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713A -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713A
KR20200074713A KR1020180163414A KR20180163414A KR20200074713A KR 20200074713 A KR20200074713 A KR 20200074713A KR 1020180163414 A KR1020180163414 A KR 1020180163414A KR 20180163414 A KR20180163414 A KR 20180163414A KR 20200074713 A KR20200074713 A KR 20200074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pper rail
hook guide
hook
tra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253B1 (ko
Inventor
이재성
문화영
임재상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253B1/ko
Priority to CN201910708855.2A priority patent/CN111319525B/zh
Priority to DE102019120995.1A priority patent/DE102019120995A1/de
Priority to US16/529,983 priority patent/US20200189422A1/en
Publication of KR2020007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2Complex cross-section, e.g. obtain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5Closing members for covering the s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2Attachment of seat frame to the slide, e.g. eye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하방에 설치되어 차량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트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 하단부에 모노 포스트와 싱글 레일 구조가 적용된 모노 트랙 메커니즘을 설치하고, 이 모노 트랙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로워 레일과 어퍼 레일을 후크 가이드를 통해 후크 결합시킴으로써, 전/후방 충돌 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안전한 시트 트랙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시트 하방에 설치되어 차량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트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에는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편의장치 중 하나로서 차량 시트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트랙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시트 트랙 장치는 한 쌍의 레일이 시트 하부에 좌우로 설치되고, 이 한 쌍의 레일을 통해 시트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 트랙 장치는 차량 바닥에 설치되는 로워 레일 및 로워 레일을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어퍼 레일을 가진다. 특히, 어퍼 레일 상에는 시트가 장착되며, 시트 및 어퍼 레일 이동시키는 작동력을 가함에 따라 시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시트 트랙 장치가 특정 위치에 멈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 장치가 포함된다.
한편, 종래의 시트 트랙 장치의 경우, 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로 인해 시트 이동 모션이 전후진으로 제약되어, 시트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동작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존재하였다.
1.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030415호 (2010.03.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트 하단부 트랙 구조를 기존의 더블 레일 구조가 아닌 싱글 레일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시트의 이동 모션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하단부 디자인에 대한 슬림화 및 자율성과 함께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싱글 레일 구조를 적용하더라도, 전/후방 충돌 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안전한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차체에 고정되는 로워 레일과; 차량 시트를 지지하는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며, 상기 로워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퍼 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은 상기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는 중앙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터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레일은 상기 어퍼 레일의 각 날개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한 쌍의 커버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이 상기 로워 레일 상에서 전후진하는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워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어퍼 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의 스크류 형상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은 상기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는 중앙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터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어퍼 레일의 상기 몸체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어퍼 레일의 상기 몸체부 내에는 리드 스크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 및 상기 로워 레일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후크 가이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와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는 서로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은 상기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는 중앙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터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레일의 몸체부에는 제1 어퍼 후크 가이드와 제2 어퍼 후크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들에는 각각 제3 어퍼 후크 가이드와 제4 어퍼 후크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로워 레일에는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들과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는 제1 로워 후크 가이드와 제2 로워 후크 가이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좌우 외측으로는 각각 제3 로워 후크 가이드와 제4 로워 후크 가이드가 상기 제3 어퍼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4 어퍼 후크 가이드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워 레일은 상기 어퍼 레일의 각 날개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한 쌍의 커버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로워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4 로워 후크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들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와 상기 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는 '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와 상기 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향되는 체결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로워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2 로워 후크 가이드의 결합 높이는 제1 높이로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3 로워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4 로워 후크 가이드의 결합 높이는 제2 높이로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높이와 상기 제2 높이는 서로 다른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의 좌우측 날개부에는 각각 2 이상의 롤러들이 상기 어퍼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3 어퍼 후크 가이드 및 상기 제4 어퍼 후크 가이드는, 상기 어퍼 레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들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과 상기 로워 레일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어퍼 레일과 상기 로워 레일 사이에는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어퍼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어퍼 레일의 좌우측 날개부 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로워 레일과의 접촉면들을 향해 돌출된 돌기들이 형성되고, 내부의 중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글 레일 구조의 모노 트랙 메커니즘을 갖는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트 하단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수 및 제작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시트 하부 디자인을 유려하게 슬림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을 포함한 차량 시트에 모노 트랙 메커니즘을 적용함으로써, 시트 회전 등과 같은 다양한 시트 동작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율 주행 차량에서의 시트 동작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 트랙 메커니즘 내부에 포함되는 어퍼 레일과 로워 레일 간의 상하/좌우 유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강도가 보강된 단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차량 외부 충격 시에도 시트의 움직임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가 장착된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가 장착된 차량용 시트에서, 시트 하부의 모노 트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시트 트랙 장치의 세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의 어퍼 레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의 로워 레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하단부 디자인을 슬림화시키고, 시트 이동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시트 하단부에 모노 포스트와 모노 트랙이 적용된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자율 주행 차량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시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모노 포스트 구조가 적용되고, 이 모노 포스트 구조가 전후로 슬라이딩 구동되도록 하는 레일 구조가 모노 포스트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노 포스트 및 모노 레일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차량 외부 충돌 시를 대비한 충분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가 장착된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의 시트 하부에 장착되는 모노 트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는 차량 시트(20)를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모노 포스트(30)가 시트(20) 하부에 설치되고, 이 모노 포스트(30)가 전후로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도록 시트 레일 상에 설치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모노 포스트(30)는 단일한 기둥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모노 포스트(30)는 어퍼 레일(200) 상에 장착된다. 또한, 모노 포스트(30)가 장착된 어퍼 레일(200)은 로워 레일(1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어퍼 레일(200)은 모터(320)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력을 제공받으며, 따라서 차체에 고정된 로워 레일(100)을 따라 어퍼 레일(200) 및 모노 포스트(30)를 통해 어퍼 레일(200) 상에 장착된 시트가 전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는 시트 하부의 모노 포스트 구조에 적합한 시트 트랙 장치(10)로, 모노 포스트(30)와 연결되는 어퍼 레일(200) 및 이 어퍼 레일(200)이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로워 레일(100)을 포함하는 모노 트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을 포함하는 시트 레일 및 어퍼 레일(200)을 슬라이딩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320)와 리드 스크류(310)와 같은 구동부를 통괄하여 시트 트랙 장치(10)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시트 트랙 장치(10)는 시트 하부의 모노 포스트(30)에 체결되는 것으로,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전반을 의미하며, 도 2에서의 모노 포스트(30) 하부의 구성들을 시트 트랙 장치(10)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모터(320)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식 구동부를 포함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전동식 구조가 아니라 수동식 구조, 즉 탑승자가 직접 작동력을 가하여 시트를 슬라이딩 동작시키고, 시트 트랙 장치에 구비된 록킹 장치에 의해 시트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는 모터(320) 및 리드스크류를 포함하는 전동식 구동부를 제시하고 있으나, 어퍼 레일(200)이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는 모노 트랙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구동부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이러한 시트 트랙 장치(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트랙 장치(10)의 세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는 차량 하부의 차체에 장착되는 로워 레일(100)과, 이 로워 레일(100)과 체결되면서, 로워 레일(10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어퍼 레일(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구현예에서의 어퍼 레일(200)은 모노 포스트(30)를 장착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모노 포스트(30)가 설치된 시트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면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어퍼 레일(200) 상단에는 모노 포스트(3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 브라켓(230)이 형성되고, 이 장착 브라켓(230) 상에 모노 포스트(3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어퍼 레일(200) 상단에 한 쌍의 장착 브라켓(23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착 브라켓의 개수 및 형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어퍼 레일(20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시트 하부의 모노 포스트(30)가 장착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은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의 어퍼 레일(200)은 로워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되는 것으로, 본 구현예에서의 어퍼 레일(200)은 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딩하면서 전후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는 로워 레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로워 레일(10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리드 스크류(310) 및 이 리드 스크류(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2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터(320)의 회전축은 리드 스크류(31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모터(320)의 회전축이 리드 스크류(310) 상에 직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310)에는 리드 스크류(310)의 스크류 형상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부재(330)가 체결되고, 상기 너트 부재(330)는 어퍼 레일(200)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310)의 회전 시 어퍼 레일(200) 상에 장착된 너트 부재(330)가 전후진하게 되는 바, 모터(320) 동작 시, 너트 부재(330)와 함께 어퍼 레일(200) 또한 리드 스크류(310)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 부재(330)는 내부에 리드 스크류(310) 형상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외부에는 어퍼 레일(200)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팅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는 너트 부재(330)의 상부에는 4개소의 볼팅 구멍이 형성되고, 이 4 개소에 각각 볼팅이 이루어지면서 어퍼 레일(200) 상에 너트 부재(330)가 단단히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모터(320) 구동 시, 리드 스크류(310)가 회전함에 따라 리드 스크류(310) 상에 체결된 너트 부재(330) 및 어퍼 레일(200)이 앞뒤로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어퍼 레일(200)에는 너트 부재(330)가 장착되기 위한 체결부가 마련되고, 리드 스크류(3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250)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어퍼 레일(200)은 너트 부재(330)가 장착 및 고정되는 몸체부(210)를 포함하고, 이 몸체부(210) 내에는 리드 스크류(310)가 관통하는 관통홀(250)이 형성된다. 또한, 이 몸체부(210) 좌우로 한 쌍의 날개부(220a, 220b)가 연장 형성되며, 몸체부(210)와 날개부(220a, 220b) 상에는 후크 가이드가 설치된다.
특히, 모노 포스트(30)에 의해 연결되는 시트 트랙 구조가 충분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어퍼 레일(200)의 날개부(220a, 220b)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로워 레일(100)이 구성된다. 즉, 도 2 및 도 7 등에서와 같이, 어퍼 레일(200)의 날개부(220a, 220b)는 로워 레일(100)의 양측 커버부(110)에 의해 충분히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커버부(110)의 내측에서는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의 후크 가이드들을 통해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 후크 가이드의 구성 및 후크 가이드를 통한 후크 결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 스크류(310)는 너트 부재(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홀(250)을 통해 어퍼 레일(200)에 삽입되고, 로워 레일(100)의 프론트 마운팅 브라켓(131)과 리어 마운팅 브라켓(1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어퍼 레일(200)의 전후진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어퍼 레일(200) 하부에는 다수의 롤러들(270a, 270b)이 장착될 수 있다. 이 롤러들(270a, 270b)은 어퍼 레일(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롤러 저면이 로워 레일(100)에 선접촉하면서 어퍼 레일(200)을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롤러들(270a, 270b)는 어퍼 레일(2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롤러(270a)와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롤러(270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좌측에 두 개의 롤러와 우측에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는 모터(320) 및 리드 스크류(310)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롤러에 의해 어퍼 레일(200)이 전후진하는 구조이며, 하부의 로워 레일(100)은 이러한 리드 스크류(310)를 장착 및 고정시키는 한편, 어퍼 레일(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는 시트에 연결되는 포스트가 하나인 모노 포스트(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이 모노 포스트(30)를 통해 어퍼 레일(200) 측으로 전달되는 시트의 움직임 및 이를 통한 하중 집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는 차량 시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파손 시, 또는 전후방 충돌 시의 강도 개선을 위해,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이 시트 트랙 장치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4 개소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가이드들에 의해 후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의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을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에서는 도 2의 시트 트랙 장치의 B-B'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시트 트랙 장치에서는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에 각각 형성된 후크형 레일 가이드가 서로 교차하면서 어퍼 레일(2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상태로 후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와 같이, 로워 레일(100)의 경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4개의 후크 가이드들(121, 122, 123, 124)을 포함하며, 이 후크 가이드들은 어퍼 레일(200)의 후크 가이드들(241, 242, 243, 244)과 후크 결합된다. 이러한 후크 가이드들(121, 122, 123, 124, 241, 242, 243, 244)은 어퍼 레일(200) 또는 로워 레일(100)로부터 일정한 가이드 홈(125, 126, 127, 128, 245, 246, 247, 248)을 형성하면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구조로, 후크 가이드가 형성하는 가이드 홈을 따라 다른 후크 가이드가 삽입되면서 서로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7의 단면에서와 같이, 각각의 후크 가이드들은 일측이 개방된 'ㄴ'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시트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단부는 로워 레일(100) 또는 어퍼 레일(200) 상에 장착되고, 타측 단부는 그와 체결되는 다른 후크 가이드의 일부와 체결되는 체결단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후크 가이드는 그 일단이 어퍼 레일(200) 또는 로워 레일(100)에 일체로 장착되어 형성되며, 그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타단부가 후크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타단을 이루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 상 후크 가이드의 타단을 체결단이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후크 가이드들이 후크 결합된다는 것은 어퍼 레일(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의 가이드 홈 내에 인접한 로워 레일(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가 삽입되어 어퍼 레일(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구속하지 않으면서, 다른 방향으로의 서로 간 움직임을, 각각의 체결단을 통해, 구속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러한 경우 로워 레일(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의 가이드 홈 내에도 인접한 어퍼 레일(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의 체결단이 동시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후크 가이드들을 통해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이 결합되는 경우,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 간에 전후 좌우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서로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어퍼 레일(200) 및 로워 레일(100)에는 각각 4개의 후크 가이드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바, 시트 레일의 적어도 4개소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후방 충돌 시 로워 레일(100)이 이탈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로워 레일(100)의 중앙에 제1 로워 후크 가이드(121)와 제2 로워 후크 가이드(122)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좌우측에 각각 제3 로워 후크 가이드(123)와 제4 로워 후크 가이드(124)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어퍼 레일(200) 상에는 제1 내지 제4 로워 후크 가이드(121, 122, 123, 124)와 결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내지 제4 어퍼 후크 가이드(241, 242, 243, 244)가 형성된다.
이 경우, 모노 포스트(30) 측에 연결되는 어퍼 레일(200)의 중앙 몸체부(210) 저면에는 제1 및 제2 어퍼 후크 가이드(241, 242)가 형성되고, 중앙 몸체부(210)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220a, 220b) 상에 제3 및 제 4 어퍼 후크 가이드(243, 244)가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퍼 레일(200)의 좌우측 날개부(220a, 220b)에는 각각 다수의 롤러들(270a, 270b)이 상기 어퍼 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3 어퍼 후크 가이드(243) 및 상기 제4 어퍼 후크 가이드(244)는, 상기 어퍼 레일(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들(270a, 270b)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어퍼 후크 가이드(241)와 제3 어퍼 후크 가이드(243) 사이에는 좌측 롤러들(270a)이 어퍼 레일(200), 바람직하게는 어퍼 레일(200)의 날개부(220a, 220b) 상에 장착되고, 제2 어퍼 후크 가이드(242)와 제 4 어퍼 후크 가이드(244) 사이에는 우측 롤러들(270b)이 어퍼 레일(200), 바람직하게는 어퍼 레일(200)의 날개부(220a, 220b) 상에 장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의 접촉면인 좌우측 롤러 저면을 기준으로, 각각 한 쌍의 후크 가이드가 롤러(270a, 270b)의 좌우로 배치되는 바, 전후 좌우의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구현예에서는 좌우측으로 각각 두 개의 롤러들(270a, 270b)이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롤러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 6, 8 개 등의 롤러가 어퍼 레일(200) 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 2개의 롤러만이 몸체부(210) 중앙에 전후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로워 레일(100)과 롤러 간의 충분한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롤러의 폭은 충분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레일(200)의 후크 가이드와 로워 레일(100)의 후크 가이드들의 체결단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향되어야 한다. 여기서 체결단의 배향 방향이란 단면을 기준으로 후크 가이드가 어퍼 레일(200) 또는 로워 레일(10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어퍼 레일(200)의 후크 가이드들은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워 레일(100)의 후크 가이드들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 7의 예에서는 각각의 후크 가이드들이 수직 방향으로 대향되게 연장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후크 가이드들의 연장방향은 도 7에서와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방향에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의 제1 및 제2 로워 후크 가이드(121, 122)와 외곽의 제3 및 제4 로워 후크 가이드(123, 124)의 결합 높이는 서로 다른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강도 보강 등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 높이란 가이드 홈(125, 126, 127, 128)의 바닥 높이와 체결단의 높이의 산술 평균값으로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후크 가이드들의 후크 결합 시, 전후방 충돌 시 어퍼 레일(200)이 로워 레일(100)에 구속되는 포인트는, 단면 상으로 가이드 홈의 바닥 위치와 체결단의 단부 위치에서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실질적인 구속을 제공하는 두 위치의 산술 평균값을 결합 높이라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로워 레일(100)의 저면을 기준으로, 중앙의 제1 및 제2 로워 후크 가이드(121, 122)의 결합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동일한 결합 높이를 갖는 외곽의 제3 및 제4 로워 후크 가이드(123, 124)의 결합 높이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 가이드의 결합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은 후크들의 결합 높이를 위치 별로 달리 가져갈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에서의 충돌 시에도 효과적으로 강도 보강에 기여할 수 있게 하며, 충돌 시 시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퍼 레일(200)의 몸체부(210)와 날개부(220a, 220b)에 각각 어퍼 후크 가이드들(241, 242, 243, 244)이 형성되고, 이들 어퍼 후크 가이드들(241, 242, 243, 244)과 로워 레일(100)의 로워 후크 가이드(121, 122, 123, 124)들이 적어도 4개소에서 후크 결합하는 체결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모노 포스트 구조에서도 충분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는 4개소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7 등의 예에서와는 달리, 4 개소 이상의 위치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예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이 후크 결합됨에 있어서, 후크 결합을 위한 후크 가이드들은 정상적인 어퍼 레일(200)의 슬라이딩 동작에서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즉, 본 구현예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어퍼 후크 가이드들(241, 242, 243, 244)과 로워 후크 가이드(121, 122, 123, 124)들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된다. 반면,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 사이에는 리테이너(260a, 260b)가 삽입되고, 이 리테이너(260a, 260b)를 통해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 사이의 간격이 제거된다. 이러한 리테이너(260a, 260b)는 어퍼 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이 면접촉을 이루면서 균일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특히, 상기 리테이너(260a, 260b)는 내부에 중공 구조(262)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중공 구조(262)를 통해 어퍼 레일(200)에 완전히 밀착하면서 로워 레일(100) 상에 장착 및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리테이너(260a, 260b)는 로워 레일(100) 측과의 접촉면들을 향해 돌출된 돌기(261)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돌기(261)들을 통해 어퍼 레일(200) 측에 장착된 리테이너(260a, 260b)가 로워 레일(100) 내측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260a, 260b)의 억지 끼움 시, 상기 리테이너(260a, 260b)는 내부의 중공 구조(262)를 통해 내측으로 변형가능하게 되는 바, 로워 레일(100)과 어퍼 레일(200)이 탄력적으로 서로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260a, 260b)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리테이너(260a, 260b)를 통해 어퍼 레일(200)과 로워 레일(100) 간의 유격을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어퍼 레일(200)의 슬라이딩 동작 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고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4와는 달리, 리테이너(260a, 260b)가 로워 레일(100) 상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로워 레일(1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리테이너(260a, 260b)가 장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는 모노 트랙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모노 포스트에 의해 시트를 연결함으로써, 시트 심미감을 개선함은 물론, 자율 주행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트 움직임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이다. 또한, 모노 포스트를 적용하더라도 전후방 충돌에 대비하여 충분한 강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바, 차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10: 시트 트랙 장치 20: 시트
30: 모노 포스트
100: 로워 레일 110: 커버부
121, 122, 123, 124: 로워 후크 가이드 125, 126, 127, 128: 가이드 홈
131: 프론트 마운팅 브라켓 132: 리어 마운팅 브라켓
200: 어퍼 레일 210: 몸체부
220a, 220b: 날개부 230: 장착 브라켓
241, 242, 243, 244: 어퍼 후크 가이드 245, 246, 247, 248: 가이드 홈
250: 관통홀 260a, 260b: 리테이너
261: 돌기 262: 리테이너 내부 중공 구조
270a, 270b: 롤러 310: 리드 스크류
320: 모터 330: 너트 부재

Claims (14)

  1. 차체에 고정되는 로워 레일과;
    차량 시트를 지지하는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며, 상기 로워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퍼 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은 상기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는 중앙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터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레일은 상기 어퍼 레일의 각 날개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한 쌍의 커버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이 상기 로워 레일 상에서 전후진하는 작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워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어퍼 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의 스크류 형상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은 상기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는 중앙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터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어퍼 레일의 상기 몸체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어퍼 레일의 상기 몸체부 내에는 리드 스크류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 및 상기 로워 레일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후크 가이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와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는 서로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은 상기 모노 포스트가 장착되는 중앙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터 각각 좌우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레일의 몸체부에는 제1 어퍼 후크 가이드와 제2 어퍼 후크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들에는 각각 제3 어퍼 후크 가이드와 제4 어퍼 후크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로워 레일에는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들과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는 제1 로워 후크 가이드와 제2 로워 후크 가이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좌우 외측으로는 각각 제3 로워 후크 가이드와 제4 로워 후크 가이드가 상기 제3 어퍼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4 어퍼 후크 가이드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워 레일은 상기 어퍼 레일의 각 날개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한 쌍의 커버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로워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4 로워 후크 가이드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들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와 상기 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는 '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어퍼 레일의 후크 가이드와 상기 로워 레일의 후크 가이드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향되는 체결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워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2 로워 후크 가이드의 결합 높이는 제1 높이로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3 로워 후크 가이드와 상기 제4 로워 후크 가이드의 결합 높이는 제2 높이로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높이와 상기 제2 높이는 서로 다른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의 좌우측 날개부에는 각각 2 이상의 롤러들이 상기 어퍼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3 어퍼 후크 가이드 및 상기 제4 어퍼 후크 가이드는, 상기 어퍼 레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들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레일과 상기 로워 레일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어퍼 레일과 상기 로워 레일 사이에는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어퍼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어퍼 레일의 좌우측 날개부 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로워 레일과의 접촉면들을 향해 돌출된 돌기들이 형성되고, 내부의 중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KR1020180163414A 2018-12-17 2018-12-17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KR10252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414A KR102527253B1 (ko) 2018-12-17 2018-12-17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CN201910708855.2A CN111319525B (zh) 2018-12-17 2019-08-01 车辆用座椅导轨装置
DE102019120995.1A DE102019120995A1 (de) 2018-12-17 2019-08-02 Sitzschienenmechanismus für ein Fahrzeug
US16/529,983 US20200189422A1 (en) 2018-12-17 2019-08-02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414A KR102527253B1 (ko) 2018-12-17 2018-12-17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713A true KR20200074713A (ko) 2020-06-25
KR102527253B1 KR102527253B1 (ko) 2023-04-28

Family

ID=7085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414A KR102527253B1 (ko) 2018-12-17 2018-12-17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89422A1 (ko)
KR (1) KR102527253B1 (ko)
CN (1) CN111319525B (ko)
DE (1) DE1020191209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817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 트랙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KR20220153771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446B1 (ko) * 2018-12-20 2023-12-1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CN112451327A (zh) * 2020-11-25 2021-03-09 彭向阳 一种近视康复机的可移动座椅
CN115009116B (zh) * 2022-06-08 2023-05-16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及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31B1 (ko) * 2004-10-02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KR20070103935A (ko) * 2006-04-20 2007-10-25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KR20100030415A (ko) 2008-09-10 2010-03-18 다이모스(주)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KR20110015876A (ko) * 2009-08-10 2011-02-17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파워구동장치의 리드 스크류 지지 구조.
KR20180107072A (ko) * 2015-08-27 2018-10-01 테슬라, 인크. 프리스탠딩 차량 시트를 위한 모노포스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7331A (en) * 1990-11-30 1992-08-11 Magna International Inc. Seat track assembly with mechanical memory
US5575531A (en) * 1993-12-15 1996-11-19 Itt Corporation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end driven lead screw actuation
US5746409A (en) * 1996-07-19 1998-05-05 Excellence Manufacturing, Inc. Reinforced seat track
EP1209024A1 (en) * 2000-11-16 2002-05-29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Seat slide apparatus
KR100411498B1 (ko) * 2001-07-05 2003-12-24 주식회사 한일 차량용 시트의 트랙겸용착탈장치
AU3556202A (en) * 2002-04-19 2003-10-23 Douglas K. Ziegler Infant/child vehicle safety seat having improved ergonomics
US6869057B2 (en) * 2002-12-20 2005-03-22 Fuji Kiko Co., Ltd. Seat slide device
KR100590963B1 (ko) * 2004-05-07 2006-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탈착식 시트를 위한 롱 슬라이드형 레일
FR2872105B1 (fr) * 2004-06-24 2007-12-21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automobi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CN101554845A (zh) * 2008-04-10 2009-10-14 全兴工业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的滑轨构造
DE102009013562A1 (de) * 2009-03-17 2009-11-05 Daimler Ag Befestig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wagen
JP5509979B2 (ja) * 2010-03-25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4334402A (zh) * 2012-03-27 2015-02-04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滑动导轨机构
CN202593315U (zh) * 2012-04-27 2012-12-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滑轨
CN202753811U (zh) * 2012-08-25 2013-02-27 浙江俱进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改良结构的汽车座椅总成
JP6189249B2 (ja) * 2014-04-25 2017-08-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104553894B (zh) * 2014-12-31 2017-05-10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汽车座椅滑轨
CN106627263B (zh) * 2016-11-24 2023-04-25 江苏忠明祥和精工股份有限公司 用于汽车座椅的长滑轨
CN207510267U (zh) * 2017-10-24 2018-06-19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易进入功能汽车座椅的保持及定点回位机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31B1 (ko) * 2004-10-02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KR20070103935A (ko) * 2006-04-20 2007-10-25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KR20100030415A (ko) 2008-09-10 2010-03-18 다이모스(주)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KR20110015876A (ko) * 2009-08-10 2011-02-17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파워구동장치의 리드 스크류 지지 구조.
KR20180107072A (ko) * 2015-08-27 2018-10-01 테슬라, 인크. 프리스탠딩 차량 시트를 위한 모노포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817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 트랙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KR20220153771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9422A1 (en) 2020-06-18
CN111319525B (zh) 2022-06-03
KR102527253B1 (ko) 2023-04-28
CN111319525A (zh) 2020-06-23
DE102019120995A1 (de)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4713A (ko)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KR102603389B1 (ko)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KR102613446B1 (ko)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KR101219277B1 (ko)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JP6140545B2 (ja) 乗物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CN111347945B (zh) 车辆用座椅滑轨装置
KR101987006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JP664740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987003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JP2022119867A (ja) ベルトリトラクタ
WO2014044745A1 (d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JP5733095B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522627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751942Y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074506B2 (ja) 乗り物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150001553A (ko) 고정력과 작동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102673187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115023B1 (ko)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차량용 시트 고정장치
JPH0632443Y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053225B2 (ja) 制御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20240010896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3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2011107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