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174A -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174A
KR20200108174A KR1020190026385A KR20190026385A KR20200108174A KR 20200108174 A KR20200108174 A KR 20200108174A KR 1020190026385 A KR1020190026385 A KR 1020190026385A KR 20190026385 A KR20190026385 A KR 20190026385A KR 20200108174 A KR20200108174 A KR 2020010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protector
ground
terminal
coupl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범우
김성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8174A/ko
Publication of KR2020010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탄성로드(240) 및 스토퍼돌기(210)를 구비한 단자고정부(200)를 이용해서 접지단자(10)를 단순히 끼워서 임시 조립할 수 있고, 프로텍터에 임시 조립된 접지단자(10)가 볼트(30)를 매개로 상대부품(20)과 조립시에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로부터 접지단자(10)가 이탈되어서 분리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PROTECTOR FOR MOUNTING EARTH TERMINAL}
본 발명은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단자가 차체에 조립되기 전에는 접지단자와 직접 접촉해서 접지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접지단자가 차체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와 분리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많은 종류의 전장품들이 있고, 전장품들은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를 매개로 전원을 공급하는 부재(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다수개의 배선(와이어)을 하나의 다발형태로 묶은 것을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라고 하고, 통상적으로 와이어링 하니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2, 와이어링 하니스 보호용 프로텍터)를 이용해서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프로텍터(2)를 이용해서 와이어링 하니스(1)를 보호하지 않으면 주행 중 진동에 의한 와이어링 하니스(1)의 유동으로 와이어링 하니스(1)가 주변 부품과 간섭을 일으켜서 손상 및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장품들의 안전한 작동 및 감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전기회로 또는 전기 장비의 한 부분을 도체를 이용해서 땅(대지)에 의도적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있고, 이를 위해 와이어링 하니스(1)는 접지단자(3)를 구비하고 있으며, 접지단자(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5)를 통해서 접지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면부호 6은 접지단자(3)를 차체(5)에 결합시키는 볼트이다.
그런데, 종래의 프로텍터(2)는 접지단자(3)를 고정하기 위해 접지단자(3)를 커버링하는 커버(4)를 구비한 구성으로, 커버(4)라는 별도의 조립옵션이 발생함에 따라 조립공수 증가로 인한 조립 작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프로텍터(2)는 접지단자(3)가 차체(5)에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접지단자(3)와의 직접 접촉이 계속 유지되는 구조로, 이러한 구조는 주행 중 발생하는 차체(5)의 진동(화살표 M1)이 흡수되거나 경감됨에 없이 프로텍터(2)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 결과 프로텍터(2)의 강한 공진(화살표 M2)으로 인해 접지단자(3)의 손상 및 파손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도면부호 P1은 접지단자(3)에서 프로텍터(2)와 차체(5)사이의 부위로 프로텍터(2)의 강한 공진으로 인해 도면부호 P1부위에서 접지단자(3)의 손상 및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73185호
본 발명은, 접지단자가 차체에 조립되기 전에는 접지단자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서 접지단자를 임시 고정시키고, 접지단자가 차체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와 분리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로서, 접지단자의 고정을 위한 커버가 필요없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작업공수 감축 및 비용절감을 도모하고, 특히 주행 중 발생하는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접지단자의 파손 및 손상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싸서 보호하는 바디부; 및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에 구비된 접지단자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접지단자가 상대부품의 접지부에 조립되기 전에는 접지단자와 직접 접촉해서 접지단자를 고정시키고, 접지단자가 접지부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와 분리되는 단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부품의 브라켓과 암수결합으로 끼워져서 결합됨에 따라 바디부를 상대부품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고정부는 접지단자를 관통하도록 끼워져서 접지단자의 유동을 억제하는 스토퍼돌기; 상기 스토퍼돌기에 끼워진 접지단자가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접지단자가 삽입될 때에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접지단자가 안쪽공간으로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접지단자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탄성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로드는 S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부에 연결되면서 스토퍼돌기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대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사이의 간격이 접지단자의 폭방향 간격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단자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와이어결합부, 및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돌기는 2개의 와이어결합부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관통해서 접지단자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단자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와이어결합부, 및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단자의 폭방향 간격은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수평방향으로 포함하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단자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와이어결합부, 및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관통한 볼트가 상대부품의 접지부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가 단자고정부로부터 이탈되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는, 한 쌍의 탄성로드 및 스토퍼돌기를 구비한 단자고정부를 이용해서 접지단자를 단순히 끼워서 임시 조립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접지단자의 고정을 위한 커버의 구성이 필요없게 됨에 따라 작업공수 감축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접지단자가 상대부품(차체)과 조립시에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로부터 접지단자가 이탈되어서 분리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주행 중 상대부품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이때의 진동은 와이어에 의해 많은 양이 흡수되어서 프로텍터의 바디부로 전달되는 양이 크게 줄어들게 되고, 이 결과 프로텍터의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접지단자의 손상 및 파손을 대폭 줄이거나 또는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및 공구를 이용해서 접지단자가 상대부품에 조립되고, 특히 접지단자와 연결된 와이어가 단자고정부속에 가려지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조립작업을 수월하게 진행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조립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와이어의 외부노출을 차단할 수 있게 따라 외관미 향상과 파손 및 단선의 위험이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텍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프로텍터에 고정된 접지단자가 차체에 접지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에 접지단자가 임시로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접지단자가 임시 조립된 프로텍터가 상대부품에 결합되는 과정 및 접지단자가 볼트를 매개로 상대부품의 접지부에 조립시 프로텍터로부터 이탈되어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를 이용해서 접지단자가 상대부품의 접지부에 조립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종래의 구조와 본 발명의 구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니스(1)를 감싸서 보호하는 바디부(100);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1)에 구비된 접지단자(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접지단자(10)가 상대부품(20)의 접지부(21)에 조립되기 전에는 접지단자(10)와 직접 접촉해서 접지단자(10)를 고정시키고, 접지단자(10)가 접지부(21)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10)와 분리되는 단자고정부(200); 및 상기 상대부품(20)의 브라켓(22)과 암수결합으로 끼워져서 결합됨에 따라 바디부(100)를 상대부품(20)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커넥터부(300);를 포함한다.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와 커넥터부(300)는 바디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는 접지단자(10)가 상대부품(20, 차체)의 접지부(21)에 조립되기 전까지 접지단자(10)를 클램핑해서 임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단자고정부(200)는 접지단자(10)를 관통하도록 끼워져서 접지단자(10)의 유동을 억제하는 스토퍼돌기(210), 상기 스토퍼돌기(210)에 끼워진 접지단자(10)가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안착부(220), 및 상기 접지단자(10)가 삽입될 때에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접지단자(10)가 안쪽공간(230)으로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접지단자(10)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탄성로드(240)를 포함한다.
스토퍼돌기(210)에 끼워진 접지단자(10)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된다.
접지단자(10)가 한 쌍의 탄성로드(240)사이에 위치해서 안쪽공간(230)을 향해 끼워지는 동작을 할 때에 한 쌍의 탄성로드(240)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접지단자(10)가 탄성로드(240)의 안쪽공간(230)으로 삽입되면 외측으로 벌어져있던 한 쌍의 탄성로드(240)는 탄성력에 의해 형상이 복귀되면서 접지단자(10)가 안쪽공간(230)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밀어주게 되고, 이의 과정에서 스토퍼돌기(210)는 접지단자(10)를 관통해서 끼워지고, 또한 한 쌍의 탄성로드(240)의 지지력에 의해 접지단자(10)는 스토퍼돌기(21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안착부(220)에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어서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로드(240)는 탄성력에 의한 접지단자(10)의 지지력이 강해서 이동 중에 접지단자(1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고 항상 접지단자(10)의 위치를 제자리로 위치시켜 줄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한다.
안착부(220)에 스토퍼돌기(210) 및 한 쌍의 탄성로드(240)가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 탄성로드(240)는 스토퍼돌기(21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S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로드(240)가 S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로드(240)에는 서로 마주대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41)가 형성되고, 한 쌍의 돌출부(241)사이의 간격(L1)은 접지단자(10)의 폭방향 간격(L2)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는 바, 이로 인해 접지단자(10)가 돌출부(241)사이를 통과할 때에 한 쌍의 탄성로드(24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
단자고정부(200)는 한 쌍의 탄성로드(240)를 측방에서 커버링하는 하우징(250)을 더 포함하는 바, 하우징(250)의 상측은 후술하는 볼트(30) 및 공구(40)의 삽입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우징(250)의 하측은 상대부품(120)의 접지부(21)와의 연결 및 볼트의 체결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접지단자(10)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와이어결합부(11), 및 2개의 와이어결합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2개의 와이어결합부(11)사이에는 소정크기의 틈새(13)가 형성되고, 상기 틈새(13)를 단자고정부(200)의 스토퍼돌기(210)가 관통함에 따라 스토퍼돌기(210)에 의해 접지단자(10)는 유동이 억제되는 구조가 된다.
2개의 와이어결합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14)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4)을 통해 후술하는 볼트(30)가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접지단자(10)의 폭방향 간격(L2)은 2개의 와이어결합부(11)를 수평방향으로 포함하는 간격으로 정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링 하니스(1)에 구비된 접지단자(10)를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에 임시로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의 (A)는 접지단자(10)가 한 쌍의 탄성로드(240)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된 상태이고, (B)는 접지단자(10)를 이동시켜서 탄성로드(240)의 돌출부(241)와 접촉시킨 상태이며, (C)는 접지단자(10)를 탄성로드(240)의 안쪽공간(230)을 향해 밀어서 이동시킴에 따라 접지단자(10)가 탄성로드(240)의 돌출부(241)를 통과하는 상태이다.
(C)와 같이 접지단자(10)가 탄성로드(240)의 돌출부(241)를 통과할 때에는 한 쌍의 탄성로드(240)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D)는 접지단자(10)가 탄성로드(240)의 돌출부(241)를 통과해서 안쪽공간(230)으로 삽입되는 과정이고, 이때 외측으로 벌어져있던 한 쌍의 탄성로드(240)는 탄성복원에 의해 형상이 복귀되면서 접지단자(10)가 안쪽공간(230)으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밀어주게 되고, 탄성로드(240)의 복귀동작에 의해 스토퍼돌기(210)는 접지단자(10)에서 2개의 와이어결합부(11)사이의 틈새(13)로 삽입된다.
(E)는 접지단자(10)가 한 쌍의 탄성로드(240)의 안쪽공간(23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고, 이때 접지단자(10)는 탄성로드(240)의 강한 탄성 지지력에 의해 안착부(220)에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면서 위치가 고정되고, 또한 접지단자(10)는 틈새(13)를 관통한 스토퍼돌기(210)에 의해 유동이 억제된다.
다음에는, 단자고정부(200)에 접지단자(10)가 임시로 조립된 프로텍터가 상대부품(20, 차체)에 조립되는 과정 및 접지단자(10)가 볼트(30)를 매개로 상대부품(20)의 접지부(21)에 조립시 접지단자(10)가 프로텍터로부터 이탈되어서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에 접지단자(10)를 임시로 조립하고 난 다음에는, 도 5의 (A)와 같이 프로텍터의 바디부(100)를 상대부품(20)의 조립위치로 위치시킨 후, 프로텍터의 커넥터부(300)와 상대부품(20)의 브라켓(22)을 원터치방식으로 암수 결합하여 (B)와 같이 조립하고, 이와 함께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에 조립된 접지단자(10)의 하측으로 상대부품(20)의 접지부(21)가 위치되도록 한다.
단자고정부(200)에 조립된 접지단자(10)의 하측으로 상대부품(20)의 접지부(21)를 위치시킨 후에는, (C) 및 (D)와 같이 접지단자(10)의 연결부(12)의 구멍(14) 및 상대부품(20)의 접지부(21)로 볼트(30)를 삽입하고, 공구(40)를 이용해서 볼트(30)를 체결하게 된다.
공구(40)를 이용한 볼트(30)의 체결과정 중에 볼트(30)와 함께 접지단자(10)가 상대부품(20)쪽으로 이동하고, 이의 동작에 의해 접지단자(10)는 (E)와 같이 한 쌍의 탄성로드(240)로부터 이탈되고, 이 결과 접지단자(10)는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볼트(30)에 의해 상대부품(20)과 결합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도 6에는 접지단자(10)가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볼트(30)에 의해 상대부품(20, 차체)의 접지부(21)와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지단자(10)가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대부품(20)과 조립되면, 주행 중 상대부품(20)에 진동(화살표 M11)이 발생하더라도 이때의 진동은 와이어(1a)에 의해 많은 양이 흡수되어서 프로텍터의 바디부(100)로 전달되는 양이 크게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프로텍터의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접지단자(10)의 손상 및 파손을 대폭 줄이거나 또는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주행 중 진동이 발생하는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프로텍터는 접지단자를 고정하기 위해 접지단자를 커버링하는 커버를 구비한 구성으로, 커버라는 별도의 조립옵션이 발생함에 따라 조립공수 증가로 인한 조립 작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한 쌍의 탄성로드(240) 및 스토퍼돌기(210)를 이용해서 접지단자(10)를 프로텍터의 단자고정부(200)에 단순히 끼워서 임시 조립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은 커버의 구성이 필요없게 됨에 따라 작업공수 감축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7의 (A)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접지단자(3)를 조립할 때에 작업자가 접지단자(3)를 손으로 잡은 후에 조립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7의 (B)와 같이 공구(40)를 이용해서 볼트(30)를 체결하는 구성으로,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조립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결과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7의 (A)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접지단자(3)를 조립할 때에 작업자가 접지단자(3)를 손으로 잡은 후에 조립을 하였고, 이로 인해 와이어(1a)의 외부노출이 과도해서 파손 및 단선의 위험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7의 (C)와 같이 접지단자(10)와 연결된 와이어(1a)가 단자고정부(200)속에 가려지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와이어(1a)의 외부노출을 차단할 수 있게 따라 외관미 향상과 파손 및 단선의 위험이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와이어링 하니스 1a - 와이어
10 - 접지단자 11 - 와아이결합부
12 - 연결부 13 - 틈새
14 - 구멍 20 - 상대부품(차체)
21 - 접지부 22 - 브라켓
30 - 볼트 40 - 공구
100 - 바디부 200 - 단자고정부
210 - 스토퍼돌기 220 - 안착부
230 - 안쪽공간 240 - 탄성로드
241 - 돌출부 250 - 하우징
300 - 커넥터부

Claims (7)

  1.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싸서 보호하는 바디부; 및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에 구비된 접지단자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접지단자가 상대부품의 접지부에 조립되기 전에는 접지단자와 직접 접촉해서 접지단자를 고정시키고, 접지단자가 접지부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와 분리되는 단자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부품의 브라켓과 암수결합으로 끼워져서 결합됨에 따라 바디부를 상대부품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부는 접지단자를 관통하도록 끼워져서 접지단자의 유동을 억제하는 스토퍼돌기;
    상기 스토퍼돌기에 끼워진 접지단자가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접지단자가 삽입될 때에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접지단자가 안쪽공간으로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접지단자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탄성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로드는 S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부에 연결되면서 스토퍼돌기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대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사이의 간격이 접지단자의 폭방향 간격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와이어결합부, 및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돌기는 2개의 와이어결합부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관통해서 접지단자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와이어결합부, 및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단자의 폭방향 간격은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수평방향으로 포함하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와이어결합부, 및 2개의 와이어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관통한 볼트가 상대부품의 접지부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접지단자가 단자고정부로부터 이탈되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KR1020190026385A 2019-03-07 2019-03-07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KR20200108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85A KR20200108174A (ko) 2019-03-07 2019-03-07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85A KR20200108174A (ko) 2019-03-07 2019-03-07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174A true KR20200108174A (ko) 2020-09-17

Family

ID=7270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385A KR20200108174A (ko) 2019-03-07 2019-03-07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81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39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프로텍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185A (ko) 2016-12-22 2018-07-02 (주)티에이치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185A (ko) 2016-12-22 2018-07-02 (주)티에이치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39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프로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39368A (zh) 高压连接器及其组装方法
JP3909680B2 (ja) コネクタ構造
JP636443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599944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2015061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200071948A (ko) 통합형 다극 커넥터
WO201506011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2234744A (ja) 機器用コネクタ
JP2015198033A (ja) コネクタ
KR101904350B1 (ko) 진공차단기 조립체
KR20200108174A (ko)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JP2019129578A (ja) 電気接続箱と保護部材の連結構造
CN114619887A (zh) 电动车辆
JP6354726B2 (ja) 動力線を基盤部材に固定する固定アセンブリ、および、固定方法
JP4306602B2 (ja) 電気接続箱
JP4941740B2 (ja) コネクタ
KR20200053739A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JP2012089332A (ja) コネクタ
KR200482980Y1 (ko) 파워 커넥터와 버스바의 전원연결 보호 기능이 구비된 브러쉬리스 모터
KR200448814Y1 (ko)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20150042019A (ko) 고전압 커넥터
KR20070035192A (ko) 실드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JPS63145838A (ja) 電気機器据付用防振ゴム
KR102644881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