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433A -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 Google Patents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433A
KR20210039433A KR1020217006337A KR20217006337A KR20210039433A KR 20210039433 A KR20210039433 A KR 20210039433A KR 1020217006337 A KR1020217006337 A KR 1020217006337A KR 20217006337 A KR20217006337 A KR 20217006337A KR 20210039433 A KR20210039433 A KR 20210039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tructural part
belt
profile rai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389B1 (ko
Inventor
건터 클루트
로날드 자부스취
아른트 소흔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3701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511A/ko
Publication of KR2021003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04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in vehicle or relative to seat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B60N2/5685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8Particular seat belt attachment and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3Fron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42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the gas directly propelling a flexible driving means, e.g. a plurality of successive masses, in a tubular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리트랙터(40)가 내부에 배열되는 공동(21)을 갖는, 차량 좌석의 좌석 구조물의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에 관한 것이다.
안전 벨트 장치를 갖는 차량 좌석은, 예를 들어, 적어도 안전 벨트 장치의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가 차량 좌석의 백레스트(backrest) 내에 체결되는, 컨버터블(convertible)에서의 앞좌석으로서의 그들의 사용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중 지지 B 필러(pillar)의 결여로 인해 그리고 뒷좌석에 대한 접근과 관련된 이유로 또는 후방 차량 구조물로부터의 거리와 관련된 이유로, 벨트 리트랙터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좌석의 백레스트 내에 통합되며, 이는, 따라서, 또한, 구속의 경우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벨트 리트랙터 자체는 그들의 기본 구조가 표준 벨트 리트랙터와 동일하고, 자가 정렬 관성 센서와 같은, 특히 백레스트 내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추가의 부조립체만을 갖추고 있다.
벨트 리트랙터는, 기본 구성요소로서, 하중 지지 프레임, 및 프레임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안전 벨트가 권취될 수 있는 벨트 릴(belt reel)을 갖는다. 프레임은 벨트 릴을 장착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벨트 익스트랙터(belt extractor)를 좌석 구조물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U자형 프레임으로 구부러지는 대응하는 두께의 강판으로 제조된다.
차량 좌석은, 그의 기본 설계에서, 차량 좌석을 차량 구조물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의 하중 지지 구조 부품으로 구성되는 좌석 구조물을 갖는다. 좌석 구조물은 착석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스프링 및 업홀스터리(upholstery)를 갖추고 있고, 또한, 연관된 전기 모터를 포함한 다양한 좌석 조정 메커니즘과 같은 추가의 구성요소, 및 난방 장치, 센서, 디스플레이, 헤드레스트(headrest) 등과 같은 추가의 구성요소의 체결을 위해 사용된다.
자율 주행 시스템을 갖는 현대의 차량에서, 차량 탑승자가, 예를 들어, 다른 탑승자와의 더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위해, 연장되고 더 집중적인 휴식 단계를 위해 또는 심지어 작업을 위해, 자율 주행에 의해 획득된 자유를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 좌석을 배향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상이한 배향 및 위치에서의 차량 좌석의 더 큰 조정가능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안전 벨트 장치 및 특히 벨트 리트랙터는, 예를 들어, 컨버터블의 앞좌석의 경우에 이미 그랬던 것처럼, 이전과 같이 차량 구조물이 아니라 오히려 차량 좌석에 체결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벨트 리트랙터가 최대한 공간 절약형 및 치수 안정적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체결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개발물은 종속 청구항, 도면 및 연관된 설명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르면, 벨트 리트랙터가 내부에 배열되는 공동을 갖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이 청구항 제1항에 따라 제안된다. 제안된 해법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는 공간 절약형 구성으로 차량 좌석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차량 좌석은, 상응하게, 벨트 리트랙터의 배열에 대해 더 콤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조 부품들 중 하나는 벨트 리트랙터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특별히 갖추고 있으며, 여기에서 공동의 형상 및 위치는, 예를 들어 안전 벨트의 안내 배출(guiding-out)과 관련하여, 벨트 리트랙터의 외부 형상 및 그의 기능에 특별히 적응될 수 있다.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또한,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릴이 하중 지지 구조 부품 상에 또는 그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부품 상에 직접 장착된다는 점에서, 벨트 리트랙터의 이전에 요구된 프레임을 대체할 수 있다. 더욱이, 구속의 경우에 발생하는 인장력은, 이제, 구조 부품 내로 직접 도입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공동에 주어진 형상에 의해,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구속력을 흡수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좌석 구조물의 구조 부품은 차량 좌석에 작용하는 좌석 힘 및 다른 힘을 어떤 방법으로든 흡수하도록 이미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그는 안전 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구속력을 흡수하기 위해 제안된 해법에 의해 또한 사용되는 충분히 높은 강도를 이미 갖고 있다. 더욱이, 제공된 공동 및 그에 의한, 벽이 서로 비스듬히 서 있는 상태의 주어진 3차원 설계로 인해,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특히 높은 비틀림 및 휨 강성을 가지며, 이는, 다시, 사고의 경우에 탑승자의 하중 흡수 및 구속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가능한 하중 흡수가 구조 부품의 종방향 배향을 따라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에 의해 변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예를 들어, 구조 부품 상의 외측으로부터 좌석 상의 탑승자 또는 벨트 스트랩(belt strap)을 통해 작용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벨트 텐셔너(belt tensioner)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에 의해 구조 부품 상의 내측으로부터 작용할 수 있다. 가능한 하중 흡수는, 바람직하게는, 벨트 스트랩 출구로부터 시작하여 구조 부품을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벨트 스트랩 출구로부터 멀리 향하는 영역보다 벨트 스트랩 출구의 영역 또는 그에 인접한 영역 내에 복수의 벽이 존재할 수 있다.
공동은 개구를 가지며, 이러한 개구를 통해, 벨트 리트랙터 상에 권취될 수 있는 안전 벨트가 밖으로 안내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개구는 안전 벨트를 밖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추가적으로, 또한, 설치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 벨트 리트랙터의 설치 후에 개구를 축소시키는 인서트 부품(insert part)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프로파일 레일에 의해 형성되며, 프로파일 레일은 단면이 U자형이고, 하나의 측부 상에서 개방되며, 기부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반대편 측부 면들을 갖고, 공동은 반대편 측부 면들 사이의 중간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제안된 해법의 이점은, 구조 부품이, 먼저, 다중 성형 부품으로서 매우 비용 효과적으로 사전제조될 수 있거나, 또한, 반제품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는 사실에서 확인될 수 있다. 다음으로, U자형 프로파일 레일은 측부 면들 사이의 자유 측부의 결과로서 매우 큰 접근 개구를 갖는다. 프로파일 레일은, 또한, 측부 면 및 기부 면의 내부 측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3개의 대면적 맞닿음 및 체결 표면을 갖는다. U자형 프로파일 레일은, 또한, 형상에 기인하고 구속의 경우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는 데 유리한 높은 비틀림 및 휨 강성을 갖는다.
개구는 프로파일 레일 내의 절결부(cutou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절결부는, 안전 벨트가 프로파일 레일을 통해 인출되는 방식으로, 벽, 바람직하게는 중심 벽, 즉 기부 면 내에 배열된다. 벨트 리트랙터는, 안전 벨트가 인출되는 경우에서의 또는 탑승자가 구속되는 경우에서의 반력이 프로파일 레일에 의해 이상적으로 흡수되어 좌석 구조물 내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프로파일 레일 내에, 즉 안전 벨트의 인출 방향의 반대편에 있는 프로파일 레일의 측부 상에 지지된다. 프로파일 레일 내의 절결부는 좁은 슬롯과 같은 기하학적 구조로 안전 벨트에 적응될 수 있고, 또한, 안전 벨트가 가능한 맞닿음부(abutment)에서 최대한 적게 로딩되는 방식으로, 에지의 반경을 확대시키기 위해 대응하는 라운딩(rounding) 또는 인서트 부품을 갖출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의 측부 면은 기부 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제안된 개발물의 결과로서, 프로파일 레일 내의 개구의 개구 폭은 동일한 높이에서의 에지 측부의 거리에 비해 상이한 높이의 결과로서 측부 면의 에지 측부의 거리를 확대시킴으로써 확대될 수 있다.
더 작은 높이를 갖는 측부 면은 구조 부품의 의도된 설치 위치에서 차량 좌석의 좌석 표면을 향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제안된 개발물의 결과로서, 따라서, 좌석 표면의 확대된 개구는 구속될 탑승자의 측부를 향하며, 이러한 측부를 향해 안전 벨트가, 또한, 밖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벨트 리트랙터는, 측부 면들 중 하나가 하나의 측부 상에서 그를 넘어 돌출되고 그에 의해 그가 보호되는 방식으로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는 한편, 안전 벨트는 더 낮은 높이를 갖는 측부 면을 통해 벨트 리트랙터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벨트 리트랙터는 프로파일 레일의 측부 면들 사이에 지지되는 횡방향 요소 내에 장착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벨트 리트랙터의 장착 외에도, 횡방향 요소는, 또한, 2개의 측부 면이 그에 힘이 작용할 때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는 것을 횡방향 요소가 방지한다는 점에서, 프로파일 레일을 보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벨트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그의 실제 기능과 관련하여, 횡방향 요소 자체는 특별히 형상화되고 치수설정되며, 프로파일 레일 내에 배열된다. 더욱이, 횡방향 요소는, 또한, 추가적으로, 센서, 액추에이터 또는 로킹 장치와 같은 추가의 기능적 부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횡방향 요소는, 또한, 기능적 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의 측부 면들 사이에 지지되고 제1 횡방향 요소로부터 이격되는 적어도 제2 횡방향 요소가 제공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제2 횡방향 요소는 측부 면의 서로에 대한 이동에서의 변형 강성뿐만 아니라, 구속의 경우에 프로파일 레일의 비틀림 강성 및 그에 따른 구조 부품의 치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횡방향 요소는, 또한, 추가적으로, 벨트 리트랙터의 추가의 장착을 위해 그리고/또는 벨트 리트랙터와 상호작용하는 추가의 조립체의 장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벨트 리트랙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벨트 릴을 갖고, 벨트 리트랙터는 벨트 릴의 회전축이 프로파일 레일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그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의 특히 콤팩트하고 공간 절약형인 배열이 실현될 수 있다. 횡방향 요소가 프로파일 레일에 수직하게 정렬되는 경우,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릴의 회전축이, 그에 따라서, 또한, 장착을 위해 제공된 횡방향 요소에 수직하게 정렬된다는 점에서, 장착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좌석 구조물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연장되고 백레스트를 형성하는 좌석 구조물의 일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종방향 스트럿(strut)을 포함하고, 공동 및 그 내에 배열된 벨트 리트랙터를 갖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2개의 종방향 스트럿을 그들의 단부에서 서로 연결하여 백레스트의 안정적 에지 측부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따라서, 구조 부품 및 종방향 스트럿은,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의 결과로서 사고의 경우에 구속력을 흡수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백레스트의 3면의 안정적 프레임을 형성한다.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공동이 차량 좌석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구조 부품의 제안된 배향의 결과로서, 벨트 리트랙터 상에 권취된 안전 벨트는 차량 좌석으로부터 그 상에 착석한 탑승자에게로 단순화된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은 측부 면의 자유 단부 면 에지를 덮는 커버 부품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커버 부품은 프로파일 레일을 폐쇄하여 모든 4개의 반경 방향으로 폐쇄된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그에 의해 프로파일 레일을 추가적으로 보강한다. 커버 부품은, 또한, 내부에 배열된 벨트 리트랙터가 임의의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그의 추가의 구성요소와 함께 보호되는 방식으로, 프로파일 레일 내에 존재하는 공동을 폐쇄한다.
커버 부품은 힌지에 의해 측부 면의 적어도 하나의 자유 에지에 스위블가능하게(swivelably) 연결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힌지에 의해 생성되는 연결부는, 커버 플레이트가, 먼저, 힌지에 의해 프로파일 레일의 측부 면의 에지에 스위블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어서, 스위블 이동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측부 면의 다른 에지로 스위블된다는 점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단순화되고 위치상으로 정밀한 체결을 허용하며, 여기에서 커버 플레이트는 반대편 측부 면의 에지 상에서 힌지에 의해 연결부 내에 지지된다.
프로파일 레일은, 그의 단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면 상에, 좌석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러그(fastening lug)를 갖는 유지 플레이트를 갖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유지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체결 러그가 유지 플레이트 상에 제공되고, 그의 형상 및 배향이, 특히 좌석 구조물 상의 대응하는 체결 지점에 체결하기 위해 설계된다는 점에서, 프로파일 레일 또는 구조 부품을 보강하는 역할 및 좌석 구조물에 체결하는 역할 둘 모두를 한다.
벨트 리트랙터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력 및 또한, 구속의 경우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유지 부품을 통해 좌석 구조물 내로 직접 도입되고 프로파일 레일이 상응하게 완화되는 방식으로, 유지 플레이트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벨트 리트랙터의 스프링 카세트(spring cassette)가, 바람직하게는, 유지 플레이트의 외측에 유지될 수 있다. 구동 스프링이 스프링 카세트 내에 유지되고, 일 단부에서 스프링 카세트의 하우징을 통해 유지 부품 상에 지지되며,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샤프트가 권취 방향으로 스프링 사전로딩되는 방식으로 타단부에서 벨트 샤프트에 연결된다. 그에 의해, 유지 부품은, 추가적으로, 구동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스프링 카세트는, 스프링 카세트를 위한 추가의 설치 공간이 프로파일 레일 내에 제공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유지 플레이트의 외측에 의도적으로 배열된다.
구조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그가, 먼저, 대량 생산에서 플라스틱 굽힘 및 성형 공정에 의해 비용 효과적으로 생산될 수 있고, 다음으로, 탑승자를 구속하는 요건에 대해 충분히 안정적인 재료로부터 생산되는 방식으로, 금속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조 부품은, 또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 부품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GFK 또는 CFK와 같은 현대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금속 또는 강과 유사하게 높은 강도를 갖지만, 상당히 더 가볍다. 게다가, 그들은 대응하는 성형 공구로 복잡한 형상으로 매우 간단하게 생산될 수 있고, 상응하게 복잡한 후처리가 생략된다.
구조 부품은, 적어도 공동의 영역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갖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보강 리브는, 구조 부품의 중량이 단지 약간 더 높은 상태에서, 구조 부품의 변형 저항이 매우 효율적으로 증가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리브는, 예를 들어, 침착 용접 또는 인쇄에 의해, 표면 상에 단순한 두껍게 된 부분으로서 생산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은, 또한, 공동의 벽으로부터 공동의 반대편 벽까지 연장됨으로써 구조 부품의 공동을 벽 유사 방식으로 다양한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조 부품은 좌석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해 단차부의 형상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2개의 맞닿음부를 갖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단차부의 형상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맞닿음부의 결과로서, 구조 부품은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2개의 평면 내에서 좌석 구조물 상에, 즉, 구조 부품의 높이 및 폭 둘 모두에서 오프셋되어 좌석 구조물 상에 지지된다.
맞닿음부들 중 하나의 맞닿음부는, 바람직하게는, 스위블 베어링으로서 설계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맞닿음부는 체결 플랜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어서, 체결 공정은, 먼저, 구조 부품을 스위블 베어링(swivel bearing)으로서 설계된 맞닿음부 내로 삽입하고, 이어서, 스위블 이동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구조 부품을 체결 플랜지로서 설계된 다른 하나의 맞닿음부 상으로 스위블시키며, 마지막으로, 구조 부품을 그에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조 부품은, 그의 단부들 각각에서, 체결 돌출부를 가지며, 이러한 체결 돌출부에 의해, 구조 부품이 좌석 구조물의 백레스트의 각각의 종방향 스트럿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따라서, 구조 부품은 2개의 종방향 스트럿을 연결하고, 그에 의해, 좌석 구조물을 보강하여 프레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을 갖는 차량 좌석의 2개의 종방향 스트럿을 도시한다.
도 2는 공동 및 그 내에 배열된 벨트 리트랙터를 갖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을 도시한다.
도 3은 공동 및 그 내에 배열된 벨트 리트랙터를 갖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을 도시한다.
도 1은 자동차용 차량 좌석의 백레스트를 형성하는, 차량 좌석의 좌석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한다. 좌석 구조물은 차량 좌석의 치수 안정적 "코어"를 형성하고, 착석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스프링 및/또는 업홀스터리를 추가적으로 갖추고 있다. 더욱이, 좌석 조정 메커니즘, 헤드레스트, 전자 장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심지어 난방 장치와 같은 추가의 기능적 구성요소가 좌석 구조물 상에 제공된다.
좌석 구조물은 복수의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의 복합물을 포함하며, 하중 지지 구조 부품들 중 2개는, 여기에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종방향 스트럿(1)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에 의해, 종방향 스트럿(1)의 상부 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백레스트의 치수 안정적 상부 측부를 형성한다. 종방향 스트럿(1)을 연결하기 위해, 체결 개구를 갖는 직립 탭(4)이 상기 스트럿 상에 제공되고, 체결 개구가 마찬가지로 구조 부품(2) 상에 제공되며, 이에 의해 이들 부품이 스크류 또는 리벳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더욱이, 2개의 직립 로드 형태의 헤드레스트 홀더(3)가 구조 부품(2) 상에 제공된다.
도 2에서,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은 확대된 표현으로 단일 부품으로서 볼 수 있다.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은, 기본 구성요소로서, 프로파일 레일(7)을 포함하며, 프로파일 레일은 단면이 U자형이고, 기부 면(10), 및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기부 면(10)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벽형상의 반대편 측부 면들(8, 9)을 갖는다. 프로파일 레일(7)은, 측부 면(8, 9)의 에지 측부들 사이에 형성되고 인서트 부품(6)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28)를 가지며, 인서트 부품은 도 1에서는 볼 수 있지만, 구조 부품(2)의 더 양호한 가시성을 위해 도 2에서는 생략되었다. 인서트 부품(6)은 개구(28)의 형상에 적응된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슬롯(13)을 가지며, 이러한 슬롯을 통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안전 벨트(12)가 측부 면들(8, 9) 사이의 공동(21)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구속되도록 의도되는 차량 좌석 상의 차량 탑승자 상으로 안내된다. 인서트 부품(6)은, 공동(21)이 외측을 향해 폐쇄되고 그 내에 제공된 벨트 리트랙터(40)가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방식으로, 제공된 슬롯(13)을 제외하고는 개구(28)를 폐쇄하거나 축소시킨다. 프로파일 레일(7)의 단부 면들은 각각 횡방향 요소(15, 20)에 의해 폐쇄된다.
벨트 릴(14), 및 그 상에 권취될 수 있고 도 3에서 단면도로 볼 수 있는 안전 벨트(12)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40)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의 공동(21) 내에 배열된다. 벨트 리트랙터(40)는, 벨트 릴(14)에 더하여, 벨트 릴(14)의 회전축과 동축인 배열로, 복수의 토션 바(torsion bar)(26)를 갖는 힘 제한 장치(25), 불꽃점화식(pyrotechnic) 비가역 벨트 텐셔너(24) 및 가역 전동 벨트 텐셔너(23)를 갖는다. 안전 벨트(12)가 그 상에 최대로 권취된 벨트 릴(14)의 외부 치수뿐만 아니라, 힘 제한 장치(25),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 및 전동 벨트 텐셔너(23)의 외부 치수들은,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수직인 단면 표면에서, 그들이 프로파일 레일(7)의 공동(21) 내에 배열될 수 있도록 그들이 프로파일 레일(7)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공동(21)의 치수를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프로파일 레일(7)에서, 복수의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가, 프로파일 레일(7)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하게 정렬되고 측부 면들 중 하나의 측부 면(8 또는 9)으로부터 각각의 다른 하나의 측부 면(8 또는 9)까지 연장되고 그에 연결되는 벽 부분의 형태로 제공된다. 더욱이,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프로파일 레일(7)의 기부 면(10)까지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프로파일 레일(7)의 전체 단면 표면을 채울 수 있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각각, 벨트 리트랙터 또는 그의 부품, 예를 들어 벨트 릴(14)이 장착, 체결 및/또는 통과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 또는 러그를 갖는다. 더욱이, 예를 들어, 횡방향 요소들(15, 16, 17, 18, 19, 20) 중 하나는, 또한, 벨트 릴(14) 또는 벨트 리트랙터의 다른 부품이 내부에 로킹될 수 있는 치형부 또는 다른 유형의 로킹 설계를 가질 수 있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또한, 벨트 리트랙터의 추가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를 위한 불꽃점화 추진제, 전자 구성요소, 예를 들어 센서, 전자 제어 유닛 또는 메모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의 공동을 가질 수 있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가 측부 면들 중 하나의 측부 면(8 또는 9)으로부터 각각의 다른 하나의 측부 면(8 또는 9)까지 연장되는 경우,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추가적으로, 프로파일 레일(7)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탑승자의 구속의 경우에 프로파일 레일(7)의 치수 안정성 및 하중 흡수에 유리하다. 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요소는, 조립체가 더 작은 치수를 의도적으로 갖고, 그에 따라, 또한, 프로파일 레일(7)의 좁고 긴 공동(21) 내에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축으로 그리고 하나가 다른 하나 뒤에 의도적으로 배열된다. 그 결과, 프로파일 레일(7) 및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은, 특히 차량 좌석의 좌석 구조물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의 사용에 유리한 바와 같이, 상응하게 좁고 길게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지지 구조 부품을 프로파일 레일(7) 및 벨트 리트랙터를 통한 단면도로 도시한다. 단면이 U자형인 프로파일 레일(7)은 이러한 표현에서 관찰자를 향하는 측부 면(8, 9), 및 기부 면(10)을 갖는다. 벨트 리트랙터가 내부에 배열되는 공동(21)은 측부 면들(8, 9) 사이에 제공된다. 공동(21)은 6개의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에 의해 분할되며, 여기에서 2개의 외부 횡방향 요소(15, 20)는 프로파일 레일(7)의 2개의 단부에서 공동(21)을 외측을 향해 폐쇄한다.
구동 스프링(27)을 갖는 스프링 카세트가 우측 횡방향 요소(15) 상에 유지되며, 이러한 구동 스프링은, 이어서, 벨트 릴(14)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 벨트 릴(14)을 그 상에 권취된 안전 벨트(12)의 권취 방향으로 사전인장시킨다. 벨트 릴(14)은, 프로파일 레일(7) 내로 돌출되는 그의 단부에서, 벨트 릴(14)과 동축으로 배열된 튜브형 연장부(38), 직렬로 배열된 3개의 토션 바(26, 36, 37), 및 프로파일 레일(7)에 대해 회전 고정 방식으로 로킹될 수 있는 로킹 부품(41)에 의해 형성되는 힘 제한 장치(25)를 갖추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토션 바(26, 36, 37)가 제공되며, 토션 바들 각각은 하나의 단부에서 벨트 릴(14) 또는 튜브형 연장부(38)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프로파일 레일(7)에 대해 회전 고정 방식으로 로킹되거나 또는 횡방향 요소들 중 각각의 하나의 횡방향 요소(16 또는 17) 내에 제공된 스위칭 장치에 의해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토션 바(26, 36, 37)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구속력이 상이한 힘 제한 레벨로 실현될 수 있거나, 또는 계단형 힘 제한 프로파일이 실현될 수 있다. 로킹 부품(41)은 차량 감응 및/또는 벨트 감응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로킹 장치에 의해 안전 벨트(12)의 인출 방향으로 로킹되어, 그에 의해, 힘 제한 장치(25) 자체에 의해 한정되는 힘 제한 레벨이 초과될 때 그가 후속하여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힘 제한 장치(25)를 로킹시킬 수 있다. 더욱이, 벨트 릴(14)과 동축으로 배열된 구동 휠(35)을 갖는 불꽃점화식 비가역 벨트 텐셔너(24)가 제공되며, 불꽃점화식 비가역 벨트 텐셔너는, 작동 시에, 벨트 릴(14)을 개재된 커플링을 통해 권취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안전 벨트(12)를 팽팽하게 한다. 또한, 전기 모터(22)를 갖는 가역 벨트 텐셔너(23)가 제공되며, 가역 벨트 텐셔너는, 작동 시에, 벨트 릴(14)을 제2 커플링 또는 심지어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와 동일한 커플링을 통해 권취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그에 의해 안전 벨트(12)를 팽팽하게 한다. 전기 모터(22)는 마찬가지로, 벨트 릴(14)과 동축으로 그리고 그에 따라, 또한, 힘 제한 장치(25) 및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와 동축으로 배열된다. 더욱이, 전자 제어 유닛(29)이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의 프로파일 레일(7) 내에 제공되고, 벨트 리트랙터(40) 및/또는 추가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은, 그가 도 1에서 볼 수 있는 종방향 스트럿(1)과 같은, 좌석 구조물의 추가의 부품을 함께 연결한다는 점에서, 좌석 구조물의 기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구조 부품(2)은 좌석 구조물을 형성하는 목적을 가지며, 또한, 제공된 공동(21)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4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은 벨트 리트랙터(40)를 갖는 조립체로서 사전조립될 수 있고, 이어서, 좌석 구조물 또는 차량 좌석의 제조 동안 구조 유닛으로서 최종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7)은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의 기본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좌석 구조물 내의 추가의 구조적 부품들 사이에 실현될 연결에 따라 형상화되고 치수설정된다. 프로파일 레일(7)은, 그가 벨트 리트랙터(40)를 지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벨트 리트랙터(40)를 차량 좌석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벨트 리트랙터(40)의 이전에 요구된 프레임을 대체할 수 있다.
벨트 리트랙터(40)는 벨트 릴(14) 및 추가의 조립체, 즉, 힘 제한 장치(25),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24), 및 가역 벨트 텐셔너(23)가 동축 직렬 배열인 상태로 모듈식으로 설계된다. 조립체는, 여기에서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의 반경방향 외부 치수가, 안전 벨트(12)가 최대로 권취될 때의 벨트 릴(14) 상의 권취된 벨트의 치수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벨트 리트랙터(40)의 최대 외경은 안전 벨트(12)가 최대로 권취될 때의 권취된 벨트의 직경에 의해 사전결정된다. 권취된 벨트는 단면이 원형이고 도 4의 하우징 또는 프로파일 레일(7) 내의 공동(21)은 단면이 사각형이기 때문에, 권취된 벨트에 의해 사전결정되는 최대 치수는, 또한,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권취된 벨트의 직경에 대응하거나 약간 더 큰 측부 길이를 갖는 공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그들의 지지 기능에 더하여, 또한, 대응하는 리셉터클 및 그 리셉터클 내의 또는 그 상의 다양한 기능적 유닛들의 배열체를 추가적으로 또는 심지어 대안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능적 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는, 그들의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 레일(7)의 측부 면(8, 9)과 기부 면(10) 사이에 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하우징 부품들(30, 31) 사이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는, 벨트 리트랙터(40)가 여기에서 프로파일 레일(7)보다는 2개의 하우징 부품(30, 31)을 갖는 2 부품 하우징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하우징 부품(30, 31)은 각각 U자형이고, 벨트 릴(14), 및 도 4의 상부 우측 예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된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배열되는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를 포함하는, 추가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조립된 위치에서, 하우징 부품(30, 31)은 단면이 사각형인 긴 공동(21)을 형성한다. 안전 벨트(12)가 그 상에 권취된 벨트 릴(14) 및 추가의 조립체는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긴 자유 공간이, 각각의 경우에, 벨트 릴(14)의 권취된 벨트, 조립체 및 하우징 사이의 코너 내에 제공되고, 여기에서 텐셔너 구동 튜브(32)의 배열을 위해 사용된다.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헐겁게 맞닿는 질량체의 체인과 같은 구동 장치, 또는 탄성 구동 트레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불꽃점화식 벨트 텐셔너의 작동 시에 가속되고, 그에 의해 구동 휠(35)과 구동 연결된다. 그에 의해, 구동 휠(35) 및 벨트 릴은, 후속하여, 안전 벨트(12)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텐셔너 구동 튜브(32)는 직선형 부분(33) 및 만곡된 부분(34)을 가지며, 그가, 직선형 부분(33)이 벨트 릴(14) 및 구동 휠(35)의 회전축에 평행한 상태로 그리고 만곡된 부분(34)이 구동 휠(35)의 외부 원주 상으로 접선방향으로 지향되는 상태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정렬 및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만곡된 부분(34)은, 만곡된 부분(34) 및 직선형 부분(33)이 텐셔너 구동 튜브(32)의 장착된 배열에서 벨트 릴(14)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나의 평면 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전적으로 하나의 평면 내에서 만곡된다.
조립된 위치에서, 벨트 리트랙터(40)가 내부에 배열된 하우징 부품(30, 31)은 치수 안정적 하우징을 형성하며, 이러한 하우징은 좌석 구조물에서 도 1에서 볼 수 있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7) 또는 하우징 부품(30, 31)을 갖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은 수평 설치 기하학적 구조로 도 1의 표현에 따라 설명되었는데, 이는 탑승자에 대한 공급 시에 안전 벨트(12)의 수평 배향과 관련하여 이점을 갖는다. 탑승자에 대한 공급 시의 안전 벨트(12)의 수평 배향은, 안전 벨트(12)가, 그에 따라서, 다시 방향전환되지 않고서 탑승자의 견부 상으로 수평으로 안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은, 또한, 좌석 구조물 상에 수직 또는 경사 배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안전 벨트(12)는 경사 배향으로 탑승자에게로 공급되거나, 별개의 편향 장치에 의해 의도된 공급 방향으로 방향전환된다. 더욱이, 구조 부품(2)은 또한, 백레스트의 상부 에지 대신에 백레스트의 좌석 구조물의 하부 지점 또는 하나의 측부에 배열될 수 있는데, 이는 좌석 구조물 또는 안전 벨트(12)의 공급이 이를 필요로 하고/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프로파일 레일(7) 또는 하우징 부품(30, 31) 대신에, 벨트 리트랙터(40)가 내부에 배열되고 특히 단부 면에서 밀어 넣어지는, 원형 또는 다른 종류의 단면을 갖는 튜브형 구조 부품(2)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구상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백레스트의 2개의 종방향 스트럿(1)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 백레스트의 좌석 구조물을 보강하거나 완성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종방향 스트럿(1)의 단부 면 상에, 각각이 한 쌍의 클로(claw)(48) 및 체결 표면(49)을 갖는 피팅 부품(50)이 각각 배열된다. 단차부의 형상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2개의 맞닿음부(43, 44)가 도 7에 도시된 구조 부품(2)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예시에서의 전방 상부 맞닿음부(43)는, 피팅 부품(50)의 클로(48)가 내부에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설정되는, 프로파일 레일(7) 내의 2개의 함몰부의 형태이다. 이러한 예시에 도시된 후방 하부 맞닿음부(44)는, 그가 구조 부품(2)의 체결된 위치에서 피팅 부품(50)의 체결 표면(49)에 대해 평면형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위치설정되는, 프로파일 레일(7)의 하향 돌출 체결 플랜지의 형태이다. 구조 부품(2)을 체결하기 위해, 그는, 클로(48)가 전방 상부 맞닿음부(43)와 맞물리고, 그에 의해 구조 부품(2)이 초기에 사전위치설정되는 방식으로 종방향 스트럿(1)에 부착된다. 이어서, 전방 상부 맞닿음부(43) 및 맞물린 클로(48)는 스위블 베어링을 형성하며, 이러한 스위블 베어링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 맞닿음부(44)가 체결 표면(49)에 대해 놓일 정도로 구조 부품이 후속하여 스위블된다. 이어서, 구조 부품(2)은,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2개의 스크류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후방 하부 맞닿음부(44)는, 외부 부분들 각각 내에, 개구를 가지며, 이러한 개구 내로 스크류가 삽입되고, 이어서 종방향 스트럿(1)의 대응하는 나사 내에 스크류결합된다. 따라서, 체결 플랜지 형태의 맞닿음부(44)는 2개의 체결 돌출부(45)를 형성하며, 이러한 체결 돌출부에 의해 구조 부품(2)이 종방향 스트럿(1)에 연결된다. 이어서, 구조 부품(2)은 단차부의 형상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된 2개의 맞닿음부(43, 44)에서 체결된다.
도 9 내지 도 15에서, 구조 부품(2)의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볼 수 있다. 구조 부품(2)은 프로파일 레일(7) 내의 절결부의 형태인 개구(28)를 가지며, 이러한 개구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안전 벨트(12)가 벨트 릴(14)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그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40)는 인장력이 안전 벨트(12)를 통해 가해질 때 프로파일 레일(7)의 내측에 지지된다. 더욱이, 구조 부품(2)은 2개의 체결 돌출부(45) 형태의 2개의 체결 러그(6)를 가지며, 체결 러그는 그가 이러한 경우에 종방향 스트럿(1)의 슬림한 직사각형 프로파일 형상의 단부 면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프로파일 레일(7)은, 탑승자를 향하는 그의 하부 에지, 즉, 백레스트의 리클라이닝 표면(reclining surface) 상에서, 또한, 프로파일 레일(7)의 에지가 그를 통해 평평해지는 만곡된 경사부(53)를 갖는다. 따라서, 업홀스터리 또는 좌석 구조물은 더 평평하게 설계될 수 있다(그에 의해 탑승자에 대한 착석의 편안함을 제한하지 않음).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 레일(7)은, 각각의 경우에, 유지 플레이트(46)에 의해 외측을 향해 폐쇄되며, 유지 플레이트들 각각 상에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측방향으로 각진 체결 돌출부(45) 형태의 체결 러그(6)가 제공된다. 더욱이, 유지 플레이트(46)는 벨트 리트랙터(40) 및 특히 벨트 릴(1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의 예시에서의 우측 유지 플레이트(46)는, 또한, 스프링 카세트(42)를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 카세트는 외측에 배열되고, 벨트 릴(14)을 권취 방향으로 사전인장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스프링이 내부에 배열된다.
벨트 릴(14)의 측부 상에 배열된 유지 플레이트(46)는,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자형 유지 부품(54)과 함께, 단면이 U자형이고 벨트 릴(14)이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프로파일 레일(7)에 더하여, 구조 부품(2)은,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커버 부품(5)을 가지며, 커버 부품은 프로파일 레일(7)의 측부 면의 단부 면 에지를 넘어 돌출되고, 그에 의해, 프로파일 레일(7)을 덮거나 완성하여, 폐쇄된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커버 부품(5)은, 그의 에지 측부들 중 하나 상에서, 복수의 규칙적으로 배열된 치형부(52)를 가지며, 이러한 치형부는, 복수의 규칙적으로 배열된 윈도우(51)와 함께, 프로파일 레일(7)의 측부 면의 에지 측부들 중 하나 내에 힌지(47)를 형성한다. 커버 플레이트(5)를 장착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는 치형부(52)와 함께 윈도우(51) 내로 삽입되고, 그가 체결 위치에서 프로파일 레일을 완전히 폐쇄할 정도로 프로파일 레일(7)로 후속하여 스위블된다.

Claims (21)

  1. 차량 좌석의 좌석 구조물의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에 있어서,
    - 상기 구조 부품(2)은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40)가 내부에 배열되는 공동(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공동(21)은 개구(28)를 가지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벨트 리트랙터(40) 상에 권취될 수 있는 안전 벨트(12)가 밖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하중 지지 구조 부품(2)은 프로파일 레일(7)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 레일은 단면이 U자형이고, 하나의 측부 상에서 개방되며, 기부 면(10)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반대편 측부 면들(8, 9)을 갖고,
    - 상기 공동(21)은 상기 반대편 측부 면들(8, 9) 사이의 중간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4.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 상기 개구(28)는 상기 프로파일 레일(7) 내의 절결부(cutou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프로파일 레일(7)의 측부 면(8, 9)은 상기 기부 면(10)으로부터 시작하여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6. 제5항에 있어서,
    - 더 작은 높이를 갖는 상기 측부 면(8, 9)은 상기 구조 부품(2)의 의도된 설치 위치에서 상기 차량 좌석의 좌석 표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리트랙터(40)는 상기 프로파일 레일(7)의 측부 면들(8, 9) 사이에 지지되는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8. 제7항에 있어서,
    - 상기 프로파일 레일(7)의 측부 면들(8, 9) 사이에 지지되고 제1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로부터 이격되는 적어도 제2 횡방향 요소(15, 16, 17, 18, 19, 2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리트랙터(40)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벨트 릴(belt reel)(14)을 갖고,
    - 상기 벨트 리트랙터(40)는 상기 벨트 릴(14)의 회전축(A)이 상기 프로파일 레일(7)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프로파일 레일(7)은 상기 측부 면(8, 9)의 자유 단부 면 에지를 덮는 커버 부품(5)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1. 제10항에 있어서,
    - 상기 커버 부품(5)은 힌지(47)에 의해 측부 면(8, 9)의 적어도 하나의 자유 에지에 스위블가능하게(swivelably)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프로파일 레일(7)은, 그의 단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면 상에, 좌석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러그(fastening lug)(6)를 갖는 유지 플레이트(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3. 제12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리트랙터(40)는 상기 유지 플레이트(46)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리트랙터의 스프링 카세트(spring cassette)(42)가 상기 유지 플레이트(46)의 외측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구조 부품(2)은 금속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구조 부품(2)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 부품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구조 부품(2)은, 적어도 상기 공동(21)의 영역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구조 부품(2)은 상기 좌석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해 단차부의 형상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2개의 맞닿음부(abutment)(43, 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19. 제18항에 있어서,
    - 상기 맞닿음부들(43, 44) 중 하나의 맞닿음부는 스위블 베어링(swivel bearing)으로서 설계되고, 다른 하나의 맞닿음부(43, 44)는 체결 플랜지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구조 부품(2)은, 그의 단부들 각각에서, 체결 돌출부(45)를 가지며, 상기 체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구조 부품(2)이 상기 좌석 구조물의 백레스트(backrest)의 각각의 종방향 스트럿(strut)(1)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품(2)의 하중 흡수는 그의 종방향 배향을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지지 구조 부품(2).
KR1020217006337A 2018-08-08 2019-08-08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KR102603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8348A KR20230080511A (ko) 2018-08-08 2019-08-08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3279.8A DE102018213279A1 (de) 2018-08-08 2018-08-08 Lasttragendes Strukturteil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8213279.8 2018-08-08
PCT/EP2019/071323 WO2020030739A1 (de) 2018-08-08 2019-08-08 Lasttragendes strukturteil für einen fahrzeugsitz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348A Division KR20230080511A (ko) 2018-08-08 2019-08-08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433A true KR20210039433A (ko) 2021-04-09
KR102603389B1 KR102603389B1 (ko) 2023-11-17

Family

ID=691863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348A KR20230080511A (ko) 2018-08-08 2019-08-08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KR1020217006337A KR102603389B1 (ko) 2018-08-08 2019-08-08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348A KR20230080511A (ko) 2018-08-08 2019-08-08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0410B2 (ko)
EP (2) EP3964405A1 (ko)
JP (2) JP2021533030A (ko)
KR (2) KR20230080511A (ko)
CN (2) CN116853172A (ko)
DE (1) DE102018213279A1 (ko)
WO (1) WO2020030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3282A1 (de) * 2018-08-08 2020-02-13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EP4144597A1 (de) * 2018-10-22 2023-03-08 Adient US LLC Fahrzeugsitzstruktur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ahrzeugsitzstruktur
DE102018218293A1 (de) * 2018-10-25 2020-04-3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US10836287B1 (en) * 2019-05-03 2020-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DE102020211208A1 (de) * 2020-09-07 2022-03-1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20133790A1 (de) * 2020-12-16 2022-06-23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eines Kraftfahrzeugs
DE102021105010B4 (de) 2021-03-02 2023-02-23 Autoliv Development Ab Lasttragender Gurtaufroller und Sitzstruktur
DE102021105013A1 (de) 2021-03-02 2022-09-08 Autoliv Development Ab Lasttragender Gurtaufroller
DE102022126000A1 (de) * 2022-10-07 2024-04-18 Aguti Produktentwicklung & Design Gmbh Gurtgestell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22132183A1 (de) 2022-12-05 2024-06-06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und Fahrzeugsitz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86A (ja) * 1996-10-11 1998-05-06 Takata Kk 超音波モータ及び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5934760A (en) * 1996-04-23 1999-08-10 Carl F. Schroth Gmbh Support means for a shoulder belt of a safety bel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106A (en) * 1984-04-30 1986-02-04 Tachikawa Spring Co., Ltd. Passive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DE3636912C2 (de) * 1986-10-30 1994-02-17 Keiper Recaro Gmbh Co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FR2660606B1 (fr) * 1990-04-04 1992-08-07 Faure Bertrand Automobile Perfectionnements aux sieges de vehicules a ceinture embarquee.
US5253924A (en) * 1991-06-11 1993-10-19 Concept Analysis Corporation Blow molded seat back with integral reinforcing member
US5547259A (en) * 1994-05-09 1996-08-20 Mitchell Corporation Of Owosso, Inc. Modular automotive seat frame
FR2721561B1 (fr) * 1994-06-28 1996-09-06 Cesa Elément pour armature de dossier de siège notamment de véhicule.
FR2736312B1 (fr) * 1995-07-03 1997-09-19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rmature de dossier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armature de dossier
US5697670A (en) * 1996-11-12 1997-12-16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DE19718067A1 (de) * 1997-04-29 1998-1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ippbare Rückenlehne für einen Rücksitz eines Kraftfahrzeuges
SE514382C2 (sv) 1998-05-20 2001-02-19 Saab Automobile Sätt och anordning vid ett säkerhetsbälte
JP3714039B2 (ja) * 1999-06-18 2005-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一体シート
JP4669143B2 (ja) * 2001-03-19 2011-04-13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リトラクタシステム
US20020140278A1 (en) * 2001-03-19 2002-10-03 Hlavaty David Gerard Seat restraint tensioner
DE10204477B4 (de) 2002-02-05 2006-11-30 Daimlerchrysler Ag Gurtstraffer
JP2003237533A (ja) * 2002-02-21 2003-08-27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JP4259162B2 (ja) * 2003-04-01 2009-04-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
US7475941B2 (en) * 2004-05-28 2009-01-13 Skjp Holdings Llc Compact folding seat with reverse cantilevered pivot
DE202004009949U1 (de) 2004-06-24 2004-10-14 Key Safety Systems, Inc., Lakeland Aufwicke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US8480180B2 (en) * 2005-01-04 2013-07-09 Isringhausen Gmbh & Co. Kg Height-adjustable deflection device for a three-point belt, vehicle seat with a three-point belt and method for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upper fastening point of a three-point belt
JP4612519B2 (ja) * 2005-10-11 2011-01-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構造
JP5121213B2 (ja) * 2006-11-22 2013-01-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80246316A1 (en) * 2007-04-03 2008-10-09 David Shaun Carine Child restraint system including tension sensor and status indicator
JP5171121B2 (ja) * 2007-06-20 2013-03-27 タカタ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7053964A1 (de) * 2007-07-18 2009-01-22 Johnson Controls Gmbh 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8045999A1 (de) * 2007-12-10 2009-06-18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mit einer Rückenlehne und einer Gurtumlenkung
GB0724215D0 (en) * 2007-12-12 2008-01-23 Norgren Ltd C A Seat belt device
JP4380778B1 (ja) * 2008-11-11 2009-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5434102B2 (ja) * 2009-01-29 2014-03-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8220735B2 (en) 2009-12-22 2012-07-17 Autoliv Asp, Inc. Adaptive load limiting retractor
JP2012166613A (ja) * 2011-02-10 2012-09-06 Toyota Motor Corp シート構造
CN202029806U (zh) * 2011-03-31 2011-11-09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新型的车辆安全带卷收器安装结构
JP5915544B2 (ja) * 2011-12-22 2016-05-11 東レ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用フレーム構造体
BR112014011695A2 (pt) * 2011-12-26 2017-05-09 Toray Industries estrutura de quadro para assento
DE102012022159B4 (de) * 2012-09-06 2021-02-2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ehnen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2017954B3 (de) * 2012-09-12 2013-09-05 Isringhausen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 und Entriegelung einer Gurthöheneinstellvorrichtung sowie Fahrzeugsitz
JP5576453B2 (ja) * 2012-10-16 2014-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5602253B2 (ja) * 2013-01-09 2014-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50158590A1 (en) * 2013-12-09 2015-06-11 Amsafe, Inc. Aircraft occupant restraint pretensio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592791B2 (en) * 2014-09-19 2017-03-14 Joseph Y. Yoon Advanced seatbelt apparatus
DE202015004293U1 (de) * 2015-06-16 2016-09-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
US9751495B2 (en) 2015-08-21 2017-09-05 Carleton Life Support Systems, Inc. Reel lock having multiple tooth dog
DE102018218293A1 (de) * 2018-10-25 2020-04-3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760A (en) * 1996-04-23 1999-08-10 Carl F. Schroth Gmbh Support means for a shoulder belt of a safety belt system
JPH10117486A (ja) * 1996-10-11 1998-05-06 Takata Kk 超音波モータ及び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389B1 (ko) 2023-11-17
KR20230080511A (ko) 2023-06-07
US20200047710A1 (en) 2020-02-13
WO2020030739A1 (de) 2020-02-13
DE102018213279A1 (de) 2020-02-13
JP2023126329A (ja) 2023-09-07
EP3964405A1 (de) 2022-03-09
CN110816468B (zh) 2023-12-15
JP2021533030A (ja) 2021-12-02
CN110816468A (zh) 2020-02-21
US10870410B2 (en) 2020-12-22
EP3833582A1 (de) 2021-06-16
CN116853172A (zh)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389B1 (ko)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JP7438266B2 (ja) ベルトリトラクタ
WO2011052297A1 (ja) 車両用シート
KR20200074713A (ko)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KR20230154041A (ko) 내하중 안전벨트 리트랙터 및 시트 구조
US20230278524A1 (en) Belt retractor
CA2688683A1 (en) Seat assembly for a vehicle
US20220266792A1 (en) Belt retractor
JP5211085B2 (ja) 積載空間カバー、及び自動車
US20220281408A1 (en) Seat-belt retractor
KR102673187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4593B1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3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6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8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2A (ko) 웨빙 가이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110012894A (ko) 크기 축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JP2007069765A (ja) 乗員保護装置
KR20020046510A (ko) 버스용 운전석 시트 벨트의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