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993B1 -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6993B1 KR101256993B1 KR1020120099466A KR20120099466A KR101256993B1 KR 101256993 B1 KR101256993 B1 KR 101256993B1 KR 1020120099466 A KR1020120099466 A KR 1020120099466A KR 20120099466 A KR20120099466 A KR 20120099466A KR 101256993 B1 KR101256993 B1 KR 1012569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member
- pressure cooker
- sealing
- pressure
- rubber pa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조리가 요구되는 곡물이 배치되며 상단에 둘레를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플렌지를 구비하는 압력솥; 상기 압력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플렌지에 선택적으로 록킹될 수 있는 록킹회전체; 가장자리에 상기 압력솥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는 밀폐면이 마련되고 압력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유통공이 형성되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밀폐부재를 가이드하며 상기 밀폐부재와의 사이에 압력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채워지는 밀폐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록킹회전체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내부커버; 및 상기 록킹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의 밀폐면이 상기 압력솥의 상단과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밀폐부재의 밀폐면이 상기 압력솥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솥에 밀폐부재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한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등의 음식물을 내솥에 수용하고, 상기 내솥의 바닥면이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열판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안착시켜, 상기 열판에 의해 상기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압력밥솥은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방식에 따라, 직접 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과 유도 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으로 나누게 된다.
직접 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은, 내솥의 바닥 저부와 외측면으로 설치된 히터코일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어 내솥을 직접 가열하여 취사 및 보온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유도 가열방식 전기압력밥솥은, 전원을 공급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을 열원부재로 하고, 내솥을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 가능한 재질로 하여 취사 및 보온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직접 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과, 유도 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은 가열방식에 있어 차별성을 갖는 것이지만,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의 내부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만이 다를 뿐, 뚜껑을 비롯한 나머지 구성에 있어서는 같은 것이다.
종래기술의 직접 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과, 유도 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은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 케이스(1)와, 본체 케이스(1) 내부에 안치되도록 하는 내솥(70)과, 본체 케이스(1) 상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뚜껑(3)으로 구성 되어진다.
상기, 본체 케이스(1)는 내솥(70)을 가열시키기 위한 각종 전기장치와, 내솥(7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5)로 구성된다.
여기서, 내솥(70)은 곡물을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수납공간(71)과, 수납공간(71)의 상단 외주연으로 다수개 형성한 체결턱(7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뚜껑(3)은 본체 케이스(1)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아웃커버(10)와, 아웃커버(10)의 핸들 결합홈(13)에 결합되어진 핸들(21)에 의해 작동 하는 잠금수단(20)과, 아웃커버(10)의 저부에 결합되어서 잠금수단(20)의 작동을 안내 하도록 된 인너커버(30)와, 인너커버(30)의 저부에 결합되어서 잠금수단(20)의 통제를 받도록된 록킹링(40)과, 록킹링(40)의 저부에서 핸들축(22)에 체결합되어서 상부의 록킹링(40)을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상부 가열판(50)과, 상부 가열판(50) 저면에 형성한 패킹홈(52)에 삽입되어서 내솥(7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한 패킹(60)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아웃커버(10)는 본체 케이스(1)에 결합하기 위해서 후면 끝단에 형성한 힌지부(11)와, 고압의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면 후방에 형성한 증기 배출부(12)와, 핸들(21)을 결합하기 위해서 상면 전방에 형성한 핸들 결합홈(13)과, 본체 케이스(1)로 부터 뚜껑(3)이 열리게 하기 위해서 전면 끝단에 탄력적으로 형성한 열림버튼(1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잠금수단(20)은 아웃커버(10)의 핸들 결합홈(13)에 결합되어지는 핸들(21)과, 핸들(21)의 저부로 일정길이만큼 형성되어진 핸들축(22)과, 핸들 축(22)에 끼워지도록된 상부와셔(23)및 하부와셔(24)와, 상부와셔(23)및 하부 와셔(24)에 의해 핸들축(22)에 체결되어지는 아암부재(25)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아암부재(25)는 판상체를 직각으로 두번 절곡하여 된것으로서, 일측단에 형성한 축 홈(25a)이 핸들축(22)에 결속되고, 타측에 형성한 돌기 홈(25b)에는 록킹링(40)의 체결 돌기부(41)가 결속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인너커버(30)는 상단면에, 아암부재(25)가 체결된 핸들축(22)을 지지 하는 돌출홈부(31)와, 솔레노이드 밸브용 파이프및 압력추 밸브용 파이프(미도시)가 관통되도록 하는 파이프 관통홈(32)과, 록킹링(40)의 돌기부(41)가 관통되어서 일정각도를 회동하게 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록킹링(40)은 상,하측 끝단면이 턱이 지고 내측면이 트인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으로서, 내솥(70)의 체결턱(72)과 대응되도록 하측 끝단면이 턱이 지게 형성한 하단부 내주연으로 다수개를 형성한 체결홈(42)과, 상측 끝단면이 턱이 지게 형성한 상단부 한 곳에 돌기부(41)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열판(50)은 일정깊이 들어간 판상체 상에, 핸들축(22)을 체결하기 위해서 형성한 축고정부(51)와, 저면 둘레부에 패킹(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 패킹홈(5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부 가열판(50)은 내솥(70)의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기 압력밥솥의 조립 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 케이스(1)에 아웃커버(10)가 힌지결합 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아웃커버(10)에 형성된 핸들 결합홈(13)에 핸들(21)을 결합하도록 한다. 아웃커버(10)를 관통하는 핸들축(22) 상에 상부와셔(23),아암부재(25), 하부 와셔(24)를 순서대로 체결하도록 한다.
그런다음, 인너커버(30)를 결합하도록 하는데, 솔레노이드 밸브용 파이프및 압력추 밸브용 파이프(미도시)와 핸들축(22)이 각각, 파이프 관통홈(32)과 돌출홈부(31)에 일치하여 관통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나서, 록킹링(40)을 체결할 때, 돌기부(41)가 인너커버(30)의 가이드홈(33)를 관통하여 아암부재(25)의 돌기홈(25b)에 끼워지도록한다.
그런다음, 상부 가열판(50)에 형성된 축 고정부(51)에 핸들축(22)이 체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축 고정부(51)와 핸들축(22)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어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부 가열판(50)의 저부에 형성한 패킹홈(52)에 패킹이 결합되도록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공정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공정으로 이루어진 뚜껑(3)을 닫게되면 록킹링(40)의 체결홈(42)과 내솥(70)의 체결턱(72)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는 뚜껑을 자유롭게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상태이며, 이미 취사가 끝난 밥을 보온하는 상태이기도 한것이다. 반면, 취사를 할 때는 취사시에 발생하는 고온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잠금수단(20)이 필요한 것으로서, 이에 따른, 잠금수단(20)의 작용은, 아웃커버(10)의 상부에 결합된 핸들(21)을 잠금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게되면, 핸들축(22)상에 체결된 아암부재(25)가 회동되고, 아암부재(25)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돌기홈 (25b)에 끼움된 록킹링(40)의 돌기부(41)를 가이드홈(33)을 따라 회동 시키게 되면 록킹링(40)은 내솥(70)의 외주연으로 감싸듯 회동하게 되고 록킹링(40)의 체결홈(42)을 제외한 록킹부(43)에 내솥(70)의 체결턱(72)이 완전하게 진입하게 되면 회동이 끝나게 되고, 고온 고압의 취사에서도 충분히 압력을 견뎌내게 되는 것이다.
취사가 끝난 후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의 역순으로 간단히 잠금을 해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압력밥솥은,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내솥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기간 사용시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마모되면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은, 취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패킹을 상부 가열판의 저부에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킹은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뚜껑의 개폐과정에서 쉽게 마모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마모로 인하여 상기 패킹의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취사되는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패킹과 접촉하면서 물방울이 되어 다시 음식물로 떨어지게 되는데, 장기간 사용되어 부식된 패킹은 그 자체로서 오염물이 되기 때문에 이와 접촉한 수증기도 오염이 될 염려가 있게 된다. 특히, 패킹으로 사용되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는 환경호르몬 유발의 염려도 있는 바, 건강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6253호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안치되는 내솥과, 상기 본체 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개방된 본체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전기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플렌지부가 마련되며 상단에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은, 중앙에 원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솥에 안착되며 상기 내솥에 안착되어 접촉되는 하면이 상기 내솥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내부에 마련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이 상기 밀폐부재의 가장자리 단부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부커버; 및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내부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내부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솥의 경사면은 내측을 향하도록 테이퍼지며,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내솥의 경사면과 상기 내부커버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경사면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밀폐면이 형성되어 있어, 취사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원형홀을 통과하여 밀폐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서 상기 내솥과 기밀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 없이 밀폐구조를 가지는 전기 압력밥솥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압력밥솥은 음식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패킹대신에 증기압에 의하여 밀폐를 가능하게 하는 밀폐부재를 마련하고 있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고압으로 밀폐된 내솥으로부터 밀폐부재를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밀폐부재가 통상적으로 금속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고압을 견디기 위하여 일정두께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무거운 밀폐부재를 내솥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밀폐부재가 무거워서 내솥에 결합시키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패킹이 없음은 물론 밀폐부재를 압력솥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한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조리가 요구되는 곡물이 배치되며 상단에 둘레를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플렌지를 구비하는 압력솥; 상기 압력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플렌지에 선택적으로 록킹될 수 있는 록킹회전체; 가장자리에 상기 압력솥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는 밀폐면이 마련되고 압력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유통공이 형성되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밀폐부재를 가이드하며 상기 밀폐부재와의 사이에 압력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채워지는 밀폐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록킹회전체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내부커버; 및 상기 록킹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의 밀폐면이 상기 압력솥의 상단과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밀폐부재의 밀폐면이 상기 압력솥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상기 밀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부재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록킹회전체에 마련되고 록킹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핀이 끼워지며 원주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변화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미끄럼접촉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내부커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커버에는 상기 제1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밀폐부재를 하측으로 가압시키는 탄성가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 내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밀폐부재와 접촉될 수 있는 가압핀;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핀을 밀폐부재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밀폐면에는 상기 압력솥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는 밀폐용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그 사이에 밀폐부재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하측부와,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상기 하측부는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서 상기 밀폐부재가 하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압력솥 내부에서 증기가 발생되는 경우, 그 증기가 접촉되는 상기 밀폐부재의 하면의 단면적보다, 상기 유통공을 통하여 상기 밀폐공간 내에 유입된 증기가 접촉하는 밀폐부재의 상면의 단면적이 커서, 증기가 밀폐부재를 내솥의 상면에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밀폐부재는, 알루미늄, 선철, 구리,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내부커버와 밀폐부재의 사이에는 밀폐공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벨로우즈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은, "C" 형상의 단면을 가지되, 내부커버와 밀폐부재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서 탄성압축 또는 탄성복원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에서,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의 일단은 내부커버의 커버몸체 가장자리에 고정결합되고, 벨로우즈 스프링의 타단은 밀폐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압력식 조리기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6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4의 Ⅷ-Ⅷ 단면도.
도 9는 도 8의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의 취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2의 작동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6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4의 Ⅷ-Ⅷ 단면도.
도 9는 도 8의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의 취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2의 작동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는, 압력솥 내부에 마련된 쌀, 보리 등 각종 곡물 내지 조리가 필요한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전기 압력밭솥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에 의하여 열을 공급받아 조리과정을 진행하는 압력솥일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100)는, 압력솥(110) 내부에 마련된 쌀, 보리 등 각종 곡물 내지 조리가 필요한 재료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전기 압력밭솥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에 의하여 열을 공급받아 조리과정을 진행하는 압력솥(110)일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편의를 위하여 하기에서는 전기 압력밭솥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상기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100)는, 압력솥(110), 록킹회전체(120), 밀폐부재(130), 내부커버(140) 및 위치이동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솥(110)은, 내부에 취사를 위한 쌀 및 물 등이 담겨지는 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력솥(110)의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플렌지(111)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렌지(111)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록킹회전체(120)에 록킹되는 구성이다.
상기 록킹회전체(120)는, 상기 압력솥(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플렌지(111)와 선택적으로 록킹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의 회전수단에 의하여 상기 압력솥(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플렌지(111)에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될 수 있다. 상기 록킹회전체(120)는 고리형상의 상부고리부(121)와, 상기 상부고리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2)와, 상기 절곡부(122)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록킹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고리부(12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홈(1211)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1211)에는 슬라이드부재(151)가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30)는, 가장자리에 상기 압력솥(110)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는 밀폐면(1331)이 마련되고 압력솥(110)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유통공(13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밀폐부재(130)는 내부커버(14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는 것으로서, 대략 원판형상의 원판부(131), 상기 원판부(13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132), 상기 제1절곡부(132)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밀폐부(133), 상기 밀폐부(133)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134) 및 상기 제2절곡부(134)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며 탄성가압부재(155)와 접촉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판부(131)에는 대략 중앙에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통공(1311)이 형성된다. 상기 유통공(1311)은 압력솥(110)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부의 밀폐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대략 4개 정도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위치 및 개수가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밀폐부(133)는, 그 하면에 압력솥(110)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는 밀폐면(1331)이 마련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밀폐면(1331)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밀폐용 돌기(1332)가 마련된다. 상기 밀폐용 돌기(1332)는 대략 하측으로 뒤집어진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절곡부(134)는, 그 내면이 내부커버(140)와 기밀성 있게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절곡부(134)와 내부커버(140) 사이에는 오링(160)과 같이 기밀유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탄성가압부재(155)의 가압핀(1551)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가압핀(1551)에 의하여 눌려서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솥(110)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밀폐부재(130)는 알루미늄, 선철, 구리,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부커버(140)는, 상기 밀폐부재(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밀폐부재(130)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커버(140)과 상기 밀폐부재(130)와의 사이에 압력솥(110)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채워지는 밀폐공간(S)이 마련된다. 이러한 내부커버(140)는 록킹회전체(120) 내에 배치되며 전기압력밥솥의 상부커버(미도시)에 의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140)는 상기 밀폐부재(130)의 밀폐부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의 커버몸체(141)와, 상기 커버몸체(141)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상측으로 세워지는 기밀측벽(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밀측벽(142)의 일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연장부(143)가 마련된다. 이러한 연장부는 3개가 서로 동일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되되, 각각의 연장부(143)에는 슬라이드부재(151)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1관통공(14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공(1431)에는 슬라이드부재(15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140)의 커버몸체(141)에는 상기 제1관통공(1431)의 직상방에 위치하되 상기 제1관통공(143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관통공(1441)이 마련되는 지지부재(14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관통공(1441)에는 슬라이드부재(151)가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51)는 상기 제1관통공(1431) 및 상기 제2관통공(144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수단(150)은, 록킹회전체(1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130)의 밀폐면(1331)이 상기 압력솥(110)의 상단과 접촉하는 제1위치(도 8에 도시된 위치)와, 상기 밀폐부재(130)의 밀폐면(1331)이 상기 압력솥(11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도 10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이동수단(150)은, 슬라이드부재(151), 가이드부재(157)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부재는 상기 밀폐부재(130)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부재(13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한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상측부(152), 상기 상측부(152)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그 사이에 밀폐부재(130)의 가장자리기 끼워지는 하측부(153)와, 상기 상측부(152)와 하측부(153)를 연결하는 연결부(15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측부(153)는 상기 연결부(15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서 상기 밀폐부재(130)가 하측으로 빠져나가거나 하측부(153)에 의하여 걸려 위치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슬라이드부재(151)는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때 하측부(153)가 회전하는 것은 1개의 슬라이드부재(151)이면 되고 나머지 2개를 위치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51)의 상측부(152)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직구멍(1521)과, 상기 수직구멍(1521)을 통과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구멍(15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구멍(1521) 내에는 밀폐부재(130)를 하측으로 가압시키는 탄성가압부재(155)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155)는, 가압핀(1551), 스프링(1552), 막음체(1553)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핀(1551)은 일부가 슬라이드부재(151) 내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15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밀폐부재(130)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스프링(1552)은 상기 가압핀(1551)에 끼워지고 상기 막음체(1553)에 의하여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가압핀(1551)을 밀폐부재(130)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1552)은 가압핀(1551)과 함께 슬라이드부재(151) 내에 배치된다. 상기 막음체(1553)는 상기 스프링(1552)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151) 내에 배치되며 소정의 핀에 의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멍(1522) 내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핀(156)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156)은 돌출된 일부가 슬라이드부재(151)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부재(157)의 슬롯(1571) 내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수평구멍(1522) 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57)는 상기 가이드홈(1211)을 따라서 상측으로 세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재(151)의 가이드핀(156)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157)에는 가이드핀(156)이 끼워지며 원주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변화되는 슬롯(15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571)은 일측은 높이가 낮고 타측은 일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으며 일측과 타측의 사이는 서서히 높이가 증가되도록 구성되고, 슬롯(1571)에는 가이드핀(156)이 미끄럼가능하게 접촉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57)는 슬라이드부재(151)와 대응되는 수만큼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력솥(110) 내부에서 증기가 발생되는 경우, 그 증기가 접촉되는 상기 밀폐부재(130)의 하면의 단면적보다, 상기 유통공(1311)을 통하여 상기 밀폐공간(S) 내에 유입된 증기가 접촉하는 밀폐부재(130)의 상면의 단면적이 커서, 증기가 밀폐부재(130)를 내솥의 상면에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밥솥은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밥과 물과 같은 음식물을 압력솥(110)에 넣은 상태에서 밀폐부재(130) 및 내부커버(140) 및 록킹회전체(120)를 압력솥(1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에, 록킹회전체(120)를 회전시켜 상기 록킹회전체(120)가 압력솥(110)의 플렌지(111)에 록킹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성가압부재(155)는 상기 밀폐부재(130)를 하측으로 눌러 상기 밀폐부재(130)가 1차적으로 상기 압력솥(110)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취사가 진행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가 발생되고 이 발생된 증기는 밀폐부재(130)를 가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증기가 밀폐부재(130)를 하측으로 밀어 그 밀폐부재(130)가 압력솥(110)과 기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밀폐공간(S) 내에서 밀폐부재(130)를 하측으로 누르는 증기압이 하측으로부터 밀폐부재(130)를 상승시키려는 증기압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밀폐부재(130)는 확실하게 내솥에 기밀성이 있도록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에서 내솥과 접촉되는 밀폐용 돌기(1332)는 내솥과 접촉되는 면이 평평하면서도 좁은 면적을 가지고 있어 증기압에 의한 압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밀폐부재(130)와 내솥간의 기밀성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가 다소 내솥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솥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기밀성이 쉽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취사가 완료된 후에, 증기를 일정정도 외부로 빼낸 후(미도시된 내부커버(140)에 배치된 증기배출구를 통하여 배출) 록킹회전체(120)를 회전시키면 상기 록킹회전체(120)의 회전에 따라서 가이드부재(157)의 슬롯(157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51)의 가이드핀(156)은 상기 슬롯(1571)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가이드핀(156)이 상승함에 따라서 슬라이드부재(151)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슬라이드부재(151)에 맞물린 밀폐부재(130)도 상승하여 상기 압력솥(110)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밀폐부재(130)가 압력솥(110)으로부터 이격된 후에는 상기 밀폐부재(130)를 압력솥(11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밀폐부재와 압력솥이 취사과정에서 서로 꽉끼여져 있는 경우에도 록킹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가 서서히 압력솥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밀폐부재를 용이하게 압력솥으로부터 뺄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밀폐부재를 압력솥에 결합하는 과정에서도 밀폐부재가 압력솥에 서서히 접근하도록 함으로서 압력솥과 밀폐부재가 접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내부커버(140)과 밀폐부재(1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밀측벽(142) 및 제2절곡부(134) 사이에 오링을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 스프링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벨로우즈 스프링(161)은, 상기 내부커버(140)와 밀폐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밀폐공간(S)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161)은, "C" 형상의 단면을 가지되, 내부커버(140)와 밀폐부재(130)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서 탄성압축 또는 탄성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벨로우즈 스프링은 그 일단이 내부커버의 커버몸체 가장자리에 고정결합되고, 벨로우즈 스프링(161)의 타단은 밀폐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벨로우즈 스프링(161)은 오링과 달리 면접촉이 없이 내부커버(140)과 밀폐부재(130)을 실링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벨로우즈 스프링(161')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한 형상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압력식 조리기구 110...압력솥
111...플렌지 120...록킹회전체
121...상부고리부 122...절곡부
123...록킹부 130...밀폐부재
131...원판부 1311...유통공
132...제1절곡부 133...밀폐부
1331...밀폐면 1332...밀폐용 돌기
134...제2절곡부 140...내부커버
141...커버몸체 142...기밀측벽
143...연장부 1431...제1관통공
144...지지부재 1441...제2관통공
150...위치이동수단 151...슬라이드부재
152...상측부 153...하측부
154...연결부 155...탄성가압부
1551...가압핀 1552...스프링
1553...막음체 156...가이드핀
157...가이드부재 1571...슬롯
160...오링 161...벨로우즈 스프링
111...플렌지 120...록킹회전체
121...상부고리부 122...절곡부
123...록킹부 130...밀폐부재
131...원판부 1311...유통공
132...제1절곡부 133...밀폐부
1331...밀폐면 1332...밀폐용 돌기
134...제2절곡부 140...내부커버
141...커버몸체 142...기밀측벽
143...연장부 1431...제1관통공
144...지지부재 1441...제2관통공
150...위치이동수단 151...슬라이드부재
152...상측부 153...하측부
154...연결부 155...탄성가압부
1551...가압핀 1552...스프링
1553...막음체 156...가이드핀
157...가이드부재 1571...슬롯
160...오링 161...벨로우즈 스프링
Claims (13)
-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조리가 요구되는 곡물이 배치되며 상단에 둘레를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플렌지를 구비하는 압력솥;
상기 압력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플렌지에 선택적으로 록킹될 수 있는 록킹회전체;
가장자리에 압력솥의 상단면과 마주보는 밀폐면이 마련되고 압력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유통공이 형성되는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밀폐부재를 가이드하며 상기 밀폐부재와의 사이에 압력솥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록킹회전체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내부커버; 및
상기 록킹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밀폐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밀폐부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밀폐면이 상기 압력솥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밀폐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밀폐부재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밀폐면이 상기 압력솥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면에는 상기 압력솥의 상단면에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는 밀폐용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상기 밀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부재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록킹회전체에 마련되고 록킹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핀이 끼워지며 원주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변화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미끄럼접촉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커버에는 상기 제1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밀폐부재를 하측으로 가압시키는 탄성가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 내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밀폐부재와 접촉될 수 있는 가압핀;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핀을 밀폐부재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그 사이에 밀폐부재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하측부와,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부는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서 상기 밀폐부재가 하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솥 내부에서 증기가 발생되는 경우, 그 증기가 접촉되는 상기 밀폐부재의 하면의 단면적보다, 상기 유통공을 통하여 상기 밀폐공간 내에 유입된 증기가 접촉하는 밀폐부재의 상면의 단면적이 커서, 증기가 밀폐부재를 내솥의 상면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알루미늄, 선철, 구리,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와 밀폐부재의 사이에는 밀폐공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벨로우즈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은, "C" 형상의 단면을 가지되, 내부커버와 밀폐부재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서 탄성압축 또는 탄성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조리기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의 일단은 내부커버의 커버몸체 가장자리에 고정결합되고, 벨로우즈 스프링의 타단은 밀폐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식 조리기구.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530589A JP5788603B2 (ja) | 2011-09-15 | 2012-09-13 |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
CN201280055803.6A CN103930007B (zh) | 2011-09-15 | 2012-09-13 | 不具有橡胶衬垫的电饭压力锅和压力锅 |
PCT/KR2012/007339 WO2013039332A2 (ko) | 2011-09-15 | 2012-09-13 | 고무패킹이 없는 전기 압력밥솥 및 압력식 조리기구 |
US14/345,373 US10321782B2 (en) | 2011-09-15 | 2012-09-13 | Electric rice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out a rubber packing |
EP12832591.7A EP2762044B1 (en) | 2011-09-15 | 2012-09-13 | Electric rice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out a rubber packing |
JP2015113451A JP5971826B2 (ja) | 2011-09-15 | 2015-06-03 |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
JP2015113453A JP6045639B2 (ja) | 2011-09-15 | 2015-06-03 |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488 | 2012-08-23 | ||
KR20120092488 | 2012-08-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6993B1 true KR101256993B1 (ko) | 2013-04-26 |
Family
ID=4844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9466A KR101256993B1 (ko) | 2011-09-15 | 2012-09-07 |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699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5759A (ko) * | 2015-03-26 | 2016-10-06 | 세브 에스.아. | 베이오닛 압력 조리기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
US20200405085A1 (en) * | 2019-06-27 | 2020-12-31 | Seb S.A. |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Food With Or Without Press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01621A (ja) | 1997-01-24 | 1998-08-04 | Toshiba Home Technol Corp | 炊飯保温釜 |
KR200196405Y1 (ko) * | 2000-02-25 | 2000-09-15 | 세광알미늄주식회사 |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KR100848866B1 (ko) | 2006-09-18 | 2008-07-29 | (주)토토씨앤이 |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
KR101166253B1 (ko) * | 2011-09-15 | 2012-07-16 | 김우용 | 고무패킹이 없는 전기 압력밥솥 |
-
2012
- 2012-09-07 KR KR1020120099466A patent/KR1012569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01621A (ja) | 1997-01-24 | 1998-08-04 | Toshiba Home Technol Corp | 炊飯保温釜 |
KR200196405Y1 (ko) * | 2000-02-25 | 2000-09-15 | 세광알미늄주식회사 |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KR100848866B1 (ko) | 2006-09-18 | 2008-07-29 | (주)토토씨앤이 |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
KR101166253B1 (ko) * | 2011-09-15 | 2012-07-16 | 김우용 | 고무패킹이 없는 전기 압력밥솥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5759A (ko) * | 2015-03-26 | 2016-10-06 | 세브 에스.아. | 베이오닛 압력 조리기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
KR102472983B1 (ko) | 2015-03-26 | 2022-12-02 | 세브 에스.아. | 베이오닛 압력 조리기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
US20200405085A1 (en) * | 2019-06-27 | 2020-12-31 | Seb S.A. |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Food With Or Without Pressure |
US11992145B2 (en) * | 2019-06-27 | 2024-05-28 | Seb S.A. | Cooking appliance for cooking food with or without press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45639B2 (ja) |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 |
JP6920862B2 (ja) | 改善された安全性を備えた圧力調理器 | |
KR101820113B1 (ko) | 온도센서 및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구 | |
EP2956035B1 (en) | Pressure cooker | |
KR102231033B1 (ko) |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 |
CN102783908A (zh) | 具有降压控制部件的增压烹饪家用设备 | |
KR101904403B1 (ko) | 전기조리기 | |
CN104939665A (zh) | 用于压力下烹饪食物的反向卡口密封器具,以及相应的制造方法 | |
JP2007502637A (ja) | 減圧およびロック/アンロックのための単一の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 |
KR101225101B1 (ko) | 전기 압력밥솥 | |
KR101166253B1 (ko) | 고무패킹이 없는 전기 압력밥솥 | |
KR101256993B1 (ko) | 고무패킹이 없는 압력식 조리기구 | |
CN101420892B (zh) |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 |
CN107374334B (zh) | 易清理黏贴食物的锅具及电加热炊具 | |
US20070235019A1 (en) |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or Steam Cooking | |
KR102330145B1 (ko) |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 |
WO2017056527A1 (ja) | 炊飯器 | |
KR102166514B1 (ko) | 압력솥 | |
JP6273277B2 (ja) | 調理器具のためのリップシール及びリップシールを有する調理器具 | |
KR102165582B1 (ko) |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 |
KR102371735B1 (ko) | 조리 장치 | |
KR102440945B1 (ko) | 조리 장치 | |
KR101362287B1 (ko) | 전기 압력밥솥 | |
KR20160014337A (ko) | 압력솥 | |
KR102213166B1 (ko) | 조리기기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