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495B1 - 압력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압력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495B1
KR101061495B1 KR1020090076932A KR20090076932A KR101061495B1 KR 101061495 B1 KR101061495 B1 KR 101061495B1 KR 1020090076932 A KR1020090076932 A KR 1020090076932A KR 20090076932 A KR20090076932 A KR 20090076932A KR 101061495 B1 KR101061495 B1 KR 10106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le
lifting body
lif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281A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풍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풍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풍년
Priority to KR102009007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4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종류에 따른 밥솥내부의 압력을 고압과 저압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조리상태를 제공하고, 조리 완료 후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밥솥 내부 압력을 급속히 빼내는 배기 기능이 구비된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되며,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 내주연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제1관통공 일측에 내외측의 길이가 틀리도록 형성되고 일단부에 제1 및 제2경사면이 구비된 호형상의 승강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 하단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이 하단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간에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본체의 바닥면에 안착설치되고, 수직으로 유로공이 형성된 심봉;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본체와 심봉을 압력 밥솥 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 너트; 단턱이 구비된 "ㅗ"자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심봉이 수용되는 제1관통공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이 제1관통공의 상부에 설치된 바에 유로공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수직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 양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제1승강체; 상기 제1승강체의 상부가 수용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승강체의 단턱에 승하강 가능하게 탑재되고, 하단에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제2돌기가 형성되어 제1승강체의 회전 시 연동하며, 상기 제2돌기는 제2경사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승강 체; 하면이 개구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 홈을 타고 이송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상기 파지홈에 수용됨과 동시에 제1승강체가 하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면에 수직 통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제1승강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1승강체를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 상기 회전체와 제2승강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2승강체를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 조절, 밸브, 고압, 저압, 분리, 배기, 스프링, 승강체, 가이드

Description

압력조절밸브 {PRESSURE CONTROL VALVE}
본 고안은 가열하여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는 압력밥솥의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종류에 따른 밥솥내부의 압력을 고압과 저압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조리상태를 제공하고, 조리 완료 후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밥솥 내부 압력을 급속히 빼내는 배기 기능이 구비된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조리물(밥이나 찜 등)이 내장된 밀폐 압력용기를 전기나 가스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하는 기구로서, 취사도중 압력용기 내부가 고압으로 유지되어 물의 끊는점이 상승되고, 이로써 양질의 조리를 수행하게
되는 기구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리기구에는 통상 내부 압력의 적절한 유지를 위해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장치(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밸브는 조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밥솥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고, 이 설정된 내부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 하는 경우에는 개방 조작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압력조절밸브의 경우에는 밥솥에서 조리되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 조작되기 때문에 증기 배출압력을 달리하는 조리 종류에 맞추어
적정한 배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이로 인한 양질의 조리가 불가능하다는 큰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엘지전자에 부여된 국내공개특허 제2000-51158호에는 압력추의 무게를 선택 조절하여 사용자가 밥솥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원하는 상태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압력 조정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종래 조
리 종류에 따른 압력 조절을 선택할 수 없었던 것에 비하여서는 내부 압력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진일보된 것이나, 압력추에 대하여 단순히 탈 부착이 가능한 다수의 링을 베이스나 캡에 결함하고 상기 링을 필요에 따라 가감하는 것
에 의해 조절되도록 한 것이어서 링의 분실 우려 및 취사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링의 가감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조리에 맞는 적정한 압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리 종류에 따른 압력밥솥 내부의 압력을 고압과 저압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조리상태를 제공하고, 조리 완료 후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압력밥솥 내부 압력을 급속히 빼내는 배기 기능이 구비된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되며,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 내주연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제1관통공 일측에 내외측의 길이가 틀리도록 형성되고 일단부에 제1 및 제2경사면이 구비된 호형상의 승강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 하단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이 하단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간에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본체의 바닥면에 안착설치되고, 수직으로 유로공이 형성된 심봉;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본체와 심봉을 압력 밥솥 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 너트; 단턱이 구비된 "ㅗ"자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심봉이 수용되는 제1관통공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이 제1관통공의 상부에 설치된 바에 유로공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수직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 양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제1승강체; 상기 제1승강체의 상부가 수용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승강체의 단턱에 승하강 가능하게 탑재되고, 하단에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제2돌기가 형성되어 제1승강체의 회전 시 연동하며, 상기 제2돌기는 제2경사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승강체; 하면이 개구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 홈을 타고 이송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상기 파지홈에 수용됨과 동시에 제1승강체가 하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면에 수직 통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제1승강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1승강체를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 상기 회전체와 제2승강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2승강체를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수평부는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심봉 하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편이 구비된 안전망 서포트가 상기 고정너트와 압력밥솥 뚜껑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심봉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편에 설치되는 안전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에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에 지시화살표가 인쇄되고, 본체에 고압, 저압, 배기, 분리 표시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회전체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1승강체와 제2승강체가 승강안내돌기의 제1 및 제2경사면을 타고 승하강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고압, 저압, 배기 조작이 용이하며, 또한 회전체의 분리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스프링이 각각 제1승강체와 제2승강체를 하향으로 지속적으로 밀어주어 제1승강체와 제2승강체가 승강안내돌기의 상면에서 경사면으로 이동할 때 오작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스프링은 압력 밥솥 내부에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제1승강체와, 제2승강체가 쉽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회전체의 회전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망 서포트과 안전망이 더 구비되어 심봉의 유로공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시화살표와, 고압, 저압, 배기, 분리 표시가 인쇄되어 어떤 상태인지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평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지시화살표와, 분리/고압/저압/배기 표시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안전망 서포트와, 안전망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심봉(20)과, 고정 너트(30)와, 제1승강체(40)와, 제2승강체(50)와, 회전체(60)와, 제1스프링(70) 및 제2스프링(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되며, 상면이 개구된 수용공간(11)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11) 내주연 양측에 수평부(12a)와 수직부(12b)로 이루어진 "L"자형 가이드 홈(12)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1)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13)이 형성되고, 이 제1관통공(13) 일측에 내외측의 길이가 틀리도록 형성되고 일단부에 제1 및 제2경사면(14, 15)이 구비된 호형상의 승강안내돌기(1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승강안내돌기(16)는 후술할 제1승강체(40)의 제1돌기(46) 및 제2승강체(50)의 제2돌기(52)가 각각 제1경사면(14)과 제2경사면(15)을 타고 오를 수 있도록 제1관통공(13)의 중심을 기점으로 해서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승강체(40)와 제2승강체(50)의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일정 각도로 2개가 형성됨이 좋다.
상기 심봉(20)은 하단에 나사산(21)이 구비되고, 이 하단이 상기 제1관통공(13)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심봉(20)의 중간에 걸림단턱(22)이 형성되어 본체(10)의 바닥면에 안착설치되고, 중앙에 상하면이 개구되도록 수직으로 유로공(2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너트(30)는 상기 나사산(21)에 체결되어 본체(10)와 심봉(20)을 압력 밥솥 뚜껑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1승강체(40)는 단턱(41)이 구비된 "ㅗ"자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심봉(20)이 수용되는 제1관통공(42)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이 제1관통공(42)에 심봉(20)의 상부측이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다. 그리고, 제1관통공(42)의 상부에 설치된 바(43)에 심봉(20)의 유로공(23)을 차단하는 차단돌기(44)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41)에 수직으로 삽입공(45)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경사면(14)과 대응되는 제1돌기(46)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 양측에 파지홈(47)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승강체(40)는 후술할 회전체(60)의 회전 시 연동하며, 이로 인해 제1돌기(46)가 제1경사면(14)을 타고 승강안내돌기(16) 상면에 위치함으로써 제1승강체(4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파지홈(47)은 후술할 회전체(60)의 후크(63)가 수용되어 회전체(60)의 회전 조작 시 제1승강체(40)가 헛돌지 아니하도록 하며, 상기 파지홈(47) 상부에 걸림턱(47a)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63)가 파지한 제1승강체(40)가 하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승강체(50)는 제1승강체(40)의 상부가 수용되는 제2관통공(5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승강체(40)의 단턱(41)에 승하강 이송 가능하게 탑재되고, 하단에 상기 제1승강체(40)의 삽입공(45)을 관통하는 제2돌기(52)가 형성되어 제1승강체(40)의 회전 시 연동하며, 상기 제2돌기(52)는 제2경사면(15)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외주연에 후술할 제2스프링(75)이 안착되는 홈(53)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돌기(52)는 본체(10)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있다가 회전체(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승강체(40)와 연동하여 제2승강체(60)가 회전 할 때 승강안내돌기(16)의 제2경사면(15)을 타고 승강안내돌기(16)의 상면으로 올라가도록 형성되어 제2승강체(50)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회전체(60)는 제1승강체(40)와 제2승강체(50)가 수용되도록 하면이 개 구된 수용부(61)가 구비되고, 외주연 양측에 상기 본체(10)의 가이드 홈(12)을 타고 이송 가능한 가이드 돌기(62)가 구비되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상기 제1승강체(40)의 파지홈(47)에 수용됨과 동시에 걸림턱(47a)에 걸려 제1승강체(40)가 하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63)가 형성되고, 상면에 증기압이 배출되는 수직 통공(64)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체(6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며, 제1승강체(40)의 파지홈(47)에 수용 설치되는 후크(63)에 의해 제1승강체(40)가 연동한다.
그리고, 회전체(60)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부측에 손잡이(65)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스프링(70)은 상단은 상기 회전체(60)와 접촉되며, 하단은 상기 제1승강체(40)의 단턱(41)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1승강체(40)를 지속적으로 밀어준다.
즉, 제1승강체(40)의 제1돌기(46)가 승강안내돌기(16)의 상면에서 제1경사면(14)을 타고 본체(10)의 수용공간(11) 바닥면으로 이동할 때 제1승강체(40)를 지속적으로 밀어주어 제1돌기(46)가 바닥면과 접촉되게 한다.
상기 제2스프링(75)은 상단은 상기 회전체(60)와 접촉되며, 하단은 제2승강체(50)의 상부에 형성된 홈(53)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2승강체(50)를 지속적으로 밀어준다.
즉, 제2승강체(50)의 제2돌기(52)가 승강안내돌기(16)의 상면에서 제2경사면(15)을 타고 본체(10)의 수용공간(11) 바닥면으로 이동할 때 제2승강체(50)를 지속적으로 밀어주어 제2돌기(52)가 바닥면과 접촉되게 한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60)의 상면에 분리, 고압, 저압, 배기 표시(66)가 인쇄되고, 본체(10)에 지시화살표(17)가 인쇄가 인쇄되는 것이 좋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가이드 홈(12)의 수직부(12b)와, 회전체(60)의 가이드 돌기(62)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할 때 지시화살표(17)가 분리 표시(66)를 가리키며,(도 6a 참조) 회전체(60)가 일정 각도 회전되어 제1승강체(40)의 제1돌기(46)와, 제2승강체(50)의 제2돌기(52)가 승강안내돌기(16)의 상면에 위치하여, 차단돌기(44)가 심봉(20)의 유로공(23)과 이격되어 유로공(23)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때 지시화살표(17)는 배기 표시(66)를 가리키며,(도 6b 참조) 회전체(60)가 일정 각도 회전되어 제1승강체(40)의 제1돌기(46)가 승강안내돌기(16)의 상면에서 제1경사면(14)을 타고 본체의 바닥면과 접촉되게 이송되면 지시화살표(17)는 저압 표시(66)를 가리키며,(도 6c 참조) 회전체(60)가 일정 각도 회전되어 제2승강체(50)의 제2돌기(52)가 승강안내돌기(16)의 상면에서 제2경사면(15)을 타고 본체(10)의 바닥면과 접촉되게 이송되면 지시화살표(17)는 고압 표시(66)를 가리키도록 지시화살표(17)와 분리/ 고압/저압/배기 표시(66)가 인쇄된다.(도 6d 참조)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심봉(20) 하단이 관통하는 구멍(81)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편(82)이 구비된 안전망 서포트(80)가 상기 고정너트(30)와 압력밥솥 뚜껑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심봉(20)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편(82)에 설치되는 안전망(83)이 더 구비되어 심봉(20)의 유로공(23)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작동상태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 밥솥에 조리물을 넣은 다음에 뚜껑을 닫고, 조리물에 따라 압력을 조절한다.
즉, 고압이 필요한 조리물이라면 제1돌기(46)와 제2돌기(52)가 본체(10)의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한 후 압력 밥솥에 열을 가한다.(도 6d, 도 8참조)
그러면, 일정 시간 경과 후 압력 밥솥 내부에 증기압이 형성되고 이 증기압이 심봉(20)의 유로공(23)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갈려고 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스프링(70, 75)에 의해 제1승강체(40)와 제2승강체(50)가 하향으로 지지되어 있고, 제1승강체(40)에 구비된 차단돌기(44) 또한, 심봉(20)의 유로공(23)을 폐쇄하고 있어 상기 제1스프링(70) 및 제2스프링(75)의 힘을 이기는 증기압이 발생되면 이 증기압에 의해 차단돌기(44)가 구비된 제1승강체(40)가 상승됨으로써 간헐적으로 증기압이 배출되면서 조리물이 조리된다.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압력 밥솥 내부의 증기압을 수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회전체(60)를 회전 조작하여 제1승강체(40)의 제1돌기(46)가 승강안내돌기(16)의 제1경사면(14)을 타고 올라가도록 한다.(도 6b, 도 9참조)
그러면, 제1승강체(40)가 승강하게 되며, 이때, 차단돌기(44) 또한, 심봉(20)의 유로공(23)과 이격되어 유로공(23)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된 유로공(23)과, 제1승강체(40)의 제1관통공(42)과, 회전체(60)의 수직 통공(64)을 순차적으로 거쳐 증기압이 배출된다.
한편, 저압이 필요한 조리물이라면 회전체(60)를 회전 조작하여 제2승강체(50)의 제2돌기(52)가 제2경사면(15)을 타고 승강안내돌기(16)의 상면으로 올라가게 한다.(도 6c, 도 10참조)
이때, 제1승강체(40)의 제1돌기(46)는 본체(10)의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압력 밥솥에 열을 가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압력 밥솥 내부에 증기압이 형성되고 이 증기압이 심봉(20)의 유로공(23)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갈려고 한다.
그러나, 제1스프링(70)에 의해 제1승강체(40)가 하향으로 지지되어 있고, 제1승강체(40)에 구비된 차단돌기(44)가 심봉(20)의 유로공(23)을 폐쇄하고 있어 상기 제1스프링(70)의 힘을 이기는 증기압이 발생되면 이 증기압에 의해 제1승강체(40)가 상승되며, 따라서 차단돌기(44) 또한 심봉(20)의 유로공(23)과 이격되어 상기 이격된 유로공(23)을 통해 증기압이 간헐적으로 배출되면서 조리물이 조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평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지시화살표와, 분리/고압/저압/배기 표시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안전망 서포트와, 안전망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4)

  1. 압력 밥솥의 뚜껑에 안착되며,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 내주연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제1관통공 일측에 내외측의 길이가 틀리도록 형성되고 일단부에 제1 및 제2경사면이 구비된 호형상의 승강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
    하단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이 하단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간에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본체의 바닥면에 안착설치되고, 수직으로 유로공이 형성된 심봉;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본체와 심봉을 압력 밥솥 뚜껑에 고정시키는 고정 너트;
    단턱이 구비된 "ㅗ"자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심봉이 수용되는 제1관통공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이 제1관통공의 상부에 설치된 바에 유로공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수직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 양측에 파지홈이 형성된 제1승강체;
    상기 제1승강체의 상부가 수용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승강체의 단턱에 승하강 가능하게 탑재되고, 하단에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제2돌기가 형성되어 제1승강체의 회전 시 연동하며, 상기 제2돌기는 제2경사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승강체;
    하면이 개구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 홈을 타고 이송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 양측에 상기 파지홈에 수용됨과 동시에 제1승강체가 하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면에 수직 통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제1승강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1승강체를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
    상기 회전체와 제2승강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2승강체를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제1승강체의 제1돌기와 제2승강체의 제2돌기가 본체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있으면 조리 시 압력밥솥 내부의 증기압이 심봉의 유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압력을 이기는 고압이 필요하며,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여 제2돌기가 제2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면 제2승강체가 승강되어 조리 시 압력밥솥 내부의 증기압이 심봉의 유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제1스프링을 이기는 저압이 필요하며,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여 제1돌기가 제1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면 제1승강체가 승강되어 심봉의 유로공을 차단하고 있던 차단돌기 또한 상승하여 심봉의 유로공을 개방함으로써 압력 밥솥의 내부 증기압이 유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판체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심봉 하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설치편이 구비된 안전망 서포트가 상기 고정너트와 압력밥솥 뚜껑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심봉 하단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편에 설치되는 안전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지시화살표가 인쇄되고, 회전체에 고압, 저압, 배기, 분리 표시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밸브.
KR1020090076932A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KR10106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932A KR101061495B1 (ko)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932A KR101061495B1 (ko)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81A KR20110019281A (ko) 2011-02-25
KR101061495B1 true KR101061495B1 (ko) 2011-09-01

Family

ID=4377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932A KR101061495B1 (ko) 2009-08-19 2009-08-19 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4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697A (ko) * 2012-02-08 2013-08-19 히로시 하세가와 톰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CN106923659A (zh) * 2017-04-10 2017-07-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锅的封闭式限压阀及压力锅
KR20190027604A (ko) * 2017-09-07 2019-03-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190129291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서로 다른 압력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전기 밥솥용 증기 배출 밸브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71Y1 (ko) * 2011-05-06 2013-09-11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밸브
CN102644759B (zh) * 2012-04-28 2013-07-17 李开菊 一种压力容器的排气阀装置
TWM451085U (zh) * 2012-09-20 2013-04-21 Zao An Co Ltd 壓力鍋之洩氣閥結構
KR101578148B1 (ko) 2013-11-12 2015-12-21 표경리 압력밥솥용 파열판식 안전장치
KR101820078B1 (ko) * 2015-03-17 2018-01-18 (주)삼미통상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CN105054770B (zh) * 2015-07-30 2017-12-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压力调节机构及设有该压力调节机构的压力锅
CN107713774B (zh) * 2016-08-11 2020-06-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器具的蒸汽阀和具有其的烹饪器具
CN106923660B (zh) * 2017-05-09 2018-09-25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锅限压阀及压力锅
KR101953253B1 (ko) * 2017-12-20 2019-02-28 주식회사 피엔풍년 스테인리스 압력솥의 부식방지용 안전밸브
KR102049935B1 (ko) * 2018-11-02 2019-11-29 주식회사 선도전자 스마트 압력솥
KR102418395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4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01Y1 (ko) 2003-04-19 2003-07-07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솥의 압력조절밸브
KR200422394Y1 (ko) 2006-05-18 2006-07-26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분배기용 유량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01Y1 (ko) 2003-04-19 2003-07-07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솥의 압력조절밸브
KR200422394Y1 (ko) 2006-05-18 2006-07-26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분배기용 유량조절밸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697A (ko) * 2012-02-08 2013-08-19 히로시 하세가와 톰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CN106923659A (zh) * 2017-04-10 2017-07-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锅的封闭式限压阀及压力锅
KR20190027604A (ko) * 2017-09-07 2019-03-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JP2019048041A (ja) * 2017-09-07 2019-03-28 クク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炊飯器
KR102297855B1 (ko) 2017-09-07 2021-09-03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JP7175665B2 (ja) 2017-09-07 2022-11-21 クク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炊飯器
KR20190129291A (ko)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서로 다른 압력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전기 밥솥용 증기 배출 밸브 및 그 구동 방법
KR102068029B1 (ko) * 2018-05-10 2020-01-20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서로 다른 압력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전기 밥솥용 증기 배출 밸브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81A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495B1 (ko) 압력조절밸브
KR102297855B1 (ko) 전기조리기
EP3479741A1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having temperature sensor and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KR20090065484A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110131191A (ko) 조리 음식용 용기를 위한 개선된 천공 뚜껑
CN201814427U (zh)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KR101608417B1 (ko) 압력 밥솥용 압력조절장치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KR200407369Y1 (ko) 숯불구이기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102393821B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US20080272263A1 (en) Grill Lid Prop
KR102193754B1 (ko)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200383514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JP2006280766A (ja) 炊飯器
KR200323681Y1 (ko) 이중뚜껑을 갖춘 조리용기
JP2006280540A (ja) 圧力調理方法とそれを行う電気圧力炊飯器
KR20130118128A (ko) 조리용기의 증기회수식 덮개장치
KR200366300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1842892B1 (ko) 압력조리용기의 증기배출장치
KR200425393Y1 (ko) 열차단용 뚜껑
KR20060033853A (ko) 대나무를 이용한 구이장치
KR101844456B1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100249628B1 (ko) 전기압력밥솥의 상압조정장치
KR200445889Y1 (ko) 전자레인지용 솥의 신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