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578B1 -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578B1
KR101567578B1 KR1020140071084A KR20140071084A KR101567578B1 KR 101567578 B1 KR101567578 B1 KR 101567578B1 KR 1020140071084 A KR1020140071084 A KR 1020140071084A KR 20140071084 A KR20140071084 A KR 20140071084A KR 101567578 B1 KR101567578 B1 KR 10156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element
bowl
guide rail
circuit element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민
김영철
임재원
김종은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삼일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삼일테크(주)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 없이 간단하게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를 위아래가 바로 놓인 정방향 상태로 정렬하고 공급할 수 있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장치는 하부에 진동발생장치를 가지며,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들이 적재되는 보울과 상기 보울의 내부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보울이 진동함에 따라 회로소자들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면서 정렬 공급되게 되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로서, 가이드레일에는 내부 바닥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로소자가 가이드레일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중앙 정렬부, 회로소자의 상단 단폭 길이에 대응되는 폭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하가 뒤바뀐 역방향의 회로소자의 윗면이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수평 정렬부, 보울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되게 형성된 경사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역방향 회로소자는 계속 전진 이송되고, 정방향 회로소자는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어 보울로 회수되도록 하는 경사 정렬부, 바닥부와 바닥부로부터 회로소자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를 구비하여, 바닥부와 상부가 보울의 중심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역방향 회로소자가 뒤집혀서 바로 놓이도록 하는 회전 정렬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Part feeder for elements having legs}
본 발명은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를 정렬하여, 위아래가 바로 놓인 정방향의 회로소자만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부품공급장치는 접시 형상의 보울(bowl)과, 이 보울의 하부에서 상기 보울을 지지하면서 보울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장치로 구성된다.
즉, 보울(Bowl) 내에 불규칙하게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상기 보울(Bowl)의 하부에 구비된 진동발생장치로부터 진동을 받아서 보울의 내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진동력에 의해 상기 부품은 이 이송경로를 따라 (계속 진동을 받으면서) 나선형 이송경로의 상단부 출구를 향하여 이송되는 동안에 단렬 단층으로 수정되고, 또한, 그 방향성(길이방향으로의 배향)이나 표리가 수정된다.
이와 같이, 진동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을 보울(Bowl)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게 하면서 부품을 정렬하고 공급하는 장치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을 이용하여 부품을 정렬하고 공급하는 장치들은 ①단렬단층정렬부(부품들이 2층으로 쌓이거나 2열로 배열되지 않고 단층 및 단열로 정렬시키는 부분)와, ②부품의 수직/수평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수직/수평 정렬부와, ③부품의 윗면 또는 아랫면을 일정하게 정렬하는 표리(表裏) 정렬부와, ④부품의 가로/세로를 일정하게 정렬하는 가로/세로 정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수직/수평 정렬부는 V자 형상으로 대향한 두 경사벽으로 구성되는데, 이동통로를 통해 들어온 부품은 좌측 경사벽을 따라서 이송되어 가는 동안에, 기립자세로 들어온 부품은, 우측 경사벽 측으로 수평으로 정렬된다.
상기 표리(表裏) 정렬부는, V형으로 대향한 두 경사벽에 의해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된 표리정렬통로와, 이 표리정렬통로의 경사벽을 따라서 이송되어 오는 부품의 표리(表裏)를 검출하는 표리검출수단과, 정(正)위치가 아닌 부품을 배출(또는 반전)시키기 위한 배출수단(또는 반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가로/세로 정렬부 역시 V형으로 대향한 두 경사벽에 의해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된 이동통로와 이 이동통로의 일측 경사벽면에 걸림 홈이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로를 통과하면서 세로로 진입되는 부품이 좌측 경사벽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면서 이동이 제한되는 반면에 우측부분은 계속 이동되므로 결국 세로로 진입한 부품이 가로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표리정렬부에서 부품의 위아래가 바로 놓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광학센서와 같은 별도의 표리검출수단을 더 구비하여야 하며 다리가 있는 미세 전자부품은 정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7059호(2002. 7. 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 없이 간단하게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를 위아래가 바로 놓인 정방향 상태로 정렬하고 공급할 수 있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 장치는 하부에 진동발생장치를 가지며,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들이 적재되는 보울과 상기 보울의 내부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보울이 진동함에 따라 회로소자들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면서 정렬 공급되게 되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내부 바닥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로소자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중앙 정렬부; 회로소자의 상단 단폭 길이에 대응되는 폭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하가 뒤바뀐 역방향의 회로소자의 윗면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수평 정렬부; 상기 보울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되게 형성된 경사면에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어, 역방향 회로소자는 계속 전진 이송되고, 정방향 회로소자는 가이드레일(20)로부터 이탈되어 보울로 회수되도록 하는 경사 정렬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회로소자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부와 상부가 상기 보울의 중심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역방향 회로소자가 뒤집혀서 바로 놓이도록 하는 회전 정렬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검출수단 없이도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들이 위아래가 바로 놓인 정방향 상태로 정렬·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A부분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B부분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C부분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D부분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E부분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F부분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G부분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C부분의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A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B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C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D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E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F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G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1)는 보울(10)과 가이드레일(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보울(10)은 하부에 진동발생장치를 가지며, 회로소자들이 적재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20)은 보울(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상승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1)는 보울(10)이 진동함에 따라 회로소자들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정렬 공급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의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1)는 가이드레일(20)에 중앙 정렬부(A), 수평 정렬부(B), 경사 정렬부(C), 회전 정렬부(D~G)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정렬부(A)는 내부 바닥면(20a)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울(10)의 진동에 의하여 보울(10)의 바닥면(30)에서 중앙 정렬부(A)로 이송된 회로소자(P)는 가이드레일(2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회로소자(P)는 스스로 안정된 상태를 만들려 하므로, 장폭(長幅)방향이 이송방향과 다른 상태로 중앙 정렬부(A)로 이송된 회로소자(P)들도 이송되면서 점차적으로 회전되어 결국에는 장폭(長幅)방향과 이송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정렬부(B)에는 회로소자(P)의 상단 단폭(短幅) 길이에 대응되는 폭의 안착홈(20b)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20b)의 폭과 깊이는 회로소자(P)의 크기, 무게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설명할 경사 정렬부(C)에서 윗면이 안착홈(20b)에 삽입된 역방향 회로소자(P')가 보울(10)의 진동에 의해 안착홈(20b)에서 굴러 이탈되지 않을 크기로 형성하여야 한다. 수평 정렬부(B)에 안착홈(20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하가 뒤바뀐 역방향 회로소자(P')는 보울(10)의 진동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윗면이 해당 안착홈(20b)에 삽입되게 된다
경사 정렬부(C)는 보울(10)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되게 형성된 경사면(20c)에 안착홈(20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0c)의 기울기는 안착홈(20b)의 깊이 및 폭을 고려하되, 윗면이 안착홈(20b)에 삽입된 역방향 회로소자(P')가 보울(10)의 진동에 의해 안착홈(20b)에서 굴러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평 정렬부(B)에서 윗면이 안착홈(20b)에 삽입된 역방향 회로소자(P')는 경사 정렬부(C)에서도 윗면이 안착홈(20b)에 삽입된 상태로 계속 전진 이송되나, 위아래가 바로 놓인 정방향 회로소자(P")는 경사면(20c)에서 미끄러져 가이드레일(20)로부터 이탈, 낙하됨에 따라 보울(10)로 회수되게 된다(도 4 및 9 참조).
회전 정렬부(D~G)는 바닥부(20d)와 바닥부(20d)로부터 회로소자(P)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20e)를 구비하여, 바닥부(20d)와 상부(20e)가 보울(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정방향 회로소자(P")는 경사 정렬부(C)에서 모두 보울(10)로 회수되고, 역방향 회로소자(P)만이 회전 정렬부(D~G)로 진입하게 되므로 역방향 회로소자(P)만이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위아래 방향이 바로 놓인 정방향 상태가 된다(도 5~도 8 참조). 따라서, 회전 정렬부(D~G)를 통과한 회로소자(P)는 위아래가 바로 놓인 정방향 상태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1)는 간단한 구성으로, 회로소자(P)가 제품의 위아래가 바로 놓인 정방향 상태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위아래가 바뀌어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10: 보울
20: 가이드 레일 30: 바닥면
20a: 내부 바닥면 20b: 안착홈
20c: 경사면 20d: 바닥부
20e: 상부 A: 중앙 정렬부
B: 수평 정렬부 C: 경사 정렬부
D~G: 회전 정렬부 P: 회로소자
P': 역방향 회로소자 P": 정방향 회로소자

Claims (3)

  1.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들이 적재되는 보울, 상기 보울의 내부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상승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보울의 하부에 마련된 진동발생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보울이 진동함에 따라 회로소자들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면서 정렬 공급되게 하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내부 바닥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로소자가 중앙에 위치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중앙 정렬부;
    회로소자의 상부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하가 뒤바뀐 역방향 회로소자의 상부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수평 정렬부;
    상기 보울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에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어, 역방향 회로소자는 계속 전진 이송되고, 정방향 회로소자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어 보울로 회수되도록 하는 경사 정렬부; 및
    역방향 회로소자를 회전시켜 역방향 회로소자가 위아래가 바른 정방향 상태가 되게 하는 회전 정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렬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회로소자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부는 상기 보울의 중심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길이가 긴 쪽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KR1020140071084A 2014-06-11 2014-06-11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KR10156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84A KR101567578B1 (ko) 2014-06-11 2014-06-11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84A KR101567578B1 (ko) 2014-06-11 2014-06-11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578B1 true KR101567578B1 (ko) 2015-11-10

Family

ID=5460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84A KR101567578B1 (ko) 2014-06-11 2014-06-11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1226A (zh) * 2022-05-26 2022-06-28 四川晁禾微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三极管送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71B1 (ko) 2006-08-29 2007-08-29 엠에스에이치 주식회사 날클립 자동정렬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71B1 (ko) 2006-08-29 2007-08-29 엠에스에이치 주식회사 날클립 자동정렬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1226A (zh) * 2022-05-26 2022-06-28 四川晁禾微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三极管送料装置
CN114671226B (zh) * 2022-05-26 2022-08-16 四川晁禾微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三极管送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723B1 (ko) 부품 정렬공급장치
CN103328958B (zh) 零件供应装置和零件检查设备
JP5191488B2 (ja) 振動フィーダ、搬送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US20080047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processing on-edge tablets
KR101067641B1 (ko) 부품 선별 시스템
KR101533976B1 (ko) 방향성 부품의 공급을 위한 피더 및 그의 공급 방법
JP2008179466A (ja) 錠剤搬送装置
KR101567578B1 (ko)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JP5918935B2 (ja) 振分けトラフおよび振分け装置
KR101409020B1 (ko) 물품 정렬 공급장치
JP6818347B2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
JP2578286B2 (ja) 原子燃料用ペレットの定方向化装置
US3275120A (en) Alignment means for vibratory feeders
KR100997135B1 (ko) 부품공급기의 이송트랙 구조
KR101479573B1 (ko)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JP3873343B2 (ja) 部品整送装置
JP6398074B2 (ja) 部品供給装置
KR20010051484A (ko) 미소부품 정렬 공급장치
JP2004115273A (ja) チップ自動分離搬送装置
TW201604104A (zh) 零件供給裝置
JP5861914B2 (ja) 振動フィーダ
JP2008037620A (ja) 部品供給装置、及びトラック調整方法
US20190144212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inspecting, and processing pellet-shaped articles
JPH0524632A (ja) 偏平円柱形状の部品用振動部品整送装置
JP2018034965A (ja) 物品整列装置及び物品整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