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823A -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 Google Patents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823A
KR20200098823A KR1020190016408A KR20190016408A KR20200098823A KR 20200098823 A KR20200098823 A KR 20200098823A KR 1020190016408 A KR1020190016408 A KR 1020190016408A KR 20190016408 A KR20190016408 A KR 20190016408A KR 20200098823 A KR20200098823 A KR 2020009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eating
cooling
temperatur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900B1 (ko
Inventor
유일수
Original Assignee
유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수 filed Critical 유일수
Priority to KR102019001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900B1/ko
Priority to CN202080000456.1A priority patent/CN113015700B/zh
Priority to PCT/KR2020/001975 priority patent/WO2020166967A2/ko
Publication of KR2020009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14Purification
    • C01D3/20Purification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2Cooling, heating, or insulating the plunger, the mould, or the glass-pressing machine; cooling or heating of the glass in the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2Cooling, heating, or insulating the plunger, the mould, or the glass-pressing machine; cooling or heating of the glass in the mould
    • C03B11/125Cooling
    • C03B11/127Cooling of hollow or semi-hollow articles or their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은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소금은 투입한 후 가열, 냉각 및 분쇄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는 (1) 유리 재료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 (2) 상기 혼합된 유리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용융 단계, (3) 상기 유리 용융액을 성형하여 일정한 형상의 용기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및 (4) 상기 용기 성형물을 냉각하여 유리 용기를 제조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화 유리 용기를 이용하여 소금을 가열하여 용융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소금 내에 잔류하는 불순물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건강에 유익한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MANUFACTURING METHOD FOR SALT FREE OF IMPURITIES AND SALT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화 유리 용기를 이용하여 소금을 가열하여 용융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소금 내에 잔류하는 불순물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건강에 유익한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61%의 염소와 39%의 나트륨으로 구성된 NaCl을 주성분으로 하고, Mg2+, Ca2+, K+, B+, Sr+ 등의 양이온과 Cl-, Br-, SO42- 등이 결합한 다양한 미량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물질로서, 짠맛을 내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소금은 음식물에 짠맛을 내 주기 때문에 식품의 맛을 내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미료로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성분이다. 소금은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는 데, 그 중에서 삼투압작용 때문에 조리 또는 식품 가공 공정상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화합물이다.
소금은 또한 생체 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생명의 유지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체내의 수분을 조절해 주고 소화를 도우며 혈액내의 산-알카리 균형을 이루도록 하며, 특히 나트륨은 사람의 세포외액의 중요한 양이온으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산 염기 평형에 관여하며, 효소 활동에 관여하며, 신경자극전달 물질뿐만 아니라 위산의 생성을 도와 소화액을 구성하고, 혈류량과 혈압을 조절하고 신경자극 전달을 원활하게 하여 신장의 근육이 수축작용을 하는데 필요하다.
소금을 얻는 방법으로는 해수를 농축하여 얻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일정한 설비를 갖춘 염전에 바닷물을 끌어넣어 햇볕과 풍력으로 수분을 증발시켜서 얻은 천일염과 그 천일염을 일차 정제한 정제염으로 대별된다.
천일염은 염도가 80∼88% 이상의 것으로, 이 천일염은 염도는 낮으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정제염은 염도가 95∼99% 이상의 것으로, 이 정제염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은 거의 없으나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성분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결정화된 소금을 탕이나 국 등 전통적인 국물 음식의 간을 맞추기 위해 사용할 때, 낮은 용해도 때문에 간을 맞추지 못하여 고유한 맛을 잃거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두 용해가 되면 과잉의 소금을 섭취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결국, 천일염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정제염은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 등과 같은 성분들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고, 유기염류는 제조원가가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금에는 염화나트륨 뿐만 아니라 간수(MgCl2·6H2O) 및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 간수는 바닷물이나 짠물을 농축시켜서 소금을 채취하고 난 나머지 용액으로 주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이며, 독특한 자극성의 쓴맛을 내어 조리에 이용하는 경우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천일염은 물세척하여 원심분리법으로 해수의 오염물질과 간수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의 간수제거법은 소금자루를 쌓아 1~2년 동안 방치해 놓거나 구멍 뚫린 항아리에 소금을 넣어 2~3년 정도 방치해 두어 흡습성의 간수가 녹아 빠져 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물세척 과정의 용해로 인한 소금손실이 있으며, 간수의 제거율도 크게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선박의 기름유출 등이 연근해로 흘러들어 염전 및 근해가 오염되면서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비소 같은 중금속에 오염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었고, 그에 따라 해수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으로부터 오염된 해수로 만들은 천일염은 소비자들이 불안해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02446호(2014년 05월 26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169795호(2012년 07월 24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11120호(2011년 02월 08일 공개)
본 발명은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화 유리 용기를 이용하여 소금을 가열하여 용융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소금 내에 잔류하는 불순물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건강에 유익한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금속이나 불용해성 유해성분이 제거되어 각종 음식의 조리과정 또는 식품가공 과정에서 사용되는 결정화된 소금을 대체할 수 있고 종래 소금보다 염도가 낮아 건강 지향적인 현대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은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소금은 투입한 후 가열, 냉각 및 분쇄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는 (1) 유리 재료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 (2) 상기 혼합된 유리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용융 단계, (3) 상기 유리 용융액을 성형하여 일정한 형상의 용기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및 (4) 상기 용기 성형물을 냉각하여 유리 용기를 제조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되, 상기 혼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리 재료로는 실리카 430 내지 450 중량부, 붕산 60 내지 80 중량부, 붕사 30 내지 50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7 중량부, 초석 8 내지 12 중량부 및 산화 알루미늄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되고, 상기 용융 단계에서 상기 유리 재료의 가열은 상기 혼합된 유리 재료를 1,000 내지 1,100℃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1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200 내지 1,250℃의 온도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2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2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300 내지 1,350℃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3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3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3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380 내지 1,41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4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4차 가열 용융 단계, 및 상기 4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420 내지 1,450℃의 온도로 2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5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5차 가열 용융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유리 용융액을 1,300 내지 1,500℃의 온도로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용기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냉각 단계는 상기 용기 성형물을 8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각하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냉각하는 2차 냉각 단계, 상기 2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냉각하는 3차 냉각 단계, 및 상기 3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냉각하는 4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투입된 소금의 가열은 강기 소금이 투입된 내열 강화유리 용기를 100 내지 200℃의 온도로 1 내지 3분 동안 1차 가열하여 상기 소금을 예열하는 1차 가열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400 내지 600℃의 온도로 5 내지 10분 동안 2차 가열하는 2차 가열 단계, 상기 2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800 내지 1,00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3차 가열하는 3차 가열 단계, 및 상기 3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1,350 내지 1,42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4차 가열하여 상기 소금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연소시켜 제거함으로써, 투명한 소금 용융액을 제조하는 4차 가열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투명한 소금 용융액의 냉각은 상기 4차 가열되어 형성된 투명한 소금 용융액을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냉각한 후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다시 한번 냉각함으로써 불순물이 연소한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를 제조하며, 상기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의 분쇄는 상기 불순물이 완전 연소한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를 300 내지 800메쉬(mesh)의 입자로 분말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은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화 유리 용기를 이용하여 소금을 가열하여 용융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소금 내에 잔류하는 불순물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건강에 유익한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은 중금속이나 불용해성 유해성분이 제거되어 각종 음식의 조리과정 또는 식품가공 과정에서 사용되는 결정화된 소금을 대체할 수 있고 종래 소금보다 염도가 낮아 건강 지향적인 현대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을 제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분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을 제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은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소금은 투입한 후 가열, 냉각 및 분쇄의 과정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내열 강화유리 용기는 고온의 온도, 예를 들어 1,500 내지 1,800℃의 온도에서 용융되지 않는 유리 용기로,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의 제조방법은 (1) 유리 재료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 (2) 상기 혼합된 유리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용융 단계, (3) 상기 유리 용융액을 성형하여 일정한 형상의 용기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및 (4) 상기 용기 성형물을 냉각하여 유리 용기를 제조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리 재료로는 실리카, 붕산, 붕사, 탄산칼슘, 초석 및 산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유리재료는 실리카 430 내지 450 중량부, 붕산 60 내지 80 중량부, 붕사 30 내지 50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7 중량부, 초석 8 내지 12 중량부 및 산화 알루미늄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용융 단계에서 상기 유리 재료의 가열은 상기 혼합된 유리 재료를 1,000 내지 1,100℃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1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200 내지 1,250℃의 온도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2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2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300 내지 1,350℃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3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3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3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380 내지 1,41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4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4차 가열 용융 단계, 및 상기 4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420 내지 1,450℃의 온도로 2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5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5차 가열 용융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유리 용융액을 1,300 내지 1,500℃의 온도로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용기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용기 성형물의 형상은 제조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냉각 단계는 상기 용기 성형물을 8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각하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냉각하는 2차 냉각 단계, 상기 2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냉각하는 3차 냉각 단계, 및 상기 3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냉각하는 4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금을 얻는 방법으로는 해수를 농축하여 얻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일정한 설비를 갖춘 염전에 바닷물을 끌어넣어 햇볕과 풍력으로 수분을 증발시켜서 얻은 천일염과 그 천일염을 일차 정제한 정제염으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천일염은 염도가 80∼88% 이상의 것으로, 상기 천일염은 염도는 낮으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정제염은 염도가 95∼99% 이상의 것으로, 상기 정제염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은 거의 없으나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성분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소금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소금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천일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천일염에는 미세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천일염을 정제수에 용해하여 천일염 용액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불용성의 미세 불순물을 고형분의 천일염과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천일염 용액에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고,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체를 이용하여 걸러냄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참숯 활성탄은 불쾌한 냄새나 미세 불순물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도 있는데, 상기 천일염 용액에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천일염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불순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참숯 활성탄은 평균 입도가 2000 내지 5000㎛의 범위로 분말화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천일염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숯 활성탄 분말은 3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되어 교반될 수 있는데, 상기 참숯 활성탄 분말이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흡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참숯 활성탄 분말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흡착 효율 증가율이 크지 않고, 공정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가열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천일염을 재결정화하고 건조하여 상기 천일염 용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천일염 용액의 가열은 400 내지 450℃로 예열된 챔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공급노즐을 통해 상기 챔버로 미세 불순물이 제거된 천일염 용액을 분사하는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천일염을 재결정화하고 상기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순수한 수분을 건조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천일염을 일정한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된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분말화된 소금은 입경이 1 내지 5m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투입된 소금의 가열은 상기 소금이 투입된 내열 강화유리 용기를 100 내지 200℃의 온도로 1 내지 3분 동안 1차 가열하여 상기 소금을 예열하는 1차 가열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400 내지 600℃의 온도로 5 내지 10분 동안 2차 가열하는 2차 가열 단계, 상기 2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800 내지 1,00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3차 가열하는 3차 가열 단계, 및 상기 3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1,350 내지 1,42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4차 가열하여 상기 소금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연소시켜 제거함으로써, 투명한 소금 용융액을 제조하는 4차 가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소금 용융액의 냉각은 상기 4차 가열되어 형성된 투명한 소금 용융액을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냉각한 후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다시 한번 냉각함으로써 불순물이 완전 연소한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의 분쇄는 상기 불순물이 완전 연소한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를 300 내지 800메쉬(mesh)의 입자로 분말화함으로써, 중금속이나 불용해성 유해성분, 불순물이 연소 제거되어 각종 음식의 조리과정 또는 식품가공 과정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실리카 440 중량부, 붕산 70 중량부, 붕사 40 중량부, 탄산칼슘 5 중량부, 초석 10.8 중량부 및 산화 알루미늄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된 유리재료를 이용하여 내열 강화유리 용기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천일염을 정제하여 제조된 소금을 투입한 후 도 1a 내지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열 공정을 거쳐 투명한 소금 용융액을 제조한 후, 상기 소금 용융액을 냉각 및 분쇄하는 공정을 거쳐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금을 제조하였다.
< 불순물 측정 >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소금을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은 염화나트륨의 98%를 구성하고 중금속이나 불순물이 제거된 안전하고 위생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

  1.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소금은 투입한 후 가열, 냉각 및 분쇄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는 (1) 유리 재료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 단계, (2) 상기 혼합된 유리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용융 단계, (3) 상기 유리 용융액을 성형하여 일정한 형상의 용기 성형물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및 (4) 상기 용기 성형물을 냉각하여 유리 용기를 제조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되,
    상기 혼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리 재료로는 실리카 430 내지 450 중량부, 붕산 60 내지 80 중량부, 붕사 30 내지 50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7 중량부, 초석 8 내지 12 중량부 및 산화 알루미늄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되고,
    상기 용융 단계에서 상기 유리 재료의 가열은 상기 혼합된 유리 재료를 1,000 내지 1,100℃의 온도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1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200 내지 1,250℃의 온도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2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2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300 내지 1,350℃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여 3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3차 가열 용융 단계, 상기 3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380 내지 1,41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4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4차 가열 용융 단계, 및 상기 4차 가열된 유리 용융액을 1,420 내지 1,450℃의 온도로 2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5차 유리 용융액을 제조하는 5차 가열 용융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유리 용융액을 1,300 내지 1,500℃의 온도로 냉각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용기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냉각 단계는 상기 용기 성형물을 8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냉각하는 1차 냉각 단계, 상기 1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냉각하는 2차 냉각 단계, 상기 2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냉각하는 3차 냉각 단계, 및 상기 3차 냉각된 용기 성형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냉각하는 4차 냉각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강화유리 용기에 투입된 소금의 가열은 강기 소금이 투입된 내열 강화유리 용기를 100 내지 200℃의 온도로 1 내지 3분 동안 1차 가열하여 상기 소금을 예열하는 1차 가열 단계, 상기 1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400 내지 600℃의 온도로 5 내지 10분 동안 2차 가열하는 2차 가열 단계, 상기 2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800 내지 1,00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3차 가열하는 3차 가열 단계, 및 상기 3차 가열된 소금 용기를 1,350 내지 1,42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4차 가열하여 상기 소금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연소시켜 제거함으로써, 투명한 소금 용융액을 제조하는 4차 가열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투명한 소금 용융액의 냉각은 상기 4차 가열되어 형성된 투명한 소금 용융액을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냉각한 후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다시 한번 냉각함으로써 불순물이 연소한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를 제조하며,
    상기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의 분쇄는 상기 불순물이 완전 연소한 재결정화된 소금 덩어리를 300 내지 800메쉬(mesh)의 입자로 분말화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KR1020190016408A 2019-02-13 2019-02-13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KR10229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08A KR102292900B1 (ko) 2019-02-13 2019-02-13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CN202080000456.1A CN113015700B (zh) 2019-02-13 2020-02-12 去除杂质的盐的制备方法以及由此制备的盐
PCT/KR2020/001975 WO2020166967A2 (ko) 2019-02-13 2020-02-12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08A KR102292900B1 (ko) 2019-02-13 2019-02-13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823A true KR20200098823A (ko) 2020-08-21
KR102292900B1 KR102292900B1 (ko) 2021-08-23

Family

ID=7204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408A KR102292900B1 (ko) 2019-02-13 2019-02-13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92900B1 (ko)
CN (1) CN113015700B (ko)
WO (1) WO20201669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08575B (zh) * 2022-09-28 2023-12-01 山东肥城精制盐厂有限公司 一种基于天然岩盐的精制盐生产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546A (ko) * 1989-06-21 1991-01-29 김수영 그릇 성형과 전사공정을 동시 행하는 유리그릇 제조방법
KR19990078465A (ko) * 1998-05-20 1999-11-05 안민 내열성 유백식기 유리조성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5083A (ko) * 2005-08-31 2007-03-08 (주)씨에스에바다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20070041172A (ko) * 2005-10-14 2007-04-18 유길삼 구운 소금의 제조방법
KR20110011120A (ko) 2009-07-28 2011-02-08 송호엽 인체에 유해한 간수(염화마그네슘)와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청정소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169795B1 (ko) 2010-01-19 2012-07-30 양동복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402446B1 (ko) 2013-02-22 2014-06-03 (주)메나리 천일염의 불순물을 제거한 위생적인 액상소금 제조방법
KR20160009902A (ko) * 2014-07-17 2016-01-27 오투에스(O2S) 주식회사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12B1 (ko) * 2000-01-12 2004-04-30 오성은 순수소금의 제조방법
US20040050106A1 (en) * 2002-08-29 2004-03-18 Murnane Rand A. Producing glass using outgassed frit
CN103848441A (zh) * 2012-11-28 2014-06-11 艾力创新有限公司 熔盐之控制冷却纯化法及杂质去除剂
KR101366355B1 (ko) * 2012-12-28 2014-02-21 유성호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한 영양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KR101539508B1 (ko) * 2013-12-11 2015-07-24 정훈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WO2015111524A1 (ja) * 2014-01-24 2015-07-30 旭硝子株式会社 強化用ガラス組成物、強化ガラス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608729A (zh) * 2015-10-21 2017-05-03 山东潍坊润丰化工股份有限公司 副产工业盐熔融处理中避免金属离子沉淀的方法
PT3393986T (pt) * 2015-12-23 2023-07-20 Praxair Technology Inc Forno de vidro com taxa de produção melhorada
CN106629780B (zh) * 2017-03-17 2018-01-30 吉林光盐三百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获得高纯NaCl晶粒的熔融提纯方法
CN107128951B (zh) * 2017-06-22 2019-07-12 南京诚朴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除去无机盐中有机物的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546A (ko) * 1989-06-21 1991-01-29 김수영 그릇 성형과 전사공정을 동시 행하는 유리그릇 제조방법
KR19990078465A (ko) * 1998-05-20 1999-11-05 안민 내열성 유백식기 유리조성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5083A (ko) * 2005-08-31 2007-03-08 (주)씨에스에바다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KR20070041172A (ko) * 2005-10-14 2007-04-18 유길삼 구운 소금의 제조방법
KR20110011120A (ko) 2009-07-28 2011-02-08 송호엽 인체에 유해한 간수(염화마그네슘)와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청정소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169795B1 (ko) 2010-01-19 2012-07-30 양동복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402446B1 (ko) 2013-02-22 2014-06-03 (주)메나리 천일염의 불순물을 제거한 위생적인 액상소금 제조방법
KR20160009902A (ko) * 2014-07-17 2016-01-27 오투에스(O2S) 주식회사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15700A (zh) 2021-06-22
KR102292900B1 (ko) 2021-08-23
CN113015700B (zh) 2023-06-13
WO2020166967A2 (ko) 2020-08-20
WO2020166967A3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44B1 (ko)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717B1 (ko)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00098823A (ko)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KR100427012B1 (ko) 순수소금의 제조방법
KR100702217B1 (ko)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CN106241981A (zh) 一种适合高盐农药废水的处理药剂及其制备方法
KR100718281B1 (ko) 구운 소금의 제조방법
KR20040028886A (ko)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 방법
KR20190115873A (ko) 알칼리성 미네랄수의 제조방법
KR101777388B1 (ko) 정제 소금 제조장치 및 방법
CN101104520A (zh) 一种亚硒酸钠的生产工艺
KR20000007545A (ko) 생소금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12455A (ko) 녹차염 제조방법
CN109730296B (zh) 一种紫竹盐的制备方法
CN105413625A (zh) 多孔二氧化硅在金属过滤方面的应用
JP2007196205A (ja) 魚の骨の炭化物を改良した水質浄化剤。
KR20020011951A (ko) 녹차성분이 함유된 구운소금 제조방법
KR101491739B1 (ko) 금나노 미립자가 함유된 천일금염 제조방법
KR100214223B1 (ko) 위생 송염의 제조방법
KR20090031700A (ko) 고농도 칼슘 농축액 제조방법
KR20030024514A (ko) 불사염의 제조방법
KR20030095806A (ko) 황토숯가마를 이용한 천일염의 정제방법
KR20070082418A (ko) 알칼리성분이 풍부한 식품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16421922B (zh) 一种用于自燃煤层或者油田的固体灭火剂及其制备方法
KR10238193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