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305A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305A
KR20040077305A KR1020030012815A KR20030012815A KR20040077305A KR 20040077305 A KR20040077305 A KR 20040077305A KR 1020030012815 A KR1020030012815 A KR 1020030012815A KR 20030012815 A KR20030012815 A KR 20030012815A KR 20040077305 A KR20040077305 A KR 20040077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upling ring
lid
link
pressur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유경상
Original Assignee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7305A/ko
Publication of KR2004007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내솥러그가 마련된 내솥과,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를 개폐하는 외부뚜껑과, 외부뚜껑에 결합되어 내솥을 개폐하는 내부뚜껑을 갖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조작가능한 몸체와,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아암을 가지는 노브와; 노브를 내부뚜껑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지지축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아암이 연결되는 아암연결부를 가지며, 내부뚜껑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아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링크와; 내솥러그와 맞물리는 복수의 결합러그를 가지며, 링크에 연결되어 링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내솥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하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구성 부품수를 단순화하여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뚜껑과 내솥의 개폐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밥솥의 뚜껑에 설치된 회전식 노브를 이용하여 뚜껑을 내솥으로부터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복수의 내솥러그가 마련된 내솥과,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를 개폐하는 외부뚜껑과, 외부뚜껑에 결합되어 내솥을 개폐하는 내부뚜껑과, 내솥러그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는 복수의 결합러그를 갖는 결합링과,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가진다.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은 기기작동시 내솥러그와 결합러그는 상호 맞물려 내솥이 내부뚜껑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므로, 내솥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이 고온 고압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뚜껑에는 기기작동시 내솥의 내부압력을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압력조절밸브와, 기기작동 완료 후 내솥의 내부압력을 해지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를 작동하는 경우 내솥러그와 결합러그를 상호 맞물려 내부뚜껑에 의해 내솥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기기작동을 완료하여 내솥 내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경우 내솥의 내부압력을 해지한 후 내솥러그와 결합러그를 맞물림 해제하여 내부뚜껑을 내솥으로부터 이탈시켜 내솥을 개방한다.
한편, 이러한 내솥과 내부뚜껑의 체결 구조에 대한 전기압력밥솥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073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는, 리드의 상면 측부에 마련되어 좌우로 회동하는 로킹장치와, 리드의 아래에 위치하며 굴곡진 복수의 가이드홈과 곡선진 복수의 회동부가 형성된 가이드링크와,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와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편이 형성된 링크와, 링크가 안착되는 가이드부와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편과 복수의 회동안내 돌기가 형성된 방열판을 마련하여, 로킹장치의 회동에 따라 가이드링크와 링크가 연동하여 방열판(뚜껑)이 밥통(내솥)을 개폐하는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는, 뚜껑과 내솥의 체결구조가 복잡하며, 이에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뚜껑과내솥의 개폐작동시 뚜껑에 마련된 복수의 회동안내 돌기가 각 회동안내부를 따라 동시에 회동하므로, 각 구성 부품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개폐작동효율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수를 단순화하여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뚜껑과 내솥의 개폐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사 완료 후 내솥을 개방하기에 앞서 내솥 내의 잔류 증기를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요부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링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회동제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회동제한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5의 'A'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부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내솥 13 : 내솥러그
15 : 본체 21 : 외부뚜껑
24 : 제1슬롯 25 : 노브
27 : 몸체 29 : 아암
31 : 지지축 41 : 압력추 밸브
51 : 내부뚜껑 71 : 링크
79 : 수용부 79a : 제2슬롯
81 : 아암연결부 85 : 결합링
87 : 결합러그 89 : 접촉부
89a : 경사면 91 : 승강로드
101 : 회동제한부 103 : 바아
105 : 바아지지판 107 : 스프링
109 : 보조시일 111 : 브래킷
111a : 수용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내솥러그가 마련된 내솥과,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개폐하는 내부뚜껑을 갖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회전 조작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아암을 가지는 노브와; 상기 노브를 상기 내부뚜껑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아암이 연결되는 아암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뚜껑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아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링크와; 상기 내솥러그와 맞물리는 복수의 결합러그를 가지며,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상기 내솥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하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내부뚜껑과 편심을 이루도록 하여, 외부뚜껑 상에 배치되는 각 기기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외부뚜껑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의 수용부에는 원호형상의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링크의 회전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부뚜껑에 마련되어 상기 내솥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추 밸브가 개방되도록 상기 압력추 밸브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로드와, 상기 결합링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접촉하며 상기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취사 완료 후 내부뚜껑을 내솥으로부터 이탈시켜 내솥을 개방하기에 앞서 내솥 내의 잔류 증기를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결합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가 슬라이딩하며 승강하도록 상기 결합링의 판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링이 상기 내솥과 맞물림 해제될 때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압력추 밸브에 대해 상승하여 상기 압력추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링과 상기 내솥이 맞물림되어 취사시 상기 결합링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제한부는, 바아와, 상기 바아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뚜껑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바아지지판과; 상기 바아의 외주 일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내부뚜껑에 수용되어, 상기 바아지지판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바아지지판의 저부에 밀착되어, 상기 내솥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내솥 내의 증기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바아지지판을 상승시키는 보조시일과; 상기 결합링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뚜껑을 향해 관통된 수용공을 가지며, 상기 바아가 상기 수용공에 수용 및 수용해제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10)은, 복수의 내솥러그(13)가 마련된 내솥(11)과, 내솥(11)을 수용하는 본체(15)와, 본체(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15)를 개폐하는 외부뚜껑(21)과, 외부뚜껑(21)에 결합되어 내솥(11)을 개폐하는 내부뚜껑(51)과, 내솥러그(13)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는 복수의 결합러그(87)를 갖는 결합링(85)을 가진다.
내솥(11)은 상부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개구 영역의 둘레에는 후술할 결합링(85)의 결합러그(87)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는 복수의 내솥러그(13)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15)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17)과, 외부케이싱(17) 내에 단열재 충전간격을 두고 수용되어 내솥(1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19)과, 외부케이싱(17)과 내부케이싱(19) 사이에 마련되어 내솥(11)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미도시)를 가진다.
외부뚜껑(21)의 하부에는 지지판(23)이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23)은 외부뚜껑(21)과 함께 소정의 부품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지지판(23)에는 후술할 링크(71)의 아암연결부(81)가 관통 수용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원호형상의 제1슬롯(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슬롯(24)은 노브(25)의 회전에 따른 후술할 아암(29)의 회전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제1슬롯(24)의 폭은 결합링(85)의 결합러그(87)와 내솥(11)의 내솥러그(13)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는 아암연결부(81)의 이동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뚜껑(21)과 지지판(23) 사이에는 후술할 결합링(85)을 회전시켜 내솥(11)을 개폐하는 노브(25)가 마련되어 있으며, 노브(25)의 상단부는 파지가능하도록 외부뚜껑(2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노브(25)는, 회전 조작가능한 원통형상의 몸체(27)와, 몸체(27)의 일측 둘레로부터 돌출되어 몸체(27)와 함께 회전하는 아암(29)을 가진다. 몸체(27)는 후술할 내부뚜껑(51)의 지지축결합부(57)에 지지축(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아암(29)은 후술할 링크(71)의 아암연결부(81)와 연결된다. 지지축(31)은 내부뚜껑(51)과 편심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외부뚜껑(21) 상에 배치되는 각 기기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외부뚜껑(21)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뚜껑(21)에는 기기작동 완료 후 내솥(11)의 내부압력을 해지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33) 등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뚜껑(21)에는 내솥(11) 내의 잔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추 밸브(41)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추 밸브(41)가 설치되는 영역의 외부뚜껑(21)과 지지판(23) 사이에는 내솥(11)으로부터 후술할 증기유출구(55)를 거쳐 유입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증기배출유로(43)가 형성되어 있다. 증기배출유로(43)와 인접한 영역에는 압력추 밸브(41)의 하부면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여 증기배출유로(43)를 개폐하는 후술할 승강로드(91)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로드안내부(4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부뚜껑(21)의 일측에는 외부뚜껑이(21) 본체(15)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47)와 스프링(49)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외부뚜껑(21)은 본체(15)에 대해 회동하며 본체(15)를 개폐하게 된다.
내부뚜껑(51)은 원반형상을 가지며, 내부뚜껑(51)의 원주 둘레에는 내솥(11)과의 밀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용 패킹(53)이 마련되어 있다. 내솥(11)을 향하는 판면, 즉 내부뚜껑(51)의 하부면에는 증기를 유출하도록 각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내솥(11) 내의 잔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추 밸브(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뚜껑(51)에 형성된 증기유출구(55)와 연통되어 있다. 한편, 내부뚜껑(51)의 상부면에는 노브(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31)이 결합되는 지지축결합부(57)와, 후술할 링크(7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결합부(59)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축결합부(57) 및 링크결합부(59)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축결합부(57)는 후술할 링크(71)의 수용부(79)에 수용 결합되고, 링크결합부(59)는 링크(71)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회전축(61)에 의해상호 결합되어 있다. 또한, 내부뚜껑(51)의 상부 원주 둘레에는 후술할 결합링(85)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부(6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노브(25)와 내부뚜껑(51) 사이에는 아암(2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노브(25)의 회전운동을 결합링(85)에 전달하는 링크(71)가 마련되어 있다. 링크(71)의 일단부에는 내부뚜껑(51)의 링크결합부(59)에 회전축(6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결합부(73)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체결수단으로서 볼트(75)에 의해 결합링(85)과 결합되는 결합링결합부(77)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링크(71)는 링크결합부(59)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링크(71)의 회전축결합부(73)와 결합링결합부(77) 사이에는 지지축(31)을 수용하는 수용부(79)와, 아암(29)이 연결되는 아암연결부(81)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79)에는 지지축(31)이 결합된 지지축결합부(57)가 관통 수용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원호형상의 제2슬롯(79a)이 마련되어 있다. 제2슬롯(79a)은 노브(25)의 회전에 따른 링크(71)의 회전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아암연결부(81)는 아암(29)과 연결되어 노브(25)의 회전운동이 전달되도록 링크(71)의 일측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제2슬롯(79a)의 폭은 결합링(85)의 결합러그(87)와 내솥(11)의 내솥러그(13)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는 지지축결합부(57)에 대한 링크(71)의 수용부(79)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링(85)은 링형상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85)의 하부측의 외주에는 내솥러그(13)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하도록 내향 절곡된 복수의 결합러그(87)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결합링(85)의상부측 일 영역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결합링(85)의 내주로부터 연장된 접촉부(89)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89)는 결합링(85)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승강로드(91)가 슬라이딩하며 승강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85)의 상부 판면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89a)을 가진다.
결합링(85)의 접촉부(89)와 압력추 밸브(41) 사이에는 결합링(85)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여 압력추 밸브(41)를 개폐하는, 즉 증기배출유로(43)를 개폐하는 승강로드(9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드(91)는 접촉부(89)의 경사면(89a)에 기립 배치되는 바아형상의 로드몸체(93)와, 로드몸체(93)의 상단부로부터 압력추 밸브(41)의 하부면에 가압 및 가압해제하도록 절곡된 가압부(95)를 가진다. 로드몸체(93)는 외부뚜껑(21)과 지지판(23) 사이에 마련된 로드안내부(45)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된다. 여기서, 승강로드(91)는 결합링(85)이 내솥(11)과 맞물림 해제될 때 접촉부(89)의 경사면(89a)을 따라 승강하여, 압력추 밸브(41)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압력추 밸브(41)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결합링(85)과 내솥(11)이 맞물림되어 취사시 결합링(85)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101)를 가진다.
회동제한부(101)는,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103)와, 바아(103)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내부뚜껑(51)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바아지지판(105)과, 바아(103)의 외주 일 영역을 둘러싸며 내부뚜껑(51)에 수용되어 바아지지판(105)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107)과, 바아지지판(105)의 저부에 밀착되어 내솥(11)의 기밀을 유지하며 내솥(11) 내의 증기에 의해 상승하여 바아지지판(105)을 상승시키는 보조시일(109)과, 결합링(85)의 내주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내부뚜껑(51)을 향해 관통된 수용공(111a)을 가지며 바아(103)가 수용공(111a)에 수용 및 수용해제되는 브래킷(111)을 가진다.
보조시일(109)은 신축가능하도록 연속된 파형상을 가지며, 바아지지판(105)의 저부에 밀착되도록 내부뚜껑(51)에 결합되는 시일지지판(113)에 의해 내부뚜껑(51)에 수용되어 있다. 한편, 시일지지판(113)에는 내솥(11) 내의 증기가 보조시일(109)의 저부면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증기안내공(1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결합링(85)과 내솥(11)이 맞물리도록 결합링(8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브래킷(111)의 수용공(111a)이 내부뚜껑(51)에 수용된 바아(103)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내솥(11)을 가열하여 취사를 하면, 내솥(11)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1) 내의 증기가 증기안내공(113a)을 거쳐 보조시일(109)의 저부면을 가압하게 되고, 보조시일(109)은 상방으로 신축하며 바아지지판(105)을 상승시키게 된다. 바아지지판(105)이 상승함에 따라 바아(103)는 상방에 위치한 브래킷(111)을 향해 상승하여 브래킷(111)의 수용공(111a)에 수용된다. 이 때, 스프링(107)은 바아지지판(105)의 상승작용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취사가 완료되어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내솥(11) 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치 이하로 저하하면, 보조시일(109)의 저부면에 가해지는 증기의 압력이 저하되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7)의 인장력에 의해 바아지지판(105)은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바아지지판(105)이 하강함에 따라 바아(103)가 하강하여, 바아(103)는 브래킷(111)의 수용공(111a)으로부터 수용해제된다. 그리고, 결합링(85)과 내솥(11)이 맞물림해제하도록 결합링(85)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솥(11)을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11)의 개폐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1)의 내솥러그(13)와 결합링(85)의 결합러그(87)가 맞물려 내솥(11)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솥(11)이 개방되도록 설명의 편리상 노브(2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노브(25)의 몸체(27)가 지지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아암(2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아암(29)과 연결된 링크(71) 또한 링크결합부(59)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지지판(23)의 제1슬롯(24)의 일단부에 접촉된 아암연결부(81)가 제1슬롯(24)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슬롯(24)의 타단부에 접촉되어, 아암연결부(81)는 더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동시에, 링크(7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슬롯(79a)은 내부뚜껑(51)의 지지축결합부(57)에 고정된 지지축(31)을 수용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슬롯(79a)의 일단부가 지지축결합부(57)에 접촉되어, 링크(71)는 더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링크(71)에 연결된 결합링(85)은 링크(71)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내솥(11)의 내솥러그(13)와 결합링(85)의 결합러그(87)가 맞물림 해제되어 내솥(11)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결합링(85)의 접촉부(89)에 접촉된 승강로드(91)는 결합링(85)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경사면(89a)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승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추 밸브(41)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압력추 밸브(41)를 기울임으로써, 압력추 밸브(41)는 증기배출유로(43)를 개방하여 내솥(11) 내의 잔류 증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내솥(11)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1)의 내솥러그(13)와 결합링(85)의 결합러그(87)가 맞물려 내솥(11)을 폐쇄된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노브(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암(29)과 링크(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 때, 지지판(23)의 제1슬롯(24)의 타단부에 접촉된 아암연결부(81)가 제1슬롯(24)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슬롯(24)의 일단부에 접촉되어, 아암연결부(81)는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동시에, 링크(7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슬롯(79a)은 내부뚜껑(51)의 지지축결합부(57)에 고정된 지지축(31)을 수용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슬롯(79a)의 타단부가 지지축결합부(57)에 접촉되어, 링크(71)는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결합링(85)은 링크(71)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내솥(11)의 내솥러그(13)와 결합링(85)의 결합러그(87)가 맞물림되어 내솥(11)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결합링(85)의 접촉부(89)에 접촉된 승강로드(91)는 결합링(85)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경사면(89a)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하강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추 밸브(41)의 하부면을 가압해제함으로써, 압력추 밸브(41)는 증기배출유로(43)를 폐쇄하여 내솥(11)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내솥(11)을 가열하여 취사를 하면, 내솥(11)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1) 내의 증기가 증기안내공(113a)을 거쳐 보조시일(109)의 저부면을 가압하게 되고, 보조시일(109)은 상방으로 신축하며 바아지지판(105)을 상승시키게 된다. 바아지지판(105)이 상승함에 따라 바아(103)는 상방에 위치한 브래킷(111)을 향해 상승하여 브래킷(111)의 수용공(111a)에 수용되며, 이에 취사 도중에 노브(250를 회전조작하는 경우 결합링(85)은 회동하지 않게 되어, 내솥(11)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취사가 완료되어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내솥(11) 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치 이하로 저하하면, 보조시일(109)의 저부면에 가해지는 증기의 압력이 저하되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7)의 인장력에 의해 바아지지판(105)은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바아지지판(105)이 하강함에 따라 바아(103)가 하강하여, 바아(103)는 브래킷(111)의 수용공(111a)으로부터 수용해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25)를 회전조작하여 결합링(85)과 내솥(11)이 맞물림해제하도록 결합링(85)을 회전시켜 내솥(11)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노브에 돌출된 아암을 마련하고, 아암과 결합링을 연결하며 아암의 회전을 결합링에 전달하는 링크를 마련하여 노브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링의 결합러그와 내솥의 내솥러그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하므로써, 구성 부품수를 단순화하고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또한 뚜껑과 내솥의 개폐작동시 각 구성 부품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뚜껑과 내솥의 개폐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추 밸브의 개폐작동을 결합링과 내솥과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작동에 따라 연동시킴으로써, 취사 완료 후 내솥을 개방하기에 앞서 내솥 내의 잔류 증기를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 부품수를 단순화하여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뚜껑과 내솥의 개폐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이 제공된다. 또한, 취사 완료 후 내솥을 개방하기에 앞서 내솥 내의 잔류 증기를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이 제공된다.

Claims (7)

  1. 복수의 내솥러그가 마련된 내솥과,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개폐하는 내부뚜껑을 갖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회전 조작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아암을 가지는 노브와;
    상기 노브를 상기 내부뚜껑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아암이 연결되는 아암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뚜껑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아암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링크와;
    상기 내솥러그와 맞물리는 복수의 결합러그를 가지며,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내솥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하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내부뚜껑과 편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수용부에는 상기 링크의 회전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원호형상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에 마련되어 상기 내솥 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추 밸브가 개방되도록 상기 압력추 밸브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로드와,
    상기 결합링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접촉하며 상기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결합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가 슬라이딩하며 승강하도록 상기 결합링의 판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링이 상기 내솥과 맞물림 해제될 때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압력추 밸브에 대해 상승하여 상기 압력추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과 상기 내솥이 맞물림되어 취사시 상기 결합링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는,
    바아와,
    상기 바아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뚜껑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바아지지판과;
    상기 바아의 외주 일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내부뚜껑에 수용되어, 상기 바아지지판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바아지지판의 저부에 밀착되어, 상기 내솥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내솥 내의 증기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바아지지판을 상승시키는 보조시일과;
    상기 결합링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뚜껑을 향해 관통된 수용공을 가지며, 상기 바아가 상기 수용공에 수용 및 수용해제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1020030012815A 2003-02-28 2003-02-28 전기압력밥솥 KR20040077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815A KR20040077305A (ko) 2003-02-28 2003-02-28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815A KR20040077305A (ko) 2003-02-28 2003-02-28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305A true KR20040077305A (ko) 2004-09-04

Family

ID=3736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815A KR20040077305A (ko) 2003-02-28 2003-02-28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73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388A (ko) * 2017-07-10 2019-01-18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190006468A (ko) * 2018-08-17 2019-01-18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388A (ko) * 2017-07-10 2019-01-18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CN109222617A (zh) * 2017-07-10 2019-01-18 福库电子株式会社 电炊具
JP2019013743A (ja) * 2017-07-10 2019-01-31 クク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炊飯器
US10736457B2 (en) 2017-07-10 2020-08-11 Cuckoo Electronics Co., Ltd. Electric cooker
KR20190006468A (ko) * 2018-08-17 2019-01-18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KR20210050328A (ko) * 2019-10-28 2021-05-07 (주)쿠첸 압력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3978B (zh) 电炊具
CN109222633B (zh) 电炊具
CN109222617B (zh) 电炊具
CN101420892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KR20040077305A (ko) 전기압력밥솥
KR102158281B1 (ko)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JP7493112B2 (ja) 調理装置
CN210697185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KR102166514B1 (ko) 압력솥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KR102035520B1 (ko)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KR101256993B1 (ko)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KR102299435B1 (ko) 조리기기
KR102418396B1 (ko) 조리 장치
KR102664725B1 (ko)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215777285U (zh) 盖体组件及烹饪器具
KR20220091895A (ko) 전기조리기
CN110870687B (zh) 烹饪器具
KR102213161B1 (ko) 조리 장치
KR0162574B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02213166B1 (ko)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178595Y1 (ko) 전기압력솥
CN217118136U (zh) 烹饪器具
CN218164883U (zh) 一种锅盖组件及压力烹饪器具
CN215272014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