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657A -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 - Google Patents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657A
KR20210002657A KR1020207034127A KR20207034127A KR20210002657A KR 20210002657 A KR20210002657 A KR 20210002657A KR 1020207034127 A KR1020207034127 A KR 1020207034127A KR 20207034127 A KR20207034127 A KR 20207034127A KR 20210002657 A KR20210002657 A KR 2021000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closing member
claw opening
chuck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897B1 (ko
Inventor
히로시 나가오사
Original Assignee
호와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와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와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01Protection against entering of chips or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8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pivotally movable in planes containing the axis of the chu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6Seal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6Sealed joints
    • B23B2231/365Sealed joints using O-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26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발톱 개폐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 씰부가 마련되어 있다. 씰부는,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와, 제1 맞닿음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
본 발명은, 지지 부재와 발톱 개폐 부재 사이의 틈을 씰하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작 기계에서 이용되는 요동식 척의 척 본체에는, 복수의 수용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각 수용구멍에는, 선단에 파악발톱(把握爪, grasping claw)이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가 요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척 본체 중 파악발톱 측의 단부에, 지지 부재가 고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는, 발톱 개폐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또, 척 본체에는, 가이드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가이드구멍에는, 척 축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 부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각 발톱 개폐 부재가 요동하고, 파악발톱에 의해서 워크를 클램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와 발톱 개폐 부재 사이에 씰 구조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 부재와 발톱 개폐 부재 사이의 틈이 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씰 구조로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지지 부재의 내주면 측에 형성되는 홈에 씰 부재를 장착하는 구조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단차부(턱이진 부분)와 뚜껑 부재에 의해서 씰 부재를 고정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8-73809호 일본특허공보 특허 제5892471호
상기의 요동식 척에서는, 워크를 가공한 후, 척에 부착한 절삭분(切粉)이나 슬러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고압의 에어나 쿨런트가 내뿜어진다. 그런데, 상기 고압의 에어나 쿨런트에 의해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이 지지 부재와 발톱 개폐 부재 사이의 틈에 밀어넣어지고, 그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에 의해서 씰 부재의 맞닿음면에 상처가 형성되어, 이 상처에 의해서 누설 통로가 형성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2와 같은 씰 구조에서는, 이 누설 통로가 형성되면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이 척 본체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또, 척 본체 내에 있는 윤활제가 척 본체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곤란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누설 통로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씰 부재를 교환하는 타이밍이 앞당겨지는(빨라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 부재와 발톱 개폐 부재 사이의 틈의 씰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척 본체의 수용구멍에 요동가능하게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로서, 선단에 파악발톱이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척 본체 중 상기 파악발톱 측의 단부(端部)에 마련된 지지 부재로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틈을 씰하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로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마련된 씰부를 구비하고,
상기 씰부는,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當接部)와, 상기 제1 맞닿음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있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요동식 척의 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상기 제1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제1 씰 부재와, 상기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씰 부재와는 다른 제2 씰 부재를 가지고 있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요동식 척의 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씰 부재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복수의 상기 제1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있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요동식 척의 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상기 제1 맞닿음부 및 상기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단일의 씰 부재로 구성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척 본체의 수용구멍에 요동가능하게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로서, 선단에 파악발톱이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척 본체 중 상기 파악발톱 측의 단부에 마련된 지지 부재로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지지 부재와,
상기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의 틈을 씰하는, 상술한 요동식 척의 씰 구조를 구비한 요동식 척을 제공한다.
상술한 요동식 척의 씰 구조에 있어서,
척 축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발톱 개폐 부재를 요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 부재와 발톱 개폐 부재 사이의 틈의 씰을 장기간 유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요동식 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요동식 척의 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요동식 척은, 공작 기계에서 워크를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요동식 척(1)은, 척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척 본체(2)는, 앞쪽몸체(3)와, 뒤쪽몸체(4)를 구비하고 있다. 앞쪽몸체(3)의 후단면(前端面)은, 부착 볼트(도시하지 않는다)에 의해서 뒤쪽몸체(4)로 막혀(폐색되어) 있고, 척 본체(2)의 내측에 내부 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척 본체(2)의 척 축선(CL) 상에는 구동 부재(6)가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척 축선(CL)을 따르는 방향, 즉 전방(도 2에 있어서의 우측) 및 후방(도 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앞쪽몸체(3) 및 뒤쪽몸체(4)에는 가이드구멍(7, 8)이 마련되어 있다. 각 가이드구멍(7, 8)에 걸쳐서 상기 구동 부재(6)가 안내되고 있다. 즉, 구동 부재(6)는, 척 축선(CL)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가이드구멍(7, 8) 내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동 부재(6)에는, 걸림홈(係止溝)(6a)이 마련되어 있다. 발톱 개폐 부재(9)에는, 걺부(係止部)(9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걺부(9a)는, 걸림홈(6a)에 걸어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구멍(7)을 막도록, 앞쪽몸체(3)에는, 제1 스토퍼 부재(10)와 제2 스토퍼 부재(11)를 포함하는 스토퍼 부재(12)가 볼트 부재(13)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앞쪽몸체(3)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단차식(턱이진) 수용구멍(14)이 원주 방향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척 본체(2)의 앞쪽몸체(3)의 전단부(前端部)(후술하는 파악발톱(19) 측의 단부)에는, 지지 부재(15)가 볼트 부재(도시하지 않는다)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15)는, 발톱 개폐 부재(9)의 후술하는 구면부(9b)의 외주면(9c)에 대향하는 내주면(15a)을 가지고 있다. 내주면(15a)은, 구면부(9b)의 외주면(9c)과 동심모양(同心狀)으로 구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척 본체(2)의 수용구멍(14)에는, 발톱 개폐 부재(9)가 요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발톱 개폐 부재(9)의 전단(선단)에는, 파악발톱(19)이 마련되어 있다. 파악발톱(19)은, 수용구멍(14)에는 수용되어 있지 않고, 척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구멍(14)의 바깥쪽으로부터 파악발톱(19)은, 선단에 볼트 부재(16)에 의해서 부착된 제1 파악발톱(17)과, 볼트 부재(32)(도 1 참조)에 의해서 제1 파악발톱(17)에 부착된 제2 파악발톱(18)을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15)는, O링(20)을 거쳐 앞쪽몸체(3)의 전단부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 O링(20)에 의해서, 앞쪽몸체(3)와 지지 부재(15) 사이의 틈을 통해서 척 본체(2)의 외부로부터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척 본체(2)의 내부로부터 윤활제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앞쪽몸체(3)에는, 수용구멍(14)을 가로지르도록 지지축(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21)에, 발톱 개폐 부재(9)가 축지지되어 있다. 발톱 개폐 부재(9)는 구면부(9b)를 가지고 있다. 구면부(9b)는, 지지 부재(15)의 내주면(15a)에 대향하는 구모양(球狀)의 외주면(9c)을 포함하고 있다. 외주면(9c)은,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한 구면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또, 발톱 개폐 부재(9)의 후단부(前端部)에는 볼트 부재(22)에 의해서 블록(23)이 부착되어 있다. 척(1)의 회전시에 블록(23)에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발톱 개폐 부재(9)의 후단부에 척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발톱 개폐 부재(9)의 파악발톱(19)에는 척 반경 방향 내측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생겨, 워크(W)를 계속해서 파지(把持, grip)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에는 씰 구조(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씰 구조(24)에 의해,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이, 씰되어 있다.
이 씰 구조(24)는,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에 마련된 씰부(24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씰부(24a)는, 고리모양(環狀)의 제1 씰 부재(25)와, 고리모양의 제2 씰 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씰 부재(25)는, 단일의 제1 맞닿음부(25a)를 포함하고, 제2 씰 부재(26)는, 단일의 제2 맞닿음부(26a)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씰 부재(25)는,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에 적응한 씰 부재로 해도 좋다. 제2 씰 부재(26)는, 윤활제에 적응한 씰 부재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씰 부재(26)에는, O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지지 부재(15)에는, 내주면(15a)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단차식 구멍(段付孔)(15b)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차식 구멍(15b)은, 대경부(15c)와 소경부(15d)를 포함하고 있다. 대경부(15c)는, 소경부(15d)보다도, 파악발톱(19) 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소경부(15d)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단차식 구멍(15b)의 대경부(15c)에는 제1 씰 부재(25)가 끼워맞춰져 있다. 지지 부재(15)에는, 마개(蓋) 부재(27)가 고착되어 있다. 제1 씰 부재(25)는, 척 축선(CL)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이 마개 부재(27)와 지지 부재(15)에 의해서 협지(挾持)되어 있다. 제1 씰 부재(25)의 내주측에 마련된 제1 맞닿음부(25a)는, 발톱 개폐 부재(9)의 구면부(9b)에 맞닿아 있다. 이 제1 씰 부재(25)에 의해서,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이 척 본체(2)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단차식 구멍(15b)의 소경부(15d)에, 제2 씰 부재(26)가 끼워맞춰져 있다. 제2 씰 부재(26)는, 척 축선(CL)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씰 부재(25)와 지지 부재(15)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다. 즉, 제2 씰 부재(26)는, 제1 씰 부재(25)를 거쳐 마개 부재(27)와 지지 부재(15)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고, 제1 씰 부재(25)와 제2 씰 부재(26)는 서로 맞닿아 있다. 제2 씰 부재(26)의 내주측에 마련된 제2 맞닿음부(26a)는, 발톱 개폐 부재(9)의 구면부(9b)에 맞닿아 있다. 이 제2 씰 부재(26)에 의해서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통해서 척 본체(2) 내부로부터 윤활제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의 요동식 척(1)은, 척 본체(2)에 구비한 부착 볼트(29)에 의해 선반(旋盤) 등의 공작 기계의 주축부(30)의 전단에 고착되고, 주축부(30)의 회전과 함께 척 본체(2)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축부(30)의 후단에 설치된 회전 실린더(도시하지 않는다)의 피스톤(도시하지 않는다)에 연접봉(connecting rod)(31)을 거쳐 구동 부재(6)가 연결되고,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구동 부재(6)가 척 축선(CL)을 따르는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피스톤을 후퇴시키면, 발톱 개폐 부재(9)가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회동하는 파악발톱(19)이 워크(W)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피스톤을 전진시키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회동하는 파악발톱(19)이 워크(W)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척(1)을 이용해서 워크(W)를 가공한 후, 척(1)에 부착한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을 없애기(제거하기) 위해서 고압의 에어나 쿨런트가 척(1)의 전방으로부터 내뿜어진다. 그러면,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이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에 밀어넣어지고,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에 의해서 씰 개소(맞닿음부(25a, 26a) 중 발톱 개폐 부재(9)의 구면부(9b)에 접해 있는 개소)에 상처가 형성되고, 이 상처에 의해서 누설 통로가 형성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씰 구조(24)에서는,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제1 맞닿음부(25a)를 포함하는 제1 씰 부재(25) 및 제2 맞닿음부(26a)를 포함하는 제2 씰 부재(26)에 의해서 씰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의 씰 부재에 상처에 의한 틈이 형성되어도 그밖의 씰 부재에 의해서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장기간 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씰 부재(25)의 제1 맞닿음부(25a)는 발톱 개폐 부재(9)에 맞닿기 때문에, 제1 씰 부재(2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씰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摺動)측인 발톱 개폐 부재(9)와 제1 씰 부재(25)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씰 부재(26)의 제2 맞닿음부(26a)가 발톱 개폐 부재(9)에 맞닿기 때문에, 제2 씰 부재(26)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씰할 수 있고, 슬라이딩측인 발톱 개폐 부재(9)와 제2 씰 부재(26)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씰부(24a)에 의해서 씰할 수 있고, 씰부(24a)가, 발톱 개폐 부재(9)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25a)와, 제1 맞닿음부(25a)와는 다른 위치에서 발톱 개폐 부재(9)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26a)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맞닿음부에 상처에 의한 틈이 형성되었다고 해도 그밖의 맞닿음부에 의해서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씰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씰 구조(24)의 씰부(24a)는, 제1 씰 부재(25)와, 제1 씰 부재(25)와는 다른 제2 씰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씰 부재(25) 및 제2 씰 부재(26) 중의 한쪽을, 척 본체(2)의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절삭분이나 슬러지 등에 적응한 씰 부재로 하고, 다른쪽을, 척 본체(2)의 내부에 있는 윤활제에 적응한 씰 부재로 할 수가 있다. 즉, 제1 씰 부재(25)와 제2 씰 부재(26)를 다른 용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지지 부재(15)와 발톱 개폐 부재(9)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씰할 수 있고, 씰을 장기간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씰 부재(25)가, 단일의 제1 맞닿음부(25a)를 포함하고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씰 부재(25)는, 돌기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맞닿음부(25a)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씰 부재(25)와 제2 씰 부재(26)로, 3개소 이상에서 발톱 개폐 부재(9)에 맞닿게 할 수 있고, 발톱 개폐 부재(9) 측에 있어서의 씰 개소수를 늘릴 수 있고, 제1 씰 부재(25)를 교환하는 타이밍을 늦추는(즉, 씰 부재의 사용 기간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씰 부재(25)는, 2개의 제1 맞닿음부(25a)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2개의 제1 맞닿음부(25a)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톱 개폐 부재(9)의 구면부(9b)의 외주면(9c)에 맞닿는다.
또,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씰 구조(24)가, 제1 맞닿음부(25a)를 포함하는 제1 씰 부재(25)와, 제2 맞닿음부(26a)를 포함하는 제2 씰 부재(26)를 가지고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 구조(24)의 씰부(24a)는, 단일의 씰 부재(28)에 의해서 구성되어, 이 씰 부재(28)가, 돌기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맞닿음부(28a)를 포함하고, 각각의 맞닿음부(28a)가, 발톱 개폐 부재(9)의 구면부(9b)에 서로 다른 위치에서 맞닿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씰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씰 부재를 교환하는 타이밍을 늦출(즉, 씰 부재의 사용 기간을 길게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 부재(28)가, 2개의 맞닿음부(28a)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2개의 맞닿음부(28a)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톱 개폐 부재(9)의 구면부(9b)에 맞닿는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부(24a)가 단일의 씰 부재(28)에 의해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단차식 구멍(15b)은, 소경부(15d)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Claims (6)

  1. 척 본체의 수용구멍에 요동가능하게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로서, 선단에 파악발톱이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척 본체 중 상기 파악발톱측의 단부에 마련된 지지 부재로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틈을 씰하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로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마련된 씰부를 구비하고,
    상기 씰부는,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와, 상기 제1 맞닿음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있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상기 제1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제1 씰 부재와, 상기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씰 부재와는 다른 제2 씰 부재를 가지고 있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 부재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맞닿는 복수의 상기 제1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있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상기 제1 맞닿음부 및 상기 제2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단일의 씰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요동식 척의 씰 구조.
  5. 척 본체의 수용구멍에 요동가능하게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로서, 선단에 파악발톱이 마련된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척 본체 중 상기 파악발톱 측의 단부에 마련된 지지 부재로서, 상기 발톱 개폐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지지 부재와,
    상기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발톱 개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의 틈을 씰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요동식 척의 씰 구조를 구비한, 요동식 척.
  6. 제 5 항에 있어서,
    척 축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발톱 개폐 부재를 요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더 구비한, 요동식 척.
KR1020207034127A 2018-04-27 2019-04-18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 KR102484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7038A JP7068629B2 (ja) 2018-04-27 2018-04-27 揺動式チャックのシール構造
JPJP-P-2018-087038 2018-04-27
PCT/JP2019/016606 WO2019208379A1 (ja) 2018-04-27 2019-04-18 揺動式チャックのシール構造および揺動式チャ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57A true KR20210002657A (ko) 2021-01-08
KR102484897B1 KR102484897B1 (ko) 2023-01-05

Family

ID=6829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27A KR102484897B1 (ko) 2018-04-27 2019-04-18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99759A1 (ko)
EP (1) EP3785832A4 (ko)
JP (1) JP7068629B2 (ko)
KR (1) KR102484897B1 (ko)
CN (1) CN112074364B (ko)
TW (1) TWI702098B (ko)
WO (1) WO2019208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3818B (zh) * 2019-03-27 2024-05-17 丰和工业株式会社 卡盘的防尘机构和卡盘
CN113070502A (zh) * 2021-04-01 2021-07-06 浙江京速机床附件有限公司 一种强力卡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3809A (ja) 2006-09-22 2008-04-03 Howa Mach Ltd チャック
JP2008223900A (ja) * 2007-03-13 2008-09-25 Nok Corp シーリングシステム
JP5892471B2 (ja) 2012-04-04 2016-03-23 豊和工業株式会社 揺動引込み式チャック
KR20180025696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풀다운 척의 베어링 레이스 실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457A (en) * 1960-06-02 1963-07-30 Woodworth Co N A Chuck
JP4126333B2 (ja) * 1997-02-12 2008-07-30 Smc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式エアチャック
JP4466903B2 (ja) 2003-02-07 2010-05-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回転体及び減速機
EP1757390A1 (de) * 2005-08-25 2007-02-28 SMW-AUTOBLOK Spannsysteme GmbH Wellenspannfutter
JP4304631B2 (ja) * 2006-07-31 2009-07-29 Smc株式会社 チャック装置
JP4811261B2 (ja) * 2006-12-12 2011-11-0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シール材の圧入装置
DE502007002068D1 (de) 2007-09-27 2009-12-31 Smw Autoblok Spannsysteme Gmbh Kraftspannfutter
JP4983584B2 (ja) 2007-12-14 2012-07-25 豊和工業株式会社 揺動形チャック
JP6243155B2 (ja) 2013-07-04 2017-12-06 光洋シーリングテクノ株式会社 密封装置
CN204234773U (zh) * 2014-11-18 2015-04-01 常州倍得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浮动卡盘
JP6513558B2 (ja) 2015-11-12 2019-05-15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密封構造体
WO2017199584A1 (ja) * 2016-05-16 2017-11-23 有限会社 シンセテック チャック機構、ステア付爪及び工作機械
US10487878B2 (en) * 2016-07-01 2019-11-26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Multiple stage seal for a bearing assembly
JP2018009659A (ja) 2016-07-14 2018-01-18 Nok株式会社 ダストシ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3809A (ja) 2006-09-22 2008-04-03 Howa Mach Ltd チャック
JP2008223900A (ja) * 2007-03-13 2008-09-25 Nok Corp シーリングシステム
JP5892471B2 (ja) 2012-04-04 2016-03-23 豊和工業株式会社 揺動引込み式チャック
KR20180025696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풀다운 척의 베어링 레이스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8379A1 (ja) 2019-10-31
TW201945102A (zh) 2019-12-01
CN112074364A (zh) 2020-12-11
EP3785832A1 (en) 2021-03-03
JP7068629B2 (ja) 2022-05-17
JP2019188574A (ja) 2019-10-31
CN112074364B (zh) 2023-07-14
KR102484897B1 (ko) 2023-01-05
EP3785832A4 (en) 2022-01-05
TWI702098B (zh) 2020-08-21
US20210299759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4389C (en) Spring collets
KR20210002657A (ko) 요동식 척의 씰 구조 및 요동식 척
US2380068A (en) Oil seal puller
US2935329A (en) Chuck and collet therefor
JP2009269166A (ja) クランプヘッド
US4943192A (en) Drill bit having a shank with grooves
US4046390A (en) Dead stop step chuck
US20060208432A1 (en) Self-centering four-jaw chuck
US2386469A (en) Chuck
US10286456B2 (en) Tool bit holder
JP5212783B2 (ja) 心補償型チャック
JP2009285780A (ja) ドローダウンチャック
KR101682125B1 (ko) 공작물 장착용 척 구조체
US5641168A (en) Machine tool collet with axial stop
JP5861835B2 (ja) チャック
KR101825640B1 (ko)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콜렛 지그
JP5892471B2 (ja) 揺動引込み式チャック
JP6996398B2 (ja) バリ取り装置
JP4690231B2 (ja) 軸状工作物の製造方法
JP6742208B2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2016068193A (ja) ワーク保持ガイド付きチャック装置
KR20160071123A (ko) 자동차 연료 분사 개폐 공작물용 씨앤씨 선반용 척
RU2564186C1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два зажимных патрона
WO2018160922A3 (en) Fixturing collet arrangements and fabrication methods
JP4449115B2 (ja) ボルト締め付け構造及び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