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197B1 -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197B1
KR102458197B1 KR1020200175893A KR20200175893A KR102458197B1 KR 102458197 B1 KR102458197 B1 KR 102458197B1 KR 1020200175893 A KR1020200175893 A KR 1020200175893A KR 20200175893 A KR20200175893 A KR 20200175893A KR 102458197 B1 KR102458197 B1 KR 10245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g
pong
pong ball
belt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658A (ko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102020017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1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07B13/072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openings being rollers with a divergent axis and the material moving substantially along the rollers axi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로서, 플레이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검출기 본체; 상기 검출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부; 상기 검출기 본체의 일 측 단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벨트부의 상부 및 하부의 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에 따르면,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검출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부와, 벨트부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벨트부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중간판과, 중간판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불량 탁구공을 걸러내어 탁구 게임 장치의 불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원활한 플레이와 기계수명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에 따르면, 플레이 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밟아 훼손되는 탁구공을 걸러내어 훼손된 탁구공이 탁구 게임 장치의 슈팅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훼손된 탁구공의 사용으로 인해 슈팅기의 막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함에 따른 게임 중단 및 기계불량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탁구 게임 장치의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A BAD TABLE TENNIS BALL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량 탁구공을 걸러내어 탁구 게임 장치의 불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원활한 플레이와 기계수명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는 일정한 규격의 탁구대에서 작고 가벼운 탁구공을 라켓으로 주고받으며 경쟁하는 경기로 좁은 장소에서 적은 인원으로도 언제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라켓 스포츠로서, 운동 자체가 별로 과격하지 않아서 남녀노소 누구나 할 수 있는 종목이다. 따라서 학교의 정규 체육시간, 특별활동 시간에도 이용할 수 있고, 직장인의 건강과 체력의 유지와 증진을 위하여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레크리에이션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 그 이용범위가 넓다.
이와 같이, 탁구는 남녀노소 누구를 막론하고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인 동시에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높은 수준의 기능과 체력을 길러야 하는 경기이다. 또한, 탁구는 일정 수준의 탁구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면 단식이나 복식 등의 경기를 재미있게 할 수 없다. 이러한 탁구 기술의 습득은 개인 훈련에 의해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연습상대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근래에는 다양한 탁구 연습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의 탁구 연습 장치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탁구공을 발사하고, 사용자가 발사되는 탁구공을 쳐서 네트를 넘기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발사되는 탁구공을 단순히 받아치는 단순한 방식으로 단조로운 한계가 있으며, 또한 단조로운 탁구 연습으로 인한 흥미유발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플레이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유저가 밟아 훼손시키는 일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훼손된 탁구공은 슈팅기의 막힘 등 불량을 발생시켜 게임을 중단시키고, 기계전체의 불량률을 높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검출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부와, 벨트부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벨트부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중간판과, 중간판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불량 탁구공을 걸러내어 탁구 게임 장치의 불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원활한 플레이와 기계수명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 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밟아 훼손되는 탁구공을 걸러내어 훼손된 탁구공이 탁구 게임 장치의 슈팅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훼손된 탁구공의 사용으로 인해 슈팅기의 막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함에 따른 게임 중단 및 기계불량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탁구 게임 장치의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로서,
플레이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검출기 본체;
상기 검출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부;
상기 검출기 본체의 일 측 단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벨트부의 상부 및 하부의 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 상기 벨트부의 벨트가 길이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부는,
상기 검출기 본체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기어와 체인으로 벨트가 구성되고, 벨트의 체인 사이에 원형축이 체결되며, 원형축의 하부에 마찰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부는,
상기 기어와 체인으로 구성되는 벨트에 원형축을 복수로 체결하되, 상기 원형축은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조립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부는,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조립되는 상기 원형축을 통해 형상이 변경된 찌그러진 탁구공만이 하부로 빠져 중간판에 걸러지도록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판은,
상기 검출기 본체의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벨트부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될 수 있는 경사진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은,
상기 검출기 본체의 양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3개의 구멍에 대응하여 각각 체결되는 3개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는,
탁구 게임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에 설치되어, 플레이 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유저가 밟아 훼손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슈팅기의 막힘 불량, 게임 중단, 기계전체의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에 따르면,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검출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부와, 벨트부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벨트부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중간판과, 중간판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불량 탁구공을 걸러내어 탁구 게임 장치의 불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원활한 플레이와 기계수명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에 따르면, 플레이 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밟아 훼손되는 탁구공을 걸러내어 훼손된 탁구공이 탁구 게임 장치의 슈팅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훼손된 탁구공의 사용으로 인해 슈팅기의 막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함에 따른 게임 중단 및 기계불량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탁구 게임 장치의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벨트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평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벨트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평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는, 검출기 본체(110), 벨트부(120), 모터(130), 중간판(140), 및 팬(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검출기 본체(110)는, 플레이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본체의 구성이다. 이러한 검출기 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 후술하게 될 벨트부(120)의 벨트가 길이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검출기 본체(110)는 탁구 게임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검출기 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 일 측면에는 하나의 장공이 형성되고, 마주하는 다른 측면에는 3개의 장공이 형성된다. 또한, 검출기 본체(100)의 양 측면에는 벨트부(120)의 원형축(123)이 위치될 수 있는 절곡된 거치부(미도시)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양 측면의 끝단에는 기어(121)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부(120)는, 검출기 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의 구성이다. 이러한 벨트부(120)는 검출기 본체(11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기어(121)와 체인(122)으로 벨트가 구성되고, 벨트의 체인(122) 사이에 원형축(123)이 체결되며, 원형축(123)의 하부에 마찰재(124)가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벨트부(120)는 기어(121)와 체인(122)으로 구성되는 벨트에 원형축(123)을 복수로 체결하되, 원형축(123)은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축(123)은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탁구공 직경보다 2~3㎜ 작은 간격으로 조립되어, 정상적인 탁구공은 원형축(123)간의 간격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벨트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조립되는 원형축(123)을 통해 형상이 변경된 찌그러진 탁구공만이 하부로 빠져 중간판(140)에 걸러지도록 기능한다.
모터(130)는, 검출기 본체(100)의 일 측 단에 설치되어, 벨트부(120)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터(130)는 벨트부(120)의 기어(121)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30)는 벨트부(120)의 벨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중간판(140)은, 벨트부(120)의 상부 및 하부의 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벨트부(120)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중간판(140)은 도 5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 본체(110)의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체결되어, 벨트부(120)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될 수 있는 경사진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간판(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양 측면에 절곡된 구조로 구성하되, 일단은 짧게 절곡되고, 다른 타단은 길게 절곡되어 경사진 구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팬(150)은, 중간판(140)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구성이다. 이러한 팬(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 본체(110)의 양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3개의 구멍에 대응하여 각각 체결되는 3개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기 본체(110)에 벨트부(120)와 모터(130)와 중간판(140) 및 팬(150)이 설치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는 탁구 게임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에 설치되어, 플레이 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유저가 밟아 훼손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슈팅기의 막힘 불량, 게임 중단, 기계전체의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는 검수를 통해 불량공을 사전에 걸러내어 원활한 플레이와 기계수명을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평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는 벨트부(120)의 기어(121)와 체인(122)으로 구성된 벨트가 원형축(123)을 이동시키며, 원형축(123)은 마찰재(124)의 마찰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원형축(123)은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조립되어 형상이 변형된 탁구공이 회전되는 축을 따라 회전되면서 원형축(123)간의 간격 사이로 빠져 중간판(140)에 걸러지고, 걸러진 탁구공은 중간판(140)을 거쳐 옆으로 적재된다. 이때, 검출기 본체(110)에 설치된 팬(150)의 바람으로 탁구공의 이동을 도와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검출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부와, 벨트부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벨트부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중간판과, 중간판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불량 탁구공을 걸러내어 탁구 게임 장치의 불량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원활한 플레이와 기계수명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 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밟아 훼손되는 탁구공을 걸러내어 훼손된 탁구공이 탁구 게임 장치의 슈팅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훼손된 탁구공의 사용으로 인해 슈팅기의 막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함에 따른 게임 중단 및 기계불량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탁구 게임 장치의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110: 검출기 본체
120: 벨트부
121: 기어
122: 체인
123: 원형축
124: 마찰재
130: 모터
140; 중간판
150: 팬

Claims (8)

  1.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로서,
    플레이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의 불량을 검출하기 위한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검출기 본체(110);
    상기 검출기 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어,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정상의 탁구공은 벨트를 따라 이송되고,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은 하부로 빠져 걸러지도록 하는 벨트부(120);
    상기 검출기 본체(100)의 일 측 단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120)의 벨트가 순환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0);
    상기 벨트부(120)의 상부 및 하부의 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부(120)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하는 중간판(140); 및
    상기 중간판(140)에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이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바람을 불어주는 팬(150)을 포함하되,
    상기 벨트부(120)는,
    상기 검출기 본체(11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기어(121)와 체인(122)으로 벨트가 구성되고, 벨트의 체인(122) 사이에 원형축(123)이 체결되며, 원형축(123)의 하부에 마찰재(124)가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판(140)은,
    상기 검출기 본체(110)의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벨트부(120)를 통해 하부로 빠져 걸러진 형상이 변경된 탁구공을 일 측면으로 적재될 수 있는 경사진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팬(150)은,
    상기 검출기 본체(110)의 양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3개의 구멍에 대응하여 각각 체결되는 3개의 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 상기 벨트부(120)의 벨트가 길이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120)는,
    상기 기어(121)와 체인(122)으로 구성되는 벨트에 원형축(123)을 복수로 체결하되, 상기 원형축(123)은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120)는,
    바닥에 떨어져 유입되는 탁구공을 이송하되, 탁구공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조립되는 상기 원형축(123)을 통해 형상이 변경된 찌그러진 탁구공만이 하부로 빠져 중간판(140)에 걸러지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100)는,
    탁구 게임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에 설치되어, 플레이 중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유저가 밟아 훼손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슈팅기의 막힘 불량, 게임 중단, 기계전체의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KR1020200175893A 2020-12-15 2020-12-15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KR10245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893A KR102458197B1 (ko) 2020-12-15 2020-12-15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893A KR102458197B1 (ko) 2020-12-15 2020-12-15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58A KR20220085658A (ko) 2022-06-22
KR102458197B1 true KR102458197B1 (ko) 2022-10-24

Family

ID=8221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893A KR102458197B1 (ko) 2020-12-15 2020-12-15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1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20B1 (ko) * 2012-10-05 2014-06-19 이구현 물품 정렬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944B2 (ja) * 1996-11-12 2002-09-17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廃瓶類の回収設備におけるカレットの除去装置
KR20020043928A (ko) * 2000-12-05 2002-06-12 윤영달 입도 선별장치
KR101609707B1 (ko) * 2014-04-30 2016-04-06 주식회사 신진하이테크 다목적 리프트 선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20B1 (ko) * 2012-10-05 2014-06-19 이구현 물품 정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58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2380A (en) Arena type game
US7361104B2 (en) Automated ball game training and playing system
US4094504A (en) Signalling device to be used with a sport implement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the proper or improper use thereof
KR100865224B1 (ko)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US7377516B2 (en) Ball tossing game
US10974114B2 (en) Toss game
US5316310A (en) Disc toss game
JP2010522587A (ja) 球技スポーツ用装置
US20190344142A1 (en) Cornhole bag and related process
US5566948A (en) Bouncing ball game
US6116605A (en) Magnetic toss game
US20180221742A1 (en) Angled board and methods of playing the same
US20020022540A1 (en) Training device for soccer and physical education
KR102458197B1 (ko) 불량 탁구공 검출 장치
US20060178236A1 (en) Device for detecting and recording characterstics of a projectile
US3778060A (en) Target for use on water or land
US20180243634A1 (en) Table tennis scoring device
US11219808B2 (en) System for team ball game having interactive goal barriers
AU2009250323A1 (en) Sporting or amusement apparatus
KR102464742B1 (ko) 탁구 게임 연습 장치
US20230082805A1 (en) Toss game target apparatus
CA1202045A (en) Arena type games
US20110037222A1 (en) Game table
CN218516108U (zh) 一种布艺玩具投球机
CN219398919U (zh) 一种棋盘格台式投篮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