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948A - 통합형 다극 커넥터 - Google Patents
통합형 다극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1948A KR20200071948A KR1020180159583A KR20180159583A KR20200071948A KR 20200071948 A KR20200071948 A KR 20200071948A KR 1020180159583 A KR1020180159583 A KR 1020180159583A KR 20180159583 A KR20180159583 A KR 20180159583A KR 20200071948 A KR20200071948 A KR 20200071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male
- shield
- wire
- housing
- ma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다극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전류용량과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를 통합한 다극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합형 다극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전류용량과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복수의 전선용 커넥터를 통합한 다극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류용량과 차폐방식 등에 따라 그 사양이 구분된다. 통상 하나의 커넥터는 하나의 전선에 동등 수준의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전기모터가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상기 전기모터뿐만 아니라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기부하에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 전기배전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전기배전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기모터와 전기부하에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상기 전기모터는 상기 전기부하 대비 매우 높은 고전류를 소모하기 때문에, 상기 전기모터에 전류를 인가하는 커넥터와 상기 전기부하에 전류를 인가하는 커넥터는 다른 사양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는 그 전류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차폐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커넥터의 전류용량은 임계 전류값을 기준으로 소전류와 대전류로 구분될 수 있다. 비용 및 중량 절감 등의 이유로 인해, 소전류 회로용 커넥터의 경우 각각의 단자와 접속되는 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차폐구조가 적용되고 있고, 대전류 회로용 커넥터의 경우 복수의 단자에 대해 일괄적으로 차폐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최근 차량의 전류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의 사이즈도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내 전기배전장치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면적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동일 사양의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복수의 소전류 회로용 커넥터를 통합시킨 다극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소전류 회로용 커넥터와 일괄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대전류 회로용 커넥터는, 통합에 따른 사이즈 증대 및 방수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통합이 어려운 상황이다.
동일 사양의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통합 시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지만, 다른 사양의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통합 시 사이즈 축소가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차폐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다른 사양의 차폐구조가 적용된 커넥터의 통합을 위해 새로운 차폐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차폐구조에 대한 방수 문제 등이 해결되지 못하면 커넥터의 부식 및 파손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전류용량과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를 통합한 다극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전기장 차폐를 위한 쉴드컨택이 구비된 제1 전선유닛과, 전기장 차폐를 위한 쉴드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전선유닛과 다른 전류용량을 갖는 제2 전선유닛이 조립된 피메일 하우징;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제1 전선유닛과 전기 접속되는 제1 메일 단자 및 상기 제2 전선유닛과 전기 접속되는 제2 메일 단자가 조립된 메일 하우징; 상기 메일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일 단자와 제2 메일 단자의 전기장을 차폐하는, 메일 쉴드쉘;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이 결합될 때, 상기 메일 쉴드쉘과 연결됨에 의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 사이에 전기장 차폐를 가능하게 하는, 피메일 쉴드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메일 쉴드쉘은, 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와 연결되는 피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에, 상기 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피메일 쉴드쉘의 전단부가 상기 메일 쉴드쉘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메일 쉴드쉘은, 그 후단부에, 상기 쉴드컨택과 접촉하여 연결되는 제2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는, 제1 전선유닛이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할 때, 상기 쉴드컨택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피메일 쉴드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선유닛은, 피메일 하우징의 제1 회로 삽입부에 조립될 때,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메일 쉴드쉘은, 그 후단부에, 제2 전선유닛의 쉴드커버와 접촉하여 연결되는 제3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는, 제2 전선유닛이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할 때, 상기 쉴드커버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피메일 쉴드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선유닛은, 피메일 하우징의 제2 회로 삽입부에 조립될 때,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선유닛은 그 전단부가 상기 피메일 쉴드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소전류 전선과 상기 소전류 전선의 중앙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쉴드컨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전류 전선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심선부와 상기 심선부의 전기장 차폐를 위한 전선 차폐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선유닛은, 상기 심선부와 전선 차폐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부의 전기 절연을 수행하는 심선부 절연체와, 상기 전선 차폐망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 차폐망의 전기 절연을 수행하는 차폐망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차폐망의 전단부의 외측 둘레에 상기 쉴드컨택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피메일 쉴드쉘과 상기 전선 차폐망이 상기 쉴드컨택의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선유닛은, 그 전단부가 상기 피메일 쉴드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대전류 전선; 상기 대전류 전선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쉴드커버; 상기 쉴드커버의 후단부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대전류 전선의 후단부를 감싸는 차폐 편조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상기 메일 하우징이 전기배전장치의 전기장 차폐를 위한 차폐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메일 쉴드쉘의 후단부가 상기 차폐 하우징에 접촉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차폐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 사이에 전기장 차폐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선유닛의 외측 둘레에 소전류 와이어 씰이 배치되어, 피메일 하우징과 제1 전선유닛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상기 제2 전선유닛의 외측 둘레에 커버씰이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상기 대전류 전선의 외측 둘레에 대전류 와이어 씰이 배치되어, 상기 대전류 전선와 상기 대전류 전선의 외측에 배치된 쉴드커버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내측에 피메일 커넥터 씰이 설치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상기 차폐 하우징과 접촉되는 상기 메일 하우징의 후단부에 메일 커넥터 씰이 배치되어,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차폐 하우징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는 피메일 인터락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메일 하우징에는 메일 인터락 단자가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인터락 단자와 메일 인터락 단자 간에 전기 접속이 완료될 때, 제1 전선유닛과 제1 메일 단자 간에 전류 통전 및 제2 전선유닛과 제2 메일 단자 간에 전류 통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피메일 쉴드쉘과 메일 쉴드쉘이 접촉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다극 커넥터는, 서로 다른 전류용량과 차폐구조를 갖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가 통합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전류용량을 갖는 복수의 전선유닛의 전기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의 종수 축소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선유닛에 전기를 배전하는 전기배전장치의 사이즈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전류 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쉴드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1 전선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절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에 제1 전선유닛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쉴드커버 간에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재의 작동 및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간에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전기배전장치에 결합된 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전기배전장치에 결합된 통합형 다극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인터락 단자의 접속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인터락 단자의 접속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다극 커넥터에 발생할 수 있는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전류 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쉴드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1 전선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절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에 제1 전선유닛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쉴드커버 간에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재의 작동 및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간에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전기배전장치에 결합된 메일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전기배전장치에 결합된 통합형 다극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인터락 단자의 접속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인터락 단자의 접속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다극 커넥터에 발생할 수 있는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다극 커넥터(1)는 피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0)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메일 커넥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10)는,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과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으로 이루어진 피메일 하우징(11), 및 상기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과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 사이에 배치되는 피메일 쉴드쉘(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은, 제1 전선유닛(12)과 제2 전선유닛(13)의 단자(122,132)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 전선유닛(12)의 단자(122)를 보호하기 위한 제1 피메일 단자 보호부(112a)와 제2 전선유닛(13)의 단자(132)를 보호하기 위한 제2 피메일 단자 보호부(112b)를 갖는다.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은, 메일 커넥터(20)의 쉴드쉘(즉, 메일 쉴드쉘)(22)과 접촉하여,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간에 차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24 참조).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은,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의 결합 시, 메일 쉴드쉘(22)과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은 메일 쉴드쉘(22)과 연결됨에 의해 피메일 하우징(11)과 메일 하우징(21) 사이에 전기장 차폐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은,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간에 결합을 위한 레버궤적홀(17b)과 메일 커넥터(20)의 삽입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부재(17)가 구비될 수 있다(도 20 참조). 상기 레버궤적홀(17b)은, 메일 커넥터(20)가 피메일 커넥터(10)의 내측에 삽입될 때, 메일 커넥터(20)의 레버궤적돌기(17a)가 레버궤적홀(17b)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17)는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의 외측에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일 커넥터(20)의 레버궤적돌기(17a)가 레버궤적홀(17b)에 위치할 때, 상기 레버부재(17)가 회전되어 피메일 하우징(11)의 내측에 진입하는 메일 커넥터(20)의 삽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은 피메일 쉴드쉘(14)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은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때 피메일 하우징(11)에 조립된 제1 전선유닛(12)의 차폐부재(즉, 쉴드컨택)와 제2 전선유닛(13)의 차폐부재(즉, 쉴드커버)가, 피메일 쉴드쉘(14)에 접촉됨에 따라, 제1 전선유닛(12)에서 피메일 하우징(11)까지의 차폐가 가능하게 되고, 제2 전선유닛(13)에서 피메일 하우징(11)까지의 차폐가 가능하게 된다 (도 24 참조).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보면, 피메일 인터락 단자(15)는,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의 결합 시, 피메일 커넥터(10)의 단자(즉, 피메일 단자)와 메일 커넥터(20)의 단자(즉, 메일 단자) 간에 접촉 및 접속이 완료된 이후에, 메일 인터락 단자(25)와 접촉 및 접속되어 상기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전류 통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피메일 인터락 단자(15)는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의 내측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에는 피메일 인터락 단자(15)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피메일 인터락 단자 조립부(112g)가 구비될 수 있다.
피메일 커넥터 씰(16)은,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의 내측에 조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 씰(16)은, 피메일 하우징(11)과 메일 하우징(21)의 결합 시, 즉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의 결합 시,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과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 사이에 배치됨에 의해,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27 참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커넥터(20)는, 메일 이너 하우징(212)과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으로 이루어진 메일 하우징(21), 및 메일 이너 하우징(212)과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 사이에 배치되는 메일 쉴드쉘(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일 이너 하우징(212)은 전선유닛(12,13)에 구비되는 단자(122,132,15,23,24,25)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는 제1 전선유닛(12)과 전기 접속되는 제1 메일 단자(23)와 제2 전선유닛(13)과 전기 접속되는 제2 메일 단자(24) 등이다. 상기 메일 이너 하우징(212)은 제1 메일 단자(23)가 삽입되어 보호되는 제1 메일 단자 보호부(212a)와 제2 메일 단자(24)가 삽입되어 보호되는 제2 메일 단자 보호부(212b)를 갖는다(도 26 참조). 상기 제1 메일 단자 보호부(212a)와 제2 메일 단자 보호부(212b)는, 상기 제1 메일 단자(23)와 제2 메일 단자(24)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일 쉴드쉘(22)은, 제1 메일 단자(23)와 제2 메일 단자(24)의 전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일 쉴드쉘(22)은,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피메일 쉴드쉘(14)의 전단부와 마주하는 메일 쉴드쉘(22)의 전단부가 피메일 쉴드쉘(14)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메일 쉴드쉘(22)의 후단부는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2)과 접촉되어 메일 커넥터(20)와 전기배전장치 간에 전기장 차폐를 구현할 수 있다. 메일 쉴드쉘(22)의 전단부는, 피메일 하우징(11)과 메일 하우징(21)이 결합될 때, 피메일 하우징(11)의 내측에 삽입된다.
도 23에 보듯이, 상기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은 전기배전장치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의 후단부에는 볼팅 방식으로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2)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2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211a)의 마운팅 지점에는 진동 방지를 위해 부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보듯이, 메일 인터락 단자(25)는,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의 결합 시,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접촉에 의한 접속이 완료된 이후에, 피메일 인터락 단자(15)와 접속되어 상기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전류 통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메일 인터락 단자(25)는 메일 이너 하우징(212)의 내측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일 이너 하우징(212)은 그 내부에 삽입된 메일 인터락 단자(25)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일 커넥터 씰(26)은,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의 후단부(구체적으로, 마운팅 브라켓의 후단부)에 배치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 씰(26)은,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의 결합 시,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과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2) 사이에 배치됨에 의해, 메일 하우징(21)과 차폐 하우징(2)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27 참조). 그에 따라, 상기 메일 커넥터 씰(26)은 메일 커넥터(20)와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2)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일 커넥터(20)가 상기 차폐 하우징(2)에 결합될 때, 상기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의 후단부가 차폐 하우징(2)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메일 이너 하우징(212)의 후단부가 상기 차폐 하우징(2)을 관통하게 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선유닛(12)은 하나 이상의 소전류 전선(121)(혹은 '제1 전선'이라고 함)와 상기 소전류 전선(121)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쉴드컨택(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컨택(123)은, 전기장 차폐 기능을 갖는 것으로, 소전류 전선(12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전류 전선(121)은 대전류 전선(131)(혹은 '제2 전선'라고 함)의 전류용량보다 일정치 이상 낮은 전류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선유닛(12)은 서로 동일 전류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소전류 전선(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전류 전선(121)은, 전류 통전을 위한 회로를 형성하는 소전류 심선부(121a)와, 상기 심선부(121a)를 둘러싸는 심선부 절연체(121b)와, 상기 심선부 절연체(121b)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선 차폐망(121c)과, 상기 전선 차폐망(121c)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폐망 절연체(12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심선부(121a)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심선부 절연체(121b)는, 심선부(121a)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서, 심선부(121a)에 흐르는 전류가 심선부 절연체(121b)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전선 차폐망(121c)은 심선부(121a)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이 소전류 전선(121)의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기장 차폐를 수행한다. 상기 차폐망 절연체(121d)는 전선 차폐망(121c)의 전기 절연을 수행하여 외부 전류가 차폐망 절연체(121d)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소전류 전선(121)은, 회로 차폐를 위해, 심선부(121a)에 소전류 피메일 단자(122)(혹은 '제1 피메일 단자'라고 함)가 압착되어 접속된 뒤, 심선부 절연체(121b)의 외측 둘레에 쉴드베이스(124)가 조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쉴드베이스(124)의 외측 둘레에 상기 전선 차폐망(121c)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 차폐망(121c)이 쉴드베이스(124)를 덮어주게 된다. 그리고, 전선 차폐망(121c)으로 덮인 쉴드베이스(124)의 외측에 쉴드컨택(123)이 조립되어 배치된다. 상기 쉴드컨택(123)과 전선 차폐망(121c) 및 쉴드베이스(124)가 겹쳐져서 적층 배치된 부위는 설비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전선 차폐망(121c)의 전단부의 외측 둘레에 상기 쉴드컨택(123)이 배치된다. 상기 소전류 전선(121)은, 피메일 하우징(11)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그 전단부(제1 피메일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임)가 피메일 쉴드쉘의 내측에 배치된다(도 24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피메일 쉴드쉘(14)과 상기 전선 차폐망(121c)이, 상기 쉴드컨택(123)의 전후로 배치된다. 상기 쉴드컨택(123)을 기준으로,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은 쉴드컨택(123)의 외측으로부터 메일 쉴드쉘(22)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전선 차폐망(121c)은 쉴드컨택(123)의 내측으로부터 메일 쉴드쉘(22)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선유닛(13)은, 하나 이상의 대전류 전선(131)과 상기 대전류 전선(131)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알루미늄 쉴드커버(133) 및 상기 쉴드커버(133)의 후단부 외측에 고정되는 차폐 편조망(1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류 전선(131)의 전단부는 피메일 쉴드쉘(1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 편조망(135)은 대전류 전선(131)의 후단부를 감싸줄 수 있다. 상기 제2 전선유닛(13)은 서로 동일 전류용량을 가지는 복수의 대전류 전선(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류 전선(131)는 대전류 심선부(131a)와 상기 심선부(131a)를 둘러싸는 심선부 절연체(131b) 및 대전류 피메일 단자(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심선부(131a)에 대전류 피메일 단자(132)(혹은 '제2 피메일 단자'라고 함)가 압착되어 접속된 뒤, 쉴드커버(133)의 내측에 대전류 전선(131)의 후단부를 관통시켜 조립한다. 상기 대전류 전선(131)의 후단부(대전류 피메일 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부분)가 삽입된 쉴드커버(133)의 후단부의 외측 둘레에 차폐 편조망(135)을 배치하여 쉴드커버(133)의 후단부와 대전류 전선(131)의 후단부를 감싸준다. 상기 차폐 편조망(135)은 전선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크림프링(134)은 상기 차폐 편조망(135) 위에서 쉴드커버(133)의 외측 둘레에 끼워 배치된다. 상기 크림프링(134)은 설비에 의해 쉴드커버(133)측으로 압착된다. 상기 크림프링(134) 위에 보호용 그로멧(136)이 조립되어 배치된다. 상기 그로멧(136)은 쉴드커버(133)의 개방된 후단부를 덮어주어 대전류 전선(131)의 후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쉴드커버(133)는 알루미늄 등의 전기장 차폐 기능을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커버(133)와 대전류 전선(131)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전류 전선(131)의 외측 둘레에 대전류 와이어 씰(138)이 조립되어 배치된다(도 27 참조). 그리고, 상기 쉴드커버(133)와 피메일 커넥터(10) 간에 방수를 위해 커버씰(137)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씰(137)은 쉴드커버(133)의 전단부에 조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전선유닛(13)의 외측 둘레에 상기 커버씰(137)이 조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씰(137)은 피메일 하우징(11)과 제2 전선유닛(13)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은 제1 접촉부(141)와 제2 접촉부(142) 및 제3 접촉부(14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접촉부(141)는, 피메일 쉴드쉘(14)의 전단부 중 상측단과 하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141)는,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메일 쉴드쉘(22)의 전단부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도 24 참조). 상기 제1 접촉부(141)는, 피메일 쉴드쉘(14)의 전단부가 메일 쉴드쉘(22)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메일 쉴드쉘(22)의 전단부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142)와 제3 접촉부(143)는,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촉부(142)는, 제1 전선유닛(12)이 피메일 하우징(11)의 제1 회로 삽입부(112c)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소전류 전선(121)의 쉴드컨택(123)과 접촉하여, 상기 쉴드컨택(123)과 이어지는 전기장 차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143)는, 제2 전선유닛(13)이 피메일 하우징(11)의 제2 회로 삽입부(112d)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제2 전선유닛(13)의 쉴드커버(133)와 접촉하여, 상기 쉴드커버(133)와 이어지는 전기장 차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142)는, 제1 전선유닛(12)이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과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 사이에 배치된 피메일 쉴드쉘(14)을 관통할 때, 쉴드컨택(123)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연결되도록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143)는, 제2 전선유닛(13)이 피메일 쉴드쉘(14)을 관통할 때, 쉴드커버(133)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선유닛(12)은, 피메일 하우징(11)의 제1 회로 삽입부(112c)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단부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2 전선유닛(13)은, 피메일 하우징(11)의 제2 회로 삽입부(112d)에 조립될 때, 상기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단부를 관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접촉부(142)와 제3 접촉부(143)는, 제1 전선유닛(12) 및 제2 전선유닛(13)이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단부를 관통할 때,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되며, 그 변형시 생성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쉴드컨택(123) 및 쉴드커버(133)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피메일 쉴드쉘(14)은, 피메일 인터락 단자(15)와 메일 인터락 단자(25) 간에 전기 접속이 완료될 때, 메일 쉴드쉘(22)과 접촉에 의해 연결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선유닛(12)은,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의 후단부(제1 회로 보호부)를 관통하여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의 제1 회로 삽입부(112c)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제1 피메일 단자(122)가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의 제1 단자 란스(112e)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 전선유닛(12)의 쉴드컨택(123)이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제2 접촉부(142)와 접촉식으로 연결된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선유닛(13)은,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의 제2 회로 삽입부(112d)에 삽입될 때, 제2 피메일 단자(132)가 피메일 이너 하우징(112)의 제2 단자 란스(112f)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2 전선유닛(13)의 쉴드커버(133)가, 피메일 쉴드쉘(14)의 후방에서, 피메일 쉴드쉘(14)의 제3 접촉부(143)와 접촉하여 연결된다. 또한 이때 제2 전선유닛(13)의 쉴드커버(133)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3a)은,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11b)에 각각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2)에 고정되어 있는 메일 커넥터(20)측으로 피메일 커넥터(10)가 이동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10)의 내측에 메일 커넥터(20)가 삽입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20)가 피메일 커넥터(10)에 삽입될 때,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레버궤적돌기(17a)가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에 형성된 레버궤적홀(17b)에 진입하게 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20)는 레버궤적돌기(17a)가 레버궤적홀(17b)의 중간에 위치할 때까지 피메일 커넥터(10)의 내측에 1차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메일 커넥터(20)가 피메일 커넥터(10)의 내측에 1차 삽입된 다음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에 설치된 레버부재(17)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부재(17)가 회전됨에 따라, 피메일 단자(122,132)가 메일 단자(23,24)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피메일 커넥터(10)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레버부재(1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궤적돌기(17a)가 레버궤적홀(17b)의 말단부로 이동되면서, 피메일 커넥터(10)에 삽입되는 메일 커넥터(20)의 2차 삽입이 진행된다. 상기 레버부재(17)의 회전에 의해, 레버궤적홀(17b)내에서 레버궤적돌기(17a)의 이동이 제한되고, 피메일 커넥터(10)에 삽입되는 메일 커넥터(20)의 이동량이 조절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재(17)의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간에 결합이 완료된다. 즉, 상기 레버부재(17)의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접촉에 의한 접속이 완료되고, 피메일 커넥터(10)에 삽입되는 메일 커넥터(20)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는 전류 통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17)의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피메일 쉴드쉘(14)의 제1 접촉부(141)가 메일 쉴드쉘(22)의 전단부의 내표면에 접촉된다. 상기 피메일 쉴드쉘(14)과 메일 쉴드쉘(22)이 접촉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 전선유닛(12)과 제2 전선유닛(13)의 차폐구조가 피메일 커넥터(10)에서 메일 커넥터(20)까지 연장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20)는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의 마운팅 브라켓(211a)이 전기배전장치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기배전장치는 전기배전장치의 전기장 차폐를 위한 차폐 하우징(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폐 하우징(2)에 메일 아우터 하우징(211)이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차폐 하우징(2)의 일측에는 메일 이너 하우징(212)의 후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 하우징(2)에 메일 커넥터(20)의 마운팅 브라켓(211a)이 체결되면, 상기 차폐 하우징(2)의 내측면(관통홀을 둘러싸는 표면임)과 메일 쉴드쉘(22)의 차폐 접촉부(221)가 서로 접촉하며, 그에 따라 상기 차폐 하우징(2)과 메일 쉴드쉘(22) 사이에 자기장 차폐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기배전장치는, 상기 차폐 하우징(2)이 전체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차폐성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전기배전장치의 내부공간 즉, 전기 배전을 위한 부품들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차폐 하우징(2)의 내부공간은 전기장 차폐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및 전기배전장치의 내부에서 전류가 흐르는 모든 영역이, 자기장 차폐 영역이 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20)와 피메일 커넥터(10)가 결합될 때에는,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접속 및 피메일 쉴드쉘(14)과 메일 쉴드쉘(22) 간에 연결이 시작된 다음, 메일 커넥터(20)가 피메일 커넥터(10)에 삽입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접속 및 피메일 쉴드쉘(14)과 메일 쉴드쉘(22) 간에 연결도 완료된다. 메일 인터락 단자(25)와 피메일 인터락 단자(15)는 상기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접속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메일 인터락 단자(25)와 피메일 인터락 단자(15)는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접속이 완료되기 이전에는 미접속된다. 상기 메일 인터락 단자(25)와 피메일 인터락 단자(15)가 접속됨에 의해, 피메일 단자(122,132)와 메일 단자(23,24) 간에 전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일 인터락 단자(25)와 피메일 인터락 단자(15)가 접속됨에 의해, 피메일 단자(122,132) 및 메일 단자(23,24) 사이에 전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일 인터락 단자(25)와 피메일 인터락 단자(15)가 접속 완료될 때, 메일 쉴드쉘(22)과 피메일 쉴드쉘(14)이 접촉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및 전기배전장치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및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2) 사이에는, 도 27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수분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10)와 메일 커넥터(20) 및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2) 사이에 수분 유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 유입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마다 방수를 위한 씰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부재는, 커넥터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에 의해, 커넥터의 차폐와 관련된 부품이 수분에 의해 차폐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부재에 의한 방수가 어려운 쉴드커버(133)의 후단부는 그로멧(136)으로 덮여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이 방지된다.
상기 씰부재는 소전류 와이어 씰(125), 대전류 와이어 씰(138), 커버씰(137), 피메일 커넥터 씰(16), 메일 커넥터 씰(26)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전류 와이어 씰(125)은,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111)의 제1 회로 보호부(111a)와 소전류 전선(121) 사이에 수분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보호부(111a)는 제1 전선유닛(12)의 소전류 전선(121)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소전류 와이어 씰(125)은 제1 전선유닛(12)의 외측 둘레(구체적으로, 소전류 전선의 후단부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보호부(111c)는 제2 전선유닛(13)의 쉴드커버(133)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통합형 다극 커넥터(1)는, 앞서 설명한 효과 이외에 다음과 같은 이점이 더 존재한다.
1. 종래의 소전류 전선용 커넥터와 대전류 전선용 커넥터의 기능이 통합된 구조로 구성됨에 의해, 전기배전장치에 수용되는 커넥터의 종수를 축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기배전장치의 사이즈를 축소 가능하다.
2. 전기배전장치에 수용되는 커넥터의 종수가 감소됨에 의해 와이어링하네스의 작업 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종수가 감소됨에 따라 커넥터의 인터락 단자에 의해 형성되는 인터락 회로 또한 감소되고, 와이어링하네스의 배선 시 인터락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작업 공수가 간소화되며, 인터락 회로를 구성하는 단자 및 전선 등의 부품 축소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커넥터 제조시의 원가 절감 및 생산성 증대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통합형 다극 커넥터
10 : 피메일 커넥터
11 : 피메일 하우징 111 :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
111a : 제1 회로 보호부 111b: 고정부
111c : 제2 회로 보호부
112 : 피메일 이너 하우징 112a : 제1 피메일 단자 보호부
112b : 제2 피메일 단자 보호부 112c : 제1 회로 삽입부
112d : 제2 회로 삽입부 112e : 제1 단자 란스
112f : 제2 단자 란스 112g : 피메일 인터락 단자 조립부
12 : 제1 전선유닛 121 : 소전류 전선(제1 전선)
121a : (소전류) 심선부 121b : 심선부 절연체
121c : 전선 차폐망 121d : 차폐망 절연체
122 : 제1 피메일 단자(소전류 피메일 단자)
123 : 쉴드컨택 124 : 쉴드베이스
125 : 소전류 와이어 씰 13 : 제2 전선유닛
131 : 대전류 전선(제2 전선) 131a : (대전류) 심선부
131b : 심선부 절연체
132 : 제2 피메일 단자(대전류 피메일 단자)
133 : 쉴드커버 133a : 걸림턱
134 : 크림프링 135 : 차폐 편조망
136 : 보호용 그로멧 137 : 커버씰
138 : 대전류 와이어 씰 14 : 피메일 쉴드쉘
141 : 제1 접촉부 142 : 제2 접촉부
143 : 제3 접촉부 15 : 피메일 인터락 단자
16 : 피메일 커넥터 씰 17 : 레버부재
17a : 레버궤적돌기 17b : 레버궤적홀
20 : 메일 커넥터 21 : 메일 하우징
211 : 메일 아우터 하우징 211a : 마운팅 브라켓
212 : 메일 이너 하우징 212a : 제1 메일 단자 보호부
212b : 제2 메일 단자 보호부 22 : 메일 쉴드쉘
221 : 차폐 접촉부 23 : 제1 메일 단자
24 : 제2 메일 단자 25 : 메일 인터락 단자
26 : 메일 커넥터 씰
2 :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 2a : 관통홀
11 : 피메일 하우징 111 : 피메일 아우터 하우징
111a : 제1 회로 보호부 111b: 고정부
111c : 제2 회로 보호부
112 : 피메일 이너 하우징 112a : 제1 피메일 단자 보호부
112b : 제2 피메일 단자 보호부 112c : 제1 회로 삽입부
112d : 제2 회로 삽입부 112e : 제1 단자 란스
112f : 제2 단자 란스 112g : 피메일 인터락 단자 조립부
12 : 제1 전선유닛 121 : 소전류 전선(제1 전선)
121a : (소전류) 심선부 121b : 심선부 절연체
121c : 전선 차폐망 121d : 차폐망 절연체
122 : 제1 피메일 단자(소전류 피메일 단자)
123 : 쉴드컨택 124 : 쉴드베이스
125 : 소전류 와이어 씰 13 : 제2 전선유닛
131 : 대전류 전선(제2 전선) 131a : (대전류) 심선부
131b : 심선부 절연체
132 : 제2 피메일 단자(대전류 피메일 단자)
133 : 쉴드커버 133a : 걸림턱
134 : 크림프링 135 : 차폐 편조망
136 : 보호용 그로멧 137 : 커버씰
138 : 대전류 와이어 씰 14 : 피메일 쉴드쉘
141 : 제1 접촉부 142 : 제2 접촉부
143 : 제3 접촉부 15 : 피메일 인터락 단자
16 : 피메일 커넥터 씰 17 : 레버부재
17a : 레버궤적돌기 17b : 레버궤적홀
20 : 메일 커넥터 21 : 메일 하우징
211 : 메일 아우터 하우징 211a : 마운팅 브라켓
212 : 메일 이너 하우징 212a : 제1 메일 단자 보호부
212b : 제2 메일 단자 보호부 22 : 메일 쉴드쉘
221 : 차폐 접촉부 23 : 제1 메일 단자
24 : 제2 메일 단자 25 : 메일 인터락 단자
26 : 메일 커넥터 씰
2 : 전기배전장치의 차폐 하우징 2a : 관통홀
Claims (20)
- 전기장 차폐를 위한 쉴드컨택이 구비된 제1 전선유닛과, 전기장 차폐를 위한 쉴드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전선유닛과 다른 전류용량을 갖는 제2 전선유닛이 조립된 피메일 하우징;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제1 전선유닛과 전기 접속되는 제1 메일 단자 및 상기 제2 전선유닛과 전기 접속되는 제2 메일 단자가 조립된 메일 하우징;
상기 메일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일 단자와 제2 메일 단자의 전기장을 차폐하는, 메일 쉴드쉘;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이 결합될 때, 상기 메일 쉴드쉘과 연결됨에 의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 사이에 전기장 차폐를 가능하게 하는, 피메일 쉴드쉘;
을 포함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쉴드쉘은, 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와 연결되는 피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에, 상기 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피메일 쉴드쉘의 전단부가 상기 메일 쉴드쉘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메일 쉴드쉘의 전단부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쉴드쉘은, 그 후단부에, 상기 쉴드컨택과 접촉하여 연결되는 제2 접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제1 전선유닛이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할 때, 상기 쉴드컨택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피메일 쉴드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유닛은, 피메일 하우징의 제1 회로 삽입부에 조립될 때,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쉴드쉘은, 그 후단부에, 제2 전선유닛의 쉴드커버와 접촉하여 연결되는 제3 접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부는, 제2 전선유닛이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할 때, 상기 쉴드커버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피메일 쉴드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유닛은, 피메일 하우징의 제2 회로 삽입부에 조립될 때, 상기 피메일 쉴드쉘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유닛은 그 전단부가 상기 피메일 쉴드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소전류 전선과 상기 소전류 전선의 중앙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쉴드컨택을 포함하며, 상기 소전류 전선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 심선부와 상기 심선부의 전기장 차폐를 위한 전선 차폐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유닛은, 상기 심선부와 전선 차폐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부의 전기 절연을 수행하는 심선부 절연체와, 상기 전선 차폐망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 차폐망의 전기 절연을 수행하는 차폐망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선 차폐망의 전단부의 외측 둘레에 상기 쉴드컨택이 배치되고, 상기 피메일 쉴드쉘과 상기 전선 차폐망이 상기 쉴드컨택의 전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유닛은,
그 전단부가 상기 피메일 쉴드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대전류 전선;
상기 대전류 전선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쉴드커버;
상기 쉴드커버의 후단부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대전류 전선의 후단부를 감싸는 차폐 편조망;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일 하우징이 전기배전장치의 전기장 차폐를 위한 차폐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메일 쉴드쉘의 후단부가 상기 차폐 하우징에 접촉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차폐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 사이에 전기장 차폐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유닛의 외측 둘레에 소전류 와이어 씰이 배치되어, 피메일 하우징과 제1 전선유닛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유닛의 외측 둘레에 커버씰이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제2 전선유닛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전선의 외측 둘레에 대전류 와이어 씰이 배치되어, 상기 대전류 전선와 상기 대전류 전선의 외측에 배치된 쉴드커버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내측에 피메일 커넥터 씰이 설치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차폐 하우징과 접촉되는 상기 메일 하우징의 후단부에 메일 커넥터 씰이 배치되어,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차폐 하우징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하우징에는 피메일 인터락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메일 하우징에는 메일 인터락 단자가 배치되어,
상기 피메일 인터락 단자와 메일 인터락 단자 간에 전기 접속이 완료될 때, 제1 전선유닛과 제1 메일 단자 간에 전류 통전 및 제2 전선유닛과 제2 메일 단자 간에 전류 통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피메일 쉴드쉘과 메일 쉴드쉘이 접촉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다극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583A KR102633954B1 (ko) | 2018-12-12 | 2018-12-12 | 통합형 다극 커넥터 |
US16/653,317 US11527855B2 (en) | 2018-12-12 | 2019-10-15 | Integrated multipole connector |
JP2019189978A JP7321051B2 (ja) | 2018-12-12 | 2019-10-17 | 統合型多極コネクタ |
DE102019128172.5A DE102019128172A1 (de) | 2018-12-12 | 2019-10-18 | Integrierter multipol-steckverbinder |
CN201911002589.8A CN111313172B (zh) | 2018-12-12 | 2019-10-21 | 集成型多极连接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583A KR102633954B1 (ko) | 2018-12-12 | 2018-12-12 | 통합형 다극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1948A true KR20200071948A (ko) | 2020-06-22 |
KR102633954B1 KR102633954B1 (ko) | 2024-02-05 |
Family
ID=7085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9583A KR102633954B1 (ko) | 2018-12-12 | 2018-12-12 | 통합형 다극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527855B2 (ko) |
JP (1) | JP7321051B2 (ko) |
KR (1) | KR102633954B1 (ko) |
CN (1) | CN111313172B (ko) |
DE (1) | DE10201912817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9192A (ko) * | 2021-04-07 | 2022-10-14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
KR20230039148A (ko) * | 2021-09-13 | 2023-03-21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전기접속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36269B2 (ja) * | 2019-03-26 | 2021-09-15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嵌合体の製造システム |
US11462342B2 (en) * | 2020-10-06 | 2022-10-04 |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 Cable harness assembly with a shielded twisted pair cable |
KR20220093427A (ko) * | 2020-12-28 | 2022-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커넥터 조립체 |
JP7447857B2 (ja) * | 2021-03-31 | 2024-03-12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CN116417832A (zh) * | 2021-12-31 | 2023-07-11 | 泰科电子科技(苏州工业园区)有限公司 | 连接器壳体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
CN116417840A (zh) * | 2021-12-31 | 2023-07-11 | 泰科电子科技(苏州工业园区)有限公司 | 连接器密封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
CN116417837A (zh) * | 2021-12-31 | 2023-07-11 | 泰科电子科技(苏州工业园区)有限公司 | 密封圈保护端盖、连接器和连接器组件 |
CN116417859A (zh) * | 2021-12-31 | 2023-07-11 | 泰科电子科技(苏州工业园区)有限公司 | 混合式连接器壳体、混合式连接器和连接器组件 |
DE102022122506A1 (de) * | 2022-09-06 | 2024-03-07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Universell einsetzbares Gehäuse zur Abdeckung von Kontaktelementen |
EP4372930A1 (en) * | 2022-11-18 | 2024-05-22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Connector with a common grounding plate |
DE102023101872A1 (de) * | 2023-01-26 | 2024-08-01 |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 Steckverbinderteil für ein Ladesystem zum Aufladen eines Elektrofahrzeugs |
CN116073201B (zh) * | 2023-04-06 | 2023-05-30 | 深圳市长江连接器有限公司 | 一种5g通讯电连接器组件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84166A (ja) * | 1997-03-31 | 1998-10-23 | Whitaker Corp:The | 電気コネクタ用バックシェル |
JP2007213960A (ja) * | 2006-02-09 | 2007-08-23 | Hosiden Corp | 取付部品及びこれが取り付けられるコネクタ並びに電子機器 |
JP2011515788A (ja) * | 2007-03-06 | 2011-05-19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高電圧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
US20130323954A1 (en) * | 2011-02-17 | 2013-12-05 | Tyco Electronics Amp Gmbh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
JP2017098103A (ja) * | 2015-11-25 | 2017-06-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シールド接続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65636A (en) * | 1996-03-27 | 1999-02-02 | The Whitaker Corporation | Seal for us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insulation displacement type contacts |
JP2002050426A (ja) * | 2000-08-04 | 2002-02-15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シールドコネクタ |
US8083533B2 (en) * | 2010-02-11 | 2011-12-27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 assembly for an interlock circuit |
JP5523906B2 (ja) * | 2010-04-13 | 2014-06-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ルド端子の接続構造 |
JP2014203537A (ja) * | 2013-04-01 | 2014-10-2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DE202015001331U1 (de) * | 2015-02-19 | 2015-04-15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Steckverbinder mit Dämpfungselement |
DE102015113786B4 (de) * | 2015-08-20 | 2019-01-31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CN205039367U (zh) * | 2015-09-22 | 2016-02-17 |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 用于电动车的连接器和电动车 |
JP6610954B2 (ja) * | 2016-06-01 | 2019-11-2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JP6484597B2 (ja) * | 2016-09-26 | 2019-03-13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の止水構造 |
DE102018127720B3 (de) * | 2018-11-07 | 2019-12-05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Hochstrom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system |
-
2018
- 2018-12-12 KR KR1020180159583A patent/KR1026339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0-15 US US16/653,317 patent/US11527855B2/en active Active
- 2019-10-17 JP JP2019189978A patent/JP7321051B2/ja active Active
- 2019-10-18 DE DE102019128172.5A patent/DE102019128172A1/de active Pending
- 2019-10-21 CN CN201911002589.8A patent/CN11131317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84166A (ja) * | 1997-03-31 | 1998-10-23 | Whitaker Corp:The | 電気コネクタ用バックシェル |
JP2007213960A (ja) * | 2006-02-09 | 2007-08-23 | Hosiden Corp | 取付部品及びこれが取り付けられるコネクタ並びに電子機器 |
JP2011515788A (ja) * | 2007-03-06 | 2011-05-19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高電圧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
US20130323954A1 (en) * | 2011-02-17 | 2013-12-05 | Tyco Electronics Amp Gmbh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
JP2017098103A (ja) * | 2015-11-25 | 2017-06-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シールド接続構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9192A (ko) * | 2021-04-07 | 2022-10-14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
KR20230039148A (ko) * | 2021-09-13 | 2023-03-21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전기접속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9128172A1 (de) | 2020-06-18 |
KR102633954B1 (ko) | 2024-02-05 |
JP7321051B2 (ja) | 2023-08-04 |
CN111313172A (zh) | 2020-06-19 |
US11527855B2 (en) | 2022-12-13 |
CN111313172B (zh) | 2023-09-08 |
JP2020095947A (ja) | 2020-06-18 |
US20200194938A1 (en) | 2020-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33954B1 (ko) | 통합형 다극 커넥터 | |
US9929491B2 (en) | Live portion prot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 | |
US6781059B2 (en) | Shielded wire | |
US7354297B2 (en) | Connector fixing structure | |
CN102859802B (zh) | 连接器 | |
JP5654306B2 (ja) | 導電路接続構造 | |
US9509074B2 (en) | Multiple wire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 |
US9592775B2 (en) |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 |
JP2018133837A (ja) | 導電路同士接続部の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EP2491625B1 (en) | Fitting structure for inner holder and shield shell | |
EP2775581B1 (en) | Cable branching structure | |
CN113795982B (zh) | 连接器 | |
WO2015005436A1 (ja) | コネクタ | |
JP3349641B2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JP5938212B2 (ja) | シールドコネクタ装置 | |
KR20170125883A (ko) | 고-전압 케이블 세트 | |
JP6180141B2 (ja) | 電線のシールド構造 | |
US20210036439A1 (en) | Wire harness | |
JP4976185B2 (ja) |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 |
JP2013222876A (ja) | ワイヤハーネス | |
JP6628098B2 (ja) | シールド電線のアース処理構造 | |
KR20070035192A (ko) | 실드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 |
JP6967500B2 (ja) | シールド電線の設置構造、分岐コネクタ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 | |
JP2015011946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KR20210054413A (ko) |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