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573B1 -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 Google Patents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573B1
KR101479573B1 KR1020130119347A KR20130119347A KR101479573B1 KR 101479573 B1 KR101479573 B1 KR 101479573B1 KR 1020130119347 A KR1020130119347 A KR 1020130119347A KR 20130119347 A KR20130119347 A KR 20130119347A KR 101479573 B1 KR101479573 B1 KR 101479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orting
block
feede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환
신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11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rotat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부품을 이동시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회전식 선별블럭을 축심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특정 전자부품을 선별하도록 셋팅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Bowl feeder for parts sorting}
본 발명은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을 이동시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회전식 선별블럭을 축심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특정 전자부품을 선별하도록 셋팅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저항기 및 인덕터와 같은 수동형 소자는 물론 그 외 능동형 소자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부품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면서도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생산된 전자부품을 검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부품 공급부에서 검사 스테이지로 전자부품을 공급하고, 회전하는 검사 스테이지에 놓인 전자부품의 검사면을 각각 카메라로 촬상하여 영상 처리함으로써, 전자부품에 불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전자부품 외관 검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공개실용신안 제2012-2425호 등에서는 도 1과 같이 부품 공급부에 보울 피더(bowl feeder, 10)를 사용하는데 보울 피더(10)에는 바닥면부터 상단부의 토출구까지 나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 라인(즉, 부품 이송로)(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라인(20)에 접하는 보울 피더(10)의 내측 벽면에는 경사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자부품이 경사부(21)에 기대어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일 예로 전자부품의 정상적인 자세는 도 3의 (a)와 같다.
따라서, 보울 피더에 진동을 가하면 가이드 라인(20)을 따라 전자부품이 이동하여 라인 피더(40)로 공급된다. 라인 피더(40)에 공급된 전자부품은 검사 스테이지로 이동하여 외관 검사 등이 수행된다.
이때, 종래에는 상단부에 이동형 선별 브라켓(BK1)을 구비하고, 검사할 전자부품의 크기에 따라 이동형 선별 브라켓(BK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세하게 조절하여 초기 셋팅을 한다.
따라서, 이동형 선별 브라켓(BK1)의 브릿지(R1)와 가이드 라인(20)의 일치하는 폭을 조절하고, 그 조절된 폭 이내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자부품만이 브릿지(R1)를 통과하도록 하였다. 그 외는 슬라이딩부(R2)를 통해 바닥면으로 낙하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이동형 선별 브라켓(BK1)을 전후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인 후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셋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정 자체도 어렵다. 특히, 전자부품이 수 mm 내지 수십 mm에 불과할 정도로 작은 것을 고려하면 더욱 어렵다.
이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의 브릿지를 갖는 교체형 선별 브라켓(BK2)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는 교체형 선별 브라켓(BK2)을 교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여러개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2c와 같이 전자부품의 종류와 동일한 수(예: 3개)의 공기 분사공(H1, H2, H3)을 보울 피더의 측벽에 형성하고, 공기 분사공(H1, H2, H3)에 각각 공급호스를 연결하여 고압 공기를 공급하였다.
공기 분사공(H1, H2, H3)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부품의 상단부에 공기를 가하도록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다. 전자부품의 상단부에 공기를 쏴야 쉽게 바닥으로 낙하되고, 잘못된 자세의 전자부품을 회전시킨다. 반면, 전자부품의 하단부나 중심부에 공기를 쏘면 진공이 발생할 가능성도 커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이송중인 전자부품의 자세를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사에 적합하지 않은 자세의 전자부품은 고압 공기를 쏴서 바닥면으로 떨어뜨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보울 피더의 벽면에 높이가 미세하게 다른 공기 분사공(H1, H2, H3)들을 제작하기 어렵고, 각 공기 분사공(H1, H2, H3)에 공급호스 및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설치하면 제작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전자부품에 따라 활성화시킬 공기 분사공(H1, H2, H3)을 선택하려면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며, 복수개의 공기 분사공(H1, H2, H3)을 형성시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센서나 그 외 주변장치를 설치할 공간에 제약을 받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부품별로 각각 셋팅하는 경우 비숙련자라도 회전식 선별블럭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특정의 전자부품에 대한 셋팅이 완료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는 보울(bowl) 형상으로 이루어진 피더 몸체와; 상기 피더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부의 배출부까지 이어지며, 상기 피더 몸체의 내측 벽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부품 이송로; 및 상기 피더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 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 중 잘못된 자세로 이동중인 전자부품을 상기 부품 이송로로부터 낙하시키는 부품 선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부품 선별 모듈은 측면이 상기 부품 이송로에 놓이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이 복수개인 다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측면에는 상기 부품 이송로를 향해 돌출된 선별 돌출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측면마다 구비된 선별 돌출부들의 돌출 길이는 서로 다르며,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식 선별블럭을 포함하여,
상기 부품 선별 모듈의 회전식 선별블럭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의 각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이 상기 부품 이송로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부품 이송로의 폭이 조절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부품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부품 선별 모듈은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블럭에는 상기 선별 돌출부에 대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 돌출부가 구비된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의 각 측면마다 서로 다른 높이에 공기 분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 선별 모듈의 회전식 선별블럭을 회전시킬 때마다 서로 다른 높이에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 돌출부는 그 중심부에 최고점을 갖는 제1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면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은 각각 하향 경사진 형상의 제2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분사공은 상기 제1면에 구비된 것과 상기 제2면에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더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부품 선별 모듈이 안착 조립되는 조립홈과; 상기 조립홈의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축공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축; 및 일단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 노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의 공기 분사공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을 축심으로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을 회전시킬 때마다 상기 연결구가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의 측면들 중 상기 부품 이송로에 노출된 측면에 구비된 공기 분사공에만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회전식 선별블럭을 축심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전자부품의 이송로 폭과 공기 분사공의 높이가 동시에 조절된다. 따라서 셋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자부품 공급 수율을 높이며, 비숙련자라도 쉽게 작업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울 피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울 피더의 이동형 선별 브라켓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울 피더의 교체형 선별 브라켓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울 피더의 공기 분사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전자부품의 이송시 가능한 다양한 자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의 제1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의 제2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b는 상기 도 5a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의 공기 분사공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를 나타낸 부분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를 나타낸 부분 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는 그 특징부인 부품 선별 모듈(110)을 제외하면 여러 가지 타입의 보울 피더(bowl feeder)에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과 같은 보울 피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역시 보울 피더는 전반적으로 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부터 상단부의 배출부까지 나선 방향을 따라 부품 이송로(101)('가이드 라인'이라고도 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울 피더에 진동을 가하면 바닥면에 놓인 전자부품이 나선 형상의 부품 이송로(101)를 따라 이동하여 상단부의 배출부까지 이동한다. 배출부까지 이동된 전자부품은 라인 피더 등을 통해 검사 스테이지로 공급된다.
이때, 본 발명은 전자부품들이 부품 이송로(101)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관 검사 등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한 것만 선별하여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것은 다시 바닥면으로 낙하시킨다.
일 예로 도 3의 (a)와 같이 수평으로 눕혀지고 상면이 노출된 상태로 공급된 것이 검사에 적합한 것이라면, 그 외 도 3의 (b)와 같이 그 반대면인 하면이 노출된 것이나, 도 3의 (c) 및 (d)와 같이 세워진 것은 검사에 적합한 자세가 아니다. 또한, 2개의 전자부품이 쌓여 함께 이동하는 것도 검사에 적합한 것이 아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 몸체(100)와, 상기 피더 몸체(10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부품 이송로(101) 및 상기 피더 몸체(100)의 상단부에 조립되는 부품 선별 모듈(110)을 포함한다.
부품 선별 모듈(110)은 하부에 구비된 회전식 선별블럭(111) 및 그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손잡이 블럭(1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더 몸체(100)는 보울(bowl)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퍼 등과 같은 부품 공급기를 통해 바닥면에 전자부품을 공급받는다.
부품 이송로(101)는 피더 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부의 배출부까지 이어지며, 피더 몸체(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나선(spiral)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품 이송로(101)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전자부품들이 통과되는 폭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 생략된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미세 크기의 진동을 피더 몸체(100)에 가하면 피더 몸체(100)의 바닥면에 공급된 전자부품들이 부품 이송로(101)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서서히 돌며 점차 상부로 이송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피더 몸체(100)의 내측 벽면 중 부품 이송로(101)에 연접한 부분에 경사부(102)를 형성하여 전자부품이 경사부(102)에 기대어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a)의 경우 상면은 노출되고, 측면은 부품 이송로(101)에 접하며, 후면은 경사부(102)에 접하여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된다.
부품 선별 모듈(110)은 본 발명의 특징부로서 피더 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부품 이송로(101)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 중 잘못된 자세로 이동중인 전자부품을 부품 이송로(101)에서 낙하시킨다. 피더 몸체(100)의 바닥면으로 낙하된 전자부품은 다시 부품 이송로(101)를 따라 상승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부품 선별 모듈(110)은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포함하는데, 회전식 선별블럭(111)은 그 측면(111a, 111b, 111c)이 부품 이송로(101)에 놓이게 설치되고, 측면(111a, 111b, 111c)이 복수개인 다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측면(111a, 111b, 111c)마다 부품 이송로(101)를 향해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선별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부품 이송로(101)를 따라 이송중인 전자부품 중 잘못된 자세로 이송 중인 것은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측면(111a, 111b, 111c)에 구비된 선별 돌출부에 부딪혀 바닥면으로 낙하한다. 선별 돌출부가 부품 이송로(101) 측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측면(111a, 111b, 111c)마다 부품 이송로(101)를 향해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선별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각 측면(111a, 111b, 111c)에 의해 부품 이송로(101)의 폭을 조절하게 되므로, 그 조절된 폭에 맞게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부품만을 통과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여러 종류의 전자부품 중 검사를 수행할 전자부품에 따라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회전시키면, 그 검사대상 전자부품에 맞게 돌출 성형된 어느 하나의 측면(111a, 111b, 111c)이 부품 이송로(101)에 위치하므로 손쉽게 셋팅이 마쳐진다.
도 4a 및 도 4b에는 회전식 선별블럭(111)이 3개의 측면(111a, 111b, 111c)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3가지 전자부품을 선별할 수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따라서, 3개의 측면(111a, 111b, 111c) 중 어느 하나의 측면(111a)이 노출되도록 셋팅하면 특정 전자부품의 선별이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전자부품을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회전(예: 120°)시켜 다른 측면(111c)이 노출되게 셋팅한다. 이와 같이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회전만으로 다른 전자부품을 선별할 수 있게 한다.
다만, 부품 선별 모듈(110)은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상부에 손잡이 블럭(112)이 결합되어 있어서 당해 손잡이 블럭(112)을 잡고 돌려 바로 셋팅을 마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 블럭(112)에는 선별 돌출부에 대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는 '1612', '2016' 및 '2520'등과 같은 전자부품 번호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비숙련자도 손잡이 블럭(112)에 표시된 표시부를 확인하여 부품 선별 모듈(110)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바로 셋팅을 마칠 수 있다. 전자부품이 수 mm 내지 수십 mm에 불과할 정도로 작은 경우에도 회전만으로 셋팅이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정확한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5b와 같이 선별 돌출부가 구비된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각 측면(111a, 111b, 111c)에는 공기 분사공(H1, H2, H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6을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측면(111a, 111b, 111c)에 형성된 공기 분사공(H1, H2, H3)들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부품 선별 모듈(110)의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회전시킬 때마다 서로 다른 높이의 공기 분사공(H1, H2, H3)을 통해 부품 이송로(101) 측으로 고압 공기를 분사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부품마다 서로 다른 높이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각 전자부품마다 공기를 분사하여 낙하시킬 때 최적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컨대, 전자부품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공기를 분사하면 전자부품이 쉽게 낙하한다. 또한, 잘못된 자세의 경우에는 90°회전하며 낙하하므로 올바른 자세로 다시 공급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다만, 모든 전자부품에 대해 최하부에 공기를 분사하면 하나의 공기 분사공만 있어도 되겠지만 이상과 같이 전자부품별로 최적의 공기 분사 높이가 따로 있고 공기 분사공에 진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다시 도 4a 내지 도 5b로 돌아가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각 측면(111a, 111b, 111c)에 구비된 선별 돌출부는 각각 그 중심부에 최고점을 갖는 제1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면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은 각각 하향 경사진 형상의 제2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정상적인 자세의 전자부품까지 급작스런 충돌로 인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각 측면(111a, 111b, 111c)마다 제1면 및 제2면의 돌출 길이가 다른 것은 자명하다.
또한, 공기 분사공(H1, H2, H3)은 각각 제1면에 구비된 것과 제2면에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공기 분사공(H1, H2, H3)은 제1면에 1개, 제2면 중 전자부품이 이송되어 들어오는 방향에 1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공기 분사공(H1, H2, H3)을 구비하면 2개의 전자부품이 정전기 등에 의해 적층되어 이송될 경우에도 2번에 걸쳐 공기를 분사하므로 확실하게 피더 몸체(100)의 바닥면으로 낙하시킨다.
다만, 공기의 분사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전자부품의 자세를 검출함으로써 정상적인 자세인 경우에는 공기를 분사하지 않는다. 반면, 비정상적인 자세인 경우에는 공기를 분사한다. 일 예로 도 3의 (b), (c), (d)가 비정상적인 자세인 경우 이와 같은 자세로 전자부품이 이송중인 것으로 검출되면 공기를 분사한다.
센서는 전자부품이 부품 선별 모듈(110)에 도달하기 이전 지점의 피더 몸체(100)에 설치되거나, 부품 선별 모듈(110)내에 설치되는 등 센서에 의한 검출 후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는 어느 곳에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품 선별 모듈(110)에 서로 다른 높이의 공기 분사공(H1, H2, H3)이 모두 설치되어 있어서 도 2c와 같은 종래기술처럼 여러 개의 공기 분사공(H1, H2, H3)을 일정 간격마다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센서의 설치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각 측면(111a, 111b, 111c)마다 각각 공기 분사공(H1, H2, H3)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 셋팅시마다 어느 한 측면(111a, 111b, 111c)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분사공(H1, H2, H3)을 통해서만 공기를 분사한다.
이를 위해 피더 몸체(100)에는 부품 선별 모듈(110)이 안착 조립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있고, 조립홈의 바닥면에는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각 측면(111a, 111b, 111c)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공기 분사공(H1, H2, H3)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가 구비된다.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여러 측면(111a, 111b, 111c) 중 어느 하나의 측면(111a, 111b, 111c)에 구비된 공기 분사공(H1, H2, H3)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은 매우 다양하므로 본 발명도 특별히 어느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7과 같이 피더 몸체(100)는 축공(103), 회전축(104), 공급 노즐(105) 및 연결구(106)를 포함하고, 회전식 선별블럭(111)에는 각 공기 분사공(H1, H2, H3)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된 유입챔버(114)를 포함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축공(103)은 조립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축공(103)에 회전축(104)이 끼워진다.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축심 방향에도 축공(113)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축(104)에 회전식 선별블럭(111)이 끼워진다.
또한, 공급 노즐(105)의 단부에는 연결구(106)가 조립되는데, 연결구(106)는 축공(103)보다 전방부에 위치한다. 연결구(106)는 일 예로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길이가 긴 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조립홈에 안착시키면 연결구(106)가 회전식 선별블럭(111) 중 어느 하나의 측면(111a/111b/111c)에 구비된 유입챔버(114)와 연통되어 공급 노즐(105), 연결구(106), 유입챔버(114) 및 공기 분사공(H1/ H2/H3)을 통해 공기가 분사된다.
물론,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회전시키면 기존의 연결은 해제되고 다른 측면(111a/111b/111c)에 구비된 유입챔버(114)와 연결구(106)가 연결되므로 그 측면(111a/ 111b/111c)에 있는 공기 분사공(H1/H2/H3)을 통해서만 공기가 분사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피더 몸체
101: 부품 이송로
102: 경사부
103, 113: 축공
104: 회전축
105: 공급 노즐
106: 연결구
110: 부품 선별 모듈
111: 회전식 선별블럭
111a, 111b, 111c: 측면
112: 손잡이 블럭
114: 유입챔버
H1, H2, H3: 공기 분사공

Claims (6)

  1. 보울(bowl) 형상으로 이루어진 피더 몸체(100)와;
    상기 피더 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부의 배출부까지 이어지며, 상기 피더 몸체(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 부품 이송로(101); 및
    상기 피더 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 이송로(101)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 중 잘못된 자세로 이동중인 전자부품을 상기 부품 이송로(101)로부터 낙하시키는 부품 선별 모듈(110);을 포함하되,
    상기 부품 선별 모듈(110)은 측면(111a, 111b, 111c)이 상기 부품 이송로(101)에 놓이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111a, 111b, 111c)이 복수개인 다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측면(111a, 111b, 111c)에는 상기 부품 이송로(101)를 향해 돌출된 선별 돌출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측면(111a, 111b, 111c)마다 구비된 선별 돌출부들의 돌출 길이는 서로 다르며,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포함하여,
    상기 부품 선별 모듈(110)의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각 측면(111a, 111b, 111c)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이 상기 부품 이송로(101)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부품 이송로(101)의 폭이 조절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부품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선별 모듈(110)은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 블럭(112)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블럭(112)에는 상기 선별 돌출부에 대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돌출부가 구비된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각 측면(111a, 111b, 111c)마다 서로 다른 높이에 공기 분사공(H1, H2, H3)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 선별 모듈(110)의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회전시킬 때마다 서로 다른 높이에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돌출부는 그 중심부에 최고점을 갖는 제1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면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은 각각 하향 경사진 형상의 제2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공(H1, H2, H3)은 상기 제1면에 구비된 것과 상기 제2면에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부품 선별 모듈(110)이 안착 조립되는 조립홈과;
    상기 조립홈의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축공(103)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111)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축(104); 및
    일단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 노즐(10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공기 분사공(H1, H2, H3)에 연결되는 연결구(106);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104)을 축심으로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111)을 회전시킬 때마다 상기 연결구(106)가 상기 회전식 선별블럭(111)의 측면(111a, 111b, 111c)들 중 상기 부품 이송로(101)에 노출된 측면에 구비된 공기 분사공(H1, H2, H3)에만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KR1020130119347A 2013-10-07 2013-10-07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KR101479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347A KR101479573B1 (ko) 2013-10-07 2013-10-07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347A KR101479573B1 (ko) 2013-10-07 2013-10-07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573B1 true KR101479573B1 (ko) 2015-01-09

Family

ID=5258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347A KR101479573B1 (ko) 2013-10-07 2013-10-07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35A (ko) 2018-12-14 2020-06-24 이창환 전자칩 이송용 다단 슈트
KR20200077763A (ko) 2018-12-21 2020-07-01 이창환 고스펙 보울 피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226A (ja) * 1997-05-13 1998-11-24 Shinko Electric Co Ltd 排出ゲート
JP2011020771A (ja) * 2009-07-14 2011-02-03 Seiko Corp 物品整列装置
JP2011102185A (ja) * 2009-11-12 2011-05-26 Shigeru Co Ltd 振動式部品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226A (ja) * 1997-05-13 1998-11-24 Shinko Electric Co Ltd 排出ゲート
JP2011020771A (ja) * 2009-07-14 2011-02-03 Seiko Corp 物品整列装置
JP2011102185A (ja) * 2009-11-12 2011-05-26 Shigeru Co Ltd 振動式部品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35A (ko) 2018-12-14 2020-06-24 이창환 전자칩 이송용 다단 슈트
KR20200077763A (ko) 2018-12-21 2020-07-01 이창환 고스펙 보울 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058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TWI460101B (zh) Workpiece insertion mechanism and workpiece insertion method
US5953812A (en) Misinsert sensing in pick and place tooling
KR101738404B1 (ko) 정제 검사 장치
JP2007045597A (ja) チップ部品搬送装置
KR101479573B1 (ko) 부품 선별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JP5765864B2 (ja) 電子部品搬送装置及びテーピングユニット
JP2017024756A (ja) テーピング装置
JP2005219002A (ja) 素子分別収納装置
CN106211737B (zh) 电子零件搬运装置
KR101551784B1 (ko) 워크 반송 장치
TW200823135A (en) Workpiece ejecting device
KR101541838B1 (ko) 부품 자세 보정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KR101360111B1 (ko) 부품분류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부품 특성검사분류장치
CN107926156A (zh) 元件安装机
JP2007135982A (ja) 錠剤搬送装置
JP2013046909A (ja) 物品分類装置
JP6182996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ローター
JP2018073965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システムならびに部品供給方法
JP6616981B2 (ja) ボール検査リペア装置
JPH05235596A (ja) 電子部品装着機
TWI600599B (zh) Electronic parts conveying apparatus and electronic parts inspection apparatus
KR101544178B1 (ko) 진공제거 부품 선별장치
JP2003198199A (ja) 吸着ノズル先端位置検出方法、吸着ノズル先端位置検出用チップおよび吸着ノズル先端位置検出用補助器具セット
KR101470153B1 (ko) 배선 부품의 촬상을 위한 이송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오배선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