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447A -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 Google Patents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447A
KR20200076447A KR1020180165560A KR20180165560A KR20200076447A KR 20200076447 A KR20200076447 A KR 20200076447A KR 1020180165560 A KR1020180165560 A KR 1020180165560A KR 20180165560 A KR20180165560 A KR 20180165560A KR 20200076447 A KR20200076447 A KR 20200076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amygdalin
reduced
manufacturing
ultraviole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163B1 (ko
Inventor
이강삼
장동찬
Original Assignee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8016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1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매실과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 침출하여 수득한 매실청에 자외선 조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Method for manufacturing amygdalin reduced maesil chung and maesil chung with reducing amygdalin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에 관한 것이다.
매실(Prunus mume)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교목인 매화나무의 핵과이다. 청매실은 껍질이 단단하며 푸른색을 낼 때 수확한 매실로 5월 말에서 6월 초중순에 수확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남쪽 지방인 하동, 광양, 순천 등(국내 매실 생산량의 60% 이상 차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매실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유기산, 당분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이나 노화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항암, 항혈전, 항균, 간기능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매실은 수확기간이 1달 내외로 짧고 수확 후 상온에서 3~4일 만에 조직이 급격히 연화되고 부패되는 등 저장성이 낮아 가공식품의 재료로의 활용이나 다른 과일과 같이 생과로의 섭취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매실은 침출 및 절임의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청, 매실장아찌, 매실식초, 매실주 등의 가공용 식품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매실(주로 종자)에는 2분자의 포도당이 결합되어 있는 시안배당체인 아미그달린(amygdalin)이 매실 품종에 따라 상이하지만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미그달린은 β-glucosidase에 의해 프루나신(prunasin)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prunasin hydrolase에 의해 만델로니트릴(mandelonitrile)이 형성되며, 이는 mandelonitrile lyase에 의해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와 시안화수소산(HCN)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으로 생성되는 시안화수소산은 세포질에 존재하고, 사이토크롬 산화효소(cytochrome oxidase)와 결합해 ATP 생성과 산소 이용을 저해하여 인체와 동물에 만성 및 급성중독을 일으킨다. 또한 체내에 축적된 시안화수소산은 로더니즈효소에 의해 티오시안산염으로 전환하여 체외로 배출되는데, 이때 요오드와 함황아미노산(메티오닌, 시스테인 등)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만성적으로 시안배당체에 노출되는 경우 이들의 결핍이 발생하여 갑산성종이나 중추신경학적 장애(konzo, 열대성 운동신경장애, 경련성 마비 등)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미그달린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매실가공제품들(매실농축액, 매실청, 매실차 등)에 대한 독성 안전성의 논란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매실가공제품 중 매실청은 식품의 풍미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요리에 첨가되며, 매실음료 및 매실주 등의 다양한 가공제품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매실청은 매실을 설탕에 재어 암소의 상온에서 최소 3개월 이상 발효침출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매실의 씨와 과육에 있는 아미그달린이 발효침출액으로 용출되어 발효침출액에 함유되는 것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다. 예로부터 매실을 설탕에 재우고 3개월의 발효침출 기간이 지난 후 발효침출액으로부터 과육을 제거하여 매실발효침출액을 숙성하면 아미그달린이 없어진다고 하였으나 최근 3년간 숙성된 매실청에서도 아미그달린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매실청 제조 기간을 단축시키고, 매실청의 아미그달린에 대한 독성 안전성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매실청의 아미그달린 저감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핵과류의 씨와 분말과 핵과류 과실주의 아미그달린을 저감화하는 기술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대한민국특허 제10-1736194호에는 시안화합물의 저감 및 제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핵과류를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한 후 방사선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매실로부터 용출된 수분과 영양성분들에 의해 설탕이 녹고, 발효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매실청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10-1200447호에는 시안화합물이 저감된 핵과류 과실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핵과류 과실주에 전기분해 처리를 수행하여 아미그달린을 분해한 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 아미그달린 분해산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기분해를 위한 고전압발생장치의 설치 및 유지비용이 비싸며, 전기분해를 위해 전극을 핵과류 과실주에 직접 담가 처리하는 형태로 전극의 수명이 매우 짧은 등 저가의 매실청에 적용하기에는 경제성이 없으며, 전기분해처리 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킬 경우 폴리페놀성 화합물들의 손실이 발생하여 매실청에 적용하였을 때, 매실청이 아닌 다른 제품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매실청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아미그달린의 저감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619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0044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매실과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 침출하여 수득한 매실청에 자외선 조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를 처리한 매실청은 여과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실과 설탕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실청은 매실과 설탕의 혼합물을 암 조건의 상온에서 3개월 동안 발효 침출한 다음, 140~200 메쉬의 체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는 15-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6-36W의 자외선 조사에너지로 6-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자외선 조사 처리한 매실청을 230-400 메쉬 체망을 통과시켜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75-85℃의 온도에서 30-60분간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실의 발효침출 혼합물로부터 회수된 맑은 매실 발효침출액을 침수형 UV-C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조사처리 함으로써 매실청에 함유된 아미그달린을 분해하고, 자외선조사처리 중 형성된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함으로써 아미그달린이 효과적으로 저감된 매실청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청은 독성물질인 아미그달린을 상당량 제거할 수 있어 독성 안전성이 담보된 매실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에 대한 과정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침수형 UV-C 램프의 조사 에너지를 달리하였을 때, 아미그달린 표준용액의 아미그달린 저감율을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라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서 각각 제조된 매실청에 함유된 아미그달린의 함량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매실과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 침출하여 수득한 매실청에 자외선 조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의 과정은 도 1에 모식도로 나타내었고,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매실청의 액분리 단계(S1)
먼저, 매실의 품종 및 매실과 설탕의 혼합비에 상관없이 매실청 제조를 위해 매실의 발효침출이 완료된 매실 발효침출혼합물(발효침출액, 매실, 매실과육 펄프)은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매실의 발효침출액은 발효침출 과정 중 매실의 과육이 떨어져 나간 미세한 펄프들을 함유할 수 있고, 이들은 매실 발효침출액의 자외선조사의 효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조사처리 전 매실 발효침출액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매실과 설탕의 혼합물을 암 조건의 상온에서 3개월 동안 발효침출한 혼합물로부터 맑은 매실침출액을 회수하기 위해 매실 발효침출혼합물은 140-200 메쉬의 체망을 통과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쉬의 체망이 140 메쉬 보다 작은 체망을 이용할 경우, 발효침출액에 여전히 매실과육 펄프를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 체망의 규격이 200 메쉬를 초과할 경우 매실과육 펄프에 의해 체망의 공극이 막혀 체망을 세척하거나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낮다. 따라서 매실 발효침출혼합물의 액분리는 작업효율 측면에서 우수하며, 바람직하게는 거의 대부분의 매실과육 펄프를 제거하여 맑은 발효침출액을 얻을 수 있는 140 메쉬 체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조사 처리단계 (S2)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매실청은 이후 자외선 조사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매실청은 15-35℃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욕조로 옮겨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는 15-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6-36W의 자외선 조사에너지로 6-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수행한다.
또한, 매실청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수욕조에 수용하는 것은 자외선처리에 사용하는 침수형 자외선램프의 가동온도가 50℃ 미만이고, 자외선조사 처리하는 동안 매실청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50℃를 초과하게 되면 자외선램프의 수명단축 및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매실청의 온도가 15℃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매실청에 함유되어 있는 포도당이 석출될 수 있고, 매실청의 지속적인 냉각에 많은 에너지가 소비될 수 있다. 또한 35℃를 초과할 경우 자외선 조사 처리 중 매실청이 과도하게 농축될 수 있어 수율이 낮아질 수 있고, 침수형 자외선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침수형 자외선램프가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으며 자외선처리 중 매실청의 농축이 최소화되는 27.5℃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매실청에 침수형 자외선램프를 담가 자외선을 조사한다. 대기 정화 및 분말식품의 표면살균을 위해 대기 중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램프로 매실청을 처리할 수 있지만, 이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매실청은 0.5cm 미만의 두께로 용기에 담아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처리율이 낮고, 처리시간도 침수형 자외선램프를 사용하는 것보다 4배 이상 길어진다.
따라서 자외선램프를 석영관으로 둘러싸 액상의 물체가 자외선램프에 직접 닿지 않는 침수형 자외선램프를 매실청에 담가 자외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침수형 자외선램프는 UV-A, UV-B, UV-C 램프들이 있지만 UV-A와 UV-B 램프들은 아미그달린의 분해에 효과가 없다. 따라서 매실청의 자외선처리에는 침수형 UV-C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는 6-36와트(W) 조사에너지의 침수형 UV-C 램프로 수행할 수 있는데, 자외선처리 시 침수형 UV-C 램프의 조사에너지는 6와트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와트의 조사에너지로 처리한다면 6와트 침수형 UV-C 램프 6개를 매실청에 담가 처리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의 조사에너지가 커질수록 자외선램프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36와트 조사에너지의 침수형 UV-C 램프를 단독으로 사용한다면, 매실청을 수용하는 용기의 크기도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매실청의 자외선조사는 6와트의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사에너지 6와트 당(6와트 침수형 UV-C 램프 1개) 매실청은 최대 5 L의 양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는 6와트 조사에너지의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매실청을 5 L 미만으로 처리하게 되면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는 있으나 처리효율이 낮고, 반면 5 L를 초과하여 처리하게 되면 처리시간이 연장되어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6와트 조사에서지의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매실청 5 L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매실청은 교반하면서 침수형 UV-C 램프에 의해 6-24시간 동안 자외선조사 처리할 수 있다. 매실청을 교반하지 않고 자외선조사처리 할 경우 침수형 UV-C 램프 주변에서만 아미그달린이 분해되어 매실청의 아미그달린 저감 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매실청을 자외선조사 처리할 경우에는 교반을 통해 매실청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조사처리의 시간이 6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아미그달린의 저감율이 50% 미만으로 낮고, 24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아미그달린의 저감율은 우수하나 이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외선의 조사는 6-24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미그달린 저감율이 50% 이상이며 이취가 발생하지 않는 6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 좋다.
여과 단계(S3)
상기 자외선 조사가 처리된 매실청은 230-400 메쉬 체망을 이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매실청을 자외선조사 처리하는 과정 중에 불용성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조사 처리가 완료된 매실청은 여과하여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가 처리된 매실청으로부터 불용성 침전물의 제거는 230-400 메쉬 체망을 이용한 여과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230 메쉬보다 작은 체망을 이용할 경우 불용성 침전물의 제거가 불완전하여 최종 제품을 혼탁하게 하거나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고, 400 메쉬 보다 큰 체망을 사용할 경우에는 여과효율이 낮고 여과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미생물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가 처리된 매실청으로부터 불용성 침전물의 제거와 여과효율을 고려할 때, 가장 효율적인 불용성 침전물의 제거를 위해서는 270메쉬 체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열처리 단계(S4)
상기 단계에서 얻은 자외선 조사 처리된 매실청의 여액은 75-85℃의 온도에서 30-60분간 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자외선 조사가 처리된 매실청의 이취성분 및 알코올 성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또한 살균과 당도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열처리를 75℃ 미만에서 수행할 경우, 이취성분과 알코올의 제거가 완전하지 않고, 당도를 조정하기 위해 장시간 열처리하여 에너지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85℃를 초과하여 열처리할 경우, 이취성분과 알코올은 제거되지만 매실청으로부터 수분의 증발 속도가 빨라 당도 조정이 어렵다. 또한 자외선조사처리 매실청은 30-60분 동안 열처리할 수 있는데, 30분 미만에서는 이취성분과 알코올성분의 제거되지 않고, 60분을 초과할 경우 매실청이 과도하게 농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열처리는 75-85℃의 온도에서 30-6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청은 아미그달린이 상당량 감소되어 있어 독성이 없으며 체내 안정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매실청의 제조 과정에서 자외선 조사를 처리한 실험군과 자외선 조사를 처리하지 않은 비교군을 대상으로 아미그달린의 저감 효율을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 처리 군이 자외선 조사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60% 이상의 아미그달린 제거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체내 유해한 아미그달린을 제거 또는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본 발명은 매실청으로부터 아미그달린을 제거하는 최적의 처리 조건을 규명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
매실과 설탕을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통에 넣고 암소에서 상온(25℃)으로 3개월간 발효침출한 후, 140 메쉬 체망을 통과시켜 매실청을 수득한 다음, 27.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6W 조사에너지의 침수형 UV-C 램프 3개를 담가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6시간 동안 자외선 조사를 수행하였다. 자외선 조사 처리가 완료된 매실청은 270 메쉬 체망을 통과시켜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고,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본 발명의 매실청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매실과 설탕을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통에 넣고 암소의 상온에서 3개월간 발효침출한 후 140메쉬 체망을 통과시켜 매실청을 수득한 다음, 이를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매실청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아미그달린의 저감율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법에 따른 아미그달린의 저감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아미그달린 표준용액(500 ppm)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한 자외선 조사 방법에 따른 아미그달린 분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수형 UV-C 램프의 조사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아미그달린의 분해속도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미그달린의 분해율이 90%에 도달하는 시간은 조사에너지 6W(와트)에서 300분, 12W에서 240분, 18W에서 130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한 자외선 조사처리 방법은 아미그달린을 효율적으로 분해 또는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청에 대한 아미그달린의 저감율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청 각각에 대해 아미그달린의 저감 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매실청에 함유된 아미그달린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매실청의 아미그달린을 나타내는 피크의 높이가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의 매실청에 함유된 아미그달린 함량은 비교예 1의 아미그달린 함량에 비해 64.8%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과 같이 매실청에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매실청에 함유된 아미그달린을 상당량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매실과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 침출하여 수득한 매실청에 자외선 조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를 처리한 매실청을 여과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과 설탕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청은 매실과 설탕의 혼합물을 암 조건의 상온에서 3개월 동안 발효침출한 다음, 140~200 메쉬의 체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는 15-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침수형 UV-C 램프를 이용하여 6-36W의 자외선 조사에너지로 6-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자외선 조사 처리한 매실청을 230-400 메쉬 체망을 통과시켜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75-85℃의 온도에서 30-60분간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저감된 매실청.
KR1020180165560A 2018-12-19 2018-12-19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KR10216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60A KR102160163B1 (ko) 2018-12-19 2018-12-19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60A KR102160163B1 (ko) 2018-12-19 2018-12-19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47A true KR20200076447A (ko) 2020-06-29
KR102160163B1 KR102160163B1 (ko) 2020-09-25

Family

ID=7140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560A KR102160163B1 (ko) 2018-12-19 2018-12-19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195B1 (ko) * 2021-11-29 2022-08-08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숙성매실을 활용한 매실진액 제조방법
KR20230099973A (ko) * 2021-12-28 2023-07-05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숙성매실을 활용한 매실음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29B1 (ko) 2022-01-25 2023-02-21 오승희 항암, 항당뇨 및 혈중 지질 개선 효능이 향상된 매실 가공방법 및 이에 따른 가공 매실
KR20240033935A (ko) 2022-09-06 2024-03-13 김선희 고유의 색과 풍미를 유지하는 복숭아청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5244A (ja) * 2009-12-16 2011-06-30 G F Gijutsu Kaihatsu:Kk 梅ピューレおよび梅ピューレ加工飲食品の製造方法
KR101200447B1 (ko) 2011-01-17 2012-11-12 보해양조주식회사 시안화합물이 저감된 핵과류 과실주의 제조방법
KR20160006864A (ko) * 2014-07-09 2016-01-20 한국원자력연구원 시안화합물의 저감 또는 제거방법
KR20170024206A (ko) * 2015-08-24 2017-03-07 (주)영수식품 매실농축액을 이용한 기능성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실 음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5244A (ja) * 2009-12-16 2011-06-30 G F Gijutsu Kaihatsu:Kk 梅ピューレおよび梅ピューレ加工飲食品の製造方法
KR101200447B1 (ko) 2011-01-17 2012-11-12 보해양조주식회사 시안화합물이 저감된 핵과류 과실주의 제조방법
KR20160006864A (ko) * 2014-07-09 2016-01-20 한국원자력연구원 시안화합물의 저감 또는 제거방법
KR101736194B1 (ko) 2014-07-09 2017-05-18 한국원자력연구원 시안화합물의 저감 또는 제거방법
KR20170024206A (ko) * 2015-08-24 2017-03-07 (주)영수식품 매실농축액을 이용한 기능성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실 음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195B1 (ko) * 2021-11-29 2022-08-08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숙성매실을 활용한 매실진액 제조방법
KR20230099973A (ko) * 2021-12-28 2023-07-05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숙성매실을 활용한 매실음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163B1 (ko)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163B1 (ko)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CN101233919B (zh) 金枪鱼食品制备方法
CN103704652B (zh) 一种海藻调味料的制备方法
KR102089588B1 (ko) 성장률 및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및 이의 생산방법
JP2007176909A (ja) コラーゲンの製造方法及び低分子コラーゲン
KR20140060089A (ko) 복숭아 생즙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복숭아 생즙 조성물
KR20080099358A (ko) 해양 심층수와 옻 추출물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만드는 방법
KR101200447B1 (ko) 시안화합물이 저감된 핵과류 과실주의 제조방법
Brenes Olive fermentation and process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hallenges
KR101568275B1 (ko) 김양식용 고염처리제
CN102199190A (zh) 一种蚕蛹蛋白的脱臭脱色方法
JP5715286B1 (ja) 無塩梅干しの製造方法
KR100959520B1 (ko)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KR102430195B1 (ko) 숙성매실을 활용한 매실진액 제조방법
CN103798559B (zh) 一种去农残赣南脐橙切片的生产方法
KR100394750B1 (ko)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KR100348749B1 (ko) 멸치액젓 제조방법
KR100688155B1 (ko) 떫은 감 가공품 제조시 갈변방지를 위한 전처리 방법
KR102637027B1 (ko)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KR100836676B1 (ko) 레드와인액 농축 가공방법
CN116195733B (zh) 一种降低竹荪土腥味的复合脱腥方法
KR100972552B1 (ko) 레드와인 농축액 조성물
KR102611178B1 (ko)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RU2250248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олода, способ замачивания солода, способ проращивания солода и способ выдержки солода
KR102241912B1 (ko) 매실청 또는 매실주의 아미그달린 저감을 위한 연속식 자외선 조사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