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893A - 시트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893A
KR20240010893A KR1020220088218A KR20220088218A KR20240010893A KR 20240010893 A KR20240010893 A KR 20240010893A KR 1020220088218 A KR1020220088218 A KR 1020220088218A KR 20220088218 A KR20220088218 A KR 20220088218A KR 20240010893 A KR20240010893 A KR 20240010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nt portion
mounting
belt retracto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187B1 (ko
Inventor
윤호범
문찬기
유병개
김택춘
홍현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2008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18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882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187B1/ko
Publication of KR2024001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시트벨트 웨빙과 외면에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 상기 스핀들 모듈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에 연결되고 자동차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자동차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위치 및 방향과 무관하게 별도의 변경이나 부품 추가없이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리트랙터{SEAT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 중 충돌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 발생시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벨트 장치는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함)을 스풀에 권취하거나 인출 가능하게 작동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와, 웨빙의 일단부에 고정된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량의 사고 등으로 인한 급정차 또는 급가속시,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튕겨 나가거나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착용시 정상 상태에서는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나,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웨빙의 인출 가속도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가 검출되면 더 이상의 웨빙의 인출을 억제하고, 웨빙의 느슨함이나 처짐, 즉 슬랙(slack)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장치와 프리 텐셔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제어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체, 예컨대 차량의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마운팅 자세는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항상 수평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며, 수평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최근,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는 등받이의 전후 방향 두께(이하 '두께'라 약칭함)를 얇게 설계해서 슬림하게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슬림형 시트에는 시트와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Belt In Seat, BIS) 장치가 적용되기도 한다.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시트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등받이를 후방으로 최대 180°까지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설치대상, 즉 시트의 등받이나 차체 등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웨빙의 인출 방향이 상시 고정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시트벨트 장치는 자동차에서 시트가 설치되는 위치, 즉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 따라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웨빙이 인출되도록, 운전석 측 시트벨트 리트랙터와 조수석 측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별도로 제조해서 장착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시트벨트 장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부품 수 증가로 인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며, 부품의 관리가 어렵고, 작업자의 오조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특허번호 6,499,554호 (2002년 12월 31일 등록) 미국 특허번호 6,443,382호 (2002년 9월 3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응급 상황 발생시 탑승자를 구속해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시트의 위치와 무관하게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에 장착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웨빙과 외면에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 상기 스핀들 모듈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에 연결되고 자동차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자동차 내부에서 상기 장착공간의 위치 및 방향과 무관하게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의하면, 자동차의 응급 상황 발생시 탑승자를 구속해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시트벨트 웨빙의 인입 및 인출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시트의 위치 및 방향과 무관하게 별도의 변경이나 부품 추가없이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 겸용으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부품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에 장착시 체결공의 위치를 이용해서 장착 방향을 간단하게 확인해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착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핀들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운전석 측 시트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후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조수석 측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후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시트를 기준으로 스티어링 휠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F)과 후방(B)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시트의 등받이에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Belt In Seat, BIS)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뿐만 아니라, 차체, 예컨대 차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필러, 시트 후측의 차체 패널, 차체의 루프나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의 (a)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된 시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의 (b)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된 시트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시트벨트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를 고정하는 띠 형상의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함)(21), 시트(11)의 등받이(12)에 장착되어 필요시 웨빙(21)을 권취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 웨빙(21)의 인출된 단부에 설치되는 벨트텅(110) 및 벨트텅(11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120)을 포함한다.
시트(11)의 등받이(12)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3)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스핀들 모듈(20)에서 등받이(12)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웨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후측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서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 상단부의 대략 중앙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받이(12)의 상단에서 일정 간격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거나, 등받이(12)의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착공간(13)은 차체, 즉 필러나 시트 후측의 차체 패널, 차체의 천정이나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서 인출된 웨빙(21)이 가이드 부재(14)를 향해 배치되는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는 등받이(12)의 일측 상단, 예컨대 운전석 시트(11)에 적용되는 경우, 등받이(12)의 좌측면 상부와 상면 우측부의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웨빙(21)은 양단이 스핀들(22)에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감긴 상태에서 장착공간(13)과 인출된 웨빙(21)이 다양한 각도로 변경되어 배치되는 배치공간(15)을 통해 등받이(12) 외부로 인출되고, 가이드 부재(14)에 의해 양단이 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인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빙(21)은 등받이(12)에 마련된 장착공간(12)과 등받이(1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4) 사이에서 인출 방향 및 인출 각도가 조절되는 자율웨빙 조절부(211)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즉, 자율웨빙 조절부(211)는 스핀들(22)과 가이드 부재(14) 사이, 즉 배치공간(15) 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양단이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서 인출되는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함께, 자율웨빙 조절부(211)는 가이드 부재(14)의 위치에 따라 스핀들(22)에서 가이드 부재(14)를 향해 인출되는 각도 및 방향이 조절되고, 웨빙(21)은 시트(11)의 등받이(12)에서 벨트텅(110)을 향해 인출되는 각도 및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다음,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핀들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측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운전석 측뿐만 아니라, 구성의 변경없이 조수석 측에도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 적용되는 각 부품을 기능 블록별로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각 부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20), 자동차의 기울기와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30) 및 자동차의 충돌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 발생시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모듈(40)을 포함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조립될 수 있다.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차량의 정상 주행 시 웨빙(21)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응급 상황 발생 직전에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모듈(50) 및 추가 기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핀들 모듈(20)과 센서 모듈(30)은 시트벨트 리트랙터(10)를 구성하는 기본 모듈로서, 각각의 모듈로 제조되어 조립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센서 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스핀들 모듈(20)의 우측에 배치되고,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스핀들 모듈(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스핀들 모듈(20)의 좌측이나 우측에 배치되고, 센서 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스핀들 모듈(20)과 프리 텐셔닝 모듈(50)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자동차의 사양,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사양 등 필요에 따라 상기한 모듈 중에서 일부를 제외하거나, 추가적인 기능 모듈을 더 조합해서 조립될 수 있다.
도 3에서, 스핀들 모듈(20)에는 외면에 웨빙(21)이 감기는 스핀들(22)이 마련된다.
스핀들 모듈(20)은 차량의 충돌과 같은 응급 상황 발생시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 또는 자동차의 기울기 변화가 센서모듈(30)에 의해 감지되면, 웨빙(21)을 감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스핀들 모듈(20)은 센서 모듈(30)과 조합되어 유아용 시트(child seat)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 구간에서 웨빙(21)을 인입만 시키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웨빙(21)이 인출되는 방향을 상방(U)으로 가정하고, 스핀들(22)이 설치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F,B)으로 가정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슬림화된 시트에 장착하기 위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두께, 즉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한다.
각 모듈은 스핀들 모듈(20)을 중심으로 스핀들 모듈(20)의 측면, 즉 좌측이나 우측, 스핀들 모듈(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스핀들 모듈(20)의 상부에 센서 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핀들 모듈(20)과 센서 모듈(30)은 시트벨트 리트랙터(10)를 구성하는 기본 모듈로서,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마련되거나, 각각의 모듈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텐셔닝 모듈(40)과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상기 기본 모듈의 일측, 예컨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합된 각 모듈은 각 모듈에 마련된 축이 스핀들(22)이 설치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또는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고, 기어 등의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비상 텐셔닝 모듈(40)과 프리 텐셔닝 모듈(50)에 마련되는 축은 각각 스핀들(22)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프리 텐셔닝 모듈(50)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센서 모듈(30)에 마련되는 축은 스핀들(22)과 직각이 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모듈(20)의 전후 측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브래킷(23,24)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및 제2 브래킷(23,24)의 일측, 즉 좌측 하단에는 웨빙(21)이 인출되는 인출공간(2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래킷(23)은 스핀들 모듈(20)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2 브래킷(24)은 스핀들 모듈(24)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래킷(23)은 스핀들 모듈(2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판 형상이나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래킷(24)은 스핀들 모듈(24)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이나 다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브래킷(24)의 중앙에는 웨빙(21)의 원활한 인입 및 인출 동작을 위해, 탄성모듈(26)이 설치되는 설치공(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인출공간(25)에는 스핀들(22)에 인입되거나 또는 스핀들(22)에서 인출되는 웨빙(21)을 가이드하는 웨빙 가이드(60)가 마련되고, 인출공간(25)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7)이 마련되며, 각 가이드 프레임(27)의 후단에는 제2 브래킷과(24)의 사이에 탄성모듈(26)이 설치되는 브래킷 결합부(28)가 마련될 수 있다.
브래킷 결합부(28)는 제2 브래킷(2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 또는 다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결합부(28)와 제2 브래킷(24) 사이에는 일측이 개구된 대략 링 형상이나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231)가 배치될 수 있다.
각 가이드 프레임(27)은 제1 브래킷(23)에서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 프레임(27)의 후단부에는 브래킷 결합부(28)가 연결될 수 있다.
브래킷 결합부(28)는 제2 브래킷(24)과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체결돌부를 이용해서 볼트 방식이나 용접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2 브래킷(24)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7)은 웨빙 가이드(60)가 상방과 하방으로 최대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에 장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운전석 측 시트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후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조수석 측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제1 및 제2 브래킷(23,24)에는 시트(11)의 등받이(12)에 장착하기 위한 서로 대칭 구조를 갖는 장착부(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래킷(23)의 일측, 도 4 및 도 5에서 보았을 때 우측 하부에는 제1 장착부(71)가 마련되고, 제2 브래킷(24)의 우측 하부에는 제1 장착부(71)와 대칭 구조를 갖는 제2 장착부(7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장착부(71)는 제1 브래킷(23)의 우측 하부, 예컨대 우측단과 하단 사이에서 후방으로 1차 절곡되는 제1 절곡부(73)와 제1 절곡부(73)에서 일측, 즉 우측 하방으로 2차 절곡되는 제2 절곡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착부(72)는 제2 브래킷(23)의 우측 하부, 예컨대 우측단과 하단 사이에서 전방으로 1차 절곡되는 제3 절곡부(75)와 제3 절곡부(75)에서 일측, 즉 우측 하방으로 2차 절곡되는 제4 절곡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제1 절곡부(73)와 제3 절곡부(75)는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제2 절곡부(74)와 제4 절곡부(76)는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장착볼트 등에 의해 등받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절곡부(74)와 제4 절곡부(76)에는 각각 상기 장착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7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벨트 리트랙터(10)를 장착되는 시트(11)의 위치, 즉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 배치되는 모든 시트(11)에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공(77)은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서 전후 방향 폭, 즉 제1 및 제2 브래킷(23,24)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다.
즉,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등받이(12)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3)에 장착 가능하도록, 좌우 및 상하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공(77)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하단에 전후 방향 폭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3 절곡부(73,75)의 전후 방향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나 부품의 변경 및 장착을 위한 부품의 추가 없이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 시트에 모두 겸용으로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체결공(77)은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하단에 좌우 방향 폭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절곡부(73)와 제3 절곡부(75)는 각각 제1 및 제2 브래킷(23,24)의 우측 하부에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각도는 약 20° 내지 60°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절곡부(74)와 제4 절곡부(76)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즉, 제2 절곡부(74)와 제4 절곡부(76)는 각각 서로 접촉된 제1 절곡부(73)의 후단과 제3 절곡부(75)의 전단에서 각각 우측 하방을 향해 상기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예에서 체결공(7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측 시트에 설치되는 경우,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좌우 방향 중앙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다.
반면, 체결공(7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석 측 시트에 설치되는 경우,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좌우 방향 중앙에서 좌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시트(11)의 등받이(12)에 형성된 장착공간(13)에서 장착볼트가 체결되는 장착공의 위치만을 이용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장착 방향으로 정확하게 확인 가능함에 따라,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오조립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등받이(1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체결공을 시트벨트 리트랙터와 좌우 방향 폭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함에 따라, 등받이에 시트벨트 리트랙터 장착시 웨빙의 인출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설치하는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시트의 등받이에 일체화되는 일체형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뿐만 아니라, 차체, 예컨대 차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필러, 시트 후측의 차체 패널, 차체의 루프나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겸용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장착되는 시트의 위치 및 방향과 무관하게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에 적용된다.
1: 시트벨트 장치
2: 웨빙 3: 시트벨트 리트랙터
4: 벨트 텅 5: 버클
6: 스핀들
100: 시트벨트 장치
110: 벨트텅 120: 버클
10: 시트벨트 리트랙터
11: 시트 12: 등받이
13: 장착공간 14: 가이드 부재
15: 배치공간
20: 스핀들 모듈
21: 웨빙 211: 자율웨빙 조절부
22: 스핀들
23: 제1 브래킷 231: 연결부재
24: 제2 브래킷 241: 설치공
25: 인출공간 26: 탄성모듈
27: 가이드 프레임 28: 브래킷 결합부
30: 센서 모듈
40: 비상 텐셔닝 모듈
50: 프리 텐셔닝 모듈
60: 웨빙 가이드
70: 장착부
71: 제1 장착부 72: 제2 장착부
73,74: 제1, 제2 절곡부 75,76: 제3, 제4 절곡부
77: 체결공

Claims (6)

  1. 시트벨트 웨빙과 외면에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
    상기 스핀들 모듈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에 연결되고, 자동차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자동차에서 상기 장착공간의 위치 및 방향과 무관하게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브래킷에 연결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브래킷에 연결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는 서로 대칭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1 브래킷의 일측에서 상기 제2 장착부를 향해 1차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일측으로 2차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제2 브래킷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장착부를 향해 1차 절곡되는 제3 절곡부와
    상기 제3 절곡부에서 일측으로 2차 절곡되는 제4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부와 제3 절곡부는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 절곡부와 제4 절곡부는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부와 제4 절곡부에는 각각 장착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체결공이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와 제3 절곡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브래킷의 일측 하부에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절곡부와 제4 절곡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볼트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 절곡부는 상기 시트벨트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공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서로 접촉된 상기 제1 절곡부와 제3 절곡부의 단부에서 각각 동일한 일측 하방으로 상기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0220088218A 2022-07-18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73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218A KR102673187B1 (ko) 2022-07-18 시트벨트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218A KR102673187B1 (ko) 2022-07-18 시트벨트 리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893A true KR20240010893A (ko) 2024-01-25
KR102673187B1 KR102673187B1 (ko) 2024-06-1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389B1 (ko) 차량 좌석용 하중 지지 구조 부품
JP5585530B2 (ja) 車両の車体下部構造
EP1422104B1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10543760B2 (en) Vehicle seat
JP2006199197A (ja) ラップアウタプリテンショナーの配設構造
KR20230154041A (ko) 내하중 안전벨트 리트랙터 및 시트 구조
KR102673187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06199198A (ja) ラップアウタプリテンショナーの配設構造
KR20240010893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496242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6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8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73182B1 (ko) 웨빙 가이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4598B1 (ko)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4593B1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5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2369B1 (ko) 시트벨트 장치
KR102524018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10894A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JP6025361B2 (ja) 乗員拘束装置
KR20240010892A (ko) 웨빙 가이드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17421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17056771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02331907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構造
KR102664601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