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795B1 -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795B1
KR101169795B1 KR1020100004925A KR20100004925A KR101169795B1 KR 101169795 B1 KR101169795 B1 KR 101169795B1 KR 1020100004925 A KR1020100004925 A KR 1020100004925A KR 20100004925 A KR20100004925 A KR 20100004925A KR 101169795 B1 KR101169795 B1 KR 10116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team
loading container
wat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249A (ko
Inventor
양동복
Original Assignee
양동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복 filed Critical 양동복
Priority to KR102010000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7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일염에 고온의 증기를 접촉시켜 간수와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은 바닥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홀이 형성된 적재용기의 내부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천일염투입단계와, 천일염에 증기를 가하여 상기 천일염으로부터 발생한 간수를 상기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증기접촉단계와,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salt using steam}
본 발명은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일염에 고온의 증기를 접촉시켜 간수와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식물의 발효액이나 추출액을 첨가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모든 생명체가 생존과 번성함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알려져 왔다.
소금은 사람의 세포 외액의 중요한 양이온으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산염기 평형에 관여하며 신경자극 전달물질뿐만 아니라, 위산의 생성을 도와 소화액을 구성하고, 효소활동에 관여하며, 가장 순수한 짠맛을 내기 때문에 식품의 맛을 내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미료로 많이 이용된다.
우리나라의 천일염의 특징은 세계 5대 갯벌 중의 하나로서 미네랄이 풍부한 갯벌염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산기반으로 천일염은 몸에 좋은 알칼리성 소금으로 산화가 낮고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등 다양한 양이온들을 함유하고 있어 연화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우리의 전통식품 김치, 장류, 젓갈류 등 그 고유의 맛과 풍미를 유지시켜왔다.
이러한 소금에는 염화나트륨뿐만 아니라 간수(Mgcl2?6H2O) 및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 간수는 바닷물이나 짠물을 농축시켜서 소금을 채취하고 난 나머지 용액으로 주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이며, 독특한 자극성의 쓴맛을 내어 조리에 이용하는 경우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천일염은 물세척하여 원심분리법으로 해수의 오염물질과 간수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의 간수제거법은 소금자루를 쌓아 1~2년 동안 방치해 놓거나 구멍 뚫린 항아리에 소금을 넣어 2~3년 정도 방치해 두어 흡습성의 간수가 녹아 빠져 나가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과 물세척 과정의 용해로 인한 소금손실이 있으며, 간수의 제거율도 크게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67144호에는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 습도를 95%, 온도 30℃의 저장고에 2 내지 3주간 소금을 적재하여 간수를 용출시키는 데, 이는 간수를 제거하는 데 많은 기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까지 함께 배출되므로 소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 천일염의 간수를 제거하여 품질이 좋은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에 미네랄 등을 강화하고 이와 함께 천일염에 식물의 다양한 유효성분과 기능성을 더하기 위하여 식물의 발효액이나 추출액을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될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을 만들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은 바닥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홀이 형성된 적재용기의 내부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천일염투입단계와; 상기 천일염에 증기를 가하여 상기 천일염으로부터 발생한 간수를 상기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증기접촉단계와; 상기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접촉단계 후 상기 천일염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천일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간수를 털어내는 공기접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접촉단계 후 식물로부터 추출한 정유가 혼입된 증기를 상기 천일염에 가하는 후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단계 후 상기 천일염을 유색으로 물들이는 염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색단계는 식물로부터 얻어진 유색의 추출액 또는 발효액에 상기 천일염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물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접촉단계는 증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상기 적재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증기유입관을 통해 공급하고 상기 증기유입관을 통해 공급되는 증기를 상기 증기유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적재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적재용기의 내부로 분사하되 상기 적재용기의 내벽에 증기가 충돌하도록 분사하여 상기 천일염에 증기를 접촉시키고, 상기 분사노즐의 하방에는 응축수 저장용기를 설치하여 상기 분사노즐에서 발생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에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천일염에 고온의 증기를 접촉시켜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이 좋은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에 식물의 유효성분을 첨가하여 미네랄 등을 강화하고 위생적이면서도 영양, 맛, 향, 색상 등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될 수 있는 유색의 기능성 소금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금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증기접촉단계에 적용된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적재용기의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기접촉단계에 적용된 분사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제조된 소금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금의 제조방법은 크게 천일염투입단계와, 증기접촉단계와, 공기접촉단계와,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천일염투입단계에서 바닥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홀이 형성된 적재용기의 내부에 천일염을 투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용기(10)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재용기(10)의 상부에는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5)이 설치된다. 바닥(13)에 형성된 배출홀(15)은 천일염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를 적재용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적재용기(10)의 하부에는 적재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간수를 저장할 수 있는 간수저장용기(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수저장용기(30)에는 간수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관(미도시)이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간수저장용기(30)의 일측에는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증기배출관(35)이 설치된다. 증기배출관(35)에는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된다.
적재용기(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홀(15)은 천일염의 결정 입자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0.4 내지 1.2mm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배출홀(15)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이와 달리 바닥이 없는 적재용기의 하부에 망체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망체는 통상적으로 와이어를 종횡으로 엮은 구조이다. 이때 와이어의 소재로는 스테인레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용기(10)의 상부에는 적재용기(10)의 내부로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증기유입관(51)이 설치된다. 증기유입관(51)은 적재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60)과 연결된다. 분사노즐(60)은 소금 위에 골고루 증기를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예에서 분사노즐(60)은 증기유입관(51)과 연결된 제 1파이프(61)와, 제 1파이프(6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 1파이프(6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 2파이프(65)로 구비된다. 제 2파이프(65)의 개구된 양측은 적재용기(10)의 내벽을 향한다. 따라서 증기유입관(51)을 통해 유입되는 증기는 제 1파이프(61)를 거쳐 제 2파이프(65)의 개구된 양측에서 분사되어 적재용기(10)의 내벽에 부딪혀 일부의 수증기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소금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60)의 구조에 의해 증기를 분산시켜 소금의 상부에 골고루 증기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증기를 바로 소금으로 분사시키지 않고 적재용기의 뚜껑 또는 내벽에 부딪혀 나오는 증기가 소금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분사노즐(60)의 하방에는 제 2파이프(65)의 개구된 양단에서 응축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받을 수 있도록 응축수저장용기(80)를 설치한다. 이는 응축수가 소금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응축수저장용기(80)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으로 형성된다. 응축수저장용기(80)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적재용기(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금 위에 올려 놓아 설치할 수 있다.
증기유입관(51)은 통상적인 증기발생기(50)에 연결된다. 증기발생기(50)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는 증기유입관(51)을 통해 분사노즐(60)로 공급되며, 분사노즐(60)을 통해 증기가 분사된다.
분사노즐의 다른 예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분사노즐(90)은 증기유입관(51)과 연결된 일자형의 제 1파이프(91)와, 제 1파이프(91)의 양단과 연결되는 환형의 제 2파이프(9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파이프(95)의 바깥측에는 증기가 분사되는 분사공(97)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분사공(97)을 통해 나오는 증기는 적재용기의 내벽에 부딪힌다.
본 발명에서 증기는 액체가 증발하여 생긴 기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증기로 물을 증발시킨 수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적재용기(10)의 내부에 천일염을 일정한 높이로 적재한다. 가령, 직경 35cm, 높이 45cm의 적재용기의 내부에 소금 9kg을 투입한다. 이때 소금은 적재용기(10)의 내부에 가득 차지 않도록 한다. 적재용기의 상부는 증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일정 용량의 빈 공간을 확보한다. 소금의 적재방법으로 적재용기의 내부에 소금을 직접 쌓지 않고 천일염이 담긴 소금자루를 적재용기의 내부에 투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재용기(10)에 천일염을 넣기 전에 전처리공정으로서 예비건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비건조단계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예비건조단계를 미리 수행함으로써 간수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적재용기(10)의 하부에 간수저장용기(30)를 설치한 후 적재용기(10)의 내부에 소금을 투입한 다음 증기유입관(51)에 설치된 밸브를 조작하여 증기발생기(50)에서 생성된 증기를 적재용기(1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적재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의 온도는 110 내지 130℃이다.
적재용기(10) 내의 압력이 1.2 내지 2.5기압에 도달할 때까지 증기 배출관(35)을 잠군 상태에서 증기를 적재용기(1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적재용기(10) 내의 압력이 1.2 내지 2.5기압에 도달하면 증기 배출관(35)을 개방하여 적재용기의 내부 압력을 0.6 내지 1.2 기압으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증기를 계속적으로 유입시킨다.
천일염과 접촉하는 고온의 증기에 의해 소금의 결정은 수분을 흡수하여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와 각종 불순물이 빠른 시간에 배출된다. 불순물은 간수와 함께 섞여 배출홀(15)을 통해 간수저장용기(30)로 흘러내린다. 이와 함께 일부의 증기는 응축되어 간수저장용기(30)로 간수와 함께 흘러내린다. 그리고 나머지의 증기는 소금의 결정 입사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홀(15)을 통해 간수저장용기(30)로 유입되고 증기배출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증기접촉단계 완료 후 공기접촉단계를 수행한다. 공기접촉단계에서 적재용기(10)의 내부에 3 내지 6bar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천일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간수를 털어낸다. 특히, 소금의 결정 입자들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공극에는 간수 또는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데,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빠져나가지 못한 간수 또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공기접촉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유입관의 중간에 공기공급관(71)을 연결하고, 공기공급관(71)에는 밸브를 설치한다. 그리고 공기공급관(71)에는 고압의 공기를 만드는 공기압축기(70)가 연결된다. 증기접촉단계 후 증기유입관(51)에 설치된 밸브를 잠그고, 공기공급관(71)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 공기압축기(70)에서 발생한 고압공기를 분사노즐을 통해 적재용기의 내부로 분사시킨다. 분사노즐(90)을 통해 고압의 공기는 천일염으로 분사된다.
다음으로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적재용기(10)에서 꺼내어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소금을 제조한다. 건조단계에서 천일염에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한다. 건조방법으로 자연건조나 열풍건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공기접촉단계를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접촉단계를 생략하는 경우 증기접촉단계 후 식물로부터 추출한 정유가 혼입된 증기를 천일염에 가하는 후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후첨단계를 통해 정유에 함유된 각종 유용성분을 천일염에 침투시킨다. 일 예로 증기유입관(51)에 정유를 무화시킨 형태로 유입시키게 되면 증기와 정유가 혼합되어 적재용기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정유 이외에도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무화시킨 형태로 증기유입관에 유입시켜 증기와 혼합한 형태로 적재용기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건조단계 후 천일염을 유색으로 물들이는 염색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염색단계는 천연식물로부터 얻어진 유색의 발효액 또는 추출액을 천일염과 혼합한 후 숙성시켜 물들인다. 발효액 또는 추출액은 천연식물을 발효시켜 얻거나 천연식물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얻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소금은 혼합되는 발효액 또는 추출액에 이용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식물의 유효성분과 고유한 향과 맛, 영양과 색상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의 천일염이 한 가지 색상을 갖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소금은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포도를 주재료로 하여 얻어진 포도 발효액을 이용하여 분홍색의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발효액을 얻기 위해 먼저, 적포도를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껍질째 으깨어 포도를 준비한다. 그리고 포도와 흙설탕을 중량비로 1: 0.2로 혼합한 후 18 내지 20℃에서 약 3개월간 발효시킨 후 고형물을 걸러내고 2개월간 더 숙성시켜 포도 발효액을 준비한다.
그리고 치자를 가열추출하여 얻은 치자추출액을 이용하는 경우 노랑색 소금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건치자를 약 60℃의 물에 10시간 정도 담가 추출액을 얻는다.
함초추출액을 얻기 위해 생함초의 성장조직이 완성될 무렵, 즉 꽃피는 시기의 생함초를 8~9월경에 뿌리째 채집한 후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2회 내지 3회정도 세척하여 이물질과 흙을 제거한다. 세척된 생함초는 건조시켜 생함초 중량의 약 11 내지 13%가 되도록 건조시킨다. 건조시킨 함초는 2~3cm전후 크기로 세절한 후 물과 혼합하여 가열추출한다. 이 경우 건함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 내지 300중량부를 혼합하고, 110 내지 130도 정도로 약 5 내지 7시간 정도 가열한 다음 거름망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고형물을 걸러내어 함초추출액을 얻는다.
함초에는 나트륨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이 중 나트륨은 함초 생초 100g당 1000 내지 10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이러한 함초추출액을 이용하면 소금의 미네랄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간수의 제거시 간수와 함께 일부 미네랄이 함께 제거될 수 있는 데, 이러한 함초추출액은 미네랄을 보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외에도 피망, 고추, 시금치, 브루콜리, 당근, 홍화, 대나무 잎 등 식품공전에 등록된 식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추출액은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하여 식용이 가능하고, 유색을 갖는 것이라면 나무, 과일 또는 채소의 줄기, 잎, 열매 등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추출의 형태는 착즙이나 열수 추출, 냉침 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물로부터 얻어진 발효액 또는 추출액은 소금에 색상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각 식물이 갖는 유용성분을 소금에 더함으로써 소금의 유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발효액은 열을 가하지 않으므로 식물이 가지는 유효성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염색단계는 간수를 제거한 한 후 건조시킨 천일염 1kg에 대하여 추출액 또는 발효액 50 내지 150㎖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골고루 교반한 후 12 내지 36시간 정도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추출액 또는 발효액이 천일염의 입자 내부로 침투되어 다양한 색상을 갖는 소금이 제조된다.
염색단계에서 염색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건조된 천일염을 잘게 파쇄하는 파쇄단계를 염색단계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 파쇄된 천일염은 표면적의 증대를 가져와 빠른 시간에 추출액 또는 발효액이 천일염의 입자 내부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염색단계가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건조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건조단계는 이전의 건조단계와 동일한 방법, 즉 자연건조나 열풍건조 방식으로 수행된다. 건조단계를 거쳐 수분함량 2 내지 10%의 유색의 기능성소금이 제조된다. 최종적으로 건조단계까지 수행하는 실시 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남 신안군 신의면 솔잎염전에서 제조한 천일염을 직경 35cm, 높이 45cm의 적재 용기에 9kg을 적재한 후 분사노즐을 통해 110℃의 수증기를 유입시켰다. 적재용기의 내부의 압력이 2.0기압에 도달한 후 1.0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증기배출관을 조작한 다음 60분 동안 수증기를 유입시켰다. 그리고 나서 8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파쇄하여 소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상기 실시 예 1에서 얻은 소금 5kg에 함초추출액 500㎖를 혼합한 후 20℃에서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8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갈색의 소금을 제조하였다. 함초추출액은 하기의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개펄에서 자생하는 함초를 9월경 뿌리째 채집하여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2회 내지 3회 정도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이때 건함초의 중량은 생함초 중량의 약 12%였다. 건함초는 2~3cm전후 크기로 세절한 후 물과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가열추출하였다. 건함초 5kg에 대하여 물 12.5ℓ를 혼합하고 120℃에서 6시간 가열한 다음 부직포를 이용하여 고형물을 걸러내어 염도 13도의 함초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3)
상기 실시 예 1에서 얻은 소금 5kg에 포도발효액 650㎖를 혼합한 후 20℃에서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8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분홍색의 소금을 제조하였다. 포도발효액은 하기의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포도 발효액은 으깨어 준비한 적포도 10kg과, 흙설탕 2kg을 혼합하여 20℃에서 3개월간 발효시킨 후 고형물을 걸러내고 2개월간 더 숙성시켜 포도 발효액을 얻었다.
(실시예4)
상기 실시 예 1에서 얻은 소금 5kg에 치자추출액 500㎖를 혼합한 후 20℃에서 24시간 숙성시킨 다음 8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노랑색의 소금을 제조하였다. 치자추출액은 하기의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치자추출액은 건치자 100g을 약 60℃의 물 1ℓ에 10시간 정도 담가서 얻었다.
1. 성분분석
상기 실시 예 1 내지 4의 소금에 대한 성분분석을 국립목포대학교 천일염 및 염색식물 산업화사업단에 분석의뢰하였고, 실시 예 1의 결과를 대조구와 함께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구로 실시 예 1에서 사용한 천일염을 이용하였다.
구분 실시예1 대조구
염화나트륨(%) 89.451 86.18
수분(%) 7.481 9.28
불용분(%) 0.0019 0.0077
양이온:AAS(Hitachi, japan)

Na(ppm) 413050 368750
Mg(ppm) 6862.1 11605
K(ppm) 2905.9 3700.2
Ca(ppm) 1935.9 2254.3
상기 표 1에서 상기 양이온들을 제외한 다른 양이온들은 극히 미량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략하였다.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간수의 주성분을 이루는 마그네슘 이온이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대조구의 마그네슘은 11605ppm이고, 실시 예 1의 마그네슘은 6862.1ppm이다. 이는 마그네슘이 약 40.9%감소한 결과이다.
이에 반해 칼륨, 칼슘은 대조구에 비해 약 21.5%, 14.1%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마그네슘에 비해 감소량이 크게 낮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이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의 감소를 최대한 방지하면서도 간수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천일염에 함유된 불용분 역시 0.0019%로서 크게 줄어들어 불순물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 2 내지 실시 예 4에서 양이온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양이온:AAS(Hitac
hi, japan)
Na(ppm) 414720 417690 416050
Mg(ppm) 6923.1 6959.2 6919.9
K(ppm) 3512.9 3833.7 4158.2
Ca(ppm) 2268.4 2342.8 2347.7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 예 2 내지 실시 예 4 모두 상기 표 1에 나타난 실시 예 1에 비해 양이온들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천연식물로부터 얻은 추출액이나 발효액을 이용하여 소금을 염색함으로써 색상뿐만 아니라 미네랄 강화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외관 관찰
상기 실시 예 1 내지 4의 소금을 촬영한 사진을 도 5 내지 도 8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5는 실시 예 1의 소금을, 도 6은 실시 예 2의 소금을, 도 7은 실시 예 3의 소금을, 도 8은 실시 예 4의 소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존의 천일염과 달리 흙갈색, 분홍색, 노랑색 등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소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 져야할 것이다.
10:적재 용기 13: 바닥
15: 배출홀 30: 간수저장용기
35: 증기배출관 50: 증기발생기
51: 증기 유입관 60: 분사노즐

Claims (6)

  1. 바닥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배출홀이 형성된 적재용기의 내부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천일염투입단계와;
    상기 적재용기 내부에 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천일염으로부터 발생한 간수를 상기 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증기접촉단계와;
    상기 적재용기 내부에 3 내지 6bar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천일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간수를 털어내는 공기접촉단계와;
    상기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접촉단계 후 식물로부터 추출한 정유가 혼입된 증기를 상기 천일염에 가하는 후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후 상기 천일염을 유색으로 물들이는 염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단계는 식물로부터 얻어진 유색의 추출액 또는 발효액에 상기 천일염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물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접촉단계는 증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상기 적재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증기유입관을 통해 공급하고, 상기 증기유입관을 통해 공급되는 증기를 상기 증기유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적재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적재용기의 내부로 분사하되 상기 적재용기의 내벽에 증기가 충돌하도록 분사하여 상기 천일염에 증기를 접촉시키고,
    상기 분사노즐의 하방에는 응축수 저장용기를 설치하여 상기 분사노즐에서 발생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에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20100004925A 2010-01-19 2010-01-19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16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25A KR101169795B1 (ko) 2010-01-19 2010-01-19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25A KR101169795B1 (ko) 2010-01-19 2010-01-19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49A KR20110085249A (ko) 2011-07-27
KR101169795B1 true KR101169795B1 (ko) 2012-07-30

Family

ID=4492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925A KR101169795B1 (ko) 2010-01-19 2010-01-19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93B1 (ko) * 2018-03-19 2018-07-19 곽성근 기능성 소금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KR20200098823A (ko) 2019-02-13 2020-08-21 유일수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852B1 (ko) * 2017-11-02 2019-10-25 조인현 미네랄 소금을 이용한 액젓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젓
KR101958571B1 (ko) * 2017-11-02 2019-03-14 조인현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네랄 소금
KR20210029704A (ko) 2020-09-09 2021-03-16 한상관 물질분자 충격기가 공기의 비중보다도 더 가볍게 만들어내는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음이온 물질분자들을 사람이나 동물이나 식물이나 어류들에게 접촉시키거나 흡입 시켜서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질병 치료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술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고체성 음이온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를 추출해내는 물질분자 추출 친환경공법,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 충격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을 가공하는 친환경 공법
KR102517775B1 (ko) * 2021-01-04 2023-04-06 임회규 건조죽염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777B1 (ko) * 2001-07-19 2005-01-05 주식회사 쏠트랜드 염생 식물 추출액을 함침시켜 제조한 신규한 소금 및 그제조 방법
KR100867144B1 (ko) * 2007-04-23 2008-11-1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777B1 (ko) * 2001-07-19 2005-01-05 주식회사 쏠트랜드 염생 식물 추출액을 함침시켜 제조한 신규한 소금 및 그제조 방법
KR100867144B1 (ko) * 2007-04-23 2008-11-1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맑은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93B1 (ko) * 2018-03-19 2018-07-19 곽성근 기능성 소금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KR20200098823A (ko) 2019-02-13 2020-08-21 유일수 불순물이 제거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49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795B1 (ko)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3431331B (zh) 一种软枣猕猴桃冻干果粉的制备方法
CN102077983B (zh) 一种延长脱水莴苣片贮藏期的复合护色方法
JP2008119012A (ja)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食物繊維
CN101933591A (zh) 一种即食梅菜及其生产方法
KR20180002982A (ko) 간편 건조 영양나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107737A (zh) 一种大头菜腌制方法
CN105249443A (zh) 一种盐渍鲜平菇加工方法
KR20130012804A (ko) 천일염의 간수 제거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칼라 소금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칼라 함수의 제조방법
CN103431330A (zh) 一种秋子梨冻干果粉的制备方法
CN103525672B (zh) 一种沉香鲜花酒的加工方法
CN106722540B (zh) 一种豇豆半干制品的复水及泡制方法
KR20110113400A (ko) 전통간장을 이용한 소금 추출
KR100465091B1 (ko) 천연 폴리페놀을 함유한 굴비의 가공방법 및 가공굴비
CN107042727B (zh) 一种纯天然香型茉莉干花的制作方法
CN102630937A (zh) 一种荞头罐头的制作方法
KR102287098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훈제전복의 제조방법
CN104322768A (zh) 一种辣木、黄秋葵滋补茶的制作方法
CN107495233A (zh) 阳荷盐菜的制作工艺
CN107080027A (zh) 辣木葛花茶的加工方法
CN107236644A (zh) 一种树莓酒的酿造工艺
CN106135960A (zh) 一种黄花梨饮料的生产方法
CN106107731A (zh) 一种日香型萝卜干的制备方法
KR101254864B1 (ko) 무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차
CN105212110A (zh) 野生软枣冻干粉及标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