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185A -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185A
KR20210012185A KR1020190089430A KR20190089430A KR20210012185A KR 20210012185 A KR20210012185 A KR 20210012185A KR 1020190089430 A KR1020190089430 A KR 1020190089430A KR 20190089430 A KR20190089430 A KR 20190089430A KR 20210012185 A KR20210012185 A KR 20210012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krill
parts
fishing
micro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199B1 (ko
Inventor
홍진석
Original Assignee
홍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석 filed Critical 홍진석
Priority to KR102019008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1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릴, 미세조류, 소금 및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릴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숙성된 크릴에 소금을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의 크릴에 곡물분말과 미세조류를 투입하여 숙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A Groung Bait for Fishing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의 환경을 되살리고, 물고기를 쉽게 유도할 수 있는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현대인들이 가장 즐기는 레저활동 중의 하나이고, 이러한 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 밑밥이 빠질 수 없다.
알려진 바와 같이 밑밥은 낚시를 하는 사람들이 비교적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상 어종의 입질을 유도하고자 낚시찌 부근으로 투척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수중에서도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밑밥은 대상 어종의 집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 등이 사용되고 이들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분말 형태로 가공된 밑밥은 투척력을 위하여 첨가제가 사용한다.
또 후각과 시각을 자극하기 위한 다른 첨가제들도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어종을 유인하기 위하여 생곡물과 향료, 색소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밀가루, 보리가루 등이 민물낚시용 밑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바다용 밑밥에는 주 재료가 크릴 새우가 사용되며, 각종 파우더와 곡물, 기타 각종 부재료가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밑밥은 실질적으로 어종을 유인하기 위한 주 재료로서 인공적으로 가공된 재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어를 쉽게 유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그만큼 밑밥에서 사용되는 인위적인 재료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물속에서의 분해력이 떨어지고 있고 이러한 인위적인 재료가 수중의 바닥면에 퇴적될 경우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향신료 및 향취료를 혼합하고 있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 10-096235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로 환경오염이 방지되고, 물고기의 유인이 쉬운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은, 크릴, 미세조류, 소금 및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릴 24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소금 15중량부, 상기 미세조류 2중량부 및 상기 곡물분말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크릴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숙성된 크릴에 소금을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의 크릴에 곡물분말과 미세조류를 투입하여 숙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물분말은, 밀쌀 3중량부, 옥수수 3중량부, 쌀눈 2중량부 및 콩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조류는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크릴을 숙성하여 곡물과 미세조류를 혼합하여 제조하여 친환경 재료로 집어제를 제조하게 되어 환경오염이 방지되며, 물고기의 유인이 극대화되어 낚시의 즐거움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의 순서를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은 크릴, 미세조류, 소금 및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낚시용 집어제에는 크릴이 포함된다. 상기 크릴(krill)은 난바다곤쟁이목(Euphausiacea)에 속하는 갑각류로 새우와 비슷하게 생긴 해양 무척추동물이다. 상기 크릴은 최대 5cm까지 자라며 이들은 고래, 펭귄, 일부 상어, 물범, 심지어 인간에게 중요한 식량원이다.
상기 크릴의 경우에는 어획 직후로부터 1∼2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에 의하여 0℃ 부근의 저온하에서도 두부와 흉부가 흑색으로 변화될 뿐만 아니라, 내장에 존해하는 프로테아제(protease) 효소가 유출되어 크릴의 근육을 분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릴은 어획 직후 -40℃ 이하로 온도로 급속동결되며, 이와 같이 동결처리된 크릴의 수분을 제거시키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동결된 크릴를 해동시켜야 하는 데, 크릴의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가열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낚시용 집어제에는 소금이 포함된다. 상기 소금은 상기 크릴을 염장하여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낚시용 집어제에는 곡물분말이 포함된다. 상기 곡물분말은 상기 집어제를 제조할 때, 집어제가 일정한 형상으로 뭉쳐질 수 있도록 응집제로서 역할을 하고, 상기 곡물분말로 인하여 집어제의 풍미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낚시용 집어제에는 미세조류가 포함되다. 상기 미세조류는 다양한 미세 생물군 가운데 광합성 작용을 하는 단세포들의 총칭으로 어류의 먹이 생물인 대부분의 식물성 플랑크톤을 말한다.
상기 미세조류는, 고염도에 성장가능한 조류로 두날리엘라(Dunaliella), 스피루리나(Spirulina), 클로렐라(Chlorella),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나노크로롭시스(Nannochloropsis), 아이소크라이시스 갈바나(Isochrysis galbana), 니치시아 인콘스피쿠아(Nitzchia inconspicua) 및 페오닥틸룸(Phaeodacty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은, 크릴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는 제 1단계(S10)와, 상기 숙성된 크릴에 소금을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는 제 2단계(S20)와, 상기 제 2단계의 크릴에 곡물분말과 미세조류를 투입하여 숙성하는 제 3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 1단계로 크릴을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한다(S10). 이는 냉동의 상기 크릴의 향과 극대화하는 것으로, 상온인 25℃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양지에서 숙성한다.
그리고, 제 2단계로, 상기 숙성된 크릴에 소금을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저온숙성한다(S20). 이는 상기 크릴에 소금을 투입하여 염장하여 저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크릴 24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소금을 1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단계로, 상기 제 2단계의 크릴에 곡물분말과 미세조류를 투입하여 숙성한다(30). 상기 곡물분말은 집어제로 사용될 때 금방 분해되지 않고 어느 정도 형상을 유지하도록 응집제 역할을 하고, 숙성크릴의 냄새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곡물분말에 상기 크릴의 향 등이 흡수되어 오랫동안 크릴의 향이 방출될 수 있도록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조류는 어류들을 유인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미세조류는 바다생물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가지고 있어 풍성한 바다를 유지시켜 주면서 또한 푸른 바다를 복원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상기 곡물분말은 다양한 곡물분말과 곡물알갱이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밀쌀, 옥수수, 쌀눈 및 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쌀 3중량부, 옥수수 3중량부, 상기 쌀분 2중량부 및 상기 콩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물분말에 상기 미세조류는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물분말 1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미세조류를 1중량부로 혼합하는 경우, 물고기의 유인력이 낮고, 상기 미세조류를 3중량부로 혼합하는 경우, 너무 묽게 되어 상기 곡물분말의 응집력이 떨어지고, 악취도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미세조류는 2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집어제를 실험한 결과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크릴 24 24 24 24 24 24
소금 15 15 15 15 15 15
곡물분말 10 10 10 10 9 11
미세조류 2 2 2 2
비교예: 시중에 유통되는 집어제(제품명:마루큐(일본제품))
[ 실시예 1 ]
크릴 24중량부, 곡물분말 10중량부, 소금 15중량부를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여 제조한다.
[ 실시예 2 ]
크릴 24중량부, 곡물분말 10중량부, 미세조류 2중량부, 소금 15중량부를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여 제조한다.
[ 실시예 3 ]
크릴 24중량부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고, 소금 15중량부를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고, 곡물분말 10중량부를 투입하여 숙성한다.
[ 실시예 4 ]
크릴 24중량부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고, 소금 15중량부를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고, 곡물분말 10중량부와 미세조류 2중량부를 투입하여 숙성한다.
[ 실시예 5 ]
크릴 24중량부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고, 소금 15중량부를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고, 곡물분말 9중량부와 미세조류 2중량부를 투입하여 숙성한다.
[ 실시예 6 ]
크릴 24중량부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고, 소금 15중량부를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고, 곡물분말 11중량부와 미세조류 2중량부를 투입하여 숙성한다.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백화 × × × × ×
물고기유인 5 7 6 4 1 3 2
분해시간(초) 20 23 22 24 23 20 25
악취발생 × × × × × ×
1. 백화: 집어제를 투입한 후 주변환경에 백화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확인
2. 물고기응집: 각 예들을 서로 일대일로 비교하여 순위를 정함
3. 분해시간: 응집제를 뭉쳐서 물에 투입하고 응집제가 모두 분해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4. 악취발생: 응집제 보관함을 열었을 때 악취의 발생 여부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고, 실시예 5의 경우 악취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실시예 4의 조건이 가장 좋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크릴, 미세조류, 소금 및 곡물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릴 24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소금 15중량부, 상기 미세조류 2중량부 및 상기 곡물분말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3. 크릴를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7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하는 제 1단계;
    상기 숙성된 크릴에 소금을 투입하여 10℃에서 3달 내지 5달 동안 숙성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의 크릴에 곡물분말과 미세조류를 투입하여 숙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분말은,
    밀쌀 3중량부, 옥수수 3중량부, 쌀눈 2중량부 및 콩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는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집어제 제조방법.




KR1020190089430A 2019-07-24 2019-07-24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KR10228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30A KR102288199B1 (ko) 2019-07-24 2019-07-24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30A KR102288199B1 (ko) 2019-07-24 2019-07-24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85A true KR20210012185A (ko) 2021-02-03
KR102288199B1 KR102288199B1 (ko) 2021-08-09

Family

ID=7457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30A KR102288199B1 (ko) 2019-07-24 2019-07-24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19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086A (ko) * 1995-07-31 1997-02-19 차길호 반죽된 떡밥의 제조방법
JP2004008029A (ja) * 2002-06-04 2004-01-15 Unitika Ltd 飼料用添加物、それが添加された飼料及び釣り餌
KR100962353B1 (ko) 2008-03-13 2010-06-10 이장윤 낚시용 집어제의 제조 방법
KR20160084766A (ko) * 2015-01-06 2016-07-14 권중환 낚시용 미끼 경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7941A (ko) * 2015-10-26 2017-05-08 권해복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JP2020031609A (ja) * 2018-08-31 2020-03-05 株式会社しいの食品 釣り餌および釣り餌の製造方法
JP2020036583A (ja) * 2019-07-17 2020-03-12 株式会社しいの食品 釣り餌および釣り餌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086A (ko) * 1995-07-31 1997-02-19 차길호 반죽된 떡밥의 제조방법
JP2004008029A (ja) * 2002-06-04 2004-01-15 Unitika Ltd 飼料用添加物、それが添加された飼料及び釣り餌
KR100962353B1 (ko) 2008-03-13 2010-06-10 이장윤 낚시용 집어제의 제조 방법
KR20160084766A (ko) * 2015-01-06 2016-07-14 권중환 낚시용 미끼 경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7941A (ko) * 2015-10-26 2017-05-08 권해복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JP2020031609A (ja) * 2018-08-31 2020-03-05 株式会社しいの食品 釣り餌および釣り餌の製造方法
JP2020036583A (ja) * 2019-07-17 2020-03-12 株式会社しいの食品 釣り餌および釣り餌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199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4159A (zh) 一种本地乌鳢全程使用的膨化配合饲料
KR101677595B1 (ko) 비트를 이용한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그 연어 그라브락스
CN107517901A (zh) 一种小龙虾的养殖方法
KR20190094768A (ko) 벵에돔용 밑밥의 제조방법
CN106307280A (zh) 一种黄瓜的快速腌制方法
CN108077140A (zh) 一种三疣梭子蟹和刺参环境友好型海水池塘养殖的方法
KR20190034737A (ko) 식용 곤충을 이용한 애완견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edmond et al. Culture of Sargassum in Korea: Techniques and Potential for Culture in the US
KR102288199B1 (ko)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KR20090055265A (ko) 재사용 가능한 낚시미끼 제조방법
KR101118065B1 (ko) 복분자를 함유하는 멸치 액젓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함유 멸치 액젓
CN110973405A (zh) 一种提高低鱼粉斑节对虾饲料适口性的诱食剂及制备方法
CN107348105B (zh) 一种笋壳鱼浮性膨化配合饲料
JP3927667B2 (ja) 養魚用餌料
CN113349312B (zh) 工厂化青蟹养殖抗雾化饵料及其制备方法
CN105010179A (zh) 一种鲈鱼的海水网箱养殖方法
KR102158732B1 (ko) 낚시용 미끼 및 그 제조방법
CN108002900A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肥水剂及其制备方法
KR100737399B1 (ko) 칼슘이 강화된 기능성 표고버섯 생산방법
US20110200722A1 (en) Freshness-keeping liquid
JP7145008B2 (ja) アサリ又はハマグリの保管時劣化抑制剤、活アサリ又は活ハマグリの保持用水溶液、及び、保管時劣化が抑制されたアサリ又はハマグリの製造方法
KR100405758B1 (ko) 전복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7450A (ko) 수산물의 신선도 보존용 냉매 조성물
KR101815626B1 (ko) 실뱀장어의 초기 냉동사료
JP2008125511A (ja) 養魚用飼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