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020B1 - 물품 정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정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020B1
KR101409020B1 KR1020120110980A KR20120110980A KR101409020B1 KR 101409020 B1 KR101409020 B1 KR 101409020B1 KR 1020120110980 A KR1020120110980 A KR 1020120110980A KR 20120110980 A KR20120110980 A KR 20120110980A KR 101409020 B1 KR101409020 B1 KR 10140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rticles
article
plat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016A (ko
Inventor
이구현
Original Assignee
이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현 filed Critical 이구현
Priority to KR102012011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0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5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removing incorrectly orient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물품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통해 물품들을 이송하며, 정렬된 물품들을 공급하는 이송부; 적어도 일부가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을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고, 컨베이어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 중 눕혀진 물품을 통과시키되, 전방면과 부딪치며 일층으로 눕혀지지 않은 세워진 물품 또는 적층된 상층 물품을 컨베이어 밖으로 떨어뜨리는 블럭부;를 포함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물품 정렬 공급장치{APPARATUS FOR ALIGNING AND SUPPLYING ARTICLES}
본 발명은 물품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물품의 일렬 정렬된 공급을 제공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 공급장치는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이때, 물품의 검사를 위해 물품을 일렬로 정렬 공급하는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제약 검사장치의 경우, 정제약(tablet)에 대한 이물질의 부착이나 오염, 크랙 등의 결합의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물품, 즉 정제약을 검사장치로 공급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가 요구된다. 이때, 물품, 예컨대 정제약은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눕혀진 채로 공급되는 것이 요구된다. 정제약 검사장치 외에도 물품을 일렬로 눕혀진 채로 공급되는 것이 요구되는 물품 검사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종래의 물품 공급장치는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일렬로 눕혀진 채로 공급하기 위해 컨베이어 상에 양측으로 가이드판을 세워 테이퍼지도록 점점 좁혀지게 형성하여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을 공급하고 있다. 이 경우, 물품, 예컨대 정제약들이 적층되거나 나란히 2개 이상이 공급통로로 진입하면서 물품, 예컨대 정제약들 사이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훼손되어 결함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베이어를 진동시켜 물품, 예컨대 정제약들을 정렬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진동 피더의 경우에도 물품, 예컨대 정제약들이 대량 공급되는 경우 적층상태가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고, 또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가이프판에 의해 공급통로로 진입하는 물품, 예컨대 정제약들이 2개이상 나란히 이송되는 경우 점차 좁아지는 통로에서 서로 부딪치거나 충돌하여 물품, 예컨대 정제약들이 파손되거나 훼손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게 된다.
최근에, 물품의 검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진동 피더에 대하여 공급속도의 고속화가 요구되므로써 전술한 문제가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3010-0051569호 (3010년 3월 23일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컨베이어 상에 눕혀진 물품이 통과되도록 이격된 높이에 형성된 차단블럭에 의해 부딪치면서 눕혀지지 않고 계속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을 컨베이어 밖으로 자연스럽게 떨어뜨려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을 손상없이 일렬로 정렬시켜 공급할 수 있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물품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통해 물품들을 이송하며, 정렬된 물품들을 공급하는 이송부; 적어도 일부가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을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부; 및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고, 컨베이어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 중 눕혀진 물품을 통과시키되, 전방면과 부딪치며 일층으로 눕혀지지 않은 세워진 물품 또는 적층된 상층 물품을 컨베이어 밖으로 떨어뜨리는 블럭부;를 포함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정렬부는 블럭부를 통과하여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이송되던 물품들 중 컨베이어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낙하시키는 물품낙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품낙하유닛은 일부 또는 전부의 돌출된 물품들의 돌출부위를 에어 또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타격시켜 낙하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물품은 정제약일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들을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이송 또는 정렬 중에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거나 블럭부에 의해 컨베이어 밖으로 낙하되는 물품들을 받아 컨베이어의 이송 시작 영역으로 환송시키는 환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정렬부는: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되되, 정렬 경로에서 벗어난 컨베이어 상의 물품들을 정렬 경로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판; 및 가이드판에 의해 정렬 경로로 이동되거나 초반부터 정렬 경로로 이송되며 블럭부를 통과한 물품들을 일렬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렬 정렬시켜는 정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가이드판은 컨베이어의 폭방향 타측 및 가운데 영역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을 정렬 경로인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삭제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물품낙하유닛은 컨베이어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에어로 낙하시키는 에어블로어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예에서, 물품낙하유닛은 컨베이어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폭방향 가장자리 바깥에서 편심 회전하는 회전판으로 돌출부위를 타격시켜 낙하시키는 회전유닛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가이드판은 컨베이어의 폭방향 타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짧고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제2 플레이트는 블럭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가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이 제2 플레이트가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보다 앞설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블럭부는, 눕혀진 물품이 통과하되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이 걸리도록 하부면이 컨베이어와 이격되고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된 전방면과 부딪치는 세워진 물품을 넘어뜨리거나 적층된 물품을 떨어뜨리고 전방면과 부딪치면서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은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을 전방면을 따라 컨베이어의 가장자리 밖으로 이동시켜 떨어뜨리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차단판의 일측은 정렬부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되, 차단판은 홈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됨에 따라 정렬부로부터 돌출되는 수평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삭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정제약 검사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베이어 상에 눕혀진 물품이 통과되도록 이격된 높이에 형성된 차단블럭에 의해 부딪치면서 눕혀지지 않고 계속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을 컨베이어 밖으로 자연스럽게 떨어뜨려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을 손상없이 일렬로 정렬시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라, 하부로 눕혀진 물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이격되되 물품의 이송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된 전면부에 부딪치면서 자연스럽게 눕혀지지 않고 남아있는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을 전면부의 사면을 따라 컨베이어 밖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하여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손상없이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라, 이송되는 물품들을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시켜 정렬시킴으로써 양쪽에서 중심방향으로 모아지면서 부딪치는 충격과 손상을 줄이면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의 예에 따라, 컨베이어 가장자리 밖으로 돌출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떨어뜨려 일렬 정렬되는 과정에서 물품간 마찰 및 충돌을 최소화시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손상없이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의 블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의 물품낙하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의 물품낙하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의 블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의 물품낙하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의 물품낙하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이송부, 정렬부(30) 및 블럭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이때, 이송부, 정렬부(30) 및 블럭부(50)는 받침대(7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또 하나의 예에서,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환송부, 진동부, 또는 환송부 및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품은 평면상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방형, 장방형 또는 기타 다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입체모양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물품(1, 1', 1")은 정제약일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정제약 검사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정제약 검사장치 외에도 물품의 일렬 정렬시킨 공급이 요구되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물품 정렬 공급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물품(1, 1', 1")은 정제약을 예로 들어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에 따른 물품 정렬 공급장치의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이송부는 컨베이어(10)를 통해 물품들(1, 1', 1")을 이송하며, 정렬된 물품들(1)을 공급한다. 이때, 물품(1, 1', 1")은 예컨대 정제약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부의 컨베이어(10)는 예컨대 호퍼 또는 저장소로부터 물품들(1, 1', 1")을 공급받아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1, 1', 1")이 정제약인 경우, 이송부는 물품들(1)을 일렬로 예컨대 정제약 검사기(도시되지 않음)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약 검사기에서는 일렬로 정제약들(1)을 공급받아 순차로 검사하여 양품 및 불량품 등을 검사하거나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부는 정제약들(1)을 정제약 검사기(도시되지 않음)의 하부 또는 상부로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 따르면,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진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들(1, 1', 1")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진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컨베이어(10) 측면 또는 하부 등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들(1, 1', 1")을 진동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정렬부(30)를 살펴본다. 정렬부(30)는 적어도 일부가 컨베이어(10)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정렬부(30)는 컨베이어(10)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1)을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일렬로 정렬시킨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정렬부(30)는 물품낙하유닛(33, 1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정렬부(30)는 가이드판(31) 및 정렬판(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낙하유닛(33, 133)은 다음에서 가이드판(31) 및 정렬판(35)을 먼저 살펴본 후에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계속하여,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정렬부(30)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정렬부(30)는 가이드판(31) 및 정렬판(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31)은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가이드판(31)은 정렬 경로에서 벗어난 컨베이어(10) 상의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을 정렬 경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렬 경로는 정렬판(35)에 의해 일렬 정렬을 위해 형성된 통로와 동일 방향을 갖는 물품들(1)의 이송 경로를 의미한다. 예컨대, 정렬 경로는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형성되거나 컨베이어(10)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컨베이어(10)의 중심선을 따라 또는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정렬 경로가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판(31)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정렬 경로가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판(31)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타측에서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된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정렬판(35)은 가이드판(31)에 의해 정렬 경로로 이동되거나 초반부터 정렬 경로로 이송되며 블럭부(50)를 통과한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을 일렬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렬 정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정렬판(35)은 도 1 및/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블럭부(50) 다음에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의 일렬 정렬을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판 조절핀(35a)이 구비되어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되는 정렬 통로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된 정렬 통로의 폭은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폭보다 크고,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정렬이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유 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정렬 통로의 폭은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폭의 1.5배 이하이거나, 더 좁은 범위로 1.3배 이하, 더욱더 좁은 범위로 1.2배 이하, 한층더 좁은 범위로 1.1배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정렬판(35)에서 일렬 정렬되는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은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렬판(35)의 이전, 이후 또는 정렬판(35) 중간에 일렬 정렬되는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유닛(도시되지 않음)이 부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정제약들(1)이 제공되어질 정제약 검사기(도시되지 않음)가 정제약들(1)의 일렬 정렬 외에 일정간격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격조절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없이 간단하게 물품 정렬 공급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으로 정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31)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타측 및 가운데 영역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 1', 1")을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 및/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31)이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거나,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렬 경로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에 치우져 형성되고 가이드판(31)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타측과 일측에서 각각 가운데 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 1', 1")을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판(31)의 사선방향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컨베이어(10)의 통로 폭은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폭보다 크고 2배 미만일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10)의 통로 폭의 크기는 예컨대 가이드판(31)이 부착된 지지판을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컨대, 지지판 조절핀이 구비되어, 컨베이어(10)의 통로 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컨베이어(10)의 통로 폭이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폭보다 2배 이상인 경우 컨베이어(10)의 통로를 통해 나란히 2개 이상의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이 이송되며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되는 정렬 통로로 유입될 수 있고, 이때, 나란히 접한 2개 이상의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에 의해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되는 정렬 통로가 막힐 수 있으므로,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되는 정렬 통로와 연결되는 컨베이어(10)의 통로 폭은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폭보다 2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10)의 통로 폭이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폭과 같거나 작으면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의 이송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 2,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정렬부(30)는 물품낙하유닛(33, 133)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낙하유닛(33, 133)은 블럭부(50)를 통과하여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이송되던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 1") 중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낙하시킬 수 있다. 예컨대, 물품낙하유닛(33, 133)은 가이드판(31)에 의해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되거나 초반부터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이송되며 블럭부(50)를 통과하여 계속 이송되던 물품들 중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물품낙하유닛(33, 133)에 의해 낙하되지 않은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계속 이송되어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로 제공될 것이다.
이때, 물품낙하유닛(33, 133)은 일부 또는 전부의 돌출된 물품들의 돌출부위를 에어 또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타격시켜 낙하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물품낙하유닛(33)은 에어블로어(33)일 수 있다. 즉, 에어블로어(33)는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에어로 낙하시킬 수 있다. 도 1, 2 및/또는 4를 참조하면,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된 통로로 진입하기 전 정렬 경로 상부에 에어블로어(33)가 설치되고, 에어유입구(33b)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고, 에어블로어(33)의 에어홀(33a)을 통해 분출된 에어에 의해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 밖으로 돌출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을 컨베이어(10) 밖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이때, 에어홀(33a)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의 수직방향 연장선 밖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블로어(33)에 의해 낙하되지 않은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은 에어블로어(33)의 하부를 지나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로 제공될 것이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물품낙하유닛(133)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 바깥에서 편심 회전하는 회전판(133a)으로 돌출부위를 타격시켜 낙하시키는 회전유닛(133)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유닛(133)은 가이드판(31)의 비스듬하게 형성된 구간을 지나 이송방향과 나란한 구간에서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유닛(133)의 회전판(133a)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 바깥쪽에서 편심의 장축 부분이 하부 방향을 회전하면서 컨베이어(10)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의 일부 또는 전부의 돌출부위를 타격시켜 낙하시킬 수 있다. 회전유닛(133)에 의해 낙하되지 않은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은 회전유닛(133)의 하부를 지나 정렬판(35)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로 제공될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가이드판(31)은 컨베이어(10)의 폭방향 타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짧고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는 블럭부(5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가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이 제2 플레이트가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보다 앞설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비스듬한 방향들이 한 점을 향해 모이지 않고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으로 축 기준으로 할 때,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이 평면상 원형인 경우에는 제1 플레이트가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플레이트와 만나는 연결지점이 제2 플레이트의 연결지점과 동일한 축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이 평면상 장방향 또는 타원형의 형상인 경우에는 제1 플레이트의 연결지점과 제2 플레이트의 연결지점이 동일한 축 위치에 배치되면 정렬 방향과 수직하게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 예컨대 정제약(1)에 의해 통로가 막힐 수 있다. 그러므로,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이 평면상 장방향 또는 타원형의 형상인 경우에는 가이드판(31)이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가 이송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은 제2 플레이트가 이송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보다 앞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플레이트의 시작단은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밖으로 돌출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정렬 경로로 안내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내측에 제2 플레이트의 시작단이 형성되어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밖으로 일정정도 이상 돌출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밖으로 이동시켜 떨어뜨리고 일정정도 미만으로 돌출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을 정렬 경로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블럭부(5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블럭부(50)는 컨베이어(10) 상에 설치되고, 컨베이어(10)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 1', 1") 중 눕혀진 물품, 예컨대 정제약(1, 1")을 통과시킨다. 또한, 블럭부(50)는 전방면과 부딪치며 일층으로 눕혀지지 않은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을 컨베이어(10) 바깥으로 이동시켜 떨어뜨릴 수 있다. 즉, 블럭부(50)는 전방면과 부딪치는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을 넘어뜨리거나 떨어뜨려 일층으로 눕혀지도록 하고, 이때, 전방면과 부딪치면서 일층으로 눕혀지지 않은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을 컨베이어(10) 바깥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도 1,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블럭부(50)는 차단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판(50)의 하부면은 눕혀진 물품, 예컨대 정제약(1)을 통과시키되 세워진 물품, 예컨대 정제약(1') 또는 적층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이 걸리도록 컨베이어(10)와 이격된다. 또한, 차단판(50)의 전방면은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단판(50)의 전방면에 걸리는 세워진 물품, 예컨대 정제약(1') 또는 적층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은 넘어지거나 떨어져 일층으로 눕혀지게 된다. 만일, 차단판(50)의 전방면과 부딪치면서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은 세워진 물품, 예컨대 정제약(1') 또는 적층된 물품, 예컨대 정제약은 차단판(50)의 전방면을 따라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밖으로 이동되며 떨어지게 된다.
도 1,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차단판(50)의 일측은 정렬부(30), 예컨대 가이드판(31)이 부착된 지지판에 형성된 홈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홈은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거나 수직하거나 또는 가이드판(31)과 나란한 장방형 홈일 수 있다. 또한, 차단판(50)은 정렬부(30), 예컨대 가이드판(31)이 부착된 지지판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됨에 따라 정렬부(30)로부터 돌출되는 수평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장방형 홈이 컨베이어(10)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거나 가이드판(31)과 나란한 경우에 장방형 홈을 따라 차단판(50)이 이동되어 고정됨에 따라 정렬부(30)의 컨베이어(10) 이동방향과 나란한 면으로부터 돌출된 차단판(50)의 수평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방형 홈이 아닌 경우에도 홈에 설치된 조절핀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 방식으로 차단판(50)의 수평방향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 따르면,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환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송부(도시되지 않음)는 컨베이어(10)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환송부는 이송 또는 정렬 중에 컨베이어(10)로부터 낙하되거나 블럭부(50)에 의해 이송이 차단되어 낙하되는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을 받아 컨베이어(10)의 이송 시작 영역으로 환송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환송부는 환송 시작 영역이 컨베이어(1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환송 종료 영역이 컨베이어(1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환송부는 환송 시작 영역이 컨베이어(10)보다 낮고 환송 종료 영역이 컨베이어(10)보다 높도록 경사진 컨베이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환송 종료 영역에 해당되는 컨베이어 시스템 상단에는 슬라이더가 형성되어 컨베이어 시스템 상단까지 환송된 물품들, 예컨대 정제약들(1")이 다시 이송부의 컨베이어(10)의 이송 시작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환송부는 환송 시작 영역이 컨베이어(10)보다 낮고 환송 종료 영역이 컨베이어(10)보다 높도록 경사진 스크류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 1', 1" : 물품 또는 정제약
10 : 컨베이어 30 : 정렬부
31 : 가이드판 35 : 정렬판
35a : 정렬판 조절핀 33 : 에어블로어 또는 물품낙하유닛
33a : 에어홀 33b : 에어유입구
50 : 블럭부 또는 차단판 51 : 차단판 조절핀
70 : 받침대 133 : 회전유닛 또는 물품낙하유닛
133a : 회전판

Claims (15)

  1. 물품 정렬 공급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10)를 통해 물품들을 이송하며, 정렬된 상기 물품들을 공급하는 이송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상기 물품들을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부(30);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상기 물품들 중 눕혀진 물품을 통과시키되, 전방면과 부딪치면서 일층으로 눕혀지지 않은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을 상기 컨베이어 밖으로 떨어뜨리는 블럭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30)는 상기 블럭부(50)를 통과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이송되던 상기 물품들 중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넘어 돌출된 물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낙하시키는 물품낙하유닛(33, 133)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낙하유닛(33, 133)은 상기 일부 또는 전부의 상기 돌출된 물품들의 돌출부위를 에어 또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타격시켜 낙하시키고,
    상기 물품은 정제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들을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이송 또는 정렬 중에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거나 상기 블럭부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밖으로 낙하되는 물품들을 받아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시작 영역으로 환송시키는 환송부를 더 포함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되되, 정렬 경로에서 벗어난 상기 컨베이어 상의 상기 물품들을 상기 정렬 경로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에 의해 상기 정렬 경로로 이동되거나 초반부터 상기 정렬 경로로 이송되며 상기 블럭부를 통과한 상기 물품들을 일렬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렬 정렬시켜는 정렬판;을 더 포함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타측 및 가운데 영역에 놓여져 이송되는 상기 물품들을 상기 정렬 경로인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타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 일측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블럭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이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나란해지는 지점보다 앞서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품낙하유닛은 상기 돌출된 물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에어로 타격시켜 낙하시키는 에어블로어인,
    물품 정렬 공급장치.
  8.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품낙하유닛은 상기 돌출된 물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폭방향 가장자리 바깥에서 편심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으로 돌출부위를 타격시켜 낙하시키는 회전유닛인,
    물품 정렬 공급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는, 상기 눕혀진 물품이 통과하되 상기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이 걸리도록 하부면이 상기 컨베이어와 이격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된 전방면과 부딪치는 상기 세워진 물품을 넘어뜨리거나 상기 적층된 물품을 떨어뜨리고 상기 전방면과 부딪치면서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은 상기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을 상기 전방면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의 가장자리 밖으로 이동시켜 떨어뜨리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는, 상기 눕혀진 물품이 통과하되 상기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이 걸리도록 하부면이 상기 컨베이어와 이격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비스듬하게 형성된 전방면과 부딪치는 상기 세워진 물품을 넘어뜨리거나 상기 적층된 물품을 떨어뜨리고 상기 전방면과 부딪치면서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은 상기 세워지거나 적층된 물품을 상기 전방면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의 가장자리 밖으로 이동시켜 떨어뜨리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일측은 상기 정렬부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되,
    상기 차단판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정렬부로부터 돌출되는 수평길이가 조절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12.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정제약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정제약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정제약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렬 공급장치는 정제약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물품 정렬 공급장치.
KR1020120110980A 2012-10-05 2012-10-05 물품 정렬 공급장치 KR10140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80A KR101409020B1 (ko) 2012-10-05 2012-10-05 물품 정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80A KR101409020B1 (ko) 2012-10-05 2012-10-05 물품 정렬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16A KR20140045016A (ko) 2014-04-16
KR101409020B1 true KR101409020B1 (ko) 2014-06-19

Family

ID=5065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80A KR101409020B1 (ko) 2012-10-05 2012-10-05 물품 정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658A (ko) * 2020-12-15 2022-06-22 박정열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12A (ko) 2017-07-11 2019-01-21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품 정렬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위한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CN109107911A (zh) * 2018-09-18 2019-01-01 无锡传奇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药片检测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355A (ja) * 2004-11-05 2006-05-25 Ikegami Tsushinki Co Ltd 小物物品の供給整列搬送装置
JP2007055739A (ja) * 2005-08-24 2007-03-08 Ikegami Tsushinki Co Ltd 小物物品の供給整列搬送装置
JP2010285229A (ja) * 2009-06-09 2010-12-24 Ikegami Tsushinki Co Ltd 小型成形品の整列供給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355A (ja) * 2004-11-05 2006-05-25 Ikegami Tsushinki Co Ltd 小物物品の供給整列搬送装置
JP2007055739A (ja) * 2005-08-24 2007-03-08 Ikegami Tsushinki Co Ltd 小物物品の供給整列搬送装置
JP2010285229A (ja) * 2009-06-09 2010-12-24 Ikegami Tsushinki Co Ltd 小型成形品の整列供給搬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658A (ko) * 2020-12-15 2022-06-22 박정열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KR102458197B1 (ko) * 2020-12-15 2022-10-24 박정열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16A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6077A (en) Linear feeder
CN103328958B (zh) 零件供应装置和零件检查设备
US201600527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objects
KR101409020B1 (ko) 물품 정렬 공급장치
US20210245965A1 (en) Automated Parcel Singulator
JP2008179466A (ja) 錠剤搬送装置
JPH06234411A (ja) サイズの異なる物品のための線形供給器
US200200601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nd separating items
US11959794B2 (en)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article suppliers
WO2020129851A1 (ja) 直進フィーダ及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
JP2014113528A (ja) 重量選別装置
KR20130096120A (ko) 스크류 정렬 공급 장치
KR101588296B1 (ko) 과일 선별장치
JP5861914B2 (ja) 振動フィーダ
JP2002068460A (ja) チップの整面1列整列搬送用フィダー
JPH08188231A (ja) 物品の搬送装置
KR101567578B1 (ko)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JP2005060048A (ja) 果肉振り分け装置、果肉充填装置及び果肉振り分け方法
JP2017024905A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CN106742381A (zh) 一种枪盖理盖器的剔除装置及剔除方法
JP2015193436A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2018154469A (ja) 物品整列装置
JP7036410B2 (ja) 果菜自動選別装置
JPH08188230A (ja) 物品の反転装置
KR101251306B1 (ko) 전자부품 자동 선별식 피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