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281B1 -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 Google Patents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281B1
KR102158281B1 KR1020190049148A KR20190049148A KR102158281B1 KR 102158281 B1 KR102158281 B1 KR 102158281B1 KR 1020190049148 A KR1020190049148 A KR 1020190049148A KR 20190049148 A KR20190049148 A KR 20190049148A KR 102158281 B1 KR102158281 B1 KR 10215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ressure
vacuum
rotation control
control bod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식
정광순
Original Assignee
김차식
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식, 정광순 filed Critical 김차식
Priority to KR102019004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281B1/ko
Priority to PCT/KR2020/005329 priority patent/WO202021883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16K1/304Shut-off valves with additional means
    • F16K1/306Shut-off valves with additional means with a valve member, e.g. stem or shaft, passing through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16K1/308Conn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는: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용기본체부와, 용기본체부를 덮어주도록 구비되는 뚜껑부외, 용기본체부와 뚜꺼껑부 사이에 형성된 진공 압력을 조절하거나 조리완료 후 진공압력을 해제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수동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A VACUUM PRESSURE VESSEL WITH INTEGRAL PRESSURE CONTROL AND VACUUM RELEASE VALVE}
본 발명은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체부와 뚜껑부 사이에 형성된 진공을 조절하거나 조리 완료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수동밸브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진공 압력이 누설되는 문제와 진공조절 및 진공해제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압력용기는 밥, 찜, 국 등의 조리를 진공을 가하여 수행하기 위해 용기본체부에 조리물을 담고서 뚜껑부를 덮어주어 진공을 가하므로 조리물이 맛있게 데워지거나 익혀지도록 조리를 수행하는 기구이다.
진공압력용기에는 전기밥솥, 진공압력솥, 진공압력냄비등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밤솥, 진공압력솥, 진공압력냄비등에는 진공 압력을 조절하는 진공압력 조절밸브와, 조리 완료시 진공 압력을 해제하는 진공압력 해제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진공압력 조절밸브는 조리를 수행할 때, 일정 입력을 유지하도록 압력이 과도한 경우 증기를 배출하고, 압력이 낮은 경우 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므로 진공압력용기가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해주는 밸브이다.
또한, 진공압력 해제밸브는 조리가 완료되었을 때, 뚜껑부를 용기본체부에서 열어줄 수 있도록 진공을 해제함으로써, 진공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외부 대기압과 같아지도록 진공 압력을 해제하는 밸브를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진공압력용기는 업력을 조절하는 진공압력 조절밸브와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압력 해제밸브가 뚜껑부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로 인해 진공조절 및 해제구조가 복잡 해질 뿐만 아니라, 복잡한 진공조절 및 해제구조로 인해 진공 압력에 누설이 자주 발생되어 진공압력용기의 진공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1796호(2016.09.27, 발명의 명칭: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부와 뚜껑부 사이에 형성된 진공을 조절하거나 조리 완료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수동밸브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진공 압력이 누설되는 문제와 진공조절 및 진공해제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는,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를 덮어주도록 구비되는 뚜껑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와 뚜꺼껑부 사이에 형성된 진공 압력을 조절하거나 조리완료 후 진공압력을 해제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수동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밸브부는, 상기 뚜껑부에 마련되는 고정판에 구비되고, 수용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부재; 상기 뚜껑부에 마련되는 상부뚜껑열판에 구비되고,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측밀폐패킹; 상기 하측밀폐패킹의 하측밀폐면에 상측밀폐면이 안착되어 증기배출구를 차단하여 진공을 유지하도록 밀폐를 수행하는 상측밀폐패킹;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밀폐패킹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하측밀폐패킹의 증기배출구를 차단하거나 상기 용기본체부의 진공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증기를 배출하도록 탄성 수축되는 진공압력조절부;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비되고, 조리 완료시 수동 회전을 통해 상승하여 상기 상측밀폐패킹을 상기 하측밀폐패킹에서 들어올려 진공을 해제하거나 탄성복원력으로 원상태로 회전 및 하강되어 상기 상측밀폐패킹을 상기 하측밀폐패킹에 안착시켜 밀폐하는 진공압력해제부;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압력조절부와 상기 진공압력해제부를 통해 증기를 안내하여 증기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압력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압력조절부는, 상기 상측밀폐패킹의 패킹체결돌기에 결합되는 상측패킹체결부가 상하이동축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스프링내장통이 형성되는 높낮이몸체; 상기 스프링내장통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높낮이몸체를 하강시켜 상기 상측밀폐패킹을 상기 하측밀폐패킹에 밀폐하는 제1탄성스프링; 상기 제1탄성스프링을 삽입 지지하도록 수직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스프링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구비된 제2스프링안착부에 하측이 안착 지지되고, 상기 안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 상기 진공압력해제부에 구비된 회전조절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단차가 점차 낮아지도록 돌출되는 탄성이동경사돌기; 및 상기 제2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 강약을 조절하는 탄성조절가압부재;를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몸체의 내측면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에 형성된 안내홈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높낮이몸체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전방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배출부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높낮이몸체의 상하이동시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높낮이몸체의 상하이동축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격돌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압력배출부재의 끼움구멍과의 접촉마찰력을 줄이고,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의 둘레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높낮이몸체의 스프링내장통에 형성되는 탄성조절걸림돌기가 걸려져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압력해제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되어 회전하고, 상기 진공압력조절부에 구비된 높낮이몸체의 스프링내장통이 수납되는 회전조절몸체;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높낮이몸체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조립홈; 상기 조립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높낮이몸체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프링내장통의 둘레에 경사지게 함몰 형성되는 높낮이경사면부; 상기 회전조절몸체를 수동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놓아주었을 때, 토션력을 에 의해 상기 회전조절몸체를 원래 상태로 탄성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부; 및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부는,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중심끼움돌부에 끼워져 안착되는 토션코일스프링부; 상기 토션코일스프링부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굴곡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상측에 함몰 형성된 회전안착홈부에 설치되는 제1토션걸림부; 상기 토션코일스프링부의 타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굴곡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공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회전시 토션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토션걸림부는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회전에 의한 걸림 및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회전구간 만큼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간섭방지홈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덮개부재의 저면에는 위치유지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에 결합되어 결합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이탈방지덮개부재에는 다수개의 핸들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체결부에 핸들부재가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조절몸체를 간편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재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볼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배출부재에는 상기 볼트체결부에 대응하는 볼트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압력배출부재를 상기 케이스부재의 하측에 볼트 결합으로 고정하고, 상기 압력배출부재에는 상기 하측밀폐패킹이 삽입되는 하측밀폐패킹삽입턱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배출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증기배출관과 연결되는 증기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배출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증기배출유로와 상기 증기배출관의 밀폐를 위한 패킹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재에는 상기 진공압력해제부에 구비된 회전조절몸체가 걸려지는 회전조절몸체삽입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절몸체삽입턱에는 수증기배출방지밀폐링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회전시 밀폐를 유지하여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측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회전조절몸체체결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조절몸체체결돌기가 삽입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조절몸체체결홈을 통하여 삽입되어진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조절몸체체결돌기가 걸려지는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는, 본체부와 뚜껑부 사이에 형성된 진공을 조절하거나 조리 완료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수동밸브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진공 압력이 누설되는 문제와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의 전체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상측에서 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하측에서 본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르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상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조립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하측밀폐패킹이 분해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회전조절몸체와 높낮이몸체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회전조절몸체의 상측에 토션스프링부가 안착된 상세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의 수동밸븝부에서, 압력조절 및 압력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의 전체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상측에서 본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하측에서 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르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상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조립 단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수동밸브부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하측밀폐패킹이 분해된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회전조절몸체와 높낮이몸체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에서, 회전조절몸체의 상측에 토션스프링부가 안착된 상세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의 수동밸브부에서, 압력조절 및 압력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는, 용기본체부(100), 뚜껑부(200) 및 수동밸브부(30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부(100)는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구성으로서, 단일겹으로 이루어지거나 내통과 외통을 포함한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부(200)는 용기몸체부(100)에서 분리되거나 힌지를 통해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부(200)는 후술하는 하측밀폐패킹(320)이 설치되는 상부뚜껑열판(220)과, 연결공(212)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케이스부재(310)가 볼트 결합되는 고정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고정판(210)의 상측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커버하는 상측판이 구비될 수 있다.
수동밸브부(300)는 용기본체부(100)와 뚜껑부(200) 사이에 형성된 진공 압력을 조절하거나 조리완료 후 진공압력을 해제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수동밸브부(300)는 모터 구동을 통해 회전하는 자동밸브와 달리, 사용자가 손으로 핸들부재(570)를 잡고서 돌려 진공압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핸들부재(570)를 놓아줄 때, 토션스프링부(550)의 토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동밸브부(300)는, 케이스부재(310), 하측밀폐패킹(320), 상측밀폐패킹(330), 진공압력조절부(400), 진공압력해제부(500) 및 압력배출부재(60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재(310)는 뚜껑부(200)에 마련되는 고정판(210)에 구비되고, 수용공간부(311)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케이스부재(310)는 상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측밀폐패킹(320)은 뚜껑부(200)에 마련되는 상부뚜껑열판(220)에 구비되고, 증기배출구(32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증기배출구(321)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측밀폐패킹(330)은 하측밀폐패킹(320)의 하측밀폐면(322)에 상측밀폐면(331)이 안착되어 증기배출구(321)를 차단하여 진공을 유지하도록 밀폐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하측밀폐면(322)은 하측밀폐패킹(320)의 상측에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측밀폐패킹(330)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주므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상측밀폐면(331)은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하측밀폐패킹(320)의 증기배출구(321)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진공압력조절부(400)는 케이스부재(310)에 구비되고, 상측밀폐패킹(330)을 탄성 가압하여 하측밀폐패킹(320)의 증기배출구(321)를 차단하거나 용기본체부(100)의 진공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증기를 배출하도록 탄성 조절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진공압력조절부(400)는, 상측밀폐패킹(330)의 패킹체결돌기(332)에 결합되는 상측패킹체결부(411)가 상하이동축(412)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스프링내장통(413)이 형성되는 높낮이몸체(410)와, 스프링내장통(413)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여 높낮이몸체(410)를 하강시켜 상측밀폐패킹(330)을 하측밀폐패킹(320)에 밀폐하는 제1탄성스프링(420)과, 제1탄성스프링(420)을 삽입 지지하도록 수직축(431)이 형성되고, 제1탄성스프링(420)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스프링안착부(432)가 형성되는 안착부재(430)와, 안착부재(430)에 구비된 제2스프링안착부(433)에 하측이 안착 지지되고, 안착부재(4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440)과, 진공압력해제부(500)에 구비된 회전조절몸체(510)의 저면에 회전에 따라 단차가 점차 낮아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탄성이동경사돌기(450)와, 제2탄성스프링(44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탄성이동경사돌기(450)에 접촉되는 탄성강약조절돌기(461)가 형성되어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에 따라 높낮이몸체(410)가 승강할 때 함께 승강하여 제2탄성스프링(440)의 탄성력 강약을 조절하는 탄성조절가압부재(460);를 포함한다.
높낮이몸체(410)의 내측면에는 안내돌기(414)가 형성되어 탄성조절가압부재(460)에 형성된 안내홈(462)이 삽입되어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상하이동을 안내한다.
높낮이몸체(410)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전방지홀(415)이 형성되어 압력배출부재(6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돌기(620)에 끼워져서 높낮이몸체(410)의 상하이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620)와 회전방지홀(415)는 상호 구속되는 상태로 상하측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하이동 가이드 역활을 수행한다.
높낮이몸체(410)의 상하이동축(412)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격돌기(416)가 다수개 형성되어 압력배출부재(600)의 끼움구멍(630)과의 접촉마찰력을 줄인다.
이격돌기(416)는 끼움구멍(630)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면서 이격돌기(416)간의 간격이 증기의 이동통로로 사용되므로, 증기배출유로(66)를 거쳐 증기배출관(610)으로 증기 배출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둘레에는 걸림홈(460)이 형성되어 높낮이몸체(410)의 스프링내장통(413)에 형성되는 탄성조절걸림돌기(417)가 걸려져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높낮이몸체(410)의 스프링내장통(413)에 형성되는 탄성조절걸림돌기(417)가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걸림홈(463)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므로,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상측 이동시 걸림홈(463)이 탄성조절걸림돌기(417)에 걸려져 높낮이몸체(410)의 스프링내장통(413)에서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진공압력해제부(500)는 케이스부재(310)에 구비되고, 조리 완료시 수동 회전을 통해 상승하여 상측밀폐패킹(330)을 하측밀폐패킹(320)에서 들어올려 진공을 해제하거나 탄성복원력으로 원상태로 회전 및 하강되어 상측밀폐패킹(330)을 하측밀폐패킹(320)에 안착시켜 밀폐하는 구성이다.
압력배출부재(600)는 케이스부재(3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진공압력조절부(400)와 진공압력해제부(500)를 통해 증기를 안내하여 증기배출관(610)을 통해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해제부(500)는, 케이스부재(310)의 수용공간부(311)에 설치되어 회전하고, 진공압력조절부(400)에 구비된 높낮이몸체(410)의 스프링내장통(413)이 수납되는 회전조절몸체(510)와, 회전조절몸체(5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520)와, 가이드돌기(520)가 삽입되도록 높낮이몸체(41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조립홈(530)과, 조립홈(530)을 통해 가이드돌기(520)가 삽입되어 저면에 접촉되고,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으로 높낮이몸체(410)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스프링내장통(413)의 둘레에 경사지게 함몰 형성되는 높낮이경사면부(530)와, 회전조절몸체(510)를 수동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놓아주었을 때, 토션력에 의해 회전조절몸체(510)를 원래 상태로 탄성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부(550)와,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결합되고, 토션스프링부(5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덮개부재(560);를 포함한다.
토션스프링부(550)는, 회전조절몸체(510)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중심끼움돌부(511)에 끼워져 안착되는 토션코일스프링부(551)와, 토션코일스프링부(55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굴곡 형성되고,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함몰 형성된 회전안착홈부(512)에 설치되는 제1토션걸림부(552)와, 토션코일스프링부(551)의 타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굴곡 형성되고, 케이스부재(310)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공(313)에 걸림 고정되어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시 토션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걸림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션걸림부(552)와 제2토션걸림부(553)는 수평으로 연결되다가 수직으로 굴곡되어지므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토션걸림부(55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에 의한 걸림 및 간섭을 방지하도록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구간 만큼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간섭방지홈부(513)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구간은 높낮이경사면부(540)에 접촉된 가이드돌기(520)가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높낮이경사면부(540)의 원주방향 이동구간을 지칭한다.
간섭방지홈부(513)는 결합홈부(514)의 깊이에서 제2토션걸림부(532)의 두께 보다 더 깊게 형성됨으로써, 결합홈부(514)에 이탈방지덮개부재(560)의 위치유지돌부(561)를 결합될 때, 위치유지돌부(561)에 걸려지거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조절몸체(5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간섭방지홈부(513)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동밸브부(300)를 작동하여 진공을 해제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핸들부재(570)를 잡고 회전조절몸체(510)를 도면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높낮이몸체(410)의 스프링내장통(413) 둘레에 형성된 높낮이경사면부(540)의 저면에 접촉되어 있는 가이드돌기(520)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높낮이경사면부(540)의 단차에 의해 높낮이몸체(41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이로써, 높낮이몸체(41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측패킹체결부(411)에 결합된 상측밀폐패킹(330)을 하측밀폐패킹(320)에서 분리시켜 증기배출구(321)를 통해 용기본체부(100) 내부의 증기가 압력배출부재(600)의 증기배출유로(660)를 통해 증기배출관(61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므로 본체부(100)의 진공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토션스프링부(550)의 제2토션걸림부(553)는 케이스부재(310)의 장착공(313)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제1토션걸림부(552)는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안착홈부(51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토션코일스프링부(551)를 회전을 통해 오므려지면서 강제적으로 수축되어져 있게 된다.
한편, 회전조절몸체(510)를 회전한 후 진공압력이 해제되면, 핸들부재(570)를 놓아주면, 강제적으로 수축되어져 있던 토션스프링부(550), 특히 토션코일스프링부(551)가 토션력을 회복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있던 높낮이몸체(410)는 제1,제2탄성스프링(420)(4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측밀폐패킹(330)이 하측밀폐패킹(320)에 안착되면서 다시 밀폐를 수행하게 된다.
이탈방지덮개부재(560)의 저면에는 위치유지돌부(561)가 형성되어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홈부(514)에 결합되어 결합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덮개부재(560)는 다수개의 볼트 또는 나사를 통하여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탈방지덮개부재(560)에는 다수개의 핸들체결부(562)가 형성된다.
한편, 핸들체결부(562)에 핸들부재(570)가 결합되므로 회전조절몸체(510)를 간편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부재(570)는 잡는 부분이 일자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십자형상, 원통형상 등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스부재(31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볼트체결부(312)가 형성된다.
압력배출부재(600)에는 볼트체결부(312)에 대응하는 볼트체결공(640)이 다수개 형성되어 압력배출부재(600)를 케이스부재(310)의 하측에 볼트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압력배출부재(600)에는 하측밀폐패킹(320)이 삽입되는 하측밀폐패킹삽입턱(650)이 형성될 수 있다.
압력배출부재(600)의 측면에는 증기배출관(610)과 연결되는 증기배출유로(660)가 형성된다.
증기배출유로(660)는 일측면으로 안내되는 사각형태의 구멍이다.
압력배출부재의 하측에는 증기배출유로(660)와 증기배출관(610)의 밀폐를 위한 패킹커버(670)가 구비된다.
패킹커버(67)는 탄성력이 풍부한 고무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부재(310)에는 진공압력해제부(500)에 구비된 회전조절몸체(510)가 걸려지는 회전조절몸체삽입턱(314)이 형성된다.
회전조절몸체삽입턱(314)에는 수증기배출방지밀폐링(315)이 구비되어 케이스부재(310)에 대해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시 밀폐를 유지하여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하고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부재(310)의 내측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회전조절몸체체결홈(316)이 함몰 형성되어 회전조절몸체(510)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조절몸체체결돌기(515)가 삽입 체결된다.
케이스부재(310)의 하측에는 회전조절몸체체결홈(316)을 통하여 삽입되어진 회전조절몸체(5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회전조절몸체체결돌기(515)가 걸려지는 이탈방지턱(317)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는, 본체부와 뚜껑부 사이에 형성된 진공을 조절하거나 조리 완료시 진공을 해제하기 위해 수동밸브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진공 압력이 누설되는 문제와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용기본체부 200 : 뚜껑부
210 : 고정판 212 : 연결공
220 : 상부뚜껑열판 300 : 구동밸브부
310 : 케이스부재 311 : 수용공간부
312 : 볼트체결부 313 : 장착공
314 : 회전조절몸체삽입턱 315 : 수증기방지밀폐링
316 : 회전조절몸체결홈 317 : 이탈방지턱
320 : 하측밀폐패킹 321 : 증기배출구
322 : 하측밀폐면 330 : 상측밀폐패킹
331 : 상측밀폐면 332 : 패킹체결돌기
400 : 진공압력조절부 410 : 높낮이몸체
411 : 상측패킹체결부 412 : 상하이동축
413 : 스프링내장통 414 : 안내돌기
415 : 회전방지홀 416 : 이격돌기
417 : 탄성조절걸림돌기 420 : 제1탄성스프링
430 : 안착부재 431 : 수직축
432 : 제1스프링안착부 433 : 제2스프링안착부
440 : 제2탄성스프링 450 : 탄성이동경사돌기
460 : 탄성조절가압부재 461 : 탄성강약조절돌기
462 : 안내홈 463 : 걸림홈
550 : 진공압력해제부 510 : 회전조절몸체
511 : 중심끼움돌부 512 : 회전안착홈부
513 : 간섭방지홈부 514 : 결합홈부
515 : 회전조절몸체체결돌기
520 : 가이드돌기 530 : 조립홈
540 : 높낮이경사면부 550 : 토션스프링부
551 : 토션코일스프링부 552 : 제1토션걸림부
553 : 제2토션걸림부 560 : 이탈방지덮개부재
561 : 위치유지돌부 562 : 핸들체결부
570 : 핸들부재 600 : 압력배출부재
610 : 증기배출관 620 : 회전방지돌기
630 : 끼움구멍 640 : 볼트체결공
650 : 하측밀폐패킹삽입턱 660 : 증기배출유로
670 : 패킹커버
:

Claims (10)

  1.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용기본체부(100);
    상기 용기본체부를 덮어주도록 구비되는 뚜껑부(200); 및
    상기 용기본체부(100)와 뚜껑부(200) 사이에 형성된 진공 압력을 조절하거나 조리완료 후 진공압력을 해제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수동밸브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밸브부(300)는,
    상기 뚜껑부(200)에 마련되는 고정판(210)에 구비되고, 수용공간부(311)를 구비하는 케이스부재(310);
    상기 뚜껑부(200)에 마련되는 상부뚜껑열판(220)에 구비되고, 증기배출구(321)가 형성되는 하측밀폐패킹(320);
    상기 하측밀폐패킹(320)의 하측밀폐면(322)에 상측밀폐면(331)이 안착되어 증기배출구(321)를 차단하여 진공을 유지하도록 밀폐를 수행하는 상측밀폐패킹(330);
    상기 케이스부재(310)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밀폐패킹(330)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하측밀폐패킹(320)의 증기배출구(321)를 차단하거나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진공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증기를 배출하도록 탄성 조절되는 진공압력조절부(400);
    상기 케이스부재(310)에 구비되고, 조리 완료시 수동 회전을 통해 상승하여 상기 상측밀폐패킹(330)을 상기 하측밀폐패킹(320)에서 들어올려 진공을 해제하거나 탄성복원력으로 원상태로 회전 및 하강되어 상기 상측밀폐패킹(330)을 상기 하측밀폐패킹(320)에 안착시켜 밀폐하는 진공압력해제부(500); 및
    상기 케이스부재(3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압력조절부(400)와 상기 진공압력해제부(500)를 통해 증기를 안내하여 증기배출관(610)을 통해 배출시키는 압력배출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력조절부(400)는,
    상기 상측밀폐패킹(330)의 패킹체결돌기(332)에 결합되는 상측패킹체결부(411)가 상하이동축(412)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스프링내장통(413)이 형성되는 높낮이몸체(410);
    상기 스프링내장통(413)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높낮이몸체(410)를 하강시켜 상기 상측밀폐패킹(330)을 상기 하측밀폐패킹(320)에 밀폐하는 제1탄성스프링(420);
    상기 제1탄성스프링(420)을 삽입 지지하도록 수직축(4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스프링(420)의 하측부위가 안착되는 제1스프링안착부(432)가 형성되는 안착부재(430);
    상기 안착부재(430)에 구비된 제2스프링안착부(433)에 하측이 안착 지지되고, 상기 안착부재(4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440);
    상기 진공압력해제부(500)에 구비된 회전조절몸체(510)의 저면에 회전에 따라 단차가 점차 낮아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탄성이동경사돌기(450); 및
    상기 제2탄성스프링(44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2탄성스프링(440)의 탄성력 강약을 조절하는 탄성조절가압부재(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몸체(410)의 내측면에는 안내돌기(414)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460)에 형성된 안내홈(462)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높낮이몸체(410)에는 상하로 관통된 회전방지홀(415)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배출부재(6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돌기(620)에 끼워져서 상기 높낮이몸체(410)의 상하이동시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높낮이몸체(410)의 상하이동축(412)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격돌기(416)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압력배출부재(600)의 끼움구멍(630)과의 접촉마찰력을 줄이고,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둘레에는 걸림홈(460)이 형성되어 상기 높낮이몸체(410)의 스프링내장통(413)에 형성되는 탄성조절걸림돌기(417)가 걸려져 상기 탄성조절가압부재(460)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력해제부(500)는,
    상기 케이스부재(310)의 수용공간부(311)에 설치되어 회전하고, 상기 진공압력조절부(400)에 구비된 높낮이몸체(410)의 스프링내장통(413)이 수납되는 회전조절몸체(510);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520);
    상기 가이드돌기(520)가 삽입되도록 상기 높낮이몸체(41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조립홈(530);
    상기 조립홈(530)을 통해 상기 가이드돌기(520)가 삽입되어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으로 상기 높낮이몸체(410)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프링내장통(413)의 둘레에 경사지게 함몰 형성되는 높낮이경사면부(530);
    상기 회전조절몸체(510)를 수동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놓아주었을 때, 토션력에 의해 상기 회전조절몸체(510)를 원래 상태로 탄성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부(550); 및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부(5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덮개부재(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부(550)는,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중심끼움돌부(511)에 끼워져 안착되는 토션코일스프링부(551);
    상기 토션코일스프링부(551)의 일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굴곡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함몰 형성된 회전안착홈부(512)에 설치되는 제1토션걸림부(552);
    상기 토션코일스프링부(551)의 타측단부에서 연장되어 굴곡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재(310)의 둘레에 형성된 장착공(313)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시 토션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걸림부(5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션걸림부(553)는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에 의한 걸림 및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구간 만큼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간섭방지홈부(513)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덮개부재(560)의 저면에는 위치유지돌부(561)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홈부(514)에 결합되어 결합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이탈방지덮개부재(560)에는 다수개의 핸들체결부(562)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체결부(562)에 핸들부재(570)가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조절몸체(510)를 간편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31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볼트체결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배출부재(600)에는 상기 볼트체결부(312)에 대응하는 볼트체결공(640)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압력배출부재(600)를 상기 케이스부재(310)의 하측에 볼트 결합으로 고정하고,
    상기 압력배출부재(600)에는 상기 하측밀폐패킹(320)이 삽입되는 하측밀폐패킹삽입턱(650)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배출부재(600)의 측면에는 상기 증기배출관(610)과 연결되는 증기배출유로(660)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배출부재(600)의 하측에는 상기 증기배출유로(660)와 상기 증기배출관(610)의 밀폐를 위한 패킹커버(6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310)에는 상기 진공압력해제부(500)에 구비된 회전조절몸체(510)가 걸려지는 회전조절몸체삽입턱(31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절몸체삽입턱(314)에는 수증기배출방지밀폐링(315)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재(310)에 대해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회전시 밀폐를 유지하여 수증기의 배출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스부재(310)의 내측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회전조절몸체체결홈(316)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조절몸체체결돌기(515)가 삽입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부재(310)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조절몸체체결홈(316)을 통하여 삽입되어진 상기 회전조절몸체(5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조절몸체체결돌기(515)가 걸려지는 이탈방지턱(3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KR1020190049148A 2019-04-26 2019-04-26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KR10215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148A KR102158281B1 (ko) 2019-04-26 2019-04-26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PCT/KR2020/005329 WO2020218830A1 (ko) 2019-04-26 2020-04-22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148A KR102158281B1 (ko) 2019-04-26 2019-04-26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281B1 true KR102158281B1 (ko) 2020-09-25

Family

ID=7270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148A KR102158281B1 (ko) 2019-04-26 2019-04-26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8281B1 (ko)
WO (1) WO2020218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257B1 (ko) * 2021-04-12 2023-05-26 김영수 부탄가스 체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106B1 (ko) * 2012-02-07 2013-05-16 김차식 전기밥솥
KR20150079426A (ko) * 2014-12-23 2015-07-08 김차식 전기밥솥
KR20160111796A (ko) * 2015-03-17 2016-09-27 (주)삼미통상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0027A (en) * 1992-12-30 1993-08-31 Gits Manufacturing Company Combination relief vent and closure apparatus
JP2016083052A (ja) * 2014-10-23 2016-05-19 ロイチ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1つのバルブで鍋の一定圧力維持及び真空誘導が可能なバルブが取り付けられた調理用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106B1 (ko) * 2012-02-07 2013-05-16 김차식 전기밥솥
KR20150079426A (ko) * 2014-12-23 2015-07-08 김차식 전기밥솥
KR20160111796A (ko) * 2015-03-17 2016-09-27 (주)삼미통상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KR101820078B1 (ko) * 2015-03-17 2018-01-18 (주)삼미통상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8830A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3978B (zh) 电炊具
KR101929425B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장치
CN109222617B (zh) 电炊具
CN103815777B (zh) 具有改进的控制元件的食物压力烹饪器具
CN107752751B (zh) 电烹饪装置
KR102158281B1 (ko)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CN101420892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JP6289414B2 (ja) 調理器
KR100851059B1 (ko) 용기용 밀폐 장치
KR20120039421A (ko) 저진공 조리용기의 밀폐장치
KR101482075B1 (ko) 조리용기의 뚜껑
CN215777424U (zh) 盖体组件及烹饪器具
JP7493112B2 (ja) 調理装置
KR20040077305A (ko) 전기압력밥솥
KR102213166B1 (ko)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418396B1 (ko) 조리 장치
KR101574791B1 (ko) 전기밥솥
CN215272014U (zh) 烹饪器具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KR20010000534U (ko) 압력 및 진공조리기
JP2024520126A (ja) 調理装置
KR102213161B1 (ko) 조리 장치
CN212066468U (zh) 压力烹饪器具
EP1040779B1 (en) Automatic safety device for a pressur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