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626A -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626A
KR20210016626A KR1020217000638A KR20217000638A KR20210016626A KR 20210016626 A KR20210016626 A KR 20210016626A KR 1020217000638 A KR1020217000638 A KR 1020217000638A KR 20217000638 A KR20217000638 A KR 20217000638A KR 20210016626 A KR20210016626 A KR 20210016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external ground
ground member
connector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302B1 (ko
Inventor
유마 아메모리
히로유키 호시바
아오이 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16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세트(1)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는 제 1 접속단자(12)와,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제 2 접속단자(22)와,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와,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를 갖고, 감합시에 있어서,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 1 접속단자 및 제 2 접속단자가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도록 둘레형상으로 폐쇄되고, 제 1 실장부 및 제 2 실장부가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서로 감합해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다극의 접속단자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그 접속단자에 맞물리는 상대방 접속단자를 갖는 제 2 커넥터가 정확하게 감합할 수 있도록 제 1 커넥터의 양단에 제 1 보강금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 1 보강금구에 감합하는 제 2 보강금구를 제 2 커넥터의 양단에 설치하는 것을 개시한다. 제 1 보강금구 및 제 2 보강금구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평면으로부터 볼 때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U자상의 개방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보강금구 및 제 2 보강금구는 정확한 감합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전자적으로 높은 실드성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공개 2016-85994호 공보
그런데, 다극의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접속단자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고주파화가 진행되고 있다. 다극의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 세트를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할 경우,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접속단자의 근방에 배치된 접지단자나 커넥터 세트가 실장되는 기판 등은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접속단자로부터 복사되는 전자계에 의해, 공진을 일으키기 쉬워지고, 방사 노이즈를 발생시키므로, 전송 대역에 있어서의 안정된 신호 전송이 방해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접속단자가 전송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세트는,
제 1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해서 삽입 빠짐 방향으로 삽입 빠짐 가능하게 감합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제 1 회로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제 1 실장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접속단자에서 전송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는 제 1 외부 접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감합시에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회로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제 2 실장부를 가짐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쌈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외부 접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있어서,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도록 둘레형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제 1 실장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실장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둘레형상으로 폐쇄된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전자파를 실드하므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가 전송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제 1 절연성 부재 및 제 2 절연성 부재를 제거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커넥터의 제 1 외부 접지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 1 외부 접지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단면 구조를 X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X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 세트를 회로기판에 실장했을 때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1 외부 접지부재에 있어서의 외측 실장부와 외측 탄성부에 형성된 접촉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Y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6은 제 1 외부 접지부재에 있어서의 일측 실장부와 일측 탄성부에 형성된 접촉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Y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8은 제 1 외부 접지부재에 있어서의 내측 실장부와 내측 탄성부에 형성된 접촉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Y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20은 변형예에 따른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 1 커넥터의 제 1 외부 접지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추가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 1 커넥터의 제 1 외부 접지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세트(1)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1)가 실장된 회로기판(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는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전기 커넥터 세트〕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세트(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1)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전기 커넥터 세트(1)는 제 1 커넥터(10)와, 제 1 커넥터(10)에 대해서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 빠짐 가능하게 감합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전기 커넥터 세트(1)는 제 2 커넥터(20)를 제 1 커넥터(10)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 2 커넥터(20)를 제 1 커넥터(10)를 향해서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20)가 서로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1)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절연성 부재(11)와, 제 1 접속단자(12)와, 2개의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15)(이하, 단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라고 기재하는 일이 있다.)와, 2개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16)(이하, 단지, 제 1 외부 접지부재(16)라고 기재하는 일이 있다.)를 갖는다. 제 1 절연성 부재(11)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 등의 전기절연성의 수지가 사용된다. 제 1 절연성 부재(11)는 제 1 중앙 지지부(13)와, 2개의 제 1 측방 지지부(14)를 갖는다. 제 1 중앙 지지부(13)는 제 1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2개의 제 1 측방 지지부(14)는 제 1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이간해서 설치된다.
제 1 중앙 지지부(13)는 오목형상의 제 1 접속단자용 장착부를 갖는다. 제 1 접속단자용 장착부에 제 1 접속단자(12)를 장착함으로써, 제 1 접속단자(12)가 지지된다. 제 1 접속단자(12)는 제 1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접속단자(예를 들면 오목형 형상)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접속단자(12)는 통상 암형의 다극 접속단자라고도 불린다. 도 3에 나타낸 제 1 접속단자(12)에서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1열에 3개의 접속단자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또, 다극의 제 1 접속단자(12)의 배열은 2열에 한정되지 않고, 1열이나 3열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속단자(12)의 1열당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하나 4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제 1 접속단자(12)의 열 사이에 있어서의 전자파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1 접속단자(12)의 열 사이에 도전성 실드 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형성해도 좋다. 실드 부재는 예를 들면 제 1 중앙 지지부(13)의 중앙홈에 끼워져서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실드 부재는 제 1 접속단자(12)의 열 사이의 길이 방향에 걸쳐 연장해도 좋다. 또, 제 1 접속단자(12)로서 복수의 오목형 접속단자가 배열되어 있지만, 복수의 볼록형 접속단자가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접속단자(12)와 맞물리는 제 2 접속단자(22)에는 복수의 볼록형 접속단자 대신에 복수의 오목형 접속단자가 배열된다.
제 1 접속단자(12)는 예를 들면 신호전위 또는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며, 도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구부려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단자(12)로서는 예를 들면 인 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 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1 접속단자(1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금 도금 등을 행해도 좋다.
제 1 측방 지지부(14)의 각각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용 장착부와, 제 1 외부 접지부재용 장착부를 갖는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용 장착부에는 대응하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예를 들면 오목형 형상)(15)가 장착되어서 지지된다. 제 1 외부 접지부재용 장착부에는 대응하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장착되어서 지지된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는 제 1 접속단자(12)에서 전송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도체이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는 도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구부려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는 후술하는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하기 위한 제 1 실장부(19)를 갖는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로서는 예를 들면 인 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 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금 도금 등을 행해도 좋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는 예를 들면 밀리파 신호 전송용 접속단자이다. 밀리파는 파장이 1mm∼10mm의 범위이며, 주파수가 30㎓∼300㎓의 범위이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는 예를 들면 40㎓∼100㎓의 범위의 밀리파 신호 전송용의 접속단자로 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접지전위에 접속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외부로부터의 전자파나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실드해서 제 1 외부 접지부재(16)로 둘러싸여지는 공간을 전자파 차폐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를 전자적으로 실드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로서는 예를 들면 인 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 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예를 들면 굽힘 가공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낸 제 1 커넥터(10)에서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복수개(2개) 설치되고, 이간한 2개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16) 사이에 제 1 접속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전자적으로 실드하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의해, 제 1 접속단자(12)와 한쪽의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사이, 및, 제 1 접속단자(12)와 다른쪽의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사이에서의 신호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1)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20)의 사시도이다.
제 2 커넥터(20)는 제 2 절연성 부재(21)와, 제 2 접속단자(22)와, 2개의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25)(이하, 단지,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라고 기재하는 일이 있다.)와, 2개의 제 2 외부 접지부재(26,26)(이하, 단지, 제 2 외부 접지부재(26)라고 기재하는 일이 있다.)를 갖는다. 제 2 절연성 부재(21)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 등의 전기절연성의 수지가 사용된다. 제 2 절연성 부재(21)는 제 2 중앙 지지부(23)와, 2개의 제 2 측방 지지부(24)를 갖는다. 제 2 중앙 지지부(23)는 제 2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2개의 제 2 측방 지지부(24)는 제 2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이간해서 설치된다.
제 2 중앙 지지부(23)는 오목형상의 제 2 접속단자용 장착부를 갖는다. 제 2 접속단자용 장착부에 제 2 접속단자(22)를 장착함으로써, 제 2 접속단자(22)가 지지된다. 제 2 접속단자(22)는 제 2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접속단자(예를 들면 볼록형 형상)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접속단자(22)는 통상 수형의 다극 접속단자라고도 불린다. 제 2 접속단자(22)는 제 1 접속단자(12)에 대해서 일대일로 대응한다. 제 2 접속단자(22)는 대응하는 제 1 접속단자(12)에 맞물려서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제 2 접속단자(22)의 열 사이에 있어서의 전자파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2 접속단자(22)의 열 사이에 도전성의 실드 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설치해도 좋다. 실드 부재는 예를 들면 제 2 중앙 지지부(23)의 중앙홈에 끼워져서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실드 부재는 제 2 접속단자(22)의 열 사이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걸쳐 연장해도 좋다.
제 2 접속단자(22)는 예를 들면 신호전위 또는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며, 도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구부려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접속단자(22)로서는 예를 들면 인 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 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2 접속단자(22)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금 도금 등을 행해도 좋다.
2개의 제 2 측방 지지부(24)는 각각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용 장착부와, 제 2 외부 접지부재용 장착부를 갖는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용 장착부에는 대응하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예를 들면 볼록형 형상)(25)가 장착되어서 지지된다. 제 2 외부 접지부재용 장착부에는 대응하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장착되어서 지지된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는 제 2 접속단자(22)에서 전송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도체이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는 도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구부려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는 후술하는 제 2 회로기판(4)에 실장하기 위한 제 2 실장부(29)를 갖는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로서는 예를 들면 인 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 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금 도금 등을 행해도 좋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는 예를 들면 밀리파 신호 전송용의 접속단자이다. 밀리파는 파장이 1mm∼10mm의 범위이며, 주파수가 30㎓∼300㎓의 범위이다.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는 예를 들면 40㎓∼100㎓의 범위의 밀리파 신호 전송용의 접속단자로 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접지부재(26)는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다. 제 2 외부 접지부재(26)는 접지전위에 접속됨으로써 제 2 커넥터(20)의 외부로부터의 전자파나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실드해서 제 2 외부 접지부재(26)로 둘러싸여지는 공간을 전자파 차폐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2 외부 접지부재(26)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전자적으로 실드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 2 외부 접지부재(26)로서는 예를 들면 인 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 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2 외부 접지부재(26)는 예를 들면 굽힘 가공으로 형성된다.
〔제 1 외부 접지부재〕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세트(1)에 있어서 제 1 절연성 부재(11) 및 제 2 절연성 부재(21)를 제거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하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하면도이다.
도 5∼도 10에 나타내듯이 각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둘레형상으로 폐쇄되어 있다. 여기에서, 둘레형상이란 반드시 다각둘레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원둘레형상, 타원둘레형상, 다각둘레형상과 원둘레형상을 조합한 형상 등이어도 좋다. 각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제 1 기부(16a)와, 가이드부(17)와, 장착 개구부(18)를 갖는다. 제 1 기부(16a)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U자상을 하고 있다. 가이드부(17)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U자상을 하고 있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가이드부(17)는 제 2 커넥터(20)를 제 1 커넥터(10)에 대해서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할 때에, 제 2 외부 접지부재(26)를 장착 개구부(18)에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이용된다. 장착 개구부(18)는 가이드부(17)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이며,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제 1 기부(16a)의 외측(X축 정방향측)에는 외측 벽부(51)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외측 벽부(51)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기부(16a)의 일측(Y축 부방향측)에는 일측 벽부(55)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일측 벽부(55)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기부(16a)의 타측(Y축 정방향측)에는 타측 벽부(57)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타측 벽부(57)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벽부(51)의 하부에는 2개의 암부(50,50)(이하, 단지, 암부(50)라고 기재하는 일이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50)는 내측(X축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외측 탄성부(31)에 연결되어 있다. 외측 탄성부(31)는 Z축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탄성부(31)는 암부(50)를 통해 외측 벽부(51)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외측 벽부(51)의 일측의 측부에는 일측 탄성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 탄성부(35)는 내측(X축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일측 탄성부(35)의 내측 단부에는 일측 단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 단부(52)는 일측 벽부(55)의 내면을 향해서 돌출되고 일측 벽부(55)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외측 벽부(51)의 타측의 측부에는 타측 탄성부(37)가 형성되어 있다. 타측 탄성부(37)는 내측(X축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타측 탄성부(37)의 내측 단부에는 타측 단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타측 단부(53)는 타측 벽부(57)의 내면을 향해서 돌출되고 타측 벽부(57)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가이드부(17)의 일측의 내측 단부 및 타측의 내측 단부의 각각에는 내측 연결부(58)가 형성되어 있다. 각 내측 연결부(58)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탄성부(33)에 연결되어 있다. 내측 탄성부(33)는 Z축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탄성부(33)는 U자형상과 역U자형상과 U자형상을 조합함으로써 복수회로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내측 탄성부(33)는 2개의 내측 연결부(58,58)를 통해 가이드부(17)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내주부는 복수의 변부, 예를 들면 4개의 변부를 갖는다. 외측 탄성부(31), 내측 탄성부(33), 일측 탄성부(35) 및 타측 탄성부(37)는 각각 변부로서 작용한다. 외측 탄성부(31)의 내면에는 내측을 향해서 돌출된 접촉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탄성부(33)의 내면에는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접촉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 탄성부(35)의 내면에는 타측을 향해서 돌출된 접촉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타측 탄성부(37)의 내면에는 일측을 향해서 돌출된 접촉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도 10에 도시한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서는 접촉부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접촉부(32,34,36,38) 중 4개소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이간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32,34,36,38)의 각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 접촉해서 제 2 외부 접지부재(26)와의 전기적 접속에 이용된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 사이에는 접촉부(34)가 형성되고, 접촉부(34)가 적어도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 중 적어도 한쪽과,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 중 적어도 한쪽 사이에서 형성되는 영역에는 접촉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접촉부(34)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자적으로 실드된다.
접촉부는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적어도 3개소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이간 배치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예를 들면 접촉부(34), 접촉부(36), 접촉부(38)를 구비하거나, 접촉부(32), 접촉부(34), 접촉부(36)를 구비하거나, 접촉부(32), 접촉부(34), 접촉부(38)를 구비하거나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웃하는 접촉부(32), 접촉부(34), 접촉부(36), 접촉부(38)의 둘레 방향의 간격이, 예를 들면 상기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 이하이다. 예를 들면 이웃하는 접촉부(32)와 접촉부(36), 이웃하는 접촉부(36)와 접촉부(34), 이웃하는 접촉부(34)와 접촉부(38), 이웃하는 접촉부(38)와 접촉부(32)의 둘레 방향의 간극이 상기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이웃하는 접촉부간의 둘레 방향의 간극을 통한 밀리파 대역에서의 불필요 복사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외부 접지부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각 제 2 외부 접지부재(26)는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둘레형상으로 폐쇄되어 있다. 여기에서, 둘레형상이란 반드시 다각둘레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원둘레형상, 타원둘레형상, 다각둘레형상과 원둘레형상을 조합한 형상 등이어도 좋다. 제 2 외부 접지부재(26)는 제 2 접지 기부(40)와, 외측 벽부(41)와, 내측 벽부(43)와, 일측 벽부(45)와, 타측 벽부(47)와, 삽입 개구부(28)를 갖는다.
제 2 접지 기부(40)의 중앙부에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삽입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접지 기부(40)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의 환상 형상을 하고 있다.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제 2 접지 기부(40)로 둘러싸여져 있음과 아울러, 삽입 개구부(28) 안에 위치한다.
제 2 접지 기부(40)의 외측에는 외측 벽부(41)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면형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제 2 접지 기부(40)의 내측에는 내측 벽부(43)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면형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제 2 접지 기부(40)의 일측에는 일측 벽부(45)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면형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제 2 접지 기부(40)의 타측에는 타측 벽부(47)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면형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 있어서, 외측 벽부(41)와 일측 벽부(45) 사이, 외측 벽부(41)와 타측 벽부(47) 사이에는 각각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노치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감합 강도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노치부(49)에 있어서의 간극은 감합시에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바꿔 말하면,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노치부(49)가 제 1 외부 접지부재(16)로 둘러싸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감합 강도를 조정하면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일측 벽부(45)의 외측면에는 일측 접속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타측 벽부(47)의 외측면에는 타측 접속 오목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20)가 감합 상태에 있을 때, 일측 접속 오목부(46)가 일측의 접촉부(36)에 맞물리고, 타측 접속 오목부(48)가 타측의 접촉부(38)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맞물림 구조, 감합 구조〕
도 11은 도 6의 단면 구조를 X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X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제 1 커넥터(10)에 대해서 제 2 커넥터(20)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 2 커넥터(20)를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제 2 커넥터(20)가 제 1 커넥터(10)에 감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감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가이드부(17)에 의해 장착 개구부(18)에 장착되도록 가이드되고, 그 후,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감합한다. 일측에서는 돌출한 접촉부(36)가 일측 접속 오목부(46)에 맞물림과 아울러, 타측에서는 돌출한 접촉부(38)가 타측 접속 오목부(48)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의 감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감합 상태에서는 제 2 접속단자(22)가 제 1 접속단자(12)에 맞물림과 아울러,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에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감합 상태에서는 외측 탄성부(31)가 외측 벽부(41)에 대면하고, 내측 탄성부(33)가 내측 벽부(43)에 대면하고, 일측 탄성부(35)가 일측 벽부(45)에 대면하고, 타측 탄성부(37)가 타측 벽부(47)에 대면한다. 이 때, 외측의 접촉부(32)가 외측 벽부(41)에 접촉하고, 내측의 접촉부(34)가 내측 벽부(43)에 접촉하고, 일측의 접촉부(36)가 일측 접속 오목부(46)에 접촉하고, 타측의 접촉부(38)가 타측 접속 오목부(48)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외부 접지부재(16) 및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접촉부(32), 접촉부(34), 접촉부(36), 접촉부(38)의 4개소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들의 4개의 접촉부(32,34,36,38)는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의 사방을 둘러싸고 있고, 감합시에는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의 사방도 또한 둘러싸고 있다.
도 6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는 둘레형상으로 폐쇄된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있고, 제 2 외부 접지부재(26)는 둘레형상으로 폐쇄된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내측에 있다. 즉,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제 2 외부 접지부재(26)로 연속적으로 둘러싸여짐과 아울러,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제 1 외부 접지부재(16)로 연속적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외부 접지부재(16) 및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전자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드하므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송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밀리파 대역에서의 신호 전송〕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밀리파 신호 전송용의 접속단자로서 사용할 경우, 이하의 과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리파의 대역은 파장이 1mm∼10mm의 범위이며, 주파수가 30㎓∼300㎓의 범위이다. 한편, 소형·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제 1 커넥터(10) 및 제 2 커넥터(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사이즈가 매우 작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외부 접지부재(16) 및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사이즈가 mm의 오더 또는 서브 mm의 오더로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감합 상태에 있는 단면 구조를,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과 직교하고,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가 위치하는 측면 방향(X축 방향)에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와 겹치지 않는 비중첩부(15a)를 갖는다. 비중첩부(15a)와 겹치지 않는 측방 노치부(33b)가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탄성부(33)는 복수회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측방 노치부(33b)를 갖고,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의 일부분이 비중첩부(15a)로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 측방 노치부(33b)와 겹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삽입 빠짐 방향과 직교하고,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가 위치하는 측면 방향에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라는 것은 예를 들면,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를 투시해서 동일 평면 상에 투영했을 때를 가리킨다.
측방 노치부(33b)의 사이즈가 전송되는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보다 커지면, 측방 노치부(33b)를 통해서 불필요 복사가 누설되어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측방 노치부(33b)에서의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과 측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Y축 방향)의 노치 길이(A)가 전송되는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 이하이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측방 노치부(33b)를 통한 밀리파 대역에서의 불필요 복사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회로기판에 대한 전기 커넥터 세트의 실장〕
도 1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 세트(1)를 회로기판(2)에 실장했을 때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회로기판(2)은 제 1 회로기판(3)과 제 2 회로기판(4)으로 구성된다. 제 1 회로기판(3)에는 제 1 커넥터(10)가 실장되고, 제 2 회로기판(4)에는 제 2 커넥터(20)가 실장된다.
제 1 회로기판(3)에 있어서는 제 1 커넥터(10)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내측 접지층(3a), 제 1 절연층(3g), 제 1 도전층(3b), 제 2 절연층(3h) 및 제 1 외측 접지층(3c)이 적층되어 있다. 제 1 내측 접지층(3a)의 측에는 제 1 접속부(3e)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접속부(3e)는 제 1 비아(3f)를 통해 제 1 도전층(3b)과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절연층(3g)과 제 2 절연층(3h)이 동일한 것이어도 좋다.
제 1 접속부(3e)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의 제 1 실장부(19)의 실장에 사용되고, 제 1 접속부(3e) 및 제 1 실장부(19)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 1 실장부(19)는 땜납 범프 등의 도전부재에 의해, 제 1 접속부(3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실장부(19)가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됨과 아울러 제 1 접속부(3e)가 제 1 내측 접지층(3a)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되므로, 제 1 실장부(19)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회로기판(4)에 있어서는 제 2 커넥터(20)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2 내측 접지층(4a), 제 3 절연층(4g), 제 2 도전층(4b), 제 4 절연층(4h) 및 제 2 외측 접지층(4c)이 적층되어 있다. 제 2 내측 접지층(4a)의 측에는 제 2 접속부(4e)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접속부(4e)는 제 2 비아(4f)를 통해 제 2 도전층(4b)과 접속되어 있다. 또, 제 3 절연층(4g)과 제 4 절연층(4h)이 동일한 것이어도 좋다.
제 2 접속부(4e)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의 제 2 실장부(29)의 실장에 사용되고, 제 2 접속부(4e) 및 제 2 실장부(29)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 2 실장부(29)는 땜납 범프 등의 도전부재에 의해, 제 2 접속부(4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실장부(29)가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됨과 아울러 제 2 접속부(4e)가 제 2 내측 접지층(4a)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되므로, 제 2 실장부(29)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 세트(1)가 실장된 회로기판(2)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송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실장·지지구조〕
도 14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의 외측 실장부(50a)와 외측 탄성부(31)에 형성된 접촉부(32)의 관계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Y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6은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의 일측 실장부(52a)와 일측 탄성부(35)에 형성된 접촉부(36)의 관계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Y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8은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의 내측 실장부(33a)와 내측 탄성부(33)에 형성된 접촉부(34)의 관계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을 따른 단면 구조를 Y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듯이 외측 벽부(51)가 가이드부(17)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벽부(51)의 하부에 형성된 2개의 암부(50,50)로부터 외측 탄성부(31)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탄성부(31)는 2개의 암부(50,50)를 통해 외측 벽부(51)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7)와 외측 탄성부(31)는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외측 실장부(50a)가 암부(5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실장부(50a)는 제 1 회로기판(3)의 제 1 내측 접지층(3a)(도 13에 도시)과의 실장에 사용된다.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한 상태에서는 외측 탄성부(31)는 외측 실장부(50a,50a)의 2개소를 지점으로 한 양팔보의 탄성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외측 탄성부(31)의 내측면에는 접촉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후에, X축 방향의 힘이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작용한 경우, 상기 힘이 가이드부(17)에서 수용되므로, 외측 탄성부(31)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외측 탄성부(31)가 안정된 스프링 탄성을 제공하고, 접촉부(32)가 확실하고 안정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했을 때, 외측 실장부(50a)와 접촉부(32)를 연결하는 외측의 접지 경로(Do)(점선으로 도시)는 외측 탄성부(31)에 있어서의 외측 실장부(50a)로부터 접촉부(32)까지의 물리적 길이와, 접촉부(32)의 돌출 높이를 모두 더한 것으로 되어 매우 짧게 되어 있다. 외측의 접지 경로(Do)가 매우 짧아짐으로써, 외측의 접지 경로(Do)에서의 공진을 막을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듯이 외측 벽부(51)가 가이드부(17)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벽부(51)의 일측의 측부에 형성된 일측 탄성부(35)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일측 탄성부(35)는 외측 벽부(51)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7)와 일측 탄성부(35)는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감합시에는 일측 탄성부(35)의 일측 단부(52)는 일측 벽부(55)의 내면에 접촉한다. 일측 실장부(52a)가 일측 벽부(55)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일측 실장부(52a)는 제 1 회로기판(3)의 제 1 내측 접지층(3a)과의 실장에 사용된다. 제 1 커넥터(10)를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함과 아울러 제 2 커넥터(20)에 감합한 상태에서는 일측 탄성부(35)는 일측 실장부(52a)와, 일측 벽부(55)의 내면에서의 접촉부의 2개소를 지점으로 한 양팔보의 탄성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일측 탄성부(35)의 내측면에는 접촉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후에 Y축 방향의 힘이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작용한 경우, 상기 힘이 가이드부(17)에서 수용되므로, 일측 탄성부(35)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일측 탄성부(35)가 안정된 스프링 탄성을 제공하고, 접촉부(36)가 확실하고 안정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했을 때, 일측 실장부(52a)와 접촉부(36)를 연결하는 일측의 접지 경로(Ds)(점선으로 도시)는 일측 실장부(52a)로부터 일측 벽부(55)의 내면에서의 접촉부까지의 물리적 길이와, 일측 단부(52)의 물리적 길이와, 일측 탄성부(35)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52)로부터 접촉부(36)까지의 물리적 길이와, 접촉부(36)의 돌출 높이를 모두 더한 것으로 되어 매우 짧게 되어 있다. 일측의 접지 경로(Ds)가 매우 짧아짐으로써 일측의 접지 경로(Ds)에서의 공진을 막을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듯이 가이드부(17)의 일측의 내측 및 타측의 내측의 각각에 형성된 내측 연결부(58)로부터 내측 탄성부(33)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측 탄성부(33)는 내측 연결부(58)를 통해 가이드부(17)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내측 실장부(33a)가 내측 탄성부(33)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실장부(33a)는 제 1 회로기판(3)의 제 1 내측 접지층(3a)과의 실장에 사용된다.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한 상태에서는 내측 탄성부(33)는 내측 실장부(33a,33a)의 2개소를 지점으로 한 양팔보의 탄성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내측 탄성부(33)의 내측면에는 접촉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탄성부(33)가 양팔보의 탄성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측 탄성부(33)가 안정된 스프링 탄성을 제공하고, 접촉부(34)가 확실하고 안정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했을 때, 내측 실장부(33a)와 접촉부(34)를 연결하는 내측의 접지 경로(Di)(점선으로 도시)는 내측 탄성부(33)에 있어서의 내측 실장부(33a)로부터 접촉부(34)까지의 물리적 길이와, 접촉부(34)의 돌출 높이를 모두 더한 것으로 되어 매우 짧게 되어 있다. 내측의 접지 경로(Di)가 매우 짧아짐으로써, 내측의 접지 경로(Di)에서의 공진을 막을 수 있다.
또, 도 16에 나타내듯이 타측 탄성부(37)나 타측 벽부(57)의 구성은 일측 탄성부(35)나 일측 벽부(55)의 구성에 대해서 Y축 방향으로 대칭이다. 따라서,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했을 때, 타측 실장부(53a)와 접촉부(38)를 연결하는 타측의 접지 경로(Dt)(점선으로 도시)는 타측 실장부(53a)로부터 타측 벽부(57)의 내면에서의 접촉부까지의 물리적 길이와, 타측 단부(53)의 물리적 길이와, 타측 탄성부(37)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53)로부터 접촉부(38)까지의 물리적 길이와, 접촉부(38)의 돌출 높이를 모두 합한 것으로 되어 매우 짧게 되어 있다. 타측의 접지 경로(Dt)가 매우 짧아짐으로써 타측의 접지 경로(Dt)에서의 공진을 막을 수 있다.
〔변형예〕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의 접촉부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변형예에 따른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하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 접촉부(32,34,36,38)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구성하는 각 변부에 1개소씩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제 1 접속단자(12)에 대향하는 측(내측)에 위치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부(내측 변부)에 있어서, 즉 내측 탄성부(33)에 있어서, 2개소의 접촉부(34a,3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감합해서 접속될 때, 한쪽이 다른쪽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개소의 접촉부(34a,34b)는 제 1 접속단자(12)에 대향하는 측(내측)에 위치하는 변부(내측 변부)의 중앙부분보다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한쪽이 다른쪽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간의 거리는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노이즈)의 반파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외부 또는 내부의 전자파(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2개소의 접촉부(34a,34b)는 제 1 접속단자(12)에 대향하는 측(내측)에 위치하는 변부(내측 변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측방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2개소의 접촉부(34a,34b)는 제 1 접속단자(12)에 대향하는 측(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변부(내측 탄성부(33))의 중앙부분을 끼우도록 이간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2개소의 접촉부(34a,34b) 중 한쪽의 접촉부(34a)의 옆에 위치하는 접촉부(36), 및, 2개소의 접촉부(34a,34b) 중 다른쪽의 접촉부(34b)의 옆에 위치하는 접촉부(38)의 각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다른 변형예〕
도 22를 참조하면서,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둘레형상으로 폐쇄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22에 나타내는 다른 변형예에서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있지 않고,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비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비연속부(39,39)를 갖는다. 도 22에 나타낸 다른 변형예에서는 내측 탄성부(33)의 측에 있어서 2개의 비연속부(39,39)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비연속부(39,39)를 구비함으로써,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와,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 사이가 제 1 외부 접지부재(16)로 완전하게 구획되어 있지 않다(연속적으로 둘러싸여져 있지 않다). 바꿔 말하면,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가 배열되는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를 전자적으로 실드하는 부분(내측 탄성부(33) 및 2개의 내측 연결부(58))을 갖는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2개의 비연속부(39,39)를 갖는 경우,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2개의 비연속부(39,39)를 갖지 않는 경우보다 실드 능력이 떨어지지만,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전자 노이즈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가 외부에 방사하는 전자 노이즈를 각각 실드하는 전자파 실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형성된 2개의 비연속부(39,39)는 제 2 커넥터(20)의 제 2 중앙 지지부(23)와 제 1 외부 접지부재(16) 사이에서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물리적 간섭을 억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내측 탄성부(33)는 제 1 절연성 부재(11)에 의해 지지된다. 내측 탄성부(33)에 있어서의 2개의 내측 실장부(33a,33a) 및 2개의 내측 연결부(58,58)에 있어서의 각 내측 실장부(33a,33a)는 제 1 회로기판(3)의 제 1 내측 접지층(3a)에 접속되어서 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측 탄성부(33) 및 내측 연결부(58)를 실질적으로 같은 접지전위로 유지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내측 탄성부(33)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 사이에는 접촉부(34)가 형성되고, 접촉부(34)가 적어도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 중 적어도 한쪽과,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 중 적어도 한쪽 사이에서 형성되는 영역에는 접촉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접촉부(34)에 의한 접지전위에 대한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자적으로 실드된다.
〔추가의 다른 변형예〕
도 23을 참조하면서,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의 추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추가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추가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있지 않고,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비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비연속부(39)를 갖는다. 도 23에 나타낸 추가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내측 탄성부(33)의 일측에 있어서, 1개의 비연속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탄성부(33)는 타측의 내측 연결부(58)에 의해 외팔보로 지지되어 있다. 또, 내측 탄성부(33)의 타측에 있어서, 1개의 비연속부(39)가 형성되고, 내측 탄성부(33)는 일측의 내측 연결부(58)에 의해 외팔보로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1개의 비연속부(39)를 구비함으로써,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와,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 사이가 제 1 외부 접지부재(16)로 완전하게 구획되어 있지 않다(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다). 바꿔 말하면,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가 배열되는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1 외부 접지부재(16)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를 전자적으로 실드하는 부분(내측 탄성부(33) 및 2개의 내측 연결부(58))을 갖는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1개의 비연속부(39)를 갖는 경우,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1개의 비연속부(39)를 갖지 않는 경우보다 실드 능력이 떨어지지만,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전자 노이즈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가 외부에 방사하는 전자 노이즈를 각각 실드하는 전자파 실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내측 탄성부(33)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 사이에는 접촉부(34)가 형성되고, 접촉부(34)가 적어도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 중 적어도 한쪽과,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 중 적어도 한쪽 사이에서 형성되는 영역에는 접촉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접촉부(34)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고,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자적으로 실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실시형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세트(1)는,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회로기판(4)에 실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10)에 대해서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 빠짐 가능하게 감합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세트(1)로서,
상기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접속단자(12)와, 상기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하기 위한 제 1 실장부(19)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접속단자(12)에서 전송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를 둘러싸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20)는 감합시에 상기 제 1 접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접속단자(22)와, 상기 제 2 회로기판(4)에 실장하기 위한 제 2 실장부(29)를 가짐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둘러쌈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10)와 상기 제 2 커넥터(20)의 감합시에 있어서,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12)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22)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둘러싸도록 둘레형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제 1 실장부(19)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실장부(29)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둘레형상으로 폐쇄된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음과 아울러 제 1 실장부(19) 및 제 2 실장부(29)가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전자파가 실드되어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송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 사이에는 접촉부(32,34,36,38)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34)가 적어도 상기 제 1 접속단자(12)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제 1 접속단자(12) 및 제 2 접속단자(22)에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접촉부(34)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확립되어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자적으로 실드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접촉부(32,34,36,38)가 적어도 3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내주부는 복수의 변부(31,33,35,37)를 갖고,
상기 적어도 3개소의 상기 접촉부(32,34a,34b,36,38) 중 2개소의 상기 접촉부(34a,34b)가 상기 복수의 변부(31,33,35,37) 중 1개의 변부(33)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촉부의 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감합해서 접속될 때, 한쪽이 다른쪽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상기 내주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변부(31,33,35,37) 중 상기 1개의 변부(33)에 있는 상기 2개소의 접촉부(34a,34b)는 상기 1개의 변부(33)의 중앙부분을 끼우도록 이간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소의 접촉부(34a,34b) 중 한쪽의 접촉부(34a)의 옆에 위치하는 접촉부(36), 및, 2개소의 접촉부(34a,34b) 중 다른쪽의 접촉부(34b)의 옆에 위치하는 접촉부(38)의 각 형성 위치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고주파 신호는 밀리파 신호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밀리파의 전송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접촉부(32,34,36,38)의 둘레 방향의 간격이 상기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 이하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웃하는 접촉부(32,34,36,38)의 둘레 방향의 간극을 통한 밀리파 대역에서의 불필요 복사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12)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22)가 위치하는 측면 방향(X축 방향)에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는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와 겹치지 않는 비중첩부(15a)를 갖고, 상기 비중첩부(15a)와 겹치지 않는 측방 노치부(33b)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방 노치부(33b)에서의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과 상기 측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Y축 방향)의 노치 길이(A)가 상기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 이하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측방 노치부(33b)를 통한 밀리파 대역에서의 불필요 복사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제 1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복수개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16) 사이에 상기 제 1 접속단자(12)가 설치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자적으로 실드하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의해, 제 1 접속단자(12)와 한쪽의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사이, 및, 제 1 접속단자(12)와 다른쪽의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사이에서의 신호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세트(1)가 실장된 회로기판(2)은,
상기 전기 커넥터 세트(1)와,
상기 제 1 회로기판(3)과 상기 제 2 회로기판(4)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3)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커넥터(10)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내측 접지층(3a), 제 1 절연층(3g), 제 1 도전층(3b), 제 2 절연층(3h) 및 제 1 외측 접지층(3c)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내측 접지층(3a)의 측에는 상기 제 1 실장부(19)와 접속된 제 1 접속부(3e)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4)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커넥터(20)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2 내측 접지층(4a), 제 3 절연층(4g), 제 2 도전층(4b), 제 4 절연층(4h) 및 제 2 외측 접지층(4c)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내측 접지층(4a)의 측에는 상기 제 2 실장부(29)와 접속된 제 2 접속부(4e)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속부(3e)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3b)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속부(4e)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4b)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실장부(19)가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1 접속부(3e)가 제 1 내측 접지층(3a)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되어 있으므로, 제 1 실장부(19)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장부(29)가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접속부(4e)가 제 2 내측 접지층(4a)에 의해 전자적으로 실드되어 있으므로, 제 2 실장부(29)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 세트(1)가 실장된 회로기판(2)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전송 대역에 있어서 안정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다른 국면에서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세트(1)는,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회로기판(4)에 실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10)에 대해서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 빠짐 가능하게 감합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세트(1)로서,
상기 제 1 커넥터(10)는 제 1 접속단자(12)와, 상기 제 1 회로기판(3)에 실장하기 위한 제 1 실장부(19)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접속단자(12)에서 전송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를 둘러싸는 제 1 외부 접지부재(16)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20)는 감합시에 상기 제 1 접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접속단자(22)와, 상기 제 2 회로기판(4)에 실장하기 위한 제 2 실장부(29)를 가짐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둘러쌈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외부 접지부재(26)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10)와 상기 제 2 커넥터(20)의 감합시에 있어서, 상기 삽입 빠짐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12)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22)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를 비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비연속부(39)를 갖고, 상기 제 1 실장부(19)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실장부(29)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외부 접지부재(16)가 비연속부(39)를 가지지 않는 경우보다 실드 능력이 떨어지지만,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전자 노이즈와,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25)가 외부에 방사하는 전자 노이즈를 각각 실드하는 전자파 실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26)에는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노치부(4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치부(49)는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감합 강도를 조정하면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15) 및 제 2 고주파 접속단자(25)로부터의 불필요 복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세트(1)에서는,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16)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부(39)에 의해 비연속으로 되어 있는 내측 탄성부(33) 및 내측 연결부(58)가 상기 제 1 회로기판(3)의 제 1 내측 접지층(3a)에 접속되어서 접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탄성부(33) 및 내측 연결부(58)를 실질적으로 같은 접지전위로 유지할 수 있다.
1…전기 커넥터 세트
2…회로기판
3…제 1 회로기판
3a…제 1 내측 접지층
3b…제 1 도전층
3c…제 1 외측 접지층
3e…제 1 접속부
3f…제 1 비아
3g…제 1 절연층
3h…제 2 절연층
4…제 2 회로기판
4a…제 2 내측 접지층
4b…제 2 도전층
4c…제 2 외측 접지층
4e…제 2 접속부
4f…제 2 비아
4g…제 3 절연층
4h…제 4 절연층
10…제 1 커넥터
11…제 1 절연성 부재
12…제 1 접속단자
13…제 1 중앙 지지부
14…제 1 측방 지지부
15…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
15a…비중첩부
16…제 1 외부 접지부재
16a…제 1 기부
17…가이드부
18…장착 개구부
19…제 1 실장부
20…제 2 커넥터
21…제 2 절연성 부재
22…제 2 접속단자
23…제 2 중앙 지지부
24…제 2 측방 지지부
25…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
26…제 2 외부 접지부재
28…삽입 개구부
29…제 2 실장부
31…외측 탄성부(변부)
32…접촉부
33…내측 탄성부(변부)
33a…내측 실장부
33b…측방 노치부
34,34a,34b…접촉부
35…일측 탄성부(변부)
36…접촉부
37…타측 탄성부(변부)
38…접촉부
39…비연속부
40…제 2 접지 기부
41…외측 벽부
43…내측 벽부
45…일측 벽부
46…일측 접속 오목부
47…타측 벽부
48…타측 접속 오목부
49…노치부
50…암부
50a…외측 실장부
51…외측 벽부
52…일측 단부
52a…일측 실장부
53…타측 단부
53a…타측 실장부
55…일측 벽부
57…타측 벽부
58…내측 연결부
A…노치 길이
Di…내측의 접지 경로
Do…외측의 접지 경로
Ds…일측의 접지 경로
Dt…타측의 접지 경로

Claims (13)

  1. 제 1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해서 삽입 빠짐 방향으로 삽입 빠짐 가능하게 감합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제 1 회로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제 1 실장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접속단자에서 전송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는 제 1 외부 접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감합시에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회로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제 2 실장부를 가짐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쌈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외부 접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있어서,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도록 둘레형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제 1 실장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실장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 사이에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적어도 상기 제 1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접촉부가 적어도 3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내주부는 복수의 변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3개소의 상기 접촉부 중 2개소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복수의 변부 중 1개의 변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상기 내주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변부 중 상기 1개의 변부에 있는 상기 2개소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1개의 변부의 중앙부분을 끼우도록 이간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신호는 밀리파 신호인 전기 커넥터 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 사이에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접촉부의 둘레 방향의 간격이 상기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 이하인 전기 커넥터 세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빠짐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가 위치하는 측면 방향에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는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와 겹치지 않는 비중첩부를 갖고, 상기 비중첩부와 겹치지 않는 측방 노치부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방 노치부에서의 상기 삽입 빠짐 방향과 상기 측면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의 노치 길이가 상기 밀리파 신호의 파장의 절반 이하인 전기 커넥터 세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가 복수개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 사이에 상기 제 1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전기 커넥터 세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전기 커넥터 세트와,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상기 제 2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내측 접지층, 제 1 절연층, 제 1 도전층, 제 2 절연층 및 제 1 외측 접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내측 접지층의 측에는 상기 제 1 실장부와 접속된 제 1 접속부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로기판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커넥터에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2 내측 접지층, 제 3 절연층, 제 2 도전층, 제 4 절연층 및 제 2 외측 접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내측 접지층의 측에는 상기 제 2 실장부와 접속된 제 2 접속부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속부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과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속부가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층과 접속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11. 제 1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해서 삽입 빠짐 방향으로 삽입 빠짐 가능하게 감합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제 1 회로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제 1 실장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접속단자에서 전송되는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싸는 제 1 외부 접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감합시에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회로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제 2 실장부를 가짐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도체로서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둘러쌈과 아울러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외부 접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있어서,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가 상기 제 1 고주파용 접속단자 및 상기 제 2 고주파용 접속단자를 비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비연속부를 갖고, 상기 제 1 실장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실장부가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접지부재에는 상기 삽입 빠짐 방향에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치부는 감합시에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전기 커넥터 세트.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접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부에 의해 비연속으로 되어 있는 내측 탄성부 및 내측 연결부가 상기 제 1 회로기판의 제 1 내측 접지층에 접속되어서 접지되는 전기 커넥터 세트.
KR1020217000638A 2018-08-24 2019-08-13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KR102522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7578 2018-08-24
JP2018157578 2018-08-24
JPPCT/JP2019/019290 2019-05-15
PCT/JP2019/019290 WO2020039666A1 (ja) 2018-08-24 2019-05-15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PCT/JP2019/031858 WO2020040004A1 (ja) 2018-08-24 2019-08-13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26A true KR20210016626A (ko) 2021-02-16
KR102522302B1 KR102522302B1 (ko) 2023-04-17

Family

ID=6959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638A KR102522302B1 (ko) 2018-08-24 2019-08-13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32904B2 (ko)
JP (2) JP6683300B1 (ko)
KR (1) KR102522302B1 (ko)
CN (1) CN112602238B (ko)
TW (1) TWI717767B (ko)
WO (2) WO2020039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125B1 (ko) * 2019-07-04 2024-03-08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WO2021020533A1 (ja) * 2019-08-01 2021-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メス型多極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多極コネクタセット
CN113054470A (zh) * 2019-12-10 2021-06-29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公座、母座及板对板射频连接器
JP7457498B2 (ja) 2019-12-25 2024-03-28 ミャ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7409084B2 (ja) * 2019-12-27 2024-01-09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7409085B2 (ja) * 2019-12-27 2024-01-09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
JP7417855B2 (ja) 2020-01-15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7403085B2 (ja) 2020-01-15 2023-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417856B2 (ja) 2020-01-15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WO2021177609A1 (ko) 2020-03-06 2021-09-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JP7430818B2 (ja) 2020-03-19 2024-02-13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基板コネクタ
JP7232315B2 (ja) * 2020-03-30 2023-03-02 サンウェイ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ジアンス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Rfコネクタ組立体
JP7442136B2 (ja) 2020-04-28 2024-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基板モジュール、接続システム及び基板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11495919B2 (en) 2020-05-13 2022-1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US11469538B2 (en) * 2020-05-13 2022-10-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late portions on the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s
US11652323B2 (en) * 2020-05-13 2023-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CN113675639A (zh) * 2020-05-13 2021-11-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7461245B2 (ja) 2020-08-05 2024-04-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48135B2 (ja) 2020-05-26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467296B2 (ja) 2020-09-16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113675650A (zh) 2020-05-13 2021-11-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KR102525442B1 (ko) * 2020-05-13 2023-04-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CN115917889A (zh) 2020-08-13 2023-04-04 Ls美创有限公司 基板连接器
TWI757853B (zh) * 2020-08-28 2022-03-11 岱煒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之屏蔽結構(一)
JP7494934B2 (ja) 2020-10-16 2024-06-04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1683742S (ko) * 2020-10-21 2021-04-19
CN114498200B (zh) * 2020-10-23 2024-0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21176687U (zh) * 2020-12-23 2024-06-1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以及具备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
WO2022185950A1 (ja) * 2021-03-04 2022-09-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WO2022190986A1 (ko) * 2021-03-08 2022-09-15
US20240097366A1 (en) * 2021-03-08 2024-03-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ssembly
CN217182551U (zh) * 2021-05-17 2022-08-12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JP2022176435A (ja) * 2021-05-17 2022-11-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23150817A (ja) * 2022-03-31 2023-10-16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23150809A (ja) * 2022-03-31 2023-10-16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24013510A (ja) * 2022-07-20 2024-02-01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
JP7177417B1 (ja) 2022-08-10 2022-11-24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2024071287A (ja) * 2022-11-14 2024-05-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接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1811A1 (en) * 2004-12-28 2006-06-29 Hosiden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integrated connector for board connection
JP2016085994A (ja) 2016-02-15 2016-05-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WO2017053149A1 (en) * 2015-09-24 2017-03-30 Molex, Llc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rf connector integral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922722A1 (en) * 1992-10-09 1994-04-20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2553012B2 (ja) 1993-06-30 1996-11-13 リードライト・エスエムアイ株式会社 薄膜磁気ヘッド
US5718592A (en) * 1995-11-16 1998-02-17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y
US5697799A (en) 1996-07-31 1997-12-16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mountabl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924899A (en) * 1997-11-19 1999-07-20 Berg Technology, Inc. Modular connectors
JP3086881U (ja) 2001-12-21 2002-07-05 連展科技股▲分▼有限公司 オス型電気コネクタ
US7794286B2 (en) * 2008-12-12 2010-09-14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te contact mounting and compensation boards
CN103490229B (zh) * 2012-06-13 2017-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105552618B (zh) * 2016-01-08 2019-03-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1811A1 (en) * 2004-12-28 2006-06-29 Hosiden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integrated connector for board connection
WO2017053149A1 (en) * 2015-09-24 2017-03-30 Molex, Llc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rf connector integral connector assembly
JP2016085994A (ja) 2016-02-15 2016-05-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40004A1 (ja) 2020-08-27
WO2020039666A1 (ja) 2020-02-27
JP6683300B1 (ja) 2020-04-15
US20210175649A1 (en) 2021-06-10
JP2020102462A (ja) 2020-07-02
CN112602238B (zh) 2022-12-02
TW202010200A (zh) 2020-03-01
KR102522302B1 (ko) 2023-04-17
TWI717767B (zh) 2021-02-01
CN112602238A (zh) 2021-04-02
JP6996583B2 (ja) 2022-01-17
WO2020040004A1 (ja) 2020-02-27
US11532904B2 (en)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6626A (ko)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JP6638873B1 (ja)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EP3507869B1 (en)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KR102522299B1 (ko) 전기 커넥터 세트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US20220140512A1 (en) Female multipolar connector and multipolar connector set equipped therewith
KR20210115061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20220094110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including electrical connector
US2023040278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having the electrical connector
JP7120469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CN113314897A (zh) 一种多级连接器组件及母连接器
US2023026139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including said electrical connector
JP7505636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セット
US2023032735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provid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JP7100168B2 (ja) シールドされた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7435863B2 (ja) 電気コネクタ対
JP2024042603A (ja) 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接続装置、相手側コネクタ
CN116404483A (zh) 电连接器和具备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