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093A - 부품 피더 및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피더 및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093A
KR20200115093A KR1020200018944A KR20200018944A KR20200115093A KR 20200115093 A KR20200115093 A KR 20200115093A KR 1020200018944 A KR1020200018944 A KR 1020200018944A KR 20200018944 A KR20200018944 A KR 20200018944A KR 20200115093 A KR20200115093 A KR 20200115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owl
conveyance
fee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아키 무카에
다쿠마 이도바타
노리히로 구메
히로키 기무라
교야 구스모토
Original Assignee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68945A external-priority patent/JP72994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75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172366A/ja
Application filed by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04Driving mean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84Troughs, tubes or the like

Abstract

보울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환승 부분에 있어서, 워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워크의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부품 피더(100)는, 보울측 진동원(16)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보울(11) 및 출구 블록(3)과, 보울측 진동원(16)과 다른 리니어측 진동원(56)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트로프(21)를 구비하고, 보울(11) 및 출구 블록(3)과 트로프(21)는, 전달된 진동에 의해 워크 W가 반송되는 반송 홈(12, 31) 및 반송 홈(52)을 각각 갖고,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32)는, 트로프(21)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51a)의 상방에 위치하며, 보울(11) 및 출구 블록(3)과 트로프(21)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출구 블록(3)의 단부(32)로부터 트로프(21)의 단부(51a) 상에 워크 W가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단부(32)에 있어서의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는,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주위의 두께보다 작다.

Description

부품 피더 및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PARTS FEEDER AND AIR JET DEVICE FOR PARTS FEEDER}
본 발명은 전자 부품 등의 피반송물(워크)을 진동에 의해 반송하는 부품 피더 및 여기에 사용되는 에어 분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 피더에서는, 반송 경로를 구성하는 반송 홈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반송 홈을 따라 워크를 반송할 수 있다.
부품 피더로서, 예를 들어 워크가 원주형으로 반송되는 보울 피더와, 워크가 직선형으로 반송되는 리니어 피더가 조합된 부품 피더가 있다. 보울 피더와 리니어 피더는, 별개의 진동원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부품 피더에 있어서, 보울 피더와 리니어 피더로 생기는 진동(진폭, 진동수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그것들의 피더를 직접 접속하면, 예를 들어 진동이 간섭하여 워크의 반송에 지장이 생기거나, 응력의 집중에 의해 부품 피더의 고장을 초래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부품 피더에서는, 한쪽 피더의 진동이 다른 쪽 피더에 대해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피더간에 진동을 절연할 수 있을 정도의 간극을 형성한다.
그러나, 피더간의 간극이 크면, 워크가 간극으로부터 낙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피더간의 간극은 최대한 작게 설계되지만, 근년, 워크는, 점점 소형화되고 있고, 피더간의 간극을 작게 했다고 해도, 워크가 간극으로부터 낙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부품 피더에는, 반송되는 1군의 워크를 세로 방향으로도 가로 방향으로도 중첩되지 않도록 정렬시킴과 함께, 각 워크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자세로서, 다음 공정을 향하여 송출할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부품 피더에서는, 워크가 반송되는 반송로의 근방에 에어 분출 장치를 마련하여, 서로 중첩되어 있는 워크 등에 대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측의 워크를 반송로로부터 튕겨 날리거나, 부적당한 자세의 워크 등에 대해 에어를 분사하여 그 회전을 촉진시키거나 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43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14651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워크가 피더간의 간극으로부터 낙하되는 문제에 대해, 보울 피더의 하류 단을 리니어 피더의 상류 부분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부품 피더에서는, 보울 피더와 리니어 피더 사이에 워크가 낙하되는 간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워크가 간극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보울 피더의 하류 단이 리니어 피더의 상류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는 구조에서는, 보울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환승 부분(오버랩시킨 부분)에 상하 방향의 단차가 생겨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워크가 보울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환승 부분의 단차를 통과했을 때에, 해당 워크가 그 단차를 낙하하여 자세가 무너져 버린다. 이와 같이 워크의 자세가 무너지면, 리니어 피더 위 또는 리니어 피더보다도 하류측에 워크의 자세를 수정하는 기구가 필요했다.
또한, 보울 피더와 리니어 피더의 환승 부분의 단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 보울 피더의 하류 단의 두께를 작게(얇게)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부재 강도가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보울 피더의 하류 단이 진동하여, 워크가 적정하게 반송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정렬되어 있지 않은 워크 등을 반송로로부터 튕겨 날리기 위한 에어 분출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상방으로부터 볼 때 반송로와 직교하는 방향의 에어를 분출한다. 이와 같은 에어를 분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타입의 에어 분출 장치에서는, 선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가늘고 긴 노즐이, 길이 방향이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송로와 직교하는 자세로 되어, 반송로의 측방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울 피더(즉, 측벽부의 내측면에 나선형 반송로가 형성된 보울을 진동시킴으로써, 해당 반송로를 따라 워크를 반송하는 장치인 보울 피더)에, 이 타입의 에어 분출 장치가 마련되는 경우, 가늘고 긴 노즐이, 토출구측의 선단을 보울의 측벽부의 내측면에 면하게 하면서, 평면으로 볼 때 길이 방향을 보울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도록 하여, 보울의 측벽부에 매설된다. 그리고, 노즐의 후단에, 그 축방향으로부터 공급 배관이 접속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평면으로 볼 때 보울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노즐의 후단으로부터, 그 축 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연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공급 배관이 보울의 측벽부로부터 그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모습이 된다. 따라서, 미관이 나쁜데다가, 공급 배관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거나 주위의 설비와 간섭하거나 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부적당한 자세의 워크 회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에어 분출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송로를 따르는 방향의 에어를 분출한다. 이와 같은 에어를 분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타입의 에어 분출 장치에서는, 자유롭게 굴곡시킬 수 있는 튜브(예를 들어, SUS제의 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노즐이, 상방으로부터 보아 반송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자세로 되어, 반송로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해당 튜브형 노즐을 적절하게 굴곡시켜 토출구의 위치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에어가 토출되는 위치 및 각도를 적절하게 미세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튜브형 노즐이, 반송로의 상방에 반송로를 따라서 연장되어 마련되게 되므로, 역시 미관이 나쁘고, 노즐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는 경우도 많았다.
본 발명은, 피더간의 환승 부분에서 피반송물(워크)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피반송물의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 가능한 부품 피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분출 장치가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 전체로서의 외견을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는, 제1 진동원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제1 진동 부재와, 상기 제1 진동원과 다른 제2 진동원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진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진동 부재 및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전달된 진동에 의해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제1 반송 홈 및 제2 반송 홈을 각각 갖고,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진동 부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제2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 상에 피반송물이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저부에 대응한 부분의 주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부품 피더에서는, 제1 진동 부재의 제1 단부에 있어서의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를 그 주위의 두께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1 진동 부재와 제2 진동 부재의 환승 부분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1 진동 부재와 제2 진동 부재의 환승 부분에 있어서, 피반송물(워크)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피반송물의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부품 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는, 상기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부품 피더에서는, 제1 진동 부재의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를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진동 부재의 제1 단부에 있어서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를 작게 한 경우에도, 제1 진동 부재의 제1 단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상기 부품 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는, 상기 제1 단부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부품 피더에서는, 상기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를 제1 단부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 진동 부재의 제1 단부에 있어서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를 작게 한 경우에도, 제1 진동 부재의 제1 단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상기 부품 피더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두께가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 피더에서는,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하면 및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하면 중 적어도 한쪽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단부를,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두께가 작아지도록 용이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 분출 장치는,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이며, 노즐과, 상기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이,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송로의 측방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토출구와,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홈부와, 상기 홈부와 상기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배관이,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홈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이, 노즐의 본체부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므로, 본체부의 축 방향으로 공급 배관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공급 배관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토출구가, 본체부의 단부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를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의 위치, 즉,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가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되어도, 홈부의 길이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토출구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때에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공급 배관을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공급 배관의 처리 구조를 심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측벽부의 내측면에 나선형 반송로가 형성된 보울에,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상기 보울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의 본체부가,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보울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배치되는 바,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은, 본체부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므로, 평면으로 볼 때 보울의 직경 방향으로 공급 배관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공급 배관이 특별히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특히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 분출 장치는,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이며, 노즐과, 상기 노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이, 원기둥형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가,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축의 축선 둘레로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이, 둘레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부를 구비하고, 이 본체부가,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지지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튜브형 노즐이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를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노즐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토출구가, 본체부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를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의 위치, 즉,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체부의 회전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하는 양태는, 종래와 같이, 튜브형 노즐의 선단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하는 양태에 비하여, 위치 조정의 재현성이 높다. 따라서, 숙련의 오퍼레이터가 아니어도, 간이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에어의 분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이며, 상기 노즐이,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홈부와, 상기 홈부와 상기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배관이,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홈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이, 노즐의 본체부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므로, 본체부의 축 방향으로 공급 배관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공급 배관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특히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가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되어도, 홈부의 길이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토출구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때에 본체부의 회전에 따라 공급 배관을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공급 배관의 처리 구조를 심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가, 반송로의 형상이 단면 V자형으로부터 단면 호형으로 변화되는 단차 부분을 통과하는 피반송물을 향해서, 에어를 분출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워크가 단면 호형의 반송로에 낙하되는 타이밍에, 해당 워크에 대해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워크의 회전을 재촉할 수 있다. 회전하면서 낙하되는 워크는, 단면 호형의 반송로에 착지할 때에 가장 안정되는 회전 자세(즉, 무게 중심이 가장 낮은 회전 자세)를 취하려고 하기 때문에, 낙하 시에 워크의 회전이 촉진됨으로써, 워크의 자세가 이 회전 자세로 정렬된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긴 형상의 워크를, 그 긴 방향을 반송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정렬하고 싶은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품 피더는, 상술한 각 구성에 관한 에어 분출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진동 부재와 제2 진동 부재의 환승 부분에 있어서, 피반송물(워크)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피반송물의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피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분출 장치가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 전체로서의 외견을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피더에 있어서의 보울 피더의 하류 단 부분과 리니어 피더의 상류 단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품 피더에 있어서의 보울 피더의 하류 단 부분과 리니어 피더의 상류 단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출구 블록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출구 블록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출구 블록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의 A-A직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보울 피더의 보울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도 6의 보울 피더의 보울에 있어서의 층 규제용 반송 홈의 입구부 근방, 중간부 근방, 출구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보울 피더에 있어서의 워크의 층 규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는 도 9의 보울 피더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보울 피더의 주요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 (a) 및 저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b).
도 12는 에어 분출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는 반송로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은 제1 에어 분출 장치의 측단면도.
도 15은 제1 에어 분출 장치가 구비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6은 제1 에어 분출 장치가 구비하는 노즐의 사시도 (a) 및 정면도 (b).
도 17는 제2 에어 분출 장치가 구비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제2 에어 분출 장치의 측단면도.
도 19은 제2 에어 분출 장치가 구비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류 및 하류란, 부품 피더에 있어서의 피반송물(워크)의 반송 방향(보울 피더(1)로부터 리니어 피더(2)를 향하여 반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표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부품 피더(100)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는, 예를 들어 IC 칩, 미소한 코일 등의 워크를 정렬시키는 보울 피더(1)와, 보울 피더(1)에 의해 반송되어 온 워크를, 다시 일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2)를 구비한다. 보울 피더(1) 및 리니어 피더(2)는, 받침대(6)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보울 피더(1)는, 도시하지 않은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워크를 수용할 수 있는 보울(11)과, 보울(11)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 진동원으로서의 보울측 진동원(16)을 구비한다. 보울(11)은, 중앙이 팽출한 평면으로 볼 때 원형의 저부(11a)와, 저부(11a)의 주연부로부터 위로 경사지는 벽면(측벽부)(11b)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대략 직육면체의 워크를 반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벽면(11b)에는,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반송 홈(12)이 형성된다. 반송 홈(12)은, 반송 방향 하류 단(리니어 피더(2) 근방의 단부)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면으로 V자형으로 형성된다. 반송 홈(12)은, 완만한 경사면인 주행면(12a)과, 급 경사면인 벽면(12b)에 의해 형성된다. 벽면(12b)은, 주행면(12a)의 폭 방향 단부(도 2의 우측단 에지부)에 대해 직교하는 면이다. 그 때문에, 반송 홈(12)을 따라 반송되는 워크는, 주행면(12a) 및 벽면(12b)에 맞닿은 상태에서, 벽면(12b)에 안내되면서 주행면(12a) 상을 이동한다.
보울측 진동원(16)은, 전자석과, 보울(11)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갖고, 전자석의 여자에 의해 보울측 진동원(16)으로부터 보울(11)에 진동이 전달되어, 보울(11)이 비틀림 진동한다. 보울측 진동원(16)을 구동시켜 보울(11)을 진동시킴으로써, 워크가 둘레 방향으로 순차 반송된다.
보울(11)의 반송 방향 하류 단에는, 보울 피더(1)의 일부로서의 출구 블록(3)이 접속된다. 출구 블록(3)은, 보울(11)의 반송 방향 하류 단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울 피더(1)의 보울(11) 및 출구 블록(3)이, 본 발명의 「제1 진동 부재」에 대응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 블록(3)은, 보울(11)에 볼트 고정되어 있고, 보울측 진동원(16)에 의해 보울(11)과 함께 진동된다. 출구 블록(3)의 리니어 피더(2)에 대한 위치의 조절은, 보울(11) 및 출구 블록(3)을 받침대(6)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출구 블록(3)의 상부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 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반송 홈(31)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면으로 V자형으로 형성된다. 반송 홈(31)은, 보울(11)의 반송 홈(12)과 마찬가지로, 완만한 경사면인 주행면(31a)과, 급 경사면인 벽면(31b)에 의해 형성된다. 벽면(31b)은, 주행면(31a)의 폭 방향 단부(도 2의 우측단 에지부)에 대해 직교하는 면이며, 주행면(31a)과 벽면(31b)에 의해 반송 홈(31)의 저부(31t)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반송 홈(31)을 따라 반송되는 워크는, 주행면(31a) 및 벽면(31b)에 맞닿은 상태에서, 벽면(31b)에 안내되면서 주행면(31a) 상을 이동한다.
리니어 피더(2)는, 보울 피더(1)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워크는, 보울(11)로부터 출구 블록(3)을 통해 리니어 피더(2)의 트로프(21)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다. 리니어 피더(2)는, 반송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트로프(21)와, 트로프(21)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진동원(제1 진동원과는 다른 진동원임)으로서의 리니어측 진동원(56)을 갖는다. 트로프(21)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단부(51a)는, 출구 블록(3)에 대해,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 간격을 두고 인접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니어 피더(2)의 트로프(21)가, 본 발명의 「제2 진동 부재」에 대응한다.
트로프(21)의 상부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반송 홈(5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면으로 V자형으로 형성된다. 반송 홈(52)은, 보울(11)의 반송 홈(12) 및 출구 블록(3)의 반송 홈(31)과 마찬가지로, 완만 경사면인 주행면(72a)과, 급 경사면인 벽면(72b)에 의해 형성된다. 벽면(72b)은, 주행면(72a)의 폭 방향 단부(도 2의 우측단 에지부)에 대해 직교하는 면이다. 그 때문에, 반송 홈(52)을 따라 반송되는 워크는, 주행면(72a) 및 벽면(72b)에 맞닿은 상태에서, 벽면(72b)에 안내되면서 주행면(72a) 상을 이동한다.
리니어측 진동원(56)은, 전자석과, 트로프(21)를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갖고, 전자석의 여자에 의해 리니어측 진동원(56)으로부터 트로프(21)에 진동이 전달되어, 트로프(21)가 왕복 진동한다. 리니어측 진동원(56)을 구동시켜 트로프(21)를 진동시킴으로써, 출구 블록(3)으로부터 이송된 워크가,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순차 반송된다.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 단에는, 리니어 피더(2)측으로 돌출되는 단부(32)가 형성된다. 단부(32)는, 주행면(31a)의 반송 방향 하류 단에 배치된 판형부(32a)와, 벽면(31b)의 반송 방향 하류 단에 배치된 판형부(32b)를 갖고 있다. 판형부(32a)는, 트로프(21)의 주행면(72a)에 오버랩하도록 상방(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판형부(32b)는, 트로프(21)의 벽면(72b)에 오버랩하도록 위치한다. 그 때문에, 단부(32)의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은, 트로프(21)에 오버랩하도록 상방(연직 상방)에 위치한다. 판형부(32a)는, 트로프(21)의 주행면(72a)의 반송 방향 상류 단의 상방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그 때문에, 출구 블록(3)의 단부(32)와 리니어 피더(2)의 트로프(21) 사이에서 진동이 절연된다. 즉, 보울(11) 및 출구 블록(3)의 보울측 진동원(16)의 진동은, 트로프(21)로 전달되지 않고, 리니어측 진동원(56)의 진동은, 보울(11) 및 출구 블록(3)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진동이 간섭하여 워크의 반송에 지장이 생기거나, 응력의 집중에 의해 부품 피더(100)의 고장을 초래하거나 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단부(32)의 판형부(32a) 및 판형부(32b)에 있어서의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단부(32)의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의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는,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주위의 두께보다 작다. 즉,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주위는,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반송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 있는 부분이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있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는,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즉, 판형부(32a) 및 판형부(32b)의 두께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또한,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는, 단부(32)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즉,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는, 도 5의 (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인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32)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따라서, 단부(32)의 판형부(32a) 및 판형부(32b)는,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두께가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울 피더(1)에 있어서, 보울(11)의 벽면(11b)에는,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반송 홈(12)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형 반송 홈(12)의 외측(직경 방향 외측)에는, 복수의 층 규제용 반송 홈(6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층 규제용 반송 홈(60)은, 나선형 반송 홈(12)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지만, 도 6은, 나선형 반송 홈(12)의 일부 외측에 형성된 하나의 층 규제용 반송 홈(6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선형 반송 홈(12)의 외측에 층 규제용 반송 홈(60)을 형성함으로써, 보울 피더(1)에 있어서, 워크가 보울(11) 내의 나선형 반송 홈(12)을 따라 반송될 때에, 2개의 워크가 상하 2층으로 중첩된 상태로 된 경우에, 보울 피더(1)에 있어서의 워크의 층 규제(상하 2층으로 중첩된 2개의 워크를 중첩되지 않은 상태로 함)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층 규제를 행하기 위한 층 규제용 반송 홈(60)은, 나선형 반송 홈(12)의 외측에서 나선형 반송 홈(12)의 일부를 따라 형성된다. 층 규제용 반송 홈(60)은, 나선형 반송 홈(12)의 외측에 워크 1개분 이상의 거리를 이격하여 형성된 후, 나선형 반송 홈(12)과의 거리가 점차 작아진다. 층 규제용 반송 홈(60)은, 그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근방까지 전역에 걸쳐,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지고,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있어서, 나선형 반송 홈(12)과 합류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보울(11)에 있어서의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입구부 근방, 중간부 근방, 출구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a) 내지 (c)는, 각각 도 6의 A1-A1선, A2-A2선, A3-A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층 규제용 반송 홈(60)은, 나선형 반송 홈(12)과 마찬가지로,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단면으로 V자형으로 형성된다. 층 규제용 반송 홈(60)은, 완만 경사면인 주행면(60a)과, 급 경사면인 벽면(60b)에 의해 형성된다. 벽면(60b)은, 주행면(60a)의 폭 방향 단부(도 7의 우측단 에지부)에 대해 직교하는 면이다. 그 때문에, 층 규제용 반송 홈(60)을 따라 반송되는 워크는, 주행면(60a) 및 벽면(60b)에 맞닿은 상태에서, 벽면(60b)에 안내되면서 주행면(60a) 상을 이동한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입구부 근방(도 6의 A1-A1선 단면)에 있어서,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저부(60t)는, 나선형 반송 홈(12)의 저부(12t)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단부에 있어서, 나선형 반송 홈(12)과 층 규제용 반송 홈(60) 사이에, 단차부(61)가 형성된다. 단차부(61)는,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주행면(60a)과 나선형 반송 홈(12)의 주행면(12a)이 접속되는 부분이며, 나선형 반송 홈(12)의 주행면(12a)에 대해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주행면(60a)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나선형 반송 홈(12)의 저부(12t)의 높이는, 도 7의 (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입구부로부터 중간부(도 6의 A2-A2선 단면), 출구부(도 6의 A3-A3선 단면)를 향하여 완만하게 높아지도록 변화된다.
나선형 반송 홈(12)의 저부(12t)와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저부(60t)의 거리는,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저부(60t)의 높이는,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전역에 걸쳐,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 높아진다.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적어도 일부의 반송 방향을 따른 구배는, 나선형 반송 홈(12)의 반송 방향을 따른 구배보다 작다.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저부(60t)와 나선형 반송 홈(12)의 저부(12t)의 거리는,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입구부로부터,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중간부, 출구부를 향해 점차 작아지고, 나선형 반송 홈(12)과 층 규제용 반송 홈(60) 사이의 단차부(61)의 높이가 점차 낮아진다. 그 때문에,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나선형 반송 홈(12)과 층 규제용 반송 홈(60) 사이의 단차부(61)가 없어져(단차부(61)의 높이가 0이 되고), 나선형 반송 홈(12)의 주행면(12a)과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주행면(60a)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나선형 반송 홈(12)의 외측에 층 규제용 반송 홈(60)을 형성함으로써,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형 반송 홈(12)에 있어서 2개의 워크가 상하 2층으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 도 8의 (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의 워크가, 층 규제용 반송 홈(60)으로 이동하고, 그 후, 도 8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층 규제용 반송 홈(60)에서 반송됨에 따라, 나선형 반송 홈(12)과 층 규제용 반송 홈(60) 사이의 단차부(61)의 높이가 낮아지고, 나선형 반송 홈(12)의 주행면(12a)과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주행면(60a)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면, 나선형 반송 홈(12)에서 반송되는 워크가, 그 외측의 층 규제용 반송 홈(60)으로 이동한다.
평면으로 볼 때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에 있어서, 나선형 반송 홈(12)의 저부(12t)의 위치는,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저부(60t)의 위치까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전환된다. 즉,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보다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있어서는, 층 규제용 반송 홈(60)의 저부(60t)를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연장한 부분에, 나선형 반송 홈(12)의 저부(12t)가 배치된다. 그 때문에, 나선형 반송 홈(12)이 반송되는 워크와 층 규제용 반송 홈(60)이 반송되는 워크가 합류되면, 나선형 반송 홈(12) 상에 있어서, 도 8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가 중첩된 상태가 해소되어, 워크가 중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2. 효과>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는, 보울측 진동원(16)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보울(11) 및 출구 블록(3)과, 보울측 진동원(16)과 다른 리니어측 진동원(56)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트로프(21)를 구비하고, 보울(11) 및 출구 블록(3)과 트로프(21)는, 전달된 진동에 의해 워크가 반송되는 반송 홈(12, 31) 및 반송 홈(52)을 각각 갖고,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32)는, 트로프(2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단부(51a)의 상방에 위치하며, 보울(11) 및 출구 블록(3)과 트로프(21)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출구 블록(3)의 단부(32)로부터 트로프(21)의 단부(51a) 상에 워크가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단부(32)에 있어서의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는,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주위의 두께보다 작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에서는,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에 있어서의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를 그 주위의 두께보다 작게 함으로써, 출구 블록(3)과 트로프(21)의 환승 부분의 단차부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출구 블록(3)과 트로프(21)의 환승 부분에 있어서, 워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워크의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에 있어서,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는, 반송 홈(31)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에서는,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를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에 있어서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를 작게 한 경우에도, 출구 블록(3)의 단부(32)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에 있어서,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는, 단부(32)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에서는,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를 단부(32)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에 있어서, 그 선단을 향하여 두께를 작게 한 경우에도, 출구 블록(3)의 단부(32)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에 있어서,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는,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두께가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100)에서는,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하면 및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하면이, 테이퍼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단부(32)를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두께가 작아지도록 용이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당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명세서 및 도면에서,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1. 부품 피더(100')의 전체 구성>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의 구성을,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은,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품 피더(100')는, 예를 들어 IC 칩, 미소한 코일 등의 워크를, 진동에 의해 반송하는 장치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는, 대략 직육면체형인 것으로 한다.
부품 피더(100')는, 워크를 나선형으로 반송하면서 정렬시키는 보울 피더(1')와, 보울 피더(1')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보울 피더(1')로부터 공급된 워크를 직선형으로 반송하면서 결정된 방향으로 정렬시켜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리니어 피더(2)를 구비한다. 보울 피더(1') 및 리니어 피더(2)는, 받침대(6)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보울 피더(1')는, 도시하지 않은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워크를 수용하는 보울(11')과, 보울(11')의 하방에 배치된 진동원(보울측 진동원)(12)을 구비한다. 보울(11')의 내측면에는, 나선형 반송로(111)가 형성되어 있고, 보울측 진동원(16')에 의해 보울(11')이 비틀림 진동됨으로써, 워크가 반송로(111)를 따라 반송된다.
리니어 피더(2)는,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트로프(21)와, 트로프(21)의 하방에 배치된 진동원(리니어측 진동원)(22)을 구비한다. 리니어측 진동원(22)에 의해 트로프(21)가 진동됨으로써, 워크가 트로프(21)를 따라 반송된다.
다음에, 보울 피더(1')에 대해, 도 9 이외에도,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는, 보울 피더(1')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보울 피더(1')의 주요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 (a) 및 저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b)이다.
보울(11')은, 중앙이 팽출한 평면으로 볼 때 원형의 저부(11a)와, 저부(11a)의 주연부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방을 향함에 따라 외측으로 경사지는 측벽부(11b)를 구비한다. 측벽부(11b)의 내측면에는, 홈형의 반송로(11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반송로(111)의 근방에는, 2종류의 에어 분출 장치(제1 에어 분출 장치(4) 및 제2 에어 분출 장치(5))가 마련된다. 각 에어 분출 장치(4, 5)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울측 진동원(1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록(121a)과 가동 블록(121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121)와, 지지부(121)에 수용되는 전자 구동부(122)를 구비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록(121a)의 중앙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전자 구동부(122)가 배치됨과 함께, 해당 오목부를 상측으로부터 막도록 하여 가동 블록(121b)이 마련된다. 가동 블록(121b)은, 전자 구동부(122)의 동작에 따라 진동하는 가동 부재이며, 고정 블록(121a)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판 스프링(123)을 통해 고정 블록(121a)과 접속됨으로써, 고정 블록(121a)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각 판 스프링(123)은, 모두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마련되어 있고, 전자 구동부(122)가 동작하면, 각 판 스프링(123)에 휨이 생겨, 가동 블록(121b)에, 비틀림 방향과 수직 방향이 조합된 변위를 수반하는 진동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121b)은, 평면으로 볼 때 만자형(즉, 정사각형의 각 변에 있어서 동일 측의 정점 근방으로부터 서로 직각을 이루는 연장 돌출 부분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동 블록(121b)의 각 돌출 부분에는 삽입 관통 구멍 H가 마련되어 있고, 각 삽입 관통 구멍 H에, 볼트 등의 고정구(도시 생략)가 삽입 관통되어 이것이 보울(11')의 저면에 마련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도시 생략)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가동 블록(121b)과 보울(11')의 저면이 연결된다. 이에 의해, 보울(11')이 보울측 진동원(16')에 대해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전자 구동부(122)가 동작하면, 가동 블록(121b)을 통해 보울(11')에 진동이 전달되어, 보울(11')의 측벽부(11b)에 형성된 반송로(111)를 따라, 워크가 반송된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가동 블록(121b)이, 전자 구동부(122)의 동작에 따라 진동하는 가동 부재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보울(11')을 보울측 진동원(16')에 대해 장착되는 장착 부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전자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진동하는 부재(가동 블록)의 외주측에, 이것과는 별개로 구성된 장착 부재를 연결하고, 이 장착 부재를 보울의 저부에 고정함으로써, 보울을 보울측 진동원에 장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 블록과 장착 부재 사이의 밀착성(수직 방향의 밀착성)과, 장착 부재와 보울 사이의 밀착성(수평 방향의 밀착성)의 양쪽을 담보할 필요가 있고, 양쪽의 밀착성이 충분히 담보되지 않으면, 진동이 적절하게 전달되지 않아, 반송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에 반하여, 이 실시 형태와 같이, 가동 부재인 가동 블록(121b)이, 장착 부재로서의 기능도 담당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수직 방향의 밀착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가동 블록(121b)과 보울(11') 사이의 수평 방향의 밀착성만이 담보되면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과 비교하여, 반송 성능의 담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가동 블록(121b)과는 별개의 장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의 삭감 및 조립 공정수의 삭감이 실현된다. 또한, 가동 블록(121b)과 장착 부재가 별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울측 진동원(16')의 전체로서의 강성도 높아진다.
<2. 에어 분출 장치>
<2-1. 에어 분출 장치의 배치 위치>
다음에, 에어 분출 장치(4, 5)의 배치 위치에 대해, 도 10, 도 12, 도 13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보울(11')에 있어서의 에어 분출 장치(4, 5)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는, 반송로(111)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 부분(111a)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11')에는, 2종류의 에어 분출 장치(제1 에어 분출 장치(4) 및 제2 에어 분출 장치(5))가 마련된다.
제1 에어 분출 장치(4)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있는 워크 중 상측의 워크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볼 때(즉,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111)와 교차되는 방향의 에어를 분사하여, 해당 워크를 반송로(111)로부터 튕겨 날리기 위한 장치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 에어 분출 장치(4, 4)가, 반송로(111)의 근방에, 반송로(111)의 연장 방향에 대해 간격을 마련하면서, 배치된다.
제2 에어 분출 장치(5)는, 상방으로부터 볼 때 반송로(111)를 따르는 방향의 에어를 워크에 분사하여, 그의 회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에어 분출 장치(5, 5)가, 반송로(111)의 근방에, 반송로(111)의 연장 방향에 대해 간격을 마련하면서, 배치된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11')에 형성되는 반송로(111)의 도중에는, 반송 방향 AR1의 하류측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단차 부분(1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 부분(111a)을 경계로, 반송 방향 AR1의 상류측은, 종단면(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V자형의 홈을 포함하는 반송로 부분(V자형 홈부분)(111b)으로 되고, 반송 방향 AR1의 하류측은, 종단면의 형상이 호형의 홈을 포함하는 반송로 부분(호형 홈부분)(111c)으로 되어 있다.
V자형 홈부분(111b)은, 완만한 경사면인 주행면 Q1과, 급 경사면인 벽면 Q2로 구성된다. 벽면 Q2는, 주행면 Q1에 대해 직교하는 면이며, V자형 홈부분(111b)을 따라 반송되는 워크는, 주행면 Q1 및 벽면 Q2에 맞닿은 상태에서, 벽면 Q2에 안내되면서 주행면 Q1 상을 이동한다. 한편, 호형 홈부분(111c)은, 호형으로 만곡된 면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반송되는 워크(9)는 그 저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을 따르는 양쪽 측변을 호형 홈부분(111c)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이동한다.
제1 에어 분출 장치(4)는, 반송로(111)에 있어서의, V자형 홈부분(111b)의 근방에 배치되어, V자형 홈부분(111b)을 반송되는 워크를 향해서, 에어를 분출한다(도 14 참조). 한편, 제2 에어 분출 장치(5)는, 반송로(111)에 있어서의, 단차 부분(111a)의 근방에 배치되고, 단차 부분(111a)을 통과하는 워크(즉, V자형 홈부분(111b)으로부터 호형 홈부분(111c)으로 낙하되는 워크)를 향해서, 에어를 분출한다(도 13 참조).
<2-2. 제1 에어 분출 장치>
다음에, 제1 에어 분출 장치(4)의 구성에 대해, 도 12 이외에도,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은, 제1 에어 분출 장치(4)의 측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14에 있어서, 제1 에어 분출 장치(4)가 구비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에어 분출 장치(4)가 구비하는 노즐(41)의 사시도 (a) 및 정면도 (b)이다.
제1 에어 분출 장치(4)는, 노즐(41)과, 노즐(41)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42)을 구비한다.
노즐(41)은, 원기둥형 본체부(411)를 구비한다. 본체부(411)의 한쪽 단부면(411a)에는, 토출구(4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토출구(412)는, 단부면(411a)의 주연의 일부가, 역 ㄷ자형으로 절결됨으로써 형성된다.
본체부(411)의 둘레면(411b)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긴 홈부(413)가 형성된다. 즉,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413)는, 본체부(411)의 축방향으로부터 볼 때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긴 홈이다. 홈부(413)는, 본체부(411)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중앙 부분(원호의 중앙)이, 토출구(412)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홈부(413)는, 본체부(411)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원호 중심각 θ가, 충분히 큰 값(예를 들어 120도 이상)으로 된다. 또한, 홈부(413)는, 평면으로 볼 때, 긴 방향의 양단이 호형으로 형성된 타원형으로 된다.
본체부(411)에는, 홈부(413)와 토출구(412)를 연통시키는 연통부(414)가 형성된다. 연통부(414)는, 구체적으로는, 본체부(411)의 둘레면(411b)에, 그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늘고 긴 홈이며, 일단이 홈부(413)와 연통됨과 함께, 타단이 토출구(412)와 연통된다.
본체부(411)에 있어서의, 토출구(412)가 형성되어 있는 단부면(411a)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의 근방에는, 본체부(411)의 둘레면(411b)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그 삽입 관통 구멍(415)이 형성된다. 지그 삽입 관통 구멍(415)은, 여기에 봉형의 지그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보울(11')의 측벽부(11b)에는, 반송로(111)의 측방에,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원기둥형 관통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12)은, 보울(11')의 내측으로부터 외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 축방향이 V자형 홈부분(111b)의 주행면 Q1과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112)은, 여기에 노즐(41)의 본체부(411)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본체부(411)는, 토출구(412)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단부면(411a)이 반송로(111)에 면하는 위치까지, 관통 구멍(112)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본체부(411)가 보울(11')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2)은, 반송로(111)의 측방에,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부(411)는, 그 축방향이,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즉, 반송로(111)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반송로(111)의 측방에 배치된다(도 10의 이점쇄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2)은, 그 축방향이 주행면 Q1과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부(411)는, 그 축방향이, 주행면 Q1과 대략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된다.
관통 구멍(112)의 내직경은, 본체부(411)의 외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관통 구멍(112)에 삽입되었을 때에, 본체부(411)의 둘레면(411b)와 관통 구멍(112)의 내면이 기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된다. 즉, 본체부(411)는, 관통 구멍(112)에 기밀하게 삽입되고, 이에 의해, 홈부(413)의 내부 공간이 밀봉됨과 함께, 해당 내부 공간과 토출구(412)가 연통부(414)를 통해 기밀하게 연통된다.
관통 구멍(112)에 삽입된 본체부(411)는, 그의 축선 둘레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오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본체부(411)에 마련된 지그 삽입 관통 구멍(415)에 봉형의 지그를 삽입 관통시키고, 그 일단에 힘을 가함으로써, 지레의 원리로, 본체부(411)를 그의 축선 둘레로 간단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보울(11')에는, 관통 구멍(112)의 상방에, 일단이 관통 구멍(112)과 연통함과 함께, 관통 구멍(112)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고정 부재 삽입 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부재 삽입 구멍(115)에, 고정 부재(예를 들어, 세트 나사못)(43)가 조여져, 그 일단이 관통 구멍(112)에 삽입된 본체부(411)의 둘레면에 압접함으로써, 본체부(411)가 그의 축선의 둘레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보울(11')에는, 관통 구멍(112)의 하방에, 그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여기서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관 삽입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공급 배관(42)의 일단이 삽입된다. 즉, 공급 배관(42)의 선단은, 관통 구멍(112)에 삽입 관통된 본체부(4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배관 삽입 구멍(113)의 상단은, 공급 구멍(114)을 통해, 관통 구멍(112)과 연통되어 있다. 단, 이 공급 구멍(114)은, 관통 구멍(112)에 본체부(411)가 삽입되었을 때에, 홈부(413)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 삽입 구멍(113)에 삽입된 공급 배관(42)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공급 구멍(114)을 통해, 홈부(413)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어, 연통부(414)를 통해 토출구(412)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공급 배관(42)이, 본체부(4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홈부(413)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여,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므로, 본체부(411)의 축 방향으로 공급 배관(42)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여기서는, 공급 배관(42)과 토출구(412) 사이에, 긴 홈부(413)가 개재하므로, 본체부(411)가 그의 축선의 둘레로 회전되어도, 홈부(413)의 길이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토출구(412)로의 에어의 공급이 유지된다.
다음에, 제1 에어 분출 장치(4)의 동작에 대해, 계속해서, 도 12,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41)의 본체부(411)는, 토출구(412)를 반송로(111)에 면하게 하면서, 보울(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먼저, 본체부(411)에 형성되어 있는 지그 삽입 관통 구멍(415)에 봉형의 지그를 삽입 관통하고, 그 일단에 힘을 가하여, 본체부(411)를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토출구(412)의 높이를 조정한다(도 12의 화살표 AR2). 여기에서는, 토출구(412)의 높이가, 반송로(111)를 적정 자세로 반송되어 오는 워크보다도 약간 상방의 높이로 되도록, 본체부(411)의 회전 위치가 조정되는 것으로 한다.
본체부(411)의 회전 위치가 정해지면, 오퍼레이터는, 고정 부재 삽입 구멍(115)에 고정 부재(43)를 조여, 그 일단을 본체부(411)의 둘레면에 압접시킨다. 이에 의해, 본체부(411)가 그의 축선의 둘레로 회전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 후, 워크의 반송이 개시되면, 공급 배관(42)에 마련된 밸브(도시 생략)가 제어됨으로써, 공급 배관(42)으로부터 에어의 공급이 개시된다. 공급 배관(42)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공급 구멍(114)을 통해, 홈부(413)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어, 연통부(414)를 통해 토출구(412)로부터 토출된다. 여기에서는, 워크가 반송되고 있는 동안, 공급 배관(42)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계속되어, 토출구(412)로부터 소정 압력으로 에어가 계속 분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토출구(412)의 높이가, 반송로(111)를 적정 자세로 반송되어 오는 워크보다도 약간 상방의 높이로 되도록, 본체부(411)의 회전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로(111)를, 세로 방향으로 중첩한 상태에서 반송되어 오는 워크가 있으면, 상측의 워크가, 토출구(412)로부터 분출되는 에어를 받아서 분출된다. 이에 의해, 워크가 중첩된 상태가 해제된다.
<2-3. 제2 에어 분출 장치>
다음에, 제2 에어 분출 장치(5)의 구성에 대해, 도 12, 도 13 이외에도, 도 17 내지 도 19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는, 도 12에 있어서, 제2 에어 분출 장치(5)가 구비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 에어 분출 장치(5)의 측단면도이다. 도 19은, 도 18에서, 제2 에어 분출 장치(5)가 구비하는 각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에어 분출 장치(5)는, 노즐(51)과, 노즐(51)을 지지하는 지지부(52)와, 노즐(51)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53)을 구비한다.
노즐(51)은, 원기둥형 본체부(511)를 구비한다. 본체부(511)의 내부에는, 일단이 개구됨과 함께 타단이 폐색된 중공 공간 V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된 단부에 멈춤 나사(예를 들어, 6각 구멍 구비 멈춤 나사)(512)가 마련됨으로써, 중공 공간 V의 개구 단부가 봉쇄되어 있다.
본체부(511)의 둘레면(511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는, 중공 공간 V와 연통되는 관통 구멍인 토출구(513)가 형성된다. 토출구(513)는, 본체부(511)의 중공 공간 V에 있어서의 폐색측의 단부의 근방에 형성된다.
본체부(511)의 둘레면(511a)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긴 홈부(514)가 형성된다. 홈부(514)는, 본체부(511)의 원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원환형의 홈이다. 홈부(514)의 저부에는 연통부(51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통부(515)를 통해, 홈부(514)의 내부 공간과 중공 공간 V가 연통되어 있다. 즉, 홈부(514)는, 연통부(515) 및 중공 공간 V를 통해, 토출구(513)와 연통되어 있다.
지지부(52)는,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부재이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기체(基體)부(52a)와, 그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 플랜지부(52b)를 구비한다. 지지부(52)는, 기체부(52a)에 형성된 긴 구멍(521)에 삽입 관통된 볼트 B에 의해, 보울(11')의 측벽부(11b)의 상단부면에 고정된다. 단, 이 때, 기체부(52a)가, 반송로(111)의 상방에,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자세로 된다.
하향 플랜지부(52b)에는, 기체부(52a)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원기둥형 관통 구멍(52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22)은, 여기에 노즐(51)의 본체부(511)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본체부(511)는, 토출구(51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반송로(111)의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홈부(514)가 관통 구멍(522)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관통 구멍(522)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본체부(511)가 지지부(52)를 통해 보울(11')에 대해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52)는, 기체부(52a)가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자세로 보울(11')에 고정되고, 관통 구멍(522)은 기체부(52a)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본체부(511)는, 그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즉, 반송로(111)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반송로(111)의 상방에 지지된다(도 10의 이점쇄선).
관통 구멍(522)의 내직경은, 본체부(511)의 외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어, 관통 구멍(522)에 삽입되었을 때에, 본체부(511)의 둘레면(511a)과 관통 구멍(522)의 내면이 기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된다. 즉, 본체부(511)는, 관통 구멍(522)에 기밀하게 삽입되고, 이에 의해, 홈부(514)의 내부 공간이 밀봉됨과 함께, 해당 내부 공간과 토출구(513)가 연통부(515) 및 중공 공간 V를 통해 기밀하게 연통된다.
관통 구멍(522)에 삽입된 본체부(511)는, 그 축의 축선 둘레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즉, 지지부(52)는, 본체부(511)를 그의 축선 둘레로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이것을 지지한다. 오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지지부(52)에 지지되어 있는 본체부(511)에 마련되어 있는 6각 구멍 구비 멈춤 나사(512)의 6각 구멍에 지그를 삽입 관통시키고, 그 일단을 회전시킴으로써, 본체부(511)를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52)에는, 관통 구멍(522)의 측방에, 일단이 관통 구멍(522)과 연통함과 함께, 관통 구멍(522)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고정 부재 삽입 구멍(5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부재 삽입 구멍(524)에, 고정 부재(예를 들어, 세트 나사못)(54)가 조여져, 그 일단이 관통 구멍(522)에 삽입된 본체부(511)의 둘레면에 압접됨으로써, 본체부(511)가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지지부(52)에는, 관통 구멍(522)의 상방에, 그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여기서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관 삽입 구멍(523)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공급 배관(53)의 일단이 삽입된다. 즉, 공급 배관(53)의 선단은, 관통 구멍(522)에 삽입 관통된 본체부(5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배관 삽입 구멍(523)의 하단은, 관통 구멍(522)과 연통되어 있다. 단, 배관 삽입 구멍(523)은, 관통 구멍(522)에 본체부(511)가 삽입되었을 때에, 홈부(514)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 삽입 구멍(523)에 삽입된 공급 배관(53)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홈부(514)의 내부 공간에 충전됨과 함께, 연통부(515)를 통해 중공 공간 V에 충전되어, 토출구(513)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공급 배관(53)이, 본체부(5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홈부(514)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여,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므로, 본체부(511)의 축 방향으로 공급 배관(53)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여기서는, 공급 배관(53)과 토출구(513) 사이에, 긴 홈부(514)가 개재하므로, 본체부(511)가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되어도, 홈부(514)의 길이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토출구(513)로의 에어의 공급이 유지된다.
다음에, 제2 에어 분출 장치(5)의 동작에 대해, 계속해서, 도 12, 도 13, 도 17 내지 도 19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52)는, 긴 구멍(521)에 삽입 관통된 볼트 B에 의해, 보울(11')에 고정되어 있고, 이 긴 구멍(521)은, 기체부(52a)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볼트 B를 느슨하게 하여 지지부(52)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지지부(52)의 장착 위치, 즉, 본체부(511)의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위치를 조정한다(도 12의 화살표 AR3). 여기에서는, 토출구(513)가, 반송로(111)의 바로 위에 오도록, 본체부(511)의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위치가 조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51)의 본체부(511)는, 토출구(513)를 반송로(111)에 면하게 하면서, 지지부(52)에 형성된 관통 구멍(522)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6각 구멍 구비 멈춤 나사(512)의 6각 구멍에 지그를 삽입 관통시키고, 본체부(511)를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토출구(513)의 높이와 방향을 조정한다(도 12의 화살표 AR4). 여기에서는, 토출구(513)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단차 부분(111a)(도 13)을 낙하하는 워크의 궤도 상의 위치를 향해 토출되도록, 본체부(511)의 회전 위치가 조정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워크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능한 한 먼 위치(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와 같이 직육면체형의 워크의 경우, 각 부분)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본체부(511)의 회전 위치 등이 미세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511)의 회전 위치가 정해지면, 오퍼레이터는, 고정 부재 삽입 구멍(524)에 고정 부재(54)를 조여, 그 일단을 본체부(511)의 둘레면에 압접시킨다. 이에 의해, 본체부(511)가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 후, 워크의 반송이 개시되면, 공급 배관(53)에 마련된 밸브(도시 생략)가 제어됨으로써, 공급 배관(53)으로부터 에어의 공급이 개시된다. 공급 배관(53)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홈부(514)의 내부 공간 및 연통부(515)를 통해 중공 공간 V에 충전되어, 토출구(513)로부터 토출된다. 여기에서는, 워크가 반송되고 있는 동안, 공급 배관(53)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계속되어, 토출구(513)로부터 소정 압력으로 에어가 계속 분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토출구(513)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단차 부분(111a)을 낙하하는 워크의 궤도 상의 위치를 향해 토출되도록, 본체부(511)의 회전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차 부분(111a)을 낙하하는 워크에 에어를 분사하게 됨으로써, 해당 워크의 회전이 촉진되어, 워크는 회전되면서 낙하된다. 회전되면서 낙하되는 워크는, 호형 홈부분(111c)에 착지할 때에 가장 안정되는 회전 자세(즉, 무게 중심이 가장 낮은 회전 자세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긴 방향을 반송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를 취하려고 하기 때문에, 낙하 시에 워크의 회전이 촉진됨으로써, 워크의 자세가 이 회전 자세로 정렬된다.
<3. 효과>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100')가 구비하는 제1 에어 분출 장치(4)는, 노즐(41)과, 노즐(41)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42)을 구비한다. 그리고, 노즐(41)이,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111)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반송로(111)의 측방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본체부(411)와, 본체부(411)의 단부면(411a)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토출구(412)와, 본체부(411)의 둘레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홈부(413)와, 홈부(413)와 토출구(412)를 연통시키는 연통부(414)를 구비한다. 그리고, 공급 배관(42)이 본체부(4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홈부(413)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여,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41)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42)이, 노즐(41)의 본체부(4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므로, 본체부(411)의 축 방향으로 공급 배관(42)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공급 배관(42)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100')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토출구(412)가, 본체부(411)의 단부면(411a)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411)를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412)의 위치, 즉,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411)가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되어도, 홈부(413)의 길이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토출구(412)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때에 본체부(411)의 회전에 따라 공급 배관(42)을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공급 배관(42)의 처리 구조를 심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 분출 장치(4)에 있어서, 본체부(411)는, 측벽부(11b)의 내측면에 나선형 반송로(111)가 형성된 보울(11')에,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41)의 본체부(411)가,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배치되는 바, 노즐(41)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42)은, 본체부(4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므로, 평면으로 볼 때 보울(11')의 직경 방향으로 공급 배관(42)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공급 배관(42)이 특별히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100')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특히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제1 에어 분출 장치(4)에 있어서는, 본체부(411)가, 보울(11')의 측벽부(11b)에 형성된 관통 구멍(112)에 기밀하게 삽입됨으로써, 홈부(413)의 내부 공간이 밀봉됨과 함께, 해당 내부 공간과 토출구(412)이 연통부(414)을 통해 기밀하게 연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에어 분출 장치(4)의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100')가 구비하는 제2 에어 분출 장치(5)는 노즐(51)과, 노즐(51)을 지지하는 지지부(52)와, 노즐(51)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53)을 구비한다. 그리고, 노즐(51)이 원기둥형 본체부(511)와, 본체부(511)의 둘레면(511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된 토출구(5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부(52)가, 본체부(511)를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111)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또한, 해당 축의 축선 둘레로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51)이 둘레면(511a)으로 토출구(513)가 형성된 본체부(511)를 구비하고, 이 본체부(511)가,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111)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지지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튜브형 노즐이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를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노즐(51)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100')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토출구(513)가 본체부(511)의 둘레면(511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511)를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513)의 위치, 즉,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11)를 그의 축선을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반송로(111)와 교차되는 방향에 관한 토출구(513)의 위치를 변경하여도 된다. 본체부(511)의 축선 둘레의 회전 위치나 축선 방향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하는 양태는, 종래와 같이, 튜브형 노즐의 선단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에어의 분출 위치를 변경하는 양태와 비교하여, 위치 조정의 재현성이 높다. 따라서, 숙련의 오퍼레이터가 아니어도, 간이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에어의 분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튜브형 노즐의 선단 자세에 의해 토출구의 위치나 각도가 규정되는 양태에 있어서는, 노즐의 선단에 작은 외력이 부가되는 것만으로, 토출구의 위치나 각도가 어긋나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하여, 이 구성에서는, 튜브형 노즐에 비하여 강성이 높은 원기둥형 본체부(511)의 축선 둘레의 회전 위치나 축선 방향의 위치에 의해, 토출구(513)의 위치나 각도가 규정되므로, 이것이 간단하게 어긋나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제2 에어 분출 장치(5)에 있어서는, 노즐(51)이 본체부(511)의 둘레면(511a)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홈부(514)와, 홈부(514)와 토출구(513)를 연통시키는 연통부(515)를 구비한다. 그리고, 공급 배관(53)이 본체부(5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홈부(514)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여,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51)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53)이 노즐(51)의 본체부(511)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므로, 본체부(511)의 축 방향으로 공급 배관(53)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공급 배관(53)이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부품 피더(100')의 전체로서의 외견이 특히 콤팩트하고 스마트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511)가 그의 축선 둘레로 회전되어도, 홈부(514)의 길이에 상당하는 범위이면 토출구(513)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때에 본체부(511)의 회전에 따라 공급 배관(53)을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공급 배관(53)의 처리 구조를 심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 분출 장치(5)에 있어서는, 본체부(511)가 지지부(52)에 형성된 관통 구멍(522)에 기밀하게 삽입됨으로써, 홈부(514)의 내부 공간이 밀봉됨과 함께, 해당 내부 공간과 토출구(513)가 연통부(515) 및 중공 공간 V를 통해 기밀하게 연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에어 분출 장치(5)의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 분출 장치(5)는, 반송로(111)의 형상이 단면 V자형으로부터 단면 호형으로 변화되는 단차 부분(111a)을 통과하는 워크를 향해서, 에어를 분출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워크가 단면 호형의 반송로 부분(호형 홈부분)(111c)에 낙하되는 타이밍에, 해당 워크에 대해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워크의 회전을 재촉할 수 있다. 회전되면서 낙하되는 워크는, 호형 홈부분(111c)에 착지할 때에 가장 안정되는 회전 자세(즉, 무게 중심이 가장 낮은 회전 자세이며,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긴 방향을 반송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를 취하려고 하기 때문에, 낙하 시에 워크의 회전이 촉진됨으로써, 워크의 자세가 이 회전 자세로 정렬된다.
[변형예]
본원의 일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는, 반송 홈(31)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또한,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는, 단부(32)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지만,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는, 반송 홈(31)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구성, 및,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는, 단부(32)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구성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출구 블록(3)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32)는, 반송 홈(31)의 저부(31t)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두께가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워크가 반송되는 동안, 각 에어 분출 장치(4, 5)로부터의 에어의 토출이 계속되는 것으로 했지만, 제1 에어 분출 장치(4) 또는(및), 제2 에어 분출 장치(5)로부터의 에어의 토출은 간헐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에어 분출 장치(4)의 상류측에, 워크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마련하고, 여기에서 부적절한 자세로 되어 있는 워크나, 서로 중첩되어 있는 워크가 검출된 경우에, 제1 에어 분출 장치(4)로부터 에어를 분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 채용되는 경우, 에어를 분출하는 타이밍(구체적으로는, 공급 배관(42)에 개재 삽입된 밸브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타이밍)은, 워크의 상태가 검출되는 위치에서 토출구(412)까지의 이격 거리와, 워크의 반송 속도로부터 규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에어 분출 장치(4)에 있어서는, 토출구(41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토출구(412)의 위치에 따라 해당 이격 거리가 바뀐다. 따라서, 해당 에어를 분출하는 타이밍은, 조정 후의 토출구(412)의 위치를 가미하여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에어 분출 장치(5)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에어 분출 장치(4)가 구비하는 노즐(41)의 본체부(411)는,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111)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했지만, 본체부(411)는,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111)와 0보다 큰 각도를 이루면서 교차시키고 있으면 되고, 반드시 반송로(111)와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제2 에어 분출 장치(5)가 구비하는 노즐(51)의 본체부(511)도,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111)와 0보다 큰 각도를 이루면서 교차시키고 있으면 되고, 반드시 반송로(111)와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토출구(412)는, 본체부(411)의 단부면(411a)의 주연의 일부가 절결됨으로써 형성된 것이었지만, 토출구(412)는, 단부면(411a)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토출구는, 단부면(411a)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본체부(411)를 중공형으로 형성하고, 이 중공 공간을 통해, 단부면(411a)에 형성된 토출구와, 둘레면(411b)에 형성된 홈부(413)가 연통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에어 분출 장치(4)는, V자형 홈부분(111b)의 근방에 배치되어, V자형 홈부분(111b)에서 반송되는 워크를 향해 에어를 분출하고 있지만, 제1 에어 분출 장치(4)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형 홈부분(111c)의 근방에 배치되어, 호형 홈부분(111c)을 반송되는 워크를 향해 에어를 분출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에어 분출 장치(5)는, 단차 부분(111a)의 근방에 배치되어, 단차 부분(111a)을 통과하는 워크를 향해 에어를 분출하고 있었지만, 제2 에어 분출 장치(5)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자형 홈부분(111b)(또는, 호형 홈 부분(111c))의 근방에 배치되어, V자형 홈부분(111b)(또는, 호형 홈부분(111c))을 반송되는 워크를 향해 에어를 분출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에어 분출 장치(4)와 제2 에어 분출 장치(5)가, 각각 2개씩 보울(11')에 탑재되는 것으로 했지만, 보울(11')에 탑재되는 각 에어 분출 장치(4, 5)의 개수는,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보울(11')에는, 반드시 제1 에어 분출 장치(4)와 제2 에어 분출 장치(5)의 양쪽이 탑재될 필요는 없고, 한쪽만이 탑재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에어 분출 장치(4)와 제2 에어 분출 장치(5) 중 적어도 하나가, 리니어 피더(2)의 트로프(21)의 근방에 배치되어, 트로프(21)에서 반송되는 워크를 향해 에어를 분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에어 분출 장치(4)와 제2 에어 분출 장치(5) 중 적어도 하나가, 보울 피더(1')로부터 리니어 피더(2)로의 환승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고, 이 환승 부분을 통과하는 워크를 향해 에어를 분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 피더(100')로 반송되는 피반송물은, IC 칩, 미소한 코일 등의 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반송물의 형상도,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의 구성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1': 보울 피더
11, 11': 보울
111: 반송로
111a: 단차 부분
111b: V자형 홈부분
111c: 호형 홈부분
112: 관통 구멍
113: 배관 삽입 구멍
115: 고정 부재 삽입 구멍
12: 반송 홈(제1 반송 홈)
121: 지지부
121a: 고정 블록
121b: 가동 블록
122: 전자 구동부
123: 판 스프링
16, 16': 보울측 진동원
2: 리니어 피더
21: 트로프(제2 진동 부재)
3: 출구 블록(제1 진동 부재)
31: 반송 홈(제1 반송 홈)
31a: 주행면
32: 출구 블록의 단부(제1 단부)
4: 제1 에어 분출 장치
41: 노즐
411: 본체부
411a: 단부면
411b: 둘레면
412: 토출구
413: 홈부
414: 연통부
415: 지그 삽입 관통 구멍
42: 공급 배관
43: 고정 부재
5: 제2 에어 분출 장치
51: 노즐
51a: 트로프의 단부(제2 단부)
511: 본체부
511a: 둘레면
513: 토출구
514: 홈부
515: 연통부
52: 지지부
521: 긴 구멍
522: 관통 구멍
523: 배관 삽입 구멍
524: 고정 부재 삽입 구멍
53: 공급 배관
54: 고정 부재
56: 리니어측 진동원(제2 진동원)
6: 받침대
72: 반송 홈(제2 반송 홈)
100, 100': 부품 피더

Claims (10)

  1. 제1 진동원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제1 진동 부재와, 상기 제1 진동원과 다른 제2 진동원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제2 진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진동 부재 및 상기 제2 진동 부재는, 전달된 진동에 의해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제1 반송 홈 및 제2 반송 홈을 각각 갖고,
    상기 제1 진동 부재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진동 부재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제2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 상에 피반송물이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저부에 대응한 부분의 주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두께는, 상기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의 반송 방향에 평행인 단면의 두께는, 상기 제1 단부의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반송 홈의 저부에 대응한 부분을 향하여 두께가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
  5. 노즐과,
    상기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
    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이,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반송로의 측방에 배치되는 원기둥형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면에 있어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토출구와,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홈부와,
    상기 홈부와 상기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
    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배관이,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홈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측벽부의 내측면에 나선형 반송로가 형성된 보울에,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상기 보울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는 자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7. 노즐과,
    상기 노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
    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이,
    원기둥형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된 토출구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가,
    축방향을 평면으로 볼 때 반송로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축의 축선 둘레로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홈부와,
    상기 홈부와 상기 토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
    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배관이,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홈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해당 내부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반송로의 형상이 단면 V자형으로부터 단면 호형으로 변화되는 단차 부분을 통과하는 피반송물을 향해서, 에어를 분출하는 것인,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를 구비하는,
    부품 피더.
KR1020200018944A 2019-03-29 2020-02-17 부품 피더 및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KR20200115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8945A JP7299481B2 (ja) 2019-03-29 2019-03-29 パーツフィーダ
JPJP-P-2019-068945 2019-03-29
JP2019075033A JP2020172366A (ja) 2019-04-10 2019-04-10 パーツフィーダ用エア噴出装置、および、パーツフィーダ
JPJP-P-2019-075033 2019-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093A true KR20200115093A (ko) 2020-10-07

Family

ID=7267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44A KR20200115093A (ko) 2019-03-29 2020-02-17 부품 피더 및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5093A (ko)
CN (1) CN1117470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52A (ko) * 2020-12-16 2022-06-23 전지훈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336A (ja) 2001-03-23 2002-10-03 Daishin:Kk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2017114651A (ja) 2015-12-25 2017-06-29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2931B2 (ja) * 1998-08-11 2007-09-26 Ntn株式会社 微小部品整列供給装置
JP2003128230A (ja) * 2001-10-23 2003-05-08 Ntn Corp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2004345812A (ja) * 2003-05-23 2004-12-09 Kuraddokei:Kk 部品供給装置
JP5870752B2 (ja) * 2012-02-27 2016-03-0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ワーク供給装置
JP6016101B2 (ja) * 2012-11-08 2016-10-26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
JP6243560B1 (ja) * 2017-02-17 2017-12-06 株式会社ダイシン パーツフィーダ及び部品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336A (ja) 2001-03-23 2002-10-03 Daishin:Kk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2017114651A (ja) 2015-12-25 2017-06-29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52A (ko) * 2020-12-16 2022-06-23 전지훈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5257A (zh) 2020-10-01
CN111747065B (zh) 2023-08-11
CN111747065A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4260B1 (ja) ワーク供給装置
EP1327590B1 (en) Vibratory parts-feeding unit
KR20200115093A (ko) 부품 피더 및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CN104648912A (zh) 工件输送装置
CN101177195A (zh) 产品运输设备
JP3665667B2 (ja) 小物物品の整列装置
JP3848950B2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TWI836010B (zh) 零件供給器以及零件供給器用空氣噴出裝置
TW202408907A (zh) 零件供給器以及零件供給器用空氣噴出裝置
JP4915168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トラック調整方法
CN103043380A (zh) 振动零件进给装置的零件接收容器
JP5343507B2 (ja) パーツフィーダの搬送対象物選別装置、及びパーツフィーダ
JP2020172366A (ja) パーツフィーダ用エア噴出装置、および、パーツフィーダ
KR100664555B1 (ko)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JP7299481B2 (ja) パーツフィーダ
JP7360926B2 (ja) パーツフィーダ用ホッパ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パーツフィーダ装置
JP5168622B2 (ja) 部品供給装置
TWI833868B (zh) 碗式送料器
JP5224170B2 (ja) 部品供給装置
JPH03192011A (ja) 振動部品供給装置
JP2007039200A (ja) 部品供給装置
JP7299480B2 (ja) ボウルフィーダ
JP2023167092A (ja) 姿勢変更装置
JPH11286322A (ja) 部品整送装置
JP2008156025A (ja) 部品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