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972B1 - 정션블록 - Google Patents

정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972B1
KR102652972B1 KR1020220080741A KR20220080741A KR102652972B1 KR 102652972 B1 KR102652972 B1 KR 102652972B1 KR 1020220080741 A KR1020220080741 A KR 1020220080741A KR 20220080741 A KR20220080741 A KR 20220080741A KR 102652972 B1 KR102652972 B1 KR 102652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us bar
noise
junction block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2760A (ko
Inventor
이가람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08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972B1/ko
Publication of KR2024000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72Busbars, i.e. thick metal bars mounted on the PCB as high-current conductors

Abstract

본 발명의 정션블록은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커넥터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부; 상기 메인바디에 매설되어 전기적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배출시키는 접지부; 및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접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노이즈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버스바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설치단과,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접촉단과, 상기 설치단과 상기 접촉단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연장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경량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높은 차폐 성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션블록{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구비되어 다수의 전기 장치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정션블록에 관한 것이다.
정션블록은 자동차의 엔진 룸과 탑승 공간인 차 실내에 설치되는 각 종 전기 장치에 전원을 분배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차에는 차종에 따라 선택되는 옵션 등에 의해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략 수십 개의 릴레이와 십여 개의 퓨즈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릴레이 및 퓨즈를 분산시켜 배치하게 되면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어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한 곳에 집적시키기 위해 정션블록 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최근 탄소 에너지 고갈 및 환경 보존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록하여 전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에 보급이 활발해지는 추세이며,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므로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하여 고전압 정션블록 설치되고, 이때 정션블록의 내부로 수분/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션블록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하우징이 형성된다.
다만, 정션블록이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지면서 원가 및 중량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종금속의 체결부재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고, 전장부품이 하우징의 내부에 직접 조립되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폐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정션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정션블록은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커넥터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부; 상기 메인바디에 매설되어 전기적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배출시키는 접지부; 및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접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노이즈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버스바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설치단과,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접촉단과, 상기 설치단과 상기 접촉단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연장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부는 중공이 형성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1보강단으로 형성되어 차체로 노이즈를 직접 배출시키는 제1접지부와, 중공이 형성된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요철구조가 돌출된 제2보강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로 노이즈를 배출시키는 제2접지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단은 상기 커넥터의 일 면에 밀착되는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단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접촉단이 상기 제1접지부와 접촉되는 제1버스바와, 상기 접촉단이 상기 제2접지부와 접촉되는 제2버스바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상기 제1접지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트부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마운트부까지 연장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연장부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는 상기 평탄면이 상기 체결부의 내부면에 안착되되, 일 측에서 밴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일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으로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직접 접촉되어 노이즈를 상기 메인바디로 전달시키는 제2-1접지부와, 상기 제2버스바를 통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 노이즈를 상기 메인바디로 전달시키는 제2-2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 결합되는 탑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의 노이즈를 상기 메인바디로 전달시키는 제2-3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록은 메인바디 및 탑커버를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원가 또한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메인바디에는 접지부가 매설되어 조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접지부를 통해 노이즈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차폐 성능을 보완한다.
또한 커넥터 및 접지부와 직접 연결되는 버스바를 구비하여 노이즈를 차체로 직접 배출시키거나 접지부를 통해 메인바디로 분산시켜 노이즈의 흐름성 향상을 통해 차폐 성능 보안 효과를 극대화 한다.
또한 제1접지부에 접촉되는 제1버스바는 메인바디에 형성된 안착홈에 설치되고, 제2접지부에 접촉되는 제2버스바는 평탄면이 메인바디의 일 측으로 배치되도록 밴딩되어 버스바 설치 시 미리 설계된 위치에 가고정되도록 하여 조립 시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정션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탑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b)는 도 4(a)의 내측 방향 확대도.
도 5는 도 1의 Ⅴ-Ⅴ 방향의 단면도.
도 6(a)는 도 4(a)의 Ⅵa-Ⅵa 방향의 단면사시도, 도 6(b)는 도 4(a)의 Ⅵb-Ⅵb 방향의 단면사시도.
도 7은 도 2의 Ⅶ-Ⅶ 방향의 단면사시도.
도 8은 도 1의 Ⅷ-Ⅷ 방향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정션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탑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내측 방향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6(a)는 도 4(a)의 Ⅵa-Ⅵa 방향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4(a)의 Ⅵb-Ⅵb 방향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Ⅶ-Ⅶ 방향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Ⅷ-Ⅷ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정션블록(10)은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메인바디(100), 커넥터(600)와 상기 수용공간(110)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부(300), 상기 메인바디(100)에 매설되어 전기적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배출시키는 접지부(400) 및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300)와 상기 접지부(400)에 각각 연결되어 노이즈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버스바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부(500)는 상기 체결부(300)의 일 측에 설치되는 설치단(510)과, 상기 접지부(400)와 연결되는 접촉단(520)과, 상기 설치단(510)과 상기 접촉단(520)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연장부(53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110)의 일 측에 결합되는 탑커버(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접지부(42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200)의 노이즈를 상기 메인바디(100)로 전달시키는 제2-3접지부(420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바디(100)는 내측으로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정션블록(10)은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된 마운틴부(120)와, 제1버스바(501)가 설치되는 안착홈(130)이 형성되어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다양한 전장부품이 수용공간(110)에 설치된 상태로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수용공간(110)은 일 측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전장부품 및 커넥터(600)와 복수의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 등 고전압 분배에 필요한 각 구성을 쉽게 설치가능 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장부품은 외부로 공급되는 고전압을 다수의 부품으로 안전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릴레이, 퓨즈, 다이오드 등이 있다.
이때 수용공간(110)의 개방된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일정 면적으로 갖는 가이드라인(111)이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탑커버(20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메인바디(100)로 이동시키는 제2-3접지부(4203)가 매설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방사되는 노이즈가 탑커버(200)를 통해 메인바디(100)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며, 궁극적으로는 제1접지부(410)를 통해 차체로 배출되도록 하여 차폐 성능 향상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가이드라인(111)을 따라 복수의 제2-3접지부(4203)는 일정 간격을 가지며 매설되고, 이에 따라 제2-3접지부(4203)의 일 측은 탑커버(200)의 안착면(220)에 밀착되는 동시에 관통홀(221) 및 제2접지부(42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탑커버(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노이즈의 흐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마운틴부(120)는 메인바디(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버스바(501)의 형상에 대응하여 안착홈(130)이 형성되어 제1버스바(501)가 제1접지부(410)에 연결되기 전에 일차적으로 가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버스바부(500)를 형성하는 복수의 버스바가 형상에 맞춰 설계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여기서 메인바디(100)는 중량 감소를 위해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수용공간(110)에 전장부품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메인바디(100)의 내부면에는 전장부품의 설치위치에 부싱(140)이 매설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전장부품은 미리 설계된 위치에 매설된 부싱(140)과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며, 일반적으로 부싱(140) 및 체결부재는 금속재로 형성되므로 이를 통해 메인바디(100)로 일부 노이즈를 배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차폐 성능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메인바디(100)에 설치되는 부싱(140)은 제1접지부(410) 또는 제2접지부(4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노이즈를 메인바디(100)로 배출시킨다는 점에서 제2접지부(420)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다만, 부싱(140)은 전장부품의 안정적인 고정을 주기능으로 하는 구성으로, 단지 부가적으로 케이블을 통해 커넥터(600)와 연결된 전장부품에 발생되는 일부 노이즈를 메인바디(100)로 배출시킨다는 점에서 제2접지부(420)와 구분된다.
탑커버(200)는 메인바디(100)의 일 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부(210)와, 커버부(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가이드라인(111)에 안착되는 안착면(220)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수용공간(110)을 외부와 차단시켜 내부 전장부품을 보호한다. 이때 경량화를 위하여 탑커버(200) 또한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때 안착면(220)은 말단부에서 밴딩되어 가이드라인(111)의 외측을 감싸도록 처마구조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10)으로 수분, 이물질 등의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체결부(300)에 형성된 중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탑커버(200)를 안정적으로 메인바디(100)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노이즈의 이동 경로를 확장시켜 보다 향상된 노이즈 흐름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10)은 메인바디(100) 및 탑커버(200)가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경량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전장부품, 커넥터(600)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부(300)와 같은 구성 및 제1,2접지부(410,420)를 사출을 통해 메인바디(10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의 간소화 실현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체결부(300)는 커넥터(600)를 수용공간(110)에 설치되는 전장부품과 연결시키기 위하여 메인바디(1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커넥터(600)가 결합되어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쉽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00)는 설치되는 커넥터(60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체결홀(310)이 형성되고, 체결홀(310)의 외주면을 따라 제2-1접지부(4201)가 매설된 접지단(320)이 형성되어 커넥터(60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메인바디(100)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며, 이를 위해 접지단(320)은 커넥터(600)바디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확장단(620)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300)는 정션블록(10)의 용량에 및 설계에 따라 형성 위치 및 수가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300)의 형상 및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되는 것으로 단순 설계 변경에 해당한다.
접지부(400)는 메인바디(100)의 매설되어 정션블록(10)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배출시켜 정션블록(10)의 차폐 성능을 보완한다. 구체적으로 접지부(400)는 노이즈를 차체로 직접 배출시키는 제1접지부(410)와, 노이즈를 메인바디(100)로 배출시키는 제2접지부(420)로 형성되어 노이즈의 배출경로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차폐 성능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이를 위해, 제1접지부(410)는 중공이 형성된 제1바디(411)와, 제1바디(41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1보강단(412)으로 형성되고, 마운틴부(120)에 매설되어 차체로 노이즈를 직접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접지부(410)는 체결부(300)에 근접하는 마운틴부(120)에 매설되는 경우 제1버스바(501)를 통해 커넥터(600)와 직접 연결되어 고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체결부(300) 근접하지 않은 마운틴부(120)에 매설되는 경우 메인바디에서 전달되는 노이즈를 제1보강단(412) 및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로 배출시켜 차폐 성능을 향상시킨다.
정리하면, 정션블록(10)은 외부 노이즈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노이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바디(100) 및 탑커버(200)에서 노이즈를 흡수하여 최종적으로 차체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접지부(410)의 제1바디(411)는 중공으로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차체와 직접 연결되며, 제1보강단(412)는 일 면이 차체에 직접 접촉되어 노이즈를 차체로 직접 배출시켜, 차폐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제1보강단(412)은 제1바디(411)의 양 말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제1접지부(410)와 메인바디(100)의 접촉 면적으로 증대시키는 동시에 인서트 사출 시 제1보강단(412) 사이에 메인바디(100)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제2접지부(420)는 중공이 형성된 제2바디(421)와, 제2바디(42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요철구조가 돌출된 제2보강단(422)으로 형성되고, 메인바디(100)에 매설되어 수용공간으로 방사되는 노이즈가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메인바디(100)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2보강단(422)은 제2바디(421)의 양 말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요입 형성된 확장홈(4221)이 형성되어 제2접지부(420)와 메인바디(100)의 접촉 면적으로 증대시키는 동시에 인서트 사출 시 제2보강단(422) 사이에 메인바디(100)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2접지부(420)를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해보면, 접지단(320)에 형성되어 커넥터(600)로 공급되는 고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직접 전달받아 메인바디(100)로 배출시키는 제2-1접지부(4201)와, 제2버스바(502)를 통해 커넥터(600)와 연결되어 고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메인바디(100)로 배출시키는 제2-2접지부(4202)와, 가이드라인(111)에 매설되어 수용공간(110)으로 방사되는 노이즈 중 탑커버(200)에 흡수된 노이즈를 메인바디(100)로 배출시키는 제2-3접지부(4203)로 구분된다.
다만 이러한 구분은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구분한 것으로, 제2-1접지부(4201)는 커넥터(600)에 직접 접촉되고, 제2-2접지부(4202)제2버스바(502)를 통해 커넥터(600)와 연결되며, 제2-3접지부(4203)는 커버(200)와 접촉되는 점에서 상이하나, 그 형상이 동일하며, 노이즈를 메인바디(100)의 복수의 위치로 분산시켜 전달함으로써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1,2접지부(410,420)는 제1,2보강단(412,422)의 외주면의 요철구조의 유무로 구분되며, 제2접지부(420)는 차체와 직접 연결되는 제1접지부(410)와 달리 메인바디(100)로 노이즈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의 접촉 면적을 보다 증대시켜 노이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션블록(10)은 제1,2접지부(410,420)를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제1접지부(410)보다 생산 비용이 큰 제2접지부(420)의 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도 긍적적인 효과를 가진다.
버스바부(500)는 전도체로 형성되고, 체결부(300)의 일 측에 설치되는 설치단(510)과, 접지부(400)와 연결되는 접촉단(520)과, 설치단(510)과 접촉단(520) 사이에 연장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장부(530)로 형성되어 인접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된 체결부(300)와 접지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노이즈의 배출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설치단(510)은 외부커넥터(600)와의 접촉 면적을 일정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평탄면(511)이 형성되고, 접촉단(520)에는 제1접지부(410) 및 제2-2접지부(4202)의 중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홀(521)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한 간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확보하고, 체결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접촉단(520)과 제1접지부(410) 및 접촉단(520)과 제2-2접지부(4202)를 서로 밀착시켜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버스바부(500)는 연결되는 구성에 따라, 접촉단(520)이 제1접지부(410)와 접촉되는 제1버스바(501)와, 접촉단(520)이 제2-2접지부(4202)와 접촉되는 제2버스바(50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버스바(501)는 메인바디(10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마운틴부(120)에 매설되는 제1접지부(410)와 연결되기 위하여 메인바디(100)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제2버스바(502)는 주변 부품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수용공간(1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버스바(502)의 평탄면(511)은 체결부(300)의 내부면에 안착되되 일 측에서 밴딩되어 메인바디(100)의 일 측 및/또는 접지단(320)으로 연장 형성되어 생산 공정에서 제2버스바(502)가 체결부(300)에 가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체결부(300)와 접지부(400)의 형성 위치에 따라 버스바부(500)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체결부(300)에 제2버스바(502)를 일차적으로 가고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제품의 생산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피로도 및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연장부(530)는 설치단(510)과 접촉단(520)을 사이에서 연장되어 노이즈의 이동경로로 형성하며, 이때 각 제1,2버스바(501,502)가 설치되는 위치를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1버스바(501)는 안착홈(13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버스바(502)는 설치되는 수용공간(110)의 내부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버스바의 연장부(530)의 일 측면은 메인바디(10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밀착면을 통해 일부 노이즈가 메인바디(100)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10)은 커넥터(600) 및 접지부(400)를 연결시키는 버스바부(500)를 구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넥터(600)에서 접지부(400)로 노이즈가 낮은 저항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차폐 성능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커넥터(600)는 체결부(300)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고전압이 케이블을 통해 수용공간(110)에 설치된 다수의 전장부품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체결부(300)의 외측에서 외부장치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600)는 체결부(30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내부에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600)바디와, 커넥터(600)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되어 접지단(320)과 밀착되어 제2-1접지부(4201)와 접촉되는 확장단(620)으로 형성되어 제2-1접지부(4201)를 통해 발생되는 노이즈가 메인바디(100)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접지단(320)에 걸려 커넥터(600)가 수용공간(110)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확장단(620)에는 제2-1접지부(4201)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홀(621) 형성되고, 체결부재는 고정홀(621)과 제2-1접지부(4201)의 중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커넥터(600)를 안정적으로 메인바디(100)에 고정시키고, 커넥터(60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메인바디(100)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10)은 노이즈를 차체로 직접 배출시키거나, 메인바디(100)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접지부(400)를 구비하고, 낮은 저항을 갖는 버스바부(500)를 구비하여 커넥터(60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의 다양한 배출경로를 확보하는 동시에 노이즈의 흐름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메인바디(100) 및 탑커버(200)를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경량화를 실현하면서도 일정 이상의 차폐 성능 또한 확보 가능한 정션블록(10)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원가 절감 및 연비 향상의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정션블록
100 메인바디 110 수용공간
111 가이드라인
120 마운틴부 130 안착홈
140 부싱
200 탑커버 210 커버부
220 안착면 221 관통홀
300 체결부 310 체결홀
320 접지단
400 접지부 410 제1접지부
411 제1바디 412 제1보강단
420 제2접지부 4201 제2-1접지부
4202 제2-2접지부 4203 제2-3접지부
421 제2바디 422 제2보강단
4221 확장홈
500 버스바부 501 제1버스바
502 제2버스바 510 설치단
511 평탄면 520 접촉단
521 연결홀 530 연장부
600 커넥터 610 커넥터바디
620 확장단 621 고정홀

Claims (8)

  1. 차폐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커넥터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부;
    상기 메인바디에 매설되어 전기적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배출시키는 접지부; 및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접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노이즈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버스바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설치단과,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접촉단과, 상기 설치단과 상기 접촉단 사이에 연장되어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연장부로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는
    중공이 형성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양 말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1보강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단의 일 면이 상기 메인바디에서 노출되어 차체에 접촉되며 노이즈를 직접 배출시키는 제1접지부와,
    중공이 형성된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양 말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요입된 복수의 확장홈이 형성된 제2보강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로 노이즈를 배출시키는 제2접지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단은
    상기 커넥터의 일 면에 밀착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바디 또는 상기 제2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접촉단이 상기 제1접지부와 접촉되는 제1버스바와, 상기 접촉단이 상기 제2접지부와 접촉되는 제2버스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트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마운트부까지 연장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스바는
    상기 평탄면이 상기 체결부의 내부면에 안착되되, 일 측에서 밴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일 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으로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직접 접촉되어 노이즈를 상기 메인바디로 전달시키는 제2-1접지부와, 상기 제2버스바를 통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 노이즈를 상기 메인바디로 전달시키는 제2-2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 결합되는 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의 노이즈를 상기 메인바디로 전달시키는 제2-3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KR1020220080741A 2022-06-30 2022-06-30 정션블록 KR102652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41A KR102652972B1 (ko) 2022-06-30 2022-06-30 정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41A KR102652972B1 (ko) 2022-06-30 2022-06-30 정션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60A KR20240002760A (ko) 2024-01-08
KR102652972B1 true KR102652972B1 (ko) 2024-03-29

Family

ID=8953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741A KR102652972B1 (ko) 2022-06-30 2022-06-30 정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0153A (ja) * 2014-05-20 2015-12-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2020072506A (ja) * 2018-10-29 2020-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およびそのアース接続構造
KR102251423B1 (ko) * 2019-11-26 2021-05-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경량화 고전압 정션블록의 차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312B1 (ko) * 2020-09-23 2022-10-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0153A (ja) * 2014-05-20 2015-12-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2020072506A (ja) * 2018-10-29 2020-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およびそのアース接続構造
KR102251423B1 (ko) * 2019-11-26 2021-05-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경량화 고전압 정션블록의 차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60A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284B2 (en) Power cable holding structure for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power cable assembly for vehicle
JP5654306B2 (ja) 導電路接続構造
US9490613B2 (en) Wire harness
JP5572372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8624114B2 (en) Wiring harness
US11527855B2 (en) Integrated multipole connector
CN104838546B (zh) 连接装置
US9742166B2 (en) Wire harness
JP5638898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及びシールドカバー
CN102576961B (zh) 用于内保持器和保护外壳的装配结构
US9425598B2 (en) Sliding type clamp and clamp unit
US20070108939A1 (en) Battery pack
KR102652972B1 (ko) 정션블록
CN107499253B (zh) 线束
JP2006347261A (ja) 高電圧ユニットの配線構造
CN112582949B (zh) 夹持件及线束
US20230187873A1 (en) Shielding element and plug connector
US9960577B2 (en) Wiring harness and routing structure of the same
KR200448814Y1 (ko) 하이브리드 커넥터용 와이어보호커버의 고정구조
US20200079301A1 (en) Holding structure for protection member of wire harness
JP201410097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システム
US20240123919A1 (en) Compound wire harness
JP7264637B2 (ja) ワイヤハーネス
US10618478B2 (en) Wire harness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wire harness
JP2010055924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