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110A -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110A
KR20200143110A KR1020190070995A KR20190070995A KR20200143110A KR 20200143110 A KR20200143110 A KR 20200143110A KR 1020190070995 A KR1020190070995 A KR 1020190070995A KR 20190070995 A KR20190070995 A KR 20190070995A KR 20200143110 A KR20200143110 A KR 20200143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forming
toner concentration
forming apparatus
driv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진 박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7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3110A/ko
Priority to EP19933020.0A priority patent/EP3956730A4/en
Priority to PCT/US2019/063957 priority patent/WO2020251617A1/en
Priority to US17/272,722 priority patent/US11586124B2/en
Priority to CN201980075934.2A priority patent/CN113056708A/zh
Publication of KR2020014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된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에 공급된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의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TONER SUPPLY BY CHANGING DRIVING SPEED OF DEVELOPING APPARATUS}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 장치가 공금모드로 동작할 때,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가 저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로 동작할 때,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과 목표 토너 농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공급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에서 저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가 저속 구동 모드에서 고속 구동 모드로 변경된 경우,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과 목표 토너 농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가 저속 구동 모드에서 고속 구동 모드로 변경된 경우,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과 목표 토너 농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작업"은 인쇄, 스캔, 또는 팩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 장치가 공금모드로 동작할 때,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이미지(110)은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현상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현상 장치(1110)와 대응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에는 현상제가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에는 토너 및 캐리어가 포함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 내의 현상제는 오거가 회전되면서, 도 1의 이미지(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가 구동됨에 따라, 현상 장치(1110)는 배출구(113)를 통해 일정량의 현상제를 배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ADR(Auto Developer Replenishment) 방식에 따라, 현상 장치(1110) 내의 현상제가 일정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현상 장치(1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제에 대한 토너의 비율을 나타내는 토너 농도가 소정 범위를 충족시키도록 현상 장치(1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의 이미지(110)을 참고하면, 현상제의 순환 방향이 수직 방향인 경우, 현상 장치(1110)가 저속 구동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중력의 영향에 의해 현상기의 위 영역인 제1 영역(111) 보다 아래 영역인 제2 영역(112)에 더 많은 현상제가 분포하게 된다. 제1 영역(111) 보다 제2 영역(112)에 더 많은 현상제가 분포하게 되면 현상제의 순환에 정체가 발생된다. 구동 속도가 느려질수록 현상제의 정체 현상은 증가될 수 있다. 현상제의 순화에 정체가 발생되면, 제2 영역(112)에 현상제가 밀집되므로,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 농도 센서(TC sensor: Toner Concentration Sensor)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값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
또한, 현상 장치(1110)의 저속 구동 모드에서 토너의 공급모드가 실행되면, 현상 장치(1110)로 토너가 공급되기 때문에 현상제의 부피는 증가하게 되고, 공급된 토너는 현상 장치(1110) 내의 현상제와 균일하게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토너 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값이 부정확해지고, 현상 장치(1110)로 토너가 과공급되어 정확한 량의 토너를 공급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저속 구동 모드를 고속 구동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공급되는 토너가 현상 장치(1110) 내의 현상제와 균일하게 섞이게 할 수 있고, 토너 농도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값을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다이어그램(120)을 참고하면, 블록 121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속 구동 모드에서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속 구동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특수한 용지를 사용하거나, 고품질 화상을 출력할 때 실행될 수 있다.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는 일반적인 정상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보다 소정 속도 크기만큼 느릴 수 있다. 블록 122에서, 공급모드에 따라 공급 동작이 소정 공급횟수가 수행되어도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저속 구동 모드를 고속 구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블록 123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고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에 따른 토너 농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를 중단하고, 저속 구동 모드에 따른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급 동작이 소정 공급횟수가 수행되어도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에서, 저속 구동 모드에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가 저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로 동작할 때,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과 목표 토너 농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현상 장치(1110)는 구동 속도가 90mm/sec인 저속 구동 모드에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토너 농도 센서의 목표 전압은 160 ADC 값일 수 있다. 여기서, ADC는 토너 농도 센서에서 출력된 전압값이 8비트로 환산된 값일 수 있다. 공급횟수가 50이 될 때까지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은 170 ADC 값 이상일 수 있다.
즉, 현상 장치(1110)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되고 있지만, 저속 구동 모드에서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이 목표 전압보다 크므로, 토너 농도는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 동작이 1회 수행될 때마다 약 300mg의 토너가 현상 장치(111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의 영역(210)을 참고하면, 공급 동작이 50회 수행되어도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에 에러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장치(1110)로 토너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지만, 토너 농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출력 전압이 정상적으로 센싱되지 않는 경우, 공급모드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내의 토너의 잔여량이 거의 소진된 경우 공급모드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의 수행시간을 단축시키고, 토너 농도 센서에서 정확한 센싱값을 획득하기 위해, 공급모드의 소정 시점에서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에 설치된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현상 장치(1110) 내에 공급된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와 목표 토너 농도를 비교하고, 토너 농도와 목표 토너 농도 간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면, 공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장치(1110)의 미리 설정된 저속 구동 모드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횟수가 제1 임계값까지 도달될 때까지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횟수는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은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시점에 대응되는 공급횟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1회 공급에 따라 공급횟수를 1씩 증가시키고,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 농도 및 목표 토너 농도에 기초하여, 공급되어야 할 토너량을 계산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되어야 할 토너량 및 토너의 공급횟수 당 공급되는 토너량에 기초하여 제1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20에서,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횟수가 제1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는 목표 토너 농도에 대응되는 목표 전압 및 토너 농도 센서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을 감소시켜 목표 토너 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30에서,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된 공급횟수가 공급모드의 에러를 판단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최대 공급횟수를 나타내는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1회 공급에 따라 공급횟수를 1씩 증가시키고,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340에서,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의 잔여량은 카트리지 내에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기일 수 있다. 토너 수용기는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에 따른 동작에 에러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에 대한 토너 공급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가 필요함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증가된 상태의 구동 속도를 기존 상태의 구동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존 상태의 구동 속도에서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장치(1110)는 저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에서 고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고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에서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고속 구동 모드를 저속 구동 모드로 변경하고,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에서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되었을 때, 제1 공급횟수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킨 상태에서 공급모드를 실행함으로써, 공급모드의 실행 시간을 단축시키고, 공급모드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공급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인쇄 작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 명령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토너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농도 센서는 현상 장치(1110)의 소정 영역의 자성 투자율을 측정하여 캐리어 량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농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이 높을수록 캐리어가 많고, 현상제에 대한 토너의 비율은 낮다. 반대로, 토너 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압값이 낮을수록 캐리어가 적고, 현상제에 대한 토너의 비율은 높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토너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작업에 필요한 도트수를 계산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와 도트수에 기초하여,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량이 충분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50에 따라,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의 공급모드를 실행하는 동작 ⓐ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토너의 공급모드를 실행하는 동작ⓐ는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공급횟수의 카운트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가 실행되는 시점에 공급횟수를 리셋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로 공급될 토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 센서에 의해 획득된 토너 농도와 목표 토너 농도 차이에 기초하여, 현상 장치(1110)로 공급될 토너량을 계산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1회 공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6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가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70에 따라, 공급횟수가 제1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값은,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시점에 대응되는 공급횟수일 수 있다. 공급횟수가 제1 임계값 미만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3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기존 구동 속도를 유지하면서 공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급횟수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고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로 변경하는 동작 ⓑ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는 도 6에서 설명한다.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580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에서 저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가 아니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15에 따라,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값은 공급모드의 에러를 판단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최대 공급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 이상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동작 ⓒ를 수행할 수 있다.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4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430을 수행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이면,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2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로 공급될 토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 센서에 의해 획득된 토너 농도와 목표 토너 농도 차이에 기초하여, 현상 장치(1110)로 공급될 토너량을 계산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1회 공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누적 공급횟수에서 공급횟수를 1회 증가시켜 카운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6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가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65에 따라,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 미만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3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의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유지하면서 공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 이상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동작 ⓒ를 수행할 수 있다.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70에 따라,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68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가 저속 구동 모드에서 고속 구동 모드로 변경된 경우,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과 목표 토너 농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현상 장치(1110)는 구동 속도가 90mm/sec인 저속 구동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토너 농도 센서는 현상 장치(1110)의 소정 영역 내의 캐리어를 센싱하고, 캐리어 량에 비례하는 출력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이 높을수록 현상제에 대한 토너의 비율을 나타내는 토너 농도는 낮아진다. 반대로, 출력 전압이 낮을수록 현상제에 대한 토너의 비율을 나타내는 토너 농도는 높아진다.
도 7을 참고하면, 저속 구동 모드에서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은 목표 전압보다 크다. 따라서,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는 목표 토너 농도보다 낮으므로,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정 시간 동안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유지하면서 공급모드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공급횟수로 나타낼 수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출력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되지 않으면, 현상 장치(1110)에서 토너가 물리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는 상황이거나, 토너 농도 센서가 오작동하는 상황이거나, 카트리지에 토너가 소모되어 토너가 부족한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급모드의 상태를 신속하게 결정하기 위해,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임계값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임계값은 25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횟수가 25회에 도달될 때까지 저속 구동 모드로 공급모드를 실행하고,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공급횟수가 25회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구동 속도를 90mm/sec에서 280mm/sec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현상 장치(1110)가 저속 구동 모드인 경우와 고속 구동 모드인 경우에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가 물리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저속 구동 모드의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고속 구동 모드의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토너 농도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의 부피 및 압력이 다르다. 따라서,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를 물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를 고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로 증가시킴에 따라, 목표 전압 및 토너 농도 센서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공급횟수가 25 이상부터 목표 전압 및 입력 제어 전압이 공급횟수가 25 미만인 목표 전압 및 입력 제어 전압 보다 감소되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최대 공급횟수를 나타내는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하면서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임계값은 50일 수 있다.
도 7의 영역(710)을 참고하면, 공급횟수가 34에 도달되었을 때, 출력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고, 고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를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현상 장치가 저속 구동 모드에서 고속 구동 모드로 변경된 경우,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과 목표 토너 농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현상 장치(1110)는 구동 속도가 90mm/sec인 저속 구동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저속 구동 모드에서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 센서의 출력 전압은 목표 전압보다 크다. 따라서,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는 목표 토너 농도보다 낮으므로,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제1 임계값은 25로 설정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횟수가 25회에 도달될 때까지 저속 구동 모드로 공급모드를 실행하고,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공급횟수가 25회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구동 속도를 90mm/sec에서 280mm/sec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를 물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를 고속 구동 모드의 구동 속도로 증가시킴에 따라, 목표 전압 및 토너 농도 센서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최대 공급횟수를 나타내는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하면서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임계값은 50일 수 있다.
도 8의 영역(810)을 참고하면, 공급횟수가 50에 도달될 때까지 출력 전압은 목표 전압에 도달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에서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9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카트리지 내의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값은,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토너의 잔여량일 수 있다.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920에 따라, 공급모드에 따른 동작에 에러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 내의 소정 부품에 결함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9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에 대한 토너 공급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 미만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930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가 필요함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9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이미지(1010)에 도시된 그래프는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와 동일하다. 도 8에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0의 이미지(1010)을 참고하면, 공급횟수가 50에 도달될 때까지 출력 전압은 목표 전압에 도달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공급모드에서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의 이미지(1020)을 참고하면, 토너의 잔여량이 카트리지 내의 토너 수용기에서 수용 가능한 토너량의 10% 이상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 내의 소정 부품에 결함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 내의 부품에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현상 장치(1110)의 진단이 필요합니다"라는 토너 공급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가 바로 방문 서비스 신청을 할 수 있는 "방문 서비스 신청"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이미지(1030)을 참고하면, 토너의 잔여량이 카트리지 내의 토너 수용기에서 수용 가능한 토너량의 10% 미만이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가 필요함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해 주세요"라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 장치(1110), 구동 장치(1120), 메모리(1130) 및 프로세서(1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현상 장치(1110)는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는 토너와 캐리어로 구성되는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토너 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120)는 현상 장치(1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구동 장치(112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1120)에 의해 현상 장치(111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에 따라 구동 장치(1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화상 형성 장치(10)와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메모리(1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1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4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프로세서(1140)는 현상 장치(1110)에 설치된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현상 장치(1110) 내에 공급된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농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현상 장치(1110)의 토너 농도와 목표 토너 농도를 비교하고, 토너 농도와 목표 토너 농도 간의 차이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면,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장치(1110)의 미리 설정된 저속 구동 모드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1140)는 공급횟수가 제1 임계값까지 도달될 때까지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횟수는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은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시점에 대응되는 공급횟수일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1회 공급에 따라 공급횟수를 1씩 증가시키고,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 농도 및 목표 토너 농도에 기초하여, 공급되어야 할 토너량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공급되어야 할 토너량 및 토너의 공급횟수 당 공급되는 토너량에 기초하여 제1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14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횟수가 제1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140)는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킴에 따라, 프로세서(1140)는 목표 토너 농도에 대응되는 목표 전압 및 토너 농도 센서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을 감소시켜 목표 토너 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프로세서(1140)는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현상 장치(1110) 내의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된 공급횟수가 공급모드의 에러를 판단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최대 공급횟수를 나타내는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 1회 공급에 따라 공급횟수를 1씩 증가시키고, 토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의 잔여량은 카트리지 내에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기일 수 있다. 토너 수용기는 현상 장치(1110)로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프로세서(1140)는 공급모드에 따른 동작에 에러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를 통해 공급모드에 대한 토너 공급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공급횟수가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가 필요함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토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를 통해 카트리지의 교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현상 장치(1110)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140)는 증가된 상태의 구동 속도를 기존 상태의 구동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기존 상태의 구동 속도에서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 장치(1110)는 저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에서 고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고속 구동 모드의 공급모드에서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면, 프로세서(1140)는 고속 구동 모드를 저속 구동 모드로 변경하고,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에서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 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된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에 공급된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의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 장치의 미리 설정된 저속 구동 모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된 공급횟수가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공급횟수가 상기 제1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된 공급횟수가 상기 공급모드의 에러를 판단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최대 공급횟수를 나타내는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현상 장치 내의 상기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횟수가 상기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공급모드에 따른 동작에 에러가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모드에 대한 토너 공급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횟수가 상기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토너의 잔여량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가 필요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대응되는 목표 전압 및 상기 토너 농도 센서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을 감소시켜 상기 목표 토너 농도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증가된 상태의 구동 속도를 기존 상태의 구동 속도로 변경하고, 상기 기존 상태의 구동 속도에서 소정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상 장치 내의 토너 농도 및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기초하여, 공급되어야 할 토너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되어야 할 토너량 및 토너의 공급횟수 당 공급되는 토너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0.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 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현상 장치에 설치된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에 공급된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의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1.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토너와 캐리어로 구성되는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토너 농도 센서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상기 현상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현상 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에 공급된 토너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상기 토너 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 내의 토너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토너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현상 장치의 미리 설정된 저속 구동 모드에서 상기 공급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된 공급횟수가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저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를 유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공급횟수가 상기 제1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공급모드에 따라 카운트된 공급횟수가 상기 공급모드의 에러를 판단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최대 공급횟수를 나타내는 제2 임계값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토너 농도가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도달되었는지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현상 장치 내의 상기 토너 농도를 측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 구동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속도로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목표 토너 농도에 대응되는 목표 전압 및 상기 토너 농도 센서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을 감소시켜 상기 목표 토너 농도를 유지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90070995A 2019-06-14 2019-06-14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 KR20200143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95A KR20200143110A (ko) 2019-06-14 2019-06-14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
EP19933020.0A EP3956730A4 (en) 2019-06-14 2019-12-02 TONER SUPPLY BY CHANGING THE DRIVE SPEED OF A DEVELOPING MACHINE
PCT/US2019/063957 WO2020251617A1 (en) 2019-06-14 2019-12-02 Toner supply by changing driving speed of developing apparatus
US17/272,722 US11586124B2 (en) 2019-06-14 2019-12-02 Toner supply by changing driving speed of developing apparatus
CN201980075934.2A CN113056708A (zh) 2019-06-14 2019-12-02 通过改变显影设备的驱动速度来供应墨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95A KR20200143110A (ko) 2019-06-14 2019-06-14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10A true KR20200143110A (ko) 2020-12-23

Family

ID=7378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95A KR20200143110A (ko) 2019-06-14 2019-06-14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86124B2 (ko)
EP (1) EP3956730A4 (ko)
KR (1) KR20200143110A (ko)
CN (1) CN113056708A (ko)
WO (1) WO20202516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517A (en) * 1988-07-06 1991-04-0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JPH05127533A (ja) 1991-11-01 1993-05-25 Mita Ind Co Ltd トナー濃度制御装置
JPH112951A (ja) 1997-06-12 1999-01-0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3481424B2 (ja) * 1997-06-13 2003-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92234B2 (ja) * 2003-12-10 2009-12-24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とトナー補給方法
JP2005308913A (ja) 2004-04-20 2005-11-04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US7333739B2 (en) * 2005-03-10 2008-02-19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near empty state detection system
EP1788457A3 (en) * 2005-08-10 2007-05-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centration controlling method
KR20080073599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토너센서 상태감지방법
JP5240541B2 (ja) * 2007-02-26 2013-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274262B2 (ja) * 2007-03-14 2009-06-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濃度安定化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8099002B2 (en) * 2007-11-15 2012-01-17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toner and carrier mixture
JP2009244439A (ja) 2008-03-31 2009-10-22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55115B2 (ja) * 2008-06-19 2011-03-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82636B2 (ja) * 2008-10-08 2013-04-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110064435A1 (en) * 2009-09-16 2011-03-1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20110087831A (ko) * 2010-01-27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농도조절방법
US8755702B2 (en) 2010-12-30 2014-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plenishing method
JP2012198342A (ja) * 2011-03-18 2012-10-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50031101A (ko) 2013-09-13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토너 공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6840605B2 (ja) * 2017-04-13 2021-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053232A (ja) * 2017-09-15 2019-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00264B2 (ja) * 2019-08-22 2023-12-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剤撹拌方法及び現像剤撹拌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6730A1 (en) 2022-02-23
CN113056708A (zh) 2021-06-29
WO2020251617A1 (en) 2020-12-17
US20210373457A1 (en) 2021-12-02
US11586124B2 (en) 2023-02-21
EP3956730A4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8230B2 (ja) 作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69232B2 (ja) 画像形成装置
JP56400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97005A (ja) 画像形成装置
US111702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7478900B2 (en) Toner remain amount detect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FP
US118927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guiding refilling operation of toner
KR20200143110A (ko) 현상 장치의 구동 속도 변경에 의한 토너 공급
JP2004286793A (ja) 画像形成装置
US11333994B2 (en) Controlling amount of developer by using output waveform obtained from toner concentration sensor
JP4987406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20122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3117558A (ja) 画像形成装置
JP4794751B2 (ja) 現像剤量検知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94316B2 (en) Remaining life information of toner cartridge is provided using weight of toner cartridge
JP2018005039A (ja) 画像形成装置
JP683484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2341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5267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方法
KR20210042766A (ko) 센서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상태 판단 및 제어
JP20230796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1838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940003120B1 (ko) 현상제 량 감지 및 표시방법
JP5246153B2 (ja) 画像形成装置
CN110879512A (zh) 图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