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741B1 -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741B1
KR102463741B1 KR1020200111334A KR20200111334A KR102463741B1 KR 102463741 B1 KR102463741 B1 KR 102463741B1 KR 1020200111334 A KR1020200111334 A KR 1020200111334A KR 20200111334 A KR20200111334 A KR 20200111334A KR 102463741 B1 KR102463741 B1 KR 10246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harcoal
rice straw
mixed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250A (ko
Inventor
김제경
Original Assignee
(주)농업회사법인 오손도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농업회사법인 오손도손 filed Critical (주)농업회사법인 오손도손
Priority to KR102020011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7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8Denaturation, e.g. denaturation of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을 감소시키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으로서 활성탄 또는 차콜을 희석한 수용액에 인삼을 일정 시간동안 침지시켜 인삼에 잔류하는 농약의 농도를 저하시켜 소비자가 안심하고 인삼 또는 홍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4 ~ 6년근 인삼을 수확하는 단계, 상기 수확한 인삼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인삼을 활성탄 또는 차콜과 물을 혼합한 세척액에 침지하여 잔류농약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농약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을 감소시키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Method for removal of reducing pesticide in ginseng}
본 발명은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 ~ 6년근 인삼을 수확하는 단계, 상기 수확한 인삼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인삼을 활성탄 또는 차콜과 물을 혼합한 세척액에 침지하여 잔류농약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농약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을 감소시키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다년생(多年生) 식물로서 뿌리의 모양이 사람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삼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듯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돕고 진액을 생성하며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주는 등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약리작용으로는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신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 합성촉진, 항상성 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뛰어나다. 이와 같은 효능 및 작용으로 인해 현재 인삼은 각종 드링크와 같은 음료나 삼계탕과 같은 음식 및 보양 약재 등 해당 분야의 경계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어 폭 넓게 사용 및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삼은 재배기간이 4~6년으로 길고 반음지성 작물이기 때문에 내병성, 내비성이 약하여 비배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내병성이 약한 생리적 특성으로 농약 사용이 필수적이며 표준인삼경작방법에는 연간 11회 살포를 권장하고 있다.
이렇게 잦은 농약 살포로 인삼에 많은 양의 잔류농약이 검출되고 있으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8년도까지 인삼의 잔류농약 부적합율은 일반 농산물의 5배로 나타났다.
상기 부적합 인삼은 홍삼으로 가공 조제하여도 오히려 잔류농약의 농도가 높게 검출되므로 안전한 인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인삼 중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여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부적합한 인삼은 출하연기, 폐기 등의 조치로 시중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강화된 잔류농약에 관한 규제 및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삼에 잔존하는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2037호 (2017. 06. 2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2829호 (2017. 03. 2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을 감소시키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은 활성탄 또는 차콜을 희석한 수용액에 인삼을 일정 시간동안 침지시켜 인삼에 잔류하는 농약의 농도를 저하시켜 소비자가 안심하고 인삼 또는 홍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4 ~ 6년근 인삼을 수확하는 단계, 상기 수확한 인삼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인삼을 활성탄 또는 차콜과 물을 혼합한 제1수용액에 침지하여 잔류농약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농약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용액은 활성탄 또는 차콜 1~4 : 물 9~6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용액에 식이유황분말 또는 셀레늄분말을 더 혼합하되, 제1수용액 9~7 : 식이유황분말 또는 셀레늄분말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2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용액 또는 제2수용액에 죽염 또는 소금을 더 혼합하되, 제1수용액 또는 제2수용액 9~7 : 죽염 또는 소금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3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은 활성탄 또는 차콜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세척액에 인삼을 세척하여 잔류 농약을 제거함으로서 일정 시간에 인삼의 잔류 농약, 특히 지용성 성분의 농약을 90% 이상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만큼 제거효율이 우수하며, 잔류 농약이 제거된 인삼을 포함한 홍삼, 인삼가공식품 또는 홍삼가공식품 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4 ~ 6년근 인삼을 수확하는 단계, 상기 수확한 인삼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인삼을 활성탄 또는 차콜과 물을 혼합한 세척액에 침지하여 잔류농약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농약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1. 인삼 수확
본 발명에 따른 홍삼을 제조하기 위해 우선 인삼을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을 수확하는 시기는 가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삼을 수확할 때 인삼에 상처가 없도록 조심히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삼의 곁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삼은 재배한 후, 4년 이상이 된 것을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 ~ 6년근 인삼을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물질 제거
상기 수확한 인삼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인삼을 세척하는 공정의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확한 인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기압은 0.4 ~ 0.6㎏/㎠의 압력으로 인삼의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삼 표면에 묻은 이물질 제거 시 0.6㎏/㎠ 공기압을 초과할 경우, 인삼의 잔뿌리에 손상이 가해져 인삼잔뿌리가 손상되거나 손실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0.4㎏/㎠ 공기압 미만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 인삼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나 압력이 약해 인삼 세척 공정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3. 인삼 세척
상기 인삼의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 세척은 인삼을 세척하는 동시에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활성탄분말, 차콜(숯)분말 또는 활성탄과 차콜이 혼합된 혼합분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1분말을 사용하며, 이때 제1분말 1~4 : 물 9~6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수용액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활성탄 또는 차콜(숯)은 떡갈나무, 줄참나무, 상수리나무, 낙엽송, 삼나무, 노송나무, 아카시아나무 및 올리브나무를 600-800℃의 온도에서 1차 탄화한 후 2차로 11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활성차콜(숯)을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된 활성차콜을 공지된 활성화물질에 의한 활성화과정을 통해 활성탄을 제조하게 되며, 상기 제1수용액에 1분 내지 30분 동안 담가 세척하면 잔류농약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액에 식이유황분말 또는 셀레늄분말을 더 혼합하되, 상기 제1수용액 9~7 : 식이유황분말 또는 셀레늄분말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2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이유황분말은 오랜 역사동안 질병 치유에 도움이 되었고 금단(金丹)의 주원료로 쓰여 왔다. 금단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그만큼 약성이 매우 강하다.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에 신비한 해독(解毒)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황은 인체의 필수 영양제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및 여러나라의 대체의학 병원에서는 유황을 항암제, 염증치료제, 통증완화제, 류마티스 치료제, 우울증치료제, 피부경화 치료제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각종 암을 유발시키는 유해물질인 활성산소로 인해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켜 노화와 치명적인 암을 유발하는 독성이 강한 히드록시 레디칼의 공격으로 부터 DNA를 보호해주는 글루타티온과 세포를 활성화하고 종양을 괴멸시키는 면역세포 TNF를 증강시키는 큰 역할을 유황성분이 한다고 보고되었다. 무기 유황과는 달리 식이유황은 독성이 없어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셀레늄(selenium, Se)은 체내의 여러 가지 작용에 필수적인 미량 무기질이며 항산화 물질이다. 셀레늄은 강력한 항산화력으로 세포막 손상을 일으키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신체 조직의 노화와 변성을 막아 주거나 그 속도를 지연시킨다. 즉 셀레늄은 신체 내에서 생성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소인 글루타싸이온 퍼옥시데이즈(glutathione peroxidase)의 성분으로 존재한다. 셀레늄의 항산화 작용은 해독 작용과 면역 기능을 증진시키고 자외선, X선, 방사선의 피해를 경감시켜 암, 간 질환, 신장병, 관절염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작용한다. 셀레늄 흡수율은 50∼100% 정도이며 식품 내에 유기 셀레늄으로 공급되면 거의 완전히 흡수된다.
또한, 상기 제1수용액 또는 제2수용액에 죽염 또는 소금을 더 혼합하되, 세척액 9~7 : 죽염 또는 소금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3수용액을 사용하며, 상기 제3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한 제3수용액으로 인삼을 세척함으로써 죽염 또는 소금으로 인해 인삼의 표면을 소독하면서 인삼의 쓴맛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제조한 제3수용액에 인삼을 1 ~ 10 분 동안 침지시켜 인삼을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3수용액에 10분을 초과하여 인삼을 침지시킬 경우, 인삼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감소할 수 있어 10분 이내로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수용액에 침지한 인삼을 꺼내어 상기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부분은 깨끗한 세척용 솔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깨끗한 물에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하기 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수외에 식용식초 또는 발효식초의 식초수를 이용하여 인삼을 세척하면 잔류농약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액, 제2수용액 또는 제3수용액에 침지단계를 거쳐 농약성분이 제거된 인삼을 증삼과 건조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쳐 제조된 홍삼을 볏짚에 올려 말리는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특히 볏짚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라고 하는 고초균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해 발효를 통한 방식으로 홍삼을 제조하며, 상기 볏짚은 2cm 정도의 두께로 하여 그 상부에 반건조된 홍삼을 적재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고초균이 홍삼에 침투하여 홍삼을 효율적으로 배양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때 볏짚의 하부에 10~20℃의 증기가 발생되는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볏짚의 고초균이 홍삼 내부로 더욱 용이하게 스며들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수용액, 제2수용액 또는 제3수용액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용액에 의해 침지시킨 후 처리된 인삼을 건조시킨 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척된 인삼을 건조시킨 후, 볏짚의 중량 대비 2배의 소금물에 6~24시간 침지시켜 절여진 볏짚을 건조하여 분쇄한 볏짚분말, 황토분말, 산초추출물을 각각 1:0.1~0.5:0.1~0.9 중량비로 포함된 혼합액을 제조하며, 상기 혼합액을 건조된 인삼의 표면에 바르거나 혼합액 1~4 : 물 9~6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용액에 인삼을 10분에서 30분 정도 침지시켜 인삼의 잔류농약 및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혼합액 또는 수용액에 침지한 후 세척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볏짚은 금속흡착 능력이 우수하므로 중금속 등의 제거 효과도 뛰어나며, 이에 볏짚을 소금물에 절이는 단계를 거친 거조된 볏짚분말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소금물의 소금의 농도는 효소활성과 미생물의 생육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보통 세균은 소금농도가 10%이상이면 생육이 억제되고 여러 가지 종류의 병원균이나 부패균들도 2%~12% 농도 범위에서 생육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금물의 염농도를 2%~20%로 하여 소금물을 제조하여 사용하게 되며, 2% 미만의 염농도일 경우 잡균이 번식하게 되어 볏짚의 부패가 우려되고, 20% 초과의 염농도일 경우 고염으로 인해 인삼의 품질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절임과정을 거쳐 분말화된 볏짚을 사용함으로서 혼합액 또는 수용액에 대하여 인삼의 표면 부착율을 높여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데 극대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황토분발은 황토 특유의 항균작용을 함으로써, 혼합액에 첨가하였을 때, 인삼표면의 유해성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산초추출물은 항균작용을 가진 산초열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으로서, 통상의 제조예인 물과, 100% 에탄올을 각각 추출용매로 하여, 산초열매를 건조시킨 후 파쇄하여 산초열매 중량대비 15 ~ 20배의 추출용매로 혼입하여 상온에서 교반하고 침지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고 동량의 추출용매로 2차 추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것을 1:1 중량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산초추출물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제조하게 되며, 또한 산초를 물에 넣어 끊이고 난 후, 증류 추출 농축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산초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에 황토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30℃~50℃에서 참나무숯 또는 소나무숯에 호열성 미생물을 접종하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참나무숯 또는 소나무숯과 황토를 각각 1:0.5~0.9 중량비의 비율로 배합하여 30일 동안 발효시킨 다음, 건조시켜 분말화한 황토숯분말을 혼합액에 첨가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은 특수한 효소와 각종 고분자 물질을 생산하여 고온환경 및 중금속, 황화수소 등 독성물질에 높은 내성을 갖으며, 또한 상기 혼합액에 의해 인삼의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을 제거시 인삼 표면에 식중독균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액에 절임단계를 거진 볏짚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갈대뿌리를 수세한 후 압착과 같은 두드림단계를 거친 후 갈대뿌리의 중량 대비 2배의 소금물에 6~12시간 침지시켜 절여진 갈대뿌리를 건조하여 분쇄한 갈대뿌리분말을 혼합액에 볏짚분말과 동일한 중량비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갈대뿌리는 소금물에 절임과정을 거쳐 조직을 부드럽게 하며, 그리고 갈대뿌리 자체에 해독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어 잔류농약 또는 유해성분 중 독성분을 중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볏짚 또는 갈대뿌리를 소금물에 절이는 절임단계를 거쳐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 대신에 볏짚 또는 갈대뿌리를 소금물에 절이는 절임단계를 거친 볏짚 또는 갈대뿌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혼합액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볏짚 또는 갈대뿌리를 소금물에 절이는 절임단계에서 소금만을 사용한 소금물 대신에 소금과 백반을 각각 1:0.01~0.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소금물을 제조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백반을 첨가함으로서 백반의 살균능력으로 인해 소독이나 살충제 등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4 ~ 6년근 인삼을 수확하는 단계,
    상기 수확한 인삼 표면에 묻은 흙 또는 미생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인삼을 활성탄 또는 차콜 1~4 : 물 9~6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수용액에 침지하여 잔류농약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수용액에 의해 침지시킨 후 처리된 인삼을 건조시킨 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척된 인삼을 건조시킨 다음,
    볏짚의 중량 대비 2배로 하면서 염농도를 2%~20%의 소금물에 6~12시간 침지시켜 절여진 볏짚을 건조하여 분쇄한 볏짚분말, 황토숯분말, 산초추출물을 각각 1:0.1~0.5:0.1~0.9 중량비로 포함된 혼합액을 제조하되, 상기 황토숯분말은 30℃~50℃에서 참나무숯 또는 소나무숯에 호열성 미생물을 접종하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참나무숯 또는 소나무숯과 황토를 각각 1:0.5~0.9 중량비의 비율로 배합하여 30일 동안 발효시킨 다음,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제조하며,
    상기 혼합액을 건조된 인삼의 표면에 바르거나 혼합액 1~4 : 물 9~6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용액에 인삼을 침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잔류농약을 제거한 인삼을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에서 볏짚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갈대뿌리를 수세한 후 압착과 같은 두드림단계를 거친 후 갈대뿌리의 중량 대비 2배의 소금물에 6~12시간 침지시켜 절여진 갈대뿌리를 건조하여 분쇄한 갈대뿌리분말을 혼합액에 볏짚분말과 동일한 중량비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 또는 갈대뿌리를 소금물에 절이는 절임단계에서 소금만을 사용한 소금물 대신에 소금과 백반을 각각 1:0.01~0.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소금물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농약이 제거되어 건조단계를 거친 인삼을 증삼과 건조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쳐 제조된 홍삼을 볏짚에 올려 말리는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20200111334A 2020-09-01 2020-09-01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246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34A KR102463741B1 (ko) 2020-09-01 2020-09-01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34A KR102463741B1 (ko) 2020-09-01 2020-09-01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250A KR20220029250A (ko) 2022-03-08
KR102463741B1 true KR102463741B1 (ko) 2022-11-04

Family

ID=8081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34A KR102463741B1 (ko) 2020-09-01 2020-09-01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7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186A (ko) * 2001-09-24 2003-03-31 성충유 천연황토와 참 대나무통을 이용한 생선및.육류 포장 가공방법에 관한
KR100965907B1 (ko) * 2008-04-17 2010-06-24 (주)고려바이오홍삼 엠에스엠을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방법
KR20150077633A (ko) * 2013-12-30 2015-07-08 서희동 홍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52037B1 (ko) 2014-11-04 2017-06-2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에서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
KR101722829B1 (ko) 2015-02-16 2017-04-0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에서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방법
KR101985765B1 (ko) * 2017-05-15 2019-06-04 울산과학기술원 볏짚 분말을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및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969408B1 (ko) * 2017-12-29 2019-04-16 대한민국 유해물질을 감소시키는 홍삼 추출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250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146B1 (ko) 돼지불고기용 간장소스를 만드는 방법
KR100884044B1 (ko) 압출성형과 발효법을 이용한 고농도의 사포닌이 함유된 홍삼액과 산삼배양근액의 제조방법
KR100729713B1 (ko)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KR101016760B1 (ko) 오리고기 훈제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훈제 오리고기의 제조방법
KR102019443B1 (ko) 친환경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011138328A (ru) Способ и вещество для активируемого сайтом комплексообразов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молекул
KR101839523B1 (ko) 식용 가능한 패각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패각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80849B1 (ko) 옻과 느릅나무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기능성 된장
KR101909423B1 (ko)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KR102463741B1 (ko) 인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2015547B1 (ko) 편백나무 정유 추출물의 이취 제거 방법
KR20180016846A (ko) 비파잎을 이용한 화장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화장수
KR20120120571A (ko) 오징어 내피 추출 콜라겐 펩타이드 및 해조류와 생약성분을 이용한 항산화 근골강화 기능 식품의 제조방법
KR20100035352A (ko) 기능성 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김
KR20180088217A (ko) 굼벵이가 함유된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굼벵이가 함유된 과자
KR101920859B1 (ko)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9408B1 (ko) 유해물질을 감소시키는 홍삼 추출물 제조방법
KR102509566B1 (ko)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CN107494905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制备方法
KR102456954B1 (ko) 스틱 형태의 포장 용기에 충전된 도라지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0584B1 (ko)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25860A (ko) 은행외과피를 포함하는 은행식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0970B1 (ko) 순한 맛의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JP2014001194A (ja) 植物の病害治療溶液とその生産方法。
KR20190088575A (ko)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