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266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266B1
KR102475266B1 KR1020210077032A KR20210077032A KR102475266B1 KR 102475266 B1 KR102475266 B1 KR 102475266B1 KR 1020210077032 A KR1020210077032 A KR 1020210077032A KR 20210077032 A KR20210077032 A KR 20210077032A KR 102475266 B1 KR102475266 B1 KR 10247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discharge passage
level
locking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1007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266B1/ko
Priority to JP2023575590A priority patent/JP7510023B2/ja
Priority to CN202280038760.4A priority patent/CN117396109B/zh
Priority to PCT/KR2022/008408 priority patent/WO20222653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내솥의 내부와 연결되는 증기 배출 유로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포스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일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증기 차단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차단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리 시 내솥의 조리 공간 내의 압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 장치는 음식물이 수용된 내솥을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곡식류 등의 음식 재료를 조리할 수 있다. 조리 장치를 이용한 조리 시, 내솥의 조리 공간의 압력은 무게 추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밥맛을 구현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또한, 밥맛을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조리 시 내솥의 압력이 다양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조리하고, 다양한 밥맛을 구현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로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내솥의 내부와 연결되는 증기 배출 유로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포스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일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증기 차단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차단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서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회전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증기 차단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일 부분을 통과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캡;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차단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에 결합된 회전 커버로서,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 이격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는 상기 회전 커버; 및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내솥의 플렌지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잠금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잠금 플레이트;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내부에 배치된 잠금 돌기; 및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내솥의 상기 플렌지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1 가이드 홀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내솥의 상기 플렌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내솥의 상기 플렌지부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로,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내솥(2100)의 내부와 연결되는 증기 배출 유로를 갖고 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돌기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포스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고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일 부분을 통과하고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증기 차단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차단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 상기 탑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회전 커버로서,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 이격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는 상기 회전 커버; 및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 내에 배치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솥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복수의 압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압력 모드로 동작되는 증기 배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의 내솥 내부의 압력의 세기가 증기 배출 구조체의 동작에 의해 다양한 크기로 결정될 수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조리하고, 다양한 밥맛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일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일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에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잠금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회전 커버의 회전에 기초한 잠금 구조체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회전 커버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일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일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조리 모드의 설정을 통해 음식 재료를 수용하는 내솥(도 11, 2100)의 조리 공간의 압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10)의 조리 모드의 설정 시,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 형성되는 압력의 크기는 사용자의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10)는 제1 압력 모드, 제2 압력 모드, 제3 압력 모드, 및 제4 압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압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가 구현 가능한 제1 내지 제4 압력 모드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탑 플레이트(110), 내솥 커버(210), 증기 배출 구조체(300), 회전 커버(400), 잠금 구조체(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10)는 내솥(2100)의 상부를 덮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탑 플레이트(110)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 회전 커버(400), 잠금 구조체(5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 등이 배치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탑 플레이트(110)를 평면적 관점에서 봤을 경우, 상기 탑 플레이트(110)는 원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내솥 커버(210)는 탑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조리 시 내솥(2100)의 상부(즉, 내솥(2100)의 조리 공간)를 덮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 커버(210)의 하면은 조리 장치(10)를 이용한 조리 시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한 증기와 맞닿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10)를 평면적 관점에서 봤을 경우, 내솥 커버(210)는 탑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솥 커버(210)는 가장자리에서 패킹을 배치하기 위한 링 형상의 패킹 홈을 가질 수 있다. 내솥 커버(210)에 결합되는 상기 패킹은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은 조리 시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외부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패킹의 물질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조리 시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에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제1 내지 제4 압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압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1 내지 제4 압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각각의 압력 모드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4가지 압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2가지 이상의 압력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일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일 부분은 후술할 바와 같이 외솥 뚜껑(도 9, 120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외솥 뚜껑(1200)으로부터 노출된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일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조작될 수 있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동작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조리 시 내솥(2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제1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력은 약 2.1kgf/cm2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압력의 크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할 때,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제1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내솥(2100) 내부의 압력이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전술한 제1 압력보다 작은 크기의 제2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압력은 약 1.5kgf/cm2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압력의 크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할 때,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제2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내솥(2100) 내부의 압력이 제2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전술한 제2 압력보다 작은 크기의 제3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압력은 약 1.2kgf/cm2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압력의 크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할 때,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제3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내솥(2100) 내부의 압력이 제3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조리 공간과 조리 장치(10)의 외부 공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2100) 내부의 증기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를 통해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조리 장치(10)는 대기압 상태(즉, 무압 모드)에서 내솥(2100)의 조리 공간 내의 음식 재료를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는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 압력을 약 1.0kgf/cm2로 유지하면서 상기 조리 공간 내의 음식 재료를 조리할 수 있다.
회전 커버(400)는 탑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커버(400)는 탑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커버(400)는 탑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커버(400)를 평면적 관점에서 봤을 경우, 상기 회전 커버(400)의 회전 축이 위치하는 가상의 점은 회전 중심(RC)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커버(400)는 상기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가이드 홀(H_G1), 및 상기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 이격된 제2 가이드 홀(H_G2)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회전 커버(400)의 제1 가이드 홀(H_G1) 및 제2 가이드 홀(H_G2)은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제1 가이드 홀(H_G1)에 배치된 경우,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도 9, 2100)의 플렌지부(도 9, 2110)와 결합되어, 상기 내솥(2100)의 조리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제2 가이드 홀(H_G2)에 배치된 경우,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2100)의 플렌지부(2110)와 분리되어, 상기 내솥(2100)의 조리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즉, 잠금 구조체(50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 커버(400)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내솥 커버(21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잠금 구조체(500)는 탑 플레이트(110)의 상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내솥(2100) 및 상기 내솥(2100)을 덮는 내솥 커버(21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체(500)는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구조체(500)가 2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잠금 구조체(500) 각각은 회전 커버(400)의 회전 중심(RC)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체(500)는 잠금 플레이트(510), 가이드 돌기(530), 및 잠금 후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플레이트(510)는 회전 커버(400)의 회전 축이 연장된 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플레이트(510)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잠금 플레이트(510)는 후술할 잠금 가이드 부재(도 10, 910)가 배치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잠금 가이드 홀(510H)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530)는 잠금 플레이트(510)의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고, 회전 커버(400)의 제1 가이드 홀(H_G1) 및 제2 가이드 홀(H_G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커버(400)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에 기초하여, 가이드 돌기(530)는 제1 가이드 홀(H_G1) 및 제2 가이드 홀(H_G2) 중 어느 하나의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530)가 제1 가이드 홀(H_G1)에서부터 제2 가이드 홀(H_G2)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커버(4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돌기(530)와 결합된 잠금 플레이트(510)는 내솥(2100)의 중심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530)가 제2 가이드 홀(H_G2)로부터 제1 가이드 홀(H_G1)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커버(4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돌기(530)와 결합된 잠금 플레이트(510)는 내솥(2100)의 중심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후크(550)는 잠금 플레이트(510)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잠금 플레이트(510)의 이동에 기초하여 내솥 커버(21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에에서,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의 가장자리 부분의 형상과 대응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 커버(210) 및 잠금 후크(550)를 평면적 관점에서 봤을 경우, 상기 내솥 커버(210)가 원판 형상인 경우, 상기 내솥 커버(2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잠금 후크(550)는 아크(arc)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제1 가이드 홀(H_G1)에 배치된 경우,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의 가장자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제2 가이드 홀(H_G2)에 배치된 경우,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의 가장자리와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가이드 부재(도 10, 910)는 잠금 플레이트(510)의 잠금 가이드 홀(510H)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탑 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잠금 가이드 부재(910)는 탑 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잠금 플레이트(510)의 제2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가이드 부재(910)는 탑 플레이트(110)에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600)는 탑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고, 전기적 신호를 통해 내솥(2100)의 조리 공간 내의 증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10)를 이용한 조리 시, 증기 배출 구조체(3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10)를 이용한 조리 시, 증기 배출 구조체(3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 장치(10)를 이용한 조리 시, 증기 배출 구조체(3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 모두가 동작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는 복수의 압력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압력 모드로 동작되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의 내솥(2100) 내부의 압력이 사용자의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조작에 의해 결정될 수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10)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조리하고, 다양한 밥맛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에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포스트(310), 결합 부재(320), 제1 패킹(330), 제2 패킹(340), 이동 부재(350), 증기 차단 부재(370), 및 탄성 부재(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310)는 내솥(도 11, 2100)의 조리 공간과 연결되는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는 조리 시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배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포스트(310)는 몸체부(313) 및 회전 돌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3)는 제1 방향(즉, 탑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서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313)는 중심 부분이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회전 돌기(315)는 몸체부(3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돌기(315)는 후술할 이동 부재(350)의 수용 홈(350G)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 부재(350)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320)는 포스트(310)를 탑 플레이트(110) 상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320)의 상부는 포스트(310)와 결합될 수 있고, 결합 부재(320)의 하부는 탑 플레이트(1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320)의 중심 부분은 비어있을 수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20)는 내솥(2100)의 조리 공간과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동 부재(350)는 포스트(310)의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포스트(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탑 플레이트(110)의 측면을 타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35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동 부재(350)는 탑 플레이트(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50)가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동 부재(350)는 탑 플레이트(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은 후술할 외솥 뚜껑(120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솥 뚜껑(1200)으로부터 노출된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는 포스트(310)의 회전 돌기(315)를 수용하는 수용 홈(350G)을 가질 수 있다. 이동 부재(350)가 회전 돌기(315)를 수용하는 수용 홈(350G)을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350)는 포스트(310)의 회전 돌기(315)를 이용한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가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350) 및 증기 차단 부재(370)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380)의 압축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 부재(350)의 회전 양에 기초하여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이 증기 배출 유로(310H)를 형성하는 포스트(310)의 내면에 가하는 힘의 세기가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차단 부재(370)가 제1 크기의 힘으로 증기 배출 유로(310H)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에 제공하는 전압력의 크기가 상기 제1 크기보다 클 때 증기 차단 부재(370)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 차단 부재(370)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크기인 제2 크기의 힘으로 증기 배출 유로(310H)를 차단한 경우, 상기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에 제공하는 전압력의 크기가 상기 제2 크기보다 클 때 증기 차단 부재(370)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2100)의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증기 차단 부재(370)에 제공하는 전압력의 크기가 상기 제1 크기인 경우,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는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계속하여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탑 플레이트(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380)는 인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50)가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탑 플레이트(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380)는 수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여 탑 플레이트(110)로부터 소정 거리를 초과하여 멀어지는 경우, 상기 이동 부재(350)는 이동 돌기(373p)에 외력을 제공하여 증기 차단 부재(37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가 이동 부재(350)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는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할 수 있다.
증기 차단 부재(370)는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을 통과하여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기 차단 부재(370)는 이동 부재(350)의 회전에 기초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은 실시예에서, 증기 차단 부재(370)는 피스톤(373) 및 차단 캡(37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피스톤(373)은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을 통과하여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피스톤(373)은 이동 부재(3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이동 돌기(373p)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350)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피스톤(373)의 이동 돌기(373p)를 상향으로 밀어내는 경우,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은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50)가 피스톤(373)의 이동 돌기(373p)와 이격된 경우,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은 증기 배출 유로(310H)를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단 캡(375)은 피스톤(373)의 하부에 결합되어, 증기 배출 유로(310H)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단면을 봤을 경우, 차단 캡(375)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피스톤(373)의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 캡(375)의 상면의 일 부분은 증기 배출 유로(310H) 내에서 탄성 부재(38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380)는 차단 캡(375)의 상면 및 이동 부재(35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373)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차단 캡(375)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차단 캡(375)의 물질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380)는 이동 부재(350)의 이동에 기초하여, 증기 차단 부재(370)에 제1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80)는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 상에 배치되어 피스톤(373)의 측부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가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350) 및 증기 차단 부재(370)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380)의 압축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35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탑 플레이트(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380)는 인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50)가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탑 플레이트(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380)는 수축될 수 있다. 탄성 부재(380)가 수축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380)는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에 하향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패킹(330)은 결합 부재(320) 및 이동 부재(350) 사이에 배치되어, 포스트(310)의 측면의 일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2 패킹(340)은 이동 부재(350)의 내부에 배치되어, 포스트(310)의 측면의 일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패킹(330) 및 제2 패킹(340)은 합성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 내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0)의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 부재(350)의 하면(350S)은 제1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 부재(350)의 하면(240S)의 레벨은 상기 이동 부재(350)의 상기 하면(240S)이 탑 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형성하는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탄성 부재(380)는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에 제1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제1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은 내솥(2100)의 증기가 증기 차단 부재(370)에 제공하는 전압력에 의해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가 상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내솥(2100) 내부의 증기가 형성하는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력은 약 2.1kgf/cm2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압력의 크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1 압력 모드로 동작할 때,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제1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내솥(2100) 내부의 압력이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증기 차단 부재(370)는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의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 부재(350)의 하면(350S)은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제2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는 포스트(310)의 회전 돌기(315)를 이용한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1 레벨에서부터 제2 레벨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솥 뚜껑(1200)으로부터 노출된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부재(350)는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1 레벨에서부터 제2 레벨로 이동할 수 있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탄성 부재(380)는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에 상기 제1 탄성력보다 작은 크기의 제2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상기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은 내솥(2100)의 증기가 증기 차단 부재(370)에 제공하는 전압력에 의해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가 상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내솥(2100) 내부의 증기가 형성하는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압력은 약 1.5kgf/cm2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압력의 크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2 압력 모드로 동작할 때,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제2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내솥(2100) 내부의 압력이 제2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증기 차단 부재(370)는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의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 부재(350)의 하면(350S)은 상기 제2 레벨보다 높은 제3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는 포스트(310)의 회전 돌기(315)를 이용한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2 레벨에서부터 제3 레벨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솥 뚜껑(1200)으로부터 노출된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부재(350)는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2 레벨에서부터 제3 레벨로 이동할 수 있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탄성 부재(380)는 증기 차단 부재(370)의 차단 캡(375)에 상기 제2 탄성력보다 작은 크기의 제3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상기 제2 압력보다 작은 제3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제3 압력은 내솥(2100)의 증기가 증기 차단 부재(370)에 제공하는 전압력에 의해 상기 증기 차단 부재(370)가 상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내솥(2100) 내부의 증기가 형성하는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압력은 약 1.2kgf/cm2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압력의 크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3 압력 모드로 동작할 때,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의 압력이 제3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내솥(2100) 내부의 압력이 제3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증기 차단 부재(370)는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배출 구조체(300)는 내솥(2100) 내부의 증기를 조리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0)의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 부재(350)의 하면(350S)은 상기 제3 레벨보다 높은 제4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부재(350)는 포스트(310)의 회전 돌기(315)를 이용한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3 레벨에서부터 제4 레벨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솥 뚜껑(1200)으로부터 노출된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부재(350)는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제3 레벨에서부터 제4 레벨로 이동할 수 있다.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이동 부재(350)는 피스톤(373)의 이동 돌기(373p)를 상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350)의 차단 캡(375)은 포스트(310)의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에에서, 증기 배출 구조체(300)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경우, 조리 시 내솥(2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은 제4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압력은 약 1.0kgf/cm2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 장치(10)가 제4 압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조리 장치(10)는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증기 배출 유로(310H)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솥(2100)의 조리 공간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 장치(10)는 대기압 상태(즉, 무압 모드)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10)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10)는 탑 플레이트(110)의 상부를 덮는 외솥 뚜껑(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솥 뚜껑(1200)은 증기 배출 구조체(300) 및 솔레노이드 밸브(600)를 조리 장치(10)의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솥 뚜껑(1200)은 증기 배출 구조체(300)의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외솥 뚜껑(1200)에 의해 노출된 이동 부재(350)의 일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조리 장치(10)는 회전 커버(400)와 결합되는 핸들(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1300)은 회전 커버(4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체(500)는 핸들(1300)의 회전 이동에 기초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300)의 회전에 의해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제1 가이드 홀(H_G1)에 배치된 경우,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핸들(1300)의 회전에 의해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제2 가이드 홀(H_G2)에 배치된 경우,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와 분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잠금 구조체(500)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회전 커버(400)의 회전에 기초한 잠금 구조체(5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또한,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회전 커버(400)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잠금 구조체(500)는 잠금 플레이트(510), 잠금 돌기(530), 및 잠금 후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후크(550)는 탑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평면적 관점에서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잠금 후크(550)는 내솥(2100)의 플랜지부(2110)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플레이트(510)가 갖는 잠금 가이드 홀(510H)은 상기 잠금 플레이트(5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잠금 플레이트(5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 잠금 가이드 부재(910)는 잠금 플레이트(510)의 잠금 가이드 홀(510H)을 통과하여 탑 플레이트(1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회전 커버(400)는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가이드 홀(H_G1), 및 상기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 이격된 제2 가이드 홀(H_G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홀(H_G1)은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1 거리(D1) 이격된 제1 위치(P1), 제2 위치(P2), 및 제4 위치(P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홀(H_G2)은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2 거리(D2) 이격된 제3 위치(P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커버(4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 커버(400)의 제1 가이드 홀(H_G1) 및 제2 가이드 홀(H_G2)에 대한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구조체(500)의 가이드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거리(D1)로 이격된 제1 가이드 홀(H_G1)의 제1 위치(P1), 제3 위치(P3), 및 제4 위치(P4)에 있을 때,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2100)의 플랜지부(2110)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의 일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돌기(530)가 회전 커버(400)의 회전 중심(RC)으로부터 제2 거리(D2)로 이격된 제2 가이드 홀(H_G1)의 제2 위치(P2)에 있을 ‹š,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후크(550)는 내솥(2100)의 플랜지부(211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잠금 후크(550)는 내솥 커버(210)의 일 부분과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돌기(530)가 제1 가이드 홀(H_G1)의 제1 위치(P1)로부터 제2 가이드 홀(H_G2)의 제2 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및 제1 가이드 홀(H_G1)의 제3 위치(P3)로부터 제2 가이드 홀(H_G2)의 제2 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570)의 잠금 후크(550)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잠금 구조체(500)의 잠금 돌기(530)가 제2 가이드 홀(H_G2)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1 가이드 홀(H_G1)의 제1 위치(P1)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및 제2 가이드 홀(H_G2)의 제2 위치(P2)로부터 제1 가이드 홀(H_G1)의 제3 위치(P3)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잠금 구조체(570)의 잠금 후크(550)는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내솥의 내부와 연결되는 증기 배출 유로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포스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일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증기 차단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차단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
    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차단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로부터 돌출된 상단부에 배치된 이동 돌기를 포함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캡;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레벨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제2 레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차단 캡은 상기 탄성 부재에서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차단 캡이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기 이동 돌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서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회전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차단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에 결합된 회전 커버로서,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 이격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는 상기 회전 커버; 및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내솥의 플렌지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잠금 구조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구조체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잠금 플레이트;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내부에 배치된 잠금 돌기; 및
    상기 잠금 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내솥의 상기 플렌지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1 가이드 홀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내솥의 상기 플렌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잠금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내솥의 상기 플렌지부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8. 내솥을 덮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내솥의 내부와 연결되는 증기 배출 유로를 갖고 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돌기를 갖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포스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갖고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일 부분을 통과하고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증기 차단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증기 차단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증기 배출 구조체;
    상기 탑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회전 커버로서,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된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 이격된 제2 가이드 홀을 갖는 상기 회전 커버; 및
    상기 회전 커버의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 내에 배치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커버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면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솥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구조체;
    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차단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증기 배출 유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로부터 돌출된 상단부에 배치된 이동 돌기를 포함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캡;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레벨, 상기 제1 레벨보다 높은 제2 레벨, 상기 제2 레벨보다 높은 제3 레벨, 및 상기 제3 레벨보다 높은 제4 레벨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차단 캡은 상기 탄성 부재에서 제공된 제1 탄성력으로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2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차단 캡은 상기 탄성 부재에서 제공된 상기 제1 탄성력보다 작은 제2 탄성력으로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3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차단 캡은 상기 탄성 부재에서 제공된 상기 제2 탄성력보다 작은 제3 탄성력으로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3 레벨로부터 상기 제4 레벨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차단 캡이 상기 증기 배출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기 이동 돌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210077032A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KR10247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32A KR102475266B1 (ko)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JP2023575590A JP7510023B2 (ja) 2021-06-14 2022-06-14 調理装置
CN202280038760.4A CN117396109B (zh) 2021-06-14 2022-06-14 烹饪装置
PCT/KR2022/008408 WO2022265359A1 (ko) 2021-06-14 2022-06-14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32A KR102475266B1 (ko)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266B1 true KR102475266B1 (ko) 2022-12-08

Family

ID=8443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032A KR102475266B1 (ko) 2021-06-14 2021-06-14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75266B1 (ko)
CN (1) CN117396109B (ko)
WO (1) WO202226535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738A (ko) * 2012-07-12 2014-01-23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장치
KR101608417B1 (ko) * 2014-10-20 2016-04-01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압력 밥솥용 압력조절장치
JP6774883B2 (ja) * 2017-01-27 2020-10-28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31B1 (ko) * 1999-05-31 2001-12-22 오승환 강제 배출기능을 갖는 압력솥 압력조절밸브
KR100542335B1 (ko) * 2005-07-26 2006-01-1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N101554288B (zh) * 2009-05-08 2012-02-01 美的集团有限公司 压力电饭煲的上盖
KR101209067B1 (ko) * 2010-07-29 2012-12-06 주식회사 리홈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US8869829B2 (en) * 2012-02-08 2014-10-28 Tom Hiroshi Hasegawa Pressure release valve assembly for pressure cooker
CN107536460A (zh) * 2017-05-19 2018-01-05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和用于烹饪器具的加热控制方法
KR102297855B1 (ko) * 2017-09-07 2021-09-03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102193754B1 (ko) * 2019-06-10 2020-12-21 세신퀸센스 주식회사 비산방지캡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20210007290A (ko) * 2019-07-10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뚜껑 개방 시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전기압력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738A (ko) * 2012-07-12 2014-01-23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장치
KR101608417B1 (ko) * 2014-10-20 2016-04-01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압력 밥솥용 압력조절장치
JP6774883B2 (ja) * 2017-01-27 2020-10-28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96109A (zh) 2024-01-12
JP2024521953A (ja) 2024-06-04
CN117396109B (zh) 2024-06-04
WO2022265359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320B1 (en) Device for locking/unlocking a pressure cooker with lug-bayonet type closure
KR101914726B1 (ko) 전기조리기
KR870002530Y1 (ko) 증기 압력솥
US10827870B2 (en) Electric cooker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KR20010075406A (ko) 러그-배요넷(lug-bayonet)의 마감 형태를 가진압력 조리기의 열림 안전 장치
WO2017077571A1 (ja) 加熱調理器及び蓋
KR102475266B1 (ko) 조리 장치
US20120111902A1 (en) Dispensing closure
JP7510023B2 (ja) 調理装置
RU28174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102418394B1 (ko) 조리 장치
KR102418396B1 (ko) 조리 장치
KR102474672B1 (ko) 조리 장치
KR102418395B1 (ko) 조리 장치
KR102418397B1 (ko) 조리 장치
KR102418398B1 (ko) 조리 장치
JP7510022B2 (ja) 調理装置
JP7510024B2 (ja) 調理装置
KR102158281B1 (ko)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KR102347958B1 (ko) 조리기기용 증기 배출 조립체
KR102213161B1 (ko) 조리 장치
ES2561100T3 (es) Aparato de cocción de alimentos a presión que comprende medios de mantenimiento en posición de un órgano de mando
KR102213166B1 (ko)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7493112B2 (ja) 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