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555B1 -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555B1
KR100664555B1 KR1020060089541A KR20060089541A KR100664555B1 KR 100664555 B1 KR100664555 B1 KR 100664555B1 KR 1020060089541 A KR1020060089541 A KR 1020060089541A KR 20060089541 A KR20060089541 A KR 20060089541A KR 100664555 B1 KR100664555 B1 KR 100664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alignment
horizontal
componen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웅
Original Assignee
남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웅 filed Critical 남기웅
Priority to KR102006008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2Feeding of components with orientation of th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과 이면을 갖는 직육면체 부품에 진동을 인가하여, 그 부품의 길이방향의 자세와 표리(表裏)를 일정하게 배향시킨 상태로 소정의 이송방향으로 단열 단층으로 정렬하여 이송하는 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렬의 정확성 극대화는 물론, 부품 공급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없이도 간단하게 자세 불량 부품을 보울(Bowl) 내부로 반송시킬 수 있는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울(bowl)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이송경로에는 단렬정렬부(A) 및 단층정렬부(B)만을 형성하고, 수직/수평 정렬부(C)와, 표리(表裏) 정렬부(D) 및 가로/세로 정렬부(E)를 직선이송부재에 배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E)에서 이탈된 이탈부품을 상기 보울(Bowl) 내부로 복귀(반송)하기 위하여 반송부재(55)로 떨어진 부품이 상기 보울로 복귀(return)시키기 위한 연결통로(60)가 구성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진동, 저항소자, 자동 정렬, 자동 공급, 자세 변경, 직선이송수단, 복귀, 연결통로

Description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MINIATURE PART FEEDER BY USING OF VIB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정렬 및 공급되는 미소 부품의 일 예시를 도시한 저항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1에 개시되어 있는 진동을 이용한 미소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의 개요를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또 다른 종래기술2에 개시되어 있는 진동을 이용한 미소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의 개요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진동에 의한 미소부품 정렬장치의 작동 개념을 도시한 개념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직선이송부재(50)와 반송부재(55) 및 보울(2)의 상호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단렬정렬부 B: 단층정렬부
C: 수직/수평 정렬부 D: 표리(表裏) 정렬부
E: 가로/세로 정렬부
2: 보울(bowl) 21 : 제1 진동발생장치
50 : 직선이송부재 51 : 제2 진동발생장치
55 : 반송부재 58 : 공급슈트
60 : 연결통로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 -206143호(1995.08.08. 공개)
미소 전자부품에 진동을 인가하여, 그 부품의 길이방향의 자세와 표리(表裏)를 일정하게 배향시킨 상태로 소정의 이송방향으로 단열 단층으로 정렬하여 이송하는 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을 길이방향으로 배향하는 방향정열부와, 2단으로 쌓여서 이송되거나 2열로 이송되는 부품 또는 옆방향자세로 된 부품을 이탈시키며, 부품을 길이방향으로 단열 및 단층으로 배향시키는 단렬단층정렬부와, 부품을 소정의 자세로 변환해서 하류측의 표리정렬부에 이송하는 제1 자세변환부와, 부품의 표리(表裏)를 일정하게 배향시키는 표리정렬부와, 표리정렬부로부 터의 부품을 평탄한 자세로 변환시키는 제2 자세변환부와, 표리정렬이 불량한 부품을 배제하는 부품배제부를 진동 보울(BOWL)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 이송경로가 형성된 진동 부품 공급장치가 개시된다.(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30734호(2001.05.15. 공개)
두께 방향으로 전-후 방향을 가지고 평행 직육면체 형상의 미소부품을, 확실히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미소부품의 전면-후면 선별수단의 검출부로서 광전센서, 가로-눕혀짐 위치 선별수단의 검출부로서 광전센서, 및 또다른 가로-눕혀짐 선별수단으로서 마이크로미터가 보울(BOWL) 공급장치의 하류측에 접속된 직진 공급장치의 공급로를 따라 순서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진 공급장치의 공급로에는 선별수단에 의해 배제된 부품이 상기 보울(Bowl) 내로 되돌려 보내기 위하여 구비되는 공기식 부품운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본 발명은 표면과 이면을 갖는 직육면체 부품에 진동을 인가하여, 그 부품의 길이방향의 자세와 표리(表裏)를 일정하게 배향시킨 상태로 소정의 공급(이송)방향으로 단열, 단층으로 정렬하여 이송하는 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칩저항이나 IC 등의 소형 부품에 진동을 부여해서 단렬, 단층으로 부품 을 정렬하고 공급하는 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파트피더(part feeder))는 전자부품을 프린트기반에 자동 장착할 때에 크게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그런데, 프린트기반에 장착되는 전자부품 중에는 '형상의 방향성' 뿐만 아니라 '표리의 방향성'까지도 보유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부품(T)(저항칩)은 평면 형상이 옆으로 긴 장방형이고, 길이방향의 치수(L)가 폭방향의 치수(W) 보다도 크다. 또, 프린트기반에 장착되는 저항을 주체로 하는 이면(m)과, 그 반대측 표면(n)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품(T)에 있어서는 형상의 방향성과 표리의 양쪽 모두를 정렬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부품공급장치는 접시 형상의 보울(bowl)과, 이 보울의 하부에서 상기 보울을 지지하면서 보울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장치로 구성된다.
즉, 보울(Bowl) 내에 불규칙하게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상기 보울(Bowl)의 하부에 구비된 진동발생장치로부터 진동을 받아서 보울의 내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진동력에 의해 상기 부품은 이 이송경로를 따라 (계속 진동을 받으면서) 나선형 이송경로의 상단부 출구를 향하여 이송되는 동안에 단렬 단층으로 수정되고, 또한, 그 방향성(길이방향으로의 배향)이나 표리가 수정된다.
이와 같이, 진동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을 보울(Bowl)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게 하면서 부품을 정렬하고 공급하는 장치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을 이용하여 부품을 정렬하고 공급하는 장치들은 ①단렬단층정렬부(부품들이 2층으로 쌓이거나 2열로 배열되지 않고 단층 및 단열로 정렬시키는 부분)와, ②부품의 수직/수평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수직/수평 정렬부와, ③부품의 윗면 또는 아랫면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표리(表裏) 정렬부와, ④부품의 가로/세로를 일정하게 정렬하는 가로/세로 정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수직/수평 정렬부는 V자 형상으로 대향한 두 경사벽으로 구성되는데, 이동통로를 통해 들어온 부품은 좌측 경사벽을 따라서 이송되어 가는 동안에, 기립자세로 들어온 부품은, 우측 경사벽 측으로 수평으로 정렬된다.
상기 표리(表裏) 정렬부는, V형으로 대향한 두 경사벽에 의해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된 표리정렬통로와, 이 표리정렬통로의 경사벽을 따라서 이송되어 오는 부품의 표리(表裏)를 검출하는 표리검출수단과, 정(正)위치가 아닌 부품을 배출(또는 반전)시키기 위한 배출수단(또는 반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 역시 V형으로 대향한 두 경사벽에 의해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된 이동통로와 이 이동통로의 일측 경사벽면에 걸림 홈이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로를 통과하면서 세로로 진입되는 부품이 좌측 경사벽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면서 이동이 제한되는 반면에 우측부분은 계속 이동되므로 결국 세로로 진입한 부품이 가로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부품(T)을 그 길이방향의 배향으로 정렬시키는 수단으로서는 단면 역사다리꼴 형상의 방향 정렬로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방향정렬로는 평탄한 바닥과 바닥의 양측으로부터 비스듬히 각각 위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경사벽으로 구성되고, 바닥의 폭은 부품(T)의 폭 치수(W)보다 약간 크고, 부품(T)의 길이방향 치수(L)보다 상당히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방향 정렬로에 옆으로 향한 상태로 들어온 부품(T)은, 진동을 받으면서 이송되는 동안에 바닥 위에 슬라이딩 낙하해서 그 길이방향이 방향정렬로의 부품 이송방향으로 향하도록 방향이 수정되기도 하고, 슬라이딩 낙하되지 않고 이송경로 상에 가로로 얹혀져서 이동되는 부품(T)의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송경로의 일측에 형성된 홈(7)에 상기 부품의 모서리가 걸리게 되면서 부품이 회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길이방향이 부품 이송방향으로 향하도록 방향이 수정되기도 한다. 만약 방향정렬로에서 방향이 수정되지 않은 옆으로 향한 부품은 보울 바닥으로 낙하되어 되돌려 보내진다.
이와 같은 진동에 의한 미소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는 크게 2가지 종류의 타입(Type)이 알려져 있다.
첫째,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206143호(종래기술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4가지 종류의 정렬부를 모두 보울(Bowl)의 둘레를 따라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이송경로 상에 배치한 것으로서, 부품들이 보울(Bowl)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부품을 완전히 정렬한 후에 슈트 등을 통하여 공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모든 정렬부를 나선형 경로 상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진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서서히 정상적 자세로 정렬될 수 있는 충분한 이송거리(어느 한 정렬부를 통과하여 다음 정렬부에 이르기까지의 자유 이송구간)를 확보하기 어려워 정렬의 정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각 정렬부에서 탈락(이탈)된 부품들로 인해 생긴 간격(즉, 빈 공간)을 제거(즉, 뒷쪽 부품들이 앞서서 이동되는 부품의 뒤에 바짝 다가가서 밀착)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에는 단위시간당 부품의 공급량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보울에 형성된 나선형 이송경로를 거치면서 정렬이 완료된 부품들이 상기 나선형 이송경로의 출구와 직선이송부재가 연결되는 직선이송 전환부에서 정렬이 흐트러지는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잦아 부품공급의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나선형 이송경로의 출구와 직선이송부재 상호간의 결합작업에 높은 정밀성을 요구하게 되어 제작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종래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30734호(종래기술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방식이 있다. 즉, 종래기술2에 개시된 미소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는, 부품을 단열 및 단층으로 정렬하는 수단은 상기 보울(Bowl)(2)의 내부에 형성하고, 나머지 정렬부들 중의 하나 이상을 상기 보울(Bowl)을 벗어난 직선 이송구간(5)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2에 개시되어 있는 미소부품 정렬 및 공급장치는, 종래기술1에 비하여 부품의 정렬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에서는 직선구간에서 탈락(이탈)된 미소부품을 다시 보울(Bowl) 내부로 복귀(반송)하기 위하여 공기식 부품 반송장치(6)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공기배출노즐(9), 반송파이프(10), 감속용기(3) 등 필수적 구성요소의 구비로 인해 장치의 대형화는 물론 이로 인한 생산비용의 증가로 인한 경제성 저하, 부품반송장치의 잦은 고장에 따른 유지 관리비용의 증가, 설치 필요공간의 충분한 확보가 어려운 작업공간에서의 적용 곤란성 등 많은 어려움으로 인하여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2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식 부품 반송장치는 충격에 특히 약한 전자부품(미소 저항칩, 부품소자 등)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렬의 정 확성 극대화는 물론, 부품 공급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없이도 간단하게 자세 불량 부품을 보울(Bowl) 내부로 반송시킬 수 있는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는, 보울(2)의 나선형 이송경로에는 상기 부품들이 2층으로 쌓이거나 2열로 배열되지 않고 단층 및 단열로 정렬시키는 단렬단층정렬부(A)(B)를 구비하고, 상기 보울(Bowl)의 나선형 이송경로 출구(2a)에 연결되는 직선이송부재(50)에는 부품의 수직/수평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수직/수평 정렬부(C)와, 부품의 윗면 또는 아랫면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표리(表裏) 정렬부(D)와, 부품의 가로/세로를 일정하게 정렬하는 가로/세로 정렬부(E)가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직선이송부재(50)의 아래측에는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E)에서 이탈된 이탈부품을 상기 보울(Bowl)(2)로 반송하는 반송부재(55)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부재(55)와 상기 보울(Bowl)(2) 사이에는 연결통로(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는, 보울(2) 및 진동발생장치(21)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기술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필수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즉, 하부에는 진동발생장치(21)를 가지며, 표면(n)과 이면(m)을 보유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미소 전자부품 소자(T)들이 적재되는 보울(Bowl)(2)이 상기 진동발생장치(2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울(Bowl)(2)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보울(2)에 인가된 진동 주파수에 의해 적재된 부품(T)을 상기 나선형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부품을 정렬 및 공급하게 되는 구성은 종래 일반적인 기술구성이 그대로 적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는, 상기 반송부재(55)가 상기 수직/수평 정렬부(C) 및 표리(表裏) 정렬부(D)의 하측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가로/세로 정렬부(E)에서 이탈되는 자세불량 부품들은 물론 수직/수평 정렬부(C) 및 표리(表裏) 정렬부(D)를 통과할 때 떨어질 수도 있는 자세불량 부품들까지도 상기 반송부재(50)를 타고 보울(2)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의 하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이송부재(50)에는 사방이 폐쇄된 밀폐통로(58a)를 갖는 공급슈트(5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소 전자부품 소자(T)의 정렬 및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그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에는 제1 진동발생장치(21)를 가지며, 표면(n)과 이면(m)을 보유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미소 전자부품 소자(T)들이 적재되는 보울(Bowl)(2)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Bowl)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나선형 이송경로 상에는 상기 부품들(T)이 2층으로 쌓이거나 2열로 배열되지 않고 단층 및 단열로 정렬시키는 단렬단층정렬부(A)(B)가 구비되는데, 상기한 단렬단층정렬부(A)(B)의 기술구성은 상기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 등에 나타나 있는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구성들과 다르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구성 및 그 작용관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울(Bowl)(2)의 나선형 이송경로 출구(2a)에 연결되는 직선이송부재(50)에는 부품의 수직/수평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수직/수평 정렬부(C)와, 부품의 윗면 또는 아랫면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표리(表裏) 정렬부(D)와, 부품의 가로/세로를 일정하게 정렬하는 가로/세로 정렬부(E)가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직선이송부재(50)의 아래측에는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E)에서 이탈된 이탈부품을 상기 보울(Bowl)(2)로 반송하는 반송부재(55)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직선이송부재(50)의 하부에는, 상기 보울(2)에 진동을 인가하는 제1 진동발생장치(21)와는 별도로 독립된 제2 진동발생장치(51)가 구비되어, 상기 직선이송부재(50) 및 반송부재(55)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수평 정렬부(C)와, 표리(表裏) 정렬부(D) 및 가로/세로 정렬부(E)에 관한 세부적인 기술구성은 상기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에 나타나 있는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구성들과 다르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구성 및 그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직선이송부재(50)는 하류쪽(즉, 최종 배출구 쪽)으로 향하여 하향되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직선이송부재를 최종 배출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진동과 중력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이송 부품들 사이의 틈새(자세불량 부품이 이탈된 빈 자리)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반송부재(55)도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되면 상기 반송부재(55)에 떨어진 부품(T)들이 더욱 신속하게 상기 연결통로(60) 입구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보울(2) 내부로 빨리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반송부재(55)는 상기 직선이송부재(50)와 동일한 제2 진동발생장치(51)에 결합되어 있어 동일한 진동 주파수로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은 베이스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직선이송부재(50)의 부분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직/수평 정렬부(C)와, 표리(表裏) 정렬부(D) 및 가로/세로 정렬부(E)를 통과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성과, 그 하부에 구비되어 직선이송부재를 이탈하게 된 "자세불량 부품"을 상기 보울(2) 내부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재(55)와, 진동에 의해 상기 반송부재(55)를 따라 이동하는 부품들이 다시 보울 내부로 복귀(반송)되도록 하는 연결통로(6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에 의해, 보울(2)의 나선형 이송경로를 통과하면서 단열 단층으로 이송되는 부품이 출구(2a)측에 연결된 직선이송부재(50)로 이송되어, 수직/수평 정렬부(C)와, 표리(表裏) 정렬부(D) 및 가로/세로 정렬부(E)를 통과하면서 자세를 바로 잡게 되며,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E)에서는 자세가 바로 정렬되지 못한 "자세불량 부품"들을 직선이송부재에서 이탈되도록 하며, 이탈된 "자세불량 부품"은 상기 직선이송부재(50)의 하부에 구비된 반송부재(55)의 진동력에 의해 반송부재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반송부재(55)와 상기 보울을 연결시키는 연결통로(60)을 지나 다시 보울 내부로 반송되어 다시 재공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부수적 기능으로서, 상기 직선이송부재(50)의 하류측(즉, 배출구 쪽)으로는 공급슈트(58)가 연장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슈트(58)는 부품의 종류 및 특성이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미소 저항칩과 같은 부품인 경우에는 슈트를 통해 부품이 이송되는 도중에 예기치 못한 충격이나 간섭에 의해 정렬된 제품의 공급공정이 흐트러질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방이 폐쇄된 밀폐통로(58a)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울(2)의 나선형 이송경로 상에 단렬단층정렬부(A)(B)만을 형성하고, 나머지 수직/수평 정렬부(C)와, 표리(表裏) 정렬부(D) 및 가로/세로 정렬부(E)를 직선이송부재(50)에 형성하여 구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보울(2)의 나선형 이송경로 상에 단렬단층정렬부(A)(B)와, 수직/수평 정렬부(C)를 형성하고, 표리(表裏) 정렬부(D) 및 가로/세로 정렬부(E)를 직선이송부재(50)에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보울(2)의 나선형 이송경로 상에 단렬단 층정렬부(A)(B), 수직/수평 정렬부(C) 및 표리(表裏) 정렬부를 형성하고, 가로/세로 정렬부(E)만을 직선이송부재(50)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수평 정렬부(C), 표리(表裏) 정렬부(D) 및 가로/세로 정렬부(E)의 배열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특징은 별도의 동력 공급을 위한 구성요소의 추가 없이, 반송부재(55)와 상기 보울을 연결시키는 연결통로(60) 만으로 자세불량 부품을 다시 보울(2) 내부로 반송시키는 것에 있으므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는, 모든 정렬부를 나선형 경로 상에 배치하여야 했던 종래기술1의 문제점과, 경로에서 이탈된 자세불량 부품을 보울 내부로 반송(복귀)시키기 위해 별도의 에어노즐 및 반송파이프를 구비해야 하던 종래기술2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발명으로서,
직선이송부재에 자세 정렬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각 부품들을 정상 자세로 정렬하면서도, 정렬된 각 부품들 사이의 간격(틈새)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선이송부재(50)를 통과하면서 부품들의 자세정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선형 이송경로의 출구와 직선이송부재(50)가 연결되는 직선이송 전환부에서의 가공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어 제작비용의 절감 및 제품 불량률 감소효 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2에서 제기되었던, 장치의 대형화 문제 및 생산비용의 증가로 인한 경제성 저하, 부품반송장치의 잦은 고장에 따른 유지 관리비용의 증가, 설치 필요공간의 확보 곤란 등의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어서, 전자부품 조립 자동화 산업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삭제
  2. 하부에 제1 진동발생장치를 가지며, 표면(n)과 이면(m)을 보유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미소 전자부품(T)이 적재되는 보울(Bowl)(2)과; 상기 보울(Bowl)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이송경로와; 상기 보울에 진동을 부여해서 적재된 부품에 진동을 인가하여 상기 부품을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정렬 공급하는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이송경로에는 상기 부품들이 2층으로 쌓이거나 2열로 배열되지 않고 단층 및 단열로 정렬시키는 단렬정렬부(A) 및 단층정렬부(B)가 구비되며,
    상기 보울(Bowl)의 나선형 이송경로 끝단에는, 제2 진동발생부(51)가 하부에 구비된 직선이송부재(50)가 상기 보울(Bowl)의 나선형 이송경로 끝단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직선이송부재(50)에는 부품의 수직/수평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수직/수평 정렬부(C)와, 부품의 윗면 또는 아랫면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표리(表裏) 정렬부와(D), 부품의 가로/세로를 일정하게 정렬하는 가로/세로 정렬부(E)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직선이송부재의 아래측에는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E)에서 이탈된 이탈부품을 상기 보울(Bowl)로 반송하는 반송부재(55)가 상기 수직/수평 정렬부(C) 및 표리(表裏) 정렬부(D)의 하측으로까지 연장되어서 구비되며,
    상기 반송부재(55)와 상기 보울(Bowl) 사이에는 연결통로(6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송부재(50)는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E)의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공급슈트(58)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슈트(58)는 사방이 폐쇄된 밀폐통로(58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송부재(50) 및 상기 반송부재(55)는 하류쪽으로 향하여 하향되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KR1020060089541A 2006-09-15 2006-09-15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KR100664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41A KR100664555B1 (ko) 2006-09-15 2006-09-15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41A KR100664555B1 (ko) 2006-09-15 2006-09-15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555B1 true KR100664555B1 (ko) 2007-01-03

Family

ID=3786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541A KR100664555B1 (ko) 2006-09-15 2006-09-15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38B1 (ko) * 2021-11-17 2022-11-04 송명선 슬리브 컷팅장치
KR102463537B1 (ko) * 2021-11-17 2022-11-04 송택환 슬리브 컷팅장치
KR102507754B1 (ko) 2022-03-22 2023-03-08 주식회사신화월드금속 부품 정렬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38B1 (ko) * 2021-11-17 2022-11-04 송명선 슬리브 컷팅장치
KR102463537B1 (ko) * 2021-11-17 2022-11-04 송택환 슬리브 컷팅장치
KR102507754B1 (ko) 2022-03-22 2023-03-08 주식회사신화월드금속 부품 정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1789B2 (ja) 部品の取扱装置および取扱方法
KR20020006473A (ko) 전자부품 운송장치와 이를 이용한 검사장치
KR100664555B1 (ko)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JP4657669B2 (ja) 固形薬品成形物をカプセルに充填するためのマシンの搬送ラインに搬送するためのユニット
TW201607866A (zh) 振動式零件搬送裝置
JP2004315227A (ja) チップ型電子部品の取扱い装置およびチップ型電子部品の取扱い方法
KR20130096120A (ko) 스크류 정렬 공급 장치
KR101409020B1 (ko) 물품 정렬 공급장치
TWI324030B (ko)
JP5630300B2 (ja) 振り分け装置
JP2007161360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4660843B2 (ja) チップの整面1列整列搬送用フィダー
JP4799195B2 (ja) 生産ラインシステム
JP2018073965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システムならびに部品供給方法
CN111747065B (zh) 零件供给器以及零件供给器用空气喷出装置
JP4915168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トラック調整方法
JP2008230631A (ja) 計数箱詰め装置
JPH1159880A (ja) チップの1列整列1個分離搬送装置
JP5206299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装置の部品再選別方法
JP5861914B2 (ja) 振動フィーダ
KR20010051484A (ko) 미소부품 정렬 공급장치
JPH06343929A (ja) チップ部品の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搬送方法
JP2003104538A (ja) 物品整送装置
JP5625446B2 (ja) ワーク供給装置
JPH10175724A (ja) チップの1列整列搬送用双方向フィ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