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566B1 -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566B1
KR102509566B1 KR1020200131826A KR20200131826A KR102509566B1 KR 102509566 B1 KR102509566 B1 KR 102509566B1 KR 1020200131826 A KR1020200131826 A KR 1020200131826A KR 20200131826 A KR20200131826 A KR 20200131826A KR 102509566 B1 KR102509566 B1 KR 10250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lfur
tree
fermen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671A (ko
Inventor
강성두
Original Assignee
강성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두 filed Critical 강성두
Priority to KR102020013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5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5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32Ye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원재료로서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때죽나무, 제충국, 옻나무, 상산나무, 유칼립투스 및 겨우살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원재료를 소정의 크기로 자르는 분쇄단계; 상기 원재료를 열수추출법 또는 알콜추출법에 의해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해 내는 추출단계; 상기 원재료 추출물, 유황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를 혼합하여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하는 유황액 제조단계; 상기 원재료 유황액에, 분쇄된 상기 원재료, 왕겨, 미강 및 당분을 혼합하고 반죽하여 고체발효시키는 고체발효단계; 및 상기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배양된 미생물을 함유하는 상기 원재료 발효물을, 펠릿형 살충제, 열수 추출한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 및 상기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을 동결건조시킨 분말형 살충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살충제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제의 제조방법.

Description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icroorganism using medical properties of a plant and obtained by fermentation of sulfu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secticide, germicide and deodoriz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동·식물의 병충해를 예방하고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식물 추출물과 유황발효라는 극한 환경을 거치며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동·식물의 병충해 예방 및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미생물의 배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축산물과 같은 식물이나 동물의 재배 또는 사육에 있어서 지배적인 환경 요인으로는 날씨, 강수량, 일사량 등의 우호적 자연 조건과 함께 각종 병원균의 저해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위의 생물 성장 요건들 중에서도 각종 병해충 및 병원균은 동·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농작물이나 가축의 재배 또는 사육 환경 및 농업생태계의 변화가 다양해짐에 따라 농·축산물의 해충밀도가 증가하고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농약류가 개발되고 있다.
기존에는 화학 합성 농약을 이용하여 농·축산업 해충 방제를 하였지만, 화학농약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농약에 대한 농업해충의 방제 효율도 떨어지는 상황이었다. 최근에는 각종 화학성 농약류의 인체 유해성 및 생태계 교란 작용의 위험이 부각되고 있으며, 안전한 먹거리 및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친환경 농·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져서 친환경 농법으로 농·축산물을 재배하는 농가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천연 물질에서 추출한 천연 병해충 및 병원균 제거용 농약 조성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686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310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83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농·축산업에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과 광물에서 추출된 발효단계를 거친 미생물과 이를 활용한 살충, 살균 및 탈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고 병해를 유발하는 병원균 및 해충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제거하며, 토양 및 축산 환경을 개선하고, 인체에 무해한 먹거리 생산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미생물 자원인, 산업 미생물은 지구상 전 미생물 중에 약 60%를 차지하며 유전적 다양성과 기능적 다양성의 중요성으로 인해 지구 생태계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인류에게 없어서는 안 될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미생물은 고부가가치 자원으로서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미생물뿐만 아니라 앞으로 더욱 우수한 경제적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을 지구상의 유용 미생물 자원을 개발한다면 우리 생활 속의 농·축산업과 나가서 의학적, 산업적 발전 기틀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미생물 특허 제도가 도입된 이후 미생물 관련 출원건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의약과 환경, 농업 분야에서는 산업화에 성공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일부는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 이처럼 미생물 자원은 미래 생물 산업의 핵심소재로 각광 받고 있다.
미생물 자원화 센터에서 밝혀지지 않은 미생물들은 아마도 대부분이 배양하기 어렵거나 아예 배양이 불가능한 미생물로 추측된다. 하지만 지구 생태계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을 발견하고 배양하는 방법만 개발한다면 인류에게 없어서는 안될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 연구자들의 평범한 배양은 불가능하지만 미생물의 생리학적 특징을 이용한다면 유전자적 난배양성 미생물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무슨 영양분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이뤄지고 있다, 또한 기술 개발로 인한 현재 배양이 불가능한 미생물들을 배양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 또한 특정오염물질을 분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순수 분리하여 배양함으로써 축산폐수나 산업폐수처리에 응용하여 개발하고 또한 농약이나 화학비료로 인한 토양오염이 된 땅을 복원 할 수 있는 미생물자원의 잠재력이 수백, 수천 배 증가하게 될 것이다. 미생물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그리고 빠른 적응력 등을 이용하여 농·축산, 발전과 산업적, 의학적 증진과 환경오염 물질 제어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재료로서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때죽나무, 제충국, 옻나무, 상산나무, 유칼립투스 및 겨우살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원재료를 50℃ 내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원재료를 소정의 크기로 자르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상기 원재료를 열수추출법 또는 알콜추출법에 의해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해 내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각각의 상기 원재료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를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 8 내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하는 유황액 제조단계; 및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4 내지 8 중량부에,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상기 각 원재료 10 내지 30 중량부, 멸균된 팽연화 왕겨 30 내지 65 중량부, 멸균된 미강 30 내지 65 중량부 및 당분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발효용기에 담아 18℃ 내지 35℃의 발효실에서 120 내지 168 시간 동안 고체발효시키는 고체발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의 배양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요지로서, 상기 미생물의 배양방법에 의해 배양된 원재료 발효물을, 펠릿 형태로 만든 펠릿형 살충제, 상기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각 원재료 발효물 10 중량부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각 원재료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를 추출기에 넣고 70℃ 내지 130℃에서 4 내지 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 및 상기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을 동결건조시킨 분말형 살충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살충제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뱀독 2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가열하여 제조되는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 0.5 내지 3 중량부를 더욱 추가하여 혼합, 반죽하여 고체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상기 열수추출법은, 물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상기 원재료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15 내지 65 중량부를 넣고, 가열 열탕기에서 70℃ 내지 170℃에서 7 내지 16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알콜추출법은, 알콜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상기 원재료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15 내지 65 중량부를 넣고, 침지하여 24 내지 72시간 진탕 후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기에서 40℃ 내지 92℃에서 감압농축한 후, 가압 농축기로 1/10로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고초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를 포함하는 유산균, 효모균, 클로로비움(Chlorobium), 크로마티움(Chromatium), 로도스피릴륨(Rhodospirillum),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spp.) 및 로도박터(Rhodobacter spp.)를 포함하는 광합성균, 바실러스, 클로렐라, 슈도모나스, 방선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초산균을 포함하는 유익균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4 내지 8 중량부 더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 이후에, 멸균된 pH7의 물 50 내지 100 중량부에, 당분 5 내지 15 중량부, 감자배지 2 내지 8 중량부, 순무배지 2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원재료 별로 만들어 지는 하나 이상의 살충제 추출액 각각을 0.5 내지 8 중량부를 발효기에 투입하여 30℃ 내지 40℃에서 72시간 내지 480시간 발효시키는 2차 발효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차 발효단계에는, 복합비료 5 내지 15 중량부 또는 불가사리 50 내지 70 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식물에 대한 영양제로서의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차 발효단계 이후, 상기 2차 발효단계에서 제조된 살충제 10중량부를 물 400 내지 600 중량부에 희석시킬 때, 콜라겐 0.02 내지 3 중량부 또는 유화된 파라핀유 0.2 내지 1.5 중량부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축산물의 각종 병해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제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및 병해충, 병원균 예방 및 제거용 조성물은 천연 물질에서 추출하여 발효시킨 천연 성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라 토양 및 생태 환경 보호 및 개선에 효과적이며,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며, 유황발효를 통하여 미생물을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병해충과 병원균의 예방 및 제거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농·축산물에 대한 살균·실충 효과 뿐만 아니라, 토양 복원, 식물 영양공급, 가축 분뇨의 악취제거 효과가 있으며, 가축사료 첨가제로서의 기능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의 (a) 및 (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110℃ 및 130℃에서의 활동성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 원재료에 따른 살충력 및 균체수를 비교한 도면.
도 4는 피망에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비교결과를 보인 사진.
도 5는 꽃에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비교결과를 보인 사진.
도 6은 부추에 본 발명에 따른 영양제를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비교결과를 보인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 그리고 각 실시예에서 중복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동·식물용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원재료로서 사용하는데, 식물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지고 있는 천연소재의 약성를 활용하며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살충·살균·탈취 효과를 동시에 구비하는 살충·살균·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또한 토양 환경을 개선하고, 이로 인해 인체에 무해한 먹거리 생산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백두옹, 때죽나무, 제충국, 쑥, 너삼, 옻나무, 상산나무, 유칼립투스, 오가피나무, 가죽나무, 알로에, 겨우살이, 황벽나무, 붉나무 및 영지버섯을 주요 원재료로서 이용한다.
상기 얌빈(Yam Bean)의 학명은 Pachyrhizus erosus이며, 아열대 콩과 식물 일종으로서 아메리카에서 유래 되어 덩굴성이며 멕시코 지역이 원산지이다. 'Jicama(히카마)' 또는 'Mexican potato(멕시칸 감자)'라고 한다. 잎과 줄기, 꽃 모양은 한국의 칡과 비슷하다. 뿌리는 식용으로 한국에 들어왔으며, 약성은 잎과 줄기, 꽃, 열매에 살충성분인 로테논 성분을 가지고 있어 이 약성을 이용한다.
상기 데리스(derris)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아, 미얀마, 필리핀, 태국, 인도 등 동남아시아에 자생하는 콩과의 덩굴성 식물로서, 데리스 뿌리에 존재하는 살충성분으로써 예로부터 물고기를 잡을 목적으로 하천이나 연못에 넣거나 화살 독성분으로 이용되어 온 물질인 로테논(Rotenone) 성분이 들어있다. 로테논(Rotenone)은 주로 곤충의 소화기관, 기문, 체표면을 통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로테논(Rotenone)은 토양이나 물에서 빨리 분해되며, 반감기는1~3일이다. 활성성분은 햇빛이 있는 상태에서 봄에는 5-6일안에 분해되고, 여름에는 2-3일 내에 분해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살충력이 떨어지므로 가급적 빨리 사용하여야 하는 자재로 알려져 있다. 채소류의 응애류, 배추흰나비, 총채벌레류, 잎벌레류, 바구미류, 과수류의 진딧물류, 방패벌레류 등의 병해충에 효과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로테논(Rotenone)의 작용기작은 Fe-S를 함유한 플라빈모노뉴클레오티드(flavin mononucleotide (FMN)) 전자전달계를 교란시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로테논(Rotenone)은 콩과식물 데리스(Derris elliptica), 테프로시아 (Tephrosia purpurea)의 뿌리에서 추출하며 살충효과가 있다. 밭작물, 채소류, 화훼류, 과수류 등 모든 작물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진딧물, 응애류에 대해 효과가 크며, 다른 유기농 제재에 비해 효과가 매우 빠르다. 또한, 사람이나 가축에 해가 없으며, 농약잔류가 검출되지 않은 친환경 유기농 제재이다.
상기 족제비싸리나무(Amorpha fruticosa)는 미국이 원산지이며, 콩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키는 약 3m 정도 자란다. 상기 족제비싸리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에서도 추출 가능하며, 족제비싸리나무는 곤충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쪽제비싸리의 잎과 줄기에는 아모르핀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잎에는 1.8%의 루틴이 포함되어 있으며, 씨앗에는 로테이드계 배당체인 아모르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쪽제비싸리에 들어있는 아모르핀은 강심작용 및 중추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진경작용을 하며, 살균작용을 하여 습진이나 피부의 염증, 종기 등에 사용하고, 화상이나 뜨거운 물에 데인 곳에 외용제로도 사용하는바, 이러한 쪽제비싸리는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다.
상기 소태나무(Bitterwood)는, 학명이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이며, 우리 자생종이며, 열대아시아,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열매와 나뭇진에 콰신(quassin)이라는 물질이 들어 있어 맛이 매우 쓰다. 약용으로도 사용되며, 나무 전체를 솥에 넣고 끓인 물을 살충제로 이용한다.
상기 멀구슬나무는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표고 300m 이하 마을 부근이나 산록에 식재 또는 자생한다. 구주목, 구주나무, 말구슬나무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히말라야와 인도이다. 학명은 Melia azedarach L.이다. 나무의 지름은 30∼100㎝이며, 높이는 15∼20m이다. 열대에서는 30여m까지 자라고 상록성이 있다. 멀구슬의 잎, 수피, 가지, 과실, 종자추출물은 광범위한 저장해충들과 노지포장 해충에 대해 기피, 섭식저해, 살충, 성장저해 등을 가져오며, 멀구슬의 잎에서 추출된 활성성분인 파라이신(paraisin), 잎과 과실에서 아자디락틴(azardirachtin) 등이 분리된다.
상기 백두옹(Pulsatillae Radix, BDO)은 다년초로서 우리나라에 할미꽃 4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야산에 자생하며 꽃은 적자색으로 4~5월에 피고 흰색의 긴털이 붙어있다. 만주지방에서부터 한국을 거쳐 일본에 이르고 있으며, 유럽 등 북반구에 약 30여종의 할미꽃이 분포하고 있다. 미나리아제비과에 속하는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의 근으로,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자어로는 백두옹(白頭翁)이라 하며, 학명은 Pulsatilla koreana NAKAI.이다. 뿌리가 굵고 흑갈색이며 윗부분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잎은 동의보감에서는 열성 이질을 다스리는데 사용되었으며 항염증 효과로 유명하다.
상기 때죽나무(Styrax japonica)는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산야에 분포 되어 있으며, 중국, 일본,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서쪽과 남쪽 등에 서식하고 있으며, 잎, 줄기, 열매 및 뿌리 추출물에 어류나 곤충들의 신경 마취성분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마취 약성을 이용한다.
상기 제충국은, 특히 꽃부분에 피레트린(pyrethrin)이라는 담적황색의 기름과 같은 물질이 있다. 피레트린(pyrethrin)은 유기용매에 용해된다. 이것은 냉혈동물, 특히 곤충에 대하여 독성이 강하여 운동신경을 마비시키지만, 온혈동물에는 독성이 없으므로 가정용 고급 구충제로 적당하다. 한국은 남부지방이 재배의 적지이며 브라질, 콩고, 케냐, 호주 등에서 재배한다. 피레트린(pyrethrin)은 곤충의 기문(氣門) 또는 피부를 통하여 침입되며, 침입 즉시 신경을 마비시켜 죽게 한다. 그러나 사용한 양이 부족하면 일시적인 마비에서 다시 소생하게 된다. 제충국제는 온혈동물인 사람이나 가축에는 무해하며 곤충에만 유효하고 또한 식물에 대한 약해작용도 전혀 볼 수 없으므로 매우 안전한 생물농약이다.
상기 쑥(Artemisia princeps Pamp.)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야생하며,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쑥은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문화어: 약쑥)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이고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4~8개의 열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백색 털이 밀생한다. 7~9월에 원추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는 두상화는 길이 2.5~3.5mm, 지름 1.5mm 정도로 황록색이다. 수과는 길이 1.5mm, 지름 0.5mm 정도의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산쑥’과 달리 두화가 지름 1.5mm, 길이 2.5~3.5mm 정도로 작고 평지에서 자라며, 쑥은 精油(정유)를 함유하며 정유 중 가장 함유량이 많은 성분은 시네올(cineole)로 25-30%를 차지한다. 평천효과(平喘效果)도 비교적 좋은 성분은 terpinen-4-ol 이다. 이 밖에 β-caryophyllene, linalool, artemisia alcohol, camphor, borne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잎은 tetracosanol, β-sitosterol, l-chebulachitol, l-inositol을 함유한다. 뿌리 및 줄기는 이눌린(inulin)과 비슷한 多糖(다당) artemose를 함유한다. 뿌리는 다종의 polyin 화합물을 함유하며 이것에는heptadec-1,7,9-trien-11,13,15-triyne, tetradeca-8,10,12-triyne--6-ene-3-one 및 methyl 2-decen-4,6,8-triynate가 있다. 또 작은 가지는 oxytocin과 같은 작용을 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너삼(Sophora flavescens)은 다년생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성질은 차고 무독하며 80% 에탄올에 추출이 용이하며 식중독균(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너삼에 존재하는 알칼로이드는 마트린, 소포카르핀, 소포리딘 은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그 방부성 및 중추 신경계 자극 효과를 이용한다.
상기 옻나무(학명은 Toxicodendron vernicifluum (Stokes))는 한국, 중국, 인도 북부, 일본 숲의 가장자리, 경사지고 반그늘 진 곳이나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10m에 이른다. 꽃은 잡성이고 6월에 원추화서를 이루어 피며 황록색이다. 열매는 지름 6-8mm의 핵과이며 납작한 구형이다. 9월에 연한 황색으로 익으며, 잎은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어긋나고 기수1회 우상복엽으로 잎자루를 포함해서 길이 25-40cm이다. 작은 잎은 7-11장이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으로 길이 7-20cm, 폭 3-6cm이며 점첨두,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나무의 수액을 옻이라고 하며 가구나 조각품에 칠로 사용되는데 내구성이 매우 높다. 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이 함유되어 있다. 우루시올(urushiol)은 피부에 노출되었을 때 사람에 따라서 매우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상산나무(학명은 Dichora fedrifuga Lour)는 운항과 낙엽활엽관묵으로 열대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일본, 인도, 월남, 네팔과 함께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운황과의 상산[Orixa japonica thunberg]의 근을 취상산이라 하여 중국 범의괴과 상산 Dichora fedrifuga Lour 의 대용으로 쓰이고 있다. 개화기는 6~7경이며 결실기는 8월이다. 나무 그늘진 습윤한 한지에서 자라거나 숲속에서 재배한다. 키가1.5~3m 달하고 어린가지에 털이 있다. 잎의 길이가 5~13cm 정도의 타원형 또는 달갈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은 뽀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잇다. 잎에서는 독특한 냄새가 나는데 어릴때는 황갈색의 털이 듬성듬성 나 있다. 4월에 연한 남색의 꽃이 피고 초가을에 열매가 익는다. 성산의 유효성분은 dichroine인데 뿌리에 함유된 알칼로이드는 0.1%이고 주요성분은 α-dichroine 이고 β-Hydroxystimast-5-en-7-one, β-Sitosterol, febrifugine, hydrangenol, hydrangetin, 3-Hydroxyhydrangenol, Quinazolone, Umbelliferone, Vanillic acid 등이며 독성을 가지고 있음으로 복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뿌리에 추출물이 마라리아로인한 고열한자에는 임상에서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보고가 있다.
상기 유칼립투스(학명은 Eucalyptus globulus)는 도금양과에 속하고, 아열대 지방의 고산 지대와 호주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나무이며 호주 카스마니아가 원산지이며, 스페인, 포르투칼과 같은 지중해 지역과 중국에서도 재배한다., 키는 30~60m 자라며 잎은 길이 30cm 이나 되는 피침형으로 혁질이고 전체가 흰 분으로 덮여 있으며 향기를 낸다. 3-11월에 크립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반구형이다. 대표 종으로서는 유칼립투스 코키페라(E. coccifera Hook.), 레몬 유카리(E. citriodora Hook), 유칼립투스 구니(E. gunnii Hook.)이며, 구니는 잎이 둥글고 은회록색 이며. 레몬 유카리는 레몬향이난다. 뿌리에는 독성물질이 있어 부근의 식물 생장을 억제한다. 약리작용으로서 여러 가지 감염증과 열병 치료에 사용하고, 관상과 약용, 요리, 밀원, 거담, 살균, 살충, 피로회복, 항바이러스, 폐결핵치료, 공기 소독제 등의 효능이 있다, 중국에서는 잎을 태워서 천식환자를 안장시키는 민간요법으로 사용해 왔다.
상기 오가피나무는, 학명이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 Y. Hu 이며, 꽃은 8~9월 자주색으로 개화하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중부 이북에 분포하는 개가시오갈피나무(E. divaricatus (Siebold et Zucc.) S.Y. Hu)도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수피는 약으로 쓰는데 요통, 신경통, 관절염, 부종 등을 치료하는 데 쓴다. 그 외에도 항균, 항암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가죽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가죽나무는 가짜 죽나무란 뜻이며, 학교나 공원 등지에 심지만, 각지에 야생하기도 한다. 성장이 빠르며 줄기 지름 50 cm, 높이 20~25m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길이 45∼80cm이다. 작은잎은 13∼25개로 길이 7~12cm, 나비 2~5cm이다. 넓은 바소꼴로 위로 올라갈수록 뾰족해지고 털이 난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꽃은 잡성화로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6~7월에 녹색이 도는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시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cm, 나비 8~12mm이다. 프로펠러처럼 생긴 날개 가운데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목재를 가구재·기구재·농기구재로 쓰고, 잎은 가죽나무누에의 사료로 쓴다.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봄과 가을에 뿌리의 껍질을 채취하여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서 이질(적리)·치질·장풍 치료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혈변·위궤양에 뿌리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 한국·일본·중국·사할린·몽골·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이며, 열매가 붉은빛이 도는 붉은가죽나무(for. erythrocarpa)가 있다.
상기 알로에는 노회, 또는 나무노회라고도 하고, 알로에속(Aloe)에 속하는 식물 전체를 가리키거나 그 한 종을 가리킨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고,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있다. 관엽식물로 온실에서 재배하거나 약으로 쓰려고 가정에서 기르기도 한다. 잎은 뿌리와 줄기에 달리며 어긋나고 반원기둥 모양이며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가시가 있고 밑 부분은 넓어서 줄기를 감싸며 로제트 모양으로 퍼진다. 잎 뒷면은 둥글고 앞면은 약간 들어간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알로에의 성분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결과의 의하면,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이 들어 있으며, 궤양에 효과가 있는 알로에우르신과 항암효과가 있는 알로미틴이 들어 있다고 한다. 이 밖에도 스테로이드·아미노산·사포닌·항생물질·상처치유 호르몬·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다. 알로에는 과로로 인한 피로 회복과 과음으로 인한 숙취 해소 등에 효과가 있고, 알로에의 잎을 잘라두면 유난히 쓴 황색 물질이 흘러나오는데, 이것은 변비에 특히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알로에 잎의 액즙을 위장병에 내복하고 외상이나 화상 등에도 이용한다. 또한 건성 피부와 지성 피부를 중성화시키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로도 쓰인다.
상기 겨우살이는, 학명이 Viscum album?var.?coloratum?(KOM.) OHWI 이며, 겨우살이과 식물은 잎과 줄기에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하는 반기 생성 식물로, 기주식물의 지상부인 줄기 등에 기생하는 식물(stem parasite)로써 한랭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의 열대와 온대지역의 약 40속 1,500여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Viscum 속은 약 30종으로 구성되고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호주 등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 et), 참나무 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Sieb), 붉은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for. rubroaurantiaum Ohwi), 동백나무 겨우살이(Pseudixus japonicus Hayata)의 다섯 종류가 있다 참나무, 물오리나무,밤나무, 팽나무, 매실나무, 배나무, 버드나무 등에 기생하여 살아있다. 고의서인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도 암,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 동상, 심장병, 불임증, 생리통 등 많은 질병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국제적으로 인공재배에 성공하여 많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약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개발, 사용하고 있다.
상기 황벽나무는 황경피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에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은 홈이 진다. 잎은 마주달리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5∼13개로서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의 달걀 모양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잎맥 밑동에 털이 약간 있다. 내피를 분말로 하거나 달여서 건위제 또는 지사제로 사용한다. 황벽이란 이름은 황색인 내피에서 생긴 이름이다. 한국·일본·중국·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잎의 뒷면에 털이 밀생한 것을 털황벽(P. molle)이라 하며, 코르크층이 얇고 잎 가장자리에 털이 적은 것을 넓은잎황벽(P. sachalinense)이라고 한다. 작은잎의 수가 3∼5쌍인 것을 섬황벽(P. insulare) 또는 섬황경피라고 하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상기 붉나무는 오배자나무·염부목·굴나무·뿔나무·불나무라고도 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옻나무에 속하지만 독성이 없다. 높이 3m 내외로 굵은 가지는 드문드문 나오며 작은 가지에는 노란빛을 띤 갈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7∼13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우축에 날개가 있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으로 굵은 톱니가 있고 뒷면에 갈색 털이 있다. 잎은 가을에 빨갛게 단풍이 들고 가지를 불사르면 폭음이 난다. 잎자루 날개에 진딧물의 1종이 기생하여 벌레혹(충영)을 만드는데 이것을 오배자(五倍子)라고 한다. 오배자는 탄닌이 많이 들어 있어 약용하거나 잉크의 원료로 한다. 벌레혹 안에는 날개가 달린 암벌레 1만 마리 내외가 들어 있으며, 근처의 이끼 틈에서 겨울을 지낸다. 한국·일본·중국·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영지버섯은 1년생 버섯으로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활엽수 뿌리 밑동이나 그루터기에서 주로 자란다. 간혹 기주체(寄主體)인 나무가 땅속에 있는 경우는 영지가 땅에서 돋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다. 갓과 자루의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기혈을 보충해주며 기침을 진정시키는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불면증·어지러움증·오래된 기침 등에 사용한다. 암과 관련된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동물실험에서 영지가 암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1970년대부터는 인공재배에 성공하였으며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인공재배법이 개발 및 보급되어 농가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외국에서 수입된 영지도 유통되고 있다. 영지는 불로초, 만년버섯 등으로도 불리며 한약재료로 귀하게 사용하고 장식용으로도 이용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상기 원재료 중에서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및 백두옹 등은 로테논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충력이 강하며, 때죽나무, 제충국 및 너삼 등은 마트린이나 피레트린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해충의 신경을 자극하여 마취시키는 마취 약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약성을 갖는 상기 원재료를 기초로 발효를 통하여 미생물을 배양하여 이를 살충제, 살균제 및 탈취제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크게 건조단계, 분쇄단계, 추출단계, 유황액 제조단계 및 고체발효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때죽나무, 제충국, 옻나무, 상산나무, 유칼립투스 및 겨우살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원재료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50℃ 내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시간에 특별히 제한을두지는 않지만, 보통 5시간 내지 12시간 정도만 건조되어도 충분하며 그 이상 건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분쇄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상기 원재료를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이때 분쇄 크기는 후술할 추출단계에 쓰일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특별히 그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하지만, 특히 후술할 알콜추출법의 경우에는 40 메쉬(mesh) 이하로 가급적 크기를 잘게 파쇄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원재료에서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해 내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추출단계에서는 다양한 추출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열수추출법, 용매를 에탄올 또는 메탄을 등을 이용하는 알콜추출법, 초임계추출법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추출을 위한 용매도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호호바, 부탄올, 아세톤, 초산 에틸, 에스테르류, n~핵산, 클로로포름을 포함한 유기용매 및 무기 용매와 같이 다양한 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얻기 위한 방법에서 이용되는 열수추출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수추출법은, 물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상기 원재료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15 내지 65 중량부를 가압 열탕기에서 70℃ 내지 170℃에서 7 내지 16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물은 일반적인 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pH7의 중성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열수추출법외에도 알콜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콜추출법에는 용매로서 에탄올과 메탄올이 많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에탄올 또는 메탄올 100 중량부에, 상기 절단단계에서 40 메쉬(mesh) 이하로 분쇄된 상기 원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15 내지 65 중량부를 넣고, 침지하여 24 내지 72시간 진탕 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에서 40℃ 내지 92℃에서 감압농축한 후 가압농축기로 1/10 정도로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감압농축은 90% 내지 95% 감압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10 내지 1/20의 부피비로 농축된다. 또한, 상기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는 40%(알콜과 물의 비율이 40:60) 내지 80%(알콜과 물의 비율이 80:20)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알콜추출법을 이용하는 경우 알콜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끓이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가급적 열수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재료에 언급된 식물들 대부분의 경우에 열매, 잎, 줄기 및 뿌리 모두에 약성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상기 열매,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재료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만을 추출하여 이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약성의 상기 원재료들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와 고체발효단계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특징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는 상기 원재료 추출물로 원재료 유황액을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상기 원재료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용매는 유황을 녹일 수 있는 용매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보편적으로 널리 쓰이는 수산화나트륨이면 족하다. 상기 원재료 추출물과 유황 및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게 되면 상당한 양의 열이 발생하며, 30분 이상 반응시켜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원재료 추출물과 유황 및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적절히 가열하여 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 단계는 상기 원재료 추출물에서 얻어지는 미생물을 유황과 함께 넣어 배양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미생물을 더욱 강하게 만들며 그 약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추출단계에서 하나의 원재료를 추출하여 준비한 한 종류의 원재료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할 수도 있으며, 상기 원재료들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원재료를 추출하여 준비한 두 종류 이상의 원재료 추출물 각각 1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다양한 복합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원재료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이 서로 다르므로, 여러 종류의 원재료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 다양한 약성의 미생물이 함께 존재하는 복합 원재료 유황액이 만들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체발효단계는 상기 원재료 유황액을 고체발효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원재료 유황액 4 내지 8 중량부에,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상기 원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10 내지 30 중량부, 멸균된 팽연화 왕겨 30 내지 65 중량부, 멸균된 미강 30 내지 65 중량부 및 당분 1 내지 3 중량부를 골고루 섞이도록 혼합하고 반죽하여, 발효용기에 담아 18℃ 내지 35℃의 발효실에서 120 내지 168 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반죽시에는 손으로 잡아서 뭉칠 수 있을 정도의 수분이면 충분하다. 수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원재료 추출물을 적당량 섞어서 반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재료는 앞서 언급한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때죽나무, 제충국, 옻나무, 상산나무, 유칼립투스 및 겨우살이을 말함은 물론이며, 상기 원재료 추출물의 원재료와 동일한 원재료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재료를 하나 또는 복수개 선택하여 원하는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팽연화 왕겨는 팽연화된 왕겨를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미강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벼의 미강 뿐만아니라, 보리의 미강이나 밀의 미강 등 어느 것을 써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당분은 후술하는 미생물의 양분이 되는 것이며, 설탕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당밀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그 종류에 관하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와 고체발효단계를 거치면서 발효 미생물을 얻게 되는데, 이를 상기 원재료 유황액과 함께 발효시킴으로써, 즉, 상기 원재료 추출물의 미생물을 유황 속에서 발효단계를 거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와 고체발효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미생물을 더욱 강하게 만들며 그 약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이다.
또한, 이러한 단계들을 거친 약성을 가진 미생물들은 그 약성 또한 더욱 강해지며, 산소가 없는 환경이나 pH3 이하 또는 pH 11.5 이상에서도 생장하며, -20℃ 이하나 100℃ 이상의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극한 미생물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극한 미생물은,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 및 130℃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원재료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이 서로 다른데,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와 상기 고체발효단계까지는 각각의 단일 종류의 식물에서 얻어지는 단일 극한 미생물을 얻어서 사용하나,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에서 여러 종류의 원재료 추출물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나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여러 종류의 원재료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경우도 배제하지는 않으며, 이 경우 다양한 약성의 미생물이 함께 존재하는 복합 미생물이 존재하는 복합 원재료 발효물이 만들어 지게 된다. 단일 미생물을 사용한 살균 또는 살충제의 경우 2~3회 살포 후에는 면역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따라서 약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합 미생물과 생약을 혼합하여 살포하는 경우 살균 또는 살충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복합 미생물의 경우, 상기 고체발효단계를 거치지 않은 상태의 복합 미생물의 경우, 미생물들 간에 서로 힘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즉 특정 미생물이 더 강하면 그 강한 미생물이 다른 미생물을 죽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체발효단계를 거친 각각의 극한 미생물의 경우 다양한 약성의 각 미생물이 모두 강한 상태의 미생물이 되어 공존하면서 다양한 약성을 계속 유지하는 복합 미생물이 된다.
한편, 상기 미생물을 더욱 강하게 만들고 약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을 0.5 내지 3 중량부 추가하여 발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은 봉독 또는 뱀독 희석액 2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가열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용매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유황을 녹일 수 있는 용매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보편적으로 널리 쓰이는 수산화나트륨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봉독 또는 뱀독 희석액은 정제 봉독 또는 뱀독 1 중량부에 생리식염수 1,000 중량부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할 만큼 나누어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고초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를 포함하는 유산균, 효모균, 클로로비움(Chlorobium), 크로마티움(Chromatium), 로도스피릴륨(Rhodospirillum),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spp.) 및 로도박터(Rhodobacter spp.)를 포함하는 광합성균, 바실러스, 클로렐라, 슈도모나스, 방선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초산균, 식초균, 및 동물에게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스 등을 포함하는 유익균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4 내지 8 중량부 더 혼합, 반죽하여 발효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또는 복합 미생물에 의하면 그 약성이 더욱 강한 미생물이 되어, 이에 의해 우수한 살충·살균, 토양 복원, 식물 영양공급, 또는 가축 분뇨의 악취제거 효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서, 살균·살충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는 크게 건조단계, 분쇄단계, 추출단계, 유황액 제조단계, 고체발효단계 및 살충제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미생물의 제조방법에서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살균·살충·탈취제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따라서, 상기 건조단계, 분쇄단계, 추출단계, 유황액 제조단계 및 고체발효단계는 상기 미생물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용어 "살균·살충·탈취제"는 살균·살충·탈취 효과를 모두 갖는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편의상 간단히 "살충제"라 약칭하기로 한다.
상기 고체발효단계 이후에는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가 수행되는데,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는, 상기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만들어지는 원재료 발효물을 보관 또는 사용가능한 여러가지 형태의 살충제로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살충제를 만들 수 있는데, 상기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만들어지는 원재료 발효물을 펠릿 형태의 살충제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 펠릿 형태의 살충제는 펠릿 기계로 만들 수 있으며, 토양 속에 뿌려 둠으로써, 살균, 살충 효과 뿐만 아니라 식물에의 영양공급, 토양을 복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축사바닥의 소독과 악취제거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에서 만들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살충제 중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원재료 발효물 10 중량부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상기 원재료 발효물과 동일 원재료에서 얻어지는 상기 원재료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를 추출기에 넣고 70℃ 내지 130℃에서 4 내지 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찌꺼기는 걸러내고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을 만들 수도 있다. 이를 물 또는 상기 원재료 추출물로 희석시켜서 작물에 뿌려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에서 만들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살충제 중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시킨 분말형 살충제를 만들 수도 있다. 동결건조된 상기 분말형 살충제는 그 부피와 무게가 작아지므로 옮기기가 용이하다. 또한, 이를 다시 물이나 상기 원재료 추출물에 희석시켜서 쉽게 살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균주들은 약해지지 않고 그 특성이 여전히 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살충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 이후에,
멸균된 pH7의 물 50 내지 100 중량부에, 당분 5 내지 15 중량부, 감자배지 2 내지 8 중량부, 순무배지 2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각 원재료 별로 만들어 지는 하나 이상의 살충제 추출액 각각을 0.5 내지 8 중량부를 발효기에 투입하여 30℃ 내지 40℃에서 72시간 내지 480시간 발효시키는 2차 발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단계에서는, 여러 종류의 원재료 식물 중 선택된 둘 이상의 원재료 각각으로부터 만들어진 각각의 살충제 추출액을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2 종류 이상의 미생물 균주를 포함하는 훨씬 효력이 강한 살충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원재료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와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추출된 살충제 추출액 여러 종류를 함께 혼합하여 한번 더 발효시킴으로써, 각각 다양한 약성을 가진 여러 종류의 미생물 균주를 포함하는 복합 미생물이 되어 훨씬 강력한 살균, 살충, 탈취, 식물에의 영양공급, 토양 복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살균·살충제에는 미생물의 균체 수가 많아지는데, 그 이유는 상기 미생물이 유황이나 봉독 또는 뱀독 내에서 배양되고 발효되어 강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균체수가 많으면 살충력이 높아진다. 상기 원재료들 중에는 상대적으로 살충력이 약한 원재료 식물이 있지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경우 그 결과물인 살균·살충제는 강한 균체수가 많아져서 그 결과 살충력이 높게 나타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식물들 중 몇몇 식물은 그 자체의 살충력은 높지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살충제 결과물의 경우 그 미생물의 균체수가 많은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많은 균체수때문에 그 살충력은 충분히 높게 나타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발효단계에는 화학복합비료 5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발효시킬 수도 있다. 상기 화학복합비료는 질소(N), 인산(P), 칼륨(K)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생물이 상기 화학복합비료와 함께 30℃ 내지 40℃에서 72 내지 220시간 발효되면서 상기 화학복합비료를 섭취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화학복합비료를 분해시켜 상기 비료의 효능을 아주 강화시키게 된다. 상기 화학복합비료가 식물에 대한 영양제로서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미생물 비료를 사용하게 되면 토양 속의 미생물로 인하여 토양은 더욱 부드러워지며 지렁이 생성이 많아지며 지력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작물이 건강하게 성장하며 수확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발효단계에는 불가사리를 50 내지 7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발효시킬 수도 있다. 상기 불가사리는 미네랄이 풍부한 것으로서, 상기 미생물이 상기 불가사리와 함께 30℃ 내지 40℃에서 200 내지 480시간 발효되면서 종합 미네랄이 풍부한 살충제 및 영양제가 되도록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2차 발효단계 이후에, 상기 2차 발효단계에서 제조된 살충제 10중량부를 물 400 내지 6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희석시킬 때, 콜라겐 0.02 내지 3 중량부 또는 유화된 파라핀유 0.2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콜라겐(Collagen)은 단백질을 굳어지게 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콜라겐이 함유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살충제를 식물에 사용하는 경우, 병해충들을 굳어지게 하여 확실한 살충제에 의한 살균, 살충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화된 파라핀유는 상기 살충제가 식물의 표면에 더욱 오래 도포되어 있을 수 있도록 도포 유지력을 향상시켜 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원재료 식물로부터 추출한 원재료 추출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원재료 유황액을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살충제를 만드는 방법 외에도, 봉독이나 뱀독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을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살충제를 만드는 방법도 제시한다.
상기 봉독이나 뱀독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법에 의하면, 상기 유황액을 원재료 식물 추출물이 아닌 봉독이나 뱀독으로부터 만든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유황액 제조단계 및 고체발효단계에 있어서, 상기 식물 원재료 유황액을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살충제를 만드는 방법과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을 고체발효단계를 거쳐 살충제를 만드는 방법이 서로 다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에서는 봉독 또는 뱀독 희석액 2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가열하여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봉독 또는 뱀독 희석액은 정제 봉독 또는 뱀독 1 중량부에 생리식염수 1,000 중량부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할 만큼 나누어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고체발효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 4 내지 8 중량부에,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상기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백두옹, 때죽나무, 제충국, 쑥, 너삼, 소태나무, 옻나무, 상산나무, 유칼립투스, 오가피나무, 가죽나무, 알로에, 겨우살이, 황벽나무, 붉나무 및 영지버섯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원재료 10 내지 30 중량부, 멸균된 팽연화 왕겨 30 내지 65 중량부, 멸균된 미강 30 내지 65 중량부 및 당분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발효용기에 담아 18℃ 내지 35℃의 발효실에서 120 내지 168 시간 동안 고체발효시킨다.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 및 고체발효단계 이외의 다른 단계, 즉,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유익균을 혼합하는 것이나, 살충제 형성단계, 2차 발효단계 등의 단계 는 앞서 언급된 방법과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그 용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또는 살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살충제 조성물] (6 복합 미생물)
제1실시예에서는 온실가루, 응애류, 굴파리, 진딧물, 총채벌레 또는 청벌레를 제거하기 위한 살충제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살충제는 상기 언급된 해충 뿐만 아니라 기타 병충해에도 적용이 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로도 상기 언급된 해충을 제거할 수도 있지만, 실험적으로 상기 언급된 해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살충제의 제조방법 중 일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기 언급된 내용은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
<1차 추출액 제조>
원재료로서 옻나무, 때죽나무, 얌빈, 유칼립투스, 너삼 및 백두옹, 이 6가지를 사용한다. pH7의 물 각 30ℓ에 약성이 강한 옻나무, 때죽나무, 얌빈, 유칼립투스, 너삼 및 백두옹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그늘에 말린 것을 각각 15㎏씩 넣고, 가압 열탕기에서 추출온도 85℃ ~ 97℃에서 7 ~ 1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재료 각각의 1차 추출액을 각각 만든다.
<유황액 제조>
6개의 용기에 각각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은 다음, 각각의 용기에 옻나무, 때죽나무, 얌빈, 유칼립투스, 너삼 및 백두옹 각각의 1차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각각 25ℓ씩을 넣고 가열하여 각 원재료 별로 유황액을 만들어 낸다.
이와 달리, 위에서 언급된 6종류의 식물별 원재료 유황액 대신에, 봉독 또는 뱀독 희석액 25ℓ,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고 가열하여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을 만들어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고체발효단계> (극한 미생물 생성 단계)
상기 각 원재료로 만든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5ℓ ~ 7ℓ 각각에, (봉독유황액 1ℓ를 더 추가할 수도 있음) 원재료인 옻나무, 때죽나무, 얌빈, 유칼립투스, 너삼 및 백두옹을 30 메쉬(mesh) 이하로 분쇄한 분쇄물 각각 5㎏과, 멸균된 평연화[발포] 왕겨 각각 15㎏, 멸균된 미강 각각 5㎏, 백설탕 각각 1㎏을 넣고 골고루 스며들게 섞으면서 반죽하되, 손으로 잡으면 뭉쳐질 정도의 수분이면 충분하다. 수분이 부족하면 각 원재료 추출물을 적당량 추가하여 섞은 다음 발효용기에 담아서 외부 온도 18~30℃ 이상의 온도의 발효실에서 120~168시간 (5일~7일) 발효시킨다. (고체발효) 이에 의해 6종류의 원재료로부터 얻어지는 6종류의 단일 극한 미생물이 얻어진다.
<2차 열수추출> (미생물 A 단계[극한 미생물단계]의 살충제 추출액)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고체발효된 각각의 원재료 발효물 각 10㎏에, 상기 옻나무, 때죽나무, 얌빈, 유칼립투스, 너삼 및 백두옹 1차 추출액 각 40ℓ를 각각 추출기에 넣고서 80~120℃에서 5~10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상기 열수 추출한 살충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각각 극한 미생물인 농축액을 살충제로 사용한다.
그 사용 방법으로 2차 열수추출된 극한 미생물 함유 옻나무 추출액 2ℓ, 때죽나무 추출액 2ℓ, 얌빈 추출액 2ℓ, 유칼립투스 추출액 2ℓ, 너삼 추출액 2ℓ, 백두옹 추출액 2ℓ, 콜라겐 0.2ℓ, 유화된 파라핀유 1ℓ 및 물 500ℓ를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의 대응되는 동일한 부분에서 기재되는 표현 [미생물 A 단계의 "옻나무 추출액"]과 같이 표현된 용어에서 "옻나무 추출액"는 편의상 "옻나무"와 같이 식물의 이름으로만 약칭하기로 한다.)
<2차 발효단계> (미생물 B 단계[복합 미생물 단계]의 살충제)
멸균된 pH7의 물 100ℓ, 당밀 10ℓ [한천]감자배지 5ℓ, 순무우배지 5ℓ, 바실러스와 고초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5ℓ, 미생물 A 단계를 거친 옻나무 0.5ℓ, 때죽나무 0.5ℓ, 얌빈 0.5ℓ, 유칼립투스 0.5ℓ, 너삼 0.5ℓ 및 백두옹 0.5ℓ를 발효기에 투입하여 발효온도 32~36℃에서 72~168시간(3~7일간) 발효시켜서 그 발효물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하여 원심분리해서 사용한다. 이 단계에 의해 복합 미생물이 형성된다.
그 사용 방법으로, 미생물 A 단계의 추출물을, 옻나무 0.1ℓ, 때죽나무 0.1ℓ, 얌빈 0.1ℓ, 유칼립투스 0.1ℓ, 너삼 0.1ℓ 및 백두옹 0.1ℓ와, 미생물 B 발효물(2차 발효단계를 거친 추출액) 10ℓ, 콜라겐 0.5ℓ, 유화된 파라핀유 1ℓ 및 물 500ℓ를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다. 또한 A단계 미생물과 B단계 미생물을 50/50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면 더욱 강한 살충, 살균제가 된다.
[살균제 조성물] (5 복합 미생물)
제2실시예에서는 흰가루병, 곰팡이, 탄저 등 사상균류를 제거하기 위한 살균제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1차 추출액 제조>
원재료로서 상산나무, 가죽나무, 은행, 쑥 및 알로에, 이 5가지를 사용한다.
pH7의 물 각 30ℓ에 약성이 강한 상산나무, 가죽나무, 은행, 쑥 및 알로에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그늘에 말린 것을 각각 15㎏씩 넣고, 가압 열탕기에서 추출온도 85℃~97℃에서 7~1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재료 각각의 1차 추출액을 만든다.
<유황액 제조단계>
5개의 용기에 각각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은 다음, 각각의 용기에 상산나무, 가죽나무, 은행, 쑥 및 알로에 각각의 1차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각각 25ℓ씩을 넣고 가열하여 각 원재료 별로 유황액을 만들어 낸다.
이와 달리, 위에서 언급된 6종류의 식물별 원재료 유황액 대신에, 봉독 또는 뱀독 희석액 25ℓ,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고 가열하여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을 만들어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고체발효단계> (극한 미생물 생성 단계)
상기 각 원재료로 만든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5ℓ ~ 7ℓ 각각에, (봉독유황1ℓ를 더 추가할 수도 있음) 원재료인 상산나무, 가죽나무, 은행, 쑥 및 알로에를 30 메쉬(mesh) 이하로 분쇄한 분쇄물 각각 5㎏과, 멸균된 평연화[발포] 왕겨 각각 15㎏, 멸균된 미강 각각 10㎏, 백설탕 각각 1㎏을 넣고 골고루 스며들게 섞으면서 반죽하되, 손으로 잡으면 뭉쳐질 정도의 수분이면 충분하다. 수분이 부족하면 각 원재료 추출물을 적당량 추가하여 섞은 다음 발효용기에 담아서 외부 온도 18~30℃ 이상의 온도의 발효실에서 발효를 120~168시간 (5일~7일) 발효시킨다. (고체발효)
<2차 열수추출> (미생물 A 단계[극한 미생물단계]의 살균제 추출액)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고체발효된 각각의 원재료 발효물 각 10㎏에, 상기 상산나무, 가죽나무, 은행, 쑥 및 알로에 1차 추출액 각 40ℓ를 각각 추출기에 넣고서 80~120℃에서 5~10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상기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각각 극한 미생물인 농축액을 살균제로 사용한다.
그 사용방법으로 2차 열수추출된 극한 미생물 함유 상산나무 2ℓ, 가죽나무 2ℓ, 은행 2ℓ, 쑥 2ℓ, 알로에 2ℓ, 콜라겐 0.2ℓ, 유화된 파라핀유 1ℓ, 물 500ℓ를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다
<2차 발효단계> (미생물 B 단계[복합 미생물 단계]의 살균제)
멸균된 pH7의 물 100ℓ, 당밀 10ℓ [한천]감자배지 5ℓ, 순무우배지 5ℓ, 바실러스 및 고초균 중 어느 하나 5ℓ, 미생물 A 단계를 거친 상산나무 0.5ℓ, 가죽나무 0.5ℓ, 은행 0.5ℓ, 쑥 0.5ℓ, 알로에 0.5ℓ를 발효온도 32~36℃에서 72~168시간 (3~7)일간 발효시켜서 그 발효물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하여 원심분리해서 사용한다.
그 사용방법으로, 미생물 A 단계의 상기 살균제 추출액(살충제 형성단계에서 얻어지는 액상의 살균제 추출액)을, 상산나무 0.1ℓ, 가죽나무 0.1ℓ, 은행 0.1ℓ, 쑥 0.1ℓ 및 알로에 0.1ℓ와, 미생물 B 발효물(2차 발효단계를 거친 살균제) 10ℓ, 콜라겐 0.5ℓ, 유화된 파라핀유 1ℓ, 물 500ℓ를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다. 또한 A 단계 미생물과 B단계 미생물을 50/50 비율로 썩어서 사용하면 더욱 강한 살충, 살균제가 된다.
[토양속 해충 알 제거를 위한 살충·살균제 조성물](5 복합 미생물)
제3실시예에서는 토양을 살충,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살충·살균제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총채벌레나 기타 해충들은 주기적으로 토양 속에 알을 낳고 부화하기 때문에, 토양을 살충, 살균 및 소독을 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
원재료로서 너삼, 쑥, 가죽나무, 오가피 및 족제비싸리나무, 이 5가지를 사용한다. 약성이 강한 너삼, 쑥, 가죽나무, 오가피 및 족제비싸리나무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50℃~80℃에서 5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소정의 크기로 잘라 그늘에 말린 것을 30 메쉬(mesh)이하로 분쇄한다.
<1차 열수추출액 제조>
pH7의 물 각 30ℓ에 약성이 강한 너삼, 쑥, 가죽나무, 오가피 및 족제비싸리나무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그늘에 말린 것을 각각 15㎏씩 넣고, 가압 열탕기에서 추출온도 85℃~97℃에서 7~1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재료 각각의 1차 추출액을 만든다.
<유황액 제조>
6개의 용기에 각각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은 다음, 각각의 용기에 너삼, 쑥, 가죽나무, 오가피 및 족제비싸리나무 각각의 1차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각각 25ℓ씩을 넣고 가열하여 각 원재료 별로 유황액을 만들어 낸다.
<고체발효단계> (극한 미생물 생성 단계)
상기 각 원재료로 만든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5ℓ ~ 7ℓ 각각에, (봉독유황1ℓ를 더 추가할 수도 있음) 원재료인 너삼, 쑥, 가죽나무, 오가피 및 족제비싸리나무를 30 메쉬(mesh) 이하로 분쇄한 분쇄물 각각 5㎏과, 멸균된 평연화[발포] 왕겨 각각 15㎏, 멸균된 미강 각각 10㎏, 백설탕 각각 1㎏을 넣고 골고루 스며들게 섞으면서 반죽하되, 손으로 잡으면 뭉쳐질 정도의 수분이면 충분하다. 수분이 부족하면 각 원재료 추출물을 적당량 추가하여 섞은 다음 발효용기에 담아서 외부 온도 18~30℃ 이상의 온도의 발효실에서 발효를 120~168시간 (5일~7일) 발효시킨다. (고체발효) 유황으로 발효시킨 극한 미생물이 생성된다. 이 발효물을 펠렛으로 제작하여 토양 속에 가축퇴비와 함께 살포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2차 열수추출> (미생물 A 단계[극한 미생물단계]의 살충제 추출액)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고체발효된 각각의 원재료 발효물 각 10㎏에, 상기 너삼, 쑥, 가죽나무, 오가피 및 족제비싸리나무 1차 추출액 각 40ℓ를 각각 추출기에 넣고서 80~120℃에서 5~8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상기 열수 추출한 살충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각각 극한 미생물인 농축액을 살충·살균제로 사용한다.
그 사용방법으로 2차 열수추출된 너삼 1ℓ, 쑥 1ℓ, 가죽나무 1ℓ, 오가피 1ℓ, 및 족제비싸리나무 1ℓ의 비율로 섞어서 토양에 점적과 살포하여 500/1 사용한다.
<2차 발효단계> (미생물 B 단계[복합 미생물 단계]의 살충제)
멸균된 pH7의 물 100ℓ, 당밀 10ℓ [한천]감자배지 5ℓ, 순무우배지 5ℓ, 바실러스 및 고초균 중 어느 하나 5ℓ, 미생물 A 단계를 거쳐 열수추출된 너삼 0.5ℓ, 쑥 0.5ℓ, 가죽나무 0.5ℓ, 오가피 0.5ℓ, 및 족제비싸리나무 0.5ℓ를 발효온도 32~36℃에서 72~168시간 (3~7일간) 발효시켜서 그 발효물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하여 원심분리해서 사용한다.
그 사용방법으로, 미생물 A 단계의 상기 살충제 추출액(살충제 형성단계에서 얻어지는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을, 너삼 0.1ℓ, 쑥 0.1ℓ, 가죽나무 0.1ℓ, 오가피 0.1ℓ, 족제비싸리나무 0.1ℓ와, 미생물 B 발효물(2차 발효단계를 거친 살충제) 10ℓ, 및 물 500ℓ를 혼합하여 살포하며, 점적호스로 토양 속에 관주하여 준다.. 또한 A 단계 미생물과 B단계 미생물을 50/50 비율로 썩어서 사용하면 더욱 강한 살충 살균제가 된다. 미생물 A단계 추출물 10ℓ와 미생물 B단계 발효를 거친 발효물 10ℓ를 혼합하여 500/1 비율로 물을 섞어서 토양에 관주하며 살포하여 준다.
[복합 미생물 비료 조성물](4 복합 미생물)
제4실시예에서는 복합 미생물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원재료로서 쑥, 너삼, 유칼립투스 및 알로에, 이 4가지를 사용한다. 약성이 강한 쑥, 너삼, 유칼립투스 및 알로에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50℃~80℃에서 5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소정의 크기로 잘라 그늘에 말린 것을 30 메쉬(mesh)이하로 분쇄한다.
<1차 열수추출물 제조>
pH7의 물 각 30ℓ에 약성이 강한 쑥, 너삼, 유칼립투스 및 알로에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그늘에 말린 것을 각각 15㎏씩 넣고, 가압 열탕기에서 추출온도 85℃~97℃에서 7~1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재료 각각의 1차 추출액을 만든다.
<유황액 제조>
5개의 용기에 각각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은 다음, 각각의 용기에 쑥, 너삼, 유칼립투스 및 알로에 각각의 1차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각각 25ℓ씩을 넣고 가열하여 각 원재료 별로 유황액을 만들어 낸다. 이때, 희석된 뱀독이나 봉독을 1ℓ 추가할 수도 있다.
<고체발효단계>(극한 미생물 생성 단계)
고체발효단계에서, 상기 각 원재료로 만든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5ℓ ~ 7ℓ 각각에, 원재료 식물인 쑥, 너삼, 유칼립투스 및 알로에를 30 메쉬(mesh) 이하로 분쇄한 분쇄물 각각 5㎏과, 멸균된 평연화[발포] 왕겨 각각 15㎏, 멸균된 미강 각각 10㎏, 설탕 각각 1㎏씩을 넣고 골고루 스며들게 섞으면서 손으로 잡으면 뭉쳐질 정도의 수분이면 충분하다. 수분이 부족하면 각 원재료 추출물을 적당량을 추가하여 섞은 다음 발효용기에 담아서 외부온도 18~30℃ 이상 온도의서 발효실에서 발효를 120~168시간 (5일~7일) 발효시킨다.(고체발효) (유황으로 발효시킨 극한 미생물이 생성된다.)
<2차 열수추출> (미생물 A 단계[극한 미생물단계])
고체 발효된 각각의 원재료 발효물(쑥, 너삼, 유칼립투스 및 알로에) 각 10㎏에, 상기 쑥, 너삼, 유칼립투스 및 알로에 1차 추출물 각 40ℓ를 각각 추출기에 넣고서 80~120℃에서 5~10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상기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각각 극한 미생물인 농축액을 사용한다
<복합 미생물 비료 생성단계>
멸균된 pH7의 물 50ℓ, 당밀 5ℓ [한천]감자배지 5ℓ, 순무우배지 5ℓ, 효모나 바실러스 균주 중 어느 하나 5ℓ, 미생물 A 단계를 거쳐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한 쑥 1ℓ, 너삼 1ℓ, 유칼립투스 1ℓ 및 알로에 1ℓ와 물로 발효된 불가사리 4ℓ, 질소, 인산, 칼륨[N, P, K]을 함유하는 화학 복합비료 4㎏을 발효온도 32~36℃에서 72~216시간 (3~9일간) 발효시켜서 극한 미생물 영양제로 사용한다.
<발효물을 펠렛으로 제조단계>
불가사리와 화학 복합비료를 분해시킨 미생물 영양제 20ℓ에 멸균된 평연화[발포] 왕겨 각 60㎏ 멸균된 미강 각 10㎏을 각 원재료로 만든 쑥, 너삼, 유카리투스, 알로에 유황액 각 1ℓ에 당밀 각 10㎏을 넣고 골고루 스며들게 섞으면서 손으로 잡으면 뭉쳐질 정도에 수분이면 된다. 수분이 부족하면 원재료 미생물을 적당량 섞은 다음 발효용기에 담아서 외부온도 18~30℃ 이상 온도의 발효실에서 발효를 120~168시간 (5일~7일) 고체 발효시킨다. 유황으로 발효시킨 미생물 영양제가 된다. 이 발효물을 필렛으로 제작하여 토양 속에 가축퇴비와 함께 살포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가축 사료 첨가제 조성물](5 복합 미생물)
제5실시예에서는 가축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1차 추출액 제조>
pH7의 물 각 30ℓ에 약성이 강한 쑥, 오가피나무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그늘에 말린 것을 각각 15㎏씩 넣고, 가압 열탕기에서 추출온도 85℃~97℃에서 7~1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재료 각각의 1차 추출액을 만든다.
<유황액 제조>
2개의 용기에 각각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은 다음, 각각의 용기에 쑥, 오가피나무 각각의 1차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각각 25ℓ씩을 넣고 가열하여 각 원재료 별로 유황액을 만들어 낸다.
<고체발효단계>(극한 복합 미생물 생성 단계)
고체발효단계에서, 상기 각 원재료로 만든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5ℓ 각각에, 원재료 식물인 쑥, 오가피나무를 30 메쉬(mesh) 이하로 분쇄한 분쇄물 각각 5㎏과, 멸균된 평연화[발포] 왕겨 각각 10㎏, 멸균된 미강 각각 15㎏, 설탕 각각 1㎏씩을 넣고, 발효된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0.5ℓ,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tus) 0.5ℓ,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0.5ℓ를 첨가하여 넣고 골고루 스며들게 섞으면서 손으로 잡으면 뭉쳐질 정도의 수분이면 충분하다. 수분이 부족하면 각 원재료 추출물을 적당량을 추가하여 섞은 다음 발효용기에 담아서 외부온도 18~30℃ 이상 온도의서 발효실에서 발효를 120~168시간 (5일~7일) 발효시킨다.(고체발효) 상기 발효물이 필렛 성형기를 거쳐 제조된 펠렛을 사료첨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2차 열수추출> (미생물 A 단계[복합 미생물])
고체 발효된 각각의 원재료 발효물(쑥, 오가피나무) 각 10㎏에, 상기 쑥, 오가피나무 1차 추출물 각 40ℓ를 각각 추출기에 넣고서 80~120℃에서 5~8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상기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에서 1/10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각각 극한 미생물인 농축액을 사용한다
<복합 미생물 사료첨가제 생성단계>
멸균된 pH7의 물 50ℓ, 당밀 5ℓ [한천]감자배지 5ℓ, 순무우배지 5ℓ에 미생물 A 단계를 거쳐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에서 농축한 쑥 1ℓ, 오가피 1ℓ와 발효된 유산균 1ℓ 및 효모균 1ℓ씩 넣고, 발효온도 32~36℃에서 72~216시간 (3~9일간) 발효시켜서 복합 미생물 사료 첨가제로 사용한다.
그 사용방법으로, 물로 500배 희석하여 가축 음용수로 사용한다.
가축에게 사료나 음용수로 급여하였을 때, 급여 후 7일이 경과하면 가축 분에 대한 악취가 완전히 제거가 되었다. 소화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사료 섭취율과 같이 상승하면 성장률도 급격하게 올라가는 것이다.
복합 미생물을 가축에 사용한 결과는 소화율이 높아지며 사료 섭취율이 증가하며 소화율 증가로 악취가 저감하며 면역력 증가로 질병에 강하게 나타나며 육질의 등급 상승으로 수익증대를 높여준다
[가축 분뇨 악취 제거제 조성물](4 복합 미생물)
제6실시예에서는 가축 분뇨 악취 제거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1차 추출액 제조>
pH7의 물 각 30ℓ에 약성이 강한 쑥, 오가피나무, 유칼립투스 및 제충국 각각의 잎이나 줄기, 열매. 뿌리 등을 그늘에 말린 것을 각각 15㎏씩 넣고, 가압 열탕기에서 추출온도 85℃~97℃에서 7~1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재료 각각의 1차 추출액을 만든다.
<유황액 제조>
4개의 용기에 각각 유황 12.5㎏ 및 수산화나트륨 10㎏을 넣은 다음, 각각의 용기에 쑥, 오가피나무, 유칼립투스 및 제충국 각각의 1차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각각 25ℓ씩을 넣고 가열하여 각 원재료 별로 유황액을 만들어 낸다.
<고체발효단계>(극한 미생물 생성 단계)
고체발효단계에서, 상기 각 원재료로 만든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5ℓ 각각에, 원재료 식물인 쑥, 오가피나무, 유칼립투스 및 제충국을 30 메쉬(mesh) 이하로 분쇄한 분쇄물 각각 5㎏과, 멸균된 평연화[발포] 왕겨 각각 10㎏, 멸균된 미강 각각 15㎏, 및 백설탕 각 1㎏을 첨가하여 넣고 골고루 스며들게 섞으면서 손으로 잡으면 뭉쳐질 정도의 수분이면 충분하다. 수분이 부족하면 각 원재료 추출물을 적당량을 추가하여 섞은 다음 발효용기에 담아서 외부온도 18~30℃ 이상 온도의서 발효실에서 발효를 120~168시간 (5일~7일) 발효시킨다.(고체발효) 상기 발효물이 필렛 성형기를 거쳐 제조된 펠렛을 축사 바닥이나 퇴비장에 살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차 열수추출> (미생물 A 단계[복합 미생물])
고체 발효된 각각의 원재료 발효물(쑥, 오가피나무, 유칼립투스 및 제충국) 각 10㎏에, 상기 쑥, 오가피나무, 유칼립투스 및 제충국 1차 추출물 각 40ℓ를 각각 추출기에 넣고서 80~120℃에서 5~10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상기 열수 추출한 추출액을 극한 미생물을 살균제, 악취제거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사용방법으로, 2차 열수추출된 쑥 1: 오가피나무 1: 유카리투스 1: 제충국 1의 비율로 섞어서 물로 500배 희석하여 살포한다.
동물에게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사용한 결과를 아래 표에 기록하였다.
한우 돼지 오리
희석농도 750/1 500/1 500/1 750/1
실험한 사육수 200 500 500 5000
악취제거효과 ****** ****** ****** ******
사료요구율 ***** ***** ***** *****
사료 소화율 ***** ***** ***** *****
******매우좋음 *****좋음 ****보통
위 도표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한우에 관하여서는 95% 이상 악취가 제거가 되었으며 사료 요구율과 소화율이 높아지면서 사료비 절감과 등급 상승으로 인한 수익이 증대되었다. 돼지의 경우에는 악취제거는 95% 이며 사료 요구율과 소화율 상승으로 사료비 절감 및 증체율이 높아 수익이 증대되었다. 한편, 병아리와 오리의 경우 악취제거는 95% 이상이며 폐사율이 줄어 들었으며 출하시기가 당겨진다는 장점이 확인 되었다.
일반적인 가축의 분뇨 중 소 배설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지만(소화율 70% 이상), 돼지 분뇨는 소화율 60% 이하이므로 1~2년 이상의 발효기간을 거친 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소화되지 않는 가축의 분뇨가 장마때에 비와 함께 댐이나 강으로 유입됨으로 녹조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돼지 분뇨인 경우 소화율이 60%인 경우 홉수 되지 않는 40%의 분뇨가 녹조를 유발할 수 있는 영양염류와 분뇨 속에서 남아있는 인 성분 등이 댐이나 강으로 비와 함께 유입되어 기온상승과 함께 일조량도 풍부해지면 녹조가 증식하기 좋은 최적의 조건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해 소화율이 90% 이상되는 가축 퇴비는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녹조를 잡을 수 있는 방법에는, 인 성분을 분해시킨 가축 분뇨인 친환경 가축퇴비를 만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극한 미생물이 해결책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사료를 먹인 가축의 분뇨는 소화율이 90%이상이 되므로 퇴비량이 줄어들며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퇴비로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가축의 소화율을 높이는 것이 녹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며 소화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극한 미생물이 훌륭한 해답이 된다.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살충제를 다량의 물에 희석하여 농작물에 적용한 일부 결과를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는 피망 재배지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살충제를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비교 결과를 보인 사진으로서, 본 발명 살충제가 처리되지 않은 피망을 보여주는 좌측 사진은 병충해의 피해를 입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본 발명 살충제가 처리된 피망을 보여주는 우측 사진은 전혀 피해를 입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살충제를 꽃에 살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비교 결과를 보인 사진으로서, 본 발명 살충제가 처리되지 않은 꽃은 벌레의 피해를 입은 반면(좌측 사진), 본 발명 살충제 처리한 꽃은 벌레의 피해를 전혀 입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추밭에 본 발명에 따른 영양제를 살포한 곳(도면의 좌측)과 살포하지 않은 곳에서의 20일 간의 부추의 성장을 비교해 본 결과,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양제를 살포한 밭에서 기른 부추가 그렇지 않은 부추에 비해 30㎝나 더 크게 성장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많은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살균제, 살충제, 영양제, 가축사료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많은 병충해에 대하여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고 있으며, 토양 복원, 식물 영양공급, 가축 분뇨의 악취제거에도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내용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2)

  1. 원재료로서 얌빈, 데리스, 족제비싸리나무, 소태나무, 멀구슬나무, 때죽나무, 제충국, 옻나무, 상산나무, 유칼립투스 및 겨우살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원재료를 50℃ 내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원재료를 소정의 크기로 자르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상기 원재료를 열수추출법 또는 알콜추출법에 의해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해 내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각각의 상기 원재료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를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 8 내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원재료 유황액을 제조하는 유황액 제조단계; 및
    상기 유황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각각의 원재료 유황액 4 내지 8 중량부에,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상기 각 원재료 10 내지 30 중량부, 멸균된 팽연화 왕겨 30 내지 65 중량부, 멸균된 미강 30 내지 65 중량부 및 당분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발효용기에 담아 18℃ 내지 35℃의 발효실에서 120 내지 168 시간 동안 고체발효시키는 고체발효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의 배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봉독 또는 뱀독 2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가열하여 제조되는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 0.5 내지 3 중량부를 더욱 추가하여 혼합, 반죽하여 고체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의 배양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고초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를 포함하는 유산균, 효모균, 클로로비움(Chlorobium), 크로마티움(Chromatium), 로도스피릴륨(Rhodospirillum),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spp.) 및 로도박터(Rhodobacter spp.)를 포함하는 광합성균, 바실러스, 클로렐라, 슈도모나스, 방선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초산균 및 식초균을 포함하는 유익균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4 내지 8 중량부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의 배양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법은,
    물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상기 원재료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15 내지 65 중량부를 넣고, 가열 열탕기에서 70℃ 내지 170℃에서 7 내지 16시간 동안 가열하여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이며,
    상기 알콜추출법은,
    알콜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단계를 거친 상기 원재료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15 내지 65 중량부를 넣고, 침지하여 24 내지 72시간 진탕 후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기에서 40℃ 내지 92℃에서 감압농축한 후, 가압 농축기로 1/10로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원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임
    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의 배양방법.
  5. 제1항에 기재된 배양방법에 의해 배양된 미생물을 함유하는 원재료 발효물을, 펠릿 형태로 만든 펠릿형 살충제,
    상기 원재료 발효물 10 중량부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각 원재료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를 추출기에 넣고 70℃ 내지 130℃에서 4 내지 1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 및
    상기 액상의 살충제 추출액을 동결건조시킨 분말형 살충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살충제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뱀독 20 내지 30 중량부, 유황 10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유황을 녹이기 위한 용매 8 내지 12 중량부를 가열하여 제조되는 봉독 또는 뱀독 유황액 0.5 내지 3 중량부를 더욱 추가하여 혼합, 반죽하여 고체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발효단계에서,
    고초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를 포함하는 유산균, 효모균, 클로로비움(Chlorobium), 크로마티움(Chromatium), 로도스피릴륨(Rhodospirillum),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spp.) 및 로도박터(Rhodobacter spp.)를 포함하는 광합성균, 바실러스, 클로렐라, 슈도모나스, 방선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초산균 및 식초균을 포함하는 유익균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4 내지 8 중량부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 이후에,
    멸균된 pH7의 물 50 내지 100 중량부에, 당분 5 내지 15 중량부, 감자배지 2 내지 8 중량부, 순무배지 2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살충제 형성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원재료 별로 만들어 지는 하나 이상의 살충제 추출액 각각을 0.5 내지 8 중량부를 발효기에 투입하여 30℃ 내지 40℃에서 72시간 내지 480시간 발효시키는 2차 발효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단계에는,
    화학복합비료 5 내지 15 중량부 또는 불가사리 50 내지 70 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단계 이후,
    상기 2차 발효단계에서 제조된 살충제 10중량부를 물 400 내지 600 중량부에 희석시킬 때, 콜라겐 0.02 내지 3 중량부 또는 유화된 파라핀유 0.2 내지 1.5 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을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0200131826A 2020-10-13 2020-10-13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Active KR10250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26A KR102509566B1 (ko) 2020-10-13 2020-10-13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26A KR102509566B1 (ko) 2020-10-13 2020-10-13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71A KR20220048671A (ko) 2022-04-20
KR102509566B1 true KR102509566B1 (ko) 2023-03-10

Family

ID=8139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826A Active KR102509566B1 (ko) 2020-10-13 2020-10-13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1344B (zh) * 2023-05-26 2024-04-12 海南珊海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调控珊瑚养殖水体的调节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80B1 (ko) * 2010-04-29 2010-09-10 (주)황샘 제독된 유황을 em과 함께 액상화 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em과 혼합된 액상유황
KR101293107B1 (ko) * 2012-11-01 2013-08-12 성찬기 식물의 병원균 예방, 제거 및 토양 복원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6863B1 (ko) * 2014-06-26 2014-12-03 주식회사 애니웨어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57B1 (ko) 2009-01-30 2011-09-0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봉독과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항생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80B1 (ko) * 2010-04-29 2010-09-10 (주)황샘 제독된 유황을 em과 함께 액상화 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em과 혼합된 액상유황
KR101293107B1 (ko) * 2012-11-01 2013-08-12 성찬기 식물의 병원균 예방, 제거 및 토양 복원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6863B1 (ko) * 2014-06-26 2014-12-03 주식회사 애니웨어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71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744B1 (ko) 흰점박이꽃무지의 사료 조성물
KR101347219B1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N107759401A (zh) 一种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KR102083026B1 (ko)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CN102972457A (zh) 一种草本农药及其制备方法
CN102754667B (zh) 一种高效复合植物源农药
CN106718732A (zh) 一种梅菜育苗的专用基质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KR102605615B1 (ko) 토양해충방제와 토양개량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조성물
KR102509566B1 (ko)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1994394B1 (ko) 동물사체 악취 저감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57778A (zh) 一种用于杀灭害虫的农药及其制备方法
KR20140111364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CN107417470A (zh) 一种大豆生态专用肥
CN108207471A (zh) 一种提高油茶树防虫能力的种植方法
KR102206192B1 (ko)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예용 친환경 해충 퇴치제
CN108432544A (zh) 一种桑枝云耳的栽培方法
KR102371359B1 (ko)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495862A (zh) 一种用于苹果树栽培的复合农药及其制备方法
CN107821021B (zh) 一种翅荚决明与白三叶草的套种方法
KR101072731B1 (ko) 옻나무 및 옻 껍질을 이용한 발효조성물 제조방법
CN105941645A (zh) 一种纯天然情人果叶豆腐的制作方法
KR102456450B1 (ko) 향기로운 식생기반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향기로운 식생기반재용 조성물
CN109089827A (zh) 一种马铃薯专用栽培基质
CN107873169A (zh) 一种荔枝与白三叶草的套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