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084A - 안전한 포켓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전한 포켓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084A
KR20210024084A KR1020217002302A KR20217002302A KR20210024084A KR 20210024084 A KR20210024084 A KR 20210024084A KR 1020217002302 A KR1020217002302 A KR 1020217002302A KR 20217002302 A KR20217002302 A KR 20217002302A KR 20210024084 A KR20210024084 A KR 2021002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funnel
pocket layer
opening edg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140B1 (ko
Inventor
패트릭 디 보이드
아만다 틴델
위어드 마크 에이 반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2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7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with drop-proof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원의 양태는 포켓 구조체 내에 수납된 물건의 안전한 저장을 돕는 포켓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포켓 구조체는 내부 포켓 층 및 외부 포켓 층, 및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포함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포켓 구조체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입구 개구부, 및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출구 개구부를 포함한다. 출구 개구부는 입구 개구부에 비해 작은 원주를 갖는다.

Description

안전한 포켓 구조체
본원의 양태는 포켓 구조체 내의 물건의 안전한 저장을 제공하는 물품용 포켓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포켓은 포켓 내에 수납된 물건이 포켓의 외부로 의도하지 않게 낙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물건을 포켓 내에서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지퍼 또는 스냅(snap)과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것은 물품의 생산에 제조 비용을 부가할 수 있고, 포켓의 개방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고, 포켓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하드웨어가 포켓 형성 섬유에 부착되는 경우 불필요한 응력점을 도입할 수 있다. 추가로, 단추가 떨어질 수 있고, 지퍼가 걸리거나 고장날 수 있으며, 손재간이 그다지 없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지퍼, 단추, 스냅 및 다른 그러한 패스너를 동작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퍼를 동작시키려면 두 손이 필요하고, 한 손은 지퍼 손잡이(zipper pull)를 당기고, 다른 손은 지퍼 테이프 상에서 장력을 유지한다. 이는 어린이, 식료품 봉투, 또는 일부 다른 물건을 잡고 있을 때와 같이, 착용자의 손 중 적어도 하나가 달리 이용되고 있을 때,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양태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포켓 구조체를 갖는 상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원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포켓 구조체에서 이용되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도 2의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본원의 양태에 따른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전반적으로 편평화된 상태이다.
도 5는 본원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포켓 구조체를 형성하는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테더 구조체(tether structure)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를 갖는 상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2개의 깔때기-형상 구조체 및 테더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를 갖는 상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도 7의 절취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원의 양태에 따른 포켓 구조체를 갖는 하의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도 9의 절취선 10-10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법정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자들은 다른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과 함께,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단계의 조합 또는 상이한 단계를 포함하기 위해, 청구된 주제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이용된 방법의 상이한 요소를 함축하기 위해 "단계" 및/또는 "블록"이라는 용어가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한 용어는 개별적인 단계들의 순서가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그리고 명백하게 기술될 때를 제외하고, 본원에서 개시된 여러 단계들 사이의 임의의 특별한 순서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크게 보면, 본원의 양태는 포켓 내에 수납된 물건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포켓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포켓 구조체는 2개의 층들 사이의 공간을 한정하는 내부 및 외부 포켓 층들을 갖는 포켓을 포함한다. 포켓 구조체는 또한,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포함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입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된 입구 개구부를 포함하고, 입구 개구부는 포켓 구조체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출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된 출구 개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출구 개구부는 입구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사전 결정된 거리에 위치결정되며, 출구 개구부는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한다. 예시적 양태에서, 입구 개구부는 출구 개구부보다 더 넓은 직경 및/또는 원주를 갖는다. 따라서, 착용자가 물건을 포켓 내에 수납하고자 할 때, 착용자는 물건이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더 넓은 입구 개구부를 통과하게 할 수 있고, 그 후에 물건이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더 작은 출구 개구부를 통과하게 할 수 있으며; 이어서 물건은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된다. 출구 개구부의 작은 원주로 인해, 그리고 깔때기-형상 구조체가 일반적으로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부유(floating)하기 때문에, 물건은 착용자에게 물건을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는 경우에, 작은-직경의 출구 개구부에 재-진입하기보다,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전방부와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또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후방부와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본원에서 설명된 구조체는 어업에서 사용되는 보틀 트랩(bottle trap)과 개념에 있어 다소 유사하다.
물건을 포켓으로부터 꺼내기 위해, 착용자는 그의 손이 출구 개구부를 통과하게 하고, 그의 손을 출구 개구부로부터 그리고 그 후에 입구 개구부를 통해 빼내기 전에 물건을 파지한다. 예시적 양태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예를 들어 물건과 함께, 착용자의 손을 포켓으로부터 빼낼 때 깔때기-형상 구조체가 외전(everting)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테더링될 수 있다. 하나의 테더 구조체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출구 개구부, 또는 출구 개구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내부 또는 외부 포켓 층, 또는 내부 및 외부 포켓 층을 연결하는 솔기 라인까지 내측으로 연장되는 코드, 밴드, 또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테더 구조체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에지로부터 내부 또는 외부 포켓 층, 또는 내부 및 외부 포켓 층을 연결하는 솔기 라인까지 연장되는 얇고 유연한 재료의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한다. 또 다른 테더 구조체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작은 영역을 내부 또는 외부 포켓 층에 고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재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예시적 양태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 및/또는 내부 및 외부 포켓 층은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되어, 포켓 구조체가 편평하게 배치되도록 도울 수 있고, 따라서 포켓 구조체의 미감을 개선할 수 있고, 포켓 구조체가 낮은 프로파일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고, 추가로 포켓 구조체 내에 수납된 물건의 안전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양태는 출구 개구부의 원주를 더 줄이기 위해 그리고 포켓 구조체 내에 수납된 물건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추가로 도움을 주기 위해, 출구 개구부가 탄성 밴드 또는 탄성 재료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전술한 구성은 지퍼, 스냅, 단추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지 않고도 포켓 내의 물건의 안전한 수납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이는 제조 비용을 높일 수 있고/있거나, 물품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있거나, 하드웨어가 포켓 구조체 및/또는 물품에 부착되는 경우 불필요한 응력점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구성은, 예를 들어 테더 구조체(들)의 이용으로 인해 착용자가 한 손을 이용하여 물건을 수납하고 꺼낼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용이한 사용을 돕는다.
"내부", "외부", "중앙", "측방향", "상부", "하부", "상방", "하방" 등과 같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위치적 용어는, 예를 들어, 의도된 바와 같이 그리고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의복을 착용하고 똑바로 서있는 가상의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었을 때의 구성의 의복에 대한 것이다. "내부" 및 "외부"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의복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내부"라는 용어는 의복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신체에 더 가까운 것을 의미하는 반면, "외부"라는 용어는 상응하는 "내부" 구조체에 비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더 먼 것을 의미한다. 위치적인 용어가, 예를 들어 더플 백 또는 백팩과 같은 물품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그러한 용어는 착용되었을 때의 구성 또는 위치결정되었을 때의 구성의 물품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에지"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포켓의 개구부 에지 또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에지를 지칭할 때, 섬유 또는 재료의 자유 에지(즉, 다른 섬유에 결합되지 않는 섬유의 에지)를 지칭할 수 있거나, 이는 포켓 또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외측 한계 또는 경계부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구획선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내부 개구부 에지"라는 용어는 외부 개구부 에지가 위치결정되는 곳에 의해 한정되는 물품 상의 구획선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물품"이라는 용어는 상의(예를 들어, 셔츠, 재킷, 코트, 지지 의복(support garment) 등), 하의(예를 들어, 반바지, 바지 등), 또는 상의와 하의의 조합(예를 들어, 유니타드(unitard), 오버올(overall) 등)과 같은 의복뿐만 아니라, 백, 백팩, 더플 백, 토트(tote) 등과 같은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탄성적으로 탄력적"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탄성적인 실의 사용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연신 특성 및 회복 특성을 갖는 섬유(니트, 직물, 부직물, 편직물 등)를 지칭한다.
계속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테더"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본원에서 설명된 깔때기-형상 구조체와 같이, 다른 구조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일체적으로 연장되는"이라는 용어는 섬유의 상이한 영역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요소(예를 들어, 실, 필라멘트, 또는 파이버)를 갖는 섬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부 및 내부 포켓 층의 외부 및 내부 개구부 에지, 및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와 관련하여, 내부 및/또는 외부 포켓 층의 본체로부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본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요소가 있는 경우에,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가 외부 및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달리 설명하면, 하나의 예시적 양태에서, 내부 및/또는 외부 포켓 층 및 깔때기-형상 구조체가 단일 니팅, 편직, 제조, 및/또는 직조(weaving) 이벤트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구체적으로 지칭할 때, "변형된"이라는 용어는 깔때기-형상 구조체가, 전반적으로 원형인 입구 개구부 및 전반적으로 원형인 출구 개구부를 갖는 전반적으로 원뿔형인 형상으로 인위적으로 변형되거나 조작된 것을 의미한다. "변형된" 상태의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설명하는 것은 그의 직경, 원주 등과 같은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특징을 보다 잘 도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설명할 때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확장된"이라는 용어는 전반적으로 편평한 상태로 물품 상의 포켓 구조체 내에 위치결정된 깔때기-형상 구조체, 및 물건(예를 들어, 착용자의 손, 물건을 운반하는 착용자의 손, 물건)이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통과할 때 가역적으로 확장되는 깔때기-형상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착용자의 손이 제거되면,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그의 "편평한" 휴지(resting) 상태로 복귀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상의(100) 형태의 예시적 물품의 정면도가 본원의 양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의복(100)은 착용자의 전방 몸통을 덮도록 구성된 전방면(도시됨) 및 착용자의 후방 몸통 영역을 덮도록 구성된 후방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몸통 부분(110)을 갖는 풀오버(pullover) 셔츠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몸통 부분(110)은 착용자의 목을 에워싸도록 구성된 목 개구부(111), 및 착용자의 허리를 에워싸도록 구성된 허리 개구부(113)를 한정한다. 의복(100)은, 몸통 부분(110)으로부터 연장되고 착용자의 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 제1 소매(112), 및 몸통 부분(110)으로부터 연장되고 착용자의 다른 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 제2 소매(114)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원에서 후드는 목 개구부(111)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후드는 착용자의 머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의복(100)의 도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원에서 의복(100)이 재킷, 코트, 반소매 셔츠, 조끼, 후디(hoodie) 등과 같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의복(100)은 몸통 부분(110)의 하부 전방면 상에 위치결정된 포켓 구조체(116)를 포함한다. 포켓 구조체(116)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원에서 포켓 구조체(116)가 몸통 부분(110)의 후방면, 몸통 부분(110)의 측방면, 제1 소매(112), 제2 소매(114), 및/또는 몸통 부분(110)의 전방면 상의 다른 위치와 같은, 의복(100) 상의 다른 위치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로, 하나의 포켓 구조체(116)만이 도시되었지만, 본원에서 의복(100)이 의복(100) 상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결정된 다수의 포켓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포켓 구조체(116)에 대해 도시된 정사각형 형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원에서, 포켓 구조체(116)가 다른 형상의 구성(원형, 직사각형 등)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변형이 본원의 양태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시적 양태에서, 포켓 구조체(116)는 외부 개구부 에지(120)를 갖는 외부 포켓 층(118), 및 내부 개구부 에지(124)를 갖는 내부 포켓 층(보이지 않음)을 포함하고, 외부 포켓 층(118)은 내부 포켓 층에 인접하여 그리고 그 외측에 위치결정되어 그들 사이에 공간(132)을 한정한다. 예시적 양태에서, 내부 포켓 층은, 예를 들어, 의복(100)의 몸통 부분(110)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 재료의 일체적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외부 포켓 층(118) 및 내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니트, 직물, 또는 부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나, 비-탄성적인 재료의 이용 또한 본원에서 고려된다. 외부 포켓 층(118) 및/또는 내부 포켓 층을 형성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를 이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손의 진입 시의 포켓 구조체(116)의 확장, 및 착용자가 손을 빼낼 때의 포켓 구조체(116)의 수축을 촉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켓 구조체(116)는 사용되지 않을 때 전반적으로 편평하게 놓이고, 그에 의해 포켓 구조체(116) 내에 수납된 물건의 안전한 유지를 돕는다. 본원에서, 외부 포켓 층(118) 및/또는 내부 포켓 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 재료가 또한 의복(10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포켓 구조체(116)는 의복(100)의 외부면 상에 위치하고, 외부 개구부 에지(120)는 자유 에지를 포함하고 내부 개구부 에지(124)는 포켓 구조체(116)의 최외부 경계를 포함하나, 자유 에지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내부 개구부 에지(124)는 포켓 구조체(116)가 이완된 비-변형 상태에 있을 때 외부 개구부 에지(120)가 위치결정되는 곳에 의해 한정되는 의복(100) 상의 인위적인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 포켓 구조체(116)가 의복(100)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는 예시적 양태에서, 내부 개구부 에지(124)는 자유 에지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개구부 에지(120)는 내부 개구부 에지(124)가 위치결정되는 곳에 의해 한정되는 의복(100) 상의 인위적인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에 도시된 양태와 관련하여, 일부 예시적 양태에서, 외부 포켓 층(118)은 포켓 구조체(116)의 상부 에지(126), 포켓 구조체(116)의 후방 에지(128) 및 하부 에지(130)를 한정하기 위해, 내부 포켓 층 및/또는 의복(100)에 고착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 구조체(116)는 일반적으로 외부 포켓 층(118)에 의해 보이지 않게 은폐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쇄선으로 도시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원에서는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니트, 직물, 또는 부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만, 본원의 양태는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비-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의 이용은, 예를 들어, 착용자의 손이 진입할 때의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확장, 및 사용되지 않을 때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편평하게 놓이도록 착용자가 손을 빼낼 때의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수축을 촉진한다. 본원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 재료가 경량의 유연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변형이 본원의 양태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외부 개구부 에지(120) 및 내부 개구부 에지(124)에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연장되는 입구 개구부 에지(137)에 의해 한정된 입구 개구부(136)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 양태에서, 입구 개구부 에지(137)는 외부 개구부 에지(120) 및 내부 개구부 에지(124)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입구 개구부(136)는 포켓 구조체(116)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출구 개구부 에지(139)에 의해 한정된 출구 개구부(138)를 추가로 포함하고, 출구 개구부(138)는 외부 포켓 층(118) 및 내부 포켓 층 사이에 형성된 공간(132)과 연통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의복(100)과 같은 물품 내에 존재할 때, 전반적으로 편평한 상태이지만, 본원에서, 중심, 원주, 및 직경을 각각 갖는 전반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입구 개구부(136) 및 출구 개구부(138)가 편평한 상태로부터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직경"이라는 용어가 본원에서 사용될 때, 그러한 용어는 편평한 상태와는 대비되는 원형 형상을 갖는 입구 개구부(136) 및 출구 개구부(138)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양태는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계속하여, 예시적 양태에서, 출구 개구부(138)의 직경 및/또는 원주는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 및/또는 원주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 개구부(138)의 직경은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의 약 3/4,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의 약 2/3,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의 약 1/2,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의 약 1/3, 또는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의 약 1/4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값의 ± 5% 이내를 의미한다. 그러나, 입구 개구부(136) 및 출구 개구부(138)의 상대적인 크기는 나열된 예시적 분수 관계로 제한되지 않으며, 나열된 관계 중 임의의 2개 사이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예를 들어, 출구 개구부(138)의 직경은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의 1/4보다 클 수 있으나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의 1/3 보다 작을 수 있고,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시적 양태에서, 출구 개구부(138)의 직경이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치수적으로 중간인 및/또는 연장된 변경이,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개구부(138)는 입구 개구부(136)로부터 내측으로 사전 규정된 거리에 위치결정된다. 예시적 양태에서, 출구 개구부(138)는 입구 개구부(136)의 중심으로부터 출구 개구부(138)의 중심까지 측정할 때, 입구 개구부(136)로부터 내측으로 약 4 cm 내지 약 25 cm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이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출구 개구부(138)는, 예를 들어, 외부 개구부 에지(120)로부터 후방 에지(128)(즉, 외부 개구부 에지(120)에 대향하는 에지)까지 측정할 때, 포켓 구조체(116)의 폭의 약 1/5, 포켓 구조체(116)의 폭의 약 1/4, 포켓 구조체(116)의 폭의 약 1/3, 포켓 구조체(116)의 폭의 약 1/2, 또는 포켓 구조체(116)의 폭의 약 3/4만큼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다. 출구 개구부(138)와 후방 에지(128)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출구 개구부(138)를 통과한 물건은 공간(132) 내로 낙하할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변형이 본원의 양태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계속하여, 예시적 양태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입구 개구부(136)의 제1 상부 단부로부터 출구 개구부(138)의 제1 상부 단부까지 아래쪽으로 경사진 제1 에지(418)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입구 개구부(136)의 제2 하부 단부로부터 출구 개구부(138)의 제2 하부 단부까지 위쪽으로 경사진 제2 에지(420)를 포함한다. 달리 말해, 제1 및 제2 에지(418 및 420)는 일반적으로, 입구 개구부(136)로부터 출구 개구부(138)까지 연장될 때, 서로를 향해 수렴된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제1 에지(418) 및 제2 에지(420)는 출구 개구부(138)가 일반적으로 입구 개구부(136)의 제1 상부 단부와 입구 개구부(136)의 제2 하부 단부 사이의 대략적으로 중간 지점에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는 동일한 길이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구 개구부(138)의 이러한 위치결정으로 인해,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일반적으로 입구 개구부(136)의 중심과 출구 개구부(138)의 중심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대칭적일 수 있다. 본원에서, 제1 에지(418) 및 제2 에지(420)는 불균등한 길이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입구 개구부(136)에 대한 출구 개구부(138)의 배향/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와 관련하여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 양태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공간(132) 내에서 자유-부유될 수 있다. 즉, 외부 개구부 에지(120) 및 내부 개구부 에지(124)에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연장되는 입구 개구부 에지(137) 이외에,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외부 포켓 층(118) 및 내부 포켓 층과의 어떠한 부가적인 부착 지점/영역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양태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로부터 외부 포켓 층(118) 및 내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까지, 또는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을 결합시키는 솔기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테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 구조체 및 그의 기능의 예가 이하에서 제공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포켓 구조체(116)는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쇄선으로 도시된) 포켓 구조체(116) 내에 수납된 전화기 형태의 예시적 물건(140)을 부가적으로 도시한다. 물건(140)은, 예를 들어, 전화기, 지갑, 열쇠, ID 카드, 이어 버드(ear bud) 등과 같이, 포켓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일반적으로 공간(132) 내에서 자유-부유하기 때문에, 물건(140)이 공간(132) 내에 놓이며, 물건(140)은 외부 포켓 층(118)과 내부 포켓 층 사이에 형성된 공간,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전방부와 외부 포켓 층(118) 사이의 공간, 또는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후방부와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로, 출구 개구부(138)의 비교적 작은 원주로 인해, 물건(140)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의도적인 행동이 없는 경우에, 출구 개구부(138)에 재-진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물건(140)을 포켓 구조체(116) 내에 안전하게 수납하는 데 도움을 주고, 물건이 포켓 구조체(116)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원에서,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및/또는 자기적 폐쇄 시스템과 같은 몇몇 유형의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포켓 구조체(116)의 개구부를 추가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시스템은, 사용 중이 아닐 때, 포켓 구조체(116)에 대한 개구부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착용자가 그의 손을 입구 개구부(136)를 통해 밀 때,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나 이상의 쌍의 상보적인 자석들 또는 후크-앤드-루프 패스너가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출구 개구부(138)에 근접하여 위치결정될 수 있고, 자석 쌍(들) 또는 후크-앤드-루프 패스너의 상보적인 부분은 출구 개구부(138)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결정되고(예를 들어, 하나의 자석은 내부 포켓 층에 근접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보적인 자석은 외부 포켓 층(118)에 근접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측면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자석들은 서로를 끌어당기고 함께 커플링되며, 출구 개구부(138)를 편평한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손 또는 다른 물체가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통해 포켓 구조체(116) 내로 삽입될 때, 자석들은 용이하게 강제로 이격되고, 이는 삽입된 물체가 포켓 구조체(116)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손을 빼낼 때, 자석들은 다시 서로를 끌어당기고 함께 커플링될 것이며, 이는 출구 개구부(138)를 자동적으로 '폐쇄'할 것이다.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자석과 동일한 방식으로 멀리서 서로를 끌어당기지 않지만, 물체를 포켓 구조체(116)로부터 빼낼 때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이완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의 대향하는 상보적인 후크 부분 및 루프 부분을 서로 접촉시킬 것이고, 연결이 그들 사이에 형성될 것임이 예상된다. 2개의 상보적인 자석에 대한 적절한 대안으로서, 자석은 자기 인력 재료(예를 들어, 철계 재료 등)를 포함하는 단추, 플레이트, 비드, 또는 다른 구조체와 쌍을 이룰 수 있다. 그러한 자기적 및/또는 후크-앤드-루프 폐쇄 시스템은 유사하게 또는 대안적으로 출구 개구부(138)에, 입구 개구부(136)에, 및/또는 출구 개구부(138)와 입구 개구부(136)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결정되어, 다른 물체의 손이 깔때기-형상 구조체(134) 내로 밀어넣어지지 않거나 그의 내부에서 유지되지 않는 때에는 언제든지 함께 커플링되고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정면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는 각각 본원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특정 특징부를 보다 잘 도시하기 위해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변형된 상태로 도시한다. 즉, 도 2 및 도 3은 다소 원뿔형인 형상으로 변형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도시한다. 도 4는 의복(100)과 같은 물품 내로 통합될 방식과 유사한, 전반적으로 편평한 상태(즉, 비-변형 상태)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다소 원뿔형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일 솔기로 고정된 재료의 단일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둘 이상의 솔기에서 함께 결합되는 재료의 2개 이상의 단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 또는 그의 부분이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재료의 둘 이상의 단편으로 형성될 때, 본원에서, 재료의 단편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적으로 탄력적일 수 있는 반면, 재료의 다른 단편은 비-탄성적일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재료의 패널은 탄성적으로 탄력적일 수 있는 반면,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재료의 패널은 비-탄성적일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재료의 모든 단편이 탄성적으로 탄력적이거나, 재료의 모든 단편이 비-탄성적인 것이 고려된다.
먼저, 도 2와 관련하여,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입구 개구부(136)를 둘러싸고/둘러싸거나 한정하는 입구 개구부 에지(137)를 포함한다. 변형된 상태일 때, 그리고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개구부(136)는 일반적으로 중심(210), 직경(212), 및 원주(214)를 갖는 원을 포함한다. 원으로 도시되었지만, 본원에서, 입구 개구부 에지(137)에 의해 한정되는 형상은 난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적으로 도 2 및 도 3와 관련하여,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출구 개구부(138)를 둘러싸고/둘러싸거나 한정하는 출구 개구부 에지(139)를 추가로 포함한다. 변형된 상태일 때, 그리고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개구부(138)는 일반적으로 중심(216), 직경(218), 및 원주(220)를 갖는 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출구 개구부(138)의 형상이 입구 개구부(136)의 형상의 거울 대칭(mirror)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입구 개구부(136)가 원형 형상인 경우에, 출구 개구부(138)가 또한 원형 형상일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나, 출구 개구부(138)의 형상이 입구 개구부(136)의 형상과는 상이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212) 및 원주(214)는 출구 개구부(138)의 직경(218) 및 원주(220)보다 크다. 예시적 양태에서, 출구 개구부(138)의 직경(218)은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212)의 약 3/4,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212)의 약 2/3,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212)의 약 1/2,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212)의 약 1/3, 입구 개구부(136)의 직경(212)의 약 1/4 등일 수 있다.
도 4는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포켓 구조체(116) 내로 통합될 방식과 유사한 전반적으로 편평한 상태에서의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편평한 상태에 있을 때,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입구 개구부(136)는 제1 상부 단부(410) 및 제2 하부 단부(412)를 갖는다. 유사하게, 출구 개구부(138)는 제1 상부 단부(414) 및 제2 하부 단부(416)를 갖는다.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입구 개구부(136)의 제1 상부 단부(410)로부터 출구 개구부(138)의 제1 상부 단부(414)까지 아래쪽으로 경사진 제1 에지(418)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입구 개구부(136)의 제2 하부 단부(412)로부터 출구 개구부(138)의 제2 하부 단부(416)까지 위쪽으로 경사진 제2 에지(4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 양태에서, 제1 에지(418)는 제2 에지(420)와 동일한 길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입구 개구부(136)의 중심(210)으로부터 출구 개구부(138)의 중심(216)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축에 대해 전반적으로 대칭이 되게 한다. 제1 에지(418) 및 제2 에지(420)는 전반적으로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원에서, 제1 에지(418) 및/또는 제2 에지(420)가 (가상의 축에 대해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곡선화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변형이 본원의 양태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5는 본원의 양태에 따른 포켓 구조체(116)의 예시적 구성 방법을 도시한다. 외부 포켓 층(118)은 외부 개구부 에지(12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내부 포켓 층은 참조 번호 122로 표시되고, 내부 개구부 에지(124)를 포함한다. 예시적 양태에서, 포켓 구조체(116)가 의복(100)의 외부면 상에 위치할 때, 내부 포켓 층(122)이 의복(100)의 몸통 부분(110)을 형성하는 재료의 일체적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개구부 에지(124)는 외부 개구부 에지(120)가 의복(100) 상에 위치결정되는 곳을 한정하는 구획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양태에서, 포켓 구조체(116)가 의복(100)의 외부면 상에 위치할 때, 외부 포켓 층(118)은 내부 포켓 층(122)에 대해 외부에서 층상화된 별도의 재료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입구 개구부 에지(137)에 의해 한정된 그의 입구 개구부(136) 및 출구 개구부 에지(139)에 의해 한정된 출구 개구부(138)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 구성 방법에서, 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개구부 에지(137)의 전방 측면이 외부 개구부 에지(120)에 결합되고, 입구 개구부 에지(137)의 후방 측면이 내부 개구부 에지(124)에 결합된다. 결합 기술은 예를 들어, 재봉, 본딩, 용접,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양태에서, 입구 개구부 에지(137)의 전방 측면이 외부 개구부 에지(12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외부 개구부 에지(120)에 결합될 수 있고, 입구 개구부 에지(137)의 후방 측면이 내부 개구부 에지(124)의 전체 길이를 따라 내부 개구부 에지(1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입구 개구부(136)는 포켓 구조체(116)에 대한 개구부가 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단일 니팅 또는 직조 이벤트 중에 내부 포켓 층(122) 및 외부 포켓 층(118)으로 형성될 때, 입구 개구부 에지(137)가 외부 개구부 에지(120) 및 내부 개구부 에지(124)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계속하여, 하나의 예시적 양태에서, 본원에서 제1 및 제2 에지(418 및 420), 및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출구 개구부 에지(139)는 외부 및 내부 포켓 층(118 및 122)에 고착되지 않거나 그로부터 탈착되어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는, 외부 개구부 에지(120) 및 내부 개구부 에지(124)에 대한 그 연결을 제외하고, 외부 및 내부 포켓 층(118 및 122)으로부터 탈착되거나 그에 고착되지 않는 것이 고려된다. 다른 예시적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테더 구조체를 이용하여, 깔때기-형상 구조체(134)를 내부 포켓 층(122), 또는 외부 포켓 층(118), 또는 내부 포켓 층(122)과 외부 포켓 층(118) 사이의 접합부(예를 들어, 솔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착용자가 그의 손을 입구 개구부(136)로부터 빼낼 때,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외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가 그의 손을 입구 개구부(136)로부터 회수한 후에, 외전되어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추가로 도 5와 관련하여, 참조 번호 510은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포켓 구조체(116) 내로 내측으로 얼마나 멀리 연장되는지를 표시하는 가상선을 나타낸다.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출구 개구부(138)를 통해 삽입된 임의의 물건이 공간(132) 내로 낙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출구 개구부(138)가 포켓 구조체(116)의 후방 에지(128)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고려된다. 라인(510)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원에서, 라인(510)은 입구 개구부(136)에 더 근접하여 또는 포켓 구조체(116)의 후방 에지(128)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의(600) 형태의 물품의 정면도가 본원의 양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의복(100)과 유사하게, 의복(600)은 몸통 부분(610)의 전방면 상에서 포켓 구조체(612)를 포함하고, 포켓 구조체(612)는 일반적으로, 예시적 테더 구조체(614)의 이용, 및 출구 개구부(138)를 둘러싸는 탄성 밴드(616)의 이용을 제외하고, 포켓 구조체(116)와 동일하다. 포켓 구조체(612)와 포켓 구조체(116) 사이의 유사성으로 인해,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하여 공통 특징부들을 설명할 것이다. 설명되는 특징부를 보다 잘 도시하기 위해, 포켓 구조체(612)는 외부 포켓 층(118)이 제거된 상태로, 그러나 상의(600)에 대한 외부 포켓 층(118)의 에지의 부착 지점을 나타내는 라인을 유지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본원에서의 양태는 테더 구조체(614)의 이용을 고려하고, 테더 구조체(614)는 재봉, 본딩, 용접, 접착제 등과 같은 고착 기술을 이용하여, 제1 단부(615)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의 출구 개구부(138)에 그리고 제2 단부(617)에서 포켓 구조체(612)의 후방 에지(618)에, 또는 후방 에지(618)에 근접한 영역에 고착된다. 테더 구조체(614)는 스트랩, 코드, 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적인 특성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더 구조체(614)의 제2 단부(617)는 포켓 구조체(612)의 후방 에지(618)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여 내부 포켓 층(122)에, 포켓 구조체(612)의 후방 에지(618)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외부 포켓 층(118)에, 또는 포켓 구조체(612)의 후방 에지(618)에서 내부 포켓 층(122)을 외부 포켓 층(118)에 연결하는 솔기 라인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 구조체(614)의 제2 단부(617)는 테더 구조체(614)의 제1 단부(615)로부터 내측에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것을 달리 설명하기 위해, 테더 구조체(614)의 제2 단부(617)는 테더 구조체(614)의 제1 단부(615)에 비해, 입구 개구부(136)로부터 더 먼 곳에 위치결정된다. 테더 구조체(614)의 제1 단부(615)는 출구 개구부(138)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원에서, 테더 구조체(614)의 제1 단부(615)가 출구 개구부(138)에 인접한(예를 들어, ± 5 cm 이내) 영역에서 제1 에지(418) 및/또는 제2 에지(420)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테더 구조체(614)의 제2 단부(617)가 후방 에지(618)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단부(617)는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위치에서, 내부 포켓 층(122) 및/또는 외부 포켓 층(118)에 부착될 수 있다. 테더 구조체(614)의 이용은 착용자가 출구 개구부(138)를 통해 그리고 그 후에 입구 개구부(136)를 통해 (그의 손에 물건이 있는 상태에서, 또는 물건이 없는 상태에서) 그의 손을 빼낼 때,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외전되는 것, 또는 외전되어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본원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134)가 출구 개구부(138)를 둘러싸는 선택적인 탄성 밴드(616)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밴드(616)는 사용 중이 아닐 때, 포켓 구조체(612) 내에 수납된 임의의 물건을 더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출구 개구부(138)를 조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탄성 밴드(616)는 휴지 상태일 때 출구 개구부(138)에 인접한 재료가 주름지거나 모이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출구 개구부(138)가 그의 이완 직경보다 약 1.25 내지 약 5.0배 더 크게, 또는 물건이 출구 개구부(138)를 통해 삽입되거나 빼내질 때, 그보다 더 크게 확장될 수 있게 하는 충분한 재료를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의(700) 형태의 물품의 정면도가 본원의 양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상의(700)는 의복(700)의 몸통 부분(712)의 하부 전방면 상에 위치하는 "캥거루" 스타일의 포켓 구조체(710)를 갖는 풀오버의 형태이다. 예시적 양태에서, 몸통 부분(712)은 적어도 목 개구부(702) 및 허리 개구부(703)를 한정한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캥거루 포켓은 양 측면 상에 개구부를 갖고, 이는 착용자가 오른손을 하나의 포켓 개구부에 그리고 왼손을 다른 포켓 개구부에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특징부를 보다 잘 도시하기 위해, 외부 포켓 층을 제거한 상태로 포켓 구조체(710)를 도시하였다.
포켓 구조체(710)는 상부 에지(701), 하부 에지(709), 및 측면 에지(711a 및 711b)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포켓 구조체(710)가 다른 유사한 형상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포켓 구조체(710)가 측면 에지(711a 및 711b)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포켓 개구부의 하부 단부가 허리 개구부(703)에 인접하여 위치결정된다. 계속하여, 포켓 구조체(710)는 공간(706)을 사이에 한정하는 내부 포켓 층(705) 및 외부 포켓 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 양태에서, 외부 포켓 층은, 당업계에 알려진 고착 기술을 이용하여, 상부 에지(701), 하부 에지(709), 및 측면 에지(711a 및 711b)를 따라 내부 포켓 층(705)에 결합될 수 있다. 포켓 구조체(710)는 입구 개구부 에지(718)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716) 및 출구 개구부 에지(722)에 의해 한정되는 출구 개구부(720)를 갖는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출구 개구부(720)는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705) 사이에 형성된 공간(706)과 연통한다.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입구 개구부(716)는 포켓 구조체(710)에 대한 제1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는, 입구 개구부(716)로부터 출구 개구부(720)까지 연장될 때 서로 접근하거나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제1 에지(724) 및 제2 에지(726)를 추가로 포함한다.
계속하여, 포켓 구조체(710)는 또한,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에 대향하어 위치결정된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를 포함한다.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는 입구 개구부 에지(732)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730), 및 출구 개구부 에지(736)에 의해 한정되는 출구 개구부(734)를 갖고, 출구 개구부(734)는 또한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705) 사이에 형성된 공간(706)과 연통한다.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입구 개구부(730)는 포켓 구조체(710)에 대한 제2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는, 입구 개구부(730)로부터 출구 개구부(734)까지 연장될 때 서로 접근하거나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제1 에지(738) 및 제2 에지(7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출구 개구부(720)가 거리(707)에 의해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출구 개구부(73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 양태에서, 거리(707)는 약 5 cm 내지 약 30 cm일 수 있으나, 그보다 가까운 그리고 먼 거리가 본원에서 고려된다. 출구 개구부들(720 및 734)을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물건은 공간(706) 내로 낙하하기에 충분한 여유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14 및 728)와 연관된 부가적인 특징부는 깔때기-형상 구조체(134)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하고, 그에 따라 간결함을 위해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포켓 구조체(710)는 양의 경사진 교차-해칭(positively sloped cross-hatching)으로 도시된 제1 테더 구조체(742)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예시적 양태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는, 그의 상부 단부에서 포켓 구조체(710)의 상부 에지(701)를 따라 연장되고 그의 하부 단부에서 제1 및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14 및 728)에 고착된, 재료의 연속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테더 구조체(742)는 그의 하부 단부에서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제1 에지(724) 및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제1 에지(738)에 고착되고, 그의 상부 단부에서 상부 에지(701)에 인접한 내부 포켓 층(705), 상부 에지(701)에 인접한 외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포켓 구조체(710)의 상부 에지(701)를 형성하는 솔기 라인에서 고착된다. 하나의 예시적 양태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는 각각의 제1 에지(724 및 738)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제1 에지(724) 및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제1 에지(738)에 고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양태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는 출구 개구부(720)에 인접한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제1 에지(724)의 일부, 및 출구 개구부(734)에 인접한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제1 에지(738)의 일부에 고착될 수 있다.
계속하여, 예시적 양태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는 그의 하부 단부에서 자유 에지(743)를 추가로 포함하고, 자유 에지(743)는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출구 개구부(720)의 상부 단부와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출구 개구부(734)의 상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시적 양태에서, 자유 에지(7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위쪽으로 곡선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양태에서, 자유 에지(743)는 더 선형적일 수 있다. 추가로, 예시적 양태에서, 자유 에지(743)는 출구 개구부(720)와 출구 개구부(734) 사이의 어떠한 지점에서, 외부 포켓 층 및/또는 내부 포켓 층(705)에 고정될(예를 들어, 가봉될(tacked)) 수 있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변형이 본원의 양태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양태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는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되어, 예를 들어, 착용자가 (그의 손에 물건이 있는 상태에서, 또는 물건이 없는 상태에서) 그의 손을 포켓 구조체(710)로부터 빼낼 때, 제1 및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14 및 728)가 약간 외전될 수 있게 하나, 이어서 제1 및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14 및 728)를 포켓 구조체(710) 내로 역으로 편향시켜 이들이 그의 휴지 위치로 복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는 탄성적으로 탄력적이지 않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본원에서, 포켓 구조체(710)의 미감 및 편안함을 개선하도록, 제1 테더 구조체(742)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료가 경량이고 유연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포켓 구조체(710)는 음으로 경사진 교차-해칭(negatively sloped cross-hatching)으로 도시된 선택적인 제2 테더 구조체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양태에서, 제2 테더 구조체는 제2 테더 구조체(744a) 및 제2 테더 구조체(744b)를 포함하는 2개의 별도의 테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테더 구조체(744a)는 그의 상부 단부에서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제2 에지(726)에 고착되고, 그의 하부 단부에서 포켓 구조체(710)의 측면 에지(711a)에 인접한 및/또는 포켓 구조체(710)의 하부 에지(709)에 인접한 내부 포켓 층(705); 포켓 구조체(710)의 측면 에지(711a)에 인접한 및/또는 포켓 구조체(710)의 하부 에지(709)에 인접한 외부 포켓 층; 및/또는 포켓 구조체(710)의 측면 에지(711a) 및/또는 하부 에지(709)를 형성하는 솔기 라인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고착된다. 그리고 제2 테더 구조체(744b)는 그의 상부 단부에서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제2 에지(740)에 고착되고, 그의 하부 단부에서 포켓 구조체(710)의 측면 에지(711b)에 인접한 및/또는 포켓 구조체(710)의 하부 에지(709)에 인접한 내부 포켓 층(705); 포켓 구조체(710)의 측면 에지(711b)에 인접한 및/또는 포켓 구조체(710)의 하부 에지(709)에 인접한 외부 포켓 층; 및/또는 포켓 구조체(710)의 측면 에지(711b) 및/또는 하부 에지(709)를 형성하는 솔기 라인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고착된다. 본원에서, 제2 테더 구조체(744a 및 744b)가 각각의 제2 에지(726 및 74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2 에지(726 및 740) 각각에, 또는 출구 개구부(720 및 734)에 각각 인접한 제2 에지(726 및 740)의 부분에 고착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계속하여, 제1 테더 구조체(742)와 유사하게, 제2 테더 구조체(744a 및 744b)는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얇고 유연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탄성적으로 탄력적이지 않은 재료가 또한 본원에서 고려된다. 예시적 양태에서, 제2 테더 구조체는 포켓 구조체(710)의 하부 에지(709)의 폭을 연장시키는, 재료의 연속적인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1 테더 구조체(742)가 선택적일 수 있고, 포켓 구조체(710)가 제2 테더 구조체(744a 및 744b)만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제2 테더 구조체가 선택적일 수 있고, 포켓 구조체(710)가 제1 테더 구조체(742)만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또한 포켓 구조체(710)가 제1 테더 구조체(742) 및 제2 테더 구조체(744a 및 744b)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포켓 구조체(710)는 테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고, 테더 구조체는 그의 제1 단부에서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의 출구 개구부(720)에 그리고 그의 제2 단부에서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출구 개구부(734)에 고착되고, 그에 따라 이는 출구 개구부들(720 및 734) 사이의 포켓 구조체(710)에 걸쳐 직접적으로 연장된다(즉, 거리(707)에 걸쳐있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변형이 본원의 양태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제1 테더 구조체(742) 및 제2 테더 구조체(744a 및 744b) 둘 모두가 사용될 때, 테더 구조체(742, 744a, 및 744b)의 탄성적인 성질은, 휴지 상태에 있을 때, 출구 개구부(720 및 734)의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 각각에 장력을 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은 출구 개구부(720 및 734)를 편평해진 또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여 포켓 구조체(710) 내에 수납된 물건을 더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도 7의 절취선 8-8을 따라 취한 포켓 구조체(710)의 예시적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이제 번호 810으로 표시된 외부 포켓 층과 함께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테더 구조체(742)의 상부 단부와 포켓 구조체(710)의 상부 에지(701) 사이의 연결 지점이 참조 번호 812로 표시되고, 제1 테더 구조체(742)의 하부 단부와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제1 에지(738) 사이의 연결 지점이 참조 번호 814로 표시된다. 또한, 제2 테더 구조체(744b)의 하부 단부와 포켓 구조체(710)의 하부 에지(709) 사이의 연결 지점이 참조 번호 816으로 표시되고, 제2 테더 구조체(744b)의 상부 단부와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제2 에지(740) 사이의 연결 지점이 참조 번호 818로 표시된다. 제1 깔때기-형상 구조체(714)를 통해 절취된 포켓 구조체(710)의 단면이 유사할 것이다.
도 8은 또한 외부 포켓 층(810)과 내부 포켓 층(705) 사이에 형성된 공간(706)의 범위를 도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제공되고, 포켓 구조체(710) 내에 배치된 물건이 그러한 공간 내에 체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공간(706) 이외에, 공간(706)은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810), 제1 테더 구조체(742)의 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810), 그리고 제2 테더 구조체(744b)의 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810) 사이에서 추가로 연장된다. 공간(706)은 제2 깔때기-형상 구조체(728)의 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810), 제1 테더 구조체(742)의 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810), 그리고 제2 테더 구조체(744b)의 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810) 사이에서 추가로 연장된다.
본원의 양태는 주로 상의 상에 위치하는 포켓 구조체와 관련되었지만, 본원에서, 포켓 구조체가 본원의 양태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하의(900)와 같은 하의 상에 또한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하의(900)는 착용자의 허리 영역을 에워싸도록 구성된 허리 개구부(911)를 한정하는 몸통 부분(910), 제1 다리 개구부(913)를 한정하는 제1 다리 부분(912)으로서, 착용자의 다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 제1 다리 부분(912), 및 제2 다리 개구부(915)를 한정하는 제2 다리 부분(914)으로서, 착용자의 다른 다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 제2 다리 부분(914)을 포함한다. 하의(900)는 바지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원에서 이는 반바지, 타이츠(tights), 카프리(capri) 등과 같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하의(900)는 몸통 부분(910)의 전방면 상에 위치결정된 포켓 구조체(916)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원에서, 포켓 구조체(916)가 하의(900) 상의 다른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포켓 구조체(916)는 상의(100)의 포켓 구조체(116)와 다소 유사한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포켓 구조체(916)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특징부를 보다 잘 도시하기 위해 제거된) 외부 포켓 층, 내부 포켓 층(918), 및 깔때기-형상 구조체(920)를 포함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920)는 포켓 구조체(916)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입구 개구부(922), 및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918) 사이에 형성된 공간(926)과 연통하는 출구 개구부(924)를 포함한다. 깔때기-형상 구조체(920)는 입구 개구부(922)의 상부 단부로부터 출구 개구부(924)의 상부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에지(928), 및 입구 개구부(922)의 하부 단부로부터 출구 개구부(924)의 하부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에지(930)를 추가로 포함한다. 포켓 구조체(916)는 테더 구조체(932)를 추가로 포함하고, 테더 구조체는 그의 상부 단부에서 깔때기-형상 구조체(920)의 제2 에지(930)에 고착되고, 예를 들어, 하의(900)의 측면 솔기(936)(즉, 예를 들어, 하의(900)의 전방 패널을 후방 패널에 연결하는 솔기) 및/또는 포켓 구조체(916)의 하부 에지(934)에 추가로 고착된다.
도 9는 깔때기-형상 구조체(920)가, 제2 에지(930)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1 에지(928)로 인해, 입구 개구부(922)의 중심과 출구 개구부(924)의 중심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축에 대해 대칭적이지 않을 수 있는 예시적 양태를 도시한다. 이는 출구 개구부(924)가 중앙에 그리고 입구 개구부(922)에 대해 하방에 위치결정되게 한다. 출구 개구부(924)의 이러한 위치결정은 수평 폭과는 대비되는 더 긴 수직 길이를 갖는 포켓에 적합할 수 있다. 예시적 양태에서, 출구 개구부를 특정 포켓 구성을 위한 희망 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해,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제1 및 제2 에지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 개구부(924)가 중앙에 그리고 입구 개구부(922)의 상방에 위치결정되게 하기 위해, 제1 에지(928)의 길이는 제2 에지(93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는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출구 개구부가 중앙에 그리고 입구 개구부(922)의 상부 단부와 하부 단부 사이의 대략적으로 중간에 위치결정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에지의 길이는 전반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모든 양태, 및 그의 임의의 변형이 본원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0은 본원의 양태에 따른 도 9의 절취선 10-10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이제 번호 1010으로 표시된 외부 포켓 층과 함께 도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테더 구조체(932)의 상부 단부와 깔때기-형상 구조체(920)의 제2 에지(930) 사이의 연결 지점이 참조 번호 1012로 표시되고, 테더 구조체(932)와 측면 솔기(936) 사이의 연결 지점이 참조 번호 1014로 표시된다. 도 9에 도시된 공간(926) 외에, 공간(926)은 깔때기-형상 구조체(920)의 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1010), 그리고 깔때기-형상 구조체(920)의 후방 측면과 내부 포켓 층(918) 사이에서 추가로 연장된다. 공간(926)은 테더 구조체(932)의 전방 측면과 외부 포켓 층(1010)(예를 들어, 측면 솔기(936)에서 중단됨), 그리고 테더 구조체(932)의 후방 측면과 내부 포켓 층(918)(예를 들어, 측면 솔기(936)에서 중단됨) 사이에서 추가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이 출구 개구부(924)를 통해 포켓 구조체(916) 내에 배치된 후에 체류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공간이 존재한다. 그리고 물건이 체류하는 특정 공간은 하의(900)의 특정 배향(예를 들어, 모로 누운, 뒤로 누운, 앞으로 누운 착용자; 서있는 착용자, 앉아 있는 착용자,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다수의 공간의 존재로 인해 그리고 입구 개구부(92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출구 개구부(924)로 인해, 착용자에 의한 의도적 제거가 부재하는 상태에서 물건이 포켓 구조체(916)를 빠져나갈 기회가 최소화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원에서 설명된 포켓 구조체가 백팩, 더플 백 등과 같은 비-의복 물품 내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된다.
이하의 문구는 본원에서 고려된 개념의 예시적 양태를 나타낸다. 이하의 문구 중 임의의 하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문구에 종속되도록 다수의 종속적인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추가로, 종속적인 문구들(이전의 문구에 명백하게 종속되는 문구들)의 임의의 조합이, 본원에서 고려된 양태들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조합될 수 있다. 이하의 문구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문구 1. 물품용 포켓 구조체로서, 포켓 구조체는
외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포켓 층;
내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내부 포켓 층으로서, 외부 포켓 층 및 내부 포켓 층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는, 내부 포켓 층; 및
입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에 대향하는 출구 개구부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로서, 입구 개구부는 출구 개구부보다 큰 원주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고,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 문구 1에 있어서, 출구 개구부를 둘러싸는 탄성 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3. 문구 1 또는 문구 2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포켓 구조체.
문구 4. 문구 1 내지 문구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외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문구 5. 문구 1 내지 문구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내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문구 6. 문구 1 내지 문구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는 협력하여,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7. 문구 1 내지 문구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가 편평한 상태일 때,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입구 개구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출구 개구부의 상부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에지, 및 입구 개구부의 하부 단부로부터 출구 개구부의 하부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에지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8. 문구 7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제1 에지로부터 외부 포켓 층 및 내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제1 테더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9. 문구 7 또는 문구 8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제2 에지로부터 외부 포켓 층 및 내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제2 테더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10. 물품으로서,
물품 상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포켓 구조체를 포함하고, 포켓 구조체는
적어도 외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포켓 층;
적어도 내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내부 포켓 층으로서, 외부 포켓 층 및 내부 포켓 층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는, 내부 포켓 층; 및
입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에 대향하는 출구 개구부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로서, 입구 개구부는 출구 개구부보다 큰 원주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고,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물품.
문구 11. 문구 10에 있어서, 물품은 상의를 포함하는, 물품.
문구 12. 문구 10 또는 문구 11에 있어서, 포켓 구조체는 상의의 하부 전방면에 위치하는, 물품.
문구 13. 문구 10에 있어서, 물품은 하의를 포함하는, 물품.
문구 14. 문구 10 내지 문구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부 포켓 층, 내부 포켓 층, 및 깔때기-형상 구조체 중 하나 이상은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물품.
문구 15. 문구 10 내지 문구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포켓 구조체는 출구 개구부에 있는 또는 그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 포켓 층, 내부 포켓 층, 및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을 결합하는 솔기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더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물품.
문구 16. 문구 10 내지 문구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출구 개구부는 사전 규정된 양만큼 입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는, 물품.
문구 17. 문구 10 내지 문구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 및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협력하여,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물품.
문구 18. 물품용 포켓 구조체로서, 포켓 구조체는
적어도 외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포켓 층;
적어도 내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내부 포켓 층으로서, 외부 포켓 층 및 내부 포켓 층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는, 내부 포켓 층;
입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에 대향하는 출구 개구부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로서, 입구 개구부는 출구 개구부보다 큰 원주를 갖고,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고,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외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내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며,
입구 개구부 에지, 외부 개구부 에지, 및 내부 개구부 에지는 협력하여,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깔때기-형상 구조체; 및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출구 개구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 포켓 층, 내부 포켓 층, 및 외부 포켓 층과 내부 포켓 층을 결합하는 솔기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테더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19. 문구 18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외부 개구부 에지 및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0. 문구 18에 있어서, 입구 개구부 에지는 재봉, 접착제, 및 본딩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외부 포켓 패널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내부 포켓 패널의 내부 개구부 에지에 고착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1. 포켓 구조체로서,
내부 포켓 층;
외부 포켓 층으로서, 내부 포켓 층 및 외부 포켓 층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는, 외부 포켓 층; 및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로서,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포켓 구조체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입구 개구부, 및 내부 포켓 층과 외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출구 개구부를 포함하고, 출구 개구부는 입구 개구부보다 작은 원주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2. 문구 21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로부터 내부 포켓 층 및 외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테더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3. 문구 21 또는 문구 22에 있어서, 출구 개구부는 확장 가능한, 포켓 구조체.
문구 24. 문구 21 내지 문구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5. 문구 21 내지 문구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출구 개구부의 제1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 및 출구 개구부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6. 문구 25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에 대해 상보적인, 포켓 구조체.
문구 27. 문구 25 또는 문구 26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 및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상보적인 자석을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8. 문구 25 또는 문구 26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루프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후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29. 문구 25 또는 문구 26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후크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루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30. 문구 21 내지 문구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입구 개구부의 제1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 및 입구 개구부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31. 문구 30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에 대해 상보적인, 포켓 구조체.
문구 32. 문구 30 또는 문구 31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 및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상보적인 자석을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33. 문구 30 또는 문구 31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루프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후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34. 문구 30 또는 문구 31에 있어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후크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시스템의 루프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문구 35. 문구 21 내지 문구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출구 개구부의 제1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 및 출구 개구부의 제2 대향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1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에 대해 상보적인 제2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고, 입구 개구부의 제1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3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 및 입구 개구부의 제2 대향 측면 상에 위치결정된, 제3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에 대해 상보적인 제4 해제 가능 폐쇄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의도로 설명되어 있다. 대안적인 양태는 그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개선을 구현하는 대안적인 수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특징 및 하위조합이 이용될 수 있고, 다른 특징 및 하위 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으며,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러 도면에 나열된 모든 단계가, 설명된 특정 순서로 실행될 필요는 없다.

Claims (20)

  1. 물품용 포켓 구조체로서, 상기 포켓 구조체는 외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포켓 층; 내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내부 포켓 층으로서, 상기 외부 포켓 층 및 상기 내부 포켓 층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는, 내부 포켓 층; 및 입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입구 개구부에 대향하는 출구 개구부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입구 개구부는 상기 출구 개구부보다 큰 원주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상기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상기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부를 둘러싸는 탄성 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포켓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상기 외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상기 내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 상기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상기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는 협력하여,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포켓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가 편평한 상태일 때,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상기 입구 개구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출구 개구부의 상부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에지, 및 상기 입구 개구부의 하부 단부로부터 상기 출구 개구부의 하부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 에지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제1 에지로부터 상기 외부 포켓 층 및 상기 내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제1 테더 구조체(tether structure)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제2 에지로부터 상기 외부 포켓 층 및 상기 내부 포켓 층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제2 테더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10.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 상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포켓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 구조체는 적어도 외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포켓 층; 적어도 내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내부 포켓 층으로서, 상기 외부 포켓 층 및 상기 내부 포켓 층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는, 내부 포켓 층; 및 입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입구 개구부에 대향하는 출구 개구부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입구 개구부는 상기 출구 개구부보다 큰 원주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상기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상기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상의를 포함하는,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구조체는 상기 상의의 하부 전방면에 위치하는, 물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하의를 포함하는, 물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포켓 층, 상기 내부 포켓 층, 및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 중 하나 이상은 탄성적으로 탄력적인 재료로 형성되는, 물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구조체는 상기 출구 개구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포켓 층, 상기 내부 포켓 층, 및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을 결합하는 솔기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더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물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출구 개구부는 사전 규정된 양만큼 상기 입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는, 물품.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상기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 및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협력하여,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물품.
  18. 물품용 포켓 구조체로서, 상기 포켓 구조체는 적어도 외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외부 포켓 층; 적어도 내부 개구부 에지를 포함하는 내부 포켓 층으로서, 상기 외부 포켓 층 및 상기 내부 포켓 층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는, 내부 포켓 층; 입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입구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입구 개구부에 대향하는 출구 개구부를 갖는 깔때기-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입구 개구부는 상기 출구 개구부보다 큰 원주를 갖고,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는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상기 외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상기 내부 개구부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며, 상기 입구 개구부 에지, 상기 외부 개구부 에지, 및 상기 내부 개구부 에지는 협력하여,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 사이의 공간에 대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깔때기-형상 구조체; 및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출구 개구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외부 포켓 층, 상기 내부 포켓 층, 및 상기 외부 포켓 층과 상기 내부 포켓 층을 결합하는 솔기 중 하나 이상까지 연장되는 테더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켓 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형상 구조체의 입구 개구부 에지는 상기 외부 개구부 에지 및 상기 내부 개구부 에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포켓 구조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부 에지는 재봉, 접착제, 및 본딩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외부 포켓 층의 외부 개구부 에지 및 상기 내부 포켓 층의 내부 개구부 에지에 고착되는, 포켓 구조체.
KR1020217002302A 2018-07-25 2019-06-20 안전한 포켓 구조체 KR102632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03261P 2018-07-25 2018-07-25
US62/703,261 2018-07-25
US16/438,758 2019-06-12
US16/438,758 US11089828B2 (en) 2018-07-25 2019-06-12 Secure pocket structure
PCT/US2019/038276 WO2020023161A1 (en) 2018-07-25 2019-06-20 Secure pocke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084A true KR20210024084A (ko) 2021-03-04
KR102632140B1 KR102632140B1 (ko) 2024-01-31

Family

ID=6917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302A KR102632140B1 (ko) 2018-07-25 2019-06-20 안전한 포켓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11089828B2 (ko)
EP (3) EP4285763A3 (ko)
KR (1) KR102632140B1 (ko)
CN (3) CN112512360B (ko)
CA (2) CA3106810C (ko)
WO (1) WO2020023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7662B2 (en) * 2015-06-19 2022-05-03 Kanga Klothing, Inc. Article of clothing having additional coverings for a single individual
USD968049S1 (en) 2017-09-13 2022-11-01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D968759S1 (en) 2017-09-13 2022-11-08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D969458S1 (en) 2017-09-13 2022-11-15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blanket
USD968051S1 (en) 2017-09-13 2022-11-01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D968761S1 (en) 2017-09-13 2022-11-08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D968758S1 (en) 2017-09-13 2022-11-08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D970154S1 (en) 2017-09-13 2022-11-22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D968760S1 (en) 2017-09-13 2022-11-08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D968050S1 (en) 2017-09-13 2022-11-01 Cozy Comfort Company Llc Whole body wearable blanket
US11089828B2 (en) 2018-07-25 2021-08-17 Nike, Inc. Secure pocket structure
WO2020118384A1 (en) * 2018-12-14 2020-06-18 Amelia Peta Camm Safety pocket, improved shirt with safety pocket, and method of use
US11330854B2 (en) * 2018-12-21 2022-05-17 Abdalla Abukashef T-shirt apparel with integrated deep pockets
USD912370S1 (en) 2019-09-06 2021-03-09 Shun On John Ngan Hooded garment
IT201900022779A1 (it) * 2019-12-03 2021-06-03 Ober Alp Spa Capo di abbigliamento con una pluralità di tasche, ad accesso differenziato, munite di relativi mezzi di apertura/chiusura a cerniera
USD894532S1 (en) 2020-03-26 2020-09-01 Shun On John Ngan Wearable blanket
AT523869B1 (de) 2020-05-26 2022-03-15 Franciszek Kucharko Mag Jerzy Taschen-System für Jacken
US20220132958A1 (en) * 2020-10-29 2022-05-05 Jeremy Losgar Retaining Pocket
TWI761073B (zh) * 2021-02-08 2022-04-11 達紡企業股份有限公司 具改良式口袋的便利服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3812A (ja) * 2001-05-31 2002-12-18 Akashi Hifuku Kogyo Co Ltd 上着のポケット
JP2007016323A (ja) * 2005-07-05 2007-01-25 Sanwa Tekku:Kk ポケット構造およびこれを有するズボン
JP3164165U (ja) * 2010-08-25 2010-11-18 眞 新沼 衣類内側かえし機能付き入口ポ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1275A (en) * 1922-10-10 Docket
US198753A (en) * 1878-01-01 Improvement in safety-pockets
US653068A (en) 1899-12-21 1900-07-03 Walter A Church Electric-lamp socket.
US666289A (en) * 1900-08-23 1901-01-22 Louis Vineberg Safety-pocket.
US825189A (en) * 1905-07-27 1906-07-03 James G Clark Pocket.
US844539A (en) * 1906-03-05 1907-02-19 Edwin M Rosenquist Wearing-apparel.
US853068A (en) * 1906-10-26 1907-05-07 John Dean Apparel-pocket.
US934660A (en) * 1908-08-03 1909-09-21 Dean Joseph Company Apparel-pocket.
US1036054A (en) * 1910-02-23 1912-08-20 Isidor Abrahams Trousers-pocket.
US1116643A (en) * 1913-02-10 1914-11-10 Morton Kallis Trousers-pocket.
US1256787A (en) * 1916-07-13 1918-02-19 William P Grant Safety-pocket.
US1522664A (en) * 1920-12-04 1925-01-13 Charles R Wood Safety pocket
US1466993A (en) * 1921-06-15 1923-09-04 Jr Robert Charles Creech Pocket ornament
US1496330A (en) * 1924-03-11 1924-06-03 S W Larson Pocket attachment
US1649636A (en) * 1926-09-08 1927-11-15 Charles R Wood Safety pocket
US1769062A (en) * 1927-05-21 1930-07-01 Albert E King Protective pocket
US1725306A (en) * 1929-01-08 1929-08-20 Rothman Nathan Wearing apparel
US1786879A (en) * 1929-11-13 1930-12-30 Vineberg Louis Safety pocket
US2421695A (en) * 1945-11-16 1947-06-03 Charles W Henson Safety pocket
US2642576A (en) * 1951-11-23 1953-06-23 Kotkes Emanuel Pocket structure for nurses' uniforms and other garments
US4791681A (en) * 1987-08-24 1988-12-20 Dean Tracy C Health care garment and pocket thereon
JP3164165B2 (ja) * 1992-02-07 2001-05-08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カルシウムの定量方法
US5771496A (en) 1993-12-27 1998-06-30 Wood; Donald G. Readily installed pocket patch having reinforced seam
US5421032A (en) * 1994-06-22 1995-06-06 Murphy; Edward D. Bathing suit with tethered waterproof pouch
DE19624909C1 (de) * 1996-06-21 1997-11-20 Philipp Dr Deisler Kleidertasche
US6131205A (en) * 1999-07-09 2000-10-17 Arem; Valerie Michelle Invisible pocket
US6374421B1 (en) * 2000-08-15 2002-04-23 Scott E. Cleary Trouser safety pocket
JP2002105725A (ja) 2000-10-02 2002-04-10 Sanesu:Kk 携帯電話用ポケット付き衣服
US7966667B2 (en) * 2008-01-08 2011-06-28 Gx, Inc. Garment with underarm externally accessible breast pockets and method of use
USD659350S1 (en) 2010-04-12 2012-05-15 Mcdonnell Christopher Medical scrub top
US8402562B1 (en) * 2010-10-28 2013-03-26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Garment with a pocket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US8566963B2 (en) * 2011-06-03 2013-10-29 Isabelle Ryan Concealed interior pouch pocket
KR20140054157A (ko) * 2011-08-03 2014-05-08 다쉬아메리카, 아이엔씨. 디/비/에이 펄 이즈미 유에스에이, 아이엔씨. 선수용 반바지
KR101264045B1 (ko) * 2012-02-08 2013-05-21 준 호 전 스마트폰 전용 포켓을 형성한 의류
US9414631B2 (en) * 2012-02-29 2016-08-16 Keith A. SCHRIMPF Upper body apparel with concealed pouches
US20160324236A1 (en) 2012-02-29 2016-11-10 Keith A. SCHRIMPF Upper Body Apparel with Concealed Pouches
WO2014038740A1 (ko) 2012-09-06 2014-03-13 I Chung Lim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US9060555B1 (en) * 2013-01-15 2015-06-23 Bryan Scott Harris Clothing with retention structure in pocket
CN103169182A (zh) * 2013-03-23 2013-06-26 李嘉炜 带防漏口袋的裤子
DE202014002963U1 (de) * 2014-04-07 2014-08-18 Matthias Lotz Kapuzenpulli mit Getränkehalter und Handytasche (Multifuktionstasche)
DE202014002960U1 (de) * 2014-04-07 2014-08-18 Matthias Lotz Handytasche in Kapuzenjacke integriert
CN203767253U (zh) * 2014-04-14 2014-08-13 浙江新新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束口袋及制袋机
US20170258158A1 (en) * 2016-03-10 2017-09-14 Phalanx Freewear Inc. Garment with secured pocket
US20170354192A1 (en) * 2016-06-09 2017-12-14 Anthony T. Albano Lower body garment with secure pocket
US20190000167A1 (en) * 2017-07-02 2019-01-03 Wensheng Vincent Kuang Secure Pocket Inside Garment Pocket
US11089828B2 (en) 2018-07-25 2021-08-17 Nike, Inc. Secure pocket structure
US20200128894A1 (en) * 2018-10-29 2020-04-30 Andrew Robert Kloosterman Secure easily accessible pocket
FR3095108B1 (fr) * 2019-04-17 2022-04-08 Act 1892 Agencement de poches comprenant une poche de compartiment destinée à recevoir un téléphone mobile, et pantalon de type jean associé.
CN110384271B (zh) * 2019-08-01 2021-03-26 童凯迪 一种防掉物裤子
US20220132958A1 (en) * 2020-10-29 2022-05-05 Jeremy Losgar Retaining Poc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3812A (ja) * 2001-05-31 2002-12-18 Akashi Hifuku Kogyo Co Ltd 上着のポケット
JP2007016323A (ja) * 2005-07-05 2007-01-25 Sanwa Tekku:Kk ポケット構造およびこれを有するズボン
JP3164165U (ja) * 2010-08-25 2010-11-18 眞 新沼 衣類内側かえし機能付き入口ポ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06810A1 (en) 2020-01-30
US11641898B2 (en) 2023-05-09
EP3826498A1 (en) 2021-06-02
CA3189977A1 (en) 2020-01-30
US20230301382A1 (en) 2023-09-28
US20200029637A1 (en) 2020-01-30
CN113693323B (zh) 2023-12-05
KR102632140B1 (ko) 2024-01-31
EP4285763A2 (en) 2023-12-06
CA3106810C (en) 2024-03-26
EP4311446A1 (en) 2024-01-31
CN117016894A (zh) 2023-11-10
WO2020023161A1 (en) 2020-01-30
US11089828B2 (en) 2021-08-17
US11632992B2 (en) 2023-04-25
CN113693323A (zh) 2021-11-26
US20210330006A1 (en) 2021-10-28
CN112512360B (zh) 2023-08-11
US11553748B2 (en) 2023-01-17
US20210330008A1 (en) 2021-10-28
CN112512360A (zh) 2021-03-16
EP4285763A3 (en) 2024-01-31
US20210330007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140B1 (ko) 안전한 포켓 구조체
US9226529B2 (en) Bib with extendable pouch
KR102113676B1 (ko) 보안 포켓
US20120185993A1 (en) Shawl or wrap with closure mechanism
US20180168250A1 (en) Convertible Pants
KR101435350B1 (ko) 통합형 허리 현수 시스템
US9370211B2 (en) Upper body garment with hidden pockets
EP1491104A1 (en) Adult garment, chile garment, and parent-child garment
EP3430925A1 (en) Top garment with conversion to bag
US7302712B2 (en) Fastener mechanism for uniting articles of clothing
EP3217821B1 (en) Wet sportswear takeoff helping means
US4749113A (en) Anti-theft money-carrying article
US20210307438A1 (en) Elastic Strap for Apparel Use
JP4044494B2 (ja) 下着
JP6369854B2 (ja) 授乳機能を備えた衣服
JP3093752U (ja) フラップ付きポ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