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065B1 -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065B1
KR101618065B1 KR1020140176210A KR20140176210A KR101618065B1 KR 101618065 B1 KR101618065 B1 KR 101618065B1 KR 1020140176210 A KR1020140176210 A KR 1020140176210A KR 20140176210 A KR20140176210 A KR 20140176210A KR 101618065 B1 KR101618065 B1 KR 10161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n
elastic
pressure
stea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택
Original Assignee
(주)힌지코리아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힌지코리아,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힌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7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전기조리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시 일정 이상의 압력에서 증기를 배출하되 제품의 설치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솥 내부의 이상고압 발생시 증기를 비상 배출하기 위해 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구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증기배출구와 대향되도록 중공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외주에 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고정홈의 하부에 구속부가 형성되는 압력핀; 상기 압력핀을 탄발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고정홈에 탄발 삽입되어 상기 압력핀의 하방 이동을 구속하되 상기 압력핀의 상승시 탄발 변형되어 상기 증기배출구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속부에 걸림되는 탄성스토퍼; 및 상기 압력핀의 하부에 구비되는 압력패킹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apparatus for exhausting steam of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조리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시 일정 이상의 압력에서 증기를 배출하되 제품의 설치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음식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기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조리기는 음식물이 수용된 내솥을 열판이나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여 그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이 일례이다.
상기 전기압력밥솥 뚜껑에는 내솥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증기배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뚜껑에 형성된 증기배출유로에 구비되며, 취사 진행 중 내솥의 압력이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면 증기배출유로를 개방하고, 내솥의 압력이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하면 증기배출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기계적 구조 결함이나 전기적 작동 오류가 발생된 경우에 내솥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전기압력밥솥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내솥 내부의 압력으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증기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비복귀 방식의 증기배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비복귀 방식의 증기배출장치는 증기배출구의 외곽을 감싸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내솥의 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압력핀, 상기 하우징과 압력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핀을 증기배출구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 그리고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된 탄성스토퍼로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압력핀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솥의 압력으로 압력핀이 상승되면 탄성스토퍼의 단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 걸림턱에 삽입되며, 상기 압력핀은 탄성스토퍼의 단부에 구속되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증기배출장치는 압력핀, 스프링부재, 하우징, 탄성스토퍼로 구성된 각 부품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증기배출구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조립 및 설치, 그리고 증기배출장치의 교체나 수리를 위한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부품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압력핀의 하단 위치가 증기배출구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 부품이 조립되어야 하므로 조립 난이도가 증가하고 재조립 및 설치시 압력핀의 하부 위치가 증기배출구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탄성스토퍼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압력핀의 걸림턱 방향으로 정확하게 작용하지 못하여 압력핀의 구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증기배출 중 압력핀이 하강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압력핀의 안정적인 구속을 위해 탄성스토퍼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게 되면 탄성스토퍼의 가압력으로 압력핀이 삐뚤어져 하우징 내부에 걸려 고정되는 등 증기배출을 위한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탄성스토퍼가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제품의 설치 후 외뚜껑의 다른 부품들이 장착되거나 구동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4233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조리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시 일정 이상의 압력에서 증기를 배출하되 제품의 설치편의성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솥 내부의 이상고압 발생시 증기를 비상 배출하기 위해 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구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증기배출구와 대향되도록 중공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외주에 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고정홈의 하부에 구속부가 형성되는 압력핀; 상기 압력핀을 탄발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고정홈에 탄발 삽입되어 상기 압력핀의 하방 이동을 구속하되 상기 압력핀의 상승시 탄발 변형되어 상기 증기배출구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속부에 걸림되는 탄성스토퍼; 및 상기 압력핀의 하부에 구비되는 압력패킹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고정홈의 상부는 상기 탄성스토퍼의 상부에 걸림되는 구속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고정홈의 하부는 상기 탄성스토퍼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에는 상기 압력핀의 외주에 돌설된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도록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스토퍼는 상기 압력핀의 양측부에 상호 대향 배치되며, 상기 압력핀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토퍼와 대면되는 양측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되되 외측테두리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유도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는 탄성복원력을 형성하도록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스토퍼구속부 상면에 돌설된 구속돌기에 거치되는 코어부와, 상기 압력핀의 외주를 가압하도록 상기 코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부에 돌설된 고정돌기에 지지되도록 상기 코어부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증기배출구의 개방상태 유지를 위한 구속부의 상부에 탄성스토퍼가 임시 구속되는 가고정홈이 형성되므로 압력핀을 가이드부 내부로 밀어 넣으면 탄성스토퍼가 가고정홈에 걸림되며 압력핀이 하우징의 내부에 손쉽게 임시 고정될 수 있으며, 각 부품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임시 고정으로 일체화된 제품을 설치하므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하며 제품의 설치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가고정홈의 경사면은 상기 압력핀의 상승시 상기 탄성스토퍼를 경사지게 가압하여 외측으로 밀어줌으로써 탄성스토퍼의 압축 변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므로 압력핀이 부드럽게 승강되어 내솥 내부의 이상고압시 상기 압력핀의 승강 동작이 설정된 압력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압력핀의 외주에 돌설된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부 내주에 형성된 슬라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상하 직선 이동이 가이드되므로 부품 간의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핀의 비틀림 및 비틀림에 따른 걸림 등의 오작동이 방지됨에 따라 증기 배출을 위한 승강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구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압력핀은 상단 양측부에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외측테두리면이 경사진 삽입유도홈을 통해 가이드부의 중공 하단 양측에 배치된 탄성부를 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압력핀의 삽입시 탄성스토퍼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되어 압력핀이 걸림 없이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리드센서가 구비되므로 상기 내솥뚜껑이 뚜껑의 하면부에 착탈가능하게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리드센서를 통한 자기력의 감지로 내솥뚜껑의 착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서 하우징의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도 4의 A-B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서 압력핀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서 하우징의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도 4의 A-B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서 압력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100)는 하우징(10), 압력핀(40), 탄성스프링(30), 탄성스토퍼(20), 그리고 압력패킹(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조리기(미도시)는 내솥(미도시)이 내장되는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미도시)의 상부를 덮는 뚜껑(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은 열판히터나 유도가열장치 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의 상단을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뚜껑의 하부에는 내솥을 밀폐하기 위한 내솥뚜껑(t)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솥뚜껑(t)은 세척의 용이성을 위해 뚜껑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 등으로 뚜껑과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뚜껑에는 이상고압 이하의 설정된 조리압력으로 내솥 내부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조절장치(미도시)가 구비된 증기조절구와, 이상고압시 내솥 내부 증기의 비상배출을 위한 증기배출장치(100)가 구비된 증기배출구(h)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소정의 증기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증기조절구 및 증기배출구의 개방시 내솥 내부 증기는 증기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배출장치(100)는 상기 이상고압 발생시 내부의 압력핀(40)이 상승하여 상기 증기배출구(h)를 개방하되 상기 탄성스토퍼(20)가 상기 압력핀(40)을 상승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증기배출구(h)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내솥 내부의 증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증기배출구(h)에 배치되되, 내부 중앙부에 상기 증기배출구(h)와 대향되도록 중공형 가이드부(17)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7)의 양측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홀(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배출구(h)는 상기 내솥뚜껑(t)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기배출구(h)의 외곽에는 상기 내솥뚜껑(t)의 상측으로 돌설되되 볼트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 결합보스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홀(11)은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볼트체결홀과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홀(11)과 상기 볼트체결홀이 연통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를 상기 볼트홀(11)로 삽입하고 볼트체결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내솥뚜껑(t)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장착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 중공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30) 및 압력핀(40)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압력핀(40)의 하부에는 압력패킹(5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핀(40)은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압력패킹(50)을 통해 상기 증기배출구(h)를 밀폐하고, 내솥 내부의 이상고압 발생시 증기압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증기배출구(h)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벽(10a)은 상기 가이드부(17)의 하단부가 상기 증기배출구(h)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17)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7)의 하단부 외곽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벽(10a)에 의해 커버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압력핀(40)과 상기 하우징(10)을 결합시키고, 상기 압력핀(40)의 상승시 상승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스토퍼(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20)는 일측단이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탄성스토퍼(20)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간이 형성되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으며, 장치의 설치 후 뚜껑의 전장부품 설치 작업 내지는 전장부품의 구동시 탄성스토퍼(20)의 파손이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핀(40)은 상기 가이드부(17)와 대응되는 외형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외주에 가고정홈(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고정홈(41)은 상기 압력핀(40)의 하부에 구비된 압력패킹(50)이 상기 탄성스프링(30)에 의해 상기 증기배출구(h)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 범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고정홈(41)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된 탄성스토퍼(20)가 탄발 삽입되어 상기 압력핀(40)의 하방 이동을 구속하여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기 탄성스프링(30) 및 압력핀(40)이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압력핀(40)을 가이드부(17)의 내부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가고정홈(41)이 탄성스토퍼(20)에 걸림되어 탄성스프링(30) 및 압력핀(40)이 하우징(10) 내부에 손쉽게 고정되어 일체화되므로, 종래에 증기배출구(h)에 각각의 부품을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과 달리 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으며 설치 공정이 간소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볼트홀(11)과 상기 내솥뚜껑(t)의 볼트체결홀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볼트로 결합하기만 하면 상기 압력핀(40)이 상기 증기배출구(h)에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 비숙련자의 경우에도 제품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교체나 수리를 위한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고정홈(41)의 하부에는 상기 내솥 내부의 이상고압에 의한 상기 압력핀(40)의 상승시 상기 탄성스토퍼(20)가 탄발 삽입되어 걸림됨에 따라 상기 압력핀(40)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속부(4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45)는 압력핀(40)의 하부에 단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핀(40)의 하부 외주에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속부(45)는 상기 압력패킹(50)이 상기 증기배출구(h)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 범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핀(4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하부가 삽입되는 스프링홈(44)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44)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하부를 구속하도록 스프링돌기(47)가 돌설된다.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30)은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압력핀(40)과 상기 가이드부(17)의 상면 사이를 탄발지지하여 상기 압력핀(40)을 하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30)은 상하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증기배출구(h)의 개방압력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탄성계수는 상기 내솥의 내압이 상기 이상고압에 도달하면 상기 압력핀(40)이 승강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하부 외주는 상기 스프링홈(44)의 내경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상부 외주는 상기 가이드부(17)의 내경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는 상기 스프링돌기(47)와 대응되는 부분에 스프링가이드돌기(17b)가 돌설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상부를 구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30)은 상부 및 하부가 스프링가이드돌기(17b) 및 스프링돌기(47)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핀(40) 및 하우징(10) 사이를 탄발지지하므로 탄성스프링(30)의 신축에 따른 탄발 변형이 상하 직선 방향으로 정확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패킹(50)은 상기 압력핀(40)의 하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패킹(50)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비되되, 내솥 내부 증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고온에 안정한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압력패킹(50)은 상기 압력핀(40)의 하면 중앙부에 돌설된 패킹돌기(4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패킹(5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패킹돌기(43)가 끼움 고정되는 돌기고정홈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돌기(43)의 하단에는 상기 압력패킹(5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되 상광하협의 외형을 갖는 톱니돌기(4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력패킹(50)은 상기 증기배출구(h)의 직경보다 크고, 압력핀(40)의 하면보다 좁은 단면적으로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패킹(50)의 하부에는 단턱를 형성하도록 상기 증기배출구(h)의 직경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밀착돌기(51)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패킹(50) 및 상기 증기배출구(h)로 밀착시 상기 밀착돌기(51)가 상기 증기배출구(h)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압력패킹(50)의 하부 단턱이 상기 증기배출구(h)의 상면 테두리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구(h)가 정확하게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고정홈(41)의 상부는 상기 탄성스토퍼(20)의 상부에 걸림되는 구속면(41a)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고정홈(41)의 하부는 상기 탄성스토퍼(2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사면(41b)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고정홈(41)에 탄발 삽입된 탄성스토퍼(20)의 타측단은 상기 가고정홈(41)의 상부에 형성된 구속면(41a)에 걸려 상기 압력핀(40)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면(41a)은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압력핀(40)의 외주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스토퍼(20)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 내지는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41b)은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핀(40)의 하부에 증기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스토퍼(20)는 상기 가고정홈(41)의 경사면(41b)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용이하게 압축변형될 수 있다.
이때, 압축 변형된 탄성스토퍼(20)는 상기 구속부(45)에서 복원되어 상기 구속부(45)에 걸리게 되며, 상기 구속부(45)의 하측을 지지하여 상기 압력핀(40)의 상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고정홈(41)은 구속면(41a)을 통해 상기 탄성스토퍼(20)에 정확하게 구속되어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압력핀(4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핀(40)의 상승시에는 경사면(41b)을 통해 상기 탄성스토퍼(20)를 경사지게 가압하여 외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탄성스토퍼(20)의 압축 변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고압으로 설정된 압력에서 상기 압력핀(40)이 부드럽게 상승될 수 있으므로 이상고압 발생 시점에서 압력핀(40)의 상승 동작이 정확하게 구동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고정홈(41) 하부의 경사면(41b)을 통해 압력핀(40)이 부드럽게 상승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고정홈(41)은 상기 압력핀(40)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깊이가 상기 탄성스토퍼(20)의 복원 팽창을 수용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스토퍼(20)는 압축 변형이 없는 상태로 상기 가고정홈(41)에 걸림될 수 있다.
내솥의 내부 압력이 이상고압 상태가 아닌 정상상태, 즉 상기 압력패킹(50)이 상기 증기배출구(h)를 실링하는 상기 압력핀(40)의 위치에서 상기 탄성스토퍼(20)가 압축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고정홈(41)의 내부에 삽입되어 복원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지속적인 압축 변형으로 인한 탄성력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핀(40)의 상승시 상기 탄성스토퍼(20)의 탄성력의 저하로 상기 탄성스토퍼(20)가 상기 구속부(45)에 정확하게 걸림되지 못하는 오작동이 방지되고 탄성스토퍼(20)의 탄성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핀(40)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토퍼(20)와 대면되는 양측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된 삽입유도홈(46)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유도홈(46)의 외측테두리면(46a)은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압력핀(40)은 하우징(10)의 장착공간에 탄성스토퍼(20)가 장착된 후 가이드부(17)의 중공 하단 양측에 배치된 탄성부(21) 사이를 통과하여 가이드부(17)의 중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유도홈(46)의 외측테두리면(46a)이 상기 탄성부(21)와 경사지게 접촉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21)가 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핀(40)의 삽입시 탄성스토퍼(20)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압력핀(40)이 가이드부(17)의 내부로 걸림 없이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7)의 내주에는 상기 압력핀(40)의 외주에 상하방향으로 돌설된 가이드돌기(42)를 안내하도록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홈부(17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42)는 상기 압력핀(4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라이드홈부(17a)는 상기 각 가이드돌기(42)에 대응하여 짝을 이루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홈부(17a)는 상기 가이드부(17)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력핀(40)은 상기 가이드돌기(42)가 상기 슬라이드홈부(17a)에 대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부(17a)는 상기 가이드돌기(42)의 상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핀(4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 중공에서 정확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핀(40)이 비틀어져 상기 가이드부(17) 내부에 걸리는 등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증기 배출을 위한 승강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스토퍼(20)는 상기 압력핀(40)의 양측부에 상호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탄성스토퍼(20)는 균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호 대향 배치된 각 탄성스토퍼(20)는 상기 압력핀(40)을 양측에서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압력핀(40)과 상기 가이드부(17) 내면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핀(40)이 비틀어지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탄성스토퍼(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외벽(10a)과 볼트홀(11) 사이에 횡방향으로 스토퍼구속부(14,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탄성스토퍼(20)의 코어부(22)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스토퍼구속부(14)는 외벽(10a)과 볼트홀(11) 사이에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토퍼(20)의 탄성부(21) 끝단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스토퍼구속부(16)는 볼트홀(11)의 외주로부터 탄성부(21)의 신축 방향으로 형성되되 탄성부(21)가 끼움되도록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구속부(14,16)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스토퍼(20)의 장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구속부(14,16)는 상기 탄성스토퍼(20)의 배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7)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스토퍼(20)는 상기 스토퍼구속부(14,16)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0)에 의한 압력으로 하측으로 변형되거나 하우징(10)의 하부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벽(10a)에는 상기 스토퍼구속부(14,16)의 슬라이드 가공을 위한 가공홈부(12a,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홈부(12a,12b)의 하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스토퍼(20)는 코어부(22), 탄성부(21), 그리고 지지부(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코어부(22)는 탄성복원력을 형성하도록 권취되어 상기 스토퍼구속부(14)의 상면에 상향 돌설된 구속돌기(14a)에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21)는 상기 압력핀(40)의 외주를 가압하도록 상기 코어부(2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21)는 상기 스토퍼구속부(14,16)에 의해 하부가 지지됨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하측 방향 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구속면(41a) 내지 구속부(4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면부에 돌설된 고정돌기(15)에 지지되도록 상기 코어부(22)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고정돌기(15)가 삽입되도록 끝단이 원형으로 휘어져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20)는 상향 돌설된 구속돌기(14a)에 코어부(22)가 거치된 상태에서 하향 돌설된 고정돌기(15)에 지지부(23)의 고리가 삽입되어 거치되고, 탄성부(21)가 스토퍼구속부(16)에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에 상하방향으로 구속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의 하면부 청결을 위해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기 내솥뚜껑이 뚜껑의 하면부에 착탈가능하게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솥뚜껑의 착탈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17)의 내부에 상기 탄성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영구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리드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리드센서는 상기 자기력의 감지 유무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여 내솥뚜껑의 착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7)의 상면은 상기 스프링가이드돌기부(17b)가 제거된 형태로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가이드돌기부(17b)의 위치에 상기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7)의 내주에는 영구자석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자석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지지부는 상기 영구자석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되, 각 자석지지부는 상호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영구자석의 단면적과 가이드부(17) 내부 중공의 단면적으로 고려하여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증기배출장치(100)의 구동을 설명한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핀(40)은 탄성스프링(30)과 함께 가이드부(17)에 삽입되며 가고정홈(41)에 탄성스토퍼(20)가 걸림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품이 결합된 하우징(10)이 내솥뚜껑(t)에 결합되면 상기 압력패킹(50)이 상기 증기배출구(h)에 밀착함에 따라 내솥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증기배출구(h)를 밀폐하는 압력패킹(50)에는 내솥의 증기압에 의해 상측 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압력이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이상고압인 경우에 압력핀(4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20)의 탄성부(21)는 상기 가고정홈(41)의 경사면(41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압축 변형되며 구속부(45)의 단턱에서 복원 팽창하여 구속부(45)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핀(40)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압력핀(40)이 하강하지 않고 증기배출구(h)의 개방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내솥의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구(h)를 거쳐 상기 하우징(10)의 외벽(10a)하단부에 형성된 증기배출홈(13)을 통과하여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증기배출장치 10: 하우징
11: 볼트홀 12a,12b: 가공홈부
13: 증기배출홈 14,16: 스토퍼구속부
15: 고정돌기 17: 가이드부
17a: 슬라이드홈부 20: 탄성스토퍼
21: 탄성부 22: 코어부
23: 지지부 30: 탄성스프링
40: 압력핀 41: 가고정홈
42: 가이드돌기 43: 패킹돌기
43a: 톱니돌기 44: 스프링홈
45: 구속부 50: 압력패킹
51: 밀착돌기 52: 돌기고정홈부

Claims (6)

  1. 내솥 내부의 이상고압 발생시 증기를 비상 배출하기 위해 뚜껑에 구비된 증기배출구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증기배출구와 대향되도록 중공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외주에 가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고정홈의 하부에 구속부가 형성되는 압력핀;
    상기 압력핀을 탄발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고정홈에 탄발 삽입되어 상기 압력핀의 하방 이동을 구속하되 상기 압력핀의 상승시 탄발 변형되어 상기 증기배출구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속부에 걸림되는 탄성스토퍼; 및
    상기 압력핀의 하부에 구비되는 압력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가고정홈의 상부는 상기 탄성스토퍼의 상부에 걸림되어 가고정되는 구속면으로 형성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홈의 하부는 상기 탄성스토퍼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에는 상기 압력핀의 외주에 돌설된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도록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토퍼는 상기 압력핀의 양측부에 상호 대향 배치되며,
    상기 압력핀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토퍼와 대면되는 양측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되되 외측테두리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유도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토퍼는
    탄성복원력을 형성하도록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스토퍼구속부 상면에 돌설된 구속돌기에 거치되는 코어부와,
    상기 압력핀의 외주를 가압하도록 상기 코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부에 돌설된 고정돌기에 지지되도록 상기 코어부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20140176210A 2014-12-09 2014-12-09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161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10A KR101618065B1 (ko) 2014-12-09 2014-12-09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210A KR101618065B1 (ko) 2014-12-09 2014-12-09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065B1 true KR101618065B1 (ko) 2016-05-09

Family

ID=5602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210A KR101618065B1 (ko) 2014-12-09 2014-12-09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0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292Y1 (ko) 2002-03-21 2002-06-24 주식회사 노비타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기압력밥솥
KR200387086Y1 (ko) * 2005-03-28 2005-06-17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901168B1 (ko) * 2007-12-05 2009-06-0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292Y1 (ko) 2002-03-21 2002-06-24 주식회사 노비타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기압력밥솥
KR200387086Y1 (ko) * 2005-03-28 2005-06-17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901168B1 (ko) * 2007-12-05 2009-06-04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855B1 (ko) 전기조리기
JP5971826B2 (ja)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CN101209179B (zh) 结构改进的压力蒸煮器具及相应的制造方法
CN103169371B (zh) 用于压力烹调器具的泄放阀
KR101820078B1 (ko)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CN109310225B (zh) 压力锅的打开和关闭系统
KR20180001338A (ko) 온도센서 및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구
JP2016529962A (ja) 電気炊飯器
KR100901168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542335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1618067B1 (ko)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JP6442158B2 (ja) 貫通口を備えた圧力調理器のガスケット
WO2009005182A1 (en) Pressure control and airtight device for pressure cooker
KR101618065B1 (ko)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KR20190051126A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KR101642273B1 (ko)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0827406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비복귀형 증기 배출장치
KR20090030110A (ko) 전기 압력솥의 증기 배출밸브
JP2007236405A (ja) 圧力式炊飯器における安全弁構造
KR200457390Y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일체형 안전장치
KR102166514B1 (ko) 압력솥
KR200373883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1218638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CN114424883B (zh) 控制方法、控制装置、压力烹饪器具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