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37B1 - 슬리브 컷팅장치 - Google Patents

슬리브 컷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537B1
KR102463537B1 KR1020210158470A KR20210158470A KR102463537B1 KR 102463537 B1 KR102463537 B1 KR 102463537B1 KR 1020210158470 A KR1020210158470 A KR 1020210158470A KR 20210158470 A KR20210158470 A KR 20210158470A KR 102463537 B1 KR102463537 B1 KR 10246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in
unit
cutting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택환
최원용
Original Assignee
송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택환 filed Critical 송택환
Priority to KR102021015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41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using chutes, hoppers,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배선용 전선들이 상호 연결되는 접속부에 절연용 캡으로서 씌워지는 슬리브의 제작을 위해 슬리브의 단부를 컷팅하는 컷팅장치가 개시된다. 컷팅장치는 슬리브를 공급하는 공급부, 공급되는 슬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정렬된 슬리브들 중에서 폐쇄단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정렬된 슬리브들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선별된 슬리브들의 폐쇄단부를 컷팅하는 컷팅부를 구비한다. 일측 단부가 폐쇄된 실린더 형상으로 1차 제작된 슬리브의 폐쇄 단부를 컷팅함으로써 관의 형상을 갖는 최종적인 슬리브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브 컷팅장치 {Apparatus for Cutting Sleeve}
본 발명은 슬리브 컷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용 전선들이 상호 연결되는 접속부에 절연용 캡으로서 씌워지는 슬리브의 제작을 위해 슬리브의 단부를 컷팅하는 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용 단자에서는 부품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선들의 선단부 피복을 적절한 길이로 탈피한 후 상호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전선의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누전과 감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접속부에는 통상적으로 절연용 캡이 씌워진다. 이러한 절연용 캡을 일반적으로 슬리브(Sleeve)라 칭한다.
도 1 은 이러한 슬리브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슬리브(10)는 PVC 등과 같은 절연성 재질로 제작되며, 전체적으로 관의 형상을 구비하여 그 양단부에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두 개구(12)를 통해 배선 두 개가 각각 인입되어 슬리브(10) 내부에서 접속된 상태가 되도록 슬리브(10)가 두 배선의 접속부를 덮는다. 실제 슬리브(10)를 씌우는 과정에서는, 먼저 하나의 배선을 슬리브(10)를 관통시킨 후 다른 배선이 관통된 배선의 단부에 결속되고, 이후 슬리브(10)를 이동시켜 배선들간의 접속 부위를 슬리브(10)가 덮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슬리브(10)의 제작 과정이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와 같이, 먼저 PVC 등 용질이 용해된 용액(D)이 수용된 용기(C), 및 슬리브(1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틀의 기능을 하는 프레임(F)을 마련한다. 프레임(F)을 하방 이동시켜 도 3 과 같이 용액(D) 내에 침지시킨 후 다시 프레임(F)을 상방 이동시키면, 도 4 와 같이 프레임(F)의 하부에 용액(D)이 피복되어 슬리브(10)의 외형이 프레임(F)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리브(10)를 프레임(F)으로부터 벗겨냄으로써 도 5 와 같은 슬리브(10)가 얻어진다. 슬리브(10)를 프레임(F)으로부터 벗겨내는 공정은 예컨대 에어건(Air Gun)을 이용하여 프레임(F)으로부터 슬리브(10)가 벗겨지는 방향으로 공기를 강하게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도 5 의 상태에서 슬리브(10)는 상부에만 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막혀있는 실린더 형상을 갖는 상태가 된다. 이는 슬리브(10) 제작 공정이 용액 내에 프레임(F)을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도 1 과 같이 양단에 개구(12)가 형성된 관 형상의 슬리브(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5 의 상태에서 슬리브(10)의 하단부를 컷팅하여 하단부에도 개구(12)를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슬리브(10) 제작 공정에서는 이러한 컷팅 공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컷팅 공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지며, 이는 제품의 제작 원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현재 슬리브(10)를 제작하는 도 2 내지 도 4 의 공정은 모두 자동화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컷팅 공정만은 자동화되지 못하여 이를 자동화함으로써 슬리브(10) 제작 공정 전체의 자동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브 제작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컷팅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슬리브의 전체 제작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에 개방단부와 폐쇄단부를 각각 구비한 슬리브의 상기 폐쇄단부를 컷팅하는 슬리브 컷팅장치로서, 외부에서 투입된 상기 슬리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슬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슬리브들 중에서 상기 폐쇄단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정렬된 상기 슬리브들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상기 슬리브들의 상기 폐쇄단부를 컷팅하는 컷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컷팅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공급부는 투입된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정렬부로 이송하는 진동형 보울피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슬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슬리브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보울피더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리브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배치 상태를 조절하는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별부는, 상기 정렬부를 통해 정렬된 상기 슬리브의 상기 개방단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내로 인입되어 끼워지는 핀; 및 상기 슬리브에 끼워진 상기 핀을 상기 컷팅부의 컷팅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공급되는 상기 슬리브 중에서 상기 개방단부가 선단부를 향하도록 정렬된 상기 슬리브 내로 상기 개방단부를 통해 인입된다.
상기 슬리브 중에서 상기 핀에 인입되지 않은 상기 슬리브는 상기 공급부 내로 재투입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핀이 외면에 부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부착된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슬리브 내로의 인입을 위해 대기하는 제1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슬리브가 인입된 상기 핀이 상기 슬리브의 분리를 위해 대기하는 제2위치간을 교번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핀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의 제3위치를 경유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구동한다. 상기 제3위치는 슬리브가 상기 핀의 상단부에 놓이도록 상기 핀이 기립 상태로 배치되는 위치이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핀이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는 그루브를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핀에 끼워진 상기 슬리브를 후킹하는 후킹부재; 및 상기 후킹부재를 상기 핀으로부터 상기 슬리브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그루브를 따라 상기 컷팅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분리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 공정에서 일측 단부가 폐쇄된 실린더 형상으로 1차 제작된 슬리브의 폐쇄 단부를 컷팅함으로써 관의 형상을 갖는 최종적인 슬리브를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리브 제작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컷팅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슬리브의 전체 제작 공정이 자동화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도 1 은 종래의 절연용 슬리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 는 도 1 의 슬리브의 제작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는 도 2 내지 도 4 의 공정을 거쳐 1차 제작된 슬리브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컷팅장치의 측면도.
도 7 은 도 6 의 상면도.
도 8 은 도 6 의 보울피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 는 도 8 의 트랙과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4 는 슬리브 컷팅장치의 선별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 는 슬리브 컷팅장치의 컷팅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슬리브를 컷팅하는 슬리브 컷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슬리브는 도 5 와 같이 개방단부(12)와 폐쇄단부(15)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으로 실린더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구조의 슬리브(10)의 폐쇄단부(15)를 컷팅함으로써 도 1 과 같이 양측이 개방단부(12)를 갖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슬리브 컷팅장치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도 1 및 도 5 의 슬리브(10)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컷팅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슬리브 컷팅장치는 공급부(20), 정렬부(30), 선별부(40), 및 컷팅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부(20)는 투입된 슬리브(10)를 정렬부(30)로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공급부(20)는 호퍼(22)와 보울피더(Bowl Feeder)(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20)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슬리브(10)를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호퍼(20)의 상부 개구에 슬리브(10)를 투입하면, 호퍼(20)에서 슬리브(10)가 모아져 보울피더(24) 내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보울피더(24)의 바닥면에 슬리브(10)가 적층된다.
보울피더(24)는 호퍼(20)를 통해 공급된 슬리브(10)를 정렬부(30)로 이송한다. 본 발명에서, 보울피더(24)는 자동 조립 시스템에서 부품이 특정 방향성과 이송률을 갖고 하나씩 연속적으로 이송하게 하는 진동형 보울피더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진동형 보울피더는 산업 등의 조립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 부품을 이송하는 기능을 하며, 일반적으로 도 8 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형 보울피더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 원리는 주지된 것으로서, 예컨대 한국기계가공학회지 제19권 제11호의 pp 70-77(2020.11.)(진동형 볼피더의 가진력 해석과 적용 : 오석규, 배강열;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등에 그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진동형 보울피더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급기기가 채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예로서 이러한 진동형 보울피더가 공급부(20)를 구성하는 보울피더(24)로서 채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보울피더(24)의 구성과 동작을 간략하게 기술한다.
보울피더(24)는 내부에 트랙(26)을 구비한 보울(25), 보울(25)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24-1), 베이스(24-1)와 보울(25) 사이에 배치되어 보울(25)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24-2), 베이스(24-1)를 지지하는 바닥판(24-3), 베이스(24-1)의 하부에 부착되어 바닥판(24-3)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발(2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24-1) 위에는 자석고정부(24-5)가 설치되고 자석고정부(24-5) 내에는 전자석(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은 상부코어와 하부코어로 구성되며, 코일이 감긴 하부코어가 베이스(24-1) 위에 위치하고 상부코어는 보울(25)의 밑바닥에 고정된 형태로 부착되어, 코일에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이 가해지면 상부코어를 당기는 전자기력이 주기성을 갖는 가진력(excitation force)을 발생시킨다. 보울(25)의 내벽면에는 나선상으로 감기며 상방으로 향하는 트랙(26)이 설치되어 있으며, 트랙(26) 상에 놓여진 부품들(본 발명에서는 슬리브(10))은 가진력에 의해 경사진 트랙(26)을 따라 미끄러짐과 점프 등의 운동을 통해 나선상으로 이동하여 상방으로 이송된다.
정렬부(30)는 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되는 슬리브(10)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기능을 한다. 정렬부(30)는 가이드레일(32) 및 에어노즐(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 는 가이드레일(32)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가이드레일(32)은 트랙(26)의 단부에 설치되어, 트랙(26)을 따라 이송되어 온 슬리브(10)가 가이드레일(32) 상으로 이송되어 공급된다. 가이드레일(32)은 공급되는 슬리브(10)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수용하는 가이드홈(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홈(33)은 수용된 슬리브(1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트랙(26)으로부터 슬리브(10)가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가이드홈(33)에 인입된 슬리브(10)는 후속 공급되는 슬리브(10)의 공급력에 의해 밀려 가이드홈(3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2)은 슬리브(1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전단부(32-1)와 후단부(32-2)의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고, 전단부(32-1)는 트랙에 비해 다소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트랙(26)의 단부로부터 공급되는 슬리브(10)는 낙차를 가진 전단부(32-1)에 낙하하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또한 전단부(32-1)는 후단부(32-1)에 비해 가이드홈(33)이 넓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리브(10)가 전단부(32-1)의 가이드홈(33) 내에 다소 중첩되면서 대략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후에 후단부(32-2)에 공급된다. 후단부(32-2)의 가이드홈(33)은 하나의 슬리브(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후단부(32-2)의 가이드홈(33) 내에는 슬리브(10)가 일렬로 정렬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32)의 구성에 의하여, 슬리브(10)는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의 가이드레일(32) 내에서 일렬로 정렬된다. 도 9 에서는 5개의 가이드레일(32)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리브(10)가 5열을 이루도록 정렬된 상태로 이송된다.
에어노즐(38)은 보울피더(24)의 트랙(26)을 따라 이동하는 슬리브(20)에 공기를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이 공기 분사력에 의하여 슬리브(10)의 배치 상태가 밀집된 상태에서 성긴 상태로 재배열되고, 또한 슬리브(10)가 무작위로 뒤섞여 배치된 상태로부터 다소간의 방향성을 갖는 배치로 배치 상태가 조절된다. 이를 위하여, 에어노즐(38)의 에어 분사 방향은 트랙(25)의 길이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리브(10)의 길이 방향이 이송 방향과 일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다소간의 방향성을 갖게 재배치된다. 따라서 슬리브(10)가 가이드레일(32)에 용이하게 공급된다.
한편, 에어노즐(38)은 슬리브(10)가 과도하게 많이 공급되는 경우 이를 조절하는 기능도 겸하여 수행한다. 즉, 과도한 개수의 슬리브(10)가 트랙(26)을 따라 이송되는 경우 에어노즐(38)의 분사력에 의해 일부 슬리브(10)가 보울(25) 내로 낙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랙(26)을 따라 이송되는 슬리브(10)의 공금량이 조절된다.
선별부(40)는 정렬부(30)에 의해 정렬된 슬리브(10)들 중에서 폐쇄단부(15)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정렬된 슬리브들을 선별하는 기능을 한다. 정렬부(30)는 슬리브(10)를 길이 방향으로 정렬하는 기능만을 하므로, 정렬부(30)에 의해 정렬된 슬리브(10)는 이송 방향상의 선단부측에는 개방단부(12)가 위치될 수도 있고 폐쇄단부(15)가 위치될 수도 있다. 슬리브(10)의 폐쇄단부(15) 컷팅을 위해서는 슬리브(10)의 폐쇄단부(15)가 일률적으로 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선별부(40)는 이를 위하여 슬리브(10)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부(40)는 핀(42)과 이동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핀(42)은 가이드레일(32)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핀(42)의 길이 방향과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송되는 슬리브(10)의 이송 방향이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정렬부(30)에 의해 정렬된 슬리브(20)가 가이드레일(32)을 따라 핀(42)을 향해 이송됨에 따라, 핀(42)은 슬리브(10)의 개방단부(12)를 통해 슬리브(10) 내로 인입되어 끼워진다. 이때, 슬리브(10) 중 일부는 개방단부(12)이 이송 방향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상태이고 나머지는 폐쇄단부(15)가 이송 방향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개방단부(12)가 이송 방향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슬리브(10)는 핀(42)에 끼워지게 되고, 폐쇄단부(15)가 이송 방향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슬리브(10)는 핀(42)에 끼워지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10) 중에서 핀(42)에 인입되지 않은 슬리브(10)는 보울(25) 내로 자동으로 재투입된다. 이와 같은 자동 재투입을 위하여, 핀(42) 하부의 공간은 보울(25)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동부(44)는 슬리브(10)에 끼워진 핀(42)을 컷팅부(50)의 컷팅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부(44)는 회전부재(45), 제1모터(46), 및 분리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부재(45)는 옆으로 누운 형태로 배치된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되며, 그 외면에 핀(42)이 부착된다. 이때 핀(42)은 5개가 수평으로 등간격(가이드레일(32)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하나의 세트로 배치되며, 이와 같은 하나의 세트가 회전부재(45)의 외주면을 따라 각 9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총 4개의 세트가 회전부재(45)의 외주면에 등각도로 배치된다.
제1모터(46)는 회전부재(45)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를 구성한다. 제1모터(46)는 회전부재(45)를 회전이동시킨다. 이때, 제1모터(46)는 회전부재(45)에 부착된 핀(42)이 가이드레일(32)의 단부에서 슬리브(10) 내로의 인입을 위해 대기하는 제1위치, 및 이러한 대기위치에서 슬리브(10)가 인입된 핀(42)이 슬리브의 분리를 위해 대기하는 제2위치간을 교번하도록, 회전부재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킨다. 나아가 제1모터(46)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제3위치를 경유하도록 회전부재(45)를 구동한다. 여기에서 제3위치는 슬리브(10)가 핀(42)의 상단부에 놓이도록 핀(42)이 기립 상태로 배치되는 위치이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핀(42)이 가이드레일(32)측을 향하고 있는 위치가 제1위치이고, 핀(42)이 가이드레일(32)측의 반대편을 향하고 있는 위치가 제2위치이고,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핀(42)이 상방으로 기립된 상태의 위치가 제3위치이다. 회전부재(45)는 도 10 과 같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컨대 10초) 정지된다.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회전부재(45)는 제1모터(46)에 의해 90°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도 11 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1 에서, 도 10 의 상태에서 제1위치에 있던 핀(42)은 제3위치로 이동되고 도 10 의 상태에서 하방을 향하고 있던 핀(42)은 제1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11 의 상태에서 제3위치에 있는 핀(42)은 기립 상태로 상방을 향하므로, 슬리브(10)가 자중에 의하여 핀(42)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슬리브(10)들의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된다. 도 11 의 상태에서 제1위치에 놓은 핀(42)에는 도 10 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슬리브(10)가 삽입된다. 다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회전부재(45)는 도 11 의 상태에서 90°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도 12 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2 에서, 제3위치에 있던 핀(42)은 제2위치에 놓이게 되고, 제1위치에 있던 핀은 제3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일정 시간마다 회전부재(45)가 90° 각도만큼 회전이동함에 따라, 1차적으로 제1위치에서 핀(42)에 슬리브(10)가 끼워지고 2차적으로 제3위치에서 슬리브(10)가 핀(42)에 안착된 후 3차적으로 슬리브(10)가 제2위치에 놓이게 된다.
분리부(47)는 이와 같은 회전부재(45)와 제1모터(46)의 동작에 의해 제2위치로 이동된 핀(42)으로부터 슬리브(10)를 분리시킨다. 분리부(47)는 플레이트(47-1), 후킹부재(47-2), 및 제2모터(4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47-1)는 제2위치로 이동된 핀(42)이 놓여져 슬리브(10)가 안착되는 그루브(47-1a)를 가지고 있다. 그루브(47-1a)는 제2위치로 이동된 핀이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형성되며, 핀(42)의 개수와 간격에 대응되어 5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후킹부재(47-2)는 제2위치로 이동된 핀(42)에 끼워진 슬리브(10)를 후킹하는 기능을 한다. 제2모터(47-3)는 후킹부재(47-2)를 구동하여 핀(42)으로부터 슬리브(1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슬리브(10)를 이동시키는 분리구동부를 구성한다.
분리부(47)의 동작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 과 같이 후킹부재(47-2)는 플레이트(47-1)의 선단 위치(회전부재(45) 측에 인접한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3위치의 핀(32)의 이동을 대기하고 있으며, 제3위치에 놓여있던 핀(42)이 제2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도 12 의 상태가 된다. 후킹부재(4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아들을 구비한 형태를 가지며, 이 바아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슬리브(10)가 끼워진 핀(42)이 통과함으로써, 이 바아들의 후방에 슬리브(10)들이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3위치의 슬리브(10)들은 플레이트(47)의 그루브(47-1a) 내에 안착된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터(47-3)에 의해 후킹부재(47-2)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슬리브(10)가 후킹부재(47-2)에 의해 핀(42)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 후 플레이트(47-1)의 그루브(47-1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슬리브(10)가 이동 완료되어 멈춘 지점은 컷팅부(50)가 동작하는 컷팅 지점이 된다. 그리고 나서 제2모터(47-3)에 의해 후킹부재(47-2)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후킹부재(47-2)는 도 11 과 같이 회전부재(45)에 인접된 위치에서 제3위치의 핀(42)의 진입을 대기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회전부재(45)가 90° 회전할 때마다 반복된다.
컷팅부(50)는 선별부(40)에 의해 선별된 슬리브(10)들의 폐쇄단부를 컷팅한다. 도 10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부(50)는 컷팅날(51)을 구비하며, 또한 컷팅날(51)을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구동부(52)를 구비한다.
도 15 는 컷팅부(50)의 컷팅날(51)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10)가 분리부(47)에 의해 컷팅 지점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컷팅날(51)이 구동부(52)에 의해 하방 이동됨에 따라 슬리브(10)의 폐쇄단부(15)가 컷팅날(51)에 의해 절단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10)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에 개방단부(12)를 구비한 형태로 가공된다. 절단 작업이 완료되면 컷팅날(51)은 구동부(52)에 의해 상방 이동되어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컷팅 지점으로 이동된 슬리브(10)에 대해 반복 수행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 및 설명을 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력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항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양단에 개방단부와 폐쇄단부를 각각 구비한 슬리브의 상기 폐쇄단부를 컷팅하는 슬리브 컷팅장치로서,
    외부에서 투입된 상기 슬리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슬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슬리브들 중에서 상기 폐쇄단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정렬된 상기 슬리브들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상기 슬리브들의 상기 폐쇄단부를 컷팅하는 컷팅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투입된 상기 슬리브를 상기 정렬부로 이송하는 진동형 보울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슬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슬리브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는, 상기 정렬부를 통해 정렬된 상기 슬리브의 상기 개방단부를 통해 상기 슬리브 내로 인입되어 끼워지는 핀, 및 상기 슬리브에 끼워진 상기 핀을 상기 컷팅부의 컷팅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공급되는 상기 슬리브 중에서 상기 개방단부가 선단부를 향하도록 정렬된 상기 슬리브 내로 상기 개방단부를 통해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컷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보울피더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리브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배치 상태를 조절하는 에어노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컷팅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중에서 상기 핀에 인입되지 않은 상기 슬리브는 상기 공급부 내로 재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컷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핀이 외면에 부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부착된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슬리브 내로의 인입을 위해 대기하는 제1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슬리브가 인입된 상기 핀이 상기 슬리브의 분리를 위해 대기하는 제2위치간을 교번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핀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분리시키는 분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컷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의 제3위치를 경유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구동하되, 상기 제3위치는 슬리브가 상기 핀의 상단부에 놓이도록 상기 핀이 기립 상태로 배치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컷팅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핀이 길이 방향으로 놓여지는 그루브를 구비한 플레이트;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핀에 끼워진 상기 슬리브를 후킹하는 후킹부재; 및
    상기 후킹부재를 상기 핀으로부터 상기 슬리브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그루브를 따라 상기 컷팅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분리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컷팅장치.
KR1020210158470A 2021-11-17 2021-11-17 슬리브 컷팅장치 KR10246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470A KR102463537B1 (ko) 2021-11-17 2021-11-17 슬리브 컷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470A KR102463537B1 (ko) 2021-11-17 2021-11-17 슬리브 컷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537B1 true KR102463537B1 (ko) 2022-11-04

Family

ID=8404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470A KR102463537B1 (ko) 2021-11-17 2021-11-17 슬리브 컷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512Y1 (ko) * 1990-11-27 1992-11-30 삼성전기 주식회사 네크 클램프 공급용 파아츠 피이더
KR100664555B1 (ko) * 2006-09-15 2007-01-03 남기웅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KR20120133597A (ko) * 2011-05-31 2012-12-11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단자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41972B1 (ko) * 2017-03-09 2017-05-30 백종운 온도에 따라 경고 또는 위험상황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과 그 절연 캡의 제조장치 및 그 절연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512Y1 (ko) * 1990-11-27 1992-11-30 삼성전기 주식회사 네크 클램프 공급용 파아츠 피이더
KR100664555B1 (ko) * 2006-09-15 2007-01-03 남기웅 미소 전자부품 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
KR20120133597A (ko) * 2011-05-31 2012-12-11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단자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41972B1 (ko) * 2017-03-09 2017-05-30 백종운 온도에 따라 경고 또는 위험상황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과 그 절연 캡의 제조장치 및 그 절연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2442B (zh) 送料设备
KR102463537B1 (ko) 슬리브 컷팅장치
US11376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nd fixing snap connectors
US6557238B1 (en) Produc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 stator coils having leads at final attachment points before insertion into a stator core
FI61452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otskiljande av montagedelar fraon varandra
CN109074921B (zh) 线束制造系统和线束制造方法
CN109155170B (zh) 部件供给装置
KR20160089353A (ko) 용기들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US3774782A (en) Machinery for handling synthetic filament
US3456770A (en) Bobbin orienting arrangement for textile machines
JP2916048B2 (ja) 電線の端末処理装置
EP0305420B1 (en) Harness-receiving apparatus
US7775474B2 (en) Wire winding apparatus
KR102463538B1 (ko) 슬리브 컷팅장치
JPH091085A (ja) コイルばねの選別供給装置
JPH0425331A (ja) 引張りコイルスプリングの自動組付け装置
JPH0710387A (ja) ボビン定置方法および装置
JP2020045177A (ja) 容器供給装置
JP3679387B2 (ja) リード線組付構成体組立方法及びリード線組付構成体組立機
JPH0474135B2 (ko)
US43763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integrated circuit clips and sockets and assembling them into connector contacts
JP7055568B2 (ja) 部品整列治具およびボンダーキャップ供給機
JPH01130882A (ja) 高速溶接装置
JPS60244713A (ja) 供給装置
JPH04245651A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