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454A -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454A
KR20210010454A KR1020207032539A KR20207032539A KR20210010454A KR 20210010454 A KR20210010454 A KR 20210010454A KR 1020207032539 A KR1020207032539 A KR 1020207032539A KR 20207032539 A KR20207032539 A KR 20207032539A KR 20210010454 A KR20210010454 A KR 2021001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esin composition
bag body
tape membe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미 도다카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1888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221049A1/ja
Publication of KR2021001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ste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91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attached clos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over a heat source, e.g. a hob, camp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제 1 면 및 제 2 면의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주머니 본체와,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의 한 변을 획정하고,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 및 제 1 수지 조성물과는 상이한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단면 형상에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를 구비하고, 제 1 부분은, 테이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제 1 구간에서 제 1 면 및 제 2 면의 양방에 접합되고, 길이 방향의 제 2 구간에서 제 2 면에만 접합되고, 제 2 부분은, 제 2 구간에서 제 1 면에 접합되는 주머니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 등이 수납되고 가열 조리가 가능한 주머니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이와 같은 주머니체로서, 가열 조리시에 과도하게 팽창되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증기 제거 기구를 형성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주머니체는, 주머니 본체의 사이드 시일부의 근방에 원형으로 형성된 절결을 막도록, 둘레 가장자리가 주머니 본체에 약화 (弱化) 시일된 약화 시일부가 형성된 수증기 제거 기구를 갖는다. 이 수증기 제거 기구는, 가열 조리시에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내압이 어느 정도 높아지면, 약화 시일부가 박리되어, 절결로부터 수증기가 방출됨으로써, 주머니 본체가 과도하게 팽창되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46644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증기 제거 기구에 약화 시일부를 사용하는 경우, 약화 시일부의 접합 강도에 따라 수증기의 방출이 개시되는 내압이 변동한다. 또, 약화 시일부의 접합 강도가 균일하지 않으면, 약화 시일부가 일부만 박리됨으로써 수증기의 방출량이 적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약화 시일부의 가공 조건이 수증기의 방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증기의 방출이 가능한 통증부 (通蒸部) 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테이프 부재를 사용하여 통증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주머니체에 있어서, 안정적인 수증기의 방출이 가능한 통증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또한 개량된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제 1 면 및 제 2 면의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주머니 본체와,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의 한 변을 획정하고,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 및 제 1 수지 조성물과는 상이한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단면 형상에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를 구비하고, 제 1 부분은, 테이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제 1 구간에서 제 1 면 및 제 2 면의 양방에 접합되고, 길이 방향의 제 2 구간에서 제 2 면에만 접합되고, 제 2 부분은, 제 2 구간에서 제 1 면에 접합되는 주머니체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부재와 주머니 본체의 제 1 면 및 제 2 면 사이의 접합부를,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에서 상이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테이프 부재가 수납 공간의 내압에 노출되었을 때에 제 2 구간에서만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수증기가 방출되는 구간이 고정됨으로써, 수증기의 방출량이 안정된다. 또, 주머니 본체와 테이프 부재 사이의 접합 강도를 부분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증기의 방출량이 가공 조건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안정적인 수증기의 방출이 가능한 통증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구간 및 제 2 구간에서 제 1 부분을 제 2 면에 접합하는 제 1 공정과, 제 1 구간에서는 제 1 부분을 제 1 면에 접합하고, 제 2 구간에서는 제 2 부분을 제 1 면에 접합하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제 1 공정과 제 2 공정 사이에, 수납 공간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이 실시되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주머니체의 Ⅱ-Ⅱ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주머니체의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통증시의 거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주머니체의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에 나타낸 주머니체의 Ⅷ-Ⅷ 선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주머니체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주머니체의 Ⅱ-Ⅱ 선 및 Ⅲ-Ⅲ 선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100) 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을 갖는 주머니 본체를 형성하는 필름 (110) 과,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사이에 배치되는 테이프 부재 (120) 를 포함한다. 테이프 부재 (12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에 접합되어 있고, 이로써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 (SP) 의 한 변을 획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 (120) 는, 단면 형상에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제 1 부분 (121) 과,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제 2 부분 (122) 을 포함한다.
필름 (110) 은, 예를 들어 단층 또는 다층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110) 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PP 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이어도 된다. 필름 (110) 이 다층인 경우, 표측 기재에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OPP),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OPET), 또는 2 축 연신 나일론 (ONy) 을 사용해도 된다. 또, 필름 (110) 은 무기 재료의 층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장의 필름 (110) 이 보텀 시일부 (112) 및 사이드 시일부 (113) 에 있어서 서로 접합됨으로써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을 갖는 주머니 본체를 형성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1 장의 필름 (110) 이 사이드 시일부 (113)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되접어 꺾임으로써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이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도 1 의 예에 있어서의 보텀 시일부 (112) 또는 사이드 시일부 (113)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필름 (110) 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 이른바 거싯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거싯은, 필름 (110) 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필름 (110) 에 접합된 다른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주머니체 (100) 는, 바닥부에 거싯이 형성됨으로써 세워 두는 것이 가능한 스탠딩 파우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시일부 (112) 및 사이드 시일부 (113) 가 형성되는 한편으로, 톱 시일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주머니체 (100) 의 개구부 (101) 가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시일부 (112) 및 사이드 시일부 (113) 에 추가하여 톱 시일부가 형성되고, 톱 시일부와 테이프 부재 (120) 사이를 절단함으로써 사후적으로 주머니체 (100) 에 개구부 (101)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도 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시일부 (112) 가 형성되지 않는, 즉 수납 공간 (SP) 이 테이프 부재 (120) 와는 반대측에서 봉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머니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보텀 시일부 (112) 는 수납 공간 (SP) 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형성된다. 이 이외에도, 공지된 각종 구성의 주머니체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테이프 부재 (120) 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부재 (120) 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PP 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이어도 된다. 테이프 부재 (120) 의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제, 산화 방지제, 활제, 대전 방지제, 또는 착색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부재 (120) 는, 길이 방향에 대해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으로 구분된다. 도 2(a) 에는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의 단면이 도시되고, 도 3(a) 에는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3(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 (120) 의 단면 형상은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을 통하여 공통이며, 제 1 부분 (121) 과 제 2 부분 (122) 을 포함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부분 (121) 은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제 2 부분 (122) 은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제 2 수지 조성물은, 제 1 수지 조성물과는 상이한 수지 조성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수지 조성물의 조합을 채용함으로써,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2 부분 (122) 과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가, 제 1 부분 (121)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아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조성물 및 제 2 수지 조성물은,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표 중의 LD 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을 의미하고, LL 은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을 의미하고, Tm 은 수지 조성물의 융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 (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에 의해 검출되는 융해의 피크 온도이며, 블렌드의 경우에는 낮은 쪽의 온도이다. 이와 같이 융점을 정의한 경우, 표 1 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제 1 수지 조성물의 융점은 제 2 수지 조성물의 융점보다 10 ℃ 이상 높다. 또한, 각각의 예에 있어서, 필름 (110) (제 1 면 (111A)) 의 실란트층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으로 형성된다. 표 1 에 나타난 예에서는, 제 1 면 (111A) 의 실란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의 관계에 있어서, 제 1 수지 조성물은 제 2 수지 조성물보다 상용성이 높다.
Figure pct00001
도 2(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양방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구간 (S1) 에서는, 접합 영역 (140A) 이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과 제 1 면 (111A) 사이에 형성되고, 접합 영역 (140B) 이 동일하게 제 1 부분 (121) 과 제 2 면 (111B)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구간 (S1) 은 내용물의 가열시에 있어서도 통증이 가능해지지 않는 구간이기 때문에,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 제 2 부분 (122) 을 제 1 면 (111A) 에 접합할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한편, 도 3(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는 접합되지 않고, 제 2 면 (111B) 에만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간 (S2) 에서는, 접합 영역 (140B) 이 제 1 부분 (121) 과 제 2 면 (111B) 사이에 형성되지만, 제 1 부분 (121) 과 제 1 면 (111A) 사이에는 접합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2 부분 (122)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간 (S2) 에서는, 접합 영역 (140A) 이 제 2 부분 (122) 과 제 1 면 (111A) 사이에 형성된다.
(통증시의 거동)
도 2(b) 및 도 3(b) 에는,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가열시의 테이프 부재 (120) 의 거동이 도시되어 있다. 주머니체 (100) 의 수납 공간 (SP) 에 식품과 같은 수분을 함유한 내용물 (C) 을 수납하고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가열한 경우, 내용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한다. 이로써,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간 (S2) 에서는,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2 부분 (122) 을 접합하는 접합 영역 (140A) 이, 제 2 부분 (122) 측의 계면에서 박리된다. 따라서, 제 2 구간 (S2) 에서는 내용물의 가열시에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과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2 부분 (122) 사이를 경유하여 수납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되어, 수증기 (ST) 의 방출이 가능해진다. 내용물 (C) 의 가열시에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 수증기 (ST) 가 방출되는 모습은, 도 4 의 평면도에도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 1 구간 (S1) 에서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 (140A) 이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을 제 1 면 (111A) 에 접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부분 (122) 을 형성하는 제 2 수지 조성물과 필름 (110) 사이의 접합 강도는, 제 1 부분 (121) 을 형성하는 제 1 수지 조성물과 필름 (110)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다. 그러므로,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의 접합 영역 (140A) 의 계면 박리는, 제 1 구간 (S1) 보다 먼저 발생한다. 제 2 구간 (S2) 에서의 계면 박리에 의해 수증기 (ST) 가 방출되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은 상승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구간 (S1) 에서는 제 2 구간 (S2) 과 같은 계면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 수납 공간 (SP) 은 외부 공간에 연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및 제 2 부분 (122) 을 각각 제 1 수지 조성물 및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고, 접합 영역 (140A, 140B) 에 의해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에 접합되는 테이프 부재 (120) 의 부분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간 (S1) 과 제 2 구간 (S2) 사이에서 상이하게 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에 의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하였을 때, 제 2 구간 (S2) 에서만 수납 공간 (SP) 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켜,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수증기가 방출되는 구간이 고정됨으로써, 수증기의 방출량이 안정된다. 또, 접합 영역 (140A, 140B) 의 접합 강도를 부분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증기의 방출량이 가공 조건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2 구간 (S2) 을 통증부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내용물 (C) 의 가열시에 있어서의 수증기의 방출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 (110) 과 테이프 부재 (120) 사이의 접합 강도를 변화시키지 않아도, 제 1 구간 (S1) 과 제 2 구간 (S2) 사이에서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및 제 2 부분 (122) 과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접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통증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에서 개통 (開通) 하여 안정적인 양의 수증기를 방출하는 통증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테이프 부재 (120) 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제 1 부분 (121) 이 L 자형이고, 제 2 부분 (122) 은 L 자형의 패인 부분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부분 (122) 과 제 2 면 (111B) 은 대향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는, 제 2 부분 (122) 과 제 2 면 (111B) 이 대향하는 단면 형상으로 테이프 부재 (120) 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에서 제 2 부분 (122) 을 제 2 면 (111B) 에 접합해도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테이프 부재 (120) 의 폭 방향에 대해, 개구부 (101) 측에 제 1 부분 (121) 이 위치하고, 수납 공간 (SP) 측에 제 2 부분 (122) 이 위치하고 있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제 1 부분 (121) 및 제 2 부분 (122) 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머니체 (100) 에 톱 시일부를 형성한 후, 톱 시일부와 테이프 부재 (120) 사이를 절단함으로써 사후적으로 주머니체 (100) 에 개구부 (101) 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 (120) 는, 수납 공간 (SP) 과는 반대측에 주머니체 (100) 의 개구부 (101) 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수납 공간 (SP) 과는 반대측에 주머니체의 개구부 (101)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테이프 부재 (120) 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앙 부근이 제 2 구간 (S2) 이 되고, 그 이외의 부분이 제 1 구간 (S1) 이 되었지만,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의 배치는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테이프 부재 (120) 의 길이 방향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의 단부에 제 2 구간 (S2) 이 배치되어도 된다. 혹은, 테이프 부재 (120) 의 단부 또는 중간부에 복수의 제 2 구간 (S2) 이 배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주머니체 (100) 의 제조 방법에 대해, 정면측에서 접합 영역 (140A) 을 형성하는 시일 바와 배면측에서 접합 영역 (140B) 을 형성하는 시일 바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 시일 바에 의한 접합 영역 (140A, 140B) 의 형성은, 반드시 동시에 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접합 영역 (140B) 을 먼저 형성한 상태의 주머니체 (100) 의 반완성품을 유통시키고, 내용물 (C) 의 충전 후에 접합 영역 (140A) 을 형성함으로써 수납 공간 (SP) 을 봉지해도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은, 예를 들어 주머니체 (100) 가 스탠딩 파우치인 경우에 채용된다.
상기의 경우,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에서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을 필름 (110) 의 제 2 면 (111B) 에 접합하는 제 1 공정 (접합 영역 (140B) 의 형성 공정) 의 후에, 수납 공간 (SP) 에 내용물 (C) 을 충전하는 공정이 실시되고, 추가로 그 후에 제 1 구간 (S1) 에서는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1 부분 (121) 을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 접합하고, 제 2 구간 (S2) 에서는 테이프 부재 (120) 의 제 2 부분 (122) 을 제 1 면 (111A) 에 접합하는 제 2 공정 (접합 영역 (140A) 의 형성 공정) 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제 1 공정과 제 2 공정의 순서는 바뀌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수납 공간 (SP) 에 내용물 (C) 을 충전하는 공정은 제 1 공정과 제 2 공정 사이에 실시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단면도이다.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200)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1 부분 (221) 및 제 2 부분 (222) 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상이하고, 또 그것에 수반하여 내용물의 가열시의 테이프 부재 (220) 의 거동도 상이하지만, 필름 (110) 의 구성을 포함하는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테이프 부재 (220) 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부재 (220) 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PP 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이어도 된다. 테이프 부재 (220) 의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제, 산화 방지제, 활제, 대전 방지제, 또는 착색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하게, 테이프 부재 (220) 는, 길이 방향에 대해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으로 구분된다.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의 단면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한다. 도 5(a) 에는,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 (220) 의 단면 형상은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을 통하여 공통이며, 제 1 부분 (221) 과 제 2 부분 (222) 을 포함한다. 제 1 부분 (221) 은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제 2 부분 (222) 은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제 2 수지 조성물은, 제 1 수지 조성물과는 상이한 수지 조성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1 부분 (221) 과 제 2 부분 (222) 사이의 접합 강도가, 제 1 부분 (221) 과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각각의 사이, 및 제 2 부분 (2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 1 면 (111A) 과 제 2 부분 (222) 의 사이에, 이하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3 수지 조성물로 제 3 부분 (223) 을 형성해도 된다.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3 부분 (223) 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부분 (2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제 1 부분 (221) 과 제 2 부분 (222) 사이의 접합 강도가 상대적으로 제 2 부분 (2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아진다. 또한, 제 3 부분 (223) 은 반드시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제 1 면 (111A) 과 제 2 부분 (222) 을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함으로써 제 2 부분 (2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조성물, 제 2 수지 조성물 및 제 3 수지 조성물에는, 이하의 표 2 에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 중의 HDPE 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의미하고, PE 는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표 2 에 나타낸 조합예는 모두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발휘하지만, 제 1 수지 조성물은 HPP, 제 2 수지 조성물은 LDPE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제 3 수지 조성물은 HPP 또는 RPP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HPP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 2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 면 (111A) 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 제 3 수지 조성물 사이, 제 3 수지 조성물과 제 2 수지 조성물 사이, 제 2 수지 조성물과 제 1 수지 조성물 사이, 및 제 1 수지 조성물과 제 2 면 (111B) 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사이 중, 제 1 수지 조성물과 제 2 수지 조성물 사이의 상용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나빠진다.
Figure pct00002
도 5(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1 부분 (221)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는 접합되지 않고, 제 2 면 (111B) 에만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간 (S2) 에서는, 제 1 부분 (221) 과 제 2 면 (111B) 사이에는 접합 영역 (140B) 이 형성되지만, 제 1 부분 (221) 과 제 1 면 (111A) 사이에는 접합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2 부분 (222)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만 접합되고, 제 2 면 (111B) 에는 접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간 (S2) 에서는, 제 2 부분 (222) 과 제 1 면 (111A) 사이에는 접합 영역 (140A) 이 형성되지만, 제 2 부분 (222) 과 제 2 면 (111B) 사이에는 접합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5(b) 에는,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가열시의 테이프 부재 (220) 의 거동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머니체 (200) 에서 내용물을 가열하면, 내용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한다. 이로써,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간 (S2) 에서는,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과 제 2 면 (111B) 사이에서 가장 접합 강도가 낮은 부분, 즉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1 부분 (221) 과 제 2 부분 (222) 사이가 박리된다. 따라서, 제 2 구간 (S2) 에서는 내용물의 가열시에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1 부분 (221) 과 제 2 부분 (222) 사이를 경유하여 수납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되어, 수증기 (ST) 의 방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구간 (S1) 에서는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1 부분 (221) 이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양방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되지 않는 점은,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하다. 제 1 구간 (S1) 에서는 제 2 부분 (222) 을 제 1 면 (111A) 에 접합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제 1 구간 (S1) 에서도 제 1 부분 (221) 과 제 2 부분 (222) 사이가 박리될 가능성이 있지만, 제 1 부분 (221) 과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사이의 접합 영역 (140A, 140B) 은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제 1 구간 (S1) 에서 수납 공간 (SP) 은 외부 공간에 연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테이프 부재 (220) 의 제 1 부분 (221) 및 제 2 부분 (222) 을 각각 제 1 수지 조성물 및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고,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에 접합되는 테이프 부재 (220) 의 부분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간 (S1) 과 제 2 구간 (S2) 사이에서 상이하게 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에 의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하였을 때에 제 2 구간 (S2) 을 경유하여 안정적으로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도 6 에 나타낸 주머니체의 Ⅶ-Ⅶ 선 및 Ⅷ-Ⅷ 선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300) 는, 필름 (110) 과,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퍼 테이프 (320) 를 포함한다. 지퍼 테이프 (320) 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에 접합되어 있고, 이로써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 (SP) 의 한 변을 획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 (320) 는, 단면 형상에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제 1 부분 (321) 과,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제 2 부분 (322) 을 포함한다. 또한, 필름 (110) 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퍼 테이프 (320) 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퍼 테이프 (320) 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PP 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이어도 된다. 지퍼 테이프 (320) 의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제, 산화 방지제, 활제, 대전 방지제, 또는 착색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 (320) 는, 길이 방향에 대해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으로 구분된다. 도 7(a) 에는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의 단면이 도시되고, 도 8(a) 에는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320) 의 단면 형상은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을 통하여 공통이다. 구체적으로는, 지퍼 테이프 (320) 는, 제 1 면 (111A) 에 접합되는 암측 기부 조편 (條片) (323A), 및 제 2 면 (111B) 에 접합되는 수측 기부 조편 (323B) 과, 암측 기부 조편 (323A) 및 수측 기부 조편 (323B) 의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를 포함한다. 상기 서술한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및 제 2 부분 (322) 과의 관계에서 말하자면, 제 2 부분 (322) 은, 암측 기부 조편 (323A) 의 제 1 면 (111A) 에 대향하는 면의 일부 (면 (323A2) 으로서 도시한다) 를 형성한다. 한편, 제 1 부분 (321) 은, 수측 기부 조편 (323B),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의 전부와, 제 1 면 (111A) 에 대향하는 면 (면 (323A1) 으로서 도시한다) 을 포함하는 암측 기부 조편 (323A) 의 나머지의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은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제 2 부분 (322) 은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제 2 수지 조성물은, 제 1 수지 조성물과는 상이한 수지 조성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의 접합 강도가, 제 1 부분 (321) 과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각각의 사이, 및 제 2 부분 (3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아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면 (111A) 과 제 2 부분 (322) 사이에 제 3 수지 조성물로 제 3 부분 (도시 생략) 을 형성하거나, 제 1 면 (111A) 과 제 2 부분 (322)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키거나 함으로써 제 2 부분 (3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를 높여,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의 접합 강도를 상대적으로 제 2 부분 (3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게 하고 있다. 혹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수지 조성물의 조합을 채용함으로써,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의 접합 강도를, 제 1 부분 (321) 과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각각의 사이, 및 제 2 부분 (322) 과 제 1 면 (111A)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게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 1 부분 (321), 제 2 부분 (322), 및 제 1 면 (111A) 사이의 구성, 그리고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의 재료 및 형상의 선택에 의해,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의 접합 강도가, 후술하는 내용물의 가열시에 있어서의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사이의 걸어맞춤 강도보다 낮아져 있다.
또한,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는, 도시된 예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갈고리상, 후크상, 또는 혹상 등을 조합한 공지된 각종 지퍼 테이프의 걸어맞춤부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1 쌍의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가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 쌍의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가 배치되어도 된다.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는, 주머니체 (300) 를 봉지, 개봉, 및 재봉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양방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구간 (S1) 에서는,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즉 암측 기부 조편 (323A) 의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면 (323A1) 과 제 1 면 (111A) 사이에 접합 영역 (140A) 이 형성되고, 동일하게 제 1 부분 (321) 에 포함되는 수측 기부 조편 (323B) 과 제 2 면 (111B) 사이에 접합 영역 (140B) 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구간 (S1) 은 내용물의 가열시에 있어서도 통증이 가능해지지 않는 구간이기 때문에,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 제 2 부분 (322) 을 제 1 면 (111A) 에 접합할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한편, 도 8(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는 접합되지 않고, 제 2 면 (111B) 에만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간 (S2) 에서는, 제 1 부분 (321), 즉 수측 기부 조편 (323B) 과 제 2 면 (111B) 사이에는 접합 영역 (140B) 이 형성되지만, 암측 기부 조편 (323A) 의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면 (323A1) 과 제 1 면 (111A) 사이에는 접합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2 부분 (322) 은,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구간 (S2) 에서는, 제 2 부분 (322), 즉 암측 기부 조편 (323A) 의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면 (323A2) 과 제 1 면 (111A) 사이에 접합 영역 (140A) 이 형성된다.
도 7(b) 및 도 8(b) 에는, 제 1 구간 (S1) 및 제 2 구간 (S2) 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가열시의 지퍼 테이프 (320) 의 거동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머니체 (300) 에서 내용물을 가열하면, 내용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한다. 이로써,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간 (S2) 에서는,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과 제 2 면 (111B) 사이에서 가장 접합 강도가 낮은 부분, 즉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가 박리된다. 이 때, 암측 기부 조편 (323A) 에 있어서, 제 2 부분 (322) 즉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면 (323A2) 을 포함하는 부분이,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면 (323A1) 을 포함하는 나머지의 부분으로부터 박리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구간 (S2) 에서는 암측 기부 조편 (323A) 이 면 (323A2) 에서만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박리에 의해 암측 기부 조편 (323A) 의 나머지의 부분은 제 1 면 (111A) 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구간 (S2) 에서는 내용물의 가열시에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를 경유하여 수납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되어, 수증기 (ST) 의 방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 1 구간 (S1) 에서는,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이 접합 영역 (140A, 140B) 에 의해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의 양방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부분 (321) 과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각각의 사이의 접합 강도는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의 접합 강도, 및 내용물의 가열시에 있어서의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사이의 걸어맞춤 강도는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높기 때문에, 제 2 구간 (S2) 에서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가 박리되어도, 제 1 구간 (S1) 에서는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 2 구간 (S2) 에서 수증기 (ST) 가 방출되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은 상승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구간 (S1) 에서 제 2 구간 (S2) 과 같은 제 1 부분 (321) 과 제 2 부분 (322) 사이의 박리가 발생하지는 않아, 제 1 구간 (S1) 에 있어서 수납 공간 (SP) 은 외부 공간에 연통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지퍼 테이프 (320) 의 수측 기부 조편 (323B) 이 개구부 (101) 측 및 수납 공간 (SP) 측의 양방에서 접합 영역 (140B) 에 의해 필름 (110) 의 제 2 면 (111B) 에 접합되어 있는 반면, 암측 기부 조편 (323A) 은 개구부 (101) 측에서만 접합 영역 (140A) 에 의해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에 접합되고, 수납 공간 (SP) 측에서는 제 1 면 (111A) 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도 7(b) 및 도 8(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한 경우에는 제 1 면 (111A) 이 지퍼 테이프 (320) 의 개구부 (101) 측에서 되접어 꺾이고, 내압에 의한 힘은 암측 기부 조편 (323A) 및 수측 기부 조편 (323B) 을 폭 방향으로 전단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암측 기부 조편 (323A) 및 수측 기부 조편 (323B) 을 두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비해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의 걸어맞춤 강도가 향상되어, 보다 큰 내압에 대해서도 암측 걸어맞춤부 (324A) 및 수측 걸어맞춤부 (324B) 가 걸어맞춤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지퍼 테이프 (320) 의 제 1 부분 (321) 및 제 2 부분 (322) 을 각각 제 1 수지 조성물 및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하고, 필름 (110) 의 제 1 면 (111A) 및 제 2 면 (111B) 에 접합되는 지퍼 테이프 (320) 의 부분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간 (S1) 과 제 2 구간 (S2) 사이에서 상이하게 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에 의해 수납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하였을 때에 제 2 구간 (S2) 을 경유하여 안정적으로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 (320) 에 의해 주머니체 (300) 가 재봉지 가능하기 때문에, 지퍼 테이프 (320) 를 개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 공간 (SP) 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그 후 지퍼 테이프 (320) 를 재봉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이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00, 200, 300 : 주머니체
101 : 개구부
110 : 필름
111A : 제 1 면
111B : 제 2 면
120, 220 : 테이프 부재
320 : 지퍼 테이프
121, 221, 321 : 제 1 부분
122, 222, 322 : 제 2 부분
223 : 제 3 부분
140A, 140B : 접합 영역
SP : 수납 공간
C : 내용물
S1 : 제 1 구간
S2 : 제 2 구간

Claims (15)

  1.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의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한 변을 획정하고, 제 1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과는 상이한 제 2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단면 형상에 포함하는 테이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테이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제 1 구간에서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의 양방에 접합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2 면에만 접합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면에 접합되는, 주머니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면 사이의 접합 강도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면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주머니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의 실란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보다 상용성이 높은, 주머니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의 융점은,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의 융점보다 10 ℃ 이상 높은, 주머니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접합 강도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각각의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주머니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의 실란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의 각각과 상기 실란트층의 상용성은,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과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 사이의 상용성보다 높은, 주머니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 3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제 3 부분을 단면 형상에 포함하는, 주머니체.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면이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되는, 주머니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에 각각 접합되는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부 조편의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지퍼 테이프이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기부 조편의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 2 기부 조편과, 상기 제 1 기부 조편의 나머지의 부분을 형성하는, 주머니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수납 공간과는 반대측에 상기 주머니체의 개구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주머니체.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수납 공간과는 반대측에 상기 주머니체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주머니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본체는, 스탠딩 파우치를 형성하는, 주머니체.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테이프 부재와는 반대측에서 봉지되어 있지 않은, 주머니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구간 및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제 1 부분을 상기 제 2 면에 접합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구간에서는 상기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면에 접합하고, 상기 제 2 구간에서는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면에 접합하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과 상기 제 2 공정 사이에, 상기 수납 공간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이 실시되는,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KR1020207032539A 2018-05-16 2019-05-13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KR20210010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4567 2018-05-16
JP2018094567 2018-05-16
JPJP-P-2018-181787 2018-09-27
JP2018181787A JP7290929B2 (ja) 2018-05-16 2018-09-27 袋体および袋体の製造方法
PCT/JP2019/018889 WO2019221049A1 (ja) 2018-05-16 2019-05-13 袋体および袋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454A true KR20210010454A (ko) 2021-01-27

Family

ID=6872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539A KR20210010454A (ko) 2018-05-16 2019-05-13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14255B2 (ko)
JP (1) JP7290929B2 (ko)
KR (1) KR20210010454A (ko)
CN (1) CN112119020B (ko)
TW (1) TWI8057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5855B2 (ja) * 2016-01-07 2022-08-0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袋体、および袋体の製造方法
CN115666315A (zh) * 2020-06-05 2023-01-31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卡扣带、带卡扣带的容器以及带卡扣带的容器的制造方法
JP1716863S (ja) * 2021-09-02 2022-06-08 包装袋用凸部側ジッパ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6644A (ja) 2012-12-07 2013-03-07 Q P Corp レトルトクリームソース、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詰食品及びクリーム煮料理の調理又は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2970B2 (ja) * 1996-10-04 2000-02-28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電子レンジ調理食品用包装袋
JP4450639B2 (ja) 2004-02-16 2010-04-14 旭化成パックス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袋
WO2006107048A1 (ja) * 2005-04-04 2006-10-12 Dai Nippon Printing Co., Ltd. 包装袋
JP4931647B2 (ja) * 2007-03-08 2012-05-16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多層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袋
TWI326666B (en) * 2007-10-16 2010-07-01 David Lin Airtight regulating composite film for food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21591B2 (en) * 2009-08-14 2015-12-29 Cryovac, Inc. Easy open and reclosable package with discrete laminate with die-cut
JP5508900B2 (ja) * 2010-02-25 2014-06-04 小林製薬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調理袋
TWI595049B (zh) * 2011-12-16 2017-08-11 Mitsubishi Gas Chemical Co 氧吸收性樹脂組成物與使用此組成物所成的多層體、容器、噴射成形體及醫療用容器
JP5547245B2 (ja) * 2012-07-05 2014-07-09 株式会社生産日本社 減圧弁付き包装用袋
JP5901035B1 (ja) * 2014-11-07 2016-04-06 株式会社ベルグリーンワイズ 食品収納袋
JP7115855B2 (ja) * 2016-01-07 2022-08-0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袋体、および袋体の製造方法
US20190047772A1 (en) * 2016-01-21 2019-02-14 Sun A. Kaken Co., Ltd Heating pouch
JP7349286B2 (ja) * 2019-08-01 2023-09-2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6644A (ja) 2012-12-07 2013-03-07 Q P Corp レトルトクリームソース、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詰食品及びクリーム煮料理の調理又は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90929B2 (ja) 2023-06-14
US11414255B2 (en) 2022-08-16
CN112119020A (zh) 2020-12-22
JP2019202822A (ja) 2019-11-28
TW201946850A (zh) 2019-12-16
CN112119020B (zh) 2022-09-06
US20210139224A1 (en) 2021-05-13
TWI805761B (zh)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831B2 (en) Zipper tape, packing bag with zipper tap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acking bag with zipper tape
KR20210010454A (ko)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US8540428B2 (en)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method of producing the fastener tape, packaging bag with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ing bag
US8789247B2 (en) Interlock tool, bag making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JP2005329150A (ja) チャックテープ及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JPWO2006090693A1 (ja) 咬合具付きテープ
KR20200092972A (ko) 지퍼 테이프 부착 주머니, 및 지퍼 테이프 부착 주머니의 제조 방법
JPWO2016159148A1 (ja)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49286B2 (ja) 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2016098033A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
US10815043B2 (en) Tape and bag body
WO2019221049A1 (ja) 袋体および袋体の製造方法
JP2010035713A (ja) チャックテープ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US20230065515A1 (en) Zipper tape, bag provided with zipper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g provided with zipper tape
TWI803591B (zh) 袋體及袋體之製造方法
US20220332472A1 (en) Tape, zipper tape, tape-equipped container, and zipper tape-equipped container
JP4801328B2 (ja) チャックテープ、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及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の製造方法
JP2016098035A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
KR102667031B1 (ko)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용기
US20230227212A1 (en) Zipper tape, container provided with zipper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provided with zipper tape
TWI808264B (zh) 夾鏈帶及附夾鏈帶之容器
JP2022116864A (ja) テープおよびテープ付き容器
JP2016098036A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
JP2005200068A (ja) 嵌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