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584B1 -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584B1
KR102610584B1 KR1020230006679A KR20230006679A KR102610584B1 KR 102610584 B1 KR102610584 B1 KR 102610584B1 KR 1020230006679 A KR1020230006679 A KR 1020230006679A KR 20230006679 A KR20230006679 A KR 20230006679A KR 102610584 B1 KR102610584 B1 KR 10261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extract
detergent composi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휘호
Original Assignee
박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휘호 filed Critical 박휘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1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Abstract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단계와,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와,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무환자나무 혼합물에 유용미생물을 첨가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 및 세제 조성물에 다당류, 보습제, 유기산, 천일염을 포함한 첨가제를 첨가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유용미생물은 유용미생물 원액을 상온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형성하며, 형성된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베이킹소다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유용미생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며, 다당류는 소르비톨, 설탕, 전분당을 포함하고, 다당류는 무환자나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베이킹소다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고, 보습제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유기산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고, 천일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제5 단계에서, 세제 조성물에 한약재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한약재 조성물은 황기, 토복령, 맥문동, 황정, 황련, 솔잎, 편백나무를 포함한 한약재를 80~90℃의 온도에서 48~7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며, 황기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고, 토복령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혼합되며, 황정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혼합되고, 황련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혼합되며, 솔잎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고, 편백나무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제5 단계에서, 세제 조성물에 녹차 추출물, 탱자 추출물, 껍질 추출물, 오렌지 오일, 엉컹퀴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녹차 추출물은 녹차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녹차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며, 탱자 추출물은 탱자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탱자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껍질 추출물은 마늘 껍질 및 양파 껍질을 포함하고, 껍질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며, 오렌지 오일은 오렌지에서 추출된 오일이고, 오렌지 오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며, 엉겅퀴 분말은 엉겅퀴를 분쇄한 분말로서, 엉겅퀴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고,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단계는,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 및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를 2cm 내지 4cm로 절단하고 50℃ 내지 60℃에서 130분 내지 180분 건조하는 단계와, 무환자나무 잎을 110℃ 내지 150℃에서 5분 내지 7분간 볶는 단계를 포함하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와 잎의 건조중량 100g과 6배(v/v)의 75%에탄올을 첨가하여 75℃에서 3시간 3회 반복하여 침지한 후 여과지에 4회 여과한 추출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65℃에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 가열단계와 제2 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제1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 내지 3 kg/㎤의 압력에서 100℃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5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며, 제2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2 내지 3.2 kg/㎤의 압력에서 120℃ 내지 1400℃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는, 무환자나무 농축액, 유칼립투스 추출물, 귤껍질 분말을 혼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무환자나무 혼합물은 무환자나무 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칼립투스 추출물 1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귤껍질 분말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비율로 혼합되며, 귤껍질 분말은, 귤껍질의 안쪽의 흰부분을 분리하고, 흰부분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수득하는 무환자나무 열매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escription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n eco-friendly detergent composition using extracts from the Sapindus mukorossi tree and microorganism}
본 발명은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란 물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여 세정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대부분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며, 이 계면활성제는 합성 또는 천연물에 화학적인 처리공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표면(Surface)+활성(Active)+서분(Agent)의 약자로, 하나의 분자 내에 물과 친한 친수성부위(Hydrophilic)와 오일과 친한 친유성부위(Lipophilic)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서로 섞이지 않는 물과 오일의 경계면을 활성화하여 서로 섞이도록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계면활성제는 친수성을 띠는 헤드 부위의 전기적 성질에 따라 양이온성계면활성제, 음이온성계면활성제,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로 나뉘는데, 세정 목적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계면활성제의 친수부(hydrophilic groups)에는 carboxylate(-COO-), sulfate(-OSO3 -), sulfonate(-SO3 -), carboxybetaine (-NR2CH2COO-), sulfobetaine(-N(CH3)2C3H6SO3 -) 같은 것들이 있다.
이와 같은 음이온계면활성제들은 오일과 친한 친유부가 먼지가 유지에 달라붙어 둘러싸게 되며, 이것을 세정이라는 물리적인 과정을 통해 떼어내어 씻어버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분자량이 매우 작아 피부에 묻으면 피부장벽을 파괴하고, 그로 인해 피부 속의 수분이 빠져나가, 피부가 빠르게 건조해지고 주름이 생겨 노화가 쉽게 진행된다.
또한, 입으로 들어온 물질은 간을 통해 정화되는 과정을 거치는 반면, 합성 계면활성제는 분해하기 어려운 특징을 갖고 있어 피부의 모공을 통해 흡수되면 혈관 속에 들어가 장기에 축적되어 몸 바깥으로 배출되지 않고 인체에 남아 피부병 및 암을 유발한다.
더욱이, 합성 계면활성제가 분해될 때 나오는 잔류성 물질이 하수 밑면에 침전, 축적되어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고, 어류에 대한 독성이 높아 수중 생물의 호흡량 및 생산량을 저하시키게 된다.
천연세제는 합성세제와 달리 방부제나 합성 계면활성제 등의 화학 첨가물을 넣지 않고 고급 식물성 오일, 아로마 에센셜 오일, 허브 및 천연 식물가루 등의 천연재료만을 사용하여 만든 세제이다.
또한, 화학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알레르기나 아토피 피부염 질환자들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현재 환경오염이 적고 피부에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 세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충분한 세정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오랜 기간 맨손으로 세정할 경우 피부가 거칠어지는 한계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657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물질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천연 계면활성제로 활용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무환자나무 혼합물에 유용미생물을 첨가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세제 조성물에 다당류, 보습제, 유기산, 천일염을 포함한 첨가제를 첨가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용미생물은 유용미생물 원액을 상온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형성하며, 형성된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베이킹소다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용미생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다당류는 소르비톨, 설탕, 전분당을 포함하고, 상기 다당류는 무환자나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베이킹소다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보습제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유기산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천일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세제 조성물에 한약재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약재 조성물은 황기, 토복령, 맥문동, 황정, 황련, 솔잎, 편백나무를 포함한 한약재를 80~90℃의 온도에서 48~7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며, 상기 황기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토복령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황정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황련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솔잎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편백나무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세제 조성물에 녹차 추출물, 탱자 추출물, 껍질 추출물, 오렌지 오일, 엉컹퀴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녹차 추출물은 녹차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상기 녹차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탱자 추출물은 탱자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상기 탱자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껍질 추출물은 마늘 껍질 및 양파 껍질을 포함하고, 상기 껍질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오렌지 오일은 오렌지에서 추출된 오일이고, 상기 오렌지 오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엉겅퀴 분말은 엉겅퀴를 분쇄한 분말로서, 상기 엉겅퀴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단계는,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를 2cm 내지 4cm로 절단하고 50℃ 내지 60℃에서 130분 내지 180분 건조하는 단계와, 무환자나무 잎을 110℃ 내지 150℃에서 5분 내지 7분간 볶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와 잎의 건조중량 100g과 6배(v/v)의 75%에탄올을 첨가하여 75℃에서 3시간 3회 반복하여 침지한 후 여과지에 4회 여과한 추출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65℃에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 가열단계와 제2 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 내지 3 kg/㎤의 압력에서 100℃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5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2 내지 3.2 kg/㎤의 압력에서 120℃ 내지 1400℃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는, 무환자나무 농축액, 유칼립투스 추출물, 귤껍질 분말을 혼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상기 무환자나무 혼합물은 상기 무환자나무 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칼립투스 추출물 1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상기 귤껍질 분말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귤껍질 분말은, 귤껍질의 안쪽의 흰부분을 분리하고, 흰부분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수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천연물질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천연 계면활성제로 활용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하여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세정에 필요한 거품량이 우수하면서도 뛰어난 세정력 및 헹굼성을 갖을 수 있으므로 세정수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단계(S10),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형성하는 제2 단계(S20), 무환자나무 농축액과 물을 1 : 0.4~0.6 비율로 혼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 무환자나무 혼합물에 유용미생물을 첨가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S40), 세제 조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제5 단계(S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환자나무(sapindus mukorossi)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의 낙엽관목이며, 항산화 물질 및 사포닌을 지니고 있어 천연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나무이다. 또한, 무환자나무는 주로 서남해안과 제주, 타이완, 중국남부, 인도, 인도네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다.
제1 단계(S10)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무환자나무 추출물은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시킬 수 있다.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은 분쇄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분쇄된 무환자나무의 건조 방법은 상온에서 건조시키거나 열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된 무환자나무를 물에 침지하여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무환자무와 물의 비율은 1 : 30 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된 무환자나무 1~3kg을 물 30~90L의 물에 침지하여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된 무환자나무가 침지되는 물의 온도는 80~90℃이고, 침지시간은 10~20시간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된 무환자나무가 침지된 물의 온도가 80℃ 미만일 경우, 세정이 효과적인 유효성분의 추출이 적고, 물의 온도가 90℃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성분이 추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건조된 무환자나무의 침지 시간이 10시간 미만일 경우, 세정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의 추출이 적고, 침지 시간이 2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세정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의 추출량이 미비하며,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성분이 추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단계(S10)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와,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를 2cm 내지 4cm로 절단하고 50℃ 내지 60℃에서 130분 내지 180분 건조하는 단계와, 무환자나무 잎을 110℃ 내지 150℃에서 5분 내지 7분간 볶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무환자나무에서 유효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와 잎의 건조중량 100g과 6배(v/v)의 75%에탄올을 첨가하여 75℃에서 3시간 3회 반복하여 침지한 후 여과지에 4회 여과한 추출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65℃에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수득할 수 있다.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형성하는 제2 단계(S20)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 가열단계와 제2 가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 내지 3 kg/㎤의 압력에서 100℃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5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제2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2 내지 3.2 kg/㎤의 압력에서 120℃ 내지 1400℃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가열단계와 제2 가열단계로 인해 생성되는 기화성분을 상온에서 액화시켜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수득할 수 있다.
제3 단계(S30)는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무환자나무 혼합물은 무환자나무 농축액과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환자나무 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칼립투스 추출물 20중량부 내지3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유칼립투스는 강한 살균작용과 더불어 인체에 무해하며, 사용자의 피부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유칼립투스 농축액은 유칼립투스를 세절한 후 60.0mg에 75% 에탄올 1,000mL을 이용하여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무환자나무 농축액과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혼합되는 경우 세정효과가 증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무환자나무 혼합물은 귤껍질 분말이 더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귤껍질 분말은 귤껍질의 안쪽의 흰부분을 분리하고, 흰부분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귤껍질 분말은 테트페트리트 성분이 풍부하여 김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 귤껍질 분말이 더 포함되는 경우, 무환자나무 혼합물은 무환자나무 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칼립투스 추출물 1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귤껍질 분말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제4 단계(S40)는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세제 조성물은 무환자나무 혼합물에 유용미생물을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용미생물은 유용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일 수 있다. 유용미생물 원액은 유용 미생물군(Effective Microorganisms)의 약자로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수집 종을 조합, 배양한 것일 수 있다.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이 EM을 구성하고 있는 주용 균종이며, 이들 균들간의 복잡한 공존공영 관계가 만들어내는 발효생성물의 항산화력이 EM의 효과라 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은 유용미생물 원액을 상온에서 5~10일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형성하고, 형성된 배양액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베이킹소다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계면활성제와 베이킹소다는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10 중량부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천연 계면활성제 또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 고급 알코올계, 비이온 고급아민계, 코코 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데실글루코사이드,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 코코 글루코사이드, 슈가계면활성제,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포타슘코코에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는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가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세제로서의 세정력이 떨어지며, 계면활성제가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라우릴글루코사이드는 코코넛 오일, 옥수수, 감자전분 등에서 추출되는 당분과 지방질을 바탕으로 한 성분으로, 생분해성이 높아 자연 친화적이고, 독성이 거의 없어 피부와 눈에 안전하고 유아용 제품에 많이 활용된다.
데실글루코사이드는 사탕무우, 옥수수, 코코넛, 팜커넬 오일에서 유래되는 당 성분의 순한 식물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하고 민감한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부드러운 거품을 형성한다.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은 사과즙에서 나온 아미노산과 코코넛애씨드 클로라이드를 압축하여 나온 천연 계면활성제로써 거품형성에도 뛰어나서 따로 거품 형성제를 넣지 않아도 풍부한 거품이 형성되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자연에서 무해한 물질로 분해된다.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는 야자유 또는 코코넛 지방산과 이세치오닉애씨드의 축합물이며 산도조절 역할을 하기 때문에 pH를 낮추어 약산성 제품을 만들 때 많이 들어가는 계면활성제로 피부와 두피의 자극을 최소화하여 트러블 피부, 여드름 피부에 효과적이다. 또한, 소듐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를 소듐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과 함께 사용하면 세정력이 높아지고, 피부 수분 손질이 적어진다.
코코 글루코사이드는 코코넛 오일과 과일 당 성분에서 유래된 천연유래성분의 계면활성제로 사용감이 부드럽고 순해서 민감하고 여린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거품이 잘 나고 세정력이 뛰어나 세정 후에도 촉촉함이 유지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슈가 계면활성제는 설탕과 지방산을 결합시킨 에스터이며, 독성이 아주 적고 피부자극이 거의 없고, 가수분해가 되어도 독성이 없어 과자류 같은 식품공업에 유용한 계면활성제로 활용되고 있다.
베이킹소다는 잘 지워지지 않는 기름때나 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 표면의 독소와 자극을 중화시켜 약한 피부 염증 및 가려움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베이킹소다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베이킹소다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기름때나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베이킹소다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베이킹소다의 입자가 고와 오히려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양액과 계면활성제, 베이킹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을 발효시킬 때, 유용미생물 수의 감소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해 발효액에 유용미생물 원액을 직접 보충하거나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당류 및 미네랄을 투입하여 유용미생물의 생육을 도울 수 있다. 유용미생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용미생물이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유용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이 떨어지며, 유용미생물이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유용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은 높일 수 있으나, 유용미생물의 투입되는 량이 증가하여 생산원가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제5 단계(S50)는 세제 조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이다. 첨가제는 다당류, 보습제, 유기산, 천일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당류는 소르비톨, 설탕, 전분당을 포함하고, 다당류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보습제는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해 수분 증발과 유해물질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습제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3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보습제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피부 보호막이 형성되지 못하여 피부의 수분 증발과 유해균 및 유해물질의 침입을 막지 못하고, 보습제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다른 세제 베이스의 함량이 줄어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습제는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히아루론산, 스쿠알렌, 알부틴, 알란토인, 아카시아콜라겐, 솔비톨, 부티렌글리콜, 아미노산, 젖산염 또는 D-판테놀 중 어느 하나 이상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산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3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유기산이 세제 소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항균성 및 살균력이 떨어지고, 유기산이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천일염은 과일과 채소 표면에 묻은 미생물을 제거하고, 부패방지, 해독, 살균, 냄새제거, 피부 보호제 등의 역할을 한다. 천일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천일염이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세제의 세정력이 떨어지고,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천일염이 침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5 단계(S50)에서 세제 조성물에 한약재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약재 조성물은 건조된 황기, 토복령, 맥문동, 황정, 황련, 솔잎, 편백나무가 포함된 한약재를 80~90℃의 온도에서 48~7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온도 및 다양한 시간으로 추출물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약재를 80℃ 이하에서 가열할 경우, 한약재의 성분이 추출되기 어렵고, 90℃ 이상에서는 한약재의 성분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약재를 48시간 이하로 가열할 경우, 한약재의 고유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으며, 한약재를 72시간 이상으로 가열할 경우, 한약재의 고유 성분이 더 추출되지 않으면서 한약재를 가열하는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이며,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황기는 노두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한약재이며,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다당 등의 활성성분이 포함되어 면역조절, 심장대뇌보호, 조혈기능촉진, 노화방지, 항종양, 항바이러스의 약리작용이 있다
토복령은 백합과에 속하는 청미래덩굴의 땅속줄기로,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혼합될 수 있다. 토복령은 스피로스탄, 푸로스탄의 배당체로써 6종의 스테로이드계 사포닌이 분리되어 해독, 항염, 항암 및 항산화 효과가 있다.
맥문동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맥문동의 뿌리에는 배당체인 오피오포고닌과 점액질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작용, 혈류량촉진, 심장수축력증가, 진정, 면역증강, 혈당강하, 항균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황정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황정은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층층갈고리둥굴레의 뿌리줄기로, 뿌리에는 글로코키닌, 사포닌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어,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 식용부진, 기력 회복, 당뇨, 노화방지 및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
황련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 풀로,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황련은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워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등의 약효 성분이 알려져 있고, 사화(瀉火) 작용이 있어서 일체의 열로 인한 질환에 탁월한 치료반응을 나타내는 효능이 있다. 즉, 건위, 진정,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위염, 장염, 북통, 구토, 이질, 심계 번열 등의 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다.
솔잎은 소나무의 잎으로,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솔잎에 포함된 아피에긴산, 테르펜, 피크노제놀, 비타민 C 등의 성분이 니코틴을 배출 및 해독하며, 항염,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빈혈개선, 혈관성질환 예방, 피로해소, 면역력 개선, 위장 질환 예방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편백나무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편백나무는 피톤치드가 풍부하여 항균, 멸균의 효능이 있어서, 알레르기나 아토피 증상과 같은 각종 피부 질환을 예방하며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5 단계(S50)에서 세제 조성물에 녹차 추출물, 탱자 추출물, 껍질 추출물, 오렌지 오일, 엉겅퀴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녹차 추출물은 동백나무속의 녹차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녹차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녹차는 탄닌, 카페인, 각종 아미노산, 팩틴류, 비타민, 망간, 철, 요오드 등과 같은 무기질 혹은 유기질 영양성분이 다량함유된 오래된 민간의 기호품 또는 약재로서, 탄닌이 갖는 탁월한 살균, 소염, 지혈, 해독, 지사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녹차에 포함된 폴리페놀에 의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지방분해 효과가 있고 항산화, 항암, 항노화 작용이 있으며, 충치 예방 및 구취 해소의 효과가 있다.
탱자 추출물은 장과로서 둥글고 노란색의 탱자 열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며, 탱자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3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탱자 열매로부터 추출된 탱자 추출물은 천연식물 추출물로서, 살균작용과 항균기능이 있어 피부 가려움증을 방지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보습효과가 좋아 피부자극을 줄이고, 피부건조, 피부거침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껍질 추출물은 마늘껍질 및 양파껍질을 포함하고, 마늘껍질과 양파껍질을 50~60℃로 10~12시간 가열한 후, 상온에서 18~24시간 발효시켜 얻을 수 있으며, 껍질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껍질 추출물에 포함된 알리신은 강력한 살균작용과 항균작용이 있어, 식중독균, 이질균, 더프스균 등 각종 세균을 살균하고 소독하는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오렌지 오일은 오렌지에서 추출된 오일로서,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오렌지 오일은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중성타입이며, 식물성 오일을 이용하여 세척능력이 뛰어나고, 환경친화적이며, 피부보호 및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엉겅퀴 분말은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하고, 산야에서 자란 엉겅퀴 즉, 엉겅퀴 꽃, 엉겅퀴 줄기, 엉겅퀴 잎, 및 엉겅퀴 뿌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혼합된 엉겅퀴를 1mm 내지 3mm로 슬라이스 한 후 건조 및 분쇄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엉겅퀴 분말은 흰무늬 엉겅퀴(Silybum marianum (L.) Gaertn.), 가시 엉겅퀴(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spinossimum Kitam.)를 분쇄한 분말 또는 이들을 혼합한 분말일 수 있다. 흰무늬 엉겅퀴(Silybum marianum (L.) Gaertn.)는 우유같이 하얀 잎맥과 함께 깊고 반짝이는 녹색의 식물이며, 가장자리에는 물결무늬가 있고 가시도 있는 뿌리-잎사귀로 분할되는 가늘고 긴 식물이다. 이것은 제방 울타리와 버려진 땅에서 주로 발견된다. 식물의 유용한 부분은 허브 전체, 뿌리, 잎사귀, 씨, 그리고 겉껍질이며, 엉겅퀴 씨는 실리마린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엉겅퀴 씨 추출물에는 70~80%의 실리마린이 함유되어 있다. 엉겅퀴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엉겅퀴 분말은 엉겅퀴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의 종류 중 하나인 실리마린 성분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망가짐을 막아주는 것에 도움을 주며, 항염작용이 탁월해서 체내 염증 및 노폐물을 배출하여 아토피를 비롯한 각종 피부염 등의 질병을 완화 및 예방해줄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S50)에서 세제 조성물에 아로이나 분말, 크랜베리 분말, 아사이베리 분말, 블루베리 분말, 복분자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니아 분말은 안토시아닌(anthocyanin) 및 폴리페놀(polyphenol) 다량 함유된 아로니아를 1mm 내지 3mm로 슬라이스 한 후 건조 및 분쇄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아로니아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아로니아 분말은 항동맥경화, 항당뇨, 항암 및 강력한 항산화 작용뿐만 아니라 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크랜베리 분말은 프로안토시다닌을 다량 함유된 크랜베리를 1mm 내지 3mm로 슬라이스 한 후 건조 및 분쇄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크랜베리 분말은 세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4 중량부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크랜베리 분말은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요로감염이나 방괌염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다.
아사이베리 분말은 안토시아닌(anthocyanin) 및 폴리페놀(polyphenol) 다량 함유된 아사이베리를 1mm 내지 3mm로 슬라이스 한 후 건조 및 분쇄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아사이베리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아사이 분말은 항동맥경화, 항당뇨, 항암 및 강력한 항산화 작용뿐만 아니라 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블루베리 분말은 안토시아닌(anthocyanin) 및 폴리페놀(polyphenol) 다량 함유된 블루베리를 1mm 내지 3mm로 슬라이스 한 후 건조 및 분쇄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블루베리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블루베리 분말은 항동맥경화, 항당뇨, 항암 및 강력한 항산화 작용뿐만 아니라 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복분자 분말은 복분자를 1mm 내지 3mm로 슬라이스 한 후 건조 및 분쇄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복분자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복분자 분말은 안토시아닌 화합 물질로 인해 황산화 기능이 탁월하며 비타민A와 C, 미네랄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고, 피부미용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다.
또한, 제4 단계 또는 제5 단계에서 제조된 세제 조성물에 pH 조절제를 첨가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세제 조성물의 pH를 중성으로 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공지된 기술로, 구연산나트륨, 중탄산 나트륨(sodium bicarb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 에탄올아민류; 소듐 하이드록사이드(NaOH),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KOH)등의 염기; 또는 구연산(citr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등 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의 함량은 세제 조성물의 pH 및 사용되는 pH 조절제의 종류를 고려해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일 예시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환자나무를 열수 추출하여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가열하여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생성하고, 무환자나무 농축액과 물을 1 : 0.5 비율로 혼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한 후, 무환자나무 혼합물에 유용미생물을 혼합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유용미생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혼합되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세제 조성물을 100가구에 2kg씩 나누어주고 7일 후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세제와 비교하여 세정력과 피부보호 및 미백효과를 아래와 같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세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월등히 뛰어나다.
○ :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세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비슷하다.
× :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세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떨어진다.
세정력 피부보호 미백효과
× × ×
94 5 1 95 5 0 93 6 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가구들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세제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제 조성물이 세정력과 피부보호 및 미백효과가 모두 우수하다고 대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조성물의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무환자나무 혼합물에 유용미생물을 첨가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세제 조성물에 다당류, 보습제, 유기산, 천일염을 포함한 첨가제를 첨가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용미생물은 유용미생물 원액을 상온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배양하여 배양액을 형성하며, 형성된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베이킹소다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용미생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다당류는 소르비톨, 설탕, 전분당을 포함하고, 상기 다당류는 무환자나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베이킹소다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보습제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유기산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천일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세제 조성물에 한약재 조성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약재 조성물은 황기, 토복령, 맥문동, 황정, 황련, 솔잎, 편백나무를 포함한 한약재를 80~90℃의 온도에서 48~7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며,
    상기 황기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토복령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황정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황련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솔잎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편백나무는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세제 조성물에 녹차 추출물, 탱자 추출물, 껍질 추출물, 오렌지 오일, 엉겅퀴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녹차 추출물은 녹차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상기 녹차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탱자 추출물은 탱자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상기 탱자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껍질 추출물은 마늘 껍질 및 양파 껍질을 포함하고, 상기 껍질 추출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오렌지 오일은 오렌지에서 추출된 오일이고, 상기 오렌지 오일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며,
    상기 엉겅퀴 분말은 엉겅퀴를 분쇄한 분말로서, 상기 엉겅퀴 분말은 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단계는,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환자나무의 잔가지와 잎을 건조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를 2cm 내지 4cm로 절단하고 50℃ 내지 60℃에서 130분 내지 180분 건조하는 단계와, 무환자나무 잎을 110℃ 내지 150℃에서 5분 내지 7분간 볶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무환자나무 잔가지와 잎의 건조중량 100g과 6배(v/v)의 75%에탄올을 첨가하여 75℃에서 3시간 3회 반복하여 침지한 후 여과지에 4회 여과한 추출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65℃에서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생성하는 제2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 가열단계와 제2 가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 내지 3 kg/㎤의 압력에서 100℃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5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 가열단계는 무환자나무 추출물을 1.2 내지 3.2 kg/㎤의 압력에서 120℃ 내지 1400℃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무환자나무 농축액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3 단계는, 무환자나무 농축액, 유칼립투스 추출물, 귤껍질 분말을 혼합하여 무환자나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상기 무환자나무 혼합물은 상기 무환자나무 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칼립투스 추출물 1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상기 귤껍질 분말 5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귤껍질 분말은, 귤껍질의 안쪽의 흰부분을 분리하고, 흰부분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수득하고,
    상기 껍질 추출물은 상기 마늘 껍질과 상기 양파 껍질을 60℃에서 11시간 가열한 후, 상온에서 21시간 발효시켜 수득하며,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세제 조성물에 아로니아 분말, 크랜베리 분말, 아사이베리 분말, 블루베리 분말 및 복분자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로니아 분말 3중량부 내지 4중량부, 상기 크랜베리 분말 3중량부 내지 4중량부, 상기 아사이베리 분말 2중량부 내지 5중량부, 상기 블루베리 분말 5중량부 내지 8중량부 및 상기 복분자 분말 3중량부 내지 5중량부 비율로 혼합되는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30006679A 2022-10-17 2023-01-17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10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2910 2022-10-17
KR1020220132910 2022-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584B1 true KR102610584B1 (ko) 2023-12-06

Family

ID=8916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679A KR102610584B1 (ko) 2022-10-17 2023-01-17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58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594A (ko) * 2010-07-19 2012-02-02 (주) 착한사람들 노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104671A (ko) * 2011-03-14 2012-09-24 서양기 친환경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1600A (ko) * 2012-04-27 2013-1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40926B1 (ko) * 2017-11-03 2019-01-21 한명애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3980A (ko) * 2019-02-26 2020-09-03 김보라 양파껍질과 마늘껍질의 항염, 항산화 유효성분을 아임계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하는 세제의 제조법
KR20210022896A (ko) * 2019-08-21 2021-03-04 (주)영진 무환자나무 열매추출물을 이용한 세탁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26774B1 (ko) * 2019-10-29 2021-03-11 정해영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0107A (ko) * 2020-02-28 2021-09-07 정승진 주방세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594A (ko) * 2010-07-19 2012-02-02 (주) 착한사람들 노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104671A (ko) * 2011-03-14 2012-09-24 서양기 친환경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1600A (ko) * 2012-04-27 2013-1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40926B1 (ko) * 2017-11-03 2019-01-21 한명애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3980A (ko) * 2019-02-26 2020-09-03 김보라 양파껍질과 마늘껍질의 항염, 항산화 유효성분을 아임계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하는 세제의 제조법
KR20210022896A (ko) * 2019-08-21 2021-03-04 (주)영진 무환자나무 열매추출물을 이용한 세탁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26774B1 (ko) * 2019-10-29 2021-03-11 정해영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0107A (ko) * 2020-02-28 2021-09-07 정승진 주방세제 제조방법
KR102326575B1 (ko) 2020-02-28 2021-11-12 정승진 주방세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522B1 (ko) 항균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물티슈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CN105997827A (zh) 复方山茶油保湿液及其制备方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647711A (zh) 水果洗涤盐及制备方法
CN109010178B (zh) 一种沐浴露及其生产工艺
KR20160105187A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주방용 항균 세제
KR102137951B1 (ko) 버섯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00316752A1 (en) Method for extracing substances from soapberry fruit and seed and products made therefrom
KR20180016846A (ko) 비파잎을 이용한 화장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화장수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03151A (ko)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KR101539744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KR102196066B1 (ko)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쇠비름 추출물 제조방법
KR102610584B1 (ko) 무환자나무 추출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97833B1 (ko) 제주 청귤을 이용한 기능성 발포 세정제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포 세정제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554598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조성물
KR101606381B1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KR102265007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8166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헤어 샴푸 조성물
CN102793847A (zh) 一种玉竹无硫熏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