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185A -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185A
KR20180073185A KR1020160176762A KR20160176762A KR20180073185A KR 20180073185 A KR20180073185 A KR 20180073185A KR 1020160176762 A KR1020160176762 A KR 1020160176762A KR 20160176762 A KR20160176762 A KR 20160176762A KR 20180073185 A KR20180073185 A KR 20180073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arness
grounding
harness protector
ground
grou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859B1 (ko
Inventor
윤상훈
노경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6017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8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볼트 결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도록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들이 와이어링 하니스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들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압착단자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볼트 결합 고정되는 접지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Ground-integrated wiring harness protector}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점화, 등화, 충전 등의 작동을 위한 배선을 하나로 묶은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는 배터리를 중심으로 전단부의 헤드램프에서 후단부의 리어램프에 이르기까지 차량의 전 부분에 걸쳐 있다. 또한 각 도어와 리어 패널 등에 장착된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와이어링 하니스는 차량의 각 부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해서 와이어 하니스가 심하게 유동되고, 또한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서 파손되기 때문에 반드시 수 개의 와이어링 하니스용 프로텍터로 고정시켜야 한다.
참고적으로 접지(Earth)란 전압의 기준점을 설치하고 인체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기기의 확실한 작동을 위하여 전기장치 또는 전기회로의 적당한 곳을 대지에 의도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다. 차량에서는 배터리의 + 전극에서 전장품(예를 들면, 모터)으로 전기가 흐르고, 이 전장품은 차체로 접지되는 방식을 취한다. 와이어링 하니스용 프로텍터 역시 차량에 탑재되는 전장품들을 접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접지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도 1은 접지 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평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본체(1) 일측에는 고정 브라켓(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3)은 볼트(5)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아울러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본체(1) 일측에는 접지 브라켓(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지 브라켓(7) 역시 볼트에 의해 차체에 접지(9)된다.
즉, 일반적인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에는 고정 브라켓(3)과 접지 브라켓(7)이 함께 형성되므로 차량의 내부공간이 협소해 짐은 물론, 프로텍터의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이 복잡하거나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며, 차체에 고정 브라켓(3)과 접지 브라켓(7) 모두를 고정하기 위한 홀 가공도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63723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별도의 접지 브라켓 형성 없이도 와이어링 하니스를 접지할 수 있는 접지식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차체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접지식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에 의해 보호되는 와이어링 하니스의 차체 접지 시공과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차체 고정 시공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는 접지식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는,
볼트 결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도록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들이 와이어링 하니스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들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압착단자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볼트 결합 고정되는 접지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상기 고정 브라켓 일면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가 안착하기 위한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이 형성되며, 그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 바닥면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 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 방지홈이 더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은 일측 개구형 홈임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의 측벽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정합홈에 삽입되는 정합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식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는 별도의 접지 브라켓 형성 없이도 와이어링 하니스를 접지할 수 있어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설계를 단순화, 소형화할 수 있고, 고정 브라켓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시 와이어링 하니스가 연결된 접지 플레이트를 함께 볼트 체결하기 때문에 접지 체결과 고정 브라켓 고정 공수가 필요하였던 일반 방식에 비해 공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단자의 차체 체결 공수 절감을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접지 구조가 적용된 일반적인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에 결합 가능한 접지 플레이트(2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고정 브라켓(14)과 접지 플레이트(20)의 결합 관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고정 브라켓(14) 저면에 접지 플레이트(20)가 결합된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고정 브라켓(14)에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을 접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에 결합 가능한 접지 플레이트(20)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100의 고정 브라켓(14)과 접지 플레이트(20)의 결합 관계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고정 브라켓(14) 저면에 접지 플레이트(20)가 결합된 상태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결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도록 볼트 삽입홀(1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들(14)이 와이어링 하니스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본체(12)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10)를 포함한다.
본체(12) 외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들(14)의 수와 위치는 차체의 형상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고정 브라켓들(14) 하나가 후술할 접지 플레이트와 볼트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을 차체에 접지시킨다. 이와 같이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을 접지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고정 브라켓(14)은 프로텍터 본체(12)의 일측 끝단에 근접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지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플레이트(20)는 도 2에 도시한 프로텍터 본체(12)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들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압착단자(22)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볼트 삽입홀(26)이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들(14) 중 어느 하나에 볼트 결합 고정됨으로써,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들의 일측을 차체에 접지시킨다.
볼트 삽입홀(26)이 주변의 접지 플레이트(20)의 일면(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브라켓(14)과 접촉하는 면)에는 회전 방지돌기(24)가 형성되어 있고, 접지 플레이트(20)의 측면에는 정합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돌기(24)와 정합홈(28)은 후술하겠지만 고정 브라켓(14)과 볼트 결합되는 경우 접지 플레이트(20)가 회전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술한 접지 플레이트(20)와 고정 브라켓(14)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도 4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14)은 도 2에 도시한 고정 브라켓(14)의 저면을 도시한 것으로, 고정 브라켓(14) 저면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20)가 안착하기 위한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14-1)은 일측 개구형 홈이다.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14-1)의 바닥면에는 접지 플레이트(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 방지돌기(24)가 삽입되는 회전 방지홈(14-2)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14-1)의 측벽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20)의 측면에 형성된 정합홈(28)에 삽입되는 정합돌기(14-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에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본체(1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14)의 저면에 형성된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14-1)에 접지 플레이트(20)를 결합 안착시키되, 접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회전 방지돌기(24)와 정합홈(28)을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14-1)에 형성된 회전 방지홈(14-2)과 정합돌기(14-3)에 맞춰 결합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4) 저면에 접지 플레이트(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결합상태에서 볼트 삽입홀(16) 내로 볼트를 삽입하여 차체에 고정하더라도, 회전 방지돌기(24)와 회전 방지홈(14-2)이 결합, 정합홈(28)과 정합돌기(14-2)가 맞물려 있는 상황이므로 접지 플레이트(20)는 회전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고정 브라켓(14)에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30)을 접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예시한 것이다.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본체(12)에 수용 가능한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3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플레이트(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압착단자(22)에 의해 접지 플레이트(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30)이 연결된 접지 플레이트(20)를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4) 저면에 형성된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14-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삽입홀(16) 내로 볼트를 삽입해 차체와 결합하면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30)들을 접지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접지 브라켓 형성 없이도 와이어링 하니스를 접지할 수 있어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의 설계를 단순화, 소형화할 수 있고, 고정 브라켓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시 와이어링 하니스가 연결된 접지 플레이트를 함께 볼트 체결하기 때문에 접지 체결과 고정 브라켓 고정 공수가 필요하였던 일반 방식에 비해 공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지 플레이트가 고정 브라켓 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저면이 아닌 고정 브라켓 상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볼트 결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도록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들이 와이어링 하니스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본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구성하는 전선들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압착단자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들 중 어느 하나에 볼트 결합 고정되는 접지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일면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가 안착하기 위한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이 형성되며, 그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 바닥면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 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회전 방지홈이 더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은 일측 개구형 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 플레이트 안착홈의 측벽에는 상기 접지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정합홈에 삽입되는 정합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KR1020160176762A 2016-12-22 2016-12-22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KR10187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762A KR101876859B1 (ko) 2016-12-22 2016-12-22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762A KR101876859B1 (ko) 2016-12-22 2016-12-22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185A true KR20180073185A (ko) 2018-07-02
KR101876859B1 KR101876859B1 (ko) 2018-07-11

Family

ID=6291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762A KR101876859B1 (ko) 2016-12-22 2016-12-22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8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174A (ko) 2019-03-07 2020-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KR20220031430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경신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20220039922A (ko) * 2020-09-21 2022-03-30 주식회사 경신 그라운드 일체형 차량용 전장부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043A (ja) * 1994-03-18 1995-10-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の共締め構造
JP2000168469A (ja) * 1998-12-04 2000-06-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の共締め構造
JP2002281637A (ja) * 2001-03-16 2002-09-27 Fuji Heavy Ind Ltd ハーネスプロテクタ取付装置
JP2013093108A (ja) * 2011-10-24 2013-05-16 Toyota Motor East Japan Inc 車両用アース構造
JP6494174B2 (ja) * 2014-04-18 2019-04-0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固定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174A (ko) 2019-03-07 2020-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지단자 장착용 프로텍터
KR20220031430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경신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20220039922A (ko) * 2020-09-21 2022-03-30 주식회사 경신 그라운드 일체형 차량용 전장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859B1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3731B2 (ja) 充電コネクタ及び充電コネクタ組立体の製造方法
JP5378955B2 (ja) コネクタ構造
EP2020701A1 (en) Cable termination
US20130095696A1 (en) Fuse unit
US20140113489A1 (en) Connector with shield shell for cable
US20120302089A1 (en) Ground terminal assembly for a vehicle
EP2456018A1 (en) Waterproof structure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US9761978B2 (en) Multi-ground connector for vehicle
KR101876859B1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CN102870289A (zh) 可附接的插塞式连接器
US20230187873A1 (en) Shielding element and plug connector
KR200368543Y1 (ko)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커넥터 고정장치
KR102242059B1 (ko) 링 터미널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CN108987950B (zh) 用于固定电线的接线端子板以及用于将电线固定在接线端子板上的方法
KR100864242B1 (ko) 멀티코일조립체
KR20230047301A (ko) 인렛용 차폐 버스바
KR100258843B1 (ko) 알터네이터의 b+ 단자 고정구조
KR200144314Y1 (ko) 커넥터 체결장치
KR20210046385A (ko)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KR101527948B1 (ko)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KR200217520Y1 (ko) 플렉시블기판을 이용한 회로분배구조
JP2017034943A (ja) 給電端子、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3843771B2 (ja) 電気接続箱における電気部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