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338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338A
KR20210010338A KR1020200081290A KR20200081290A KR20210010338A KR 20210010338 A KR20210010338 A KR 20210010338A KR 1020200081290 A KR1020200081290 A KR 1020200081290A KR 20200081290 A KR20200081290 A KR 20200081290A KR 20210010338 A KR20210010338 A KR 2021001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haft
clutch
engaging
bearing
elasti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우메자와
다쿠미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8Axially engag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8Axially engaged
    • A01K89/0189Coaxial of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클러치 ON/OFF 상태에 관계없이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진동이나 이음을 억제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베어링(6)과 스풀축(5)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94) 사이에, 동력 전달 상태 시에 피니언 기어(15)의 단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40)와, 베어링(6)의 외륜(6a) 및 내륜(6b)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도록 스풀축(5)의 축방향에서 베어링(6)의 측부를 상시 가압하는 제2 탄성부(42)를 갖는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을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낚시용 양 축 릴에 있어서는, 릴 본체의 측판 사이(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을 권취 구동하기 위한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와 스풀을 프리 회전 상태로 하는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기구는, 핸들측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피니언 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풀의 스풀축에 대하여 피니언 기어를 결합 분리시킴으로써, 클러치를 ON/OFF로 전환한다. 이 경우, 피니언 기어는, 스풀축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 돌기부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를 단부에 갖고 있고, 클러치 기구에 의해 스풀축측으로 이동되면, 걸림 결합 오목부가 스풀축의 걸림 결합 돌기부에 걸림 결합하여 핸들의 조작력을 스풀축으로 전달하지만(클러치 ON 상태), 클러치 기구에 의해 스풀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 결합 오목부가 스풀축의 걸림 결합 돌기부로부터 이탈하여 핸들의 조작력을 스풀축으로 전달하지 않는다(클러치 OFF 상태).
그런데, 클러치 기구에 의한 이러한 동력의 연결 분리에 있어서는, 스풀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피니언 기어의 결합 분리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걸림 결합 돌기부와 걸림 결합 오목부의 걸림 결합 상태에 일정한 치수적 여유도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의 걸림 결합에 이러한 유도를 갖게 하면,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수반하는 덜컥거림에 의해, 또한 이들 양 부재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의 동심도 어긋남 등의 영향도 더해져,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가 걸림 결합하는 클러치 ON 시에, 특히 고속으로 스풀을 회전시켜 낚싯줄 권취 조작을 행할 때에, 진동이나 이음이 발생하기 쉬워, 낚시 조작의 지장으로 된다.
그 때문에, 축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스풀축 및 피니언 기어의 대향면끼리의 사이나, 회전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걸림 결합 돌기부 및 걸림 결합 오목부의 대향면끼리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켜, 이 탄성 부재에 의해 클러치 ON 시의 전술한 덜컥거림을 억제하여 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2575471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1874호 공보
이와 같이,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면, 클러치 ON 시의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 사이의 덜컥거림에 수반하는 이음 발생은 억제할 수 있지만, 양 축 릴을 사용한 실제 낚시 시에 있어서는, 클러치를 ON으로 하여 스풀에 낚싯줄을 권회하는 낚싯줄 권취 상태뿐만 아니라, 클러치를 OFF로 하여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는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도, 스풀의 회전이 반복해서 행해지는 점에서, 특히, 클러치 OFF 상태에서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는 캐스팅 조작 시에 스풀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회전 이음이 발생해 버려, 양 축 릴의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조작감의 저하가 과제로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베어링의 회전 이음은, 특히 볼 베어링의 외륜 및 내륜과 그 사이에서 전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볼(전동체)과의 사이의 약간의 간극에서 볼과 내륜 및 외륜이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지만, 클러치 ON 시뿐만 아니라 클러치 OFF 시라도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이음을 방지하여 실제 낚시 조작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시급히 요망된다.
그러나, 스풀축이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의 결합 분리가 행해지는 릴의 부분은 부품이 밀집하여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ON 시 및 클러치 OFF 시의 양쪽에 관하여 각각 회전 이음 억제에 대한 대책을 실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 바꾸어 말하면,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 사이의 결합 분리 부위 및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지지 부위라는 2개의 별개의 다른 부위에 각각 회전 이음 억제를 위한 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 클러치 ON/OFF 상태에 관계없이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진동이나 이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스풀축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마련되는 전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권취 구동 기구의 피니언 기어를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풀축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끼리를 결합 분리시킴으로써 낚싯줄 권취 가능한 동력 전달 상태와 낚싯줄 방출 가능한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풀축측의 상기 클러치 걸림 결합부 사이에, 상기 동력 전달 상태 시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단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에서 상기 베어링의 측부를 상시 가압하는 제2 탄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관한 낚시용 릴은, 동력 전달 상태 시에 피니언 기어의 단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를 갖기 때문에, 동력 전달 상태 시(클러치 ON 시)에 있어서는, 제1 탄성부가 피니언 기어의 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탄성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스풀축 및 피니언 기어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끼리의 사이의 간극에 수반하는 피니언 기어의 축방향(스러스트 방향) 및 회전 방향의 덜컥거림이 억제되어, 귀에 거슬리고 진동을 수반하는 회전 이음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실제 낚시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낚시용 릴은, 스풀축의 축방향에서 베어링의 측부를 상시 가압하는 제2 탄성부를 더 갖기 때문에, 릴 본체의 베어링 지지부의 내주에 대한 베어링의 외주부의 약간의 미동에 의한 이음 대책에 유효해질 수 있다(상기 미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 특히, 베어링이 외륜과 내륜 사이에서 전동체를 보유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볼 베어링 타입인 경우에는, 제2 탄성부가 베어링의 외륜 및 내륜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도록 스풀축의 축방향에서 베어링의 측부를 상시 가압하게 되므로, 동력 전달 상태 시(클러치 ON 시)는 물론, 동력 차단 상태 시(클러치 OFF 시)에 있어서도, 외륜 및 내륜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에 의해 외륜의 내면 및 내륜의 내면의 각각에 전동체가 접촉하고, 베어링의 회전 시라도 외륜 및 내륜과 전동체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외륜 및 내륜과 전동체 사이의 약간의 간극에서 전동체와 내륜 및 외륜이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따라서, 클러치 OFF 상태에서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는 캐스팅 조작 시에 스풀이 고속으로 회전해도, 베어링에서 회전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클러치 ON/OFF 상태에 관계없이, 바꾸어 말하면, 클러치 ON 시 및 클러치 OFF 시의 양 상태 하에서,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진동이나 이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더하여, 상기 구성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수반하는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가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스풀축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기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있어서,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 사이의 결합 분리 부위 및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지지 부위라는 2개의 별개의 다른 부위에서 각각 회전 이음 억제를 위한 대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스풀축이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의 결합 분리가 행해지는 릴의 부분은, 부품이 밀집되어 있다고는 해도, 베어링과 스풀축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 사이의 부위에서, 스풀축 및 피니언 기어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끼리의 결합 분리 동작을 지장없이 행하기 위한 거리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 이격된 기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함으로써, 2개의 별개의 다른 부위에서의 이음 발생을 한정된 공간 내에서 동시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2개의 탄성부의 설치 스페이스를 별개로 확보하는 것에 수반하는 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탄성부는, 피니언 기어의 단부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스풀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탄성부는, 외륜측에서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릴 본체측에 지지되는 베어링의 내륜을 상시 가압하여 내륜을 외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스풀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시키지 않고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이라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다른 방향으로 나뉘게 하면, 직경 방향 및 축방향 중 한쪽의 일방향에서만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는 점에서, 스페이스 확보의 자유도가 높아질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탄성부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는, 서로 별개의 탄성 부재로서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스풀축의 축방향으로 병설되도록 스풀축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와 베어링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서로 별개의 탄성 부재로서 형성하면,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그것이 달성해야 할 작용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병설됨으로써, 이들 탄성부가 상호 작용하여 클러치 ON/OFF 시에 각각 적절한 작용력을 생기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의 한쪽이 고무재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쪽이 스프링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특히,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가 달성해야 할 기능을 고려하면, 클러치 ON 시에 있어서의 클러치 결합 분리 부위에서의 이음 억제에 제공하는 제1 탄성부가 고무재(예를 들어, 고무 패킹)로 형성됨과 함께, 클러치 ON/OFF의 양 상태 하에 있어서의 베어링 지지 부위에서의 이음 억제에 제공하는 제2 탄성부가 스프링재(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풀축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는, 스풀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상의 걸림 결합 돌기부여도 되고, 또한 피니언 기어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는, 걸림 결합 돌기부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춤 상태에서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클러치 걸림 결합부끼리의 결합 분리를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 내에서 클러치 ON/OFF 상태에 관계없이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진동이나 이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낚시용 릴의 클러치 ON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낚시용 릴의 클러치 OFF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탄성부의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탄성부, 제2 탄성부 및 클러치 걸림 결합부의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의 낚시용 릴의 베어링 지지 부분의 확대 단면도, (b)는 베어링 지지 부분의 제1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 (c)는 베어링 지지 부분의 제2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 (d)는 베어링 지지 부분의 제3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도 1의 낚시용 릴의 클러치 ON 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1)은, 좌우 프레임(2a, 2b)과, 이들 좌우 프레임(2a, 2b)에 장착되는 원형상 또는 이형상의 좌우 측판(3a, 3b)에 의해 릴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2a, 2b)은, 복수의 지주를 개재하여 일체화되어 있고, 하방의 지주에는, 낚싯대의 릴 시트에 장착되는 릴 다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2a, 2b)(좌우 측판(3a, 3b)) 사이에는, 스풀축(5)이 베어링(6)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풀축(5)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5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풀축(5)을 지지하는 베어링(6)은, 외륜(6a)과 내륜(6b) 사이에서 전동체(볼)(6c)가 보유 지지기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볼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우측 프레임(2b) 및 우측판(3b)에는 베어링(8)을 개재하여 핸들축(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핸들축(9)의 단부에는 핸들(9a)이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핸들(9a)을 회전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구동력 전달 기구(권취 구동 기구)(10)를 통해 스풀(5a)로 전달되어, 스풀(5a)을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9)은, 우측판(3b)과의 사이에 개재된 구름식의 일방향 클러치(11)(역전 방지 기구)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2b)과 우측판(3b) 사이에는, 구동력 전달 기구(10)의 구동력의 전달을 결합 분리하는 공지의 클러치 기구(12)와, 낚시 시에 스풀(5a)로부터 낚싯줄이 조출된 때에 스풀(5a)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공지의 드래그 기구(13)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핸들(9a)의 근방에는, 드래그 기구(13)에 의한 드래그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드래그 조정 노브(13a)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스풀(5a)의 전방측에는, 스풀(5a)에 대하여 낚싯줄을 균일하게 평행 감기하기 위한 레벨와인드 기구(5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풀(5a)의 후방측(스풀(5a)에 대하여 레벨와인드 기구(50)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의 좌우 프레임(2a, 2b)(좌우 측판(3a, 3b)) 사이에는, 스풀(5a)에 대는 손가락(엄지손가락)을 올려놓을 수 있는 손가락 댐 부재(섬 레스트)로서의 기능도 갖는 클러치 기구(12)의 조작 부재(전환 조작 부재)(21)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력 전달 기구(10)는, 핸들축(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기어(14)와, 이 구동 기어(14)에 맞물리는 피니언(피니언 기어)(15)을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15)은, 스풀축(5)과 동축적으로 연장 돌출되는 피니언축(5b)(스풀축(5)과 일체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되는) 상에 마련되어 있고, 피니언축(5b)과 함께 베어링(19A, 19B)을 개재하여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니언축(5b)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15)의 외주에는 원주 홈(1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 홈(15a)에는, 피니언(1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러치 기구(12)를 구성하여 공지와 같이 스풀(5a)측에 스프링 재료에 의해 가압되는 요크(22)가 걸림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도 1을 반전시켜 상하 반대로 하여 도시되어 있음; 도 4, 도 5, 도 7도 마찬가지)에 확대하여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풀축(5)은, 해당 스풀축(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상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로서의 걸림 결합 돌기부(94)를, 피니언(15)과 대향하는 측의 단부에 갖는다. 또한, 피니언(15)은, 스풀축(5)의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춤 상태에서 걸림 결합하는 클러치 걸림 결합부로서의 걸림 결합 오목부(92)를, 스풀축(5)과 대향하는 측의 단부에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레버로서 구성되는 조작 부재(21)에,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작 부재(21)를 압박 조작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압입 조작하면), 클러치 기구(12)의 공지의 클러치 캠, 요크(22)에 의해 피니언(15)이 스풀축(5)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피니언축(5b)을 따라 우측판(3b)측으로 이동되고, 그것에 의해, 피니언(15)의 걸림 결합 오목부(92)가 스풀축(5)의 걸림 결합 돌기부(94)로부터 이탈하고(도 3 참조), 핸들(9a)의 조작력을 스풀축(5)(스풀(5a))으로 전달하지 않는 클러치 OFF 상태(낚싯줄 방출 가능한 동력 차단 상태)로 되어, 스풀(5a)을 자유롭게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 클러치 OFF 상태에서, 조작 부재(21)를 원래의 위치로 위로 올리도록 조작하면, 혹은, 핸들(9a)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공지의 자동 복귀 기구를 작동시키면, 스풀(5a)측으로 가압된 요크(22)에 의해 피니언(15)이 피니언축(5b)을 따라 스풀(5a)측으로 이동되고, 그것에 의해, 피니언(15)의 걸림 결합 오목부(92)가 스풀축(5)의 걸림 결합 돌기부(94)에 끼워 맞춤 상태에서 걸림 결합하고(도 1 및 도 2 참조), 핸들(9a)의 조작력(구동 기어(14)의 회전 구동력)을 스풀축(5)(스풀(5a))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ON 상태(낚싯줄 권취 가능한 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 스풀(5a)의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클러치 기구(12)는, 공지의 구분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ON 상태 및 클러치 OFF 상태의 양 상태로 구분하여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기구(12)에 의한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걸림 결합 오목부(92)의 결합 분리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종전과 같이,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걸림 결합 오목부(92)의 걸림 결합 상태에 일정한 치수적 유도를 갖게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걸림 결합 오목부(92)의 걸림 결합에 이러한 유도를 갖게 하면, 이들 클러치 걸림 결합부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수반하는 덜컥거림 등에 의해,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걸림 결합 오목부(92)가 걸림 결합하는 클러치 ON 시에, 특히 고속으로 스풀을 회전시켜 낚싯줄 권취 조작을 행할 때에, 진동이나 이음이 발생하기 쉬워, 낚시 조작의 지장으로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축(5)을 지지하는 베어링(6)(우측 프레임(2b)측의 베어링(6))과 걸림 결합 돌기부(94) 사이에, 걸림 결합 오목부(92)를 형성하는 피니언(15)의 단부에 대하여 클러치 ON 시(동력 전달 상태 시)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40)를 갖는다. 이 제1 탄성부(4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부재, 특히 고무재(예를 들어, 고무 패킹)로 형성되어 있고, 스풀축(5)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상의 기부(40b)와, 피니언(15)의 단부의 접촉 시에 탄성적으로 변형(도 2에는, 변형 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변형 후를 실선으로 나타냄)될 수 있도록 기부(40b)의 일단으로부터 스풀축(5)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환상의 직경 방향 연장부(40a)를 갖는다. 이 경우, 기부(40b)는, 그 타단이 걸림 결합 돌기부(94)의 외주에 축방향으로부터 맞닿도록 위치 결정되고, 또한 직경 방향 연장부(40a)는, 기부(40)의 일단으로부터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됨과 함께, 클러치 ON 시에 피니언(15)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는 직경(스풀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제1 탄성부(40)는, 클러치 ON 시에 피니언(15)의 단부가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베어링(6)측을 향해 탄성 변형되고, 그 접촉압으로 스풀축(5)에 대한 피니언(15)의 축방향 및 회전 방향의 움직임(걸림 결합 돌기부(94)와 걸림 결합 오목부(92) 사이의 간극에 수반하는 덜컥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축(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으로서 볼 베어링이 채용되고, 따라서, 특히 클러치 OFF 상태에서 스풀(5a)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는 캐스팅 조작 시에 스풀(5a)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외륜(6a) 및 내륜(6b)과 그 사이에서 전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전동체(6c) 사이의 약간의 간극에서 전동체(6c)와 내륜(6b) 및 외륜(6a)이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함으로써 이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6)과 걸림 결합 돌기부(94) 사이에, 베어링(6)의 외륜(6a) 및 내륜(6b)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도록 스풀축(5)의 축방향에서 베어링(6)의 측부를 상시 가압하는 제2 탄성부(42)를 갖는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탄성부(42)는, 베어링(6)의 내륜(6b)을 상시 가압하여 내륜(6b)을 외륜(6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스풀축(5)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탄성부(4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탄성부(40)와는 별개의 탄성 부재, 특히 스프링재(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로 형성되어 있고, 스풀축(5)의 외주에 끼워 맞추는 관상체를 이룬다. 또한, 제2 탄성부(42)는, 그 일단이 베어링(6)(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6b))에 축방향으로부터 접촉함과 함께, 그 타단이 제1 탄성부(기부(40b))에 축방향으로부터 맞닿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탄성부(40, 42)는,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스풀축(5)의 축방향으로 병설되도록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베어링(6) 사이에 개재 삽입된다.
이러한 제2 탄성부(42)는, 클러치 ON 시는 물론, 클러치 OFF 시에 있어서도, 외륜(6a) 및 내륜(6b)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를 일으켜 외륜(6a)의 내면 및 내륜(6b)의 내면의 각각에 전동체(6c)를 접촉시켜, 베어링(6)의 회전 시라도 외륜(6a) 및 내륜(6b)과 전동체(6c)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러한 제2 탄성부(42)에 의한 외륜(6a)에 대한 내륜(6b)의 축방향 상대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어링(6)은, 외륜(6a)측에서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릴 본체측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도 3 및 도 6의 (a)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6)에는, 그 외륜(6a)의 외주에 환상의 캡(부쉬)(70)이 압입 끼워 맞추어 설치되어 있고, 이 캡(70)이 릴 본체의 우측 프레임(2b)의 지지부(2ba) 내에 착탈 가능하게 압입 끼워 맞추어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베어링(6)은, 캡(70)을 개재한 압입에 의해, 외륜(6a)측에서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릴 본체측에 지지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캡(70)은, SUS에 의해 형성되어 스풀축(5)과 함께 일체의 유닛을 형성하고 있고, 릴 본체에 대한 스풀축(5)의 착탈 시에는 스풀축(5)과 일체로 릴 본체측에 대하여 탈착된다.
또한, 캡(70)의 외주와 지지부(2ba) 사이에 O링(72)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고, 캡(70)은, 지지부(2ba)에 착탈 가능한 정도로 마찰력이 부여되어 있음과 함께, 베어링(6)의 진동도 흡수된다.
도 6의 (b) 내지 (d)에는, 베어링(6)을 그 외륜(6a)측에 있어서 축방향 이동 규제 상태로 릴 본체측에 지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b)에서는, 전술한 캡(70)을 수반하는 일 없이 베어링(6)이 직접 지지부(2ba) 내에 착탈 가능하게 압입 끼워 맞추어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c)는, 도 6의 (b)의 구조에 더하여, 지지부(2ba)의 내주면과 베어링(6)의 외륜(6a)의 외주면 사이에 환상의 O링(72)이 개재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O링(72)은, 지지부(2ba)의 내주면의 오목 홈 내에 감입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d)에서는, 지지부(2ba)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베어링(6)의 외륜(6a)의 단부 테두리에 닿는 고정륜(74)에 의해, 걸림 결합 돌기부(9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베어링(6)의 축방향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이 경우도, 고정륜(74)은, 지지부(2ba)의 내주면의 오목 홈 내에 감입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1)은, 동력 전달 상태 시에 피니언(15)의 단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1 탄성부(40)를 갖기 때문에, 동력 전달 상태 시(클러치 ON시)에 있어서는, 제1 탄성부(40)가 피니언(15)의 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탄성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스풀축(5) 및 피니언(15)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92, 94)끼리의 사이의 간극에 수반하는 피니언(15)의 축방향(스러스트 방향) 및 회전 방향의 덜컥거림이 억제되고, 귀에 거슬리고 진동을 수반하는 회전 이음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실제 낚시 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1)은, 베어링(6)의 외륜(6a) 및 내륜(6b)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도록 스풀축(5)의 축방향에서 베어링(6)의 측부를 상시 가압하는 제2 탄성부(42)를 더 갖기 때문에, 동력 전달 상태 시(클러치 ON 시)는 물론, 동력 차단 상태 시(클러치 OFF 시)에 있어서도, 외륜(6a) 및 내륜(6b)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에 의해 외륜(6a)의 내면 및 내륜(6b)의 내면의 각각에 전동체(6c)가 접촉하고, 베어링(6)의 회전 시라도 외륜(6a) 및 내륜(6b)과 전동체(6c)가 안정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외륜(6a) 및 내륜(6b)과 전동체(6c) 사이의 약간의 간극에서 전동체(6c)와 내륜(6b) 및 외륜(6a)이 접촉 및 이격을 반복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따라서, 클러치 OFF 상태에서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하는 캐스팅 조작 시에 스풀이 고속으로 회전해도, 베어링(6)에서 회전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수반하는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가 스풀축(5)을 지지하는 베어링(6)과 스풀축(5)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걸림 결합 돌기부)(94)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기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있어서, 스풀축(5)과 피니언(15) 사이의 결합 분리 부위 및 스풀축(5)을 지지하는 베어링(6)의 지지 부위라는 2개의 별개의 다른 부위에서 각각 회전 이음 억제를 위한 대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스풀축(5)이 베어링(6)에 의해 지지되고 스풀축(5)과 피니언(15)의 결합 분리가 행해지는 릴의 부분은, 부품이 밀집되어 있다고는 해도, 베어링(6)과 걸림 결합 돌기부(94) 사이의 부위에서,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걸림 결합 오목부(92)의 결합 분리 동작을 지장없이 행하기 위한 거리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이격된 기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함으로써, 2개의 별개의 다른 부위에서의 이음 발생을 한정된 공간 내에서 동시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2개의 탄성부(40, 42)의 설치 스페이스를 별개로 확보하는 것에 수반하는 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탄성부(40)는, 피니언(15)의 단부와의 접촉 시에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스풀축(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탄성부(42)는, 외륜(6a)측에서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릴 본체측에 지지되는 베어링(6)의 내륜(6b)을 상시 가압하여 내륜(6b)을 외륜(6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스풀축(5)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시키지 않고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이라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나뉘게 하면, 직경 방향 및 축방향 중 한쪽의 일방향에서만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는 점에서, 스페이스 확보의 자유도가 높아질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탄성부(40, 42)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 탄성부(40, 42)의 설치 면적을 더욱 작게 하기 위해, 제1 탄성부(40)의 기부(40b)를 배제하거나 또는 기부(40b)의 축방향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는, 서로 별개의 탄성 부재로서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병설되도록 걸림 결합 돌기부(94)와 베어링(6)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를 서로 별개의 탄성 부재로서 형성하면,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를 그것이 달성해야 할 작용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가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병설됨으로써, 이들 탄성부(40, 42)가 상호 작용하여 클러치 ON/OFF 시에 각각 적절한 작용력을 생기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제1 탄성부(4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제1 탄성부(40)의 기부(40b) 및 직경 방향 연장부(40a)가, 예를 들어 경질의 수지재에 의해 일체 형성됨과 함께, 기부(40b)의 외주에 제2 탄성부(42)(코일 스프링)가 권회된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40) 자체는 탄성을 갖고 있지 않고, 클러치 ON 시에는 제2 탄성부(4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탄성부(40)의 직경 방향 연장부(40a)가 피니언(15)의 단부면에 맞닿아지고, 이로써, 제1 탄성부(40)가 피니언(15)의 단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도 5는, 제1 탄성부, 제2 탄성부 및 클러치 걸림 결합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스풀축(5)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가 단면 비원형 볼록부(94A)에 의해 형성되고, 피니언(15)측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는, 클러치 ON 시에 단면 비원형 볼록부(94A)와 끼워 맞춤 상태에서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 가능한 단면 비원형 오목부(92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피니언축(5)은 스풀축(5)과 일체를 이루고, 따라서, 스풀축(5)이 피니언(15)의 내측 구멍에 관통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는 스풀축(5)의 외주에 설치된 고정륜(89)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7에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제1 탄성부(40)와 제2 탄성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일체화된 탄성부(40A)는, 스풀축(5)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 베어링(6)과 걸림 결합 돌기부(94)에 각각 단부가 탄성적으로 맞닿는 통상체의 도중 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환상체가 연장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고, 전술한 실시 형태의 제1 탄성부(40)의 기부(40b)에 상당하는 제1 통상 부분(40Ab)과, 전술한 실시 형태의 제1 탄성부(40)의 직경 방향 연장부(40a)에 상당하는 환상 부분(40Aa)과, 전술한 실시 형태의 제2 탄성부(42)에 상당하는 제2 통상 부분(40Ac)을 갖고 고무재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혹은, 별도의 변형예에서는, 제1 및 제2 탄성부(40, 42)가 스프링재에 의해 선상 또는 판상으로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술한 실시 형태의 제1 탄성부(40) 및 제2 탄성부(42)를 일체로 형성하면, 제1 및 제2 탄성부(40, 42)를 저렴하고 또한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릴 본체에 대한 이들 탄성부의 내장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탄성부의 형태 및 재료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부의 서로에 대한 배치 형태도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축 및 피니언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 돌기부 및 걸림 결합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클러치 걸림 결합부의 형태도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해도 되고, 혹은, 전술한 실시 형태 중 하나로부터 구성의 일부가 생략되어도 된다.
1: 낚시용 릴
3a, 3b: 측판
5: 스풀축
5a: 스풀
6: 베어링
6a: 외륜
6b: 내륜
6c: 전동체
10: 구동력 전달 기구(권취 구동 기구)
12: 클러치 기구
15: 피니언(피니언 기어)
21: 조작 부재(전환 조작 부재)
40: 제1 탄성부
42: 제2 탄성부
92: 걸림 결합 오목부(클러치 걸림 결합부)
94: 걸림 결합 돌기부(클러치 걸림 결합부)

Claims (5)

  1.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스풀축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마련되는 전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권취 구동 기구의 피니언 기어를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풀축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클러치 걸림 결합부끼리를 결합 분리시킴으로써 낚싯줄 권취 가능한 동력 전달 상태와 낚싯줄 방출 가능한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풀축측의 상기 클러치 걸림 결합부 사이에,
    상기 동력 전달 상태 시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단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 탄성부와,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에서 상기 베어링의 측부를 상시 가압하는 제2 탄성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외륜과 내륜 사이에서 전동체가 보유 지지되어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외륜측에서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상기 릴 본체측에 지지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단부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풀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베어링의 상기 내륜을 상시 가압하여 상기 내륜을 상기 외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으로 병설되도록 상기 스풀축측의 상기 클러치 걸림 결합부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개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한쪽이 고무재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쪽이 스프링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측의 상기 클러치 걸림 결합부는, 상기 스풀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상의 걸림 결합 돌기부이고, 상기 피니언 기어측의 상기 클러치 걸림 결합부는, 상기 걸림 결합 돌기부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춤 상태로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200081290A 2019-07-17 2020-07-02 낚시용 릴 KR20210010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31705A JP7140722B2 (ja) 2019-07-17 2019-07-17 魚釣用リール
JPJP-P-2019-131705 2019-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338A true KR20210010338A (ko) 2021-01-27

Family

ID=7417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290A KR20210010338A (ko) 2019-07-17 2020-07-02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2949B2 (ko)
JP (1) JP7140722B2 (ko)
KR (1) KR20210010338A (ko)
CN (1) CN1122371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471Y2 (ja) 1992-12-11 1998-06-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構造
JP2008271874A (ja) 2007-04-27 2008-11-1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969B1 (en) * 1987-08-28 2001-04-17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anti-reverse mechanism
JP4451773B2 (ja) * 2004-12-27 2010-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06189093A (ja) * 2005-01-06 2006-07-20 Favess Co Ltd 回転軸の連結構造
JP2006246721A (ja) * 2005-03-08 2006-09-2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5159479B2 (ja) 2008-07-08 2013-03-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ATE538647T1 (de) 2008-07-08 2012-01-15 Shimano Kk Bremsmechanismus für doppelt gelagerte angelrolle
JP5205176B2 (ja) * 2008-08-1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CN202603432U (zh) * 2012-05-29 2012-12-19 宁波市北仑海伯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自由线轮的降噪结构
JP6467218B2 (ja) * 2014-12-19 2019-02-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401689B2 (ja) * 2015-11-10 2018-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CN105545946A (zh) * 2016-03-04 2016-05-04 苏州市东吴滚针轴承有限公司 一种转向器用弹性角接触球轴承
JP6923313B2 (ja) * 2016-12-09 2021-08-1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471Y2 (ja) 1992-12-11 1998-06-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構造
JP2008271874A (ja) 2007-04-27 2008-11-1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0722B2 (ja) 2022-09-21
CN112237173A (zh) 2021-01-19
US11252949B2 (en) 2022-02-22
JP2021016309A (ja) 2021-02-15
US20210015083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835B2 (en) Steering system
WO2014119369A1 (ja) 回転伝達装置
JP6251063B2 (ja) 回転伝達装置
JP2019115292A (ja) 両軸受リール
KR20210010338A (ko) 낚시용 릴
CN114762493A (zh) 双轴承渔线轮
JP6401689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6402928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3804160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7306953B2 (ja) クラッチ装置
JP2003118412A (ja) 車両用手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構造
JP4038978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2006246721A (ja) 魚釣用リール
JP3937517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4761208B2 (ja) 軸受装置
JP3752680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4877491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及び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の組付方法
JP2019011868A (ja) 電磁石によるアーマチュアの吸着構造
JP3864475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2006010023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2005172137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2018048744A (ja) アーマチュアとロータの吸着構造
JP2005076718A (ja) 回転伝達装置
JP2005188528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2005163999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