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941A -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941A
KR20170047941A KR1020150148676A KR20150148676A KR20170047941A KR 20170047941 A KR20170047941 A KR 20170047941A KR 1020150148676 A KR1020150148676 A KR 1020150148676A KR 20150148676 A KR20150148676 A KR 20150148676A KR 20170047941 A KR20170047941 A KR 20170047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
solution
fermen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278B1 (ko
Inventor
권해복
Original Assignee
권해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해복 filed Critical 권해복
Priority to KR102015014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2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징어를 소정크기, 소정형태로 절단하여 미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미끼를 중크롬산칼리 0.5~1.5%, 초산 3~3.5%가 혼합된 용액에 침지하여 섭씨 65도에서 약 5일간 발효시키는 단계와, 향신료성분의 식품첨가제 혼합물을 용해한 용액에 상기 발효과정을 거친 미끼를 침지하여 섭씨 68도에서 최소 10일간 발효시킴으로써 향신료성분을 미끼에 코팅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식품첨가제 혼합물은 용액 1리터에 대해 정제염 0.8%, 양파성분 1.2%, 설탕 1.8%, 아미노산 0.3%, 농축미르향(= 몰약) 3.2%, 후추 0.3%, 마늘향 0.15%, 포도당 1.25%, 새우가루 0.25%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육질이 질긴 오징어를 미끼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잡어들의 미끼 포식을 최소화하고, 잡어들에 의해 일부분이 손상되었더라도 거의 본래의 맛과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해저에 도달할 수 있어 조사들이 선호하는 어종인 감성돔, 또는 참돔 등을 낚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징어를 절단한 미끼에 착색하여 고기를 유인하는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고기의 포획량을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it For Fish}
본 발명은 낚시용 미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다낚시에 있어서 조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어종은 감성돔이나 참돔으로 대개 해저에 살고 있다.
바다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미끼는 다양한데, 낚시꾼들 사이에서 만능 미끼라고 불리는 갯지렁이(참갯지렁이)는 망둑, 보리멸 및 감성돔 낚시에 주로 쓰이고, 등소라 살로는 돌돔 및 흑돔 낚시에 주로 쓰이며, 바지락 살로는 가자미 및 쥐치 낚시에 주로 쓰인다.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697호(공고일자 2013.08.06.)에 제시된 바다낚시용 미끼는 바다낚시의 대상어인 벵에돔의 시각을 가장 민감하게 자극하는 색상인 녹색을 조합함으로써, 대상어를 유인하고 빵가루에 침착시킨 천궁 및 마늘 추출물이 대상어의 후각을 자극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82914호(공개일자 2002.11.01.)에 제시된 낚시용 미끼는 발광 민물새우의 건조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에 관한 것으로서, 집어 성능이 양호하고, 기존의 미끼에 비해 조과가 우수하며, 특히 발광 민물새우의 건조분말에 잔존하는 루시페린을 포함한 생물발광 구성성분의 작용으로 미끼 자체에서 자연 발광이 나타나도록 하여 밤낚시에서 물고기를 유인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낚시에서 미끼는 반드시 필요한 필수요소이고, 장소 및 어종에 따라 수많은 다양한 미끼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심해에 있는 어종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미끼가 해저까지 이르러야 하는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바다낚시용 미끼, 즉 갯지렁이나 크릴새우, 또는 이들을 보완하기 위한 인공적으로 제조된 미끼는 육질이 매우 부드러운 재료들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미끼가 미처 해저에 가라앉기도 전에 해면 또는 해중에 사는 잡어들이 먼저 포식하게 되고 결국 해저에 도달했을 무렵에는 미끼가 훼손되거나 없어져서 선호하는 어종을 잡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낚시 미끼들은 대부분 시각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유인만 할 뿐, 물고기로 하여금 낚시 미끼를 물도록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다낚시용 미끼들의 보관방법은 냉동을 시켰다가 수요자가 원할 때 판매하는 방식이어서 이처럼 냉동된 미끼 재료의 경우 해동 시에는 미끼의 형태가 달라지고 재료의 조직은 물러지게 되어 물고기들이 선호하지 않게 되어 조사들을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69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82914호
본 발명은 종래의 낚시용 미끼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여 조사들이 원하는 어종의 포획이 용이하도록 한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질이 질긴 오징어살을 절단하여 미끼로 착색성형함으로써 잡어들의 미끼 포식을 최소화함은 물론 미끼가 거의 원래 형태로 선호어종이 서식하는 해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맛과 향을 가미하여 선호어종을 다량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징어 또는 우렁이를 소정크기, 소정형태로 절단하여 미끼로 성형하는 단계; 물 1리터를 기준으로 중크롬산칼리 0.5~1.5%, 초산 3~3.5%가 혼합된 용액을 얻고, 상기 성형된 미끼를 이 용액에 침지하여 섭씨 60도 내지 68도에서 약 5일~7일간의 발효과정을 통해 미끼에 착색시키는 단계; 및, 향신료성분의 식품첨가제 혼합물을 용해한 용액에 상기 발효과정을 거쳐 착색된 미끼를 침지하여 섭씨 65도 내지 70도에서 10일 이상 발효과정을 통해 상기 착색된 미끼에 향신료성분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첨가제 혼합물은 물 1리터에 대해 정제염 0.8%, 양파성분 1.2%, 설탕 1.8%, 아미노산 0.3%, 농축미르향(= 몰약) 3.2%, 후추 0.3%, 마늘향 0.15%, 포도당 1.25%, 새우가루 0.25%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미끼를 발효하는 과정 또는 발효가 완료된 상태에서 발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육질이 질기고 탄력성이 있는 오징어 또는 우렁이를 미끼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잡어들의 미끼 포식을 최소화하고, 잡어들에 의해 일부분이 손상되었더라도 거의 본래의 맛과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해저에 도달할 수 있어 조사들이 선호하는 어종인 감성돔, 또는 참돔 등을 낚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징어 또는 우렁이를 절단한 미끼에 착색하여 물고기를 유인하는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고기의 포획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 및 향신료성분 코팅을 위한 가공과정을 통해 생미끼를 사용할 때와 같은 거부감과 혐오감을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동작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가공된 미끼의 실제이미지 도면.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 특성을 명료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체적인 구성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될 수 있지만, 각각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통적인 부분은 편의상 동일 부호를 사용함과 아울러 상세 설명은 기설명한 부분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대별되는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부각 설명함으로써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제시하는 도면에 도시된 선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물고기 낚시용 미끼는 탄력성이 있는 오징어 또는 우렁이를 소정크기, 소정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오징어를 절단하여 낚시용 미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도 1의 동작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징어를 소정크기, 소정형태로 절단하여 미끼로 성형하는 단계와, 물 1리터를 기준으로 중크롬산칼리 0.5~1.5%, 초산 3~3.5%가 혼합된 혼합용액을 얻고, 상기 성형된 미끼를 상기 혼합용액에 침지하여 섭씨 60도 내지 68도에서 5~7 일간 발효시키는 단계와, 향신료성분의 식품첨가제 혼합물을 용해한 용액에 상기 발효과정을 거친 미끼를 침지하여 섭씨 65도 내지 70도에서 10일 이상 발효시킴으로써 향신료성분을 미끼에 코팅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식품첨가제 혼합물은 물 1리터를 기준으로 정제염 0.8%, 양파성분 1.2%, 설탕 1.8%, 아미노산 0.3%, 농축미르향(= 몰약) 3.2%, 후추 0.3%, 마늘향 0.15%, 포도당 1.25%, 새우가루 0.25%가 혼합된 혼합용액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징어를 소정크기, 소정형태로 절단하여 미끼 재료로 성형한다. 미끼는 폭이 3~15mm, 길이는 30~60mm의 크기가 되도록 성형한다. 오징어는 질긴 육질을 갖기 때문에 오징어를 성형한 미끼는 어분 등을 혼합한 미끼와는 달리 물에 풀어짐이 없어 잡어들의 미끼 포식을 최소화하고, 잡어들에 의해 일부분이 손상되었더라도 거의 본래의 맛과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감성돔 또는 참돔 등이 서식하는 해저까지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물 1리터를 기준으로 중크롬산칼리 0.5-1.5%, 초산 3~3.5%가 용해된 제1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중크롬산칼리는 미끼를 적색 분홍에 가까운 빨간색으로 착색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준비된 제1 용액에 상기에서 소정형태, 소정크기로 절단한 미끼를 침지하여 섭씨 60도 내지 68도의 저온에서 5일 이상 발효시켜 미끼를 착색시키는 동시에 초산발효를 통해 미끼의 탄력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초산발효를 통해 미끼가 쉽게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용액에서의 발효가 완료되면 착색된 미끼를 꺼내어 여러 가지 향료성분의 식품첨가제가 용해된 제2 용액에 상기 착색된 미끼를 침지하여 섭씨 65도 내지 70도의 온도로 최소 10일 이상 발효시킴으로써 향신료성분을 상기 착색된 미끼에 침투 및 코팅시키게 된다. 이때 향신료성분의 상기 식품첨가제는 용액 1리터를 기준으로 정제염 0.8%, 양파성분 1.2%, 설탕 1.8%, 아미노산 0.3%, 농축미르향(= 몰약) 3.2%, 후추 0.3%, 마늘향 0.15%, 포도당 1.25%, 새우가루 0.25%가 혼합된 혼합물이다.
이에 따라, 발효 숙성과정을 거친 미끼는 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향신료성분이 침투, 코팅되어 있어 고기 유인효과가 우수한 미끼로 완성되며, 완성된 미끼는 고기를 유인할 수 있도록 도 2의 이미지와 같이 빨간색을 띄는 동시에 냄새성분을 발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징어를 성형한 미끼를 발효하는 과정 또는 발효가 완료된 상태에서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고기 유인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형광물질로는 루시페린, 알칼리토금속 알루미네이트옥사이드 또는 황화아연에 중금속(미량의 망간, 구리)을 함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오징어 또는 우렁이를 소정크기, 소정형태로 절단하여 미끼로 성형하는 단계;
    물 1리터를 기준으로 중크롬산칼리 0.5~1.5%, 초산 3~3.5%가 혼합된 용액을 얻고, 이 용액에 상기 성형된 미끼를 침지하여 섭씨 60도 내지 68도에서 5일 이상 발효시켜 미끼를 착색시키는 단계; 및
    향신료성분의 식품첨가제 혼합물을 용해시킨 용액에 상기 발효과정을 거쳐 착색된 미끼를 침지하여 섭씨 65도 내지 70도에서 10일 이상 발효시켜 상기 착색된 미끼에 향신료성분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첨가제 혼합물은,
    용액 1리터에 대해 정제염 0.8%, 양파성분 1.2%, 설탕 1.8%, 아미노산 0.3%, 농축미르향(= 몰약) 3.2%, 후추 0.3%, 마늘향 0.15%, 포도당 1.25%, 새우가루 0.25%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를 발효시키는 과정 또는 발효가 완료된 상태에서 야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KR1020150148676A 2015-10-26 2015-10-26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KR101820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76A KR101820278B1 (ko) 2015-10-26 2015-10-26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76A KR101820278B1 (ko) 2015-10-26 2015-10-26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941A true KR20170047941A (ko) 2017-05-08
KR101820278B1 KR101820278B1 (ko) 2018-01-18

Family

ID=6016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676A KR101820278B1 (ko) 2015-10-26 2015-10-26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622A (zh) * 2017-09-17 2019-03-26 黄龙 一种钓鱼用艾香鱼饵及其制备方法
KR20210012185A (ko) * 2019-07-24 2021-02-03 홍진석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05B1 (ko) * 2019-07-25 2021-10-26 이상협 식용색소를 이용한 생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35996A (ko) 2021-09-06 2023-03-14 임성욱 홍합을 이용한 낚시용 미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낚시용 미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622A (zh) * 2017-09-17 2019-03-26 黄龙 一种钓鱼用艾香鱼饵及其制备方法
KR20210012185A (ko) * 2019-07-24 2021-02-03 홍진석 낚시용 집어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278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278B1 (ko) 낚시용 미끼 제조 방법
WO2015030008A1 (ja) ウナギ用飼料、ウナギ稚魚の成育方法及び養殖ウナギの生産方法並びにウナギ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Cox et al. Feeding biology of spiny lobster larvae and implications for culture
JP5992461B2 (ja) ウナギ稚魚の成育方法及び養殖ウナギの生産方法、並びにウナギ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CN105532603A (zh) 一种淡水鱼发酵鱼饵及其制备方法
KR20210029928A (ko) 갈치 손질 방법
JP6589025B1 (ja) 釣り餌および釣り餌の製造方法
JP5850364B2 (ja) 釣り餌
JP7259027B2 (ja) 魚や甲殻類の生きた成熟卵からキャビア又はキャビア様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ような製品
KR20200004679A (ko) 인공 새우미끼 제조방법
JP4424724B2 (ja) 摂餌を誘引する色を有する養魚用飼料
GB2588595A (en) Insect-based feed
TWI379632B (en) Bait
CA3114480C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viar or a caviar-like product from live, mature eggs of fish or crustaceans, and such products
Hanani Occurences of Acetes Paraguayensis in Timpuk Lake, Barangay Su’uh, Panamao, Sulu, Philippines
JP7121687B2 (ja) 釣り餌および釣り餌の製造方法
CN117898268A (zh) 一种低温制备蚯蚓风味提取物方法及该方法制备的蚯蚓香精
KR20140003773A (ko) 갯지렁이를 이용한 인공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100713027B1 (ko) 통발용 미끼
AN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bait for octopus pots
Chang et al. Attracting effect of baits used the by-product for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pots
KR20070064127A (ko) 어패류 포획용 인공미끼
KR20060063235A (ko) 통발어업용 유인미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532604A (zh) 一种龙虾、黄鳝诱捕鱼饵及其制备方法
KR101514980B1 (ko) 소라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가공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