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814Y1 -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814Y1
KR200448814Y1 KR2020070021117U KR20070021117U KR200448814Y1 KR 200448814 Y1 KR200448814 Y1 KR 200448814Y1 KR 2020070021117 U KR2020070021117 U KR 2020070021117U KR 20070021117 U KR20070021117 U KR 20070021117U KR 200448814 Y1 KR200448814 Y1 KR 200448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protection
coupl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89U (ko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1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와이어(W)와 결합된 터미널이 설치되는 하우징(22)과, 내부에 가이드공(25')이 관통되어 상기 와이어(W)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2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결합리브(27)가 나란히 연장되는 가이드부(25),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5)를 감싸는 와이어보호커버(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각 상기 가이드부(25)의 일부와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결합리브(27)에 대응되는 결합채널(37)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25)에 결합되어 와이어(W)를 보호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보호커버(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이어보호커버(30)가 커넥터(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그 탈착이 용이하고, 각 와이어(W)마다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쌍의 와이어보호커버(30)로 다수개의 와이어(W)를 보호할 수 있어, 작업공수 및 부품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하이브리드커넥터, 와이어보호, 캡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Mounting structure of wire cap for hybrid electric vehicle}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와이어 일부를 감싸 보호하는 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하이브리드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효율적으로 차량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필요로 된다.
이에 따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경우에도 고전압/고전류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이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굵기도 커지므로 와이어가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의 유동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에는 와이어보호 커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보호 커버는 커넥터하우징과는 별개물이므로 별도의 조립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되도록 그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한 와이어보호 커버가 필요로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커넥터의 와이어보호커버가 커넥터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와이어와 결합된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하우징과, 내부에 가이드공이 관통되어 상기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결합리브가 나란히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각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와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결합리브에 대응되는 결합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보호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되는 결합채널이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나의 몸체부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결합채널은 양단에 구비되는 보호부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보호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턱과 걸이공이 형성된 다.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보호커버가 커넥터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그 탈착이 용이하고, 각 와이어마다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쌍의 와이어보호커버로 다수개의 와이어를 보호할 수 있어, 작업공수 및 부품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보호커버가 커넥터에 조립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보호커버가 커넥터에 조립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보호커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커넥터(1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상대커넥터(10)는 아래에서 설명될 하이브리드 커넥터(20)(이하 '커넥터'라 한다)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대터미널(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상기 상대커넥터(10)의 내부에 형성된 터미널설치공(11)에 상대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상대터미널은 후술할 커넥터(20)의 터미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커넥터(20)에 대해 설명하면, 커넥터(2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2)은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터미널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2)의 외면에는 쉴드케이스(21)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쉴드케이스(21)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20)의 특성상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나 강한 자기력이 커넥터(20)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2)에는 가이드부(25)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5)는 대략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가이드공(2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25')을 통해 후술할 와이어(W)가 연장되어 가이드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25)는 와이어(W)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가이드함과 동시에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공(25') 내부에 와이어(W) 및 방수시일(50)이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부(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이 삽입되는 와이어(W)의 후방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하우징(22)에 삽입되므로 이에 결합되는 각각의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부(25)의 외면에는 걸이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30)의 걸이공(36)에 대응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3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물론,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30)에 걸이턱(26)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부에 걸이공(3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25)의 외면에는 한 쌍의 결합리브(27)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30)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두 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리브(27)는 상기 가이드부(25) 중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25)의 외면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30)의 양측과 상기 가이드부(25)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22)에는 와이어보호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는 총 두개가 쌍을 이루어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는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30)로 나누어지고, 서로 협력하여 상기 가이드부(25)를 감싸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와이어보호커버(30)는 상기 가이드부(25)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2와이어보호커버(30)는 상기 가이드부(25)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와이어보호커버(30)를 제1와이어보호커버(30)라 한다.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30)는 동일한 형상으로 되므로 이러한 순서는 임의로 정한 것에 불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의 골격은 몸체부(3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1)는 대략 판상으로 되고, 상기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홈(38)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홈(38)은 와이어(W)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형태로 된다. 이는 두 와이어보호커버(30) 가 접했을 때 협력하여 원형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부(31)에는 보호부(35)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부(35)는 상기 몸체부(31)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25)의 일부를 감싸도록 안착공간(3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35')은 상기 보호부(35)가 대략 원통형상을 반으로 자른 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부(25)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보호부(35)는 상기 가이드부(25)의 개수에 대응되게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부(35)는 총 3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호부(35) 사이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보호부(35)가 상기 몸체부(31)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부(35)에는 걸이공(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36)은 상기 가이드부(25)의 걸이턱(26)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부(3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물론, 상기 걸이공(36)은 보호부(35)가 일부 요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부(35)의 내면에는 결합채널(3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37)은 상기 가이드부(25)의 결합리브(27)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가 상기 가이드부(2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부(3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채널(37)은 상기 보호부(35) 중에서, 상기 몸체부(31)의 양단에 구비된 보호부(35)의 내면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25)의 양단과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우선, 상기 하우징(22) 내부에 터미널을 설치한다. 상기 터미널은 본 실시예에서 총 세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W)가 각각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22)의 설치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가이드부(25)를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2), 보다 정확하게는 가이드부(25)에 제1와이어보호커버(3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는 두 개가 쌍을 이루어 구성되므로, 하나씩 상기 가이드부(25)에 결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와이어보호커버(30)를 상기 가이드부(25) 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5)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보호커버(30)의 보호부(35)에 형성된 결합채널(37)과 상기 가이드부(25)의 결합리브(27)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와이어보호커버(30)는 상기 가이드부(2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
작업자가 상기 제1와이어보호커버(30)를 계속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가이드부(25)의 걸이턱(26)이 상기 보호부(35)의 걸이공(36)에 끼워진다. 이때 발생하는 체결음과, 상기 걸이공(36)을 통해 노출되는 걸이턱(26)을 통해 작업자는 제1와이어보호커버(30)가 상기 가이드부(25)에 완전히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부(25)의 일부가 제1와이어보호커버(3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나머지 제2와이어보호커버(30)를 상기 가이드부(25)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2와이어보호커버(30)를 가이드부(25)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와이어보호커버(30)를 결합시키는 과정과 동일하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제2와이어보호커버(30)의 보호부(35)에 형성된 결합채널(37)과 상기 가이드부(25)의 결합리브(27)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2와이어보호커버(30)를 상기 가이드부(25) 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5)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와이어보호커버(30)는 상기 가이드부(2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25)의 나머지 부분도 상기 제2와이어보호커버(30)에 의해 감싸진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25)는 두 와이어보호커버(30)에 의해 완전히 감싸지므로 하우징(22) 후방으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터미널과 결합되는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와이어보호커버(3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31)의 와이어홈(38)은 하나의 원형을 이루게 되고, 이를 와이어(W)가 통과하는 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35)의 안착공간(35')은 대략 원통형상이 되어 와이어(W)의 일부를 완전히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나의 와이어보호커버(30)에는 다수개의 보호부(35)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별개의 보호커버를 각각의 가이드부(25)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와 가이드부(25)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체결되므로 그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보호커버(30)에 구비되는 보호부(35)의 개수는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우징(22)의 가이드부(25) 개수에 맞추어 상기 보호부(35)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와이어보호커버가 커넥터에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가 커넥터에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와이어보호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대커넥터 11: 터미널설치공
20: 커넥터 21: 쉴드케이스
22: 하우징 25: 가이드부
25': 가이드공 26: 걸이턱
27: 결합리브 30: 와이어보호커버
31: 몸체부 35: 보호부
35': 안착공간 37: 결합채널
38: 와이어홈

Claims (5)

  1. 와이어와 결합된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하우징과,
    내부에 가이드공이 관통되어 상기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결합리브가 나란히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각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와 나머지 부분을 감싸고 상기 결합리브에 대응되는 결합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보호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보호커버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되는 결합채널이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나의 몸체부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결합채널은 양단에 구비되는 보호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보호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턱과 걸이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내면과 상기 와이어 사이에는 방수시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KR2020070021117U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KR200448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17U KR200448814Y1 (ko)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17U KR200448814Y1 (ko)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89U KR20090006789U (ko) 2009-07-03
KR200448814Y1 true KR200448814Y1 (ko) 2010-05-26

Family

ID=4133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117U KR200448814Y1 (ko) 2007-12-31 2007-12-31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5491B2 (en) * 2015-07-15 2017-08-15 Dynomax Inc. Easily removable contacts for micro connectors
US10333241B2 (en) 2016-07-12 2019-06-25 Dynomax Inc. Easily removable contacts for micro connec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084A (ja) 1997-10-09 1999-04-3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51213A (ja) 2000-11-08 2002-05-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取付方法、コネクタ取付け用治具及びコネクタ
KR100770993B1 (ko) * 2006-09-14 2007-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084A (ja) 1997-10-09 1999-04-3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51213A (ja) 2000-11-08 2002-05-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取付方法、コネクタ取付け用治具及びコネクタ
KR100770993B1 (ko) * 2006-09-14 2007-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89U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294B1 (ko) 고전압 커넥터
JP4877902B2 (ja) シールドされたワイヤハーネス端部用コネクタ
JP5489691B2 (ja) L字型端子の絶縁構造
US9124021B2 (en) Device connector having outer conductor with a mold portion sandwiched between a bracket and a housing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US20120312595A1 (en) Wiring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KR20200071948A (ko) 통합형 다극 커넥터
US20140106619A1 (en) Shield connector
JP2013115072A (ja) シールド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57943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CN102576961A (zh) 用于内保持器和保护外壳的装配结构
US10374366B2 (en) Cable branching structure
US9012777B2 (en) Conductive path structure and wire harness
KR200448814Y1 (ko)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JP6212790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導電路挿通方法
KR102067267B1 (ko)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KR101151901B1 (ko)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21846B (zh) 屏蔽连接器以及线束
KR20150074033A (ko) 전기 접속 시스템
JP7090401B2 (ja) プロテクタ、ワイヤハーネス、及び、固定構造
JP6987103B2 (ja) クランプ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522454B2 (ja) コネクタ
JP2016062714A (ja) 防水プラグ及び防水プラグ付コード
JP5781289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2010055924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