와 제2증기유로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증기유로가 형성된 스팀캡이 구비된 경우에도 2개의 핀을 이용하여 무게추를 개폐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본체뚜껑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내솥에서 배출된 증기는 스팀캡 내부의 증기유로를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증기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팀캡 내부에는 증기배출밸브와 솔레노이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격리된 증기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솔레노이브밸브측으로 증기 및 냉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밥물이 스팀캡의 내부에 고이도록 하고 본체의 외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압력조리기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팀캡은 스팀캡안착홈이 형성된 본체뚜껑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본체뚜껑의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로 분리 가능한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팀캡 내부의 청소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스팀캡과 본체뚜껑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스팀캡과 본체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스팀캡의 상부캡과 하부캡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핀과 고정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제1핀과 제2핀 및 무게추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제1핀과 제2핀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의 스팀캡에서 상부캡과 하부캡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스팀캡과 본체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제1핀과 제2핀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증기응축장치는, 전기압력조리기(1)의 본체(10)에 구비된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본체뚜껑(100)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120; 도2)와 솔레노이드밸브(130; 도 2)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유동하도록 증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스팀캡(200), 상기 스팀캡(200)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증기가 유동하는 연결튜브(300), 상기 연결튜브(300)를 통해 이송되어 온 증기를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냉각수탱크(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뚜껑(100)에는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가 관통결합되는데, 상기 증기배출밸브(120)는 상부에 구비된 무게추(110)가 증기의 압력에 따라 증기배출밸브(120)의 끝단을 개폐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내솥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는 취사 완료 후 전기적 신호에 의해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배출시킨다.
상기 연결튜브(300)는, 상기 증기배출밸브(120)와 무게추(110)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탱크(400)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튜브연결부(214a;도 2)에 연결되는 제1연결튜브(301)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냉각수탱크(400)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튜브연결부(214b;도 2)에 연결되는 제2연결튜브(302)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스팀캡과 본체뚜껑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스팀캡과 본체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스팀캡의 상부캡과 하부캡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핀과 고정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제1핀과 제2핀 및 무게추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제1핀과 제2핀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잔류압력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잔류압력제거장치는, 본체뚜껑(100)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120)를 개폐하는 무게추(110), 상기 무게추(110)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스팀캡(200), 상기 본체뚜껑(100)의 개방 및 폐쇄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승강레버(155), 상기 본체뚜껑(100)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승강레버(155; 도 6)에 의해 승강하는 제1핀(161), 상기 제1핀(161)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핀(161)과 함께 승강하되 상승시에는 그 상단부가 상기 무게추(110)에 접촉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120)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스팀캡(200)의 저면을 관통하여 스팀캡(20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제2핀(26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뚜껑(100)은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가 결합되는 상부뚜껑(100a)과 상기 상부뚜껑(100a)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뚜껑(10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뚜껑(100a)의 상면에는 상기 스팀캡(200)이 안착되도록 함몰된 형상의 스팀캡안착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팀캡안착홈(101)에는, 상기 증기배출밸브(120)가 삽입되는 제1증기배출밸브삽입구멍(104)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가 삽입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삽입구멍(105)과, 상기 제1핀(161)이 삽입되는 제1핀삽입구멍(107)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핀(161)은, 상승시 상기 제2핀(261)의 하단에 접촉하는 제1핀머리부(161a), 상기 제1핀머리부(16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핀몸통부(161b), 상기 제1핀몸통부(161b)의 하부를 관통하는 고정핀삽입구멍(161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삽입구멍(161c)에는 상기 제1핀몸통부(161b)의 외측에 삽입되는 제1스프링(162)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핀(163)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스프링(162)은 상단과 하단이 상부뚜껑(100a) 내측과 고정핀(163)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제1핀(161)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제1스프링(162)이 고정핀(163)을 매개로 제1핀(161)의 하단에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핀(161)의 하단에 제2핀(261)의 스프링지지부(261d)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제1스프링(162)이 제1핀(161)의 하단에 직접 지지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핀몸통부(161b)와 제1핀삽입구멍(107) 사이에는 패킹(미도시)이 개재되어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레버(155)는 사용자가 본체뚜껑(100)을 개폐하는 경우 본체뚜껑(100)의 개폐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제1핀(161)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승강레버(155)의 위치가 가변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8271호의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내솥의 개방을 위해 잠금손잡이(20)를 돌리면 잠금손잡이에 연결된 잠금링이 회전하고, 상기 잠금링의 회전에 따라 돌기가 회전하면서 경사체(본원발명의 승강레버(155)가 대응되는 구성임)를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며, 상기 회동하는 경사체에 의해 레버(본원발명의 제1핀(161)이 대응되는 구성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제1핀(161)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68271호에 개시된 돌기, 경사체, 회동핀의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스팀캡(200)의 내부에 형성된 증기유로격벽(213)의 내측에는 하부캡(21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핀지지부(21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지지부(211c)의 상부에는 상기 제2핀(261)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구멍(211d)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2핀(261)은, 상승시 상기 무게추(11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2핀머리부(261a), 상기 제2핀머리부(261a)의 하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61b), 상기 오목부(261b)보다 큰 직경으로 하측으로 연장된 제2핀몸통부(261c), 상기 제2핀몸통부(261c)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핀몸통부(261c)에 삽입되는 제2스프링(262)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261d), 상기 제2핀몸통부(261c)의 중앙부를 절개하여 형성됨으로써 제2핀(261)의 상승시 제1증기유로(201)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부(261e)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목부(261b)에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핀패킹(263)의 내측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2핀패킹(263)의 외측은 상기 제2핀(261)의 하강시 상기 핀지지부(211c)의 상부에 접촉됨으로써 제1증기유로(201)가 핀지지부(211c)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외부에 대하여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 제2핀패킹(263)은 오목부(261b)에 삽입됨으로써 오목부(261b)와 제2핀몸통부(261c)의 경계인 단턱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연통부(261e)는 상기 제2핀(261)의 상승시 그 상단의 위치가 핀지지부(211c)의 상단보다 더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통부(261e)를 통해 상기 제1증기유로(201)가 외부와 연통한다.
상기 제2스프링(262)은 상단과 하단이 핀지지부(211c) 내측과 스프링지지부(261d)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제2핀(261)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핀(261)은 하부캡(21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핀지지부(211c)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어, 핀(161,261)의 상하 작동거리를 최소화시켜 핀(161,261)의 승강 거리가 길어짐으로 인해 무게추(110)의 개폐동작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스팀캡(200)은, 상기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가 저면을 관통하는 하부캡(210)과, 상기 하부캡(210)과의 사이에 증기유로(201,202)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캡(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캡(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캡(210)은, 상기 스팀캡안착홈(101)에 안착되는 몸체바닥부(211), 상기 몸체바닥부(21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측부몸체(212), 상기 측부몸체(212)의 내측에서 몸체바닥부(211)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상부캡(220)과의 사이에 격리된 증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증기유로격벽(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바닥부(211)에는, 상기 제1증기배출밸브삽입구멍(10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120)가 삽입되는 제2증기배출밸브삽입구멍(211a)과,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삽입구멍(10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가 삽입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삽입구멍(21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몸체(2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캡(220)의 측부몸체(222)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228)에 맞물리도록 나사산(21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캡(220)을 회전시키면 하부캡(210)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캡(220)과 하부캡(210)이 나사산(218,228)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 방식의 결합 등 다양한 결합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증기 배출 후 스팀캡(200) 내부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팀캡(200) 전체를 스팀캡안착홈(101)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부캡(220)을 회전시켜 하부캡(210)으로부터 분리하면 스팀캡(200)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상기 제1튜브연결부(214a)는 제1연결튜브(301)와 측부몸체(212)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부몸체(212)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통로(215)와 상기 증기유로격벽(213)의 내측공간에 순차 연결되고, 상기 제2튜브연결부(214b)는 제2연결튜브(302)와 측부몸체(212)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부몸체(212)를 관통하여 상기 측부몸체(212)와 증기유로격벽(213) 사이의 공간에 연결된다.
상기 증기유로격벽(213)은 상기 증기배출밸브(120)와 무게추(110)의 주위를 둘러싸 측부몸체(212)와 동심구조를 이루도록 몸체바닥부(211)로부터 상향돌출되어, 상기 증기유로격벽(213)과 상부캡(220)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유로격벽(213)의 내측공간은 상기 증기배출밸브(12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1증기유로(201)가 되고, 상기 증기유로격벽(213)과 측부몸체(212) 및 상부캡(220)에 의해 둘러싸인 증기유로격벽(213)의 외측공간은 상기 증기유로격벽(213)의 외측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밸브(13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2증기유로(202)가 된다.
이와 같이 제1증기유로(201)와 제2증기유로(202)는 동심구조를 이루고, 제2증기유로(202)에 의해 둘러싸인 제1증기유로(201)는 제2증기유로(202)에 대해 격리된 연결통로(215)에 의해 제1튜브연결부(214a)에 연결되고, 제2증기유로(202)는 제2튜브연결부(214b)에 연결됨으로써, 2개의 증기유로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상기 상부캡(220)의 저면에는, 상기 증기유로격벽(213)에 대응하는 환상(環狀)의 내측패킹삽입홈(224)과, 상기 내측패킹삽입홈(224)의 외측 둘레에 상기 측부몸체(212)에 대응하는 환상(環狀)의 외측패킹삽입홈(2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패킹삽입홈(224)과 외측패킹삽입홈(226)에는 환상(環狀)의 제1증기유로패킹(241)과 제2증기유로패킹(242)이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캡(210)과 상부캡(220)을 결합하면, 증기유로격벽(213)의 상단은 제1증기유로패킹(241)에 접촉되고, 상기 측부몸체(212)의 상단은 상기 제2증기유로패킹(242)에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증기유로(201)와 제2증기유로(202)는 격리된 공간이 되고, 제2증기유로(202)는 외부에 대하여 격리된 공간이 되므로, 상기 증기배출밸브(120)에서 배출된 증기는 제1증기유로(201)와 연결통로(215)와 제1튜브연결부(214a) 및 제1연결튜브(301)를 거쳐 냉각수탱크(400)로 유입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는 제2증기유로(202)와 제2튜브연결부(214b) 및 제2연결튜브(302)를 거쳐 냉각수탱크(40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증기배출밸브(120)에서 배출된 증기와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는 독립된 증기유로를 통해 냉각수탱크(400)로 유입되므로, 냉각수탱크(400) 내부에서 압력 변동이 발생하거나 증기배출밸브(120)에서 증기가 배출될 때 냉각수탱크(400) 내부의 냉각수 또는 증기배출밸브(120)에서 배출된 증기가 솔레노이드밸브(130) 측으로 역류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130)가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가 2개의 연결튜브(301,302)를 통해 냉각수탱크(400)로 배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2증기유로(202)를 통해 솔레노이드밸브(130) 방향으로 증기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증기유로(201)와 제2증기유로(202)가 합쳐진 1개의 연결튜브가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21,122,131,132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잔류압력제거장치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전기압력조리기(1)의 내솥에서 발생하여 증기배출밸브(120)와 무게추(110)를 통해 배출된 증기는 제1증기유로(201)와 연결통로(215)와 제1튜브연결부(214a) 및 제1연결튜브(301)를 통해 냉각수탱크(400) 내부로 배출되고, 솔레노이드밸브(130)를 통해 배출된 증기는 제2증기유로(202)와 제2튜브연결부(214b) 및 제2연결튜브(302)를 통해 냉각수탱크(40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내솥에서 배출된 증기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제1증기유로(201)와 제2증기유로(202)를 통해 배출되므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뜨거운 증기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되면, 전기압력조리기(1)의 본체뚜껑(100)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잠금손잡이(20)를 회전시키면, 승강레버(155)가 제1핀(161)의 하단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핀(161)이 상승하고, 상승된 제1핀(161)에 의해 제2핀(261)이 상승하면서 무게추(110)의 저면 일측을 밀어 올림으로써 증기배출밸브(120)를 개방하여 내솥 내부의 증기를 제1증기유로(201)로 배출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게 된다.
이 경우 제2핀(261)이 상승하게 되면 연통부(261e)에 의해 제1증기유로(201)와 외부가 연통하게 되므로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 제거가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손잡이(20)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레버(155)의 제1핀(161)에 대한 상방향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제1스프링(16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핀(161)은 하강하고, 상기 제1핀(161)의 하강에 따라 제2스프링(26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핀(261)이 하강하면 상기 무게추(110)의 저면 일측에 대한 상방향 가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무게추(110)가 증기배출밸브(120)의 상단 개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무게추(110)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태에서 유동하도록 스팀캡(200)이 구비된 경우에도 제1핀(161)과 제2핀(261)을 이용하여 무게추(110)를 개폐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본체뚜껑(100)을 개폐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의 스팀캡에서 상부캡과 하부캡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스팀캡과 본체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압력조리기에서 제1핀과 제2핀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는 스팀캡(200-1) 내부의 증기유로를 유동한 후 대기로 배출되고, 증기배출밸브(120)에서 배출된 증기는 그대로 대기로 배출되며,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밥물 등이 스팀캡(200-1) 내부 공간에 고이도록 되어 있고, 증기의 응축에 관한 구성으로서 제1,2튜브연결부(214a,214b)와 연결튜브(300) 및 냉각수탱크(400)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만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부캡(220-1)에는 제1증기유로(201-1)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제1대기개방홀(221-1)이 내측패킹삽입홈(224)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패킹삽입홀(224)의 외측에는 제2증기유로(202-1)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제2대기개방홀(2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증기유로(201-1)와 제2증기유로(202-1)는 증기유로격벽(213-1)에 의해 격리됨과 동시에 증기유로격벽(213-1)에 형성된 연통홀(213-1a)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캡(210-1)에는 몸체바닥부(211-1)에 제2증기배출밸브삽입구멍(211a)과 제2솔레노이드밸브삽입구멍(211b)과 핀지지부(211c)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1실시예의 제1,제2튜브연결부(214a,214b)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몸체바닥부(211-1)와 측부몸체(212-1)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202-1)에 밥물이 고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리가 완료된 경우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는 과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압력조리기(1)의 본체뚜껑(100)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잠금손잡이(20)를 회전시키면, 승강레버(155)가 제1핀(161)의 하단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핀(161)이 상승하고, 상승된 제1핀(161)에 의해 제2핀(261)이 상승하면서 무게추(110)의 저면 일측을 밀어 올림으로써 증기배출밸브(120)를 개방하여 내솥 내부의 증기를 제1증기유로(201) 및 제1대기개방홀(221-1)을 통해 대기로 배출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증기배출밸브(120)에서 배출된 증기는 제1대기개방홀(221-1)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고,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증기는 제2증기유로(202-1)를 유동한 후 제2대기개방홀(223-1)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며, 증기배출밸브(120)와 솔레노이드밸브(130)에서 배출된 밥물은 스팀캡(200-1) 내부에 고이도록 되어 있어 밥물이 본체(10) 외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어 전기압력조리기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1증기유로(201-1)와 제2증기유로(202-1) 중 어느 한쪽에 밥물이 많이 고이는 경우 연통홀(213-1a)을 통해 다른 쪽에 분산되므로 밥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291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단테나 증기차단리브와 같이 본체뚜껑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 필요없으므로 본체뚜껑의 형상이 간단해지고, 증기배출밸브 하부와 차단테 사이에 밥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청소가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밥물이 스팀캡(200-1)의 내부에 고이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291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밥물이 배수유로부를 거쳐 물받이로 유입되는 구조의 경우에도 하부캡(210-1)에 상기 배수유로부로 연통하는 배수연통홀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스팀캡(200-1)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증기유로격벽(213-1)에 연통홀(213-1a)이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연통홀(213-1a)이 없이 제1증기유로(201-1)와 제2증기유로(202-1)가 연통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뚜껑의 상부에 스팀캡이 구비된 경우에도 내솥 내부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본체뚜껑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내솥에서 배출된 증기는 스팀캡 내부의 증기유로를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증기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팀캡은 스팀캡안착홈이 형성된 본체뚜껑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본체뚜껑의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로 분리 가능한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팀캡 내부의 청소도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전기압력조리기 10 : 본체
100 : 본체뚜껑 101 : 스팀캡안착홈
104 : 제1증기배출밸브삽입구멍 105 : 제1솔레노이드밸브삽입구멍
107 : 제1핀삽입구멍 110 : 무게추
120 : 증기배출밸브 130 : 솔레노이드밸브
155 : 승하강레버 161 : 제1핀
161a : 제1핀머리부 161b : 제1핀몸통부
161c : 고정핀삽입구멍 162 : 제1스프링
163 : 고정핀 200,200-1 : 스팀캡
201,201-1 : 제1증기유로 202,202-1 : 제2증기유로
210,210-1 : 하부캡 211,211-1 : 몸체바닥부
212,212-1 : 측부몸체 213,213-1 : 증기유로격벽
213-1a : 연통홀 214 : 튜브연결부
215 : 연결통로 218 : 나사산
220,220-1 : 상부캡 221-1 : 제1대기개방홀
223-1 : 제2대기개방홀 228 : 나사산
241 : 제1증기유로패킹 242 : 제2증기유로패킹
261 : 제2핀 261a : 제2핀머리부
261b : 오목부 261c : 제2핀몸통부
261d : 스프링지지부 261e : 연통부
262 : 제2스프링 300 : 연결튜브
301 : 제1연결튜브 302 : 제2연결튜브
400 : 냉각수탱크

Claims (15)

  1. 전기압력조리기의 본체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 스팀캡;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승강레버;
    상기 본체뚜껑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시 상기 승강레버에 의해 상승하는 제1핀;
    상기 제1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핀과 함께 상승하되, 상승시 상단부가 상기 무게추에 접촉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스팀캡의 저면을 관통하는 제2핀;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팀캡에는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핀의 하강시 상기 제2핀과 제2핀삽입구멍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제2핀패킹이 구비된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뚜껑의 폐쇄시 상기 제1핀과 제2핀은 각각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본체뚜껑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1핀의 하단부에 직접 지지되거나 상기 제1핀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핀을 매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스팀캡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2핀의 하단부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5. 전기압력조리기의 본체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 스팀캡;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승강레버;
    상기 본체뚜껑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시 상기 승강레버에 의해 상승하는 제1핀;
    상기 제1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핀과 함께 상승하되, 상승시 상단부가 상기 무게추에 접촉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스팀캡의 저면을 관통하는 제2핀;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캡의 저면에는 상향 돌출된 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핀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2핀삽입구멍에 삽입된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6. 삭제
  7. 전기압력조리기의 본체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 스팀캡;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승강레버;
    상기 본체뚜껑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시 상기 승강레버에 의해 상승하는 제1핀;
    상기 제1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핀과 함께 상승하되, 상승시 상단부가 상기 무게추에 접촉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스팀캡의 저면을 관통하는 제2핀;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핀에는 제2핀몸통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연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핀의 상승시 상기 무게추가 구비된 스팀캡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캡은,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배출밸브와 제2핀이 관통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상기 본체뚜껑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스팀캡안착홈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유로는, 상기 증기배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1증기유로와, 상기 본체뚜껑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2증기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증기유로와 제2증기유로는 서로 격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캡은, 상부캡과, 상기 증기배출밸브와 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핀이 관통하고 상기 상부캡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캡의 몸체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상부캡의 저면에 맞닿는 증기유로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상기 제1증기유로가 되고, 상기 증기유로격벽과 상기 증기유로격벽의 외측을 둘러싸는 상기 하부캡의 측부몸체와의 사이 공간이 상기 제2증기유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기유로와 제2증기유로를 격리하는 격벽에는 제1증기유로와 제2증기유로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13. 전기압력조리기의 본체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밸브를 개폐하는 무게추;
    상기 무게추를 통해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증기유로가 형성된 스팀캡;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연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승강레버;
    상기 본체뚜껑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뚜껑의 개방시 상기 승강레버에 의해 상승하는 제1핀;
    상기 제1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핀과 함께 상승하되, 상승시 상단부가 상기 무게추에 접촉되어 상기 증기배출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스팀캡의 저면을 관통하는 제2핀;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캡은, 상기 무게추의 상부가 대기에 연통하도록 제1대기개방홀이 형성된 상부캡과, 상기 증기배출밸브와 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핀이 관통하고 상기 상부캡과의 사이 공간에 상기 증기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캡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진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유로는, 상기 증기배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1증기유로와, 상기 본체뚜껑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에서 배출된 증기가 유동하는 제2증기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캡의 몸체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상부캡의 저면에 맞닿는 증기유로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상기 제1증기유로가 되고, 상기 증기유로격벽과 상기 증기유로격벽의 외측을 둘러싸는 상기 하부캡의 측부몸체와의 사이 공간이 상기 제2증기유로가 되며;
    상기 제2증기유로의 상부를 덮는 상부캡에는 상기 제2증기유로가 대기에 연통하도록 제2대기개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기유로와 제2증기유로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1020140181376A 2014-12-16 2014-12-16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101632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76A KR101632998B1 (ko) 2014-12-16 2014-12-16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76A KR101632998B1 (ko) 2014-12-16 2014-12-16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998B1 true KR101632998B1 (ko) 2016-06-23

Family

ID=5635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376A KR101632998B1 (ko) 2014-12-16 2014-12-16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9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999A (zh) * 2018-11-08 2019-03-01 王辉 一种蒸汽压力拨动食材均匀受热的真空油炸锅
KR20190043950A (ko) * 2017-10-19 2019-04-29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CN113208399A (zh) * 2021-04-16 2021-08-06 广西善元食品有限公司 一种全自动高效节能蒸煮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271Y1 (ko) * 2004-09-03 2004-11-1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200417390Y1 (ko) * 2006-02-24 2006-05-26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
KR20090019332A (ko) * 2007-08-20 2009-02-25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90068492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271Y1 (ko) * 2004-09-03 2004-11-18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200417390Y1 (ko) * 2006-02-24 2006-05-26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
KR20090019332A (ko) * 2007-08-20 2009-02-25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90068492A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950A (ko) * 2017-10-19 2019-04-29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102345948B1 (ko) 2017-10-19 2021-12-3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및 그의 잔류압력제거장치
CN109393999A (zh) * 2018-11-08 2019-03-01 王辉 一种蒸汽压力拨动食材均匀受热的真空油炸锅
CN113208399A (zh) * 2021-04-16 2021-08-06 广西善元食品有限公司 一种全自动高效节能蒸煮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273B1 (ko) 조리 기구 손잡이 조립체
KR101632998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JP5845255B2 (ja) 圧力鍋の蓋
KR10179211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200452037Y1 (ko) 내부압력 해제기능을 갖춘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CA2804703C (en) Pressure release valve
EP1922960B1 (fr) Couvercle à dégagement de vapeur contrôlé, et dispositif de cuisson, notamment appareil électroménager de préparation culinaire chauffant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JP2009533117A (ja) 減圧制御機構を備えた圧力調理機器
JP2016531721A (ja) スチーム調理器
KR100845585B1 (ko) 조리용기 뚜껑
KR101246679B1 (ko) 압력조리기구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KR101433097B1 (ko) 조리용 진공냄비
KR101240668B1 (ko) 저진공 조리용기의 밀폐장치
WO2017100983A1 (zh) 双层蒸笼及蒸笼机
KR100995572B1 (ko) 웰빙 찜즙기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KR200383124Y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KR20130113141A (ko) 진공 가능한 냄비
KR200419066Y1 (ko) 조리용기용 넘침방지 뚜껑
KR20120042779A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가마솥
CN211066219U (zh) 一种多蒸室烹饪器皿、蒸制器具、及蒸箱
KR200476728Y1 (ko) 진공 냄비
KR102338728B1 (ko) 진공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