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51A -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51A
KR20170003151A KR1020150093439A KR20150093439A KR20170003151A KR 20170003151 A KR20170003151 A KR 20170003151A KR 1020150093439 A KR1020150093439 A KR 1020150093439A KR 20150093439 A KR20150093439 A KR 20150093439A KR 20170003151 A KR20170003151 A KR 2017000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natural
parts
foam
activ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호 filed Critical 강영호
Priority to KR102015009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151A/ko
Publication of KR2017000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은 기설정된 천연재료를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방부제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하는 제 3단계;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두피 기능성 첨가물 10 내지 30 중량부, 두피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제 5-1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 피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클렌징을 제조하는 제 5-2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내지 30 중량부, 레몬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주방세제를 제조하는 제 5-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두피 기능성 첨가물은 하수오 추출물, 쇄기풀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두피 보습제는 글리세린, 알란토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s of natural frothing agent and deterg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성분 추출물, 밀가루, 천연방부제 및 아로마오일 등을 이용하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샴푸, 세안제 및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에 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술페이트, 소듐 또는 암모늄라우릴술페이드, 알킬베타인, 아민옥사이드, 에톡시화 알콜에테르, 알킬폴리 글루코사이드, 지방산 아마이드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석유 또는 식물의 1성분을 출발물질로 하는 합성 계면활성제이다. 그러나 합성 계면활성제들은 경우에 따라 피부자극과 주부 습진 같은 피부염을 유발하고 세척 후 피세정 물질 표면에 잔류하여 이로 인한 인체독성의 원인제공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저자극성 계면활성제의 개발 또는 가능한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제품의 개발노력이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액체 세정제에 천연의 추출물, 오이즙, 살구즙, 레몬즙, 알로에 등을 첨가하여 자연의 신선한 향취를 부여하고 이들 추출물이 갖는 보습 및 영양공급 효과를 제품에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물 추출물들은 경우에 따라 세정제 본래의 세척력 및/또는 기포력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량에 제한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23568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성분 추출물의 세정력에 밀가루의 강한 흡착력 및 세정력을 이용하여 천연 계면활성제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은 기설정된 천연재료를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방부제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하는 제 3단계;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두피 기능성 첨가물 10 내지 30 중량부, 두피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제 5-1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 피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클렌징을 제조하는 제 5-2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내지 30 중량부, 레몬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주방세제를 제조하는 제 5-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두피 기능성 첨가물은 하수오 추출물, 쇄기풀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두피 보습제는 글리세린, 알란토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밀가루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보다 증가된 세정력을 가진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여 기포력이 상승하였으며 기존의 세정제보다 우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민감성 피부 및 피부 질환이 있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실험예 1의 천연샴푸 사용에 따른 실험결과 그래프
도 3은 실험예 2의 기포력 테스트에 따른 실험결과 그래프
본 발명은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성분 추출물, 밀가루, 천연방부제 및 아로마오일 등을 이용하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샴푸, 세안제 및 주방세제를 제조하는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기설정된 천연재료를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거품제는 상기 천연재료를 저온진공추출기를 이용하여 2 내지 3시간 동안 90 내지 100℃에서 추출한다.
상기 저온진공추출기는 증기압을 이용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진공식 추출이라고 하며, 상기 저온진공추출기 내에 담긴 물이 끓으면서 생긴 수증기가 진공튜브를 통해 상기 천연재료가 담긴 용기에 고여있다가 온도가 낮아지면서 다시 진공튜브를 통해 상기 천연재료가 추출되는 방식이다.
상기 저온진공추출 시간이 2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천연재료가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3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천연재료 추출 농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온진공추출 온도가 90℃ 미만인 경우 상기 수증기가 충분히 생기지 않아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100℃를 초과할 경우 상기 수증기의 증발로 인해 추출 농도가 적절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재료는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봉령은 백합과의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전국 산지에 널리 분포한다. 구불구불한 줄기에 예리한 가시가 있고 잎은 어긋나고 원형이나 타원형이며 두껍고 윤기가 난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1cm 정도이고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도 한다. 열매는 식용하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주로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뿌리를 파서 노두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흙모래를 씻어 버린 후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상기 토봉령은 사포닌, 파릴린, 스말라신,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루틴이 들어있다. 또한, 관절염, 타박상, 위장염, 이질, 홍역, 수은중독, 소화불량, 당뇨병, 유선염, 항암작용이 뛰어나다.
상기 인삼은 미나리목 오가피나무과(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음지성 여러해살이 풀 또는 이것의 뿌리이다. 원기를 크게 회복하고, 폐를 튼튼하게 해주며, 비장(위장)을 좋게 하고, 심장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피로회복, 체력증강, 노화방지, 빈혈, 저혈압, 심장쇠약 등의 치료 및 개선, 스트레스 해소, 노이로제 치료, 자율신경실조의 개선, 당뇨병, 위장병, 식욕부진, 설사, 변비, 폐결핵, 천식, 피부병, 화농성 종양, 건선피부 등의 치료 및 개선, 거친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도라지는 (길경. Platycodon grandiflorum A. DC)는 도라지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방에서는 길경으로 불리고, 그 성분으로는 테르펜계 사포닌이 알려져 있다. 길경(Platycodon graniflorum)은 특히 도라지의 뿌리나 주피를 건조한 것을 말하는데, 백약, 길경근 등 여러 가지 이름이 있다. 이것의 약리작용으로는 진해, 배농, 거담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급만성 염증에 대한 항염증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천식 거담 등의 호흡기계 질환에 널리 이용되었다(Saeki et al., 2003, Jeong et al., 2006). 또한, 이러한 용도 이외에도 고지혈증, 당뇨, 염증성 질환, 배농, 용혈, 해열, 진통작용 및 항염증, 항궤양, 혈압강하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Ha et al.,2006).
상기 샤워숍열매는 그라비올라 라고도 불리며 아메리카 열매로 브라질, 베트남 등 열대 또는 열대 우림지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목이다. 일반항암제보다 높은 항암효과로 알려져 있고, 인공합성이 되지않아서 약품으로 만들 수 없다. 상기 샤워숍열매는 천연항암제 뿐 아니라 고지혈증, 피부염, 아토피에 효능이 뛰어나다. 또한, 살균력이 뛰어난데 대장균은 10분 후 50.8%, 황색포도상구균은 10분 85.9% 살균할 수 있고, 잎을 빻아서 생즙을 피부질환이 있는곳에 바르면 항균, 항바이러스로 인해 호전될 수 있다.
상기 유카는 유카시데게라라고 하는데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의 정원이나 온실에서 심어 기르는 상록 떨기나무이다. 상기 유카는 천연성분의 추출물로 약산성을 띠며 항진균 작용을 가지며 천연 방부제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방부제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방부제는 백두옹 추출물, 이스니어 추출물, 산초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백두옹 (白頭翁,Pulsatilla koreana Nakai et Mori)은 미나리과 (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동북 지방에서도 야생하는 식물이다. 상기 백두옹은 통상적으로 치통, 해열, 수종, 소염, 수렴, 지혈, 이질, 청열해독, 음낭대하, 항균, 진정 및 항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H. M.et al., Orient al Healing Arts Institute,226, 1986). 또한, 백두옹의 줄기 및 잎은 소염, 진통, 해열 및 해독에 효능을 가지고 있고 뿌리를 제외한 전부위는 강심 작용 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민간에서 약초로 널리 이용되어 왔는데, 특히 백두옹의 신선한 줄기와 잎에서 짜낸 즙액이 황색 포도상 균에 대해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신민교 및 정보섭,향약생약 대사전, 영람사, 495, 1990). 백두옹은 주성분인 사포닌(saponin), 제초활성물질인 11-혹스아데카노산(11-hoxadecanoic acid), 14-메틸펜타데카노산(14-methylpentadecanoic acid), 1,2-벤젠디카르복산(1,2-benzenedicarboxylic acid), 6-옥타데카노(6-octadecenoic acid), 15-메틸-헵타데카노산(15-methyl-heptadecanoic acid) 및 독성물질인 아네모닌(anemonin)을 함유하고 있는데, 상기 사포닌은 소염작용을 가지고 있고 가수분해되어 트리터펜(triterpen)형의 제닌(genin), 글루코즈(glucose), 람노즈(rhamnose) 및 미지의 당으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백두옹 추출물인 SB-31β는 각종 고형암에 독성이 적으면서 강력한 항암효과를 나타내고, 상기 백두옹으로부터 얻은 메탄올(methanol) 추출물은 알록산(alloxan) 투여에 의한 혈당량 증가와 혈청내 전체 콜레스테롤(cholesterol) 함량을 저하시켜 정상치로 회복시킨다는 보고가 있다(Kim, S. Y. and Kim, S. B.J.Kor. Cancer. 26(6): 959-963, 1994).
상기 이스니어는 이끼류 식물로 소나무 겨우살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이스니어의 주성분은 우스닌산(usnic acid)이며, 레몬과 비슷하면서 혀를 살짝 마비시키는 향이 있는데, 이는 아라산쇼율의 작용이다. 상기 이스니어는 이뇨제, 해열제, 강심제, 진해제, 거담제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이스니어 추출물은 피부 컨디셔너에 사용되어 세균에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하며,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상기 산초 추출물은 산초는 운향과의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 또는 동속 식물의 과피로서 씨를 최대한 제거하여 만든 약재이다. 복부의 찬 기운으로 인한 복통, 설사와 치통등에 사용되며, 국소마취작용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상기 산초 추출물은 음식 재료로 사용되어 상기 음식의 천연 방부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상기 천연방부제는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0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천연방부제가 0.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혼합비율이 적어서 방부제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고, 0.0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상기 천연방부제에 포함된 수분의 양이 본원발명에 의해 제조된 세정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밀가루를 5 내지 6회 적어주지 않으면 하기의 제 4단계(S40)에서 상기 밀가루가 덩어리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저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가루는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동시에 가진 계면활성제는 아니지만, 상기 밀가루가 가진 다공성 성질에 의해 흡착 과정을 거쳐 세척 능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밀가루에 있는 전분, 단백질이 일종의 탄화수소 물질로 된 친유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흡착된 기름이 밀가루에 잘 달라붙게 되어 더 효과적인 세탁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밀가루의 흡착 과정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0.2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밀가루의 비율이 높아져 본원발명인 세안제에 적합하지 않은 농도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이 균일한 농도를 가지도록 저어주면서 10분 동안 끓인다.
다음으로, 제 5-1단계(S51)에서는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두피 기능성 첨가물 10 내지 30 중량부, 두피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피 기능성 첨가물은 하수오 추출물, 쇄기풀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두피 보습제는 글리세린, 알란토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하수오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상기 하수오는 중국에서 들어와 오랫동안 재배되어온 약용식물로, 한방에서는 이 덩이뿌리를 신체허약, 요통, 동맥경화, 양위, 고혈압, 만성간염, 결핵성임파선염, 장염, 옹종, 변비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쓴다. 또한, 탈모예방에 효능이 있다.
상기 쇄기풀 추출물은 5-알파-리덕타제의 활성에 작용하여 모발 탈락의 원인인 DHT(dihydroxytestosterone)의 농도를 감소시켜 근원적인 탈모를 예방해준다. DHT의 감소는 안드로겐 수용체의 결합빈도를 줄여 모발의 성장의 정상화를 유도한다. 또한, DHT는 모낭크기의 위축으로 인한 모발 탄생을 억제하는데, 쇄기풀추출물과 톱야자추출물은 이러한 작용을 억제함에 따라 튼튼한 신생 모발의 출현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은 기억력 증진, 집중력 강화, 노화 방지, 두통, 무기력을 해소하는 기능이 있으며, 살균, 세정, 혈액촉진에 탁월하다.
상기 글리세린은 유지 성분으로 10% 이하 농도를 사용하며 과량 사용시 흡수성이 강하여 고습도의 환경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트리트먼트제에 배합한 글리세린은 모발이나 피부의 수분을 보급하는 작용과 트리트먼트 자체의 건조화를 막아준다.
상기 알란토인은 상수리나무, 컴프리 뿌리와 사탕무, 밀의 싹과 같은 곳에서 추출하는 천연물이다. 상기 알란토인은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안전성 제품으로 화장품에도 많이 사용되며 세포의 활동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활성화 시킨다.
상기 아로마오일은 허브의 꽃, 잎, 열매, 줄기 등에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된 휘발성 있는 정유로 종류마다 각각 독특한 향과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정서적인 안정감을 통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불면증, 피부노화 및 심신안정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라벤더, 로즈마리, 카모마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샴푸 제조를 위한 혼합비율은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두피 기능성 첨가물 1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두피 기능성 첨가물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두피 기능성 첨가물의 효능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세정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두피 기능성 첨가물을 3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두피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두피보습제를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두피의 보습력을 충분히 부과하지 못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세정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두피보습제를 2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로마오일 1 중량부 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로마오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아로마오일의 독특한 향을 이용한 심신안정 및 두피 또는 피부 노화 방지 기능이 충분히 부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아로마오일을 1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5-2단계(S52)에서는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 피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클렌징을 제조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피부 보습제는 히알유론산, 알부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라겐은 크게 동물성 콜라겐, 유사 콜라겐, 마린 콜라겐(Marine Collagen)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동물성 콜라겐은 지금까지 많이 의료용으로나 화장품용으로 많이 이용되어온 콜라겐으로 소, 돼지 및 그 외 유사반추동물의 뼈나 껍질로부터 추출된 콜라겐이고 유사 콜라겐은 식물성의 다당류(natto gum)를 효소발효로 변형시켜 콜라겐과 유사하게 제조한 것이다. 마린 콜라겐은 각종어류나 불가사리 같이 해양에서 추출한 콜라겐이라 할 수 있다. 유사 콜라겐은 주로 많은 물을 보유하고 결합하는 능력이 있어 피부수화에 많은 도움이 되고 동물성 콜라겐과 마린 콜라겐은 보습기능뿐 아니라 주름 개선기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소나 돼지 같은 동물에서 추출한 동물성 콜라겐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해양에서 추출한 마린 콜라겐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린 콜라겐은 다른 콜라겐보다 세린 함량이 4배가량 높고 효소처리로 저분자화하여 체내에서 흡수가 빠르고, 액상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이 콜라겐은 기존콜라겐의 특성을 그대로 보급하며, 피부나 모발에 안전하고 공기 중에 수분을 흡착하는 능력이 있어 항상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히알유론산(hyaluronic acid)은 동물 등의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합성 천연 물질이다. 수산화기(-OH)가 많기 때문에 친수성 물질이며, 동물 등의 피부에서 보습 작용의 역할을 한다. 인간의 피부에도 존재하며, 특히 지렁이의 피부에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습 작용이 있으므로 화장품 등에 많이 들어있다.
상기 알부틴은 베어베리, 크랜베리, 멀베리, 블루베리 등의 잎에서 추출한 하이드로퀴논의 한 형태이다. 여러종류의 배나무에서도 알부틴을 추출할 수 있으며,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의 성질을 갖고 있어 멜라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아로마오일은 허브의 꽃, 잎, 열매, 줄기 등에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된 휘발성 있는 정유로 종류마다 각각 독특한 향과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정서적인 안정감을 통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불면증, 피부노화 및 심신안정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라벤더, 로즈마리, 카모마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 피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
상기 천연클렌징 제조를 위한 혼합비율은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콜라겐 1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콜라겐의 수화조절 및 노화방지 효능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천연클렌징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콜라겐을 3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천연클렌징 제조를 위한 혼합비율은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피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피부 보습제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피부 보습제의 보습조절 및 멜라닌 생성 방지 효능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천연클렌징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를 2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로마오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아로마오일의 독특한 향을 이용한 심신안정 및 두피 또는 피부 노화 방지 기능이 충분히 부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아로마오일을 2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5-3단계(S53)에서는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내지 30 중량부, 레몬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주방세제를 제조한다.
상기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은 유용 미생물군(Effective Micro-oganisms)의 약자로서 광합성 세균과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효모균등 5과 10속 80여종의 미생물을 복합해 배양한 미생물제재이다. 상기 EM은 농업 뿐 아니라 오폐수의 정화, 축산, 생필품, 페인트 독의 중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획기적인 물질이라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EM(Effective Micro-organisms)은 항산화 기능이 있어 인체와 환경에 유용한 미생물로서,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 간장, 고추장, 된장, 청국장, 젓갈 등에서 추출한 유산균, 효모균, 광합성균을 포함한 유효미생물을 설탕 또는 당밀을 먹이원으로 하여 상기 EM원액을 배양한다. 쌀뜨물에 상기 EM원액을 발효시킨 상기 EM발효액은 탁월한 항산화 기능이 있어 세제나 방부제로 사용한다.
상기 레몬아로마오일은 잎을 목욕제로 사용하면 레몬향 비슷한 방향이 기분을 밝고 편안하게 하여 보온과 피부세정 효과가 높으며, 주방세제에 첨가하여 세정력을 높이는데 쓰인다.
상기 천연주방세제 제조를 위한 혼합비율은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의 유효한 미생물의 비율이 낮아져 그 효능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천연주방세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30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레몬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레몬아로마오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기 레몬아로마오일의 독특한 향을 이용한 심신안정 및 두피 또는 피부 노화 방지 기능이 충분히 부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레몬아로마오일을 2 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상기 천연거품활성제의 상대적인 혼합비율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의 실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를 혼합하여 저온진공추출기를 이용하여 2 내지 3시간 동안 90 내지 100℃에서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한다(S10).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백두옹 추출물, 이스니어 추출물, 산초 추출물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한다(S20).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한다(S30).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한다(S40).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하수오 추출물, 쇄기풀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글리세린과 알란토인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라벤더, 로즈마리, 카모마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한다(S50).
위와 같이 만들어진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샴푸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천연샴푸에 물을 묻혀 거품을 만들어주고 두피에 거품을 골고루 묻힌 후,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5분 이상 두피를 구석구석 세심하게 마사지 해준다. 그러면 두피에 쌓여있는 피지와 노폐물이 제거되고, 상기 천연샴푸 조성물을 통해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될 수 있는 최적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화학성분이 많이 들어간 일반샴푸와 달리 천연약초, 밀가루 및 식물성 오일 등 인체에 무해한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어 부작용이 없고, 인체에 유용한 조성물이 두피에 흡수됨에 따라 모근을 건강하게 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하게 되며, 일반적인 천연재료로 만든 샴푸는 거품이 없어 거품에 익숙해져 있는 일반인들에게 세정력이 약한 느낌을 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천연거품활성제를 이용한 천연샴푸는 천연재료의 거품을 이용하여 이러한 느낌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2]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를 혼합하여 저온진공추출기를 이용하여 2 내지 3시간 동안 90 내지 100℃에서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한다(S10).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백두옹 추출물, 이스니어 추출물, 산초 추출물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한다(S20).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한다(S30).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한다(S40).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 히알유론산, 알부틴 10 내지 20 중량부, 라벤더, 로즈마리, 카모마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클렌징을 제조한다(S50).
위와 같이 만들어진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폼클렌징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천연폼클렌징에 물을 묻혀 거품을 만들어주고 피부에 거품을 골고루 묻힌 후,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5분 이상 피부 구석구석 부드럽게 마사지 해준다. 그러면 피부에 쌓여있는 피지와 노폐물이 제거되고, 상기 천연클렌징 조성물을 통해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될 수 있는 최적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화학성분이 많이 들어간 일반클렌징와 달리 천연약초, 밀가루 및 식물성 오일 등 인체에 무해한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어 부작용이 없고, 인체에 유용한 조성물이 피부에 흡수됨에 따라 피부노화를 막고, 주름 개선에 큰 효과가 있으며 일반적인 천연재료로 만든 클렌징 제품은 거품이 없어 거품에 익숙해져 있는 일반인들에게 세정력이 약한 느낌을 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천연거품활성제를 이용한 천연클렌징은 천연재료의 거품을 이용하여 이러한 느낌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3]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를 혼합하여 저온진공추출기를 이용하여 2 내지 3시간 동안 90 내지 100℃에서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한다(S10).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백두옹 추출물, 이스니어 추출물, 산초 추출물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한다(S20).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한다(S30).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한다(S40).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내지 30 중량부, 레몬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주방세제를 제조한다(S50).
위와 같이 만들어진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주방세제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천연주방세제에 물을 묻혀 거품을 만들어주고 거품을 골고루 묻힌 후, 식기 또는 과일세정에 이용한다. 그러면 식기의 기름기 및 유해성분이 제거되고, 상기 천연주방세제 조성물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해로운 화학물질로 인한 자극이 없고 영양소가 공급될 수 있는 최적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천연재료로 만든 주방세제 제품은 거품이 없어 거품에 익숙해져 있는 일반인들에게 세정력이 약한 느낌을 줄 수 있어 천연 주방세제에 화학 주방세제를 섞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의 천연거품활성제를 이용한 천연주방세제는 천연재료의 거품을 이용하여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을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다.
ㄱ. 실험예 1: 천연샴푸
남성 및 여성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인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샴푸를 1개월 이상 사용하게 한 후 그 효능을 실험하였다. 남성은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사람이며, 여성은 머리카락에 힘이 없고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사람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 의한 탈모중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발모기능성 샴푸비누를 사용 후, 1주일이 지나자 60%의 남성은 탈모가 중단되었고, 80%의 여성에게서 탈모가 중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개월이 지나자 1주일 사용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남성 중 50%의 남성에게서도 탈모가 중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성은 1주일 사용 시와 같은 비율로 탈모중단에 변화를 유지했다.
상기 결과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거품제와 밀가루를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천연샴푸 사용에 있어서, 남녀 모두에게서 탈모가 중단되는 효과를 보았다.
ㄴ. 실험예 2: 거품 테스트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를 단독 또는 복합 사용에 다른 거품생성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의 방법에 따라 거품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 혼합 조건 및 결과는 표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SITA R-2000 기포 측정기(로터를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킨 후 기포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장치 및 기구: SITA R-2000 기포 측정기, 디지털저울
2) 측정 방법:
a)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의 단독 또는 복합 시료 2.5kg과 증류수 247.5kg을 이용하여 1% 시료 용액 250g을 만들었다.
b) 상기에서 제조한 a) 시료 용액을 SITA R-2000 기포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조건: 800rpm / 분 15회(1회 20초간 회전) 로터 회전 각각의 높이를 측정).
c) 로터의 회전이 멈춘 후 기포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d) 3회 반복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의 조합은 세정제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설페이드계 계면활성제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ALS)와 가장 유사한 기포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의 조합을 이용하면 세정력이 높은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원료명 실험예(중량 %) 비교예(중량 %)
정제수 95.00 95.00
토봉령 1 -
인삼 1 -
도라지 1 -
샤워숍열매 1 -
유카 1 -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 5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기설정된 천연재료를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방부제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
S51.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두피 기능성 첨가물 10 내지 30 중량부, 두피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제 5-1단계
S52.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 피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클렌징을 제조하는 제 5-2단계
S53.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내지 30 중량부, 레몬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주방세제를 제조하는 제 5-3단계

Claims (5)

  1. 천연재료를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천연방부제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하는 제 3단계;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두피 기능성 첨가물 10 내지 30 중량부, 두피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제 5-1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두피 기능성 첨가물은 하수오 추출물, 쇄기풀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두피 보습제는 글리세린, 알란토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로마오일은 라벤더, 로즈마리, 카모마일, 페퍼민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2. 천연재료를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방부제 0.01 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하는 제 3단계;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15 내지 30 중량부, 피부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부, 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클렌징을 제조하는 제 5-2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피부 보습제는 히알유론산, 알부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로마오일은 라벤더, 로즈마리, 카모마일, 페퍼민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3. 천연재료를 추출하여 천연거품제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천연거품제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방부제 0.01내지 0.02 중량부 혼합하여 제 1액상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액상 1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0.1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 내지 6회 저어 혼합하는 제 3단계;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제 1액상을 10분 동안 끓여 천연거품활성제를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천연거품활성제 70 중량부에 대하여 이엠(Effective Microorganism)발효액 15 내지 30 중량부, 레몬아로마오일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천연주방세제를 제조하는 제 5-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거품제는 상기 천연재료를 저온진공추출기를 이용하여 2 내지 3시간 동안 90 내지 100℃에서 추출하되,
    상기 천연재료는 토봉령, 인삼, 도라지, 샤워숍열매, 유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방부제는 백두옹 추출물, 이스니어 추출물, 산초 추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KR1020150093439A 2015-06-30 2015-06-30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KR20170003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439A KR20170003151A (ko) 2015-06-30 2015-06-30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439A KR20170003151A (ko) 2015-06-30 2015-06-30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51A true KR20170003151A (ko) 2017-01-09

Family

ID=5781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439A KR20170003151A (ko) 2015-06-30 2015-06-30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1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09B1 (ko) * 2018-05-24 2018-08-14 이지형 천연 살충 조성물
KR20180102851A (ko) * 2017-03-08 2018-09-18 에이제이 주식회사 백미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존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7146A (ko) * 2017-05-18 2018-11-28 이정희 친환경 세제 조성물
KR102019443B1 (ko) * 2019-06-27 2019-09-06 박진옥 친환경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687B1 (ko) 1990-12-05 1999-1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실리콘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 콘디셔닝제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687B1 (ko) 1990-12-05 1999-1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실리콘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 콘디셔닝제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851A (ko) * 2017-03-08 2018-09-18 에이제이 주식회사 백미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존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7146A (ko) * 2017-05-18 2018-11-28 이정희 친환경 세제 조성물
KR20190095241A (ko) * 2017-05-18 2019-08-14 이정희 친환경 세제 조성물
KR101888809B1 (ko) * 2018-05-24 2018-08-14 이지형 천연 살충 조성물
KR102019443B1 (ko) * 2019-06-27 2019-09-06 박진옥 친환경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7705B (zh) 一种用于茎菜类菜蔬的中草药保鲜剂
KR101600012B1 (ko)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 개선용 조성물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113987B (zh) 含天然植物提取物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2038650B1 (ko) 보습 및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51032B (zh) 安全环保茶籽洗洁粉及其制备方法
KR20130073579A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3416718A (zh) 一种迷迭香保健酱油及其制备方法
KR20170003151A (ko) 천연거품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제조방법
CN111759885A (zh) 一种苦参组合物、苦参凝胶及其制备方法
KR101623544B1 (ko)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비누 조성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58877A (ko) 퍼머약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76554A (zh) 一种八卦果皮保健袋泡茶及其制作方法
CN101972025A (zh) 一种竹醋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333895A (zh) 一种含辣木杀菌成分的洗浴类用品及其制备方法
CN103860438B (zh) 一种用柚子皮制成的美白磨砂膏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007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CN110870885B (zh) 一种具有清洁、杀菌、保湿作用的药液及其应用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CN106420483A (zh) 一种净透黑头溶出液
CN113388460A (zh) 一种含牡丹花的清香型香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