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126A -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126A
KR20190051126A KR1020170146443A KR20170146443A KR20190051126A KR 20190051126 A KR20190051126 A KR 20190051126A KR 1020170146443 A KR1020170146443 A KR 1020170146443A KR 20170146443 A KR20170146443 A KR 20170146443A KR 20190051126 A KR20190051126 A KR 20190051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ing
temperature
inner pot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윤
황정호
박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7014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126A/ko
Publication of KR2019005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취사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전기압력조리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보다 높으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하여, 가변압력장치와 같은 전기압력조리기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보다 높으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밥솥본체(1) 내부에 내솥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솥(2)은 다시 내뚜껑(2A)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개폐되며, 이와 상부측은 본체뚜껑(1A)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솥(2)과 내뚜껑(2A)은 로킹수단에 의해서 로킹 및 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내솥(2) 상단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에 수개의 러그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내뚜껑(2A) 측에는 상기 본 체뚜껑(1A)에 구비된 회전구(3)와 연동하면서 상기 내솥(2)의 러그와 상응하는 또 다른 수개의 러그를 갖는 로커(3A)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구(3)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호 맞물려짐 또는 어긋남으로 로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함께 상기 내솥(2)과 내뚜껑(2A) 사이의 틈새는 패킹(2B)에 의해서 실링되어 있고, 상기 내솥(2)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솥(2) 내부에 담겨진 조리물(F)을 사용자의 조작부(4) 조작에 의한 동작신호에 따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뚜껑(2A)에는 상긴 가열수단(5)에 의해서 상기 조리물(F)을 가열함에 따라 발생되는 증기에 의한 내솥(2)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내뚜껑(2A) 내외측을 관통하는 식으로 수직관 형태의 증기배출공(6A)을 갖는 밸브(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6)의 상단에는 압력추(7)가 상기 밸브(6)의 증기배출공(6A)을 폐쇄시킨 상태로 얹혀져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2) 내부압력은 상기 압력추(7)의 무게와 상기 증기배출공(6A)의 직경에 따른 상관 관계식으로 사용압력을 결정하도록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의 전기압력밥솥은 먼저, 본체뚜껑(1A)에 구비된 회전구(3)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따라 내뚜껑(2A)의 내솥(2)에 대한 로킹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본체뚜껑(1A)과 함께 상기 내뚜껑(2A)을 열어 내솥(2)을 개방시킨다. 이렇게 상기 내솥(2)이 개방되면 조리물(F)을 상기 내솥(2) 내부에 넣은 후, 다시 내뚜껑(2A) 및 뚜껑본체를 닫은 후, 상기 회전구(3)를 닫힘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솥(2)에 대한 상기 내뚜껑(2A)의 로킹상태로 밀폐시킨 다음, 상기 밥솥본체(1)의 일측에 구비된 조작부(4)를 조작하여 조리를 시작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조작부(4)를 조작하게 된면, 상기 내솥(2) 외측면 수곳에 설치된 가열수단(5)에 의해서 상기 내솥(2) 내부의 조리물(F)이 조리되고, 상긴 내솥(2)에는 증기에 의한 내부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내부압력이 설정압력, 즉 상기 내뚜껑(2A)을 관통하는 식으로 수직설치된 밸브(6)의 증기배출공(6A) 직경과 상기 밸브(6)의 상단에 구비된 압력추(7)의 무게 관계식으로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6)의 압력추(7)는 상기 압력에 의해서 상향으로 들려지면서 상기 밸브(6)의 증기배출공(6A)을 개방시키게 되게 되고, 이 개방된 증기배출공(6A)을 통해 상기 내솥(2)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다시 상기 내솥(2) 내부의 압력의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압력추(7)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상기 증기배출공(6A)을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내솥(2)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내솥(2) 내부의 압력이 압력추(7)에 의해 정해져서 다양한 조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솥(2) 내부의 압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압력밥솥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8994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밥솥은 압력밥솥의 뚜껑 외측으로 형성된 압력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조리하려는 음식물에 적합한 조리압력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조작한 압력스위치의 변위가 계측되며, 상기 압력스위치의 변위 계측정보가 압력밥솥의 중앙처리장치로 전송됨과 더불어,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압력스위치의 변위 정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조리정보가 도출되어 제어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기에서 상기 조리정보에 해당하는 가열온도와 가열시간 등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가 변경한 내솥 내부 최고압력에 따라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변경되고, 상기 내솥에 대한 가열 온도와 시간이 변경되며, 이에 해당하는 정보가 상기 압력밥솥의 외부로 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력밥솥은 사용자가 직접 압력스위치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0342109호에 제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할 경우 연속취사를 하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의 온도가 높아져서 전원을 인가해야되는 시점에도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8994호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03421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속취사시에도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은, 취사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전기압력조리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보다 높으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단계는 내솥의 바닥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리단계는 감지된 온도가 50℃ 이상이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할 수 있다.
상기 조리단계에서 가변압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내솥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 이전에 연속취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연속취사이면 상기 감지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취사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전기압력조리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보다 높으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하여, 가변압력장치와 같은 전기압력조리기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감지단계는 내솥의 바닥의 온도를 감지하여, 별도의 온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감소하고, 제조단가도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단면도(고압으로 설정된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단면도(저압으로 설정된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례에 따른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및 내솥의 바닥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례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례의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는,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조리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가변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내솥 내부의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1) 및 증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체(100)는 전기압력조리기의 뚜껑에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본체(100)와 상기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나, 이와 다르게, 본체(100)는 상기 뚜껑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구(101)는 전기압력조리기의 내솥에 연통되고, 유출구(102)는 외부에 연통된다.
유입구(101)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유입구(10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본체(100)에는 유입구(101)를 둘러싸도록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돌출부(110)는 가변부재(200)의 접촉부(291)에 선접촉된다. 돌출부(110)는 가변부재(200)의 접촉부(291)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부(110)는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10)는 접촉부(291)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10)의 내경은 동일하나 외경은 접촉부(291)를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돌출부(110)의 외주면의 끝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접촉부(291)와 돌출부(1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돌출부(110)의 끝단(111)이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유출구(102)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유출구(102)는 유입구(101)와 교차되는 방향인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유입구(101)는 유출구(102)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체(100)의 상부와 측부에는 유입구(101)와 유출구(102)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 유입관(120)과 유출관(130)이 각각 형성된다.
유출관(130)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유입관(120)은 중간 부분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유입관(120)의 입구 측에는 유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출구 측(유입구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유로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본체(100)에는 가변부재(200)가 설치되는 가변부재 설치홈(104)이 형성된다.
가변부재 설치홈(104)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에 연통된다. 가변부재 설치홈(104)은 유출구(102)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입구(101)의 좌측에 배치된다.
가변부재 설치홈(104)은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본체(100)에는 가변부재 설치홈(104)에 연통되도록 배수홀(103)이 형성된다. 배수홀(103)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홀(103)로 인해 가변부재 설치홈(104) 내부에 밥물이 고이는 것이 방지되어, 위생적이고, 청소를 위해 가변부재(200)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유입구(101)는 가변부재 설치홈(104)의 중간 높이에 배치되어, 유입구(101)의 최저점보다 가변부재 설치홈(104)의 최저점이 낮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배수홀(103)이 막히더라도 가변부재 설치홈(104) 내부의 밥물이 유입구(101)로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배수홀(103)은 가변부재 설치홈(104)의 저부에 배치되어, 유입구(101)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즉, 배수홀(103)은 유입구(10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가변부재 설치홈(104) 내부의 밥물이 유입구(101)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배수홀(103)은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103)과 전기압력조리기에 구비되는 물받이부는 관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배수홀(103)을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물받이부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홀(103)을 통해 배출된 물은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홀(103)은 다이어프램(290)과 본체(100)에서 유입구(101)가 형성된 내벽 사이에 배치된다.
가변부재(200)는 본체(100)의 가변부재 설치홈(104)에 설치되어 전기압력조리기의 내솥의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
가변부재(20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가변부재(200)가 설치되는 뚜껑 등의 상하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가변부재(200)는 코일(210)과, 상기 코일(210)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230)와, 상기 플런저(2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릴리프(280)와, 상기 릴리프(280)와 상기 플런저(230) 사이에 배치되는 릴리프 스프링(270)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변부재(200)는 플런저(230)가 전자기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릴리프 스프링(270)이 수축 또는 이완되어 장력이 조절되게 된다. 이로 인해, 내솥의 내부 압력이 용이하고 미세하게 조절된다. 예를 들어, 코일(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런저(2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릴리프 스프링(270)이 수축되어 릴리프 스프링(270)이 릴리프(280)에 가하는 탄성력은 커지게 되고, 코일(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플런저(2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릴리프 스프링(270)은 이완되어 릴리프 스프링(270)이 릴리프(280)에 가하는 탄성력은 작아지게 되어, 내솥의 내부 압력이 조절되게 된다.
릴리프(280)에는 릴리프 스프링(270)의 일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안착홈은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 안착홈으로 인해 릴리프 스프링(270)이 릴리프(280)에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릴리프(280)는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릴리프(280)는 비자성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솥 내부의 압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코일(21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례의 가변부재(200)는 코일(210)을 둘러싸는 프레임(250)과, 플런저(230)와 프레임(250) 사이에 배치되는 플런저 스프링(240)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250) 내부에 코일(210)이 배치된다.
프레임(250)은 본체(100)의 좌측에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250)과 플런저(230) 사이에는 코어(22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230)에는 플런저 스프링(240)의 일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안착홈은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플런저 스프링(240)의 타단은 프레임(250)에 대해 고정되는 코어(220)에 의해 지지된다.
플런저 스프링(240)과 릴리프 스프링(27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압축 스프링을 사용한다.
플런저 스프링(240)과 릴리프 스프링(270)은 직렬로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1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런저(230)도 본체(100)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21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런저 스프링(240)과 릴리프 스프링(270)의 장력으로 압이 형성된다. 즉, 코일(21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솥의 내부 압력은 고압(예를 들어 2.0 bar)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코일(21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에도 내솥 내부의 압력이 형성되어 전력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변형량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스프링 자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1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플런저(230)의 위치가 고정되어 릴리프 스프링(270)의 장력으로 압이 형성되어, 내솥의 내부 압력은 저압(예를 들어 1.2bar)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저압으로 설정될 경우에는 플런저(230)는 코어(220)에 밀착되도록 초기에 이동된다.
플런저 스프링(240)의 장력과 릴리프 스프링(270)의 장력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 스프링(240)의 장력은 릴리프 스프링(270)의 장력보다 클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플런저 스프링(240)의 장력은 릴리프 스프링(270)의 장력보다 작을 수 있다.
가변부재(200)는 본체(100)에 선접촉되어 유입구(101)를 막는 접촉부(291)를 포함한다.
접촉부(291)는 릴리프(280)와 별도로 구비되어 릴리프(280)의 끝단(일단)에 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접촉부(291)는 릴리프(28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접촉부(291)는 다이어프램(29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릴리프(280)에는 다이어프램(290)이 설치된다.
접촉부(291)의 일측(우측)에는 본체(100)에 접촉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접촉부(291)의 타측(좌측)에는 릴리프(280)의 끝단에 형성된 릴리프 플랜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접촉부(291)에서 본체(100)에 접촉되는 면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원호형상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접촉부(291)의 외경은 돌출부(110)의 내경(유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릴리프 플랜지의 외경은 접촉부(291)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릴리프 플랜지의 외경보다 돌출부(110)의 내경은 작다. 릴리프 스프링(270)의 외경보다 돌출부(110)의 내경은 작다.
접촉부(291)의 상하 폭(외경)은 릴리프(280)의 상하폭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접촉부(291)는 돌출부(110)의 끝단(111)에 선접촉된다. 접촉부(291)가 면접촉될 경우 미세한 기울임이 있거나 고르지 못할 경우 그 부위로 증기가 누설되어 일정한 기압을 유지해 줄 수 없으나, 본 실시례의 접촉부(291)는 본체(100)에 선접촉되어 유입구(101)를 막아서, 기밀이 향상되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290)은 상기 코일(210)과 본체(100)의 유입구(10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210) 쪽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변부재(200)가 보호된다.
다이어프램(290)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고정부(293)와, 고정부(293)와 접촉부(291)를 연결하는 연결부(292)와, 접촉부(291)를 포함한다.
접촉부(291)의 두께는 고정부(293)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고정부(293)의 두께는 연결부(292)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연결부(292)는 탄성변형 되는 부분이다. 접촉부(291)와 연결부(292)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92)는 탄성변형이 잘 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접촉부(291)는 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가변부재 설치홈(104) 둘레에 고정부(293)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다이어프램(290)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가변부재(200)는 릴리프(280)의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261)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퍼(261)로 인해 릴리프(280)의 행정거리가 제한되어, 내솥의 내부 압력이 떨어지거나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취사 중 원하는 압력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토퍼(261)는 릴리프(28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하우징(260)에 형성된다.
하우징(260)은 원통형상의 가이드부(262)와, 가이드부(262)의 일단 외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63)와, 가이드부(262)의 타단 내측에 형성되는 스토퍼(261)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62)는 내부에 릴리프(280)가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가이드부(262)는 릴리프(280)를 직선으로 안내한다. 가이드부(262)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측이 코일(2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공의 일부가 코일(210)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토퍼(261)는 코일(210)의 양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62)로 인해 릴리프(28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플랜지(263)는 코일(210)과 본체(100)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100)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코일(210)과 다이어프램(290)의 고정부(293)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210)과 플랜지(263) 사이에는 중심부에 가이드부(262)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도넛 형상의 플레이트가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본체(10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부(미도시)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50)에는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되는 제3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제1,2,3체결부에는 볼트 등이 체결되어, 프레임(250)과 상기 플레이트는 본체(100)에 고정 설치된다.
스토퍼(261)는 가이드부(262)의 내벽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261)는 내경이 릴리프(280)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릴리프 스프링(270)의 외경보다는 크도록 형성된다.
스토퍼(261)는 플런저(230)의 우측과 릴리프(280)의 좌측 사이에 배치된다. 플런저(230)의 우측은 스토퍼(261)에 걸릴 수 있다. 릴리프(280)의 좌측은 스토퍼(261)에 걸린다.
스토퍼(261)는 릴리프 스프링(27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릴리프 스프링(270)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릴리프 스프링(270)을 보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토퍼(261)에서 릴리프(280)가 접촉하는 면은 릴리프 스프링(27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리를 하면 내솥 내부의 증기는 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되어 유입구(101)에 도달하게 된다. 내솥 내부의 압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증기가 유입구(101)를 막고 있던 접촉부(291)를 누르게 되어 본체(100)와 접촉부(291) 사이가 이격되어 유입구(101)가 열리게 된다. 이로 인해, 내솥 내부의 증기는 유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증기가 접촉부(291)를 가압할 때 릴리프(28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플런저 스프링(240) 및/또는 릴리프 스프링(270)이 수축된다. 고압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플런저(230) 및 릴리프(280)가 슬라이딩가능하므로 플런저 스프링(240) 및 릴리프 스프링(270)이 수축되고, 저압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플런저(230)는 고정되고 릴리프(280)만 슬라이딩가능하므로 릴리프 스프링(270)이 수축된다. 릴리프(28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일정 거리 이상 슬라이딩되면 스토퍼(261)에 걸려서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릴리프(280)의 행정거리가 제한되어 내솥 내부의 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내솥 내부의 압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 이하이면 유입구(101)는 플런저 스프링(240) 및/또는 릴리프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291)에 의해 막힌 상태가 유지되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접촉부(291)와 본체(100)는 선접촉되어 기밀이 향상되어 증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내솥 내부의 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증기를 배출한 후에 가변부재 설치홈(104)에 고인 물은 배수홀(103)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례의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은, 취사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전기압력조리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보다 높으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솥 내부의 압력 및 취사 등은 전기압력조리기의 본체 또는 뚜껑에 설치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값은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값에 따라 전기압력조리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조리한다.
내솥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선택하면 찰진밥이 되고, 저압으로 선택하면 찰기가 없고 고슬고슬한 밥이 된다. 고압을 선택하면 저압을 선택하는 경우보다 내솥의 내부 최고압력이 더 높게 설정된다.
본 실시례의 가변압력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저압으로 유지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고압으로 유지된다.
상기 입력단계에서 사용자가 고압밥을 선택할 경우에는 정해진 고압밥 조리 공정에 따라 조리된다.
상기 입력단계에서 사용자가 저압밥을 선택할 경우에는 상기 감지단계 이전에 연속취사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연속취사는 1차 취사 종료 후 정해진 시간 이내에 2차 취사가 진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연속취사가 될 경우 열기가 전기압력조리기에 남아 있게 된다.
연속취사가 아니면 정해진 저압밥 조리 공정에 따라 조리된다.
연속취사이면 전기압력조리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단계는 바텀센서(BS)를 통해 내솥의 바닥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리단계는 복수 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단계는 불림공정, 1차 가열공정, 지연공정, 2차 가열공정, 뜸 공정을 포함한다.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예를 들어 50℃) 이상이면 불림공정 시간을 기준 시간보다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한다. 이와 같이 길어진 불림공정으로 인해 가변압력장치와 같은 각 부품의 온도도 하강하게 된다.
가변압력장치의 측면의 온도가 45℃ 이하일 경우 초기 인가 전압값과 동일한 전압값으로 전원이 인가되며, 50℃이상일 경우 초기 전압값보다 높은 전압값에서 전원이 인가된다. 즉, 가변압력장치의 측면의 온도가 높으면 전원인가시점에 전원이 비인가된다. 그러나, 본 실시례는 불림공정시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여 가변압력장치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인가시점에 전원이 비인가되는 것이 방지되고 각 부품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정해진 값은 실험 등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가 될 수도 있다.
도 4는 저압밥을 연속 취사할 때 바텀센서(BS)를 통해 감지된 내솥의 바닥의 온도(파란색)와 가변압력장치의 측면(붉은색)과 가변압력장치의 바닥(연두색)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차 취사시 각 공정에서 가변압력장치의 바닥과 측면의 온도와, 내솥 바닥의 온도는 다음과 같다.
불림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바닥과 측면의 온도는 30도 미만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약 40℃가 된다. 1차 가열 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의 온도가 130℃이상까지 올라가게 되고, 가변압력장치의 바닥의 온도는 100℃이상이 되며,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116℃이상까지 오르게 된다. 지연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 및 바닥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약 106℃까지 떨어진다. 2차 가열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의 온도가 148℃이상까지 증가하며, 가변압력장치의 바닥의 온도는 약 120℃까지 증가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124℃까지 올라간다. 뜸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 및 바닥의 온도는 42℃까지 감소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42℃까지 감소한다.
연속되는 2차 취사시 각 공정에서 가변압력장치의 바닥과 측면의 온도와, 내솥 바닥의 온도는 다음과 같다.
불림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바닥과 측면의 온도는 30℃까지 감소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38℃가 된다. 1차 가열 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의 온도가 136℃까지 올라가게 되고, 가변압력장치의 바닥의 온도가 106℃까지 오르게 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116℃까지 오르게 된다. 지연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가변압력장치의 바닥의 온도는 약 106℃로 유지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106℃로 떨어진다. 2차 가열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의 온도는 144℃까지 상승했다가 떨어지고, 가변압력장치의 바닥의 온도는 102℃로 떨어지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는 122℃까지 상승한다. 이와 같이 1차 취사시의 가변압력장치의 측면 및 바닥의 최고온도보다 2차 취사시의 가변압력장치의 측면 및 바닥의 최고온도가 낮다. 뜸공정에서는 가변압력장치의 측면 및 바닥의 온도가 42℃까지 감소하고, 내솥의 바닥의 온도도 감소한다.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예를 들어 50℃) 미만이면 기준 시간만큼만 불림공정을 진행한다.
불림공정시에는 상기 가변압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어서 1차 가열공정을 진행한다. 1차 가열공정시 가변압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내솥의 내부 압력이 저압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어서 지연공정을 진행하고, 지연공정시 상기 가변압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어서 2차 가열공정시 상기 가변압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내솥의 내부 압력이 저압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어서 뜸 공정시에는 상기 가변압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01: 유입구
102: 유출구 103: 배수홀
104: 가변부재 설치홈 110: 돌출부
120: 유입관 130: 유출관
200: 가변부재 210: 코일
220: 코어 230: 플런저
240: 플런저 스프링 250: 프레임
260: 하우징 261: 스토퍼
262: 가이드부 263: 플랜지
270: 릴리프 스프링
280: 릴리프 290: 다이어프램
291: 접촉부 292: 연결부
293: 고정부

Claims (5)

  1. 취사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전기압력조리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감지된 온도가 정해진 값보다 높으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는 조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내솥의 바닥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리단계는 감지된 온도가 50℃ 이상이면 불림공정 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늘려서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단계에서 가변압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내솥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 이전에 연속취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연속취사이면 상기 감지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1020170146443A 2017-11-06 2017-11-06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20190051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43A KR20190051126A (ko) 2017-11-06 2017-11-06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43A KR20190051126A (ko) 2017-11-06 2017-11-06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26A true KR20190051126A (ko) 2019-05-15

Family

ID=6657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43A KR20190051126A (ko) 2017-11-06 2017-11-06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1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43A (ko) * 2019-10-17 2021-04-27 (주)쿠첸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5842A (ko) * 2019-10-17 2021-04-27 (주)쿠첸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70839A (ko) 2021-11-15 2023-05-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iR­126과 편백오일의 나노에멀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09Y1 (ko) 2003-11-27 2004-02-14 주식회사 노비타 압력조절형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638994B1 (ko) 2005-03-12 2006-10-25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압력변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09Y1 (ko) 2003-11-27 2004-02-14 주식회사 노비타 압력조절형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638994B1 (ko) 2005-03-12 2006-10-25 쿠쿠전자주식회사 압력밥솥의 압력변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43A (ko) * 2019-10-17 2021-04-27 (주)쿠첸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5842A (ko) * 2019-10-17 2021-04-27 (주)쿠첸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70839A (ko) 2021-11-15 2023-05-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iR­126과 편백오일의 나노에멀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KR101985479B1 (ko) 전기조리기
KR20190051126A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101820113B1 (ko) 온도센서 및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구
JP6410956B2 (ja) 加熱調理器及び蓋
KR101018017B1 (ko) 커버 모듈을 구비한 압력 조리 기구
JP5952080B2 (ja) 加熱調理器
CN101420892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KR20190051127A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20150078969A (ko) 전기밥솥
KR20190004391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KR20190003891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KR20190004392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KR2019000439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KR20190004393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가변압력장치
JP2014171818A (ja) 炊飯器
KR100827406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비복귀형 증기 배출장치
JP6204326B2 (ja) 加熱調理器
KR101574791B1 (ko) 전기밥솥
JP2006280540A (ja) 圧力調理方法とそれを行う電気圧力炊飯器
KR101738479B1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US20240057804A1 (en) Cooking device
KR100674509B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JPH07102189B2 (ja) 電気貯湯容器
KR101618065B1 (ko)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