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902A -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 Google Patents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902A
KR20160009902A KR1020140090408A KR20140090408A KR20160009902A KR 20160009902 A KR20160009902 A KR 20160009902A KR 1020140090408 A KR1020140090408 A KR 1020140090408A KR 20140090408 A KR20140090408 A KR 20140090408A KR 20160009902 A KR20160009902 A KR 20160009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temperature
melting furnace
molten salt
b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민경
Original Assignee
오투에스(O2S)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투에스(O2S)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투에스(O2S)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902A/ko
Publication of KR2016000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용융(高溫鎔融)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은, (a) 순수한 천일염을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b) 탈수한 천일염(100)을 용융 소금 소성용 용기(容器)(110)(120)에 수납하는 단계; (c) 상기 용기(110)(120)를 용융로(130)의 이동대차(132)상에 층층이 적재하는 단계; (d) 상기 이동대차(132)를 용융로(130)에 장입하고, 600~750℃의 온도로서 30~120분 가열하여 1차 소성하는 단계; (e) 상기 용융로(130)의 온도를 올려서 800~1,000℃의 온도로서 10~60분 가열하여 2차 소성하는 단계; (f) 상기 용융로(130)의 온도를 내려서 600~750℃의 온도로서 30~120분 가열하여 3차 소성하는 단계; (g) 2~5시간에 걸쳐 용융로(130)의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키는 단계: (h) 상기 용기(110)(120)로부터 용융소금을 분리하는 단계; (i) 분리된 용융소금을 분쇄하는 단계; (j) 분쇄된 용융소금을 규격별로 선별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Manufacturing method of high temperature melting salt and the salt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용융(高溫鎔融)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salt)의 어원은 小金이다. 즉 음양오행 중 쇠(鐵)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먹을 수 있는 금속이다. 이러한 소금은 짠맛이 나는 흰색의 결정체로서, 염화나트륨(NaCl)이 주성분이며 동물체에는 생리적으로 필수 구성성분이다. 소금은 염화나트륨 이외에 수분, 불용해성 물질, 철분, 구리 등을 함유한다.
이러한 소금은 배추와 같은 채소의 부패를 방지하며, 음식에 들어가면 재료의 맛을 돋구고 우리 몸에 들어가면 피를 맑게 한다. 소금에는 원염(原鹽), 분쇄염, 식염, 정제염, 특급정제염, 식탁염 외에도 특별한 용도로 쓰이는 각종 가공염이 있다.
원염과 분쇄염은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95%이상이며, 특히 원염에는 암염(岩鹽), 천일염(天日鹽), 바닷물로 만드는 조제염(粗製鹽)등이 포함된다.
식염은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99% 이상으로서 식용(食用)으로 요리의 조미,절임 등에 널리 사용된다. 정제염은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99.5%이고 요리의 맛을 내는데 주로 사용한다. 특급정제염은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99.8% 이상이다. 식탁염은 염화나트륨의 순도가 99.0% 이상인 것으로, 명칭 그대로 식탁에 놓고 완성된 요리위에 뿌려서 맛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이중에서 식염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 암염을 캐내거나 해수를 증발시켜 소금을 얻고난 후 소금의 질에 따라 등급을 나눈 다음, 부수고 채에 쳐서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다.
그런데, 식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스, 미네랄, 간수 등이 함유되는 바, 가스는 우리 몸의 혈압을 팽창시키므로 제거해야 하다. 소금에 들어있는 미네랄은 무기질 미네랄로서 우리 몸에 흡수가 되지 않으므로 이를 그대로 섭취하면 몸안에 쌓일 수 있어 해롭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간수는 두부를 만들 때 단백질을 응고시키게 되고, 응고된 단백질을 사람이 먹으면 피가 응어리진다. 따라서, 간수 성분도 제거하여야 한다.
소금을 열처리하여 식염으로 사용하면 인체에 유익하다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유해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서 소금에 열을 가하여 볶은 소금 또는 구운 소금을 제조하는 바, 통상적으로 볶은 소금 또는 구운 소금은 소금의 녹는 점인 800.4℃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제조하는데, 녹는 철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끓이면 끓일수록 점점 품질이 좋아지는 물성을 갖는다. 이때 순수 염화나트륨의 비율은 고작 88%에 지나지 않으며, 간수와 가스 그리고 미네랄이 제거되지 않는다.
즉, 고온에서 소금에 열을 가할 뿐이지 실제로 소금을 완전 용해시키지 못하므로, 이러한 불순물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한 상태로 시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천일염, 암염, 가공염 등 다양한 원천의 분말소금을 고온(1,000℃ 내외, 경우에 따라서 그 이상의 열을 사용 가능)의 용융로에 넣어 용융하여 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50056호(2001. 09. 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15009호(2014. 06. 2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일염이 함유하는 유해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하여 인체에 이로운 순수한 염분만의 섭취가 가능한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순수한 천일염을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b) 탈수한 천일염(100)을 용융 소금 소성용 용기(容器)(110)(120)에 수납하는 단계; (c) 상기 용기(110)(120)를 용융로(130)의 이동대차(132)상에 층층이 적재하는 단계; (d) 상기 이동대차(132)를 용융로(130)에 장입하고, 600~750℃의 온도로서 30~120분 가열하여 1차 소성하는 단계; (e) 상기 용융로(130)의 온도를 올려서 800~1,000℃의 온도로서 10~60분 가열하여 2차 소성하는 단계; (f) 상기 용융로(130)의 온도를 내려서 600~750℃의 온도로서 30~120분 가열하여 3차 소성하는 단계; (g) 2~5시간에 걸쳐 용융로(130)의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키는 단계: (h) 상기 용기(110)(120)로부터 용융소금을 분리하는 단계; (i) 분리된 용융소금을 분쇄하는 단계; (j) 분쇄된 용융소금을 규격별로 선별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110)(120)는 지오라이트(zeoite) 재료의 세라믹 용기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110)는 원형 또는 사각 형태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온에서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소금을 완전 용해시켜서 천일염이 함유하는 유해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하여 인체에 이로운 순수한 염분만의 섭취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천일염이 세라믹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세라믹 용기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용융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천일염이 세라믹 용기에 수납된 상태에서 용융로 이동대차에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온용융소금이 세라믹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전금구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천일염이 세라믹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세라믹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용융로를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에 사용되는 천일염이 세라믹 용기에 수납된 상태에서 용융로 이동대차에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온용융소금이 세라믹 용기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은 천일염 탈수단계(S10), 용기(容器) 수납단계(S11), 용융로 적재단계(S12), 1차 소성단계(S13), 2차 소성단계(S14), 3차 소성단계(S15), 용융로 온도 하강단계(S16), 용융소금 분리단계(S17), 분쇄단계(S18), 선별 및 포장단계(S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순수한 천일염을 탈수하여 천일염에 함유된 각종 불순물을 제거한다(S10).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한 천일염(100)을 용융 소금 소성용 용기(容器)(110)(120)에 수납한다(S11). 이때 용기(110)(120)는 약 1,000℃ 온도에 견디는 지오라이트(zeoite) 재료의 세라믹 용기로 준비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용기(110)는 원형 형태를 갖거나, 도 3을 참조하면 용기(120)는 사각 형태등 여러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120)를 같은 형태끼리 차례로 용융로(130)의 이동대차(132)상에 층층이 적재한다(S12).
이후, 이동대차(132)를 용융로(130)에 장입하고, 1차 소성한다(S13). 이때 소성 에 따른 온도 및 시간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용융로(130)의 온도를 서서히 올려서 약 600~750℃의 온도로서 약 30~120분 가열한다.
이후, 용융로(130)의 온도를 올려서 약 800~1,000℃의 온도로서 약 10~60분 가열하여 2차 소성한다(S14).
이후, 용융로(130)의 온도를 내려서 1차 소성 온도와 같은 약 600~750℃의 온도로서 약 30~120분 가열하여 3차 소성한다(S15).
이후, 약 2~5시간에 걸쳐 용융로(130)의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킨다(S16).
이후, 용기(110)(120)로부터 용융소금을 분리해낸다(S17). 즉, 상기 용기(110)(120)내에는 천일염이 용융되어 반원 형태 또는 사각 형태로서 고형화된 상태이며, 이러한 용융소금을 용기(110)(120)로부터 분리(탈거)시킨다.
이후, 분리된 용융소금을 분쇄하고(S18), 분쇄된 용융소금을 규격별로 선별 및 포장하여(S19), 출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고온용융소금(200)이 용기(110)에 수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고온용융소금(200)은 천일염(100)이 고온(1,000℃)으로 열처리됨에 따라 식염으로 사용할 경우 유해성분 제거를 통해 인체에 유익하다
즉, 고온에서 천일염(100)에 열을 가하여 소금을 완전 용해시켜서 천일염(100)이 함유하는 유해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하여 인체에 이로운 순수한 염분만의 섭취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용소금 제조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천일염 110,120 : 용기
130 : 융용로 132 : 이동대차
200 : 고온용용소금

Claims (4)

  1. (a) 순수한 천일염을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b) 탈수한 천일염(100)을 용융 소금 소성용 용기(110)(120)에 수납하는 단계;
    (c) 상기 용기(110)(120)를 용융로(130)의 이동대차(132)상에 층층이 적재하는 단계;
    (d) 상기 이동대차(132)를 용융로(130)에 장입하고, 600~750℃의 온도로서 30~120분 가열하여 1차 소성하는 단계;
    (e) 상기 용융로(130)의 온도를 올려서 800~1,000℃의 온도로서 10~60분 가열하여 2차 소성하는 단계;
    (f) 상기 용융로(130)의 온도를 내려서 600~750℃의 온도로서 30~120분 가열하여 3차 소성하는 단계;
    (g) 2~5시간에 걸쳐 용융로(130)의 온도를 서서히 하강시키는 단계:
    (h) 상기 용기(110)(120)로부터 용융소금을 분리하는 단계;
    (i) 분리된 용융소금을 분쇄하는 단계;
    (j) 분쇄된 용융소금을 규격별로 선별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10)(120)는 지오라이트(zeoite) 재료의 세라믹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10)는 원형 또는 사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온용융소금.
KR1020140090408A 2014-07-17 2014-07-17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KR20160009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408A KR20160009902A (ko) 2014-07-17 2014-07-17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408A KR20160009902A (ko) 2014-07-17 2014-07-17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902A true KR20160009902A (ko) 2016-01-27

Family

ID=5530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408A KR20160009902A (ko) 2014-07-17 2014-07-17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90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96U (ko) * 2017-09-15 2019-06-12 박현 사각 내화갑 내부 바닥면이 둥근 원형으로 원각을 이루어 형성된 용융소금 소성용 세라믹 용기
KR102089924B1 (ko) * 2019-08-28 2020-03-17 김다솜 미세 플라스틱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 방법
KR20200029824A (ko) * 2018-09-11 2020-03-19 이재원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20200042154A (ko) * 2018-10-15 2020-04-23 안호현 기능성 청정소금
KR20200098823A (ko) * 2019-02-13 2020-08-21 유일수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KR20200144699A (ko) * 2019-06-19 2020-12-30 (주)솔트앤바이오 무 분말이 포함된 소금 제조방법
KR102386106B1 (ko) * 2021-09-27 2022-04-15 하늘이 준 선물 주식회사어업회사법인 가열로에 의한 소금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56Y1 (ko) 2001-04-07 2001-11-16 문응현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한 열처리장치
KR101415009B1 (ko) 2013-03-18 2014-07-04 조종수 용융소금블록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56Y1 (ko) 2001-04-07 2001-11-16 문응현 소금의 완전용해가 가능한 열처리장치
KR101415009B1 (ko) 2013-03-18 2014-07-04 조종수 용융소금블록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396U (ko) * 2017-09-15 2019-06-12 박현 사각 내화갑 내부 바닥면이 둥근 원형으로 원각을 이루어 형성된 용융소금 소성용 세라믹 용기
KR20200029824A (ko) * 2018-09-11 2020-03-19 이재원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20200042154A (ko) * 2018-10-15 2020-04-23 안호현 기능성 청정소금
KR20200098823A (ko) * 2019-02-13 2020-08-21 유일수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WO2020166967A3 (ko) * 2019-02-13 2021-05-14 유일수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CN113015700A (zh) * 2019-02-13 2021-06-22 兪一守 去除杂质的盐的制备方法以及由此制备的盐
CN113015700B (zh) * 2019-02-13 2023-06-13 兪一守 去除杂质的盐的制备方法以及由此制备的盐
KR20200144699A (ko) * 2019-06-19 2020-12-30 (주)솔트앤바이오 무 분말이 포함된 소금 제조방법
KR102089924B1 (ko) * 2019-08-28 2020-03-17 김다솜 미세 플라스틱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 방법
KR102386106B1 (ko) * 2021-09-27 2022-04-15 하늘이 준 선물 주식회사어업회사법인 가열로에 의한 소금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9902A (ko) 고온용융소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온용융소금
KR101539508B1 (ko)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N103833052A (zh) 食品级氯化钾的制造工艺方法
CN103766804A (zh) 一种野生葛根粉的生产工艺
CN102524510B (zh) 一种低氟南极磷虾蛋白基料的制备方法
CN103070357A (zh) 一种冻魔芋豆腐的生产方法
CN104041784A (zh) 辣油、辣酱的制作方法及该方法制作的辣油、辣酱
JP4693816B2 (ja) ペースト状のカキ肉エキスの製造方法
KR100702217B1 (ko)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JP2005502374A5 (ko)
CN104799133A (zh) 脱脂猪手的制作方法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3669B1 (ko) 홍게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800985A (zh) 一种融合沙棘的多品种食用竹盐及其制备方法
CN104705721A (zh) 一种紫薯保健饮料及其制作方法
KR101852119B1 (ko) 도루묵 식해의 제조방법
CN108991106A (zh) 一种鲜核桃仁罐头的制备方法
KR102662891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JP2005278509A (ja) 機能性飲料の製造方法
JP2017086053A (ja) ニンニクコーヒーの製造方法
CN104223263A (zh) 一种蓝莓果浆及其制作工艺
CN104920590A (zh) 一种利用海盐干燥栀子果的方法
KR20180020589A (ko) 현무암을 이용한 소금가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패키지
KR20070025082A (ko) 순수 소금 조미료의 제조방법
CN105146283A (zh) 一种小米汤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