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166A - 표면 요철 시트, 스크린,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전사 롤 - Google Patents

표면 요철 시트, 스크린,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전사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166A
KR20200127166A KR1020207023634A KR20207023634A KR20200127166A KR 20200127166 A KR20200127166 A KR 20200127166A KR 1020207023634 A KR1020207023634 A KR 1020207023634A KR 20207023634 A KR20207023634 A KR 20207023634A KR 20200127166 A KR20200127166 A KR 2020012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screen
average
frequency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911B1 (ko
Inventor
시게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Abstract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가 높고, 좌우 60°휘도비 및 100°휘도차비가 낮고, 색수차가 적은 스크린을 얻을 수 있는 표면 요철 시트, 표면 요철 시트를 구비한 스크린, 스크린을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 및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전사 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조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조를 갖는 표면 요철 시트로서,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의 비(평균 높이/평균 간격)가 0.07 이상 0.40 이하이고,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 이하이며,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수(T)를 산출하고, 하기 식 (A)로부터 빈도 비율(%)을 산출했을 경우, 빈도 비율(%)이 98% 이상인 표면 요철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요철 시트, 스크린,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전사 롤
본 발명은 표면 요철 시트, 표면 요철 시트를 구비한 스크린, 스크린을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 및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전사 롤에 관한 것이다.
반사형 스크린에는, 스크린을 관찰하는 모든 관찰자에게 휘도(게인)가 높으면서 휘도차가 적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반대로, 관찰자가 항상 없는 방향으로는, 스크린은 높은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필요는 없고, 극단적으로 말하면 영상을 표시할 수 없어도 된다. 이를 위해서는, 관찰자가 항상 없는 방향에 대한 영상광의 반사 및 확산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반사형 스크린으로는, 입자가 분산된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시트의 이면에 반사층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은 다양한 방향으로 영상광을 반사, 확산하기 때문에, 관찰자가 항상 없는 방향으로도 영상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스크린에서는, 관찰자가 있는 방향으로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저하된다.
충분한 시야각을 가지면서 높은 스크린 게인과 휘도의 균일성을 실현했다고 여겨지는 반사형 스크린으로는, 수직 방향의 확산각이 수평 방향의 확산각보다 작은 스크린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렌즈층과, 반사층과, 광제어층을 구비하는 반사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광제어층으로서, 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 형상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열된 요철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및 4에는, 프로젝션 스크린 또는 반사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렌즈층으로서 렌티큘러 렌즈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662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261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809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71114호
반사형 스크린에는, 예를 들면, 하기 사항이 요구되고 있다.
·관찰자가 항상 없는 것이 상정되는, 스크린의 수직 방향의 거의 모든 각도의 영역 및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초과 영역에 대한 영상광의 반사 및 확산을 억제할 것. 이에 따라, 종래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정면 휘도(표준 정면 휘도)에 비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정면 휘도(상대 정면 휘도)가 높을 것.
·관찰자가 항상 없는 것이 상정되는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초과 영역에 대한 영상광의 반사 및 확산을 억제할 것. 즉,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에 있어서,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60°의 휘도와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60°의 휘도의 평균값의, 정면 휘도에 대한 비(좌우 60°휘도비)가 낮을 것.
·관찰자가 있는 것이 상정되는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영상의 휘도차가 적을 것. 즉,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에 있어서,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의 최대값과 휘도의 최소값의 휘도차의, 정면 휘도에 대한 비(100°휘도차비)가 낮을 것.
·관찰자가 있는 것이 상정되는 영역에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에 색수차가 적을 것.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크린에서는, 특허문헌 1의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스크린 게인(휘도)의 최대값(0°에 있어서의 약 3)과 최소값(±50°에 있어서의 약 0.5)의 휘도차가 크다. 구체적으로는, (휘도의 최대값-휘도의 최소값)/정면 휘도×100으로 구해지는 100°휘도차비는 80% 이상이다. 또한, 특허문헌 2∼4에 기재된 스크린에 있어서도,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휘도차가 크다. 이러한 스크린에서는, 스크린을 관찰하는 모든 관찰자에게 휘도가 높으면서 휘도차가 적은 영상을 표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가 높고, 좌우 60°휘도비 및 100°휘도차비가 낮고, 색수차가 적은 스크린을 얻을 수 있는 표면 요철 시트, 표면 요철 시트를 구비한 스크린, 스크린을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 및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전사 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양태를 갖는다.
<1>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볼록조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조를 갖는 표면 요철 시트로서,
상기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상기 볼록조의 평균 간격의 비(평균 높이/평균 간격)가 0.07 이상 0.40 이하이고,
상기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 이하이며,
상기 표면 요철 시트를 상기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수(T)를 산출하고, 하기 식 (A)로부터 빈도 비율(%)을 산출했을 경우, 빈도 비율(%)이 98% 이상인 표면 요철 시트;
식 (A): 빈도 비율(%)=빈도수(T)/빈도수(S)×100
여기서, 빈도수(S)는 상기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상기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며,
빈도수(T)는 상기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을 각도(Mθs)로 했을 경우, 상기 표면 요철 시트를 상기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각도(Mθs)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2> 기재층과, 적어도 1층의 표면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층의 표면에 상기 볼록조 및 상기 오목조를 갖는, 상기 <1>의 표면 요철 시트.
<3> 기재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상기 볼록조 및 상기 오목조를 갖는 단층 시트인, 상기 <1>의 표면 요철 시트.
<4> 상기 <1>∼<3> 중 어느 하나의 표면 요철 시트와, 반사층을 구비한 스크린.
<5> 상기 <4>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영상광을 투사하는 투영기를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
<6>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오목조 사이에 형성되는 볼록조를 갖는 전사 롤로서,
상기 오목조의 평균 깊이와 상기 오목조의 평균 간격의 비(평균 깊이/평균 간격)가 0.07 이상 0.40 이하이고,
상기 오목조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 이하이며,
상기 전사 롤을 상기 오목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전사 롤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깊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수(T)를 산출하고, 하기 식 (A)로부터 빈도 비율(%)을 산출했을 경우, 빈도 비율(%)이 98% 이상인 전사 롤;
식 (A): 빈도 비율(%)=빈도수(T)/빈도수(S)×100
여기서, 빈도수(S)는 상기 오목조의 평균 깊이와 상기 오목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며,
빈도수(T)는 상기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을 각도(Mθs)로 했을 경우, 상기 전사 롤을 상기 오목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전사 롤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깊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각도(Mθs)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에 의하면,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가 높고, 좌우 60°휘도비 및 100°휘도차비가 낮고, 색수차가 적은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은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가 높고, 좌우 60°휘도비 및 100°휘도차비가 낮고, 색수차가 적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스크린을 관찰하는 모든 관찰자에게 휘도가 높고, 휘도차가 적고, 색수차가 적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사 롤에 의하면,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 표면의 레이저 현미경상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 표면을 레이저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의 일 예이다.
도 5는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및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볼록조가 사행하고 있는 경우의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사 롤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표면 부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및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오목조가 사행하고 있는 경우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크린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정면 휘도를 측정할 때의 스크린, 프로젝터, 및 측정점의 배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5는 정면 휘도를 측정할 때의 스크린, 프로젝터, 및 측정점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60° 및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60°에 있어서의 휘도를 측정할 때의 스크린, 프로젝터, 및 측정점의 배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7은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를 측정할 때의 스크린, 프로젝터, 및 측정점의 배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8은 표면 요철 시트의 빈도수(T)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 요철 높이 측정 데이터의 추출 데이터 일부를 나타낸 것이며, 슬로프각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표면 요철 시트 또는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슬로프각과 빈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21은 비교예 5에 있어서의 표면 요철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비교예 6에 있어서의 표면 요철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비교예 7에 있어서의 표면 요철 시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2∼5의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이다.
도 25는 비교예 1∼7의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각 용어는 이하의 내용을 의미한다.
「정면」이란,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 등이 관찰자에 의해 관찰되는 측의 면을 말한다.
「스크린의 정면 방향」이란, 스크린의 정면에 대한 법선 방향(도 13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을 말한다.
「스크린의 수직 방향」이란, 스크린을 설치했을 때, 스크린의 정면 방향에 직교하는 스크린의 상하 방향(도 13에 있어서의 z축 방향)을 말한다.
「스크린의 수평 방향」이란, 스크린을 설치했을 때, 스크린의 정면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스크린의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스크린의 좌우 방향(도 13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을 말한다.
「스크린의 수평면」이란, 지면에 대해 수평인 면으로서, 상기 정면에 대해 수직인 면을 말한다. 스크린의 수평면은 스크린의 수평 방향과 평행이고, 또한 스크린의 정면 방향과 평행이다.
「수평 방향의 각도」란, 스크린의 정면의 중심점의 법선(0°)과, 중심점의 법선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기운,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60°」는 스크린의 정면의 중심점의 법선과, 중심점의 법선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또한 관찰자가 본 우측으로 기운,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는 선이 이루는 각도가 60°인 것을 말하고, 「수평 방향의 -60°」는 스크린의 정면의 중심점의 법선과, 중심점의 법선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또한 관찰자가 본 좌측으로 기운,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는 선이 이루는 각도가 60°인 것을 말한다.
「수직 방향의 각도」란, 스크린의 정면의 중심점의 법선(0°)과, 중심점의 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기운,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주성분이 수지이다」란, 기재층, 접착층, 점착층, 표면층, 또는 기재 중에 수지를 고형분 환산으로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도시예를 나타내면서, 본 발명의 각 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5∼도 17에 있어서의 치수비는 설명의 편의상, 실제와는 다른 것이다.
<표면 요철 시트>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조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조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조 사이에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표면 요철 시트(10)는 기재층(14)과, 기재층(14)의 한쪽 표면에 형성된 표면층(15)을 구비하는 적층 시트이며, 표면층(15)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12)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조(12)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조(13)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10)는 표면층(15)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12)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조(12) 사이에 오목조(1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12)의 표면, 특히 꼭대기부(12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1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가 적층 시트인 경우를 단순히 표면 요철 적층 시트라고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표면 요철 시트(11)는 기재(16)의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12)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조(12)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조(13)를 갖는 단층 시트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11)는 기재(16)의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12)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조(12) 사이에 오목조(1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12)의 표면, 특히 꼭대기부(12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2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가 적층 시트인 경우를 단순히 표면 요철 단층 시트라고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의 레이저 현미경상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의 레이저 현미경상으로부터 얻어진 1개의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의 일 예이다.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의 레이저 현미경상 및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조도 곡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의 표면, 특히 꼭대기부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층은 표면 요철 시트를 스크린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층은 스크린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점에서, 주성분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종류로는,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스크린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로도 표기한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층은 적층 구성이 단층이어도 되고, 또한, 적층 구성이 복수층이어도 된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층이 복수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굴절률이 상이한 2종류의 투명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기재층(교대 적층체라고도 한다)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교대 적층체 중 가시광의 반사 기능을 갖는 교대 적층체를 기재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표면 요철 적층 시트를 포함하는 스크린을 제작할 때에는 후술하는 반사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층은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가 얻어지는 등의 점에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고, 기재층 표면(기재층과 표면층의 계면)이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층의 주성분이 수지인 경우, 기재층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가 얻어지는 등의 점에서, 75㎛ 이상 2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이상 1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0㎛ 이상 5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0㎛ 이상 3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층이 교대 적층체인 경우, 기재층의 두께는 반사성 및 비용의 점에서, 0.05㎛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이상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는, 기재층과 표면층 사이에, 혹은, 기재층과 기재층 사이에, 접착층 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층 또는 점착층은 기재층과 표면층을 바람직하게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접착층 또는 점착층은 주성분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표면층은 표면 요철 시트를 스크린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표면층은 볼록조 및 오목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주성분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종류로는,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볼록조 및 오목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이 바람직하다. 경화형 수지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열경화형 수지를 들 수 있고, 볼록조 및 오목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광경화형 수지(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의 표면층은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알키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요철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표면층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가 얻어지는 등의 점에서, 5㎛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 3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 요철 단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는 표면 요철 시트를 스크린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요철 단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는 스크린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점과, 그리고 볼록조 및 오목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주성분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종류로는,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스크린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점, 볼록조 및 오목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요철 단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가 얻어지는 등의 점에서, 75㎛ 이상 2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이상 1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0㎛ 이상 5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0㎛ 이상 3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평균 높이는 0.35㎛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이상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 이상 2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이상 2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며, 5㎛ 이상 12㎛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평균 높이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나 색수차 억제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볼록조의 평균 높이는, 하기와 같이 구한다.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볼록조(12)에 인접하는 한쪽 오목조(13)의 바닥부(13a)로부터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까지의 높이(H1)를 측정한다. 동일하게, 볼록조(12)에 인접하는 다른 한쪽 오목조(13)의 바닥부(13a)로부터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까지의 높이(H2)를 측정한다. 높이(H1)와 높이(H2)의 평균값을 볼록조(12)의 높이(H)로 한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볼록조(12)의 각각에 대해 높이(H)를 구한다. 5개소의 볼록조(12)의 높이(H)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볼록조(12)의 평균 높이로 한다.
볼록조의 평균 간격은 5㎛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 5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 4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평균 간격이 각 바람직한 범위 내인 경우,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나 색수차 억제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볼록조의 평균 간격은, 하기와 같이 구한다.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무작위로 선택된 기준이 되는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에서 5개 옆의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까지의 폭(W5)을 구한다. 폭(W5)을 5등분한 값을 볼록조(12)의 평균 간격으로 한다.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의 비(평균 높이/평균 간격), 즉 볼록조의 애스펙트비는 0.07 이상 0.40 이하이며, 0.09 이상 0.40 이하가 바람직하고, 0.12 이상 0.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인 것을 전제로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평균 조도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100°휘도차비가 낮아진다. 그 결과, 관찰자가 있는 것이 상정되는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이내의 영역에, 큰 휘도의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후술하는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인 것을 전제로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평균 조도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좌우 60°휘도비가 낮아진다. 그 결과, 관찰자가 항상 없는 것이 상정되는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초과 영역에 대한 영상광의 반사 및 확산이 억제되어, 그만큼 상대 정면 휘도가 향상된다.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는 0.10㎛ 이상이면 되며, 0.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는 0.90㎛ 이하이면 되며, 0.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4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3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며, 0.29㎛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0.07 이상 0.40 이하인 것을 전제로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볼록조의 애스펙트비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수차가 적다. 그 결과,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변화가,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는 관찰자에 대해서도 일어나기 어렵다.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0.07 이상 0.40 이하인 것을 전제로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볼록조의 애스펙트비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스크린의 수직 방향으로 반사, 확산하는 영상광이 억제되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스크린의 정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밝아진다. 한편,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는 볼록조(12)의 표면, 특히 꼭대기부(12a)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 요철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는, 하기와 같이 구한다.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12)의 능선을 따라,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CS)(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단면(CS)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으로부터,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에 있어서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기준 길이(l): 200㎛)을 취득한다. 조도 곡선으로부터, JIS B 0601:1994에 준거한 계산식에 따라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한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의 각각에 대해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한다. 5개소의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의 산술 평균 조도 Ra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의 평균 조도로 한다.
볼록조가 사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12)의 능선을 따라, 소정 간격(직선 거리 40㎛)으로 형성한 점을 연결하는 직선(도면 중 파선)을 긋는다. 직선마다 단면(CS1, CS2, CS3…)(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단면(CS1, CS2, CS3…)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각각으로부터,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 및 그 근방에 있어서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을 취득하고, 이들 조도 곡선을 서로 연결하여 최종적인 조도 곡선(기준 길이(l): 200㎛)을 취득한다. 한편, 도 6에 있어서는, 볼록조(12)의 사행을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와 같이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으로 존재하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는 후술하는 전사 롤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에 의존한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는 후술하는 전사 롤의 제조 조건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수(T)를 산출하고, 하기 식 (A)로부터 빈도 비율(%)을 산출했을 경우, 빈도 비율(%)은 98 이상이며,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빈도 비율(%)은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A): 빈도 비율(%)=빈도수(T)/빈도수(S)×100
여기서, 빈도수(S)는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또한, 빈도수(T)는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을 각도(Mθs)로 했을 경우,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각도(Mθs)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빈도수(T)는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된다.
우선,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 제조, VK-85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높이 방향의 측정 피치 0.05㎛의 조건에서, 표면 요철 시트(10)의 측정 영역(M)(도 18(a) 참조)의 높이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때, 측정 간격은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8(a)의 y 방향에 상당) 및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도 18(a)의 z 방향에 상당)에 있어서, 각각 0.2913㎛로 한다. 한편, 측정 영역(M)은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8(a)의 y 방향에 상당)으로 295.0869㎛, (데이터 1014개분), 또한,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도 18(a)의 z 방향에 상당)으로 215.8533㎛(데이터 742개분)가 되는 영역으로 한다. 여기서, 도 18(b)는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10)의 표면 요철의 높이의 측정 데이터의 측정 위치를,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 방향),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z 방향)을 각각 좌표축으로 하고, 좌표(y, z)로서 나타낸 이미지도이다.
이어서, 상술한 측정 방법으로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10)의 표면 요철의 높이의 측정 데이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좌표(1, β)로부터 좌표(1014, β)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한 측정 데이터는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10)를 z축상의 β값의 위치에서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10)의 두께 방향(x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0.2913㎛의 간격으로 측정한 표면 요철 시트(10)의 표면 요철의 높이의 측정 데이터이다. 그리고, 각 좌표축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좌표(1, β)로부터 좌표(1005, β)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좌표(n, β)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보정값을 (n, β)∼(n+9, β)의 10점 평균값으로 정하여 보정을 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측정 데이터로부터, 슬로프각을 구한다. 도 19(a)는 표면 요철 시트(10)의 표면 요철의 높이의 측정 데이터의 좌표(1, β)로부터 좌표(1005, β)의 추출 데이터의 보정값에 대해,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 방향)을 가로축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10)의 두께 방향(x 방향)을 세로축으로 플롯한 것으로부터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표면 요철 시트(10)의 표면 요철의 높이의 측정 데이터의 좌표(1, β)로부터 좌표(1004, β)의 추출 데이터의 보정값의, (n, β)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보정값 Av(n, β)와, (n+1, β)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보정값 Av(n+1, β)의 2점을 연결한 선을 L(n, β), y축이 이루는 각을 슬로프각 θs(n, β)로 했을 때, 슬로프각 θs(n, β)는 하기 식 (10)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식 (10): 슬로프각(n, β)=arctan(h/0.2913)
여기서, h는 Av(n, β)와, Av(n+1, β)의 2점의 높이의 차의 절대값이다(h의 길이의 단위는 ㎛로 한다). 또한, 슬로프각(n, β)은 절대값으로 한다. 즉, 도 19(a)의 슬로프각 θs(n, β) 및 도 19(b)의 슬로프각 θs(n+1, β)는 모두 양의 값이 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표면 요철 시트에 대해 상기 방법으로 측정을 행하고, 가로축을 슬로프각, 세로축을 빈도로 하여 그래프화하면, 도 20(a)와 같은 빈도 분포도가 된다.
한편, 빈도수(S)는 측정 대상이 되는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여기서,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모든 볼록조는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간격은 일정하며, 모든 간격은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간격과 동일한 간격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는 7.1㎛, 볼록조의 평균 간격은 36㎛이기 때문에,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이 동일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이론값)는 도 20(b)와 같다. 여기서,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이 동일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 최다 빈도로 되어 있는 슬로프각(이하, 최다 빈도각이라고도 한다)은 31°이기 때문에, 최다 빈도각 -2°는 29°가 된다. 이 때문에, 실시예 1(도 20(b))에서는, 빈도수(S)는 29°∼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가 되며, 실제 빈도수의 합계값은 215922가 된다. 한편, 측정 대상이 되는 표면 요철 시트에 있어서의 빈도수(T)는 29°∼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가 되며, 실제 빈도수의 합계값은 249387이 된다. 그 결과, 식 (A)로부터 산출되는 빈도 비율(%)은 115%가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빈도 비율(%)이 98% 이상인 것은 90°을 제외한 높은 슬로프각의 빈도가 많이 관측되는 것을 의미한다. 스크린이나 확산 시트에 있어서는, 높은 슬로프각의 빈도가 많은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가, 낮은 슬로프각의 빈도가 큰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보다, 광확산성의 관점에서 성능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가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도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추가로 광확산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빈도 분포에 비해, 보다 고슬로프각 측에 빈도가 많이 관측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확산성을 평가할 때, 빈도 비율(%)이라는 새로운 지표를 알아낸 것이며, 또한 소정값 이상의 빈도 비율(%)을 만족하는 경우, 양호한 광확산성이 달성되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광확산 시트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스크린 용도, 채광 용도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특히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를 갖고,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및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가 특정 범위에 있는 것이면 되며, 도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양면에 볼록조 및 오목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볼록조는 직선 상태로 연재하고 있어도 되고, 사행하면서 연재하고 있어도 된다.
볼록조는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연재하고 있어도 되고, 다른 볼록조에 대해 평행하지 않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볼록조는 도중에 분기해도 된다. 오목조는 도중에 분기해도 된다.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의, 볼록조 및 오목조의 표면이 이루는 형상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기 쉬운 점에서, 도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파형(파도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렌티큘러 구조가 아니고,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곡선과 오목부를 형성하는 곡선이 교대로 연속되어 있어 연속적이다. 이 때문에,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구성하는 곡선에 있어서, 접선의 기울기의 변화율이 극단적으로 큰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은 수지를 도공하는 공정과, 당해 수지를 경화시키면서, 소정의 요철 형상을 갖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지는 기재 상에 도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기재는 표면 요철 시트를 구성하는 부재여도 되고, 표면층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나, 열경화형 수지, 열가소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볼록조 및 오목조를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광경화형 수지(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표면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주성분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알키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지를 도공할 때에는, 도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용제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옥탄,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초산아밀, 부티르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수지를 도공할 때 사용하는 도공액에는,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지가 자외선 경화성인 경우에는, 도공액에 아세토페논, 벤조페논류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재에는,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로도 표기한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재의 두께는 5㎛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의 도공량은 1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의 도공량은 5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성되는 표면층의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공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수지의 도공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도공 장치로는 예를 들면, 블레이드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롤 코터, 바 코터,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 로드 블레이드 코터, 립 코터, 다이 코터, 커텐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기재층과 표면층 사이에, 혹은, 기재층과 기재층 사이에,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또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 상에 도공하고, 추가로 그 위에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또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만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 혹은 공중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또는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첨가제로서 가교제, 산화 방지제, 금속 부식 억제제, 점착 부여제, 실란 커플링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등의 광안정제, 충전제, 이온성 액체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그리고, 수지에 소정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의 볼록조 및 오목조에 대응되는, 오목조 및 볼록조를 표면에 갖는 스탬퍼를 이용한 임프린트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프린트법으로는, 전리 방사선 임프린트법, 열 임프린트법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임프린트법은 광 임프린트법이라고도 하며, 기재(기재층) 표면에 도포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스탬퍼를 대고 누르고, 전리 방사선(자외선, 전자선 등)을 조사하여 수지 조성물 중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스탬퍼의 표면 요철을 기재층 표면에 도포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표면에 대해 전사하는 방법이다. 열 임프린트법은, 가열된 기재의 표면에 스탬퍼를 대고 누른 후에 냉각함으로써, 스탬퍼의 표면 요철을 기재의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이다. 임프린트법으로는, 표면 요철 시트의 생산성이 양호한 점에서, 전리 방사선 임프린트법(광 임프린트법)이 바람직하다.
스탬퍼로는, 표면 요철 시트의 생산성이 양호한 점에서,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오목조 사이에 형성되는 볼록조를 갖는 전사 롤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사 롤이란, 전사 롤과 접촉한 시트 형상물에 대해, 복수의 오목조 및 복수의 볼록조를 전사(부형)시키기 위한 롤을 의미한다. 전사 롤의 오목조는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에 대응하는 형상이며, 전사 롤의 볼록조는 표면 요철 시트의 오목조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전사 롤에 있어서의 오목조는 전사 롤의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재해도, 전사 롤의 둘레 방향에 직교하여 연재해도 된다. 특히, 표면 요철 시트를 스크린 용도 또는 채광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크린 등의 수평 방향이 장변인 경우가 많고, 또한 스크린 등의 수평 방향으로 광이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한 점에서, 전사 롤에 있어서의 오목조는 전사 롤의 둘레 방향에 직교하여 연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롤의 표면의 재질은 금속이어도 되고, 수지여도 된다. 전사 롤의 표면의 재질이 수지인 경우, 수지제 롤을 전사 롤로서 사용해도 되고, 또한, 수지제 이외의 롤(예를 들면, 금속 롤)에 복수의 오목조 및 복수의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는 수지제 시트를 감아 얻어지는 롤을 전사 롤로서 사용해도 된다. 전사 롤의 표면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 전사 롤을 금속제 전사 롤 또는 전사 금속 롤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전리 방사선 임프린트법(광 임프린트법)으로 자외선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 중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우,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를 변형시키지 않고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를 충분히 행하기 위해, 자외선의 조사 강도는 300mJ/㎠ 이상, 1000mJ/㎠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사 롤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표면 부근의 확대 사시도이다.
전사 롤(100)은 롤 본체(101)의 한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102)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오목조(102) 사이에 형성되는 볼록조(103)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전사 롤(100)은 롤 본체(101)의 한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102)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오목조(102) 사이에 볼록조(10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조(102)의 표면, 특히 바닥부(102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7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오목조의 평균 깊이는 0.35㎛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이상 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 이상 2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이상 2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며, 5㎛ 이상 12㎛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조의 평균 깊이가 각 바람직한 범위 내인 경우,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나 색수차 억제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오목조의 평균 깊이는, 하기와 같이 구한다.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롤의 표면 부근을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사 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오목조(102)에 인접하는 한쪽 볼록조(103)의 꼭대기부(103a)로부터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까지의 깊이(D1)를 측정한다. 동일하게, 오목조(102)에 인접하는 다른 한쪽 볼록조(103)의 꼭대기부(103a)로부터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까지의 깊이(D2)를 측정한다. 깊이(D1)와 깊이(D2)의 평균값을 오목조(102)의 깊이(D)로 한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102)의 각각에 대해 깊이(D)를 구한다. 5개소의 오목조(102)의 깊이(D)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오목조(102)의 평균 깊이로 한다.
오목조의 평균 간격은 5㎛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 5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 4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조의 평균 간격이 각 바람직한 범위 내인 경우, 보다 바람직한 상대 정면 휘도나 색수차 억제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한 양태이다.
오목조의 평균 간격은, 하기와 같이 구한다.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롤의 표면 부근을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사 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무작위로 선택된 기준이 되는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에서 5개 옆의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까지의 폭(W5)을 구한다. 폭(W5)을 5등분한 값을 오목조(102)의 평균 간격으로 한다.
오목조의 평균 깊이와 오목조의 평균 간격의 비(평균 깊이/평균 간격), 즉 오목조의 애스펙트비는 0.07 이상 0.40 이하이며, 0.09 이상 0.40 이하가 바람직하고, 0.12 이상 0.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오목조의 애스펙트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상기 범위 내인 표면 요철 시트를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오목조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오목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는 0.10㎛ 이상이면 되며, 0.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조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오목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는 0.90㎛ 이하이면 되며, 0.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4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3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며, 0.29㎛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가 상기 범위 내인 표면 요철 시트를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오목조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오목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는 오목조(102)의 표면, 특히 바닥부(102a)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 요철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는, 하기와 같이 구한다.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롤의 표면 부근을 오목조(102)의 곡선(谷線)을 따라, 전사 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CS)(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단면(CS)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으로부터,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에 있어서의,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기준 길이(l): 200㎛)을 취득한다. 조도 곡선으로부터, JIS B 0601:1994에 준거한 계산식에 따라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한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의 각각에 대해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한다. 5개소의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의 산술 평균 조도 Ra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의 평균 조도로 한다.
오목조가 사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조(102)의 곡선(谷線)을 따라, 소정 간격(직선 거리 40㎛)으로 형성한 점을 연결하는 직선(도면 중 파선)을 긋는다. 직선마다 단면(CS1, CS2, CS3…)(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한다. 단면(CS1, CS2, CS3…)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각각으로부터,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 및 그 근방에 있어서의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을 취득하고, 이들 조도 곡선을 서로 연결하여 최종적인 조도 곡선(기준 길이(l): 200㎛)을 취득한다. 한편, 도 9에 있어서는, 오목조(102)의 사행을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으로 존재하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전사 롤을 오목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사 롤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깊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수(T)를 산출하고, 하기 식 (A)로부터 빈도 비율(%)을 산출했을 경우, 빈도 비율(%)은 98% 이상이며,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빈도 비율(%)은 3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사 롤은 평면 형상이라고 가정하고, 상기 빈도수(T)를 산출한다.
식 (A): 빈도 비율(%)=빈도수(T)/빈도수(S)×100
여기서, 빈도수(S)는 오목조의 평균 깊이와 오목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98°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또한, 빈도수(T)는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을 각도(Mθs)로 했을 경우, 전사 롤을 오목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사 롤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깊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각도(Mθs) -2°∼98°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여기서,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모든 오목조는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와 동일한 깊이를 갖고,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오목조의 간격은 일정하며, 모든 간격은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간격과 동일한 간격이다.
한편, 전사 롤의 빈도수(T) 및 빈도수(S)는 표면 요철 시트에 있어서의 빈도수(T) 및 빈도수(S)와 동일 방법으로 산출한다.
또한, 식 (A)의 「/」은 「÷」이며 나눗셈을 의미한다.
전사 롤은 예를 들면, 레이저 조각 장치를 이용하여 롤 본체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를 조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레이저 조각 장치로는,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장치와, 광학계를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레이저 장치로는, 탄산 가스 레이저, YAG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이테르븀 파이버 레이저 등을 들 수 있다. 광학계로는, 콜리메이터 렌즈, 대물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레이저 조각 장치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18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41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84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931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0407호 등에 기재된 공지의 레이저 조각 장치를 들 수 있다.
레이저 조각의 조건(레이저광의 빔 직경, 레이저 출력, 레이저 펄스 길이, 롤 주속 등)은 레이저 조각 대상의 재질,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면, 레이저광의 빔 직경을 크게 하면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음과 함께, 오목조의 평균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 레이저 출력을 크게 하면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음과 함께, 오목조의 평균 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이 있다. 레이저 펄스 길이를 길게 하면,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음과 함께, 오목조의 평균 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이 있다. 롤 주속을 빠르게 하면,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음과 함께, 오목조의 평균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레이저 조각을 행하는 때에는, 레이저광은 연속 조사에 의해 오목조를 조각해도, 간헐 조사에 의해 오목조를 조각해도 된다. 또한, 오목조를 CD 방향(전사 롤의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시켜도 된다. 또한, 한 번 레이저를 조사하여 오목조를 조각한 지점에 레이저를 복수회 조사함으로써, 오목조의 평균 깊이를 깊게 하는 등의 조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이저 조각을 행하는 경우, 조각의 대상(당해 조각의 대상은 판 롤이 된다)의 재질로는, 오목조의 표면, 특히 바닥부에 미세 요철을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금속, 세라믹스 등이 바람직하다. 금속 중에서도 구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롤 본체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를 조각한 후, 필요에 따라, 롤 본체의 표면에 물세정, 산세정, 및/또는 도금 처리를 행해도 된다.
물세정의 종류로는, 침지 세정, 초음파 세정, 스프레이 세정 등을 들 수 있다. 물세정 중에서도,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을 비교적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음파 세정이 바람직하다. 초음파의 진동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25kHz 이상 50kHz 이하의 범위에서 많이 사용된다. 또한, 물세정시, 필요에 따라 공지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물세정을 행한 경우에는, 계면 활성제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물세정을 재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조각의 대상이 금속(예를 들면, 구리)인 경우, 산세정으로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산세정의 세정 시간이 길면 오목조의 평균 깊이는 얕아지는 경향이 있음과 함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산세정에 사용하는 산성액으로는, 염산, 황산 등을 들 수 있다.
레이저 조각 대상이 금속(예를 들면, 구리)인 경우, 물세정만, 또는, 물세정 및 산세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로 전사 롤의 장기간 사용의 마모 내구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롤 본체의 최표면에 경질 크롬 도금, 니켈 도금, 니켈-인 도금 등의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은 전해 도금이어도 되고, 무전해 도금이어도 된다. 도금 처리로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전해 도금의 경우, 전류 밀도가 높을수록 오목조의 평균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음과 함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작아진다. 또한, 전해 도금 및 무전해 도금은 모두 도금 시간이 길수록 오목조의 평균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음과 함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전사 롤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사 롤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1m∼50m이며, 전사 롤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m∼10m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사 롤은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를 갖고,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및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가 특정 범위에 있는 것이면 되며, 도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오목조는 직선 상태로 연재하고 있어도 되고, 사행하면서 연재하고 있어도 된다. 오목조는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연재하고 있어도 되고, 다른 오목조에 대해 평행이 되지 않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오목조는 도중에 분기해도 된다. 볼록조는 도중에 분기해도 된다.
전사 롤의 표면 부근을 오목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사 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있어서의, 오목조 및 볼록조의 표면이 이루는 형상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기 쉬운 점에서, 도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파형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본 발명의 스크린은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와 반사층을 구비한 반사형 스크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스크린(20)은 표면 요철 시트(10)와,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 및 오목조(13)를 갖는 면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반사층(22)을 구비한다. 볼록조(12)의 표면, 특히 꼭대기부(12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10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스크린(21)은 표면 요철 시트(11)와,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 및 오목조(13)를 갖는 면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반사층(22)을 구비한다. 볼록조(12)의 표면, 특히 꼭대기부(12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11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반사층의 형태로는, 가시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층이면 된다. 이러한 반사층으로는, 금속을 증착한 증착막, 금속박, 금속판, 유전체 다층막, 도막 등을 들 수 있다. 반사층의 형태로는, 반사층을 형성하기 쉬운 점 및 스크린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점에서, 증착막, 유전체 다층막, 또는 도막이 바람직하다.
증착막의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은, 니켈, 주석, 스테인레스 강, 로듐, 백금 등을 들 수 있다. 증착막의 금속으로는,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높은 점에서, 알루미늄 또는 은이 바람직하다. 증착법으로는,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을 들 수 있다. 증착막의 두께는 반사성의 점에서, 10㎚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상 3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 이상 3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전체 다층막이란, 고굴절률 유전체 박막과 저굴절률 유전체 박막을 교대로 다층 중첩한 다층 반사막이며, 고굴절률막의 굴절률, 저굴절률막의 굴절률, 및 광학 막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가시광에 대한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는 막이다. 유전체 다층막의 반사율은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막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TiO2, Nb2O5, Ta2O5, ZrO2 등을 들 수 있다. 저굴절률막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MgF2, SiO2, Al2O3 등을 들 수 있다. 고굴절률막 및 저굴절률막은 물리 증착법(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 화학 증착(CVD)법(열 CVD법, 플라즈마 CVD법, 광 CVD법 등)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반사층으로서 도막을 사용하는 경우, 금속조 잉크를 도포한 도막(도장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조 잉크를 도포한 도막은 예를 들면, 두께가 얇은 알루미늄 플레이크(예를 들면, 도요 알루미늄 제조, 리핑 알페이스트)를 포함하는 금속조 잉크를, 스크린 인쇄에 의해 기재층(기재)에 도포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도포한 알루미늄 플레이크가 필름에 평행하게 배열됨으로써, 거울과 같은 반사 기능이 얻어진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는 150%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60% 이상 4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70% 이상 4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대 정면 휘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스크린의 정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충분히 밝아진다. 상대 정면 휘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스크린의 정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지나치게 밝아지지 않는다. 상대 정면 휘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좌우 60°휘도비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좌우 60°휘도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관찰자가 항상 없는 것이 상정되는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초과 영역에 대한 영상광의 반사 및 확산이 충분히 억제되어, 그만큼 상대 정면 휘도가 충분히 향상된다. 좌우 60°휘도비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하한값은 0%, 1% 등이다. 좌우 60°휘도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100°휘도차비는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5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100°휘도차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관찰자가 있는 것이 상정되는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50°이내의 영역에 휘도차가 충분히 작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100°휘도차비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하한값은 0%, 1% 등이다. 100°휘도차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수차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색수차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변화가 스크린의 수평 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는 관찰자에 대해서도 충분히 일어나기 어렵다. 색수차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하한값은 0, 0.1 등이다. 색수차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크린은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와 반사층을 구비한 것이면 되며, 도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12) 및 오목조(13)를 갖는 면측에 반사층을 형성해도 된다.
표면 요철 시트로서, 양면에 볼록조 및 오목조를 갖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2장의 표면 요철 시트 사이에 반사층을 형성해도 된다.
표면 요철 시트와 반사층 사이에 다른 층(접착층, 점착층, 자외선 흡수층 등)을 형성해도 된다.
반사층과는 반대측의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에 다른 층(하드 코트층, 자기 수복층 등)을 형성해도 된다.
<영상 표시 시스템>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스크린과, 스크린에 영상광을 투사하는 투영기를 구비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영상 표시 시스템(30)은 스크린(20)과, 스크린(20)으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고, 스크린(20)의 반사층(도시 생략)을 갖는 면과는 반대측, 즉 볼록조(도시 생략) 및 오목조(도시 생략)를 갖는 면측(정면측)에 영상광(L)을 투사하는 투영기(40)를 구비한다. 도면 중, x축, y축 및 z축은 스크린(20)이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 좌표이며, z축은 연직 방향을 나타내고, x축은 z축에 직교하는 방향 중, 스크린(20)의 정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z축 및 x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스크린에 있어서는, 볼록조의 연재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영상광이 널리 반사, 확산되고,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대한 영상광의 반사, 확산은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20)은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이 z축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투영기로는, 액정 프로젝터, DLP 프로젝터, LCOS 프로젝터, CRT 프로젝터, 오버헤드 프로젝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스크린과 투영기를 구비한 것이면 되며, 도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투영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음향 장치, 조명 장치 등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스크린(20) 대신에, 스크린(21) 등의 다른 본 발명의 스크린을 구비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는, 하기와 같이 구했다.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 제조, VK-85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롤의 표면 부근을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사 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했다. 오목조(102)에 인접하는 한편의 볼록조(103)의 꼭대기부(103a)로부터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까지의 깊이(D1)를 측정했다. 동일하게, 오목조(102)에 인접하는 다른 한쪽 볼록조(103)의 꼭대기부(103a)로부터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까지의 깊이(D2)를 측정했다. 깊이(D1)와 깊이(D2)의 평균값을 오목조(102)의 깊이(D)로 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102)의 각각에 대해 깊이(D)를 구했다. 5개소의 오목조의 깊이(D)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오목조(102)의 평균 깊이로 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간격)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간격은, 하기와 같이 구했다.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 제조, VK-85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롤의 표면 부근을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사 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기준이 되는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에서 5개 옆의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까지의 폭(W5)을 구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기준이 되는 오목조(102)는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를 구했을 때,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 중의 하나이며, 오목조(102)의 평균 깊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깊이를 갖는 오목조(102)로 했다. 이어서, 폭(W5)을 5등분한 값을 오목조(102)의 평균 간격으로 했다. 즉, 폭(W5)을 5로 나눈 값을 오목조(102)의 평균 간격으로 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전사 롤의 오목조의 애스펙트비는 오목조의 평균 깊이를 오목조의 평균 간격으로 나누어 구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
전사 롤의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는, 하기와 같이 구했다.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 제조, VK-85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롤의 표면 부근을 오목조(102)의 곡선(谷線)을 따라, 전사 롤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CS)(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했다. 단면(CS)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으로부터,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에 있어서의 오목조(102)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기준 길이(l): 200㎛)을 취득했다. 조도 곡선으로부터, JIS B 0601:1994에 준거한 계산식에 따라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의 각각에 대해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102)는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를 구했을 때,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로 했다. 5개소의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의 산술 평균 조도 Ra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오목조(102)의 바닥부(102a)의 평균 조도로 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는, 하기와 같이 구했다.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 제조, VK-85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 요철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했다. 볼록조(12)에 인접하는 한쪽 오목조(13)의 바닥부(13a)로부터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까지의 높이(H1)를 측정했다. 동일하게, 볼록조(12)에 인접하는 다른 한쪽 오목조(13)의 바닥부(13a)로부터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까지의 높이(H2)를 측정했다. 높이(H1)와 높이(H2)의 평균값을 볼록조(12)의 높이(H)로 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볼록조(12)의 각각에 대해 높이(H)를 구했다. 5개소의 볼록조(12)의 높이(H)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볼록조(12)의 평균 높이로 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간격)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간격은, 하기와 같이 구했다.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 제조, VK-85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측정 피치 0.1㎛의 조건에서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 요철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기준이 되는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에서 5개 옆의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까지의 폭(W5)을 구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기준이 되는 볼록조(12)는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를 구했을 때, 선택된 5개소의 볼록조 중의 하나이며, 볼록조(12)의 평균 깊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깊이를 갖는 볼록조(12)로 했다. 이어서, 폭(W5)을 5등분한 값을 볼록조(12)의 평균 간격으로 했다. 즉, 폭(W5)을 5로 나눈 값을 볼록조(12)의 평균 간격으로 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애스펙트비는 볼록조의 평균 높이를 볼록조의 평균 간격으로 나누어 구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는, 하기와 같이 구했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12)의 능선을 따라,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CS)(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의 측정을 행했다. 단면(CS)에 상당하는 단면 형상으로부터,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에 있어서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기준 길이(l): 200㎛)을 취득했다. 조도 곡선으로부터, JIS B 0601:1994에 준거한 계산식에 따라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의 각각에 대해 산술 평균 조도 Ra를 구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5개소의 볼록조(12)는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깊이를 구했을 때, 선택된 5개소의 오목조로 했다. 5개소의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의 산술 평균 조도 Ra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볼록조(12)의 꼭대기부(12a)의 평균 조도로 했다.
(상대 정면 휘도)
스크린(20), 투영기(40)(캐논사 제조, 액정 프로젝터, LV-X420) 및 분광 방사계(탑콘 테크노 하우스사 제조, SR-3)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는 스크린(20)을 설치하고 있으나, 스크린(20) 이외의 스크린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스크린(20)의 대용 스크린(예를 들면, 스크린(21), 참조용 스크린 등)을 설치해도 된다.
스크린(20)은 볼록조의 연재 방향이 도면 중의 z축을 따르도록, 또한 스크린(20)의 면 방향이 도면 중의 y축과 z축으로 구성되는 yz면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했다.
투영기(40)는 스크린(20)의 반사층을 갖는 면과는 반대측, 즉 볼록조 및 오목조를 갖는 면측(정면측)에 배치했다.
도면 중의 부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SH: 스크린(20)의 수직 방향의 길이,
SW: 스크린(20)의 수평 방향의 길이,
O: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
P: 투영기(40)의 출광 렌즈면의 중심점,
S: 분광 방사계에 있어서의 측정점,
SFH: 바닥으로부터 스크린(20)의 하단까지의 높이,
PFH: 바닥으로부터 투영기(40)의 출광 렌즈면의 중심점(P)까지의 높이,
SCFH: 바닥으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까지의 높이(바닥으로부터 분광 방사계에 있어서의 측정점(S)까지의 높이),
SPL: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으로부터 투영기(40)의 출광 렌즈면의 중심점(P)까지의 수평 거리.
투영기(40)로부터 백색의 영상광(L)을 투사하고, 측정점(S)의 분광 방사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정면 휘도를 측정했다.
스크린(20) 대신에 후술하는 참조용 스크린을 설치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참조용 스크린의 정면 휘도(당해 참조용 스크린의 정면 휘도를 표준 정면 휘도라고도 한다)를 측정했다. 아래 식으로 상대 정면 휘도를 구했다.
상대 정면 휘도=정면 휘도/표준 정면 휘도×100
여기서, 정면 휘도란,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정면 휘도를 가리킨다.
(좌우 60°휘도비)
상대 정면 휘도를 측정할 때와 동일하게 스크린(20), 투영기(40), 및 분광 방사계를 설치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는 스크린(20)을 설치하고 있으나, 스크린(20) 이외의 스크린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스크린(20)의 대용 스크린(예를 들면, 스크린(21) 등)을 설치해도 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광 방사계를 측정점(S)으로부터, 측정점(S)과 중심점(O)을 포함하는 x축을 기축으로 하여 y축 방향의 우측 60°의 측정점(RGT60)으로 이동시켰다. 투영기(40)로부터 백색의 영상광(L)을 투사하고, 측정점(RGT60)의 분광 방사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휘도를 측정했다. 여기서, 당해 RGT60을 측정점으로 하는 휘도를 우측 60°휘도라고 한다. 또한, 분광 방사계를 측정점(S)으로부터, 측정점(S)과 중심점(O)을 포함하는 x축을 기축으로 하여 y축 방향의 좌측 60°의 측정점(LFT60)으로 이동시켰다. 투영기(40)로부터 백색의 영상광(L)을 투사하고, 측정점(LFT60)의 분광 방사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휘도를 측정했다. 여기서, 당해 LFT60을 측정점으로 하는 휘도를 좌측 60°휘도라고 한다. 이어서, 아래 식으로 좌우 60°휘도비를 구했다.
좌우 60°휘도비={(우측 60°휘도+좌측 60°휘도)/2}/정면 휘도×100
(100°휘도차비)
상대 정면 휘도를 측정할 때와 동일하게 스크린(20), 투영기(40), 및 분광 방사계를 설치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는 스크린(20)을 설치하고 있으나, 스크린(20) 이외의 스크린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스크린(20)의 대용 스크린(예를 들면, 스크린(21) 등)을 설치해도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광 방사계를 측정점(S)으로부터, 측정점(S)과 중심점(O)을 포함하는 x축을 기축으로 하여 y축 방향의 우측 10°의 측정점(RGT10)으로 이동시켰다. 투영기(40)로부터 백색의 영상광(L)을 투사하고, 측정점(RGT10)의 분광 방사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휘도를 측정했다. 여기서, 당해 RGT10을 측정점으로 하는 휘도를 우측 10°휘도라고 하고, 동일하게, RGTn을 측정점으로 하는 휘도를 우측 n°휘도(n는 양의 정수)로 한다. 이어서, 측정점(RGT20, RGT30, RGT40, RGT50)의 분광 방사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우측 20°휘도, 우측 30°휘도, 우측 40°휘도, 우측 50°휘도를 측정했다.
또한, 분광 방사계를 측정점(S)으로부터, 측정점(S)과 중심점(O)을 포함하는 x축을 기축으로 하여 y축 방향의 좌측 10°의 측정점(LFT10)으로 이동시켰다. 투영기(40)로부터 백색의 영상광(L)을 투사하고, 측정점(LFT10)의 분광 방사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휘도를 측정했다. 여기서, 당해 LFT10을 측정점으로 하는 휘도를 좌측 10°휘도라고 하고, 동일하게, LFTn을 측정점으로 하는 휘도를 좌측 n°휘도(n는 양의 정수)로 한다. 이어서, 측정점(LFT20, LFT30, LFT40, LFT50)의 분광 방사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좌측 20°휘도, 좌측 30°휘도, 좌측 40°휘도, 좌측 50°휘도를 측정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10개소에서 측정한 각 휘도(RGT10, RGT20, RGT30, RGT40, RGT50, LFT10, LFT20, LFT30, LFT40, LFT50에서의 휘도) 중, 휘도의 최대값과 휘도의 최소값을 정하고, 당해 최대값과 당해 최소값의 차이로부터 아래 식으로 100°휘도차비를 구했다.
100°휘도차비=(휘도의 최대값-휘도의 최소값)/정면 휘도×100
(색수차)
분광 방사계 대신에 색채 휘도계(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CS-200)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상대 정면 휘도를 측정할 때와 동일하게 스크린(20), 투영기(40), 및 색채 휘도계를 설치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는 스크린(20)을 설치하고 있으나, 스크린(20) 이외의 스크린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스크린(20)의 대용 스크린(예를 들면, 스크린(21) 등)을 설치해도 된다.
투영기(40)로부터 백색의 영상광(L)을 투사하고, 측정점(S)의 색채 휘도계로부터 스크린(20)의 정면의 중심점(O)에 있어서의 색도 u', v'를 측정했다.
스크린(20) 대신에 후술하는 참조용 스크린을 설치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색도 u", v"를 측정했다.
스크린(20)에서 측정한 색도 u'와 참조용 스크린에서 측정한 색도 u"의 차 Δu'(=u'-u") 및 스크린(20)에서 측정한 색도 v'와 참조용 스크린에서 측정한 색도 v"의 차 Δv'(=v'-v")로부터 아래 식으로 색수차(ΔJND)를 구했다.
ΔJND=(Δu'2+Δv'2)2/1/0.004
[제조예 1]
(참조용 광확산 시트용 도공액)
하기 조성의 참조용 광확산 시트용 도공액을 조제했다.
아크릴 수지(비휘발성 성분 100%, 유리 전이 온도 105℃, 중량 평균 분자량 60만): 8질량부,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SBX-6, 평균 입자 직경 6.4㎛, 유리 전이 온도 없음): 13.2질량부,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SBX-12, 평균 입자 직경 11.7㎛, 유리 전이 온도 없음): 9.6질량부,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SBX-17, 평균 입자 직경 16.1㎛, 유리 전이 온도 없음): 1.2질량부,
톨루엔: 68질량부.
(참조용 광확산 시트)
기재(도요보사 제조, 투명 PET 필름, A4300, 두께 250㎛)의 한쪽 면에 참조용 광확산 시트용 도공액을, 건조 후의 광확산층의 도포량이 8g/㎡가 되도록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기재층과 광확산층을 구비한 참조용 광확산 시트를 얻었다.
(참조용 스크린)
참조용 광확산 시트의 광확산층과는 반대측 면에 두께가 200㎚가 되도록 알루미늄을 증착했다. 이에 의해, 광확산 시트와 반사층을 구비한 참조용 스크린을 얻었다. 참조용 스크린에 있어서는, 투명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한쪽 면에 표면 요철을 갖는 광확산층이 형성되고, 기재층의 다른 한쪽 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
(전사 롤)
표면의 재질이 구리인 롤 본체의 표면에 레이저 조각 장치 부속의 이테르븀 파이버 레이저(IPG 포토닉스사 제조)를 이용하여, 레이저광의 빔 직경 2.8㎛, 레이저 출력 200W, 레이저 펄스 길이 120ns, 롤 주속 45㎝/s의 조건으로, 롤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오목조를 조각했다.
복수의 오목조를 조각한 롤 본체에 대해, 물세정(순수, 25kHz의 초음파 세정)을 5분 행했다. 이어서 산성액(농도 10%(v/v)의 황산 수용액)으로 50℃에서 12분 산세정을 행한 후, 전주액(설파민산니켈 600g/리터, 염화니켈 5g/리터, 붕산 40g/리터, 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0.5g/리터, 라우릴황산나트륨 1g/리터)으로, 액온 50℃, 전류 밀도 1.5A/d㎡의 조건에서 22분 전해 도금을 행했다. 이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면 요철을 갖는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표면 요철 시트)
기재(도요보사 제조, 투명 PET 필름, A4300, 두께 250㎛)의 한쪽 면에 액상 자외선 경화형 수지(아크릴 수지, 점도 50cPs)를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여, 수지 도막 부착 기재를 얻었다. 수지 도막을 전사 롤의 표면에 대고 누르도록, 수지 도막 부착 기재를 전사 롤에 접촉시켰다.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부터의 자외선 조사량이 700mJ/㎠가 되도록, 전사 롤에 접촉하고 있는 수지 도막 부착 기재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 도막중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켰다. 경화 수지 도막 부착 기재를 전사 롤로부터 박리했다. 이에 의해, 투명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을 갖는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층의 표면에는,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이 반전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면 요철이 전사되어 있었다. 또한, 표면층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기재층에는 전사 롤의 표면 요철이 전사되지 않고, 기재층과 표면층의 계면이 평활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스크린)
표면 요철 시트의 표면층과는 반대측 면에 두께가 200㎚가 되도록 알루미늄을 증착했다. 이에 의해, 표면 요철 시트와 반사층을 구비한 반사형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있어서는, 투명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한쪽 면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면 요철을 갖는 표면층이 형성되고, 기재층의 다른 한쪽 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레이저 출력을 180W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11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레이저 출력을 240W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행하지 않고, 전해 도금을 25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레이저광의 빔 직경을 1.8㎛로 변경하고, 레이저 출력을 164W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38분으로 변경하고, 전해 도금을 18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레이저 출력을 190W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4분으로 변경하고, 전해 도금을 21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레이저광의 빔 직경을 1.8㎛로 변경하고, 레이저 출력을 340W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32분으로 변경하고, 전해 도금을 30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레이저 출력을 132W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행하지 않고, 전해 도금을 25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레이저 출력을 400W로 변경하고, 레이저 펄스 길이를 200ns로 변경하고, 롤 주속을 30㎝/s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125분으로 변경하고, 전해 도금을 35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레이저 출력을 240W로 변경하고, 롤 주속을 38㎝/s로 변경하고, 산세정을 95분으로 변경하고, 전해 도금을 10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전사 롤의 오목조의 평균 깊이, 오목조의 평균 간격, 오목조의 애스펙트비, 오목조의 바닥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의 전사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 볼록조의 평균 간격, 볼록조의 애스펙트비,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1∼5의 스크린은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0.07 이상 0.40 이하이고,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 이하이기 때문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가 높고, 좌우 60°휘도비 및 100°휘도차비가 낮고, 색수차가 적었다.
비교예 1의 스크린은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0.40을 초과하기 때문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좌우 60°휘도비가 높았다.
비교예 2의 스크린은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애스펙트비가 0.07 미만이기 때문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100°휘도차비가 높았다.
비교예 3의 스크린은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가 0.90㎛를 초과하기 때문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상대 정면 휘도가 낮았다.
비교예 4의 스크린은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꼭대기부의 평균 조도가 0.10㎛ 미만이기 때문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수차가 컸다.
[비교예 5]
(전사 롤)
표면의 재질이 니켈-인인 롤 본체의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바이트(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초정밀 절삭 가공을 행한 후, 샌드 블라스트로 볼록조의 정면 및 오목조의 표면을 조면화했다. 복수의 오목조를 조각한 롤 본체에 대해, 물세정(순수, 25kHz의 초음파 세정)을 5분 행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
비교예 5의 전사 롤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21의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141)의 평균 높이(H)는 20㎛, 볼록조(141)의 평균 간격(P)은 100㎛, 볼록조(141)의 애스펙트비는 0.20, 볼록조(141)의 꼭대기부(141a) 및 오목조(142)의 바닥부(142a)의 평균 조도는 0.80㎛였다.
한편, 비교예 5의 전사 롤의 오목조는 도 21의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141)에 상당하고, 전사 롤의 볼록조는 도 21의 표면 요철 시트의 오목조(142)에 상당하여, 비교예 5의 전사 롤과 표면 요철 시트는 서로 반전 형상이었다.
또한, 도 21의 볼록조(141)의 꼭대기부(141a) 및 오목조(142)의 바닥부(142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21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스크린)
비교예 5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 정면이 지나치게 밝아, 스크린으로는 명백하게 부적합했다. 이 때문에,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 등의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6]
(전사 롤)
표면의 재질이 니켈-인인 롤 본체의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바이트(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초정밀 절삭 가공을 행한 후, 샌드 블라스트로 절삭면을 조면화했다. 복수의 오목조를 조각한 롤 본체에 대해, 물세정(순수, 25kHz의 초음파 세정)을 5분 행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
비교예 6의 전사 롤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H1)는 50㎛, 볼록조의 평균 간격(P1)은 140㎛, 볼록조의 애스펙트비는 0.36, 볼록조(151)의 꼭대기부(151a)의 평균 조도는 0.50㎛였다.
한편, 비교예 6의 전사 롤의 오목조는 도 22의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에 상당하여, 비교예 6의 전사 롤과 표면 요철 시트는 서로 반전 형상이었다.
또한, 도 22의 볼록조(151)의 꼭대기부(151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22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스크린)
비교예 6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 수평 방향으로 명암의 불균일이 있어, 스크린으로는 명백하게 부적합했다. 이 때문에,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 등의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7]
(전사 롤)
표면의 재질이 니켈-인인 롤 본체의 표면의 둘레 방향으로 바이트(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초정밀 절삭 가공을 행했다. 복수의 오목조를 조각한 롤 본체에 대해, 물세정(순수, 25kHz의 초음파 세정)을 5분 행하여 전사 롤을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
비교예 7의 전사 롤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요철 시트를 얻었다.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H2)는 40㎛, 볼록조의 평균 간격(P2)은 140㎛, 볼록조의 애스펙트비는 0.29, 볼록조(161)의 꼭대기부(161a)의 평균 조도는 0.03㎛였다. 또한, 비교예 7의 요철 형상은 볼록조(161) 및 오목조(162)의 2종류의 렌티큘러 형상을 조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볼록조(161)의 h2는 20㎛, W2는 95㎛, 오목조(162)의 h3는 20㎛, W3는 45㎛이다.
한편, 비교예 7의 전사 롤의 오목조는 도 23의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161)에 상당하고, 전사 롤의 볼록조는 도 23의 표면 요철 시트의 오목조(162)에 상당하여, 비교예 7의 전사 롤과 표면 요철 시트는 서로 반전 형상이었다.
또한, 도 23의 볼록조(161)의 꼭대기부(161a)에는, 미세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 23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의 도시는 생략한다.
(스크린)
비교예 7의 표면 요철 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스크린을 얻었다. 스크린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 수평 방향으로 명암의 불균일이 있어, 스크린으로는 명백하게 부적합했다. 이 때문에, 상대 정면 휘도, 좌우 60°휘도비, 100°휘도차비, 및 색수차 등의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표 3에는 실시예 1∼5 및 비교예 1∼7의 표면 요철 시트의 빈도 비율(%)을 나타냈다. 빈도 비율은 하기 식 (A)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산출했다.
식 (A): 빈도 비율(%)=빈도수(T)/빈도수(S)×100
여기서, 빈도수(S)는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또한, 빈도수(T)는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을 각도(Mθs)로 했을 경우, 표면 요철 시트를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각도(Mθs)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여기서, 빈도수(T)는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했다.
우선,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 제조, VK-8500)을 이용하여 대물 렌즈 50배, 높이 방향의 측정 피치 0.05㎛의 조건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의 측정 영역(M)(도 18(a) 참조)의 높이 데이터를 취득했다. 이 때, 측정 간격은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8(a)의 y 방향에 상당) 및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도 18(a)의 z 방향에 상당)에 있어서, 각각 0.2913㎛로 했다. 한편, 측정 영역(M)은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8(a)의 y 방향에 상당)으로 295.0869(데이터 1014개분), 또한, 표면 요철 시트(10)의 볼록조(12)의 연재 방향(도 18(a)의 z 방향에 상당)으로 215.8533㎛(데이터 742개분)가 되는 영역으로 했다.
이어서, 좌표(n, β)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보정값을 (n, β)∼(n+9, β)의 10점 평균값으로 정하여, 상술한 측정 방법으로 얻어진 표면 요철 시트(10)의 표면 요철의 높이의 측정 데이터의 보정을 행했다. 좌표(1, β)로부터 좌표(1014, β)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면,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요철 시트(10)를 z축상의 β값의 위치에서, 볼록조(12)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또한 표면 요철 시트(10)의 두께 방향(x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0.2913㎛의 간격으로 측정한, 표면 요철 시트(10)의 표면 요철의 높이의 측정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리고, 각 좌표축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좌표(1, β)로부터 좌표(1005, β)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좌표(n, β)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보정값을 (n, β)∼(n+9, β)의 10점 평균값으로 정하여 보정을 행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측정 데이터로부터, 좌표(1, β)로부터 좌표(1004, β)의 보정값에 대해, 슬로프각을 구했다. 슬로프각 θs(n, β)는 하기 식 (10)으로부터 구했다.
식 (10): 슬로프각(n, β)=arctan(h/0.2913)
여기서, h는 Av(n, β)와, Av(n+1, β)의 2점의 높이차의 절대값이다(h의 길이의 단위는 ㎛로 한다). 또한, 슬로프각(n, β)은 절대값으로 한다. 즉, 도 19(a)의 슬로프각 θs(n, β) 및 도 19(b)의 슬로프각 θs(n+1, β)는 모두 양의 값이 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표면 요철 시트에 대해 상기 방법으로 측정을 행하고, 가로축을 슬로프각, 세로축을 빈도로 하여 그래프화하면, 도 20(a)와 같은 빈도 분포도가 얻어졌다.
한편, 빈도수(S)는 측정 대상이 되는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실시예 1의 표면 요철 시트의 볼록조의 평균 높이는 7.1㎛, 볼록조의 평균 간격은 36㎛이기 때문에,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이 동일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이론값)는 도 20(b)와 같이 된다. 여기서,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이 동일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 최다 빈도로 되어 있는 슬로프각(이하, 최다 빈도각이라고도 한다)은 31°였기 때문에, 최다 빈도각 -2°는 29°였다. 이 때문에, 실시예 1(도 20(b))에서는, 빈도수(S)는 29°∼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가 되고, 실제 빈도수의 합계값은 215922로 산출되었다. 한편, 측정 대상이 되는 표면 요철 시트에 있어서의 빈도수(T)는, 29°∼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가 되고, 실제 빈도수의 합계값은 249387로 산출되었다. 그 결과, 식 (A)로부터 산출되는 빈도 비율(%)은 115%가 되었다. 이상과 같은 순서로, 실시예 2∼5 및 비교예 1∼7에 대해서도 빈도 비율(%)을 산출했다. 한편, 실시예 2∼5의 빈도 분포도는 도 24에, 비교예 1∼7의 빈도 분포도는 도 25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한편, 표 4에는, 다양한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갖는 렌티큘러 형상의 이론 계산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의 빈도 비율은 모두 98을 하회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표면 요철 시트는 반사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유용하다.
10 표면 요철 시트, 11 표면 요철 시트, 12 볼록조, 12a 꼭대기부, 13 오목조, 13a 바닥부, 14 기재층, 15 표면층, 16 기재, 20 스크린, 21 스크린, 22 반사층, 30 영상 표시 시스템, 40 투영기, 100 전사 롤, 101 롤 본체, 102 오목조, 102a 바닥부, 103 볼록조, 103a 꼭대기부, CS 단면, CS1 단면, CS2 단면, CS3 단면, D 깊이, D1 깊이, D2 깊이, H 높이, H1 높이, H2 높이, L 영상광, W5 폭, 141 볼록조, 141a 볼록조의 꼭대기부, 142 오목조, 142a 오목조의 바닥부, 151 볼록조, 151a 볼록조의 꼭대기부, 161 볼록조, 161a 볼록조의 꼭대기부, 162 오목조

Claims (6)

  1.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볼록조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조를 갖는 표면 요철 시트로서,
    상기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상기 볼록조의 평균 간격의 비(평균 높이/평균 간격)가 0.07 이상 0.40 이하이고,
    상기 볼록조의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 이하이며,
    상기 표면 요철 시트를 상기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수(T)를 산출하고, 하기 식 (A)로부터 빈도 비율(%)을 산출했을 경우, 빈도 비율(%)이 98% 이상인 표면 요철 시트;
    식 (A): 빈도 비율(%)=빈도수(T)/빈도수(S)×100
    여기서, 빈도수(S)는 상기 볼록조의 평균 높이와 상기 볼록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며,
    빈도수(T)는 상기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을 각도(Mθs)로 했을 경우, 상기 표면 요철 시트를 상기 볼록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표면 요철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높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각도(Mθs)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상기 볼록조 및 상기 오목조를 갖는 단층 시트인 표면 요철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과, 적어도 1층의 표면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층의 표면에 상기 볼록조 및 상기 오목조를 갖는 표면 요철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표면 요철 시트와, 반사층을 구비한 스크린.
  5. 제 4 항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영상광을 투사하는 투영기를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
  6. 표면에 복수의 오목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오목조 사이에 형성되는 볼록조를 갖는 전사 롤로서,
    상기 오목조의 평균 깊이와 상기 오목조의 평균 간격의 비(평균 깊이/평균 간격)가 0.07 이상 0.40 이하이고,
    상기 오목조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조의 연재 방향의 조도 곡선으로부터 구한 평균 조도가 0.10㎛ 이상 0.90㎛ 이하이며,
    상기 전사 롤을 상기 오목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전사 롤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깊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수(T)를 산출하고, 하기 식 (A)로부터 빈도 비율(%)을 산출했을 경우, 빈도 비율(%)이 98% 이상인 전사 롤;
    식 (A): 빈도 비율(%)=빈도수(T)/빈도수(S)×100
    여기서, 빈도수(S)는 상기 오목조의 평균 깊이와 상기 오목조의 평균 간격을 동일하게 한 사인 커브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며,
    빈도수(T)는 상기 사인 커브에 있어서의 최다 빈도각을 각도(Mθs)로 했을 경우, 상기 전사 롤을 상기 오목조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전사 롤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깊이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슬로프각의 빈도 분포도에 있어서의, 각도(Mθs) -2°∼89°의 범위에 있어서의 빈도수의 합계이다.
KR1020207023634A 2018-02-28 2019-02-27 표면 요철 시트, 스크린,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전사 롤 KR102630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5169 2018-02-28
JP2018035169 2018-02-28
PCT/JP2019/007413 WO2019167972A1 (ja) 2018-02-28 2019-02-27 表面凹凸シート、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転写ロ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166A true KR20200127166A (ko) 2020-11-10
KR102630911B1 KR102630911B1 (ko) 2024-01-29

Family

ID=6780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634A KR102630911B1 (ko) 2018-02-28 2019-02-27 표면 요철 시트, 스크린,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전사 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52413B2 (ko)
KR (1) KR102630911B1 (ko)
CN (1) CN111727386B (ko)
TW (1) TWI793270B (ko)
WO (1) WO20191679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90A1 (ko) * 2021-05-17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용 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849B1 (ko) * 2021-08-31 2023-07-12 주식회사 블룸즈베리랩 시야각 및 휘도가 향상된 프로젝터용 스크린,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반사도료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9810A (ja) * 1995-10-05 1997-06-20 Sekisui Chem Co Ltd 光制御シ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面状発光装置
JP2000180967A (ja) 1998-12-17 2000-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66264A (ja) 2004-03-18 2005-09-29 Sony Corp スクリーン
JP2009075366A (ja) * 2007-09-20 2009-04-09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12226103A (ja) 2011-04-19 2012-1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3171114A (ja) 2012-02-20 2013-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6136254A (ja) * 2015-01-20 2016-07-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面微細凹凸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265B2 (ja) * 1992-11-11 1996-12-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光制御シート
EP1231487A4 (en) * 1999-10-21 2003-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LECTION PLATE, RELATED PRODUCTION PROCESS, DISPLAY ELEMENT AND DISPLAY DEVICE
WO2004104695A1 (ja) * 2003-05-26 2004-12-02 Sharp Kabushiki Kaisha 反射型スクリーン
JP5310268B2 (ja) * 2009-05-29 2013-10-09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180449A (ja) * 2010-03-02 2011-09-15 Sony Corp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窓材、ならびに光学体の貼り合わせ方法
JP2012098595A (ja) * 2010-11-04 2012-05-24 Mitsubishi Rayon Co Ltd 導光体製造用型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15639A1 (en) * 2012-02-08 2013-08-22 Entire Technology Co., Ltd. Light Guide Device, Front-Light Module And Reflective Display Apparatus
JP6536312B2 (ja) * 2014-09-16 2019-07-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面微細凹凸体
JP2018014307A (ja) * 2016-07-22 2018-01-2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9810A (ja) * 1995-10-05 1997-06-20 Sekisui Chem Co Ltd 光制御シ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面状発光装置
JP2000180967A (ja) 1998-12-17 2000-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66264A (ja) 2004-03-18 2005-09-29 Sony Corp スクリーン
JP2009075366A (ja) * 2007-09-20 2009-04-09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12226103A (ja) 2011-04-19 2012-1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3171114A (ja) 2012-02-20 2013-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6136254A (ja) * 2015-01-20 2016-07-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面微細凹凸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90A1 (ko) * 2021-05-17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용 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93270B (zh) 2023-02-21
JPWO2019167972A1 (ja) 2021-04-08
CN111727386A (zh) 2020-09-29
CN111727386B (zh) 2022-07-19
JP7452413B2 (ja) 2024-03-19
KR102630911B1 (ko) 2024-01-29
WO2019167972A1 (ja) 2019-09-06
TW201942600A (zh)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908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CN101793379B (zh) 液晶显示装置用的背光单元用光学片及使用其的背光单元
CN101793378B (zh) 液晶显示装置用光学片及使用该光学片的背光单元
US20090147179A1 (en) Prism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2008512726A (ja) 輝度向上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JP2015532724A (ja) 導光板表面構造、その応用及び製造方法
KR20100094469A (ko) 방현 필름, 방현성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1527787A (zh) 包含第一微結構層及塗層之微結構漫射體、光學堆疊、以及方法
JPH0855507A (ja) 面光源、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光拡散シート
WO2008069324A1 (ja) 光拡散性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ズムシート、並びに面光源装置
JP2008046497A (ja) 光学積層体、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WO2009028439A1 (ja) プリズムシート、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25144A (ko) 방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방현 필름 제조를 위한 금형의 제조 방법
JP2003050673A (ja) 反射防止機能付きの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0211027A (ja) モアレ縞抑制フィルム、及びモアレ縞抑制機能付きプリズムシート
US20140009836A1 (en) Wood-like films and other decorative films utilizing fresnel mirrors
KR102630911B1 (ko) 표면 요철 시트, 스크린,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전사 롤
JP4244889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用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反射型スクリーン用スクリーン
JP2009075266A (ja) 光学シート
JP5603541B2 (ja) プリズムシート
JP2012042610A (ja) 拡散シート、光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224528A (ja) 構造化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2010032739A (ja) レンズ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表示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900112B2 (ja) 防眩シート、防眩シートの製造方法、防眩シートを成型するための金型、及び金型の製造方法
JP5603542B2 (ja) プリズム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