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697A -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697A
KR20130091697A KR20130014588A KR20130014588A KR20130091697A KR 20130091697 A KR20130091697 A KR 20130091697A KR 20130014588 A KR20130014588 A KR 20130014588A KR 20130014588 A KR20130014588 A KR 20130014588A KR 20130091697 A KR20130091697 A KR 2013009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ube
cooker
uni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325B1 (ko
Inventor
히로시 하세가와 톰
Original Assignee
히로시 하세가와 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하세가와 톰 filed Critical 히로시 하세가와 톰
Publication of KR2013009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8With bias adjustment indic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9Spring coaxial with valve
    • Y10T137/7934Spring abuts removable valve stem gu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225Position or extent of motion indicator
    • Y10T137/8275Indicator element rigidly carried by the movable element whose position is ind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는 압력 쿠커의 리드의 내부(또는 하부에) 제공된 압력 흡입 유닛 및 리드의 외측에 제공되고 상기 압력 흡입 유닛에 연결된 압력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 흡입 유닛은 압력 배출 튜브, 상기 압력 배출 튜브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절두형 원뿔 형태로 구성된 연결 플러그, 압력 배출 통로에 연결된 압력 흡입 튜브, 압력 흡입 튜브에 결부된 필터링 캡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원통형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 상기 압력 릴리스 케이싱의 내부에 스레드 연결된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 내에 제공된 밸브 플런저, 및 밸브 플런저의 외부 방향으로 팽창하는 지지 플랜지와 압력 조절 요소 사이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PRESSURE RELEASE VALVE ASSEMBLY FOR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압력 쿠커(pressure cooker),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쿠커에서 사용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폿(pot)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고온 및 고압의 증기를 사용하는 압력 쿠커가 잘 알려져 있고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아쉽게도, 폿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생성됨으로써 폭발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성은 압력 쿠커가 폿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공기의 자유로운 순환을 방지하고 고압 및 고온 상태 하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때문에 매우 실제적이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몇의 상이한 해결방안, 가령, 폿을 제작하기 위해 더 견고한 재료를 사용한다던지, 가열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타이머를 이용한다던지, 내부의 주변 압력(atmospheric pressure)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압력 게이지를 설치한다던지, 압력 릴리스 밸브를 장착한다던지, 및/또는 금속 메시 케이싱(mesh casing)으로 제작된 안전 캡(safety cap)을 장착하는 방안이 채택되어 왔다.
안전 캡을 사용하는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는, 맨 처음, 본 특허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미국특허번호 7,726,508호 및 미국특허출원공보번호 2010-0193521호에 기술된다. 안전 밸브는 압력 쿠커에 물리적으로 결부된 장치이며 그 기능은 폿 내부의 주변 압력이 미리 설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폿 내의 압력 또는 압축 증기를 빼내도록(release) 하는 것이다. 안전 밸브는 일반적으로 압력 쿠커의 리드(lid) 내에 장착된다. 리드 외부에 있는 안전 밸브 부분의 형태는 구멍(aperture)들을 가진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 구멍들을 통해 압축 증기가 파이프 내로 유입된다. 리드의 내부(또는 하부)에 있는 안전 밸르 부분은 내측 파이프의 연장부분(extension)이며 스프링이 장착된(spring-laden) 원통형의 밸브 플런저와 벽에서 압축 증기를 빼내기 위한 구멍을 가진다. 음식물 입자가 안전 밸브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안전 밸브가 음식물 입자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압력 쿠커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밸브의 내측 부분의 하측 단부에 안전 캡이 결부된다. 안전 밸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압력 쿠커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 쿠커를 사용할 때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안전 캡은 훌륭하게 작동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세척을 위해 압력 쿠커의 리드로부터 안전 캡을 제거할 수 있어서; 그 결과, 사용자가 안접 캡을 압력 릴리스 밸브에 다시 장착하는 것을 잊어버릴 수도 있거나 혹은 안전 캡을 압력 릴리스 밸브에 완전히 결부시키는 것을 실패하여, 결국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쿠커의 리드(lid)에 안전하게 결부될 수 있으며 제거할 수 있고 다시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사용하는 동안 안전성이 보장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압력 흡입 유닛과 압력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본 발명의 독특한 구성에 의해 구현되는데, 여기서:
상기 압력 흡입 유닛은:
-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배출 통로와 함께 형성되고 상측 부분에서 압력 배출 부분을 가진 압력 배출 튜브,
- 압력 흡입 개구가 제공되고 압력 배출 튜브의 압력 배출 통로와 소통되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배출 통로와 함께 형성되는 압력 흡입 튜브,
- 압력 배출 튜브와 압력 흡입 튜브 사이에 제공되고 외측 직경이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측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절두형 원뿔 형태(truncated conical shape)를 가진 연결 플러그, 및
- 압력 흡입 튜브를 공간적으로 둘러싸도록 압력 흡입 튜브의 하측 단부에 제공된 돔 형태의 필터링 캡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 하측 부분에 압력 릴리스 개구가 제공되고 바닥에서 압력 흡입 유닛의 압력 배출 튜브에 연결된 원통형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을 포함하고,
- 압력 릴리스 케이싱의 상부 내측 부분에 스레드 연결된(threadedly connected)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를 포함하며,
-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 내에 장착되고 섕크 부분과 상기 섕크 부분 밑에 있는 베벨형 밸브 부분(beveled valve portion)으로 구성된 밸브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섕크 부분은 밸브 부분 위에서 외부 방향으로 팽창되는 지지 플랜지와 함께 형성되며,
- 밸브 플런저의 지지 플랜지의 상측 표면과 압력 조절 요소의 하측 단부 사이에 제공되고 밸브 플런저의 섕크 부분 주위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연결 플러그는 외측 직경이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측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절두형 원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터링 캡은 돔 형태의 메시 케이싱(mesh casing)일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구성에서, 압력 흡입 유닛은 일체형 유닛으로서, 압력 배출 튜브, 실질적으로 절두형 원뿔 형태의 연결 플러그, 압력 흡입 튜브 및 필터링 캡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압력 흡입 유닛이 압력 조절 유닛에 연결되지 않으면, 압력 쿠커의 리드 위에는 압력 조절 밸브가 형성되거나 또는 제공되지 않으며 따라서 압력 쿠커가 구성되지 않아서, 그 결과, 사용자가 안전 캡인 필터링 캡을 결부시키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혹은 필터링 캡 또는 안전 캡을 압력 쿠커의 리드에 완전히 결부시키는(completely attach) 것을 실패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위에서 기술된 구성에서, 압력 흡입 유닛의 압력 배출 튜브의 압력 배출 부분은 외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되며(externally threaded), 이에 따라 압력 조절 유닛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은 바닥에서 압력 흡입 유닛의 압력 배출 튜브에 용이하게 스레드 연결된다(threadedly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압력 배출 튜브, 연결 플러그, 압력 흡입 튜브, 및 필터링 캡을 보여주는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내에서 압력 흡입 튜브에 결부된 필터링 캡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를 위해 사용되는 환형의 결부 너트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의 압력 흡입 유닛 부분과 압력 조절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여기서 압력 조절 유닛의 밸브 플런저는 색-코드화되며;
도 6은 도 5의 압력 흡입 유닛 부분과 압력 조절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이들은 서로 연결되고;
도 7은 압력 쿠커 내에서 사용되는 동안 도 5와 6의 압력 흡입 유닛 부분과 압력 조절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8은, 관형 압력 조절 요소를 제외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의 압력 흡입 유닛 부분과 또 다른 타입의 압력 조절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상기 압력 조절 요소는 색-코드화되어 있고;
도 9는 압력 쿠커 내에서 사용되는 동안 도 8의 압력 흡입 유닛 부분과 압력 조절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력 흡입 유닛(20)과 압력 조절 유닛(40)을 포함하는 두 유닛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압력 흡입 유닛(20)이 압력 쿠커의 리드(10)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되고 압력 조절 유닛(40)은 리드(10)의 상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도록 그 사이에서 서로 스레드-연결된다(tread-connected).
압력 흡입 유닛(20)은 실질적으로 압력 배출 튜브(22), 연결 플러그(24), 고정판(26), 압력 흡입 튜브(27) 및 필터링 캡(28)으로 구성된 일체형 유닛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압력 배출 튜브(22)는 상단에 있는 압력 배출 부분(22A)과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배출 통로(22p)와 내부에 형성되는 메인 튜브 부분(22B)을 포함한다.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부분(22A)은 외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되며(eternally threaded), 압력 배출 튜브(22)의 메인 튜브 부분(22B)의 바닥 부분도 외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된다. 압력 배출 튜브(22)는 통상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다.
연결 플러그(24)는 외측 직경이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측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절두형 원뿔 형태(truncated conical shape)로 구성되며 중심에서 중앙 관통 홀(24a)을 가진다. 연결 플러그(24)는 압력 배출 튜브(22)의 메인 튜브 부분(22B)에 걸쳐 밀려짐으로써 압력 배출 튜브(22)에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플러그(24)는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제작되며 바닥 표면에 대해 약 60°인 비스듬한 주변 표면(slanted circumferential surface)을 가진다. 연결 플러그(24)에는, 바닥에서, 연결 플러그(24)의 바닥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고정판(26)이 제공되며, 상기 고정판은 연결 플러그(24)의 바닥에 결부된다. 고정판(26)과 연결 플러그(24)의 바닥 사이에는 O-링 또는 와셔(washer)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 플러그(24)는 돔(dome) 형태, 절두형 피라미드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압력 흡입 튜브(27)는 압력 흡입 개구(27a)와 함께 형성되며 고정판(26)과 접촉하고 있는 상측 단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된다(internally threaded). 압력 흡입 튜브(27)는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배출 통로(27p)와 함께 형성되며 상기 압력 배출 통로(27p)는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통로(22p)와 소통된다(communicate).
필터링 캡(28)은 다수의 작은 개구들을 가진 돔 형태의 금속 메시 케이싱(28A), 상기 돔 형태의 금속 메시 케이싱(28A)의 상측 주변 에지에 고정된 강화 원형 프레임(28B) 및 직경방향 브릿지 지지부(28C)로 구성된다. 메시 케이싱(28)의 각각의 개구들은 압력 흡입 튜브(27)의 압력 흡입 개구(27a)보다 크기가 작다. 필터링 캡(28)은 압력 흡입 튜브(27)를 공간적으로 둘러싸기(spacedly surround) 위하여 직경방향 브릿지 지지부(28C)의 중앙에서 압력 흡입 튜브(27)의 하측 단부에 결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3에서 볼 수 있듯이, 필터링 캡(28)의 브릿지 지지부(28C)는 결부 개구(28C')와 함께 형성되며, 베이스 부분(29A), 상기 베이스 부분(29A) 위에 형성된 스레드구성 부분(29B) 및 상기 스레드구성 부분(29B) 위에 형성된 헤드 부분(29C)으로 구성된 결부 플러그(29)가 결부 개구(28C') 내에 삽입되고 압력 흡입 튜브(27) 내로 더 삽입되어 압력 흡입 튜브(27)의 하측 단부에 조여진다(screwed). 따라서, 브릿지 지지부(28C)(그리고 이에 따라 필터링 캡(28))는 필터링 캡(28)의 외측 주변 에지 위에 있는 링 형태의 강화 원형 프레임(28B)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력 쿠커의 리드(10)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압력 흡입 튜브(27)에 결부된다. 게다가 결부 플러그(29)의 베이스 부분(29A)은 공지의 고정-밀봉 방법에 의해 필터링 캡(28)의 브릿지 지지부(28C)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결부 플러그(29)가 압력 흡입 튜브(27)로부터 풀어지지 않고(not unscrewed) 따라서 필터링 캡(28)은 압력 흡입 튜브(27)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결부 플러그(29)의 헤드 부분(29C)은 원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밑에서 기술되는 것과 같이, 상기 헤드 부분 위에 임의의 유체가 머무르는 것이 방지되고 이 유체는 필터링 캡(28)의 외부로 쉽게 흘러 내려갈 있다.
도 3은 압력 흡입 유닛(20)이 어떤 방식으로 일체형의 단일 유닛으로 형성되는 지를 보여주는 한 예를 추가로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압력 배출 튜브(22)는 하부의 외측 표면 위에서 외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되어 형성되며, 압력 흡입 튜브(27)는 상부의 내측 표면 위에서 내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되어 형성된다. 고정판(26)의 중앙 홀과 연결 플러그(24)의 중앙 관통 홀(24a)의 내측 직경보다 더 큰 외측 직경을 가진 압력 흡입 튜브(27)의 상측 단부는 그 사이에서 고정판(26)을 가진 연결 플러그(24)의 바닥과 접촉하게 되며, 메인 튜브 부분(22B)(연결 플러그(24)의 중앙 관통 홀(24a)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똑같은 외측 직경을 가진)은 연결 플러그(24)의 중앙 관통 홀(24b) 내로 밀려 들어가서(forced) 압력 흡입 튜브(27)의 내부 스레드와 압력 배출 튜브(22)의 메인 튜브 부분(22B)의 외부 스레드는 서로 스레드 결합되고(threadedly engaged) 압력 배출 튜브(22)는 압력 흡입 튜브(27)가 회전될 때(turned) 압력 흡입 튜브(27)에 연결된다. 따라서, 압력 배출 튜브(22), 연결 플러그(24), 고정판(26) 및 압력 흡입 튜브(27)는 일체형 유닛을 구성한다.
위에서 기술된 압력 흡입 유닛(20)과 스레드 결합되도록 구성된 압력 조절 유닛(40)은, 도 1(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원통형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42),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44), 밸브 플런저(46) 및 압력 스프링(48)을 포함한다.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은 하측 부분에서 압력 릴리스 개구(42a)를 형성하고 상측 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중공 바디(hollow body)로 구성된다.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은 압력 릴리스 개구(42a)의 상측 에지를 형성하는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플랜지(42A)를 가지며, 바닥판(42B)을 추가로 가진다. 바닥판(42B)은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부분(22A)의 외측 직경과 실질적으로 똑같은 내측 직경을 가진 내부 스레드구성된 바닥 개구(42C)와 함께 형성된다. 따라서,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은 바닥판(42B)에서 압력 배출 튜브(22)에 연결되고, 바닥 개구(42C)의 내부 스레드는 압력 배출 튜브(2)의 압력 배출 부분(22A)의 외부 스레드에 조여진다(screwed).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은 상측 단부 내측 부분 위에서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42D)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의 압력 조절 요소(44)(및 따라서 압력 스프링(48)과 밸브 플런저(46) 또한)가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으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관형 압력 조절 요소(44)는 외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된 외측 표면을 가진 원통형의 중공 바디로 구성되며 상측에서 회전 디스크(44A)를 가진다. 압력 조절 요소(44)는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의 상측 개구를 통해 압력 릴리스 케이싱(42) 내에 스레드 삽입되어(threadedly inserted)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에 스레드 연결된다(threadedly connected). 따라서,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44)가 회전 디스크(44A)를 통해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될 때, 압력 조절 요소(44) 내에서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44) 내에 제공되는, 통상 금속으로 제작된 밸브 플런저(46)는 섕크 부분(46A)과 상기 섕크 부분(46A)의 하측 단부에 있는 베벨형 밸브 부분(46B)으로 구성된다. 추가로, 밸브 플런저(46)는 외부 방향으로 팽창하는 지지 플랜지(46C)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랜지(46C)는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의 스토퍼 플랜지(42A) 위에 배열된다. 밸브 부분(46B)은 상기 밸브 부분의 말단(하측) 단부가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부분(22A)의 개구(22a) 내로 꼭 맞게 삽입될(snug enter) 수 있도록 설계된다(도 6 참조). 밸브 플런저(46)는 색-코드화될 수 있다(color-coded). 도 1에서 문자(C)로 표시된 색-코드는, 예를 들어, 빨강(R), 파랑(B), 및 초록(G)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닥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압력 쿠커를 사용하는 동안 압력 쿠커의 폿(pot)의 내측 압력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밸브 플런저(46)의 상측 단부 부분에서 밴드 패턴(band pattern)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스프링(48)은 코일 스프링이며 밸브 플런저(46)의 섕크 부분(46A) 주위에 제공된다. 압력 스프링(48)의 상측 단부는 압력 조절 요소(44)의 하측 단부와 접촉하며, 압력 스프링(48)의 하측 단부는 밸브 플런저(46)의 섕크 부분(46A)의 지지 플랜지(46C)의 상측 표면과 접촉한다.
위에서 기술된 구성들로, 일체형 압력 흡입 유닛(20)은 환형의 결부 너트(60)로 압력 조절 유닛(40)에 스레드 연결됨으로써 압력 쿠커의 리드(10)에 장착된다.
여기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강제적(forced) 알루미늄 또는 다소 탄성적인 재료로 제작된 환형의 결부 너트(60)는 상측 단부에서 원통형 부분(60A)을 포함하고 하측 단부에서는 주변 칼라(60B)를 포함하며, 하부의 내측 영역에서, 절두형 원뿔 형태로 구성된 압력 흡입 유닛(20)의 연결 플러그(24)의 외측 형상을 수용하고 상기 외측 형상과 꼭 맞게 결합되는(snugly mate) 절두형 원뿔 형태로 구성된 수용 섹션(60C)과 형성된다. 수용 섹션(60C)은 돔 형태의 절두형 피라미드 형태 등으로 구성된 연결 플러그(24)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 플러그와 결합되도록 그 외의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결부 너트(60)의 원통형 부분(60A)은 고정 링(70)과 스레드 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 방향으로 스레드구성된다.
압력 흡입 유닛(20)과 압력 조절 유닛(40)은 서로 연결되고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하기 방식으로 압력 쿠커의 리드(10)에 장착된다: 우선, 환형의 결부 너트(60)가 하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리드(10)의 중앙에서 개방된 결부 개구 내로 삽입되며 결부 너트(60)의 주변 칼라(60B)(리드의 결부 개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는 리드(10)의 하측 표면 위에서 결부 개구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내측 스레드를 가진 고정 링(70)은 결부 너트(60)의 원통형 부분(60A)에 조여지며, 따라서 리드(10)가 결부 너트(60)의 주변 칼라(60B)와 고정 링(70)에 의해 사이에 낀 상태로 배열되도록(sandwiched) 결부 너트(60)가 리드(10)에 고정된다.
그 뒤, 압력 흡입 유닛(20)의 압력 배출 튜브(22)는 결부 너트(60)의 수용 섹션(60C) 내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압력 흡입 유닛(20)의 연결 플러그(24)는 결부 너트(60)의 수용 섹션(60C)과 꼭 맞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 섹션 내에 끼워지며(fitted), 결부 너트(60)의 비스듬한 내측 주변 표면과 연결 플러그(24)의 비스듬한 외측 주변 표면은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판(26)의 상측 표면은 결부 너트(60)의 주변 칼라(60B)의 하측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 뒤, 압력 조절 유닛(40)은 결부 너트(60) 위로 오게 되고, 압력 조절 유닛(40)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의 바닥판(42B)을 압력 흡입 유닛(20)의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부분(22A)에 조임으로써 압력 흡입 유닛(20)에 연결되어, 압력 흡입 유닛(20)과 압력 조절 유닛(40)의 연결이 완료된다.
사용 시에,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가 상부에 장착되는 리드를 압력 쿠커의 폿 위에 설치하고 난 후에, 압력 조절 요소(44)는 압력 흡입 유닛(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또는 상기 압력 흡입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밑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되며(도 6 참조), 압력 스프링(48)이 팽창될 수 있게 하여(또는 압력 스프링(48)이 수축될 수 있게 하여) 원하는 압력 릴리스 레벨이 설정되게 한다(여기서, 밸브 플런저(46)의 상측 단부에서 "안전(safe)"으로 표시되는(예컨대, 파랑으로 표시됨) 색-코드 밴드의 일부가 압력 조절 요소(44)로부터 나와서 보일 수 있게 된다).
쿠킹 공정(cooking process)이 진행됨에 따라, 압력 쿠커의 폿 내부의 압력이 올라간다. 연결 플러그(24)가 절두형 원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연결 플러그(24)는 증가된 압력을 수용하고 비스듬한 표면들을 가진 결부 너트(60)와 확실히 접촉되어, 이에 따라 압력 쿠커에 대한 우수한 밀봉을 형성한다.
쿠킹 공정이 추가로 진햄됨에 따라, 압력 쿠커의 내용물(contents) 안에 있는 수분은 증기로 변환되고; 압축 증기가 쌓여서, 압축 증기가 압력 흡입 튜브(27)의 압력 릴리스 통로(27p) 내로 유입되며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통로(22p) 내로 추가로 유입된다. 압력 쿠커에 의한 압력 쿠킹(pressure cooking)은 상기 방식으로 계속된다. 하지만, 폿 내부의 압력이 압력 스프링(48)과 압력 조절 요소(44)에 의해 설정된 레벨보다 더 높게 될 때에는, 스프링(48)의 설정 스프링 힘을 넘어서는(overcoming) 압력이 밸브 플런저(46)를 밀어서, 최하측 색-코드, 가령, 예를 들어, "위험(danger)"으로 표시된 빨강 밴드(R)가 보일 수 있게 하고, 밸브 플런저(46)의 밸브 부분(46B)이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부분(22A)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그 결과, 내부 압력 또는 압축 증기는 압력 조절 유닛(40)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의 압력 릴리스 개구(42a)를 통해 빠져나가(released out)(도 7의 화살표 참조), 밸브 플런저(46)가 내려가서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부분(22A)과 다시 접촉하게 하며, 상측의 색-코드, 가령, 예를 들어, "안전"으로 표시된 파랑 밴드(B)가 보일 수 있게 하여, 원하는 쿠킹 공정 동안 폿 내부의 내측 압력이 원하는 레벨에 유지될 수 있다.
필터링 캡(28)이 압력 흡입 튜브(27)에 결부되고 필터링 캡(28)의 링 형태의 강화 프레임(28B)이 리드(10)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쿠킹 공정 동안 생성된 음식물 입자(food particle)들이 압력 흡입 유닛(20)의 압력 배출 통로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되고 압력 흡입 유닛(20)이 막히는 것(clogging)이 방지될 수 있다.
압축 증기 릴리스 공정 후에, 압력 릴리스 통로(22p 및 27p) 내부에서 수분이 응축되기 시작하여 유체로 변환된다. 이 유체는 압력 릴리스 통로(22p 및 27p)의 벽 표면을 따라 밑으로 흘러 필터링 캡(28)의 결부 플러그(29) 위로 간다. 결부 플러그(29)가 돔 형태의 원뿔 헤드(29C)를 가지기 때문에, 수분 또는 유체는 쉽게 필터링 캡(28)으로부터 흘러나와 폿 내부로 다시 들어간다. 따라서, 필터링 캡(28)이 녹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체형의 압력 흡입 유닛(20)과 압력 조절 유닛(40)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쉽게 압력 쿠커의 리드 위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원하는 임의의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의 쿠킹 폿, 가령, 스톡 폿(stock pot)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위에서 기술한 내용에서 도시된 구성과 상이한 압력 조절 유닛(4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의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의 구성에서,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44)의 외측 표면 위에는 색-코드가 제공되지만 밸브 플런저(46) 위에는 색-코드가 제공되지 않는다. 압력 조절 요소(44)의 구성(및 밸브 플런저(46)의 구성)은 도 1과 도 5 내지 7에 도시된 구성과 똑같다. 도 1과 도 5 내지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색-코드는, 예를 들어, 빨강(R), 파랑(B), 및 초록(G)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닥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압력 쿠커를 사용하는 동안 압력 쿠커의 폿의 내측 압력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압력 조절 요소(44)의 외측 주변 표면 위에서 밴드 패턴(band pattern)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8의 구성에서도, 압력 조절 유닛(40)은 압력 조절 유닛(40)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을 압력 흡입 유닛(20)의 압력 배출 튜브(22)에 조임으로써 압력 흡입 유닛(20)에 스레드 연결된다. 게다가, 상기 도 8의 구성에서도,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은 상측 단부 내측 부분 위에서 스토퍼(42D)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의 압력 조절 요소(44)(및 따라서 압력 스프링(48)과 밸브 플런저(46) 또한)가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으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에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력 조절 요소(44)는 압력 흡입 유닛(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또는 상기 압력 흡입 유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밑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 디스크(44A)를 통해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되어, 원하는 압력 릴리스 레벨이 설정되고 설정된 원하는 압력 릴리스 레벨이 표시되는 색-코드 밴드의 일부(가령, 예컨대, 초록(G)으로 표시되는)가 압력 조절 요소(44)의 상측 단부에서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으로부터 나와 보일 수 있게 될 때까지, 압력 스프링(48)이 팽창될 수 있게 한다(또는 압력 스프링(48)이 수축될 수 있게 한다. 폿 내부의 압력이 압력 스프링(48)과 압력 조절 요소(44)에 의해 설정된 레벨보다 더 높게 될 때에는, 스프링(48)의 설정 스프링 힘을 넘어서는(overcoming) 압력이 밸브 플런저(46)를 밀어서, 밸브 플런저(46)의 밸브 부분(46B)이 압력 배출 튜브(22)의 압력 배출 부분(22A)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그 결과, 내부 압력 또는 압축 증기는,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압력 조절 유닛(40)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42)의 압력 릴리스 개구(42a)를 통해 빠져나가(released out), 원하는 쿠킹 공정 동안 폿 내부의 내측 압력이 원하는 레벨에 유지될 수 있다. 도 8과 9의 상기 구성에서, 압력 조절 요소(44) 위에 제공된 색-코드를 보면서, 압력 쿠킹 동안 압력 조절 요소(44)를 회전시킴으로써, 초기에 설정된 압력 릴리스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Claims (7)

  1. 압력 흡입 유닛과 압력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압력 흡입 유닛은:
    -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배출 통로와 함께 형성되고 상측 부분에서 압력 배출 부분을 가진 압력 배출 튜브,
    - 압력 흡입 개구가 제공되고 압력 배출 튜브의 압력 배출 통로와 소통되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배출 통로와 함께 형성되는 압력 흡입 튜브,
    - 압력 배출 튜브와 압력 흡입 튜브 사이에 제공된 연결 플러그, 및
    - 압력 흡입 튜브를 공간적으로 둘러싸도록 압력 흡입 튜브의 하측 단부에 결부된 필터링 캡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 하측 부분에 압력 릴리스 개구가 제공되고 압력 흡입 유닛의 압력 배출 튜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을 포함하고,
    - 압력 릴리스 케이싱의 상부 내측 부분에 스레드 연결된(threadedly connected)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를 포함하며,
    -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 내에 제공되고 섕크 부분과 상기 섕크 부분 밑에 있는 베벨형 밸브 부분(beveled valve portion)으로 구성된 밸브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섕크 부분은 밸브 부분 위에서 외부 방향으로 팽창되는 지지 플랜지와 함께 형성되며,
    - 밸브 플런저의 지지 플랜지와 압력 조절 요소의 하측 단부 사이에 제공되고 밸브 플런저의 섕크 부분 주위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러그는 외측 직경이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측 부분으로 감소하는 절두형 원뿔 형태(truncated conical shap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캡은 돔 형태의 메시 케이싱(mesh cas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캡은 상기 압력 흡입 튜브로부터 제거될 수 없도록 상기 압력 흡입 튜브에 안정적으로 결부되는(securely attach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런저에는 상측 부분 위에 색-코드(color code)가 제공되며, 상기 색-코드는 압력 쿠커(pressure cooker) 내부의 압력 레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에는 외측 주변 표면 위에 색-코드가 제공되며, 상기 색-코드는 압력 쿠커 내부의 압력 레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7. 압력 쿠커용 압력 조절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 하측 부분에 압력 릴리스 개구가 제공된 원통형의 압력 릴리스 케이싱을 포함하고,
    - 압력 릴리스 케이싱의 상부 내측 부분에 스레드 연결된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를 포함하며,
    - 관형의 압력 조절 요소 내에 제공되고 섕크 부분과 상기 섕크 부분 밑에 있는 베벨형 밸브 부분으로 구성된 밸브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섕크 부분은 밸브 부분 위에서 외부 방향으로 팽창되는 지지 플랜지와 함께 형성되며,
    - 밸브 플런저의 지지 플랜지와 압력 조절 요소의 하측 단부 사이에 제공되고 밸브 플런저의 섕크 부분 주위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압력 쿠커용 압력 조절 유닛.
KR1020130014588A 2012-02-08 2013-02-08 압력 쿠커용 압력 방출 밸브 조립체 KR101948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69,135 US8869829B2 (en) 2012-02-08 2012-02-08 Pressure release valve assembly for pressure cooker
US13/369,135 2012-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697A true KR20130091697A (ko) 2013-08-19
KR101948325B1 KR101948325B1 (ko) 2019-02-14

Family

ID=4890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88A KR101948325B1 (ko) 2012-02-08 2013-02-08 압력 쿠커용 압력 방출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69829B2 (ko)
KR (1) KR101948325B1 (ko)
CA (1) CA28046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452B1 (ko) * 2018-05-30 2019-11-15 주식회사 피엔풍년 조리용 압력솥의 압력해제밸브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130039A1 (it) * 2013-03-27 2014-09-28 Emer Spa Dispositivo di sicurezza integrato per impianti a gas per auotrazione
CN103932584B (zh) * 2014-04-29 2016-08-31 绍兴市吉柏尼机电有限公司 一种半球面阀芯的电压力锅密封结构及其制作方法
CN104287618A (zh) * 2014-11-04 2015-01-21 赵夫超 一种电压力锅的限压阀
CN106996470A (zh) * 2016-01-23 2017-08-01 杭州拓海电子有限公司 一种蒸汽锅用的防漏单向阀
CN108799573A (zh) * 2016-04-13 2018-11-13 陈杰 一种单向阀门
US10881238B2 (en) 2017-05-19 2021-01-05 Tom Hiroshi Hasegawa Safety cap assembly and a pressure cooker provided therewith
EP3624654A1 (en) 2017-08-09 2020-03-2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4436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with food preparation pot
CN110652186B (zh) * 2018-06-29 2022-05-31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排气控制方法和装置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KR20210007290A (ko) * 2019-07-10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뚜껑 개방 시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전기압력밥솥
TWI733283B (zh) * 2019-12-20 2021-07-11 周文三 具有多段式安全洩壓之壓力計
CN113017407A (zh) * 2019-12-24 2021-06-25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压力锅及其压力释放装置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3180464B (zh) * 2020-05-29 2022-08-05 中山市元亨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高压锅盖的出气组件
CN111706702B (zh) * 2020-06-23 2022-12-0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压力阀及烹饪装置
KR102418395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KR102418394B1 (ko) * 2021-06-14 2022-07-08 (주)쿠첸 조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292B1 (ko) * 1997-02-05 1999-10-15 김태훈 압력솥의 압력표시 밸브
JP3479772B2 (ja) * 2000-07-24 2003-12-15 株式会社日軽プロダクツ 圧力鍋の圧力調整装置
KR100473769B1 (ko) * 2002-12-04 2005-03-10 주식회사 토광엔지니어링 압력솥 일체형 레버밸브
US20100193521A1 (en) * 2002-12-30 2010-08-05 Tom Hiroshi Hasegawa Protective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 a protective device
KR101061495B1 (ko) * 2009-08-19 2011-09-01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조절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7585A (en) * 1936-02-13 1937-11-02 Burpee Can Sealer Company Valve for pressure cookers, sterilizers and the like
US2570655A (en) * 1945-12-29 1951-10-09 Daniel O Druge Pressure gauge and relief valve
US2463516A (en) * 1946-03-13 1949-03-08 Otto M Burkhardt Vent device for pressure cookers
US2619982A (en) * 1946-06-06 1952-12-02 Proctor Electric Co Pressure relief plug for pressure cookers
US2536505A (en) * 1946-11-22 1951-01-02 Landers Frary & Clark Relief pressure valve for pressure cookers
US2524996A (en) * 1947-04-10 1950-10-10 Moe Brothers Mfg Company Adjustable pressure regulator
US2686531A (en) * 1948-03-22 1954-08-17 Proctor Electric Co Automatic vent and relief valve for pressure cookers
US2710627A (en) * 1951-06-12 1955-06-14 Proctor Electric Co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essure cooker
BR7306085D0 (pt) * 1973-08-09 1975-04-08 Alcan Brasil Aperfeicoamentos em ou relativos em valvula de escape
GB2192349B (en) * 1986-07-28 1990-02-14 Chen Shin I Pressure cooker
FR2720617B1 (fr) * 1994-06-02 1996-07-12 Sitram Soupape de régulation pour autocuiseur.
US20040124197A1 (en) 2002-12-30 2004-07-01 Hasegawa Tom Hiroshi Safety cap for a pressure release valve of a pressure cooker and a pressure cook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292B1 (ko) * 1997-02-05 1999-10-15 김태훈 압력솥의 압력표시 밸브
JP3479772B2 (ja) * 2000-07-24 2003-12-15 株式会社日軽プロダクツ 圧力鍋の圧力調整装置
KR100473769B1 (ko) * 2002-12-04 2005-03-10 주식회사 토광엔지니어링 압력솥 일체형 레버밸브
US20100193521A1 (en) * 2002-12-30 2010-08-05 Tom Hiroshi Hasegawa Protective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 a protective device
US8302800B2 (en) * 2002-12-30 2012-11-06 Tom Hiroshi Hasegawa Protective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 a protective device
KR101061495B1 (ko) * 2009-08-19 2011-09-01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조절밸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479772호(2003.12.15.)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452B1 (ko) * 2018-05-30 2019-11-15 주식회사 피엔풍년 조리용 압력솥의 압력해제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99633A1 (en) 2013-08-08
US8869829B2 (en) 2014-10-28
CA2804698A1 (en) 2013-08-08
KR101948325B1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1697A (ko) 압력 쿠커용 압력 릴리스 밸브 어셈블리
US20130199635A1 (en) Pressure Release Valve
AU2016368382B2 (en) Stopper with integrated pressure equalizing device
JP6599512B2 (ja) 安全キャップ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圧力調理器
US8302800B2 (en) Protective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 a protective device
US7726508B2 (en) Safety cap for a pressure release valve of a pressure cooker and a pressure cooker using the same
CN101420893A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压力烹饪器具
US20180073730A1 (en) Gas burner and gas cooktop
US10364559B2 (en) Plumbing device
JP2015210535A (ja) 減圧弁
CN112805496A (zh) 安全阀和使用这种安全阀的散热器
DE20113631U1 (de) Sicherheitsventil für ein Dampfreinigungsgerät
US20190030466A1 (en) Fluid filter comprising a housing and a central vertical pipe that forms a fluid outlet
US2692613A (en) Multiple weighted relief valve
JP7246734B2 (ja) 鍋、鍋の容器
AU2003271390A1 (en) A Safety Cap for the Pressure Release Valve of a Pressure Cooker and a Pressure Cooker Using the Same
EP2734089B1 (en) Safety device against the danger of explosion, applicable to lids of pressure cooking apparatuses
US3277912A (en) Safety valve
RU168591U1 (ru) Гайка для картриджа однорычажного смесителя
JPS5920169Y2 (ja) 圧力調節装置
KR101218641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01718U (ko) 안전벨브 내설형 압력조절장치
KR101218642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