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467A -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 Google Patents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467A
KR20210011467A KR1020210005447A KR20210005447A KR20210011467A KR 20210011467 A KR20210011467 A KR 20210011467A KR 1020210005447 A KR1020210005447 A KR 1020210005447A KR 20210005447 A KR20210005447 A KR 20210005447A KR 20210011467 A KR20210011467 A KR 20210011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gricultural
work
fertilization
f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524B1 (ko
Inventor
츠네히사 구니야스
구니미츠 마키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1001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농작 구획마다 실시되는 농작업의 내용을 비용을 포함시켜 기록하고, 실적 베이스에서 다음 농작업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영농 시스템을 제공한다.
영농 시스템은, 농작지를 농작 구획마다 관리하는 농작 구획 관리부(41)와, 농작지에 계시적으로 실시되는 농작업을 나타내는 농작업 이벤트를 그 비용과 함께 농작 구획마다 관리하는 농작업 관리부(42)와, 실시된 농작업 이벤트의 내용과 비용을 농작업 실적으로서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5)와, 농작업 이벤트의 내용과 비용을 포함하는 농작업 이벤트의 이력을 농작업 실적표로서 출력하기 위한 실적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적 출력 데이터 생성부(43)와, 농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계시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농작업 이벤트를 표시한 농작업 계획서를 출력하기 위한 계획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4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AGRICULTURING SYSTEM AN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복수의 농작 구획으로 구분된 농작지에 대하여 실시되는 농작업을 관리하고, 다음번 농작업의 계획을 지원하는 영농 시스템 및 이 영농 시스템과 연계된 농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벼농사)의 생산 과정에서의 작업 계획의 표시, 작업 실적의 입력을 조작성 좋게 간이하면서 효율적으로 행하는 생산 이력 관리 처리 시스템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생산 이력 관리 처리는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의 내용에 따라 작업 전에는 작업 계획을 명확하게 하고, 또한 작업 후에는 이 작업 계획에 기초하여 생산 이력을 조작성 좋게 간이하면서 효율적으로 기록함으로써, 계속적인 생산 이력 관리 및 그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GAP란 농업 생산 공정 관리라고 불리며, 농업 생산 활동을 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관계법령 등의 내용에 의거하여 정해지는 점검 항목을 따라, 농업 생산 활동의 각 공정의 정확한 실시, 기록, 점검 및 평가를 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특허문헌 1에 의한 시스템에서는, 미리 규정된 기준에 기초하는 농작업 관리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우선 규범이 되는 작업 계획을 세워 농작업 후에 입력된 작업 실적이 작업 계획과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 실적과 작업 계획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 다시 작업 계획을 세운다고 하는 처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분된 농작 구획마다 실시된 농작업을 관리하고, 비용을 고려한 효율적인 농작업을 계획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농업 경영을 지원한다고 하는 목적에는, 이 종래의 시스템은 불충분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64231호 공보(도 2, 도 5)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농작 구획마다 실시되는 농작업의 내용을 비용을 포시켜 기록하고, 실적 베이스에서 다음 농작업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영농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은, 복수의 농작 구획으로 구분된 농작지를, 상기 농작 구획마다 관리하는 농작 구획 관리부와, 농작지에 계시적으로 실시되는 농작업을 나타내는 농작업 이벤트를, 당해 농작업 이벤트의 비용과 함께 상기 농작 구획마다 관리하는 농작업 관리부와, 지정된 농작 구획에서 실시된 상기 농작업 이벤트의 내용과 비용을 농작업 실적으로서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판독된, 상기 농작업 이벤트의 내용과 비용을 포함하는 상기 농작업 이벤트의 이력을 농작업 실적표로서 출력하기 위한 실적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적 출력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농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계시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농작업 이벤트를 표시한 농작업 계획서를 출력하기 위한 계획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농작업 이벤트란, 실제로 농작 구획에 대하여 실시되는 농작업의 항목이다. 예를 들어, 벼농사로 말하자면, 파종, 육묘, 모내기, 물 관리, 제초, 시비(施肥), 수확 등의 농작업이다. 또한, 시비 작업에 있어서는, 또한 토양 만들기 비료, 밑거름, 추비, 이삭 비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들 각 작업의 실시가 농작업 이벤트에 속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농작 구획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관리 단위로서의 농작 구획마다 실시된 농작업 이벤트의 내용과 그 비용이 당해 농작업 이벤트의 실적으로서 기록되고, 이 농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시간 경과와 함께 차례차례 실시되지 않으면 안되는 농작업 이벤트를 위한 농작업 계획서가 출력된다. 즉, 비용을 포함하는 실적을 고려한, 실적 베이스의 농작업 계획을 세울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낭비가 없는 영농이 가능하게 된다.
농작업의 최종 목표는 농작물의 수확이기 때문에, 농작업의 실적에는 수확에 대한 평가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농작 구획으로부터 수확된 농작물의 수확 평가 정보를 당해 농작 구획에 할당하는 수확 평가 관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농작업 실적표에는 상기 수확 평가 정보가 더해진다. 그 때, 수확물의 평가의 대표적인 항목은 수확량과 수확된 농작물의 품질이지만, 농작물이 인간이 먹는 것인 경우, 농작물의 품질은 식미로 나타내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수확 평가 정보에는, 상기 수확된 농작물의 수득량 데이터와 식미 데이터가 포함된다. 농작물이 쌀인 경우, 식미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벼로부터 단백질이나 수분 등이 측정된다.
농작물의 평가, 특히 식미 등의 품질은 수확시부터 시간이 흐르면 변화한다. 따라서, 그러한 평가는 수확 후 가능한 한 빠른 기회에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수확 평가 정보는, 상기 농작물의 수확에 사용된 농작업기에 의해 생성되고, 당해 농작업기로부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입력된다. 이에 의해, 농작물의 평가를 수확 시점에서 행할 수 있다.
농작물의 생육도, 수확량, 식미 등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비료이며, 또한 비료 대금을 포함시켜 시비 작업에 요구되는 비용은 농작업에서의 비용 중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상기 농작업 이벤트 중 하나는 시비 이벤트를 포함하는 시비 작업이며, 상기 농작업 이벤트의 비용에는 시비 이벤트의 비료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내기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농작업에서 차지하는 비용을 정확하게 파악한 영농이 가능하게 된다.
농작 구획마다의 실적 베이스에 의한 농작업 계획을 작성할 때에는, 특정한 농작 구획에 발생한 돌발적인 다른 농작 구획과 비교하여 큰 상이를 나타내는 실적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서는, 복수의 농작 구획에서의 상기 농작업 실적으로부터 상기 농작업 이벤트의 기준을 산정하는 기준 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계획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에 의해, 실적 베이스에 기초하는 농작 구획마다의 농작업 계획이 세워졌다고 하여도, 그러한 계획에 기초한 농작업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하기 위하여, 거기에서 이용되는 농작업기는,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계획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계획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 모드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영농 시스템의 데이터 기록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영농 시스템에 의한 시비 계획의 메인 화면으로서의 포장(圃場) 선택 화면을 도시하는 모니터 화면도이다.
도 4는 영농 시스템에서의 출력 형태예 중 하나로서의 시비 설계 화면을 도시하는 모니터 화면도이다.
도 5는 영농 시스템에서의 출력 형태예 중 하나로서의 일괄 시비 설계 화면을 도시하는 모니터 화면도이다.
도 6은 영농 시스템에서의 출력 형태예 중 하나로서의 일람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모니터 화면도이다.
도 7은 영농 시스템에서의 출력 형태예 중 하나로서의 상세 시비 설계 화면을 도시하는 모니터 화면도이다.
도 8은 영농 시스템에서의 출력 형태예 중 하나로서의 수득량ㆍ식미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모니터 화면도이다.
도 9는 영농 시스템에서의 출력 형태예 중 하나로서의 수득량ㆍ식미 일괄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모니터 화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은, 실질적으로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축되며, 다양한 기능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혹은 그 양쪽으로 구축된다. 그러한 컴퓨터 시스템의 일례가 기능 블록도의 형태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영농 시스템은 농작 구획 관리부(41), 농작업 관리부(42), 데이터 기록부(5), 실적 출력 데이터 생성부(43),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44), 기준 산정부(45), 수확 평가 관리부(4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영농 시스템도,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처리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적합한 포맷으로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40)와, 데이터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데이터 가시화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데이터 입력부(40)에서는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한 매뉴얼 데이터 입력, 통신 회선을 사용한 데이터 통신 입력, USB 메모리 등의 기록 미디어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 입력 등이 가능하다. 데이터 가시화부(60)에는 프린터(61)나 모니터(62)가 구비되어 있다.
농작 구획 관리부(41)는, 특정 지역에서의 농작지를 복수의 농작 구획으로 구분하고, 당해 농작 구획마다 관리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벼농사 또는 보리 농사가 취급되고 있으므로, 이후에는 이 농작 구획은 두렁에 의해 둘러싸여진 포장으로 한다. 물론, 그러한 포장을 더 구분한 구획을 이 시스템에서의 최소 관리 단위로 하여도 된다. 관리 대상이 되는 포장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미리 데이터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되어, 구획 정보(포장 정보)로서 데이터 기록부(5)에 기록된다. 농작 구획 관리부(41)는 데이터 기록부(5)에 기록된 구획 정보(포장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
농작업 관리부(42)는, 농작지에 계시적으로 실시되는 각종 농작업을 나타내는 농작업 이벤트를 당해 농작업 이벤트의 비용과 함께 포장(농작 구획) 단위로 관리한다. 그 때, 농작업 관리부(42)는, 실시된 농작업 이벤트의 내용과 비용을 농작업 실적 데이터로서 데이터 기록부(5)에 기록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농작업 중 특히 시비 작업이 중요시되어 있다. 시비 작업에는 토양 만들기 비료, 밑거름, 추비, 이삭 비료 등이 포함되며, 각각 독립된 농작업 이벤트로서 관리된다. 또한, 농작업 이벤트의 비용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시비 작업의 경우, 테이블화되어 있는 비료 요금표를 이용하여 비료 종류와 시비량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그 비용에, 시비 시간과 인건비 및 시비 비용으로부터 산출되는 시비 작업 비용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적 출력 데이터 생성부(43)는, 데이터 기록부(5)로부터 판독된 농작업 실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한 농작업 이벤트의 내용과 비용을 포함하는 농작업 이벤트의 이력을 농작업 실적표로서 출력하기 위한 실적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44)는, 데이터 기록부(5)에 기록되어 있는 농작업 실적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계시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농작업 이벤트를 표시한 농작업 계획서를 출력하기 위한 계획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기준 산정부(45)는, 데이터 기록부(5)에 기록되어 있는 농작업 실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44)가 농작업 계획서를 위한 계획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참고가 되는 기준을 산정한다. 통상은, 과거의 동일 농작업 이벤트에서의 작업을 수치로 나타낸 값의 통계 연산값이 기준으로서 산정된다. 통계 연산값으로서는 평균값이나 중간값 등이 이용되지만, 어떻든 날씨나 과거의 수확 상황에 따라 조정값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기록부(5)에는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포장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동일 포장의 과거 데이터뿐만 아니라, 유사한 다른 포장의 과거 데이터도 기준의 산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산정부(45)가 과거의 농작업 실적 데이터로부터 기준을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관에서 산정된 기준을 테이블화하여 도입하여, 그것을 사용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최종적인 농작업 계획서의 각 항목의 값은 사람이 결정하게 되므로, 이 영농 시스템은 농작업 계획 입안의 지원 시스템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농작업 계획서가 시비 계획서인 경우에는, 최종적인 사람에 의한 결정을 위하여 참고가 되는 것은 과거의 시비 작업 계획이지만, 이외에 수득량이나 식미 등의 수확 평가 정보도 중요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농작 구획)으로부터 수확된 농작물의 수확 평가 정보를 당해 포장에 할당하고, 데이터 기록부(5)에 추출 가능하게 기입하는 수확 평가 관리부(46)가 구비되어 있다. 수확 평가 관리부(46)는, 데이터 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수확 평가 정보를 이용하는데, 이 영농 시스템에 참가하고 있는 농작업기(1)인 콤바인에는, 수확한 곡물의 수득량을 측정하는 수득량 측정기와 식미(단백질이나 수분, 혹은 이들로부터 산정되는 식미값)를 측정하는 식미 측정기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수확 평가 관리부(46)는, 농작업기(1)로부터 통신 회선이나 기록 미디어를 통하여 수확시의 수확물의 평가값을 포함하는 수확 평가 정보를 데이터 입력부(40)를 통하여 수취하여 데이터 기록부(5)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적 출력 데이터 생성부(43)에 의해 생성되는 농작업 실적표를 위한 실적 출력 데이터에는, 수확 평가 정보를 구성하는 수득량과 식미 등의 값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44)에 의해 생성된 계획 출력 데이터는, 데이터 가시화부(60)에 의해 가시화된다. 예를 들어, 농작업자는 데이터 가시화부(60)를 통하여 가시화 출력된 농작업 계획서를 보면서, 해당하는 농작업을 실시한다. 그 농작업에 농작업기(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농작업 계획서에 기재되어 있는 농작업 사양에 맞추기 위하여 농작업기(1)의 작업 모드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계획 출력 데이터를 통신부(30)로부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직접 농작업기(1)가 수취하고, 수취한 계획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작업을 위한 농작업기(1)의 작업 모드를 설정한다. 물론, 이러한 농작업기(1)의 작업 모드를 설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계획 출력 데이터는, 기록 미디어 등을 통하여 농작업기(1)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실수가 발생하기 쉬운, 손이 많이 가는 매뉴얼에 의한 작업 모드 설정 대신에, 이 작업 모드 설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영농 시스템의 데이터 기록부(5)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데이터베이스(51), 시비 실적 데이터베이스(52), 시비 계획 데이터베이스(53), 수확 평가 데이터베이스(54)가 포함되어 있다. 도 2에는 그들 데이터 구조의 일부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포장 데이터베이스(51)의 데이터 항목에는 포장 ID, 포장명, 면적, 토성, 소유자, 장소, 작부 품종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토성이나 작부 품종 등과 같은 경년 변화하는 것은 과거의 데이터분도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시비 실적 데이터베이스(52)의 데이터 항목에는 실적 ID, 포장 ID, 시비 일시, 시비 종류(비료 종류), 시비량, 비료 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작업 이벤트로서의 시비 작업마다 레코드가 작성되어 간다. 시비 계획 데이터베이스(53)의 데이터 항목은, 실질적으로는 시비 실적 데이터베이스(52)와 동일하고, 실적 ID 대신에, 혹은 실적 ID와 함께 계획 ID가 포함되어 있다. 수확 평가 데이터베이스(54)의 데이터 항목은 수확 ID, 포장 ID, 수확일, 수득량, 식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3에는 시비 설계시에 포장 선택 화면으로서 사용함과 함께, 이 영농 시스템의 시비 설계 메인 화면(7)으로서도 기능하는 모니터 화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비 설계 메인 화면(7)은, 포장 선택 화면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포장 전체를 나타내는 포장 지도 표시 선택 영역(71)과, 선택된 포장의 상세도를 나타내는 상세도 표시 영역(72)과, 선택된 포장의 기술 정보를 나타내는 포장 기술 정보 표시 영역(73)으로 구분되어 있다. 포장 지도 표시 선택 영역(71)에는, 포장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가 확대 축소 가능하게 표시된다. 이 지도에 있어서, 영농 시스템에 등록되어, 그 포장 정보가 데이터 기록부(5)에 저장되어 있는 포장에는 포장 번호가 부여되어, 다른 포장과 식별 가능하도록 색칠되어 있다. 원하는 포장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선택된 포장의 색이 변화함과(예를 들어 청색에서 적색으로) 함께, 선택된 포장의 확대된 상세한 지도가 상세도 표시 영역(72)에 표시되고, 선택된 포장의 포장 정보가 포장 기술 정보 표시 영역(73)에 표시된다. 도 3의 예에서는, 포장 정보로서 포장 번호 또는 포장 ID, 포장명, 면적, 토성이 표시되어 있는데, 링크 형식으로 다른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 포장 선택 화면에서는 복수의 포장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각 포장의 상세한 것은 태그나 별도의 윈도우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시비 설계 메인 화면의 상부에는, 다른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버튼이 배열되어 있다. 이들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실질적으로는 실적 출력 데이터 생성부(43),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44), 기준 산정부(45)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작성된 것이다. 그 때, 표 계산 프로그램이나 그것에 유사한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모니터 화면은 「시비 계획 1」이라고 명명된 시비 설계 화면(8A)이다. 이 시비 설계 화면(8A)은, 좌측의 계획 영역과 우측의 실적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계획 영역에는 이제부터 행해지는 시비 계획의 내용이 포함되고, 실적 영역에는 과거의 시비 작업의 실적이 포함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계획 영역에는 시비 대상이 되는 벼의 품종이나 기준 시비량이 표시됨과 함께, 계획된 시비 작업의 내역(작업 이벤트)으로서 「토양 만들기 비료」, 「밑거름」, 「추비 1」, 「추비 2」, 「이삭 비료」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참고로서, 이 포장의 질소량, 및 이 포장에서 전년에 수확된 곡물의 식미값과 수득량값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시비 계획의 각 값은, 이 화면을 통하여 신규 입력 또는 정정 입력할 수 있다. 실적 영역에는, 전년의 시비 실적, 및 전년의 벼농사에서의 수확 평가 정보, 곡물의 식미값과 수득량값이 포장의 질소량과 함께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실적 영역에 표시되는 과거 데이터는 임의의 연차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모니터 화면은, 「시비 계획 2」라고 명명된 복수 포장의 일괄 시비 설계 화면(8B)이다. 여기에서는 포장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복수의 포장 전체에 대한 시비 설계가 표시된다. 표시 내용은, 도 4에서 도시된 시비 설계 화면(8A)의 계획 영역의 것과 거의 동일하지만, 그 값은 각 포장의 값을 합계한 것이다. 화면의 상부에는, 선택된 포장, 즉 이 시비 계획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모든 포장의 포장 번호(또는 포장 ID)가 표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모니터 화면은, 「시비 계획 3」이라고 명명된 복수 포장의 시비 설계를 일람화한 일람 표시 화면(8C)이다. 여기에서는, 포장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복수의 포장의 각각에 설정된 시비 계획이 일람 표시되어 있다. 각 포장의 시비 계획 영역에는, 표시 항목으로서 「포장 번호」, 「포장명」, 「품종」, 「토양 만들기 비료」, 「밑거름」, 「추비 1」, 「추비 2」, 「이삭 비료」, 합계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포장 전체에서의 비료 종별의 필요 총량과, 집계 비용도 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모니터 화면은, 「상세 표시」라고 명명된, 포장 단위에서의 과거의 시비 실적과 금회의 시비 계획을 일람화한 상세 표시 화면(8D)이다. 여기에서는, 선택된 포장에 대한 시비 계획과, 과거의 실적이 일람화되어 있다. 이 상세 표시 화면(8D)을 통하여, 특정 포장에서의 시비 계획을 과거의 시비 내용과, 그 때에 수확된 수확물의 수확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시계열적인 판단으로 금회의 시비 계획을 검토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수확 정보에는 품종, 수득량, 식미(단백질 또는 수분), 토양 분석값, 주간(株間), 모종 취득량, 제초제, 방충제, 기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모니터 화면은, 「수확 평가 1」이라고 명명된, 포장마다의 수득량과 식미를 표시하는 수득량ㆍ식미 표시 화면(9A)이다. 이 수득량ㆍ식미 표시 화면(9A)에는 품종 선택란(91), 수득량ㆍ식미 그래프 영역(92), 포장 지도 영역(93), 포장 정보 영역(94), 목표 설정란(95)이 포함되어 있다. 포장 지도 영역(93)은 포장 선택을 위한 선택 입력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커서를 댄 장소에 위치하는 포장의 포장 정보가 포장 정보 영역(94)에 표시된다. 이 포장 정보 영역에는, 과거의 수확물 평가 정보(여기서는 수득량과 식미)도 포함되어 있다. 이 포장의 과거의 수득량과 식미는, 수득량을 횡축, 식미를 종축으로 하는 수득량ㆍ식미 그래프 영역(92)에서의 도트로서도 표시된다. 또한, 이 수득량ㆍ식미 그래프 영역(92)에는, 다른 포장에서의 수득량과 식미도 도트의 형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수득량ㆍ식미 그래프 영역(92)으로부터, 선택된 포장에서의 수확 곡물의 수득량ㆍ식미가 다른 포장의 수확 곡물에 비하여 어떤 차이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선택된 포장과 그 밖의 포장을 식별하기 위하여, 도트의 색의 차이를 이용하여도 되고, 도트의 형상의 차이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미 시비 계획이 완료된 포장과 미완료된 포장 사이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품종 선택란(91)은, 동일한 포장에서 상이한 품종의 쌀을 재배하고 있는 경우에 그 품종을 선택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목표 설정란(95)은, 이 포장에서 목표로 하는 수득량과 식미를 설정하는 입력란이다. 여기서 설정된 목표 수득량과 목표 식미가, 다음 시비 계획에 있어서 고려된다.
도 9에 도시된 모니터 화면은, 「수확 평가 2」라고 명명된, 복수 포장의 수득량과 식미를 표시하는 수득량ㆍ식미 일괄 표시 화면(9B)이다. 이 수득량ㆍ식미 일괄 표시 화면(9B)에는, 수득량ㆍ식미 표시 화면(9A)과 마찬가지의 품종 선택란(91), 수득량ㆍ식미 그래프 영역(92), 포장 지도 영역(93) 및 시비 실적 영역(96), 수득량ㆍ식미 실적란(97)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처리 대상으로서 복수의 포장이 선택되므로, 포장 지도 영역(93)에는 선택된 복수의 포장이 색 구분되어 표시된다. 수득량ㆍ식미 그래프 영역(92)에는, 선택된 모든 포장의 수득량과 식미를 나타내는 도트가 다른 포장의 것과 색 구분되어 표시된다. 시비 실적 영역(96)에는, 선택된 모든 포장에서의 시비 실적의 평균값이 표시된다. 수득량ㆍ식미 실적란(97)에는, 선택된 모든 포장의 수득량과 식미의 평균값과, 그 밖의 포장분도 포함시킨 수득량과 식미로부터 구해진 기준값이 표시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농작업 비용을 보다 엄밀하게 산정하기 위하여, 농작업에 투입된 작업기(1)의 작업기 비용을 농작 구획마다 기록하는 작업기 관리부를, 도 1에서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부로서 도입하여도 된다. 이 작업기 비용에는 작업기 연료 비용, 작업기 운전 비용, 작업기 보수 점검 비용이 포함된다. 작업에 사용된 농작업기(1)에 작업 시간이나 연비 등을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정보 생성부가 설치되고, 이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기 비용이 산정되도록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그 때에는 영농 시스템을 구축하는 컴퓨터 시스템 농작업기(1)를 관리하는 작업기 관리부가 구축되며, 이 작업기 관리부가,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농작 구획마다 투입된 농작업기(1)의 작업 이력을 데이터 기록부(5)에 저장하여 관리하면 된다.
(2)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을 구축하는 컴퓨터 시스템과, 농작업기(1)를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이 영농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농작업 계획에 기초하여 농작업기(1)가 자동으로 작업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나, 설정되어 있는 작업 모드가 출력된 농작업 계획과 상이한 경우,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영농 시스템은 시비 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농작업을 위한 작업 계획 지원 시스템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1: 농작업기
30: 통신부
40: 데이터 입력부
41: 농작 구획 관리부
42: 농작업 관리부
43: 실적 출력 데이터 생성부
44: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
45: 기준 산정부
46: 수확 평가 관리부
5: 데이터 기록부
51: 포장 데이터베이스
52: 시비 실적 데이터베이스
53: 시비 계획 데이터베이스
54: 수확 평가 데이터베이스
60: 데이터 가시화부
61: 프린터
62: 모니터

Claims (3)

  1. 복수의 농작 구획으로 구분된 농작지를, 상기 농작 구획마다 관리하는 농작 구획 관리부와,
    상기 농작 구획별 농작물의 수득량 데이터 및 식미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취득한 수득량 데이터 및 식미 데이터를 대응하는 농작 구획에 할당하여 데이터 기록부에 기록하는 수확 평가 관리부와,
    과거의 시비 작업 계획과 상기 수득량 데이터 및 상기 식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비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비 작업 계획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는 포장별 수득량과 식미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선택된 농작 구획을 나타내는 포장 정보와 상기 선택된 농작 구획에서의 농작물의 수득량 및 식미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상기 표시 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영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과거의 시비 작업 계획에 기초하여, 시비 작업 계획의 기준이 되는 시비량을 산정하는 기준 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획 출력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기준이 되는 시비량에 대하여 상기 수득량 데이터 및 상기 식미 데이터에 기반한 조정값이 부가된 시비량을 출력하는, 영농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콤바인에 구비된 수득량 측정기 및 식미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수득량 데이터 및 식미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취득되는, 영농 시스템.
KR1020210005447A 2013-03-28 2021-01-14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KR102322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0592 2013-03-28
JP2013070592A JP5956374B2 (ja) 2013-03-28 2013-03-28 営農システム
KR1020140006613A KR102253523B1 (ko) 2013-03-28 2014-01-20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13A Division KR102253523B1 (ko) 2013-03-28 2014-01-20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467A true KR20210011467A (ko) 2021-02-01
KR102322524B1 KR102322524B1 (ko) 2021-11-05

Family

ID=515988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13A KR102253523B1 (ko) 2013-03-28 2014-01-20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KR1020210005447A KR102322524B1 (ko) 2013-03-28 2021-01-14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13A KR102253523B1 (ko) 2013-03-28 2014-01-20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56374B2 (ko)
KR (2) KR102253523B1 (ko)
CN (2) CN1114765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8865B2 (ja) * 2014-11-28 2020-04-08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業支援システム
JP6400506B2 (ja) * 2015-02-24 2018-10-03 株式会社東芝 栽培計画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6704130B2 (ja) * 2015-02-25 2020-06-03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業支援システム
JP6449691B2 (ja) * 2015-03-16 2019-01-09 株式会社クボタ 穀粒管理システム
JP6494344B2 (ja) * 2015-03-16 2019-04-0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WO2016147522A1 (ja) * 2015-03-16 2016-09-22 株式会社クボタ 穀粒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バイン
JP6349284B2 (ja) * 2015-06-01 2018-06-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業務管理支援装置と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05160B2 (ja) * 2015-12-11 2020-06-03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業支援システム
JPWO2019004305A1 (ja) * 2017-06-28 2020-04-23 株式会社クボタ 農業支援システム、農業支援装置及び農業支援方法
JP6319704B1 (ja) * 2017-12-25 2018-05-09 勝幸 冨田 林産事業作業日報分析プログラム
JP7009229B2 (ja) * 2018-01-22 2022-01-25 株式会社クボタ 農業支援システム
JP7014620B2 (ja) * 2018-01-23 2022-02-01 株式会社クボタ 営農システム
CN112041093B (zh) * 2018-04-27 2022-09-16 株式会社久保田 农业管理系统以及显示装置
JP6676136B2 (ja) * 2018-12-05 2020-04-08 株式会社クボタ 穀粒管理システム
JP6903185B2 (ja) * 2018-12-05 2021-07-14 株式会社クボタ 穀粒管理システム
KR20200088768A (ko) 2019-01-15 2020-07-2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영농 시스템
JP7264027B2 (ja) * 2019-12-04 2023-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農業支援システム
JP2022072148A (ja) * 2020-10-29 2022-05-1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マップ作成システム、作業マップの生成方法及び作業マップ生成プログラム
CN112598532A (zh) * 2020-12-29 2021-04-02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农业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744A (ja) * 2000-11-09 2002-05-24 Ebara Corp 農作業管理装置及び農作業管理方法及び農作業機械
KR20030044374A (ko) * 2001-11-29 2003-06-09 이병양 인터넷을 이용한 영농 경영 진단방법 및 그것을 구현하는시스템
JP2005182153A (ja) * 2003-12-16 2005-07-07 Yanmar Co Ltd 農作業管理装置
JP2009064231A (ja) 2007-09-06 2009-03-26 Agri Support Network Kk 生産履歴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674A (ja) * 1997-08-07 1999-02-26 Kubota Corp 作物の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0083477A (ja) * 1998-07-17 2000-03-28 Satake Eng Co Ltd 米の生産情報の提供方法
JP4627507B2 (ja) * 1999-07-08 2011-02-09 農工大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散布量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散布量決定装置並びに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4054379A (ja) * 2002-07-17 2004-02-19 Katakura Chikkarin Co Ltd 農産物情報開示システム
US20060015374A1 (en) * 2004-07-19 2006-01-19 Yanhong Ochs Risk management on the application of crop inputs
JP4202328B2 (ja) * 2005-01-11 2008-12-24 農工大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作業決定支援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6277321A (ja) * 2005-03-29 2006-10-12 Toshiba Socio System Support Co Ltd Gisによる経営分析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130837B2 (ja) * 2007-09-12 2013-0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農作物の生産履歴管理システム
JP5617601B2 (ja) * 2010-12-20 2014-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農薬または肥料の使用履歴管理システム
JP5760432B2 (ja) * 2010-12-24 2015-08-12 富士通株式会社 作付支援方法および作付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744A (ja) * 2000-11-09 2002-05-24 Ebara Corp 農作業管理装置及び農作業管理方法及び農作業機械
KR20030044374A (ko) * 2001-11-29 2003-06-09 이병양 인터넷을 이용한 영농 경영 진단방법 및 그것을 구현하는시스템
JP2005182153A (ja) * 2003-12-16 2005-07-07 Yanmar Co Ltd 農作業管理装置
JP2009064231A (ja) 2007-09-06 2009-03-26 Agri Support Network Kk 生産履歴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94653A (ja) 2014-10-09
KR102322524B1 (ko) 2021-11-05
KR102253523B1 (ko) 2021-05-18
CN104077646A (zh) 2014-10-01
JP5956374B2 (ja) 2016-07-27
CN111476544A (zh) 2020-07-31
KR20140118701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524B1 (ko) 영농 시스템 및 농작업기
KR102639478B1 (ko) 영농 시스템
US9715231B2 (en) Agriculture support system
AU20153068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ry for randomizing and replicating predetermined agronomic input levels
JP6529479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6351329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EP3358518A1 (en) Farmwork plan support system
JP6290977B2 (ja) 営農システム
JP6049575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2020004438A (ja) 圃場管理システム
JP6034768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6491379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6293206B2 (ja) 営農システム及び農作業機
JP6235397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2018085149A (ja) 営農システム及び営農プログラム
JP6840778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7251327B2 (ja) 営農支援システム
JP6436621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2020166851A (ja) 営農システム及び営農プログラム
US20200113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ry for randomizing and replicating predetermined argonomic input levels
JP7318029B2 (ja) 営農システム
JP7327791B2 (ja) 農作物の生産支援システム及びほ場別アドバイス表示プログラム
Balieiro Modeling regional supply responses using farm-level economic data and a biophysical model: a case study on Brazilian land-use change
JP6122739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