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987A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9987A KR20210049987A KR1020217012930A KR20217012930A KR20210049987A KR 20210049987 A KR20210049987 A KR 20210049987A KR 1020217012930 A KR1020217012930 A KR 1020217012930A KR 20217012930 A KR20217012930 A KR 20217012930A KR 20210049987 A KR20210049987 A KR 202100499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display
- terminal
- specific content
- display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단말의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표시를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가지는 표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다.
스마트 폰 등의 단말의 유저가, 단말의 화면을 스크롤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배포(配信)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유저는, 단말의 화면을 스크롤하여 원하는 컨텐츠의 존재를 확인하면,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단말은 선택된 컨텐츠의 상세 정보의 표시 및 동영상 등의 미디어의 재생 등을 실시한다.
다수의 컨텐츠 중에서, 유저가 스크롤 등의 조작에 의해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특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츠에 관련하여 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개 2013-114559
그렇지만, 종래 제안되어 있는 방법으로는, 표시되는 컨텐츠가 열람되고 있는지 아닌지, 컨텐츠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은 수행되지 않았다.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에 대해 광고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저의 투고 등의 컨텐츠를 배포(配信)하는 경우, 열람되지 않은 컨텐츠의 열람을 유저에게 재촉하여, 컨텐츠에 대한 열람비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컨텐츠의 배포원에 있어서는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 중, 미열람 컨텐츠의 열람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형태로는, 단말의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표시를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가지는 표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에 배포된 컨텐츠 중, 미열람 컨텐츠의 열람을 유저에게 재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에 보관 유지되는 각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에 보관 유지되는 각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에 보관 유지되는 각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세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세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해당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네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c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d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e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유저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에 보관 유지되는 각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에 보관 유지되는 각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에 보관 유지되는 각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세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세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해당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네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c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d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e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개요>
도 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 1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처리 시스템 1은, 정보처리 서버 10과, 복수의 단말 20(단말 20A, 단말 20B, 단말 20C)을 가진다. 정보처리 서버 10과 단말 20은 네트워크 2를 통해 접속된다. 네트워크 2는 유선의 네트워크와 무선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단말 20은 스마트 폰, 타블렛 단말, PC(Personal Computer), 휴대 전화기, 게임용 콘솔, 터치 패드, 전자 서적 리더, 또는 웨어러블 단말 등 이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단말 20의 유저에게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 20의 유저는, 단말 20에 SNS의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여, 정보처리 서버 10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SNS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덧붙여, 이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SNS 서비스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유저의 단말 20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터넷상의 각종 홈페이지 등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표시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 20은, 웹 브라우저 등을 이용하여 정보처리 서버 10에 접속하고 SNS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예를 들면, SNS 서비스의 타임 라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타임 라인 서비스란, 정보처리 서버 10이 유저나 해당 유저와 SNS 상에서 관계를 가지는 유저에 의해 SNS에 투고된 텍스트, 사진 및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시계열을 따라, 유저의 단말 20에 표시하는 서비스이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SNS의 유저에게 투고된 컨텐츠(이하, 유저 컨텐츠) 사이에, 광고주로부터 제공된 광고(이하, 광고 컨텐츠)를 표시한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복수의 유저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를 단말 20에 배포한다. 단말 20은 정보처리 서버 10에서 지시받은 표시 순서로, 유저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를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한다. 화면 사이즈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단말 20은 배포된 모든 컨텐츠를 동시에 화면에 표시시킬 수 없다.
단말 20은, 유저로부터의 조작, 예를 들면, 화면에 대한 스크롤 조작을 수신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단말 20에 M 개의 컨텐츠(유저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가 배포된 경우, 단말 20에는 1~N 번째의 컨텐츠가 표시된다(M, N는 자연수, N<M). 단말 20이 유저로부터 제1 방향(예를 들면, 화면 하방 쪽)으로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N 번째 이후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지시를 받으면, 단말 20은 2~N+1 번째 또는 3~N+2 번째 등의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렇게 단말 20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의 일부를 화면으로부터 비표시로 하는(제거함) 것에 의해,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한다.
SNS의 운영자나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에게는, 다른 유저로부터의 주목도가 높은 컨텐츠나 광고 컨텐츠를 유저에게 소정의 시간 이상 열람시키고자 한다는 희망이 있다. 예를 들면, 광고주에게는, 광고 컨텐츠를 소정의 시간 이상 유저에게 열람시켜 광고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는 희망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20은 화면에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50(메인 표시 영역 50A)과, 단말 20의 유저에게 열람시키고자 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50(서브 표시 영역 50B)를 가진다.
단말 20은, 각 컨텐츠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여 기억한다. 또한,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단말 20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계측하여 기억한다. 덧붙여, 이러한 계측된 시간은 열람 시간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단말 20은, 컨텐츠의 열람 시간이, 컨텐츠 마다 마련된 소정의 시간을 상회하는 경우에,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한다.
컨텐츠의 열람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상회하는 경우, 단말 20은 제1 방향으로의 스크롤에 의해 유저로부터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하는 지시를 받음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는 화면으로부터 비표시로 한다(화면으로부터 사라진다).
한편, 컨텐츠의 열람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상회하지 않는 경우, 단말 20은 제1 방향에 스크롤에 의해 유저로부터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하는 지시를 받음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도록 한다.
서브 표시 영역 50B는, 단말 20이 유저로부터 화면의 컨텐츠의 표시를 변경하는 스크롤 조작 등을 수신한 경우에도, 컨텐츠 등이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다. 서브 표시 영역 50B에는 소정의 기간 같은 컨텐츠가 고정적으로 표시된다. 한편, 메인 표시 영역 50A에서는 유저로부터 화면의 컨텐츠의 표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신한 경우,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된다. 즉, 메인 표시 영역 50A는, 컨텐츠 등이 동적으로 표시되는 표시 영역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 1의 유저의 단말 20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배포된 컨텐츠가 정보처리 서버 10에서 지시받은 순서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 표시 영역 50A에는 1번째~4번째의 컨텐츠(컨텐츠 40A, 컨텐츠 40B, 컨텐츠 40C 및 컨텐츠 40D)가 표시된다.
도 2b는, 단말 20의 화면에 유저로부터의 제1 방향에의 스크롤의 조작을 수신하여, 메인 표시 영역 50A에 3번째~5번째의 컨텐츠(컨텐츠 40C, 컨텐츠 40D, 컨텐츠 40E)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 40A에 대해서는 화면으로부터 비표시로 된다. 한편, 컨텐츠 40B는, 컨텐츠 40B에 마련된 소정의 열람 시간 이상 유저에게 열람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다. 서브 표시 영역 50B는 표시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컨텐츠 40B는 축소되어 컨텐츠 60B로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 60B는 컨텐츠의 썸네일이 표시된다.
덧붙여, 서브 표시 영역 50B는, 화면상에 미리 마련될 수 있고,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출현한 것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 50A를 축소하고, 축소된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c는, 단말 20의 화면에서 유저로부터의 제1 방향의 스크롤의 조작을 더 수신하여, 메인 표시 영역 50A에 4번째~7번째의 컨텐츠(컨텐츠 40D, 컨텐츠 40E, 컨텐츠 40F, 컨텐츠 40G)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 40C는, 컨텐츠 40C에 마련된 소정의 열람 시간 이상 유저에게 열람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다. 컨텐츠 40B와 같이 컨텐츠 40C는 축소되어 컨텐츠 60C로서 표시된다.
도 3a, 도 3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 1의 유저의 단말 20의 표시 화면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 컨텐츠는, 단말 20이 유저의 선택을 수신하면 확대 표시된다.
도 3a는, 단말 20이 도 2c에서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60C에 대한, 유저의 선택을 수신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축소하여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60C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컨텐츠 60C는 확대되어 컨텐츠 70C로서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컨텐츠 70C는 동영상 컨텐츠인 것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컨텐츠 70C에 대한 조작을 수신하면, 단말 20은 조작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70C의 재생 메뉴 71이 선택된 경우, 단말 20은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한다. 컨텐츠 70C의 인스톨 링크 72가 선택된 경우, 단말 20은 컨텐츠 70C와 관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는 인터넷상의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컨텐츠 70C와 관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컨텐츠 70C의 쉐어 메뉴 73이 선택된 경우, 단말 20은 정보처리 서버 10에 단말 20의 유저와 SNS 서비스 상에서 관계가 있는 유저에게 컨텐츠 70C가 열람된 것을 통지하도록 지시한다. 덧붙여, SNS 서비스 상에서 관계가 있는 유저란, 예를 들면, 친구로서 설정되어 있는 유저이다.
소정의 시간 이상 동영상이 재생된 경우, 인스톨 링크 72가 선택된 경우, 혹은 쉐어 메뉴 73이 선택된 경우, 단말 20은 컨텐츠 70C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하고, 서브 표시 영역 50B에서 컨텐츠 70C의 축소판인 컨텐츠 60C를 비표시로 한다.
도 3b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서 컨텐츠 60C가 비표시로 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컨텐츠가 열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컨텐츠는 축소되고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다. 덧붙여,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스페이스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 20은 소정 시간 이상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를 비표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20은 새로운 컨텐츠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할 때에,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 시각이 가장 오래된 컨텐츠를 비표시로 할 수 있고,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의 각각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고정적으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는, 단말 20이 유저로부터 메인 표시 영역 50A에 대한 조작을 수신함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 20의 화면에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스크롤 조작을 수신하여,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60C의 전후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인 컨텐츠 40B와 컨텐츠 40D가 다시 화면에 표시되는 타이밍에서, 컨텐츠 60C는 서브 표시 영역 50B로부터 비표시로 되고, 컨텐츠 40C가 종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것과 같은 표시 형태로 컨텐츠 40B와 컨텐츠 40D 사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저에게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60C가 메인 표시 영역 50A로 돌아가, 컨텐츠 40C로서 표시되는 것처럼 느껴진다.
덧붙여, 컨텐츠의 표시 순서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임의의 타이밍에서 변경된다. 예를 들면, 단말 20의 화면이 스크롤될 때마다 동적으로 유저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의 표시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대한 표시의 판단은 단말 20에서 실행되고 있지만, 정보처리 서버 10가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말 20은 각 컨텐츠의 열람 시간을 기억하여, 정보처리 서버 10에 보고한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보고된 컨텐츠의 열람 시간이 컨텐츠 마다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열람 시간을 상회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말 20은 메인 표시 영역 50A와 서브 표시 영역 50B를 유저가 인식 가능하도록, 영역 사이에 구분선을 표시하고, 각 표시 영역의 배경에 다른 색을 설정하고, 각 표시 영역의 배경에 다른 그라디에이션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스크롤 이외의 조작을 수신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정보처리 시스템 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정보처리 서버
정보처리 서버 10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컴퓨터 300은,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301, RAM(Random Access Memory) 302, ROM(Read Only Memory) 303, 스토리지 장치 304, 입력 장치 305, 표시 장치 306, 통신 I/F(Interface) 307, 외부 I/F 308 및 버스 309 등을 가진다.
CPU 301은, ROM 303이나 스토리지 장치 304 등의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RAM 302 상에서 읽어내어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컴퓨터 300의 제어나 기능을 실현되는 연산 장치이다. ROM 303은, 컴퓨터 300의 기동시에 실행되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OS(Operating System)의 설정 및 각종 설정 등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다. RAM 302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 유지하는 휘발성의 메모리이다. 스토리지 장치 304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이다.
입력 장치 305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며, 유저가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표시 장치 306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이며, 컴퓨터 300에 의한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덧붙여, 입력 장치 305 또는/및 표시 장치 306은, 필요할 때에 접속되어 이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통신 I/F 307은, 컴퓨터 300을 네트워크 2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I/F 308은,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장치에는, 외부 기억매체 308a 등이 있다. 이에 의해, 컴퓨터 300은 외부 I/F 308을 통해 외부 기억매체 308a의 읽어내기 및/또는 기입을 실시할 수 있다. 외부 기억매체 308a에는 예를 들면, 각종의 광학 디스크나 각종의 메모리 카드 등이 포함된다.
CPU 301이, ROM 303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 서버 1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2) 단말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20은, CPU 201, ROM 202, RAM 203, 기억장치 204, 입출력 장치 205, 통신 I/F 206 및 디스플레이 207(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덧붙여, 단말 20의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208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기억장치 204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CPU 201은, 기억장치 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ROM 202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OM 202는 기억장치 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CPU 201이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 203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주기억장치이다. RAM 203은, 각종 프로그램이 CPU 201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전개되는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장치 205는, 단말 20에 대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 및 단말 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의 기능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 205는, 디스플레이 207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207은 터치 반응형 디스플레이(터치 패널)로 할 수 있다. 통신 I/F 206은 네트워크 2를 통해 단말 20과 정보처리 서버 10과의 통신을 실시한다.
CPU 201이, 기억장치 204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 2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기능 구성>
도 6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 1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이용하고, 정보처리 서버 10 및 단말 2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정보처리 서버
정보처리 서버 10은, 통신부 110, 제어부 120, 정보 기억부 130 및 입출력부 140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처리 서버 10의 각 기능은 이하와 같이 연휴한다. 통신부 110은, 단말 20에 컨텐츠를 배포한다. 또한, 통신부 110은 단말 20에서 컨텐츠가 열람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인 열람 판단 방법을 통지한다. 제어부 120은 컨텐츠가 열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컨텐츠를 이전에 표시한 때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단말 20을 제어한다.
통신부 110은, 제어부 120의 지시에 기반하여, 단말 20에 컨텐츠의 배포를 실시한다. 컨텐츠의 배포를 실시할 때에, 컨텐츠의 표시 순서, 컨텐츠가 열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열람 판단 방법) 및 표시 영역 50의 설정 정보에 대해서도 통지한다.
통신부 110은, 단말 20에서 컨텐츠의 표시 상태를 수신하여, 정보 기억부 130에 통지한다.
제어부 120은 정보 기억부 130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 및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를 참조하여, 유저의 단말 20에 표시하는 유저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덧붙여,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 및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에서 기억되는 정보 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 120은, 결정된 표시 순서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통신부 110을 통해, 단말 20에 지시한다. 제어부 120은 유저 컨텐츠를 시계열을 따라, 단말 20에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광고 컨텐츠를 해당하는 유저 컨텐츠 사이에 삽입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유저 컨텐츠 사이에 동적으로 광고 컨텐츠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광고 컨텐츠에 대해 유저의 주의를 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저 컨텐츠에 대해서도, 유저의 단말 20이나 다른 유저의 단말 20으로부터의 투고 등에 의해, 시계열을 따라 표시되는 내용이 동적으로 변경된다. 덧붙여, 유저 컨텐츠는, 유저 정보라고 불릴 수 있다.
제어부 120은, 통신부 110을 통해, 각 컨텐츠가 열람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 요소인 "열람 판단 방법"을, 단말 20에 통지한다.
제어부 120은, 통신부 110을 통해, 각 컨텐츠의 표시 영역 50을 단말 20이 결정하기 위한 정보 요소인 "표시 방법"을 단말 20에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 120은, 통신부 110을 통해, 메인 표시 영역 50A 및 서브 표시 영역 50B의 형성에 관한 정보인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 및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를 단말 20에 통지한다.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 및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는, 정보 기억부 130에 보관 유지되는 표시 영역 설정 테이블 130C에서 유저 마다 기억된다.
제어부 120은, 통신부 110을 통해, 컨텐츠의 표시 상태를 수신한다. 제어부 120은, 수신한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반하여,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를 갱신한다.
정보 기억부 130은,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와,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와, 표시 영역 설정 테이블 130C와,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를 기억한다. 정보 기억부 130은, 제어부 120에 기억하고 있는 각 테이블의 정보 요소를 참조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어부 120으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각 테이블의 정보 요소를 갱신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 130에 보관 유지되는 각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는, 유저 마다 생년월일, 성별, 거주 지역, SNS 서비스 상에서 관계가 있는 유저(친구 정보) 및 관심 사항이 연관하여 기억된다. 제어부 120은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의 속성을 근거로, 유저에게 배포하는 광고 컨텐츠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 120은 친구 정보를 근거로, 유저에게 배포하는 유저 컨텐츠를 결정한다. 덧붙여,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에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라도, 제어부 120은 유저에게 배포해야 하는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 120은, 배포할 컨텐츠를 디폴트의 설정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랜덤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7b는,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는, 단말 20에 배포되고 있는 컨텐츠 마다, 표시 순서, 컨텐츠 ID, 컨텐츠 종류, 표시 상태 및 열람 상태가 기억된다.
표시 순서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단말 20 상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컨텐츠가 표시되는 순서는,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와,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를 근거로, 제어부 120에 의해 결정된다.
컨텐츠 ID는, 단말 20에 배포되는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컨텐츠 종류는,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예를 들면, 유저 투고, 동영상 광고 및 정지 화상 광고 등이다. 유저 투고에는, 텍스트의 투고(유저 텍스트 투고), 사진 등 정지 화상의 투고(유저 정지 화상 투고), 동영상의 투고(유저 동영상 투고) 및 스탬프 등 일러스트의 투고(유저 일러스트 투고)의 종류가 있다.
표시 상태는, 단말 20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표시 완료"는 컨텐츠가 단말 20에 표시되어 현재는 표시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메인 표시 영역 표시중"은 컨텐츠가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서브 표시 영역 표시중"은,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시 상태는 표시 시각과 함께 기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 표시중인 컨텐츠의 표시 상태의 란에는 표시를 개시한 시각이 기억된다.
표시 횟수는, 단말 20에 컨텐츠가 표시된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열람 상태는, 컨텐츠의 열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열람 상태는, "미열람", "열람 중", 또는 "열람 완료"가 설정된다.
열람 상태는 컨텐츠 마다의 열람 상태에 맞게 변경된다.
도 7c는, 표시 영역 설정 테이블 13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영역 설정 테이블 130C는 유저의 단말 20 마다 설정되는 테이블이며, 메인 표시 영역 50A에 관한 정보인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와, 서브 표시 영역 50B에 관한 정보인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가 기억된다.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 및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에는, 각 표시 영역 50의 사이즈(상한 사이즈~하한 사이즈), 컨텐츠 표시 수(상한치) 및 컨텐츠 각각의 표시 사이즈를 나타내는 컨텐츠 표시 사이즈(상한 사이즈~하한 사이즈)가 기억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는 컨텐츠 마다 컨텐츠 ID, 컨텐츠 종류, 열람 판단 방법, 표시 방법, 배포 대상, 배포 기간 및 배포 횟수(상한치)가 기억된다.
열람 판단 방법은, 컨텐츠가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 단말 20이 판단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정보 요소이다. 열람 판단 방법에는 각 컨텐츠에 대해서 구체적인 열람 판단의 방법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열람 판단 방법에 있어서 "15초 이상 동영상 재생"이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20에서 동영상 컨텐츠가 15초 이상 재생되면, 단말 20은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의 열람 상태를 "열람 완료"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열람 판단 방법에 있어서 "50% 이상 동영상 재생"이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20에서 동영상 컨텐츠 전체의 길이의 50% 이상이 재생되면, 단말 20은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의 열람 상태를 "열람 완료"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열람 판단 방법에 있어서 "인스톨 링크의 선택"이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20이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링크 72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말 20은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의 열람 상태를 "열람 완료"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쉐어 메뉴의 선택"과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20이 컨텐츠의 쉐어 메뉴 73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말 20은,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의 열람 상태를 "열람 완료"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열람 판단 방법에 있어서 "2초 이상 표시"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20에서 컨텐츠가 2초 이상 표시되면, 단말 20은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의 열람 상태를 "열람 완료"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열람 판단 방법에 있어서 "N 회 표시"(N는 자연수)과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20에서 컨텐츠가 N 회 이상 표시되면, 단말 20은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의 열람 상태를 "열람 완료"로 변경한다. 컨텐츠가 소정의 횟수 이상, 단말 20에 표시된 경우, 단말 20의 유저에게 컨텐츠가 인식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덧붙여, 열람 판단 방법은, 상술한 열람 판단 방법의 조합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여러 순서 컨텐츠가 표시되었을 때의 상황으로부터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가 24시간에서 복수회 표시되었을 때의, 컨텐츠의 표시 시간의 합계가 소정의 시간 이상의 경우에, 열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표시 방법은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 요소이다. 표시 방법은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 또는 "메인 표시 영역" 등으로 설정된다.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는,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고, 메인 표시 영역 내에서 열람되지 않은 경우,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다. "메인 표시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는, 메인 표시 영역 50A에만 표시된다. 단말 20이 유저로부터 다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스크롤 등의 동작을 수신함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 50A에만 표시되는 컨텐츠는 메인 표시 영역 50A에서 비표시로 된다.
배포 대상은, 컨텐츠의 배포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 요소이다. 배포 대상으로는, "20대 남성", "요코하마", "투고지 그룹" 및 "유저 D의 타임 라인 열람자" 등이 설정된다. 배포 대상에는, 복수 설정의 값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대 남성" 및 "요코하마"라고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 120은,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의 "배포 대상"의 설정의 값, 예를 들면, "20대 남성", "요코하마" 등과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의 "생년월일", "성별" 및 "거주 지역"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20에 배포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 120은,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D의 "배포 대상"의 설정의 값, 예를 들면, "투고지 그룹 X", "유저 D의 타임 라인 열람자" 등과,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의 "친구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20에 배포하는 유저 컨텐츠를 결정한다.
배포 기간은, 컨텐츠의 배포 기간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 요소이다. 배포 횟수는, 유저의 단말 20에 배포하는 상한치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광고 컨텐츠의 경우에 이러한 상한치가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한 광고 컨텐츠가 과도하게 단말 20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입출력부 140은 정보처리 서버 10의 관리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정보처리 서버 10의 상태를 표시한다.
(2) 단말
단말 20은, 통신부 210, 표시부 220, 입력부 230, 제어부 240 및 정보 기억부 250을 가진다. 제어부 240은, 판단부 241과, 표시 제어부 245를 가진다.
단말 20의 각 기능은 이하와 같이 연휴한다. 표시부 220은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한다. 판단부 241은, 컨텐츠가 열람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부 241에 의해, 컨텐츠가 열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표시 제어부 245는 표시부 220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이전 표시한 때와는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한다.
통신부 210은, 정보처리 서버 1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 210은, 표시부 220에 표시할 컨텐츠(유저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다.
통신부 210은, 각 컨텐츠의 단말 20 상에서의 표시 순서, 열람 판단 방법 및 표시 방법을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정보 기억부 250에 기억된다.
또한, 통신부 210은, 표시부 220에 형성하는 메인 표시 영역 50A와,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설정에 관한 정보인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 및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를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다. 수신한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 및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는, 정보 기억부 250에 기억된다.
통신부 210은 제어부 240으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컨텐츠의 표시 상태 및 열람 상태를 정보처리 서버 10에 통지한다.
표시부 220은 표시 제어부 245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컨텐츠를 표시한다.
입력부 230은, 단말 20의 유저로부터 각종 조작을 수신하여, 수신한 내용을 제어부 240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 230은 유저로부터 화면의 스크롤 조작을 수신한다.
제어부 240은, 단말 20의 각 기능에 대한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단말 20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실시한다.
판단부 241은 정보 기억부 250을 참조하여 각 컨텐츠의 열람 판단 방법을 특정한다. 판단부 241은, 특정된 열람 판단 방법을 이용하여 각 컨텐츠가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를 정보 기억부 250에 기억시킨다.
표시 제어부 245는, 정보 기억부 250을 참조하여 표시할 컨텐츠와, 컨텐츠의 표시 순서와, 표시 방법을 특정한다. 표시 제어부 245는 특정된 컨텐츠를 표시 순서 및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하도록 표시부 220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 245는, 표시부 220로부터 컨텐츠의 표시 상태를 취득하여 정보 기억부 250에 기억시킨다.
표시 제어부 245는, 정보 기억부 250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의 표시 상태 및 열람 상태를 정보처리 서버 10에 통지하도록 통신부 21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 245는, 단말 20의 유저로부터 수신한 조작에 관한 통지를 입력부 23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하는 조작에 따라 표시를 변경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예를 들면, 스크롤의 조작을 수신한 경우, 표시 제어부 245는 화면을 스크롤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 245는,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와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메인 표시 영역 50A 및 서브 표시 영역 50B를 형성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하는 컨텐츠가 출현한 것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 50A 및 서브 표시 영역 50B를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 245는, 정보 기억부 250을 참조하여, 컨텐츠가 열람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컨텐츠가 열람되지 않은 경우, 표시 제어부 245는 스크롤 등의 조작에 의해 컨텐츠가 메인 표시 영역 50A로부터 표시되지 않게 될 때에, 컨텐츠의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제어를 실행한다. 컨텐츠의 표시 방법이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이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이 때에, 표시 제어부 245는,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를, 메인 표시 영역 설정 정보로 설정되어 있는 표시 사이즈로부터,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에서 설정되어 있는 표시 사이즈에 조정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이에 의해, 이 컨텐츠는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 사이즈가 조정되어 표시된다. 즉, 컨텐츠는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 컨텐츠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축소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썸네일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를 근거로, 서브 표시 영역 50B의 표시의 제어를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의 수가 표시 가능한 컨텐츠 수의 최대치에 도달하여, 새롭게 컨텐츠를 표시할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컨텐츠를 표시하지 않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로 설정되어 있는 사이즈를 참조하여,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사이즈를 조정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설정 정보를 근거로, 서브 표시 영역 50B를 확대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를 확대함과 동시에, 컨텐츠를 축소하지 않고 그대로인 사이즈, 또는 확대한 사이즈로 표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컨텐츠는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고 있었던 것과 같은 사이즈로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지만, 메인 표시 영역 50A에서 표시되고 있었던 경우와 달리, 표시부 220의 일부에서 고정적으로 표시된다. 즉, 컨텐츠는 다른 표시 모양으로 표시된다.
덧붙여, 서브 표시 영역 50B는 입력부 230에 대한 스크롤 등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 영역이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메인 표시 영역 50A는 입력부 230에 대한 스크롤 등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기 때문에 변경 영역이라고 불릴 수 있다.
판단부 241은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해서도,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의 열람 판단 방법은,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와 같을 수 있고, 다른 열람 판단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열람 판단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각각의 표시 영역 50에서 이용하는 열람 판단 방법이 통지된다.
정보 기억부 250은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컨텐츠의 표시 순서, 열람 판단 방법 및 표시 방법 등을 기억한다. 또한, 정보 기억부 250은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 표시 영역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정보 기억부 250은 판단부 241 및 표시 제어부 245 등으로부터의 조회에 따라 기억하고 있는 각종 정보를 참조한다.
정보 기억부 250은 표시 제어부 245에서 컨텐츠의 표시 상태, 표시 횟수의 통지를 받고 통지된 정보를 기억한다. 정보 기억부 250은 판단부 241에 의해 판단된 열람 결과의 통지를 받고 통지된 정보를 기억한다.
<동작 순서>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901에서, 단말 20A의 제어부 120의 지시를 받아, 통신부 210은 컨텐츠의 배포 요청을 송신한다. 배포 요청은 단말 20A의 유저인 유저 A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902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가 배포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 120은 정보 기억부 130을 참조하여, 유저 A에 배포할 컨텐츠와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단계 S903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은 제어부 120의 지시를 받아 컨텐츠를 단말 20A에 배포한다. 컨텐츠의 배포 메시지는 컨텐츠의 표시 순서, 각 컨텐츠의 열람 판단 방법 및 표시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배포 메시지에 표시 영역 50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영역 50의 설정 정보는, 컨텐츠 배포 전에,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단말 20A에 통지될 수 있다. 표시 영역 50의 설정 정보는 메인 표시 영역 50A의 설정 정보와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904에서, 단말 20A의 통신부 210가 컨텐츠, 컨텐츠의 표시 순서, 각 컨텐츠의 열람 판단 방법 및 표시 방법을 수신하면, 표시 제어부 245는 컨텐츠의 표시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부 220에 표시하도록 한다. 컨텐츠는 메인 표시 영역 50A의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된다. 판단부 241은 표시된 컨텐츠가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부 241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표시 제어부 245는 표시 제어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 245는 열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컨텐츠를 통지된 표시 방법에 기반하여 표시부 220에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표시 방법에,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의 경우, 표시 제어부 245는 컨텐츠가 메인 표시 영역 50A로부터 비표시로 하는 것(즉, 삭제되는 것)에 따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 때에, 컨텐츠는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된다.
단계 S905에서, 단말 20A의 통신부 210은, 정보처리 서버 10에 컨텐츠의 배포 요청을 송신한다. 컨텐츠의 배포 요청은 유저 A의 식별자, 컨텐츠의 표시 상태 및 열람 상태를 포함한다.
단계 S906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이 컨텐츠 배포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 120은 정보 기억부 130에 수신한 컨텐츠의 표시 상태 및 열람 상태를 통지하여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를 갱신한다.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의 표시 상태, 표시 횟수 및 열람 상태가 갱신된다.
단계 S907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제어부 120은 갱신된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 등에 기반하여, 유저 A의 단말 20에 새롭게 배포할 컨텐츠가 결정된다.
단계 S908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은 제어부 120의 지시에 기반하여, 단말 20에 컨텐츠를 배포한다. 이 순서에 대해서는, 단계 S903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 20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단계 S1001에서, 단말 20의 입력부 230은 단말 20에 대한 조작을 검지한다.
단계 S1002에서, 표시 제어부 245는 입력된 조작에 의해 메인 표시 영역 50A로부터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10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03에서, 판단부 241은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는 열람 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부 241은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는 열람 완료인지 아닌지를 컨텐츠 마다 설정되는 열람 판단 방법에 기반하여 판단한다.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가 열람 완료가 아닌 경우, 판단부 241은 그 취지를 표시 제어부 245에 통지한다.
단계 S1004에서, 표시 제어부 245는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를 서브 표시 영역 50B에서 표시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인 표시 영역 및 서브 표시 영역"이라고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표시 가능한 경우(단계 S1004의 YES),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한편, 표시 가능하지 않은 경우(단계 S1004의 NO),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 표시 가능하지 않은 경우란, 예를 들면,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 가능한 최대의 컨텐츠 수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이다. 덧붙여, 표시 가능한 최대의 컨텐츠 수는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설정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단계 S1005에서,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조작에 의해 비표시가 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하고, 표시부 220은 해당하는 컨텐츠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덧붙여, 이 때에,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설정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 사이즈로 표시된다. 컨텐츠는 썸네일 표시 등으로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1006에서,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1개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비표시로 한다. 예를 들면, 서브 표시 영역 50B에 가장 길게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화면 표시>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20의 표시의 일례(그 세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이용하여,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표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단말 20의 표시 제어부 24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축소하여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에 더하여, 도 11에서 나타낸 것처럼,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사이즈로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a는, 컨텐츠 40B가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사이즈로 단말 20의 표시부 220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입력부 230이 유저로부터의 스크롤 등의 조작을 수신함에 따라, 표시 제어부 245는, 미열람의 컨텐츠 40B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하는 것을 결정하고, 표시부 220에 서브 표시 영역 50B를 형성한다. 표시부 220은 메인 표시 영역 50A의 일부를 서브 표시 영역 50B로서 형성한다. 표시 제어부 245는 형성된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 40B를 축소하지 않고 그대로 표시할 것을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이렇게 표시하는 것에 의해,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 40B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컨텐츠 40A는 단말 20의 유저의 주의를 끌 가능성이 높아진다. 덧붙여, 이 경우, 특정한 컨텐츠에 화면의 일부를 점유 당하게 되기 때문에,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를 비표시로 하여, 화면의 전 영역을 메인 표시 영역 50A으로 되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그 밖에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해야 하는 컨텐츠 40(예를 들면, 컨텐츠 40C)가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 제어부 245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 40B 대신에 컨텐츠 40C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도, 도 11a와 같이 컨텐츠가 축소되지 않고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제어부 245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통지된 표시 영역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사이즈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컨텐츠 40B와 컨텐츠 40C가 메인 표시 영역 50A에 표시되는 것과 같은 사이즈로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된다. 도 11b에서 나타낸 것처럼, 복수의 컨텐츠 40을 축소하지 않고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a의 경우와 같이,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가 소정의 시간 동안 표시된 후에, 서브 표시 영역 50B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는 비표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11에서 나타낸 것 중 어느 표시 제어 방법을 적용할지를 단말 20은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명시적인 지시에 기반하여 실행할 수 있고, 표시 영역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메인 표시 영역 50A 및 서브 표시 영역 50B의 사이즈와 각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설명에서는,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표시 영역인 서브 표시 영역 50B가, 단말 20의 화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서브 표시 영역 50B는 화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설정 가능하다. 또한, 서브 표시 영역 50B는 화면상의 복수의 영역으로 설정 가능하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해당하는 단말 20의 표시의 일례(그 네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20이 PC 등과 같은 스마트 폰과 비교하여 큰 화면을 가지는 단말인 경우, 도 12에서 나타낸 것처럼 표시 영역 50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화면의 중앙에 메인 표시 영역 50A가 형성되고, 화면의 양측(兩脇)에 서브 표시 영역 50B가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단말 20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유저가 스크롤 등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하더라도, 일부의 컨텐츠는 서브 표시 영역 50B에 계속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컨텐츠가 화면에 잔류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되어, 유저의 주의를 끌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능 구성>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기억부 130은, 도 13에서 나타낸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를 기억한다.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에는, 컨텐츠 마다의, 표시 횟수와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가 연관하여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에는, 배포되는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이라이트(강조 표시) 하고 표시하는 취지, 컨텐츠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취지, 컨텐츠의 내용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취지, 컨텐츠를 소정의 애니메이션과 함께 표시하는 취지, 혹은 이들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취지 등이 설정된다. 컨텐츠의 "일부"란, 예를 들면, 컨텐츠의 외곽선, 재생 메뉴 71, 인스톨 링크 72 및 쉐어 메뉴 73 등이다. 소정의 애니메이션이란, 예를 들면, 유저가 미리 설정한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와 함께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이다.
도 13에서 나타낸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에서는, 컨텐츠 ID "ZZZ"의 컨텐츠의 3번째에 표시할 때의 표시 형태는 "JJ"라고 설정된다. "JJ"가 컨텐츠 ID "ZZZ"의 외곽선을 적색으로 협조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 20은, 컨텐츠 ID "ZZZ"의 컨텐츠를 3번째에 표시할 때에 외곽선을 적색으로 협조 표시한다.
정보처리 서버 10의 제어부 120은, 정보 기억부 130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속성 기억 테이블 130A,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 및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를 이용하여, 단말 20에 배포할 컨텐츠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 120은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의 "표시 횟수"의 란과,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의 "표시 형태"의 란을 이용하여, 다음에 컨텐츠가 단말 20에 표시될 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제어부 120은 통신부 110을 통해 컨텐츠를 배포한다. 또한, 제어부 120은 통신부 110을 통해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단말 20에 통지한다.
단말 20의 통신부 210은 컨텐츠와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부 245는, 수신한 컨텐츠의 표시 형태에 맞게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
정보처리 서버 10의 제어부 120은, 유저 A의 "친구 정보"를 참조하여, 유저 A와 관련이 있는 유저를 특정하고, 관련이 있는 유저의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에서 관련이 있는 유저가 열람한 컨텐츠를 특정 가능하다.
정보처리 서버 10의 제어부 120은, 통신부 110을 통해, 컨텐츠를 배포할 때에 관련된 유저의 컨텐츠 열람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관련된 유저의 컨텐츠 열람 상태는, 컨텐츠의 표시 형태와 함께 유저 A의 단말 20에 통지될 수 있다.
<동작 순서>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동작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1401에서, 단말 20A의 제어부 120의 지시를 받아, 통신부 210은 컨텐츠의 배포 요청을 송신한다. 배포 요청에는 단말 20A의 유저인 유저 A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1402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가 배포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 120은, 정보 기억부 130을 참조하여, 유저 A에 배포할 컨텐츠와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 120은, 정보 기억부 130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와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를 참조하여, 컨텐츠의 표시 횟수에 기반해 배포되는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덧붙여, 제어부 120은 배포되는 컨텐츠의 다른 유저의 열람 상황을 특정하여, 특정된 열람 상황을 컨텐츠와 함께 배포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403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은, 제어부 120의 지시를 받아 결정된 컨텐츠를 단말 20A에 배포한다. 컨텐츠의 배포 메시지는 컨텐츠의 표시 순서, 각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포함한다. 컨텐츠의 배포 메시지는 해당 컨텐츠의 다른 유저의 열람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404에서, 단말 20A의 표시 제어부 245는, 통지된 표시 형태에 따라, 배포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표시부 220에 지시한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1501에서, 단말 20A의 표시 제어부 245는, 타임 라인 메뉴에 배포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1502에서, 단말 20A의 통신부 210은 표시 제어부 245의 지시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배포 요청을 송신한다. 컨텐츠의 배포 요청에는 단말 20A의 유저인 유저 A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1503에서, 컨텐츠의 배포 요청을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이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 120은 단말 20A에 배포할 컨텐츠와 컨텐츠의 표시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 120은 정보 기억부 130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의 "표시 횟수"의 란을 참조하여,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표시 이력의 확인). "표시 횟수"의 란에서 "0회"라고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는, 단말 20에 표시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컨텐츠의 표시 이력이 있는 경우(단계 S1503의 YES) 단계 S1504로 진행한다. 한편, 컨텐츠의 표시 이력이 없는 경우(단계 S1503의 NO) 단계 S1507로 진행한다.
단계 S1504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제어부 120은, 컨텐츠 배포 상태 테이블 130B와,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를 참조하여,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단계 S1505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통신부 110은, 제어부 120의 지시를 받고 컨텐츠, 컨텐츠의 표시 순서 및 결정된 각 컨텐츠의 표시 형태를 단말 20에 통지한다.
단계 S1506에서, 단말 20의 표시 제어부 245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통지에 기반하여, 표시부 220에 표시시킨다.
단계 S1507에서, 정보처리 서버 10의 제어부 120은 컨텐츠를 보통의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결정한다. 덧붙여, 배포 대상 컨텐츠 테이블 130E의 "표시 형태"의 "1"의 란은, 최초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형태가 나타나 있고, 본 플로차트의 처리가 실행될 때에 "보통의 표시"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507의 완료 후, 단계 S1505로 진행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처리 서버 10이 컨텐츠 마다의 표시 횟수와 표시 형태를 연관하여 기억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정보처리 서버 10이 유저 마다 컨텐츠의 배포 횟수와 표시 형태를 연관하여 기억하고,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 20에 컨텐츠의 표시를 지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유저 A에 3번째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는 "적색"으로 표시된다는 정보가 정보처리 서버 10에 기억된다. 또한, 정보처리 서버 10이, 컨텐츠를 배포할 때마다, 소정의 표시 형태의 패턴 중에서 표시 형태를 선택하여 단말 20에 통지할 수도 있다.
<화면 표시>
도 16 및 도 17을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20의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표시 형태의 지시에 기반하여, 컨텐츠 40B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부 220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유저의 주의를 끌도록 컨텐츠의 일부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16b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표시 형태의 지시에 기반하여, 컨텐츠 40B의 인스톨 링크 72B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부 220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c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표시 형태의 지시에 기반하여, 컨텐츠 40B의 인스톨 링크 72B가 확대되어 표시부 220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d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표시 형태의 지시에 기반하여, 컨텐츠 40B가 확대되어 표시부 220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유저의 주의를 끌도록 컨텐츠를 캐릭터 90의 애니메이션과 함께 표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도 16e는,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표시 형태의 지시에 기반하여, 컨텐츠 40B가 캐릭터 90의 애니메이션과 함께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캐릭터 90은 유저 마다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단말의 표시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의 표시 형태의 지시에 기반하여, 컨텐츠 40B가 다른 유저의 컨텐츠 40B의 열람 상황 75B와 함께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하이라이트 등의 표시 형태 및 열람 상황 75B의 양방의 표시의 지시를 받은 경우, 단말 20의 표시 제어부 245는 컨텐츠 40의 지정된 부분을 하이라이트하여 열람 상황 75B와 함께 표시부 220에 표시하도록 한다.
[그 외]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20이 정보처리 서버 10으로부터 통지된 열람 판단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 20에 배포된 컨텐츠가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였지만, 정보처리 서버 10에서 컨텐츠가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정보처리 서버 10은 단말 20로부터 컨텐츠의 표시 상황, 컨텐츠에 대한 조작 등을 취득하여 컨텐츠가 열람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컨텐츠의 중요도에 따라,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소정의 시간 이상 서브 표시 영역 50B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며,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등의 표시 형태를 선택하여 강조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수 이상의 다른 유저로부터 열람이나, 쉐어의 선택이 되어 있는 유저 컨텐츠의 경우나, 광고주로부터 소정의 금액 이상의 광고료가 지불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의 경우에는 정보처리 서버 10은 해당하는 컨텐츠에 대해 유저의 주의를 끌도록 서브 표시 영역 B에 표시하도록 하거나, 하이라이트 등의 강조한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한다.
정보처리 서버 10과 단말 20 사이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정보처리 서버 10은 정보처리 장치의 일례이다. 정보처리 서버 10의 각 기능이 다른 하드웨어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른 하드웨어상에 실장된 각 기능이 연휴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 서버 10의 기능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 서버 10은 다른 장치에 실장되어 있는 정보 기억부 130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상술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통신부 110은 배포부 및 통지부의 일례이다. 제어부 120은 표시 제어부의 일례이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를 정보처리 서버 10 및 단말 2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 서버 10 및 단말 20이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의 실시 형태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에, 기억 매체에는 SNS의 유저의 정보를 시계열을 따라 표시하는 제어 방법을, 정보처리 서버 10 및 단말 20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표시를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단말 20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또한, 단말 20에 컨텐츠를 배포하는 단계와, 단말 20에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조건을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가 열람 완료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표시를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정보처리 서버 10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장치가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장치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및 치환을 부가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5년 11월 11일자로 출원된 기초 출원 2015-22104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의 내용을 참조로서 여기에 원용한다.
1 정보처리 시스템
2 네트워크
10 정보처리 서버
20 단말
40 컨텐츠
50 표시 영역
50A 메인 표시 영역
50B 서브 표시 영역
60 컨텐츠
71 재생 메뉴
72 인스톨 링크
73 쉐어 메뉴
75 열람 상황
90 캐릭터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정보 기억부
140 입출력부
210 통신부
220 표시부
230 입력부
240 제어부
241 판단부
245 표시 제어부
250 정보 기억부
2 네트워크
10 정보처리 서버
20 단말
40 컨텐츠
50 표시 영역
50A 메인 표시 영역
50B 서브 표시 영역
60 컨텐츠
71 재생 메뉴
72 인스톨 링크
73 쉐어 메뉴
75 열람 상황
90 캐릭터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정보 기억부
140 입출력부
210 통신부
220 표시부
230 입력부
240 제어부
241 판단부
245 표시 제어부
250 정보 기억부
Claims (13)
- 단말에서의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제어하는 정보처리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복수의 유저들의 제1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표시되는 특정 컨텐츠의 표시 상황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과,
상기 결정된 표시 방법으로 유저의 제2 단말에 상기 특정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서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황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서의 상기 특정 컨텐츠의 표시 시간, 상기 특정 컨텐츠의 표시 횟수 또는 상기 특정 컨텐츠가 상기 제1 단말에 배포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쉐어의 선택이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컨텐츠에 포함된 링크가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유저와 상기 제2 단말의 유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관계를 갖는 유저들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된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것이거나,
상기 특정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가 표시되는 상기 제2 단말의 메인 표시 영역과는 구분되는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것이고,
상기 변경된 표시 형태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것,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 상기 특정 컨텐츠의 내용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것, 또는 상기 특정 컨텐츠를 소정의 애니메이션과 함께 표시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조작 정보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쉐어의 선택이 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변경된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결정하거나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단말의 유저의 열람 여부를 판정하는 것과,
상기 판정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유저들 중 소정의 수 이상의 유저들에 의해 상기 특정 컨텐츠가 열람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변경된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결정하거나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이고,
상기 열람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 상황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상기 제1 단말에서의 재생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열람 여부를 판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람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조작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링크의 선택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열람 여부를 판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5항에 있어서,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변경된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결정하거나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서브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서 더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표시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는, 상기 제1 단말과는 다른 단말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투고된 컨텐츠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7003837A KR102478011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221042 | 2015-11-11 | ||
JP2015221042A JP6018281B1 (ja) | 2015-11-11 | 2015-11-11 | 表示制御方法、端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PCT/JP2016/083492 WO2017082382A1 (ja) | 2015-11-11 | 2016-11-11 | 表示制御方法、端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1020207022299A KR102248244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2299A Division KR102248244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3837A Division KR102478011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9987A true KR20210049987A (ko) | 2021-05-06 |
KR102360523B1 KR102360523B1 (ko) | 2022-02-14 |
Family
ID=5721685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2930A KR102360523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0227003837A KR102478011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0207022299A KR102248244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0187012505A KR102148961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3837A KR102478011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0207022299A KR102248244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0187012505A KR102148961B1 (ko) | 2015-11-11 | 2016-11-1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10863016B2 (ko) |
JP (1) | JP6018281B1 (ko) |
KR (4) | KR102360523B1 (ko) |
CN (2) | CN113204322B (ko) |
WO (1) | WO201708238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32759B2 (ja) * | 2017-03-15 | 2021-02-24 | ヤフー株式会社 |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JP6921647B2 (ja) * | 2017-06-27 | 2021-08-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7033864B2 (ja) * | 2017-07-31 | 2022-03-11 | ヤフー株式会社 |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
JP2019079361A (ja) * | 2017-10-26 | 2019-05-23 | 株式会社竹延 | 作業支援装置、通信端末および作業支援方法 |
JP7077182B2 (ja) * | 2018-08-27 | 2022-05-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EP3864528A1 (en) * | 2018-10-08 | 2021-08-18 | Google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media files |
JP7316826B2 (ja) * | 2019-04-09 | 2023-07-28 | 清水建設株式会社 | ウィンドウ表示制御システム |
WO2020209162A1 (ja) * | 2019-04-11 | 2020-10-15 | 株式会社マーベラス |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
CN110351422B (zh) * | 2019-05-27 | 2021-03-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通知消息的预览方法、电子设备及相关产品 |
KR102252053B1 (ko) * | 2019-12-10 | 2021-05-14 | 네이버 주식회사 | 듀얼 스크린에서의 컨텐츠 중복을 배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US11487423B2 (en) * | 2019-12-16 | 2022-11-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input areas and hidden inputs |
US11093046B2 (en) | 2019-12-16 | 2021-08-1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designation for remote content source device |
US11404028B2 (en) | 2019-12-16 | 2022-08-0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notification handling |
US11042222B1 (en) | 2019-12-16 | 2021-06-2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ub-display designation and sharing |
JP2022145219A (ja) * | 2021-03-19 | 2022-10-03 | 株式会社リコー | 表示装置、データ共有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4742A (ko) * | 2010-10-28 | 2012-05-08 | 주식회사 케이티 | 오브젝트간 관계 설정을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 |
JP2013080322A (ja) * | 2011-10-03 | 2013-05-02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
KR20140068942A (ko) * | 2011-08-08 | 2014-06-09 |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 검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6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594A (ja) | 1989-06-21 | 1991-02-01 | Sharp Corp | 領域指定確認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 |
DE69024125T2 (de) | 1989-05-29 | 1996-06-05 | Sharp Kk | Datenverarbeitungsanordnung mit einem Anzeigebereich für die Textverarbeitung |
WO2000029932A1 (fr) | 1998-11-18 | 2000-05-25 | Fujitsu Limited | Dispositif et procede pour etablir une liste de donn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pour l'enregistrement d'un programme servant a etablir une liste de donnees |
JP2001357291A (ja) * | 2000-06-14 | 2001-12-26 | Tempearl Ind Co Ltd | 電子広告の表示方法 |
JP2002082884A (ja) | 2000-07-03 | 2002-03-22 | Fujitsu Ltd | 電子メール装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電子メール装置の閲覧制御方法 |
JP2002149332A (ja) * | 2000-11-10 | 2002-05-24 | Fuji Xerox Co Ltd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EP1639439A2 (en) * | 2003-06-13 | 2006-03-29 | The University Of Lancaster | User interface |
US7454716B2 (en) * | 2003-12-22 | 2008-11-18 | Microsoft Corporation | Clustering messages |
JP4396262B2 (ja) * | 2003-12-22 | 2010-01-13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7493567B2 (en) * | 2004-01-28 | 2009-02-17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pinning contacts and items |
US7716597B2 (en) * | 2004-03-31 | 2010-05-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ynamic materialization of disappearing entities |
US20060069734A1 (en) * | 2004-09-01 | 2006-03-30 | Michael Gersh |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message threads |
JP2007086869A (ja) * | 2005-09-20 | 2007-04-05 | Kddi Corp |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
JP2007140004A (ja) | 2005-11-17 | 2007-06-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のスクロール表示方法 |
JP2007213481A (ja) * | 2006-02-13 | 2007-08-23 | Fuji Xerox Co Ltd |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及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
JP2008042698A (ja) * | 2006-08-09 | 2008-02-21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携帯電話端末および携帯電話端末における表示方法 |
JP2008084057A (ja) * | 2006-09-28 | 2008-04-10 | Brother Ind Ltd | 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
US20080115161A1 (en) * | 2006-10-30 | 2008-05-15 | Google Inc. | Delivering user-selected video advertisements |
AU2006252191B2 (en) * | 2006-12-21 | 2009-03-26 | Canon Kabushiki Kaisha | Scrolling Interface |
EP2009558A1 (en) * | 2007-06-25 | 2008-12-31 | France Télécom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ble search results |
US20090158166A1 (en) * | 2007-12-14 | 2009-06-18 | Dewar Ami H |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 rearrangement of modules based on user interaction |
CA2711054A1 (en) * | 2008-01-04 | 2009-07-16 | United Video Propert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media assets for display in a screen of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
JP5591450B2 (ja) | 2008-02-12 | 2014-09-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コンテンツ表示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処理方法、コンテンツ表示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US20100049806A1 (en) * | 2008-08-19 | 2010-02-2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Time-based messaging rules |
US8832580B2 (en) * | 2008-11-05 | 2014-09-09 | Aurea Software, Inc. | Software with improved view of a business process |
US20100162168A1 (en) * | 2008-12-24 | 2010-06-24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emory and processing resources for the control of a display screen to fix displayed positions of selected items on the display screen |
JP4697321B2 (ja) * | 2009-03-24 | 2011-06-0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101791540B1 (ko) * | 2009-06-08 | 2017-10-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
US20110099519A1 (en) * | 2009-10-27 | 2011-04-28 | Apple Inc. | Menuing Structure for Media Content |
US8335763B2 (en) * | 2009-12-04 | 2012-12-18 | Microsoft Corporation | Concurrently presented data subfeeds |
US8776122B2 (en) * | 2009-12-28 | 2014-07-08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Unified recording listing across multiple devices |
US20130073951A1 (en) * | 2010-05-28 | 2013-03-21 | Rakuten, Inc. | Display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
KR101778969B1 (ko) | 2011-05-04 | 2017-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스크롤 방법 |
JP5492153B2 (ja) | 2011-07-29 | 2014-05-14 | 楽天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KR101830965B1 (ko) * | 2011-08-03 | 2018-0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JP6016641B2 (ja) * | 2011-08-04 | 2016-10-26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
KR101891155B1 (ko) | 2011-11-21 | 2018-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지기능이 구비된 대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
US9448619B1 (en) * | 2011-11-30 | 2016-09-20 | Google Inc. | Video advertisement overlay system and method |
JP5865039B2 (ja) | 2011-11-30 | 2016-02-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9386328B1 (en) * | 2011-11-30 | 2016-07-05 | Google Inc. | Thumbnail of content video to provide context to ad video playback |
US20130246926A1 (en) * | 2012-03-13 | 2013-09-1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ynamic content updating based on user activity |
US9699485B2 (en) | 2012-08-31 | 2017-07-04 | Facebook, Inc. | Sharing television and video programming through social networking |
KR102008916B1 (ko) * | 2012-09-07 | 2019-08-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미확인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JP6075055B2 (ja) * | 2012-12-20 | 2017-02-0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表示端末装置、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140091322A (ko) * | 2013-01-11 | 2014-07-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아이트래킹을 이용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KR102110457B1 (ko) * | 2013-04-19 | 2020-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기의 미확인 메시지 표시장치 및 방법 |
JP6268879B2 (ja) * | 2013-09-30 | 2018-01-31 | 凸版印刷株式会社 | 端末装置、広告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0263924B1 (en) * | 2013-10-30 | 2019-04-16 | Twitter, Inc. | Message selection and presentation in a real-time messaging platform |
US8949283B1 (en) * | 2013-12-23 | 2015-02-03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clustering electronic messages |
US9306893B2 (en) | 2013-12-31 | 2016-04-05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essive message flow |
US9124546B2 (en) * | 2013-12-31 | 2015-09-01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throttling display of electronic messages |
US9830618B2 (en) * | 2014-01-15 | 2017-11-28 |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 Advertisement management |
KR102226790B1 (ko) * | 2014-01-20 | 2021-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텐츠 리스트를 정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9483529B1 (en) * | 2014-02-14 | 2016-11-01 | Twitter, Inc. |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 unviewed messages |
JP6162057B2 (ja) | 2014-02-25 | 2017-07-12 | 株式会社Nttドコモ |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
US9749585B2 (en) * | 2014-03-17 | 2017-08-2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ghlighting unread messages |
US10178346B2 (en) * | 2014-03-17 | 2019-01-0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ghlighting unread messages |
US9891794B2 (en) * | 2014-04-25 | 2018-02-13 | Dropbox, Inc. | Browsing and selecting content items based on user gestures |
US20160088101A1 (en) * | 2014-09-19 | 2016-03-24 | D2L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ewed content |
US10712897B2 (en) * | 2014-12-12 | 2020-07-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contents displayed on screen |
JP5965471B2 (ja) * | 2014-12-22 | 2016-08-03 | ヤフー株式会社 |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端末装置及び配信装置 |
KR102358749B1 (ko) * | 2014-12-26 | 2022-0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TWI549545B (zh) * | 2015-01-30 | 2016-09-11 | 三竹資訊股份有限公司 | 將訊息置頂之行動公佈欄系統與方法 |
CN104820671A (zh) | 2015-03-13 | 2015-08-05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一种资料流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
JP6130433B2 (ja) * | 2015-05-14 | 2017-05-17 | ヤフー株式会社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配信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
-
2015
- 2015-11-11 JP JP2015221042A patent/JP6018281B1/ja active Active
-
2016
- 2016-03-29 US US15/083,481 patent/US10863016B2/en active Active
- 2016-11-11 CN CN202110660869.9A patent/CN113204322B/zh active Active
- 2016-11-11 KR KR1020217012930A patent/KR1023605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11 CN CN201680064019.XA patent/CN108351738B/zh active Active
- 2016-11-11 WO PCT/JP2016/083492 patent/WO201708238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1-11 KR KR1020227003837A patent/KR10247801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11 KR KR1020207022299A patent/KR1022482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11 KR KR1020187012505A patent/KR1021489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8-20 US US16/998,077 patent/US11379108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5-05 US US17/737,337 patent/US1157369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4742A (ko) * | 2010-10-28 | 2012-05-08 | 주식회사 케이티 | 오브젝트간 관계 설정을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 |
KR20140068942A (ko) * | 2011-08-08 | 2014-06-09 |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 검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JP2013080322A (ja) * | 2011-10-03 | 2013-05-02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396327A1 (en) | 2020-12-17 |
KR102360523B1 (ko) | 2022-02-14 |
KR102478011B1 (ko) | 2022-12-15 |
US11379108B2 (en) | 2022-07-05 |
CN108351738B (zh) | 2021-07-09 |
KR102248244B1 (ko) | 2021-05-04 |
US20170134561A1 (en) | 2017-05-11 |
CN108351738A (zh) | 2018-07-31 |
CN113204322B (zh) | 2024-07-26 |
JP2017091243A (ja) | 2017-05-25 |
US11573693B2 (en) | 2023-02-07 |
KR102148961B1 (ko) | 2020-08-27 |
KR20220021034A (ko) | 2022-02-21 |
KR20180063243A (ko) | 2018-06-11 |
US10863016B2 (en) | 2020-12-08 |
JP6018281B1 (ja) | 2016-11-02 |
CN113204322A (zh) | 2021-08-03 |
KR20200096316A (ko) | 2020-08-11 |
US20220261129A1 (en) | 2022-08-18 |
WO2017082382A1 (ja) | 2017-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8244B1 (ko)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 |
JP5993075B1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および配信装置 | |
JP6188987B1 (ja) | ユーザ投稿情報サーバ、ユーザ投稿情報表示システム、ユーザ投稿情報表示方法およびユーザ投稿情報表示プログラム | |
JP5941568B1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配信方法 | |
JP6524321B1 (ja) | コンテン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096853B1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 |
JP6665067B2 (ja) | 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6991386B2 (ja) |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 |
JP6947865B2 (ja) |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端末 | |
JP7212131B2 (ja) | 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20035240A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 |
JP2020042636A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 |
JP6761839B2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 |
JP6732984B1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制御サーバ | |
JP2018194749A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 |
JP2018180610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 |
JP6302117B1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装置、及び配信装置 | |
JP6444338B2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配信方法 | |
JP2020043553A (ja)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