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027B1 -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027B1
KR102637027B1 KR1020230001823A KR20230001823A KR102637027B1 KR 102637027 B1 KR102637027 B1 KR 102637027B1 KR 1020230001823 A KR1020230001823 A KR 1020230001823A KR 20230001823 A KR20230001823 A KR 20230001823A KR 102637027 B1 KR102637027 B1 KR 10263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s
treatment solution
mineral
pesticide
res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전명식
이중혁
Original Assignee
이승진
전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진, 전명식 filed Critical 이승진
Priority to KR102023000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8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using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using adsorption or absorption agents, resins, synthetic polymers, or ion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oducing oligodynamic substances to disinfect th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85Aspergillus nig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인삼 등)에 잔류하는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 및 상기 잔류 농약을 제거한 농작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은 광(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광성 미생물, 농축 미네랄 및 수소수(hydrogen water)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한 후에는 광(빛)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광성 미생물과 광 조사에 의한 1차 클린 중화 공정, 및 상기 미네랄에 의한 2차 클린 중화 공정이 진행되고, 이와 함께 상기 수소수에 의해 호광성 미생물과 미네랄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높은 제거율(중화율)의 클린 중화 시스템(Clean Neutralization System)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액은 잔류 농약 제거에 사용된 후 역삼투압(Reverse Osmosis)을 통해 정화되어 친환경성이 도모된다.

Description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moving residual pesticides using microorganism from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미생물을 적용하여 농작물(인삼 등)에 잔류하는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광(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광성 미생물, 농축 미네랄 및 수소수(hydrogen water)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잔류한 농약을 효과적으로 제거(중화)할 수 있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농작물은 재배과정에서 농약이 살포되어 재배 후 수확된 농작물에는 농약이 잔류하고 있다. 특히, 인삼은 재배과정에서 많은 양의 농약이 사용되어, 다른 농작물에 비해 잔류 농약도 많다.
예로부터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및 설사 등에 효능이 있으며 항노화, 면역증강, 항암 및 해독작용 등의 여러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위와 같은 효능 및 약리작용으로 인해 약재로는 물론 각종 드링크와 같은 음료 제품으로도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인삼은 수년 동안 동일한 장소에서 재배되고 병충해 방지를 위한 다량의 농약이 사용되어 잔류 농약이 많다. 인삼은 동일한 장소에서 약 4 ~ 6년 동안 재배되어 재배 기간이 길고, 반음지성 작물이기 때문에 내병성이 약하다. 이에, 인삼은 농약 사용이 필수적이고, 일반적으로 수확 시기까지 약 10 ~ 20회 정도의 농약이 살포되고 있다. 다량의 농약 살포로 인해 인삼에는 많은 양의 잔류 농약이 검출되고 있다. 우리 정부에서는 인삼의 잔류 농약을 분석하여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출하를 금지하거나 폐기 등의 조치로 시중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에, 인삼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인삼의 잔류 농약 제거는 인삼 추출물(인삼 추출액이나 추출 후에 농축/건조시킨 인삼 분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0382295호에는 인삼 추출액을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처리하여 인삼 추출액 중의 농약 성분을 추출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58218호에는 인삼 추출액에 대해 한외여과를 적용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011611호에는 인삼 농축액에 대해 입상 활성탄을 이용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65022호에는 인삼 추출액을 농축한 후 건조시켜 인삼 분말을 얻은 후, 상기 인삼 분말에 대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침지-추출의 3단계 공정을 진행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잔류 농약 제거는 인삼 추출물(인삼 추출액이나 인삼 추출액을 농축/건조시킨 인삼 분말)을 대상으로 하는 방법으로서, 이는 적어도 유효 성분(진세노사이드 등)이나 향이 손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82295호 (2003.05.01.자 등록공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58218호 (2016.05.25.자 특허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011611호 (2021.02.02.자 특허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65022호 (2015.06.12.자 특허공개)
이에, 본 발명은 인삼 등의 농작물을 원물 단계(추출을 진행하지 않은 원물 형태)에서 잔류 농약을 제거하여 농작물의 유효 성분이나 향의 손실 등이 없고, 이와 함께 잔류 농약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액은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농작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 및
상기 잔류 농약을 제거한 농작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액은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은 미생물 및 미네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되, 여기에 상기 미생물과 미네랄의 활성을 위한 수소수(hydrogen wa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액은, 예를 들어 미생물을 배양한 미생물 배양액, 미네랄 농축액 및 나노 수소수를 혼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은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광성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하는 제1처리단계; 및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미네랄-수소수 용액에 상기 제1처리단계를 진행한 농작물을 침지하는 제2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은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광성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제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 농약 제거제는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작물(인삼 등)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함에 있어서, 농작물의 원물 단계(예를 들어, 추출 등과 같은 방법으로 가공을 진행하지 않은 원형 상태의 농작물)에서 잔류 농약을 제거하여 농작물의 유효 성분이나 향의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잔류 농약의 제거율(중화율)이 높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잔류 농약 분석을 위해 사용된 농약 제품 5종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잔류 농약 분석을 위해 사용된 처리구(상추 시료)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물로 1,000배 희석한 농약을 상추에 살포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액(미네랄-수소수 용액)을 상추에 살포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1형태에 따라서,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2형태에 따라서, 농작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 및 상기 잔류 농약을 제거한 농작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은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미생물 및 미네랄(mineral)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3형태에 따라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기 위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미생물 및 미네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형태에 따라서,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에 대한 신규의 용도로서, 상기 균주를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유효 성분(잔류 농약 제거제)로 사용하는 상기 균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농작물」은 토양에서 수확된 원물 단계의 농작물을 의미하며, 이는 구체적으로 토양(재배지)에서 수확한 후에 별도의 가공을 진행하지 않은 원형 그대로의 농작물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농작물은 토양에서 수확된 후의 농작물로서 가공을 진행하지 않은 원물 단계의 농작물, 예를 들어 용매(물이나 유기 용제 등)나 열 등을 통해 추출한 추출물(추출액이나 추출액을 농축/건조시킨 분말)이 아닌 원물 형태(원형 그대로의 상태)의 농작물을 처리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농작물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농약을 살포하여 재배되는 모든 농작물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농작물은 상추, 고추, 배추 및 토마토 등의 채소 작물이나 사과, 배 및 감 등의 과실 작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뿌리 작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농작물은, 예를 들어 인삼, 도라지, 더덕, 천마, 무, 우엉, 당근, 마늘, 참마, 쪽파 및/또는 연근 등의 뿌리 작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농작물은, 상기 각 농작물의 뿌리, 줄기, 잎, 꽃 및 열매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농작물로서 인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삼은 인삼의 추출물(인삼 추출액이나 이의 농축/건조된 인삼 분말)이 아닌 수확된 원물 단계의 인삼을 처리 대상으로 하되, 상기 인삼의 뿌리(주근, 지근 및/또는 세근), 줄기, 잎, 꽃 및/또는 열매(진생배리)를 처리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인삼의 경우, 토양에서 수확한 후 가공하지 않은 수삼(생삼)을 대상으로 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잔류 농약」은 농작물의 재배 시에 살포되어 농작물에 잔류(함유)하고 있는 농약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거 대상이 되는 잔류 농약 성분은, 농작물의 이화학적 작용이나 열분해(불완전연소 등)에 의해 생성된 것이 아닌 농작물의 재배과정에서 살포되어 잔류한 농약 성분으로서, 이는 우리나라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잔류 농약 안전성 검사 성분으로 지정한 농약 성분(예를 들어, 463종의 농약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농작물로는 경우에 따라서 인삼(수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토양(재배지)에서 수확한 농작물(인삼 등)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농작물(인삼 등)의 표면에 묻은 흙이나 병원성 미생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 공정, 및/또는 농작물(인삼 등)의 표면에 존재한 기름이나 지방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정 공정은 친환경 세제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 농작물에 대해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원물 단계의 농작물(수삼)을 처리액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에서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방법으로 접촉시키거나, 처리액을 농작물에 분사(살포)하는 방법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처리액은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처리액을 구성하는 미생물의 소스(source)는, 예를 들어 미생물을 물에 혼합한 미생물 수용액이나 미생물을 배양한 미생물 배양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 배지는 예를 들어 포도당, 설탕, 과당, 전분 및 유기산 등의 탄소원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액을 구성하는 미네랄의 소스(source)는, 예를 들어 물에 고형의 미네랄 제제를 혼합한 미네랄 수용액이나 미네랄이 고농도로 농축된 미네랄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생물 소스와 미네랄 소스를 혼합하여 처리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처리액은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하든 간에 처리액 내에 미생물 및 미네랄 둘 모두가 포함된 것이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은 미생물 및 미네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되, 여기에 미생물과 미네랄의 분산(희석)을 위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수돗물, 정제수 및 증류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소수(hydrogen water)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은 미생물,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미생물-미네랄-수소수 혼합액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미생물-미네랄-수소수 혼합액은, 예를 들어 미생물을 배양한 미생물 배양액, 미네랄 농축액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생물은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농약 제거제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미생물은 농작물과 접촉하여 농작물에 포함된 잔류 농약 성분을 분해하거나 흡착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예를 들어 기존에 토양에 살포(적용)하여 토양에 존재하는 농약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양 적용 미생물(균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토양 적용 미생물은 다수 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바실러스 속(Bacillus sp.) 및 패네로키테 크라이소스포리움(Phanerochaete chrysosporium)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토양 적용 미생물은 여러 문헌(논문이나 특허 등)을 통해 구입처 및 기탁번호 등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와 같은 토양 적용 미생물을 사용하되, 이를 토양에 적용하지 않고 수확된 원물 단계의 농작물을 처리 대상으로 하여 적용하고, 이와 함께 상기 미생물에 미네랄 및/또는 수소수를 추가 혼합 사용하여 잔류 농약 제거율(중화율)을 개선한 것임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미생물은 광(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광성(photophily) 미생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호광성 미생물은 광(빛)을 받으면 광(빛)에 반응하고 활성화되는 미생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LED 등의 광 조사)과의 결합을 통해 잔류 농약 제거율(중화율)을 향상시키므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활성" 및 "활성화"는 미생물 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적인 의미로서, 이는 구체적으로 미생물의 균학적 활동이 활발해지고 반응성(반응속도 등)이 촉진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잔류 농약 제거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여러 종의 미생물 중에서도 상기와 같은 호광성 미생물을 사용하는 경우, 광원(LED 등)을 통해 처리액에 광(빛)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호광성 미생물이 광(빛)에 의해 증식 및 활성화되어 잔류 농약 성분과의 반응성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잔류 농약 제거율(중화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미생물은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KHNT-1 균주"라 약칭한다.
상기 KHNT-1 균주는 발효대두 분말로부터 분리 동정한 균주로서, 염기서열 및 계통수 분석을 통해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고,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로 명명하였으며, 부다페스트 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14739B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KHNT-1 균주를 처리액의 유효 성분으로 적용해 본 결과, 이는 광(빛)에 반응하고 활성화되어,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에 유효한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상기 KHNT-1 균주의 새로운 균학적 특성(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능)을 제안하고, 이의 새로운 용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되, 상기 미생물은 적어도 상기 KHNT-1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처리액은 상기 KHNT-1 균주, 상기 KHNT-1 균주의 배양액, 상기 KHNT-1 균주의 세포 현탁액, 및/또는 상기 KHNT-1 균주의 세포 파쇄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네랄(mineral)은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농약 제거제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미네랄은 농작물과 접촉하여 농작물에 포함된 잔류 농약 성분을 흡착하여 제거(중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농작물의 잔류 농약은 미생물(상기 KHNT-1 균주 등)에 의해 1차 제거(중화)되고, 미네랄에 의해 2차 제거(중화)되어 높은 제거율(중화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상기 KHNT-1 균주 등)에 의해 잔류 농약의 대부분이 제거되고, 상기 미생물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일부의 잔여 농약은 상기 미네랄에 의해 제거되어 높은 제거율(중화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네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미네랄이라 불리는 것이면 좋다. 상기 미네랄은 시중에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고형의 미네랄 제제(환이나 캡슐 등), 미네랄 분말 및 미네랄 농축액(고농축 미네랄 수용액) 등의 판매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의 구성 원소는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 미네랄은 원소 주기율표에서 1족, 2족, 4족, 5족, 6족, 8족, 10족, 11족, 12족, 13족, 14족, 15족, 16족 및 17족 등에서 선택된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은, 예를 들어 유황(S), 칼륨(K), 칼슘(Ca), 아연(Zn), 규소(Si), 인(P), 나트륨(Na), 마그네슘(Mg),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갈리움(Ga), 철(Fe), 구리(Cu), 코발트(Co), 티타늄(Ti), 망간(Mn), 크롬(Cr), 붕소(B), 지르코늄(Zr), 바나듐(V), 염소(Cl), 요오드(I), 셀레늄(Se), 불소(F), 몰리브덴(Mo) 및 니켈(Ni) 등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복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미네랄은 적어도 유황(S)을 포함하되, 상기 유황(S)에 칼륨(K), 칼슘(Ca), 아연(Zn), 규소(Si), 인(P), 나트륨(Na), 마그네슘(Mg) 및 게르마늄(G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미네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네랄은 제1미네랄과 제2미네랄의 복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미네랄은 유황(S)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2미네랄은 칼륨(K), 칼슘(Ca), 아연(Zn), 규소(Si), 인(P), 나트륨(Na), 마그네슘(Mg) 및 게르마늄(G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유황(S)은 법제유황(法製硫黃)을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황(S)은 법제유황을 물에 혼합한 유황용액을 얻은 다음, 상기 유황용액을 자석이 설치된 자기장 발생관에 통과시킨 후, 여과를 통해 얻어진 미립자의 정제유황(S)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제유황(S)은 유황용액의 자기장 발생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금속 및 불용분 등이 제거되어 고순도를 갖는다. 상기 미네랄은 위와 같은 정제유황(S)에 시중에서 판매되는 미네랄 제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미네랄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수소수(hydrogen water)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미네랄은 일반 물(수돗물이나 정제수 등)보다 물 분자의 클러스터(cluster)가 작은 수소수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잔류 농약 성분에 대한 흡착력(물리적 및 화학적 결합) 및 활성도가 향상되어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에 유리하다.
상기 수소수(hydrogen water)는, 수소 분자가 풍부히 함유되어 있는 물을 의미하며, 이는 통상 수소 풍부수 또는 알칼리 이온수 등으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물은 물 분자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루어지는 상태가 아니라, 다수의 물 분자가 클러스터(cluster) 상태로 뭉쳐져 이루어지는 상태로 존재하며,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가 작을수록 물질에 침투하는 기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수소수는 일반 물보다 매우 작은 클러스터(물 분자 집단)를 형성하여 침투력이 강하고 일정한 용존 수소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수소수는 아토피와 같은 피부염,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 등의 효과가 있고, 초순수보다 탁월한 세정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소수에 포함된 용존 수소가 활성 산소(하이드록실 라디칼)와의 결합을 통해 인체에 무해한 물로 변환하는 황산화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수소수의 섭취를 통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수는 물의 전기 분해를 이용하는 전해 방식,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이용하는 무전해 방식, 자기장을 이용한 자력 방식(자화 처리 방식), 저온 열분해 방식 및 광촉매를 이용한 방식 등의 여러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수소수는 전해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전해 방식의 경우, 전해조에 양극과 음극을 설치하고 전류를 가하면, 음극에서는 수소가 생성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생성된다. 이때, 음극에서 생성된 수소는 물과 혼합되어 수소수로 제조된다. 무전해 방식의 경우,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과 같이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들 금속이 물과 접촉되면,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이 양이온으로 산화되고, 물은 OH-와 H+로 해리된다. 이때, 해리된 H+의 일부는 이온상태 또는 수소원자상태로 물속에 잔존되어 수소수로 생성(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소수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미생물과 미네랄의 분산(희석)을 위한 용매로서 위와 같은 나노수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물(수돗물이나 정제수 등)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잔류 농약의 제거율(중화율)이 개선된다. 즉, 상기 수소수는 일반 물보다 물 분자 클러스터가 작아 농작물(인삼)에 대한 흡착성 및 침투성이 높다. 이에 따라, 수소수를 사용하는 경우, 미생물과 미네랄이 농작물(인삼)에 잘 달라붙게 하고 반응성을 증가시켜 잔류 농약의 제거율(중화율)이 개선된다.
상기 수소수는, 바람직하게는 나노미터 크기로 미세화된 나노 수소수(nano hydrogen water)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수소수는 용존 수소량이 많고 나노미터 크기의 클러스터(물 분자 집단)를 다량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는 흡착성 및 침투성이 높아 본 발명에 유용하다. 상기 나노 수소수는, 예를 들어 전해 방식이나 무전해 방식 등으로 생성된 수소수에 물리적인 충격이나 전기적 충격을 가하거나, 생성된 수소수를 자기장 발생관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미세 버블 발생기에 통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수소수는, 또 다른 예를 들어 자기장을 이용한 자력 방식으로 제조하되, 예를 들어 200 가우스(Gauss) 이상의 높은 자기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수소수는, 예를 들어 약 200nm 이하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약 50nm 이하의 나노 크기로 미세화된 나노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나노 크기로 미세화된 경우, 수소수의 침투력 및 활성도 등이 향상되고 수소의 용존 시간이 길어져 상기 미생물과 미네랄의 잔류 농약 제거율(중화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라서 (1)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단계, 및 (3) 상기 처리액에 광(빛)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침지"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담금질(함침)하여, 적어도 농작물의 표면에 처리액이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추가로 농작물의 내부에까지 처리액이 침투되도록 하는 의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서의 처리액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1) 단계에서의 처리액은 잔류 농약 제거제를 포함하되, 상기 잔류 농약 제거제는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광성 미생물(바람직하게는, 상기 KHNT-1 균주 등)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1) 단계에서의 처리액은, 바람직하게는 잔류 농약 제거제로서 호광성 미생물 및 미네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호광성 미생물,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미생물-미네랄-수소수 혼합액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1) 단계에서는 호광성 미생물을 배양한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 미네랄 농축액 및 수소수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처리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액은, 경우에 따라서 호광성 미생물의 증식(배양)을 위한 탄소원(포도당 및 설탕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광성 미생물은 처리액에 광이 조사되면,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며, 이는 또한 처리액 내에서 미네랄 및/또는 탄소원(추가된 경우)을 영양 공급원으로 하여 광에 의해 증식(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1) 처리액의 제조, (2) 농작물의 침지, 및 (3) 광 조사를 포함하되, 이들의 진행 순서나 병행(竝行) 여부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예를 들어 상기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한 후에 광을 조사하거나,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한 후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광을 조사하게 되면 호광성 미생물이 광에 의해 활성화되어 잔류 농약을 제거(분해 및/또는 흡착)한다.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다른 예를 들어 농작물을 침지하기 전에 상기 처리액에 광을 미리 조사하여 호광성 미생물을 활성화시킨 다음, 상기 활성화된 호광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고, 이후 농작물의 침지 후에도 계속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농작물은 광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처리액에 침지할 수 있다.
상기 침지 시간(처리액과 농작물의 접촉 시간)은, 예를 들어 1시간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침지 시간이 너무 짧으면 잔류 농약의 제거율(중화율)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침지 시간은, 농작물의 종류 및 농약의 살포량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1시간 ~ 24시간, 또는 2시간 ~ 10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액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상온 내지 5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온은 계절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는 예를 들어 15℃ ~ 30℃, 20℃ ~ 27℃, 또는 20℃ ~ 25℃가 될 수 있다. 상기 처리액의 온도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25℃ ~ 50℃, 27℃ ~ 45℃, 또는 30℃ ~ 38℃가 될 수 있다.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1구현예에 따라서 (a1) 호광성 미생물,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단계, 및 (a2) 상기 농작물이 침지된 처리액을 약 25℃ ~ 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약 2시간 이상 광(빛)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1) 단계에서는, 농작물을 침지하기 이전에 광을 미리 조사하여 호광성 미생물을 사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2구현예에 따라서 (b1) 호광성 미생물,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처리액을 약 25℃ ~ 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약 30분 이상 광(빛)을 조사하는 단계, (b2) 상기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단계, 및 (b3) 상기 농작물이 침지된 처리액을 약 25℃ ~ 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약 2시간 이상 광(빛)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2) 단계에서는 광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에서 농작물을 침지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광 조사는 (b1) 단계에서 시작하여 (b3) 단계까지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A) 호광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광(빛)을 조사하는 제1처리단계, 및 (B)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미네랄-수소수 용액에 상기 제1처리단계를 진행한 농작물을 침지하는 제2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처리단계에서의 처리액은 적어도 호광성 미생물을 포함하며, 이는 또한 미네랄 및/또는 수소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단계에서의 처리액은, 예를 들어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과 수소수의 혼합, 또는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 미네랄 농축액 및 수소수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단계에서는, 상기 처리액을 제1처리조에 넣고 약 25℃ ~ 5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처리액에 약 30분 이상 광을 조사한 다음, 농작물을 침지할 수 있으며, 농작물을 침지한 후에는 약 25℃ ~ 5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이상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단계에서는 처리액으로부터 농작물을 꺼낸 다음, 별도의 미네랄-수소수 용액이 담긴 제2처리조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단계는, 예를 들어 상온에서 약 1시간 이상 침지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 조사를 위한 광원은 호광성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광원은 자연광(태양광) 및/또는 인조광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조광은, 예를 들어 LED 램프, 레이저 램프 및/또는 형광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의료용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을 처리조에 넣고,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LED 램프를 설치하여 광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미생물을 통한 1차 제거(중화), 미네랄을 통한 2차 제거(중화), 및 수소수를 통한 반응성 향상을 통해 클린 중화 시스템(Clean Neutralization System)을 형성한 것임에 그 기술적 의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호광성 미생물(상기 KHNT-1 균주 등)과 광 조사(LED 등)에 의한 1차 클린 중화 공정, 및 미네랄에 의한 2차 클린 중화 공정이 진행되고, 이와 함께 수소수(바람직하게는, 나노 수소수)에 의해 미생물과 미네랄의 반응성(흡착성, 침투성 및 활성)이 향상되어 높은 제거율(중화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작물의 종류 및 각 재배지에서의 농약 살포량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농작물의 잔류 농약이 제거되어 불검출이거나 불검출에 가까운 잔류 농약 검출치에 이르게 할 수 있는 클린 중화 시스템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를 진행한 농작물(인삼 등)에 대해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잔류 농약 제거 시에 사용된 처리액(호광성 미생물이나 미네랄)의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예를 들어 물을 이용한 수세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제) 후에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처리액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화단계의 처리액은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1회 또는 수회 이상 진행한 후의 처리액을 대상으로 한다. 즉, 상기 정화의 대상이 되는 처리액은 농작물과 접촉한 후에 폐기 처분해야 하는 처리액, 구체적으로 상기 침지를 1회 또는 수회 이상 진행하여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처리액이다. 이러한 처리액에는 농작물로부터 분리된 농약 성분 및 이물질 등이 존재한다. 상기 정화단계는 위와 같은 농약 성분과 이물질 등을 분리 정제하기 위해 진행한다. 이러한 정화단계에 의해 처리액의 배출 시 친환경성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 정화단계는 정화 필터를 이용한 필터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공정은 처리액을 정화 필터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정화 필터는 수질 정화 설비, 해수나 간수의 담수화 설비 및 반도체 제조설비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필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부직포 필터, 활성탄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및 중공사막 필터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정화 필터는 역삼투압 필터(Reverse Osmosis Filter)(통상, "RO 필터",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 또는 "RO막"이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역삼투압 필터는 농약 성분의 제거에는 물론 처리액을 구성하는 미생물이나 미네랄 이온 등의 제거에 유리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제를 포함하되, 상기 잔류 농약 제거제는 미생물 및 미네랄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중화)하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미생물 및 미네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미생물 및 미네랄 둘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액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잔류 농약 제거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광성 미생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KHNT-1 균주, 즉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호광성 미생물(상기 KHNT-1 균주 등) 및 미네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호광성 미생물(상기 KHNT-1 균주 등),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미생물-미네랄-수소수 혼합액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호광성 미생물을 배양한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 미네랄 농축액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호광성 미생물의 증식(배양)을 위한 탄소원(포도당 및 설탕 등), 및/또는 잔류 농약 제거에 유리한 부가 성분 등을 더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1) 처리액(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으로서 기탁번호 KCTC14739BP(기탁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배양한 배양액(이하, "KHNT-1 균주 배양액"이라 함)을 준비하였다. 상기 KHNT-1 균주는 발효대두(메주) 분말로부터 분리 동정한 것으로서, 이는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호광성 미생물(균주)임이 확인되었고,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로 명명된 것이다.
수소수(hydrogen water)에 미네랄 농축액을 혼합한 미네랄-수소수 용액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상기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KHNT-1 균주 배양액)을 넣고 잘 혼합하여 호광성 미생물(KHNT-1 균주), 미네랄 및 수소수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처리액(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수소수는 나노 수소수로서, 이는 전해 방식으로 생성된 수소수를 자석이 설치된 자기장 발생관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용존 수소의 함량이 높고 나노미터 클러스터가 다량으로 존재하는 나노 수소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미네랄 농축액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는 칼륨(K), 칼슘(Ca), 아연(Zn), 규소(Si), 인(P), 나트륨(Na) 및 마그네슘(Mg) 등의 미네랄을 고함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고농축 미네랄 수용액이다.
(2) 잔류 농약 제거 시험 - 처리액에 침지 처리
상기 처리액을 상부가 개방된 처리조에 넣고 광을 조사하였다. 이때, 광 조사는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LED 램프를 설치하고, 처리액의 온도를 약 34±2℃로 유지하면서 약 1시간 동안 LED 광을 조사하였다. 약 1시간 LED 광을 조사한 후, LED 광이 조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조 내의 처리액에 6년근 수삼(생삼)을 충분히 잠길 정도로 침지하였다. 상기 수삼은 충청남도 금산군에 소재한 인삼 재배지에서 생산된 6년근 원물 생삼의 뿌리로서, 이는 수확 후 별도의 가공 없이 수세만 진행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수삼을 침지한 후, 처리액의 온도를 약 34±2℃의 항온으로 계속 유지하면서 약 3시간 동안 LED 광을 조사하였다. 이후, 상기 수삼을 처리액으로부터 꺼낸 다음, 흐르는 물로 수회 깨끗이 세척하고, 이를 잔류 농약 분석을 위한 수삼 시료로 사용하였다.
(3) 잔류 농약 분석
상기 처리액에 침지 처리한 수삼 시료를 분석기관에 의뢰하여, 식품의약안정처 고시 잔류 농약분석법에 따라 잔류 농약 검출치(mg/kg)를 분석하였다. 잔류 농약 검출은 분석 장비(LC-MS/MS, GC-MS/MS, GC-MS 등)를 이용하여 약 22±2℃의 온도와 약 70% 상대습도의 시험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처리액에 침지 처리를 진행하지 않은 무처리 수삼(실시예 1과 동일한 충남 금산 6년근 수삼)에 대해 잔류 농약을 분석하고, 이를 하기 [표 1]에 비교예 1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처리액(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미네랄 농축액을 혼합하지 않은 것으로서, 이는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KHNT-1 균주 배양액)에 나노 수소수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4년근 수삼으로서 충청남도 아산시에 소재한 인삼 재배지에서 생산된 4년근 원물 생삼 전체(뿌리, 줄기, 잎)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삼을 처리액에 침지 처리한 다음, 잔류 농약분석법에 따라 잔류 농약 검출치(mg/kg)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비교예 2는 대조군으로서 무처리 수삼(실시예 2와 동일한 충남 아산 4년근 수삼)이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수삼 시료의 잔류 농약 분석 결과 >
농작물 시료 충남 금산 6년근 수삼(뿌리)
잔류 농약 성분 비교예 1(무처리)
[mg/kg]
실시예 1(처리)
[mg/kg]
잔류허용기준
[mg/kg]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3.91 ND 수삼 0.1
비펜트린(Bifenthrin) 0.004 ND 수삼 0.5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0.03 ND 수삼 0.2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0.02 ND 수삼 2.0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0.025 0.001 수삼 0.5
에마멕틴 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1.8 ND 수삼 0.05
플루아지남(Fluazinam) 0.01 ND 수삼 0.7
헥사코나졸(Hexaconazole) 4.61 ND 수삼 0.5
메탈락실(Metalaxyl) 3.59 ND 수삼 0.5
펜사이큐론(Pencycuron) 5.5 ND 수삼 0.7
테부코나졸(Tebuconazole) 0.02 ND 수삼 0.5
티플루자마이드(Thifluzamide) 0.03 ND 수삼 1.0
<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른 수삼 시료의 잔류 농약 분석 결과 >
농작물 시료 충남 아산 4년근 수삼(뿌리, 줄기, 잎)
잔류 농약 성분 비교예 2(무처리)
[mg/kg]
실시예 2(처리)
[mg/kg]
잔류허용기준
[mg/kg]
비펜트린(Bifenthrin) 0.025 ND 수삼 0.5
뷰프로페진(Buprofezin) 0.02 ND 수삼 0.2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0.015 ND 수삼 0.5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0.09 0.01 수삼 3.0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0.03 0.01 수삼 0.5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 0.059 ND 수삼 0.7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0.03 ND 수삼 0.2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0.045 ND 수삼 0.3
메트코나놀(Metconanole) 0.059 ND 수삼 0.7
이프로디온(Iprodione) 0.12 0.03 수삼 0.2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0.029 ND 수삼 0.7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0.108 ND 수삼 0.7
프로크로라즈(Prochloraz) 0.212 ND 수삼 0.3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0.08 ND 수삼 2.0
테부코나졸(Tebuconazole) 0.056 ND 수삼 0.5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0.07 ND 수삼 1.0
상기 [표 1] 및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처리액(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으로 침지 처리된 경우, 거의 대부분의 잔류 농약 성분이 불검출(ND)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대비하여, 농작물 시료와 침지 시간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처리액(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KHNT-1 균주 배양액)에 나노 수소수를 혼합한 것으로서 실시예 2와 동일한 처리액을 사용하되, 수삼 대신에 인삼 종자(실시예 3)와 쪽파(실시예 4)를 처리 대상 시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2와는 농작물 시료를 달리하였다. 또한, 처리액에 농작물 시료를 약 30분 동안 LED 광을 조사하면서 침지하여 실시예 2보다 침지 시간을 짧게 진행하였다. 처리액에 침지 처리한 각 농작물 시료(인삼 종자, 쪽파)에 대해 잔류 농약 검출치(mg/kg)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따른 농작물 시료의 잔류 농약 분석 결과 >
비 고 농작물 시료 잔류 농약 성분 검출치
[mg/kg]
잔류허용기준
[mg/kg]
 
실시예 3
 
 
 
인삼 종자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0.041 수삼 0.1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0.021 수삼 0.1
프로크로라즈(Prochloraz) 0.025 수삼 0.3
테부코나졸(Tebuconazole) 0.036 수삼 0.5
실시예 4 쪽파 보스칼리드(Boscalid) 0.034 파 7.0
상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인삼 종자와 쪽파에 적용해 본 결과 잔류허용기준치 이하로 잔류 농약이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실시예 3 및 4의 경우, 실시예 1 및 2에 비해 농작물의 침지 시간이 짧아 잔류 농약 검출치가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대비하여, 처리액(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미네랄 농축액과 나노 수소수를 혼합하지 않은 것으로서, 이는 호광성 미생물 배양액(KHNT-1 균주 배양액)에 일반 물(수돗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6년근 수삼으로서 충청남도 아산시에 소재한 인삼 재배지에서 생산된 6년근 원물 생삼 뿌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삼을 처리액에 침지 처리한 다음, 잔류 농약분석법에 따라 잔류 농약 검출치(mg/kg)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비교예 3은 대조군으로서 무처리 수삼(실시예 5와 동일한 충남 아산 6년근 수삼)이다.
< 실시예 5 및 비교예 3에 따른 수삼 시료의 잔류 농약 분석 결과 >
농작물 시료 충남 아산 6년근 수삼(뿌리)
잔류 농약 성분 비교예 3(무처리)
[mg/kg]
실시예 5(처리)
[mg/kg]
잔류허용기준
[mg/kg]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0.07 0.02 수삼 0.1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0.14 0.09 수삼 0.1
비펜트린(Bifenthrin) 0.23 ND 수삼 0.5
뷰프로페진(Buprofezin) 0.01 ND 수삼 0.2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0.57 ND 수삼 0.5
펜헥사미드(Fenhexamid) 0.21 0.05 수삼 0.3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0.81 ND 수삼 0.2
메탈락실(Metalaxyl) 0.15 ND 수삼 0.5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0.01 ND 수삼 0.1
프로크로라즈(Prochloraz) 1.16 ND 수삼 0.3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0.02 0.01 수삼 2.0
피리메타닐(Pyrimethanil) 0.26 0.01 수삼 1.0
테부코나졸(Tebuconazole) 0.67 0.06 수삼 0.5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0.18 0.02 수삼 0.1
상기 [표 4]에 보인 바와 같이,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기탁번호 KCTC14739BP)는 그 자체로서 잔류 농약 제거능(중화능)을 가짐을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 균주 배양액을 물에 혼합하여 처리해 본 결과, 6년근 수삼 재배 시에 사용된 거의 모든 잔류 농약 성분에 대해 유효한 제거능(중화능)을 가짐을 있었다.
[실시예 6]
(1) 처리액(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독성이 제거된 법제유황(法製硫黃) 분말을 준비하고, 이를 물에 혼합한 유황용액을 얻었다. 상기 유황용액을 자석이 설치된 자기장 발생관에 서서히 통과시킨 후, 여과망으로 여과한 다음 건조시킨 정제유황(S)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정제유황(S)을 수소수(hydrogen water)에 넣고 잘 혼합한 다음, 여기에 미네랄 농축액을 첨가 혼합하여, 미네랄 및 수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처리액(미네랄-수소수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수소수와 미네랄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
(2) 잔류 농약 제거 시험 - 처리액의 살포
가. 시험 농약 및 잔류 농약 분석 성분
상추에 살포되고 있는 농약 제품 5종(안티충, 다이진, 충패스, 데브리놀골드, 롱테이크)을 준비하고, 이를 아래와 같이 상추에 살포하여 아바멕틴(Abamectin), 다이아지논(Diazinon),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나프로파마이드(Napropamide) 및 테브코나졸(Tebuconazole)의 5종 농약 성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첨부된 도 1은 농약 제품 5종의 사진이고, 하기 [표 5]는 농약 제품 5종의 유효 성분 및 함량을 보인 것이다.
< 농약 제품 5종의 유효 성분 및 함량 >
No. 농약 제품명 유효 성분 및 함량
1 안티충 아바멕틴(Abamectin) 1.8wt%
2 다이진 다이아지논(Diazinon) 34wt%
3 충패스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10wt%
4 데브리놀골드 나프로파마이드(Napropamide) 50wt%
5 롱테이크 테부코나졸(Tebuconazole) 20wt%
나. 처리구(상추 시료) 준비 및 농약 처리
시중에서 무농약 상추를 구입하고, 이를 100g씩 소분하여 담은 총 24개의 처리구(상추 시료)를 준비하였다. 첨부된 도 2는 무농약 상추 100g씩 담은 처리구(총 24개)의 사진을 보인 것이다. 상기 농약 제품 5종에서 각각 동일한 양을 취하여 혼합한 후, 물로 1,000배 희석하였다. 무농약 상추를 겹치지 않게 펴 놓은 후, 희석된 농약을 분무기에 담아 상추 100g에 20ml씩 골고루 살포하였다. 농약 살포 후 실온에서 하루 동안 자연 건조시켰다. 첨부된 도 3은 물로 1,000배 희석한 농약과, 희석한 농약을 상추에 살포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다. 처리액 살포 및 물 살포
총 24개의 처리구 중에서 12개의 처리구(상추 시료)에는 상기 제조된 처리액(미네랄-수소수 용액)을 20ml씩 분무기로 골고루 살포하였다. 첨부된 도 4는 처리구(상추 시료)에 처리액(미네랄-수소수 용액)을 살포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그리고 총 24개의 처리구 중 나머지 12개의 처리구(상추 시료)에는 대조군으로서 물(수돗물)을 20ml씩 분무기로 골고루 살포하였다.
(3) 잔류 농약 분석
상기 처리액 살포와 물 살포 후, 0일차(4시간이 지난 후), 4일차, 8일차 및 12일차의 각 처리구(상추 시료) 3개에 대한 잔류 농약 성분 5종을 분석(LC-MS/MS)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4일차 이후부터는 냉동 보관 후, 해동시킨 후에 잔류 농약 검출치(mg/kg)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6]에 보인 성분 분석결과는 각 처리구의 3개에 대한 평균값이다.
< 실시예 6에 따른 상추 시료의 잔류 농약 분석 결과 >
잔류 농약 성분 처리 후 시간 잔류 농약 검출치(mg/kg) 물 대비
저감률
대조군
(물)
실시예 6
(미네랄-수소수)
아바멕틴
(Abamectin)
0일(4시간 후) 1.1 0.5 54.5%
4일 1.1 0.4 63.6%
8일 0.7 0.3 57.1%
12일 0.7 0.2 71.4%
다이아지논
(Diazinon)
0일(4시간 후) 23.9 10.4 56.5%
4일 20.9 8.6 58.9%
8일 21.3 6.0 71.8%
12일 12.3 4.5 63.4%
에토펜프록스
(Etofenprox)
0일(4시간 후) 9.5 5.3 44.2%
4일 8.6 4.9 43.0%
8일 10.2 4.8 52.9%
12일 8.9 3.7 58.4%
나프로파마이드
(Napropamide)
0일(4시간 후) 62.5 34.5 44.8%
4일 54.4 28.6 47.4%
8일 48.8 27.2 44.3%
12일 48.1 23.8 50.5%
테브코나졸
(Tebuconazole)
0일(4시간 후) 4.1 2.0 51.2%
4일 3.5 2.5 28.6%
8일 3.2 1.6 50.0%
12일 3.1 1.5 51.6%
상기 [표 6]에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 6에 따른 처리액(미네랄-수소수 용액)을 살포한 경우, 대조군(물 살포)에 비하여 잔류 농약 검출치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살포 후 시간(일자)이 지날수록 검출치가 점점 낮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예(실시예 1 ~ 6)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호광성 미생물(KHNT-1 균주) 및/또는 미네랄은 잔류 농약 제거에 유효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실시예 1 ~ 6)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호광성 미생물(KHNT-1 균주) 및/또는 미네랄은, 적어도 아바멕틴(Abamectin),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비펜트린(Bifenthrin), 보스칼리드(Boscalid), 뷰프로페진(Buprofezin),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다이아지논(Diazinon),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에마멕틴 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펜헥사미드(Fenhexamid),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헥사코나졸(Hexaconazole), 이프로디온(Iprodione),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메탈락실(Metalaxyl), 메트코나놀(Metconanole), 나프로파마이드(Napropamide), 펜사이큐론(Pencycuron),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프로크로라즈(Prochloraz),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티플루자마이드(Thifluzamide),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및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잔류 농약에 대해 유효한 제거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호광성 미생물(KHNT-1 균주)과 미네랄을 수소수와 함께 혼합 사용하는 경우,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잔류 농약 제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농작물의 종류, 재배지 및 재배기간(수삼의 경우 4년근과 6년근) 등에 따라 살포된 농약의 종류 및 살포량 등이 다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호광성 미생물(KHNT-1 균주)과 미네랄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거의 모든 잔류 농약 성분에 대해 유효한 제거능을 가지며, 이와 함께 불검출(ND)이거나 거의 O(zero)에 가까운 검출치로서 잔류 농약 제거율(중화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은 발효대두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하고,
    상기 균주는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2. 농작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 및
    상기 잔류 농약을 제거한 농작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에서의 농작물은 토양에서 수확된 후의 원물 단계의 농작물을 처리 대상으로 하되,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은 발효대두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하고,
    상기 균주는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은,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진행한 후의 처리액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단계는 처리액을 역삼투압 필터에 통과시키는 필터링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네랄은 제1미네랄과 제2미네랄을 포함하는 복합 미네랄이고,
    상기 제1미네랄은 유황(S)을 포함하며,
    상기 제2미네랄은 칼륨(K), 칼슘(Ca), 아연(Zn), 규소(Si), 인(P), 나트륨(Na), 마그네슘(Mg) 및 게르마늄(G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황(S)은 법제유황을 물에 혼합한 유황용액을 얻은 다음, 상기 유황용액을 자석이 설치된 자기장 발생관에 통과시킨 후, 여과를 통해 얻어진 정제유황(S)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은 수소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상기 미생물,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처리액을 25℃ ~ 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농작물이 침지된 처리액을 25℃ ~ 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은 LED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5.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 농약 제거단계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처리액에 농작물을 침지하고, 상기 처리액에 광을 조사하는 제1처리단계; 및
    미네랄 및 수소수를 포함하는 미네랄-수소수 용액에 상기 제1처리단계를 진행한 농작물을 침지하는 제2처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은 발효대두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하고,
    상기 균주는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제1미네랄과 제2미네랄을 포함하는 복합 미네랄이고,
    상기 제1미네랄은 유황(S)을 포함하며,
    상기 제2미네랄은 칼륨(K), 칼슘(Ca), 아연(Zn), 규소(Si), 인(P), 나트륨(Na), 마그네슘(Mg) 및 게르마늄(G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황(S)은 법제유황을 물에 혼합한 유황용액을 얻은 다음, 상기 유황용액을 자석이 설치된 자기장 발생관에 통과시킨 후, 여과를 통해 얻어진 정제유황(S)을 사용하며,
    상기 수소수는 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생성된 수소수를 자기장 발생관에 통과시킨 수소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7. 농작물을 처리액에 접촉시켜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액은 미생물을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은 발효대두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하고,
    상기 균주는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며,
    상기 균주에 의해 제거되는 잔류 농약은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비펜트린(Bifenthrin), 보스칼리드(Boscalid), 뷰프로페진(Buprofezin),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에마멕틴 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펜헥사미드(Fenhexamid),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헥사코나졸(Hexaconazole), 이프로디온(Iprodione),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메탈락실(Metalaxyl), 메트코나놀(Metconanole), 펜사이큐론(Pencycuron),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프로크로라즈(Prochloraz),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티플루자마이드(Thifluzamide),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및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8.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제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 농약 제거제는 미생물 및 미네랄을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은 발효대두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하고,
    상기 균주는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제1미네랄과 제2미네랄을 포함하는 복합 미네랄이고,
    상기 제1미네랄은 유황(S)을 포함하며,
    상기 제2미네랄은 칼륨(K), 칼슘(Ca), 아연(Zn), 규소(Si), 인(P), 나트륨(Na), 마그네슘(Mg) 및 게르마늄(G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
  10. 농작물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잔류 농약 제거제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 농약 제거제는 발효대두로부터 분리한 균주로서, 기탁번호 KCTC14739BP로 기탁된 아스퍼질러스 나이저 KHNT-1(Aspergillus niger KHNT-1) 균주를 포함하며,
    상기 균주는 광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은 미네랄 및 수소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농약은 아바멕틴(Abamectin),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비펜트린(Bifenthrin), 보스칼리드(Boscalid), 뷰프로페진(Buprofezin),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다이아지논(Diazinon),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에마멕틴 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펜헥사미드(Fenhexamid),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헥사코나졸(Hexaconazole), 이프로디온(Iprodione),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메탈락실(Metalaxyl), 메트코나놀(Metconanole), 나프로파마이드(Napropamide), 펜사이큐론(Pencycuron),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프로크로라즈(Prochloraz),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티플루자마이드(Thifluzamide),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및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용 조성물.
KR1020230001823A 2023-01-05 2023-01-05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KR10263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823A KR102637027B1 (ko) 2023-01-05 2023-01-05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823A KR102637027B1 (ko) 2023-01-05 2023-01-05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027B1 true KR102637027B1 (ko) 2024-02-15

Family

ID=8989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823A KR102637027B1 (ko) 2023-01-05 2023-01-05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027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95B1 (ko) 1999-06-24 2003-05-0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인삼 추출물로부터의 농약 성분 제거법
JP2008273843A (ja) * 2006-09-06 2008-11-13 B & L:Kk 農作物の残留農薬低減剤
KR20100105231A (ko) * 2009-03-20 2010-09-29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잔류농약 제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04721A (ko) * 2009-03-19 2010-09-29 하용준 이온화 미네랄을 이용한 유해물질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5912A (ko) * 2009-03-23 2010-10-01 정용진 에코농산물
KR20100116776A (ko) * 2009-04-23 2010-11-02 박순오 이온화 미네랄을 이용한 유해물질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5022A (ko) 2013-12-04 2015-06-12 롯데제과주식회사 식물 분말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KR20150137815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제일바이오 인삼지상부 내 잔류 농약 분해 활성 또는 진세노사이드 전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160058218A (ko) 2014-11-04 2016-05-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에서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
KR20170068644A (ko) * 2015-12-09 2017-06-20 윤상용 농산물에 잔류하는 농약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런 효능을 갖는 칼슘조성물
KR101970336B1 (ko) * 2017-11-10 2019-04-18 청도농업대학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CN110367557A (zh) * 2019-08-08 2019-10-25 六安市我罗生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浸出并过滤水中残留农药的蔬菜清洗装置
KR20210011611A (ko) 2019-07-23 2021-02-02 (주)화인내츄럴 인삼 농축액에서의 지용성의 잔류농약의 제거는 물론 프탈레이트계의 가소제를 제거하면서도 쓴맛과 향을 최소화하는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10067297A (ko) * 2019-11-29 2021-06-08 방금식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류농약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4591A (ko) * 2020-12-14 2022-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다이아지논을 분해하는 패니바실러스 트리티시 ph55-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분해 미생물제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95B1 (ko) 1999-06-24 2003-05-0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인삼 추출물로부터의 농약 성분 제거법
JP2008273843A (ja) * 2006-09-06 2008-11-13 B & L:Kk 農作物の残留農薬低減剤
KR20100104721A (ko) * 2009-03-19 2010-09-29 하용준 이온화 미네랄을 이용한 유해물질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5231A (ko) * 2009-03-20 2010-09-29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잔류농약 제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05912A (ko) * 2009-03-23 2010-10-01 정용진 에코농산물
KR20100116776A (ko) * 2009-04-23 2010-11-02 박순오 이온화 미네랄을 이용한 유해물질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5022A (ko) 2013-12-04 2015-06-12 롯데제과주식회사 식물 분말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KR20150137815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제일바이오 인삼지상부 내 잔류 농약 분해 활성 또는 진세노사이드 전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160058218A (ko) 2014-11-04 2016-05-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에서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
KR20170068644A (ko) * 2015-12-09 2017-06-20 윤상용 농산물에 잔류하는 농약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런 효능을 갖는 칼슘조성물
KR101970336B1 (ko) * 2017-11-10 2019-04-18 청도농업대학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KR20210011611A (ko) 2019-07-23 2021-02-02 (주)화인내츄럴 인삼 농축액에서의 지용성의 잔류농약의 제거는 물론 프탈레이트계의 가소제를 제거하면서도 쓴맛과 향을 최소화하는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0367557A (zh) * 2019-08-08 2019-10-25 六安市我罗生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浸出并过滤水中残留农药的蔬菜清洗装置
KR20210067297A (ko) * 2019-11-29 2021-06-08 방금식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류농약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4591A (ko) * 2020-12-14 2022-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다이아지논을 분해하는 패니바실러스 트리티시 ph55-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분해 미생물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mardan et al. Adsorption of heavy metal ions from contaminated soil by B. integerrima barberry
KR102160163B1 (ko)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KR100884044B1 (ko) 압출성형과 발효법을 이용한 고농도의 사포닌이 함유된 홍삼액과 산삼배양근액의 제조방법
US9744201B2 (en) Red ginseng saponin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637027B1 (ko)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KR102517659B1 (ko) 염지하수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7073A (ko)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KR102475348B1 (ko) 저온숙성을 통한 연어 그라브락스 저장성 향상 방법
KR100959520B1 (ko)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McDougall et al. Metal ion adsorption by pseudosclerotial plates of Phellinus weirii
JP2004155900A (ja) 構造化濃縮深層水を用いた土壌活性剤
KR100889922B1 (ko) 살균 및 항균성을 가지는 신선제의 제조방법
JP2001187745A (ja) 霊芝生理活性エキスおよびそれを用いる健康食品
Richter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banana puree
KR102674805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핑크소금의 제조방법
WO2011052635A1 (ja) 藻類粉体の乾熱殺菌方法
KR102463741B1 (ko)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WO2001040495A1 (en) A method for preparing dioxin decomposers from stevia, a dioxin decomposer prepared by the method and a method for decomposing dioxins using it
KR102237386B1 (ko) 수산기가 용존된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용 조성물
KR100543747B1 (ko) 명자나무열매를 이용한 녹조퇴치용 발효액 아이제이에스디
KR20240145698A (ko) 식물 성장의 촉진을 위한 유기물 고형분말의 제조방법
Dwidar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some wastewater by using different agricultural wastes
KR101984551B1 (ko)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Khanzada et al. Elemental Analysis of Fresh Water Green Algae Zygnema Leiospermum & Its Antifungal Activity on Various Fruit Spoiling Fung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