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336B1 -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336B1
KR101970336B1 KR1020170149937A KR20170149937A KR101970336B1 KR 101970336 B1 KR101970336 B1 KR 101970336B1 KR 1020170149937 A KR1020170149937 A KR 1020170149937A KR 20170149937 A KR20170149937 A KR 20170149937A KR 101970336 B1 KR101970336 B1 KR 10197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resent
pesticide
decomposing
agro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철
정인홍
이상계
박세근
Original Assignee
청도농업대학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도농업대학,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청도농업대학
Priority to KR102017014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8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using microorganisms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 분해 활성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균주,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농약 분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양에 남아있는 2,4-D 부틸 에스테르(2,4-D butyl ester,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butyl ester)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2,4-D(2,4-dichlorophenoxyacetic acid)로 분해하며 생장하는 아시네토박터 속 (Acinetobacter sp.) M4-1 균주,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잔류 농약 제거 방법으로, 토양에 잔류하여 토양 오염 문제를 일으키는 농약 성분, 특히 2,4-D 부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다양한 농약을 친환경적인 미생물 제제를 통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Acinetobacter sp. M4-1 microorganism with degradation activity of pesticide and pesticide degrading composi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농약 분해 활성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균주,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농약 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약은 농업에 있어서 병충해 및 잡초 방제에 사용되는 필수 영농 자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부터 해마다 24,000~25,000톤씩 농경지에 살포되어 농산물의 품질 향상과 수량 증대에 많은 공헌을 해오고 있다. 특히, 2,4-디클로페녹시아세트산(2,4-D) 및 이와 관련된 염 그리고 에스테르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페녹시계 농약으로 2004년 기준으로 약 700여개의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었다. 특히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부틸 에스테르(2,4-Dichlorophenylacetic acid butyl ester)는 전형적인 페녹시아세트산계 농약으로 경작지 또는 초원에서 쌍자엽 식물 잡초를 조절하는데 대량으로 80년 이상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농약의 광범위한 사용은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에 크게 기여해 온 것과는 반대로 그 고유의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된 농약이 목표로 하는 특정 병해충이나 잡초를 방제한 후에는 신속이 분해되어야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분해되지 못한 농약은 작물, 토양 및 수계 등에 잔류하여 인간과 생태계에 유해를 가할 수 있으며, 특히 난분해성 농약들의 경우에는 분해 과정이 매우 길어 환경에 축적될 경우 먹이 연쇄를 통한 생물 농축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그 사용 증가로 인하여 토양에 축적되는 것은 물론 하천, 호수 및 지하수 오염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작물에 살포된 농약은 10~20%만이 작물에 부착되며, 나머지는 토양에 떨어져 다시 작물에 흡수되거나 토양 중에 잔류되며, 일부는 토양수에 의하여 수계로 운반되거나 바람 등의 환경 요인에 의하여 공중 전차되거나 다시 토양이나 수계로 운반되는 순환과정을 거친다. 특히 2,4-D 부틸 에스테르는 토양 흡수 효율이 눈에 띠게 낮아 쉽게 지하수에 도달할 수 있고, 어류 및 수중 무척추동물에 대해 2,4-D 보다 무려 100배 더 독성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농약은 수중 또는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활성에 의하여 무기화, 공역대사, 중합, 축적 및 비효소적 구조전환 등을 일으킴으로서 분해가 일어나는데, 이를 미생물 분해성 또는 생분해성이라고 한다. 환경 중에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미생물들이 농약 분해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애크로박터(Acrobacter), 바실러스(Bacillus), 슈도모나스(Pseudomonas), 노카르디아(Nocardia)와 같은 세균을 물론 클로렐라와 같은 조류도 농약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토양 잔류가 심각한 제초제 분해 미생물들에 대한 분리 및 균주 특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이 이뤄졌으며, 토양 및 작물 상에 잔류가 문제시되는 다양한 살충제 분해 미생물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은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하다. 특히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페녹시아세트산계 농약 중에서 2,4-D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한 연구 및 보고는 상당히 이루어졌지만 2,4-D 부틸 에스테르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는 미생물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적이 없다. 따라서, 널리 사용되는 농약으로 토양 및 식물체에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는 특히 2,4-D 부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다양한 농약에 대해 생분해를 통해 이를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 요구된다.
1. In-Hong Jeong, Se-Keun Park, Bueyong Park, Sang-Bum Lee, Yongzhe Zhu, 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2,4-D butyl ester-degrading Enterobacter sp. M11-3, Agrochemicals, 2015, issue 7, p. 500-502+506. 2. E. Marro´n-Montiel, N. Ruiz-Ordaz, C. Rubio-Granados, C. Jua´rez-Ramı´rez, C.J. Galı´ndez-Mayer, 2,4-D-degrading bacterial consortium Isolation, kinetic characterization in batch and continuous culture and application for bioaugmenting an activated sludge microbial community, Process Biochemistry 41 (2006) 15211528. 3. Sunil S. Adav, Ming-Yuan Chen, Duu-Jong Lee, Nan-Qi Ren, Degradation of phenol by Acinetobacter strain isolated from aerobic granules, Chemosphere 67 (2007) 15661572.
본 발명은 환경에 잔존하는 다양한 농약을 분해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농약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환경, 특히 토양내 잔존하는 농약을 친환경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약 분해 활성을 갖고, 서열 번호 1에 기재된 염기 서열로 구성되는 16S rDNA를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Acinetobacter s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균주는 기탁번호 KACC 92200P로 기탁된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농약 분해용 조성물이 분해하는 농약은 2,4-디클로페녹시아세트산(2,4-D), 2,4-D의 염, 2,4-D의 에스테르, 2,4-D의 에틸 에스테르, 2,4-D 부틸 에스테르,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아트라진(Atraz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벤타존(Bentaz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e) 및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환경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농약 분해 방법이 분해하는 농약은 2,4-디클로페녹시아세트산(2,4-D), 2,4-D의 염, 2,4-D의 에스테르, 2,4-D의 에틸 에스테르, 2,4-D 부틸 에스테르,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아트라진(Atraz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벤타존(Bentaz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e) 및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농약을 분해할 수 있는 신규한 미생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농약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환경내 잔류 농약을 친환경적으로 분해할 수 있고 다량의 농약에 노출되는 국내의 농업환경을 개선하여 농산물에 유입 축적되는 유해 농약 성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주의 2,4-D 부틸 에스테르 분해 활성 및 성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균주 비접종 대조군에서의 2,4-D 농도, ▲: 균주 접종배지에서의 2,4-D 부틸 에스테르 농도, ◆: 흡광도(세균 밀도))
도 2는 본 발명의 균주의 배양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균주의 온도별 및 pH별 성장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균주의 다양한 농약에 대한 분해 활성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약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아시네토박터 속(Acinetobacter sp.) 균주,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농약 분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농약 분해 활성을 갖고, 서열 번호 1에 기재된 염기 서열로 구성되는 16S rDNA를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Acinetobacter s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균주는 기탁번호 KACC 92200P로 기탁된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농약, 특히 살충제를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특히 페녹시계 농약,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을 분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에 의하여 분해되는 농약 성분은 2,4-디클로페녹시아세트산(2,4-D), 2,4-D의 염, 2,4-D의 에스테르, 2,4-D의 에틸 에스테르, 2,4-D 부틸 에스테르,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아트라진(Atraz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디노테퓨란(Dinotefuran), 벤타존(Bentaz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e) 및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시네토박터 속 균주, 구체적으로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는 살충제 성분인 2,4-D 부틸 에스테르를 분해하여 탄소원으로 사용하며 성장하기 때문에 농약 분해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시네토박터 속 균주에 의해 다양한 농약 성분, 특히 페녹시계 농약,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등에 대해 고효율로 분해하는 것에 관한 모든 태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아시네토박터 속 균주가 성장하는 적당한 온도 및 pH 조건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성장하고, 농약 분해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주는 15 내지 40℃, pH 5 내지 10 환경에서 농약 분해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pH 6 내지 8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pH 7에서 최적의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양액”이란 액체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배양액에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농약 분해용 조성물은 본 발명 균주가 농약 분해에 직접 사용되기 까지 생존할 수 있도록 적당한 영양공급원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당한 영양공급원은 미생물 균주가 생존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성분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탄소원으로서 포도당, 맥아당, 갈락토스, 설탕, 젖당 또는 전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농약 분해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직접 분사가능한 용액, 분말 및 현탁액의 형태 또는 고농축 수성, 유성 또는 다른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유성 분산액, 페이스트, 분진, 흩뿌림 물질 또는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농약 분해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매 및/또는 담체를 첨가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종종, 비활성 첨가제 및 표면-활성 물질, 예를 들어 유화제 또는 분산제를 제제에 혼합한다.
본 발명의 농약 분해용 조성물이 분해하는 농약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환경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농약에 오염된 환경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토양 또는 수변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농약 분해 방법이 분해하는 농약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을 통해 수용액, 침출수, 유거수, 대수층, 지하수, 지표수, 우물물, 환경적 부지, 토양, 농업 또는 공업 시료, 및/또는 공업용 연못, 폐수 처리 시설, 모기 웅덩이가 있는 수원(water source)을 비롯한 곳 중의 페녹시계 농약, 특히 2,4-D 부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다양한 농약의 농도를 해독, 오염 방지, 변화,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 균주의 균학적 특성 분석 및 기탁
2,4-D 부틸 에스테르를 분해하여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의 16S rDNA 정보를 서열번호 1에 기재하였다. 16S rDNA 염기 서열 정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균주가 아시네토박터 속 균주인 것을 규명하였고, 이를 아시네토박터 속 M4-1으로 명명하고 기탁하여 기탁번호 KACC 92200P를 부여받았다. 본 균주의 16S rDNA는 GenBank MF276667.1로 등록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 균주의 2,4-D 부틸 에스테르 분해능 분석
상기에서 수득한 본 발명 균주의 2,4-D 부틸 에스테르 분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500 mL의 삼각플라스크(Erlenmeyer flask)에 MSN 액상배지(K2HPO4 2.4 g/L, NH4NO3 1 g/L, KH2PO4 1.2 g/L, CaCl2ㆍH2O 0.025 g/L, MgSOㆍ7H2O 0.2 g/L, Fe2(SO4)3 0.008 g/L 함유)에 200 mL에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를 접종하고 2,4-D 부틸 에스테르(98% 순도, 시그마-알드리치) 300 mg/L를 넣어 준 후, 회전진탕기(rotoaory shaker, 160 rpm)를 이용하여 29℃에서 1주일 동안 진탕배양하였다. 매 12시간 마다 배양액을 취하고 분광기를 이용하여 흡광도(OD550)를 측정하여 세균의 밀도를 환산하였다.
분해되는 2,4-D 부틸 에스테르의 배지내 확인 및 농도 측정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각각의 균주 배양액 1 mL씩을 취하고, 여기에 에칠아세테이트 1 mL와 소듐클로라이드(NaCl) 0.5 g을 볼텍스믹서(Vortex mixer)를 이용하여 2분간 잘 섞은 후 위쪽 유기용매층을 0.5 mL을 취하였다. 유기용매층에서 다시 진공회전농축기(40℃ 조건)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는 날려보내고 남은 잔류물을 취한 후 이 잔류물은 다시 메탄올(Methanol) 0.25 mL에 녹이고 여과지 (0.45 ㎛, 와트만, 영국)로 한번 걸러낸 상등액을 얻었다. 이 상등액 내에 2,4-D 부틸 에스테르와 2,4-D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확인 및 측정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다음과 같다. 기계는 캐나다 에질런트 (Agilent) 1200 시리즈를 사용하였고, 분석 칼럼은 C18 (150 mm×4.6 mm), 운반용매는 메탄올/물 (부피비 95:5)로 유속 1.0 mL/min, 검출기는 UV 검출기로 파장은 230 nm이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균주가 생장함에 따라 2,4-D 부틸 에스테르는 감소하고 이후 2,4-D 부틸 에스테르의 농도가 감소하면서 본 발명의 균주의 성장도 멈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및 도 2). 이는 본 발명의 균주가 2,4-D 부틸 에스테르를 분해하여 탄소원으로 사용하면서 생장을 하다가 양분이 고갈되어 생장을 멈춘 것으로 해석된다.
[실시예 3] 본 발명 균주의 생육 특성 및 생화학적 특성 분석
본 발명 균주의 생육 특성 및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의 최적 생육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500 mL의 삼각플라스크에 MSN 액상배지에 200 mL에 순수분리한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를 1×105 CFU 농도로 접종하고 2,4-D 부틸 에스테르 300 mg/L를 넣어 준 후 pH 7로 맞추고 온도만 15, 20, 25, 30, 35, 40℃로 각각 달리하여 회전진탕기(100 rpm)를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최적 pH 조건은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동일한 조건에서 온도는 29℃에 맞추고 pH는 5, 6, 7, 8, 9, 10으로 각각 달리하여 24시간 진탕배양 하였다. 여기에서 균주의 밀도는 분광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로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 균주의 생육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온도는 30℃이고(도 3A), pH는 7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
또한, 또한, 본 발명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을 API 20NE kit (Biomerieux사)를 이용한 제조사가 제시한 시험법으로 실시한 후 그 색깔 반응을 확인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이산화질소 합성, 글루코스 발효, 아르기닌 디하이드롤라아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베타-갈락토시다아제, 글루코스, 아라비노스, 만노스, 만니톨, N-아세틸글루코사민, 말토스, 포타슘 글루코네이트, 말레이트,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및 페닐아세트산에 대하여 양성 반응을 나타냈다.
특성 본 발명 균주
이산화질소 합성 (NO2 production) +
인돌 합성 (Indole production) -
글루코스 발효 (Glucose fermentation) +
아르기닌 디하이드롤라아제 (Arginine dihydrolase) +
유레아제 (Urease) -
베타-글루코시다아제 (β-Glucosidase) +
젤라티나아제 (Gelatinase) -
베타-갈락토시다아제 (β-Galactosidase) +
글루코스 (Glucose) +
아라비노스 (Arabinose) +
만노스 (Mannose) +
만니톨 (Mannitol) +
N-아세틸글루코사민 (N-acetylglucosamine) +
말토스 (Maltose) +
포타슘 글루코네이트 (Potassium gluconate) +
카프릭산 (Capric acid) -
아디픽산 (Adipic acid) -
말레이트 (Malate) +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trisodium citrate) +
페닐아세트산 (Phenylacetic acid) +
시트크롬 옥시다아제 (Cytochorme oxidase) -
* “+”, 양성, “-”, 음성
[실시예 4] 본 발명 균주의 다른 농약에 대한 분해 활성
본 발명 균주의 다양한 농약에 대한 분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500 mL의 삼각플라스크(Erlenmeyer flask)에 MSN 액상배지에 200 mL에 순수 분리한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를 1×105 CFU 농도로 접종하고 7종의 농약성분을 각각 100 mg/L를 넣어 준 후, 29℃에서 72시간 진탕배양하였다. 각 배양액 1 mL에 에칠아세테이트 1 mL와 소듐클로라이드(NaCl) 0.5 g을 볼텍스믹서 (Vortex mixer)를 이용하여 2분간 잘 섞은 후 위쪽 유기용매층을 0.5 mL을 취하였다. 유기용매층에서 다시 진공회전농축기(40℃ 조건)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는 날려보내고 남은 잔류물을 취한 후 이 잔류물은 다시 메탄올(Methanol) 0.25 mL에 녹이고 여과지(0.45 ㎛)로 한번 걸러낸 상등액을 얻었다. 이 상등액 내에 잔류된 농약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구종조건은 다음과 같다. 기계는 캐나다 에질런트 (Agilent) 1200시리즈를 사용하였고, 분석 칼럼은 페노메넥스 C18 (250 mm×4.6 mm), 운반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로 유속 0.8 mL/min이었다.
실험 결과, 본 발명 균주는,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아트라진(Atraz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벤타존(Bentaz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e) 및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에 대하여 분해 활성을 가지고, 특히 디아펜티우론에 대한 분해 활성 속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2200P 20171017
<110> QINGDAO AGRICULTUR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Acinetobacter sp. M4-1 microorganism with degradation activity of pesticide and pesticide degrading composition having the same <130> P17-268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08 <212> DNA <213> Unknown <220> <223> Acinetobacter sp. M4-1 <220> <221> rRNA <222> (1)..(1408) <223> 16s rDNA <400> 1 attaccatgc aagtcgagcg gagagaggta gcttgctact gatcttagcg gcggacgggt 60 gagtaatgct taggaatctg cctattagtg ggggacaaca tttcgaaagg aatgctaata 120 ccgcatacgt cctacgggag aaagcagggg atcttcggac cttgcgctaa tagatgagcc 180 taagtcggat tagctagttg gtggggtaaa ggcctaccaa ggcgacgatc tgtagcgggt 240 ctgagaggat gatccgccac actgggactg agacacggcc cagactccta cgggaggcag 300 cagtggggaa tattggacaa tgggcggaag cctgatccag ccatgccgcg tgtgtgaaga 360 aggccttatg gttgtaaagc actttaagcg aggaggaggc tactttagtt aatacctaga 420 gatagtggac gttactcgca gaataagcac cggctaactc tgtgccagca gccgcggtaa 480 tacagagggt gcaagcgtta atcggattta ctgggcgtaa agcgcgcgta ggcggctaat 540 taagtcaaat gtgaaatccc cgagcttaac ttgggaattg cattcgatac tggttagcta 600 gagtgtggga gaggatggta gaattccagg tgtagcggtg aaatgcgtag agatctggag 660 gaataccgat ggcgaaggca gccatctggc ctaacactga cgctgaggtg cgaaagcatg 720 gggagcaaac aggattagat accctggtag tccatgccgt aaacgatgtc tactagccgt 780 tggggccttt gaggctttag tggcgcagct aacgcgataa gtagaccgcc tggggagtac 840 ggtcgcaaga ctaaaactca aatgaattga cgggggcccg cacaagcggt ggagcatgtg 900 gtttaattcg atgcaacgcg aagaacctta cctggccttg acatagtaag aactttccag 960 agatggattg gtgccttcgg gaacttacat acaggtgctg catggctgtc gtcagctcgt 1020 gtcgtgagat gttgggttaa gtcccgcaac gagcgcaacc cttttcctta tttgccagcg 1080 agtaatgtcg ggaactttaa ggatactgcc agtgacaaac tggaggaagg cggggacgac 1140 gtcaagtcat catggccctt acggccaggg ctacacacgt gctacaatgg tcggtacaaa 1200 gggttgctac ctagcgatag gatgctaatc tcaaaaagcc gatcgtagtc cggattggag 1260 tctgcaactc gactccatga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a atgccgcggt 1320 gaatacgttc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atgggagttt gttgcaccag 1380 aagtagctag cctaactgca aagagggc 1408

Claims (7)

  1. 서열 번호 1에 기재된 염기 서열로 구성되는 16S rDNA를 갖고, 기탁번호 KACC 92200P로 기탁된 아시네토박터 속(Acinetobacter sp.) M4-1 균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2,4-디클로페녹시아세트산(2,4-D) 부틸 에스테르,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아트라진(Atraz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벤타존(Bentaz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e) 및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농약에 대하여 분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제1항의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은 2,4-디클로페녹시아세트산(2,4-D) 부틸 에스테르,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아트라진(Atraz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벤타존(Bentaz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e) 및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6. 제1항의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환경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은 2,4-디클로페녹시아세트산(2,4-D) 부틸 에스테르,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아트라진(Atrazin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벤타존(Bentazo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e) 및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분해 방법.
KR1020170149937A 2017-11-10 2017-11-10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KR10197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937A KR101970336B1 (ko) 2017-11-10 2017-11-10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937A KR101970336B1 (ko) 2017-11-10 2017-11-10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336B1 true KR101970336B1 (ko) 2019-04-18

Family

ID=6628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937A KR101970336B1 (ko) 2017-11-10 2017-11-10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79A (ko) 2019-06-13 2020-12-23 광주과학기술원 신규한 Sphingopyxis granuli strain HMH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제초제의 생분해 방법
KR102637027B1 (ko) * 2023-01-05 2024-02-15 이승진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388A (ko) * 2004-04-19 2005-10-24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다이옥신을 분해하는 신규한 미생물 슈도모나스속 균주 피에이치-03
KR20160049662A (ko) * 2014-10-28 2016-05-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에토프로포스 살충제를 분해하는 신규 균주
KR20160059296A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한울 예지물 및 대취(thatch) 분해능과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화 기능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3(Bacillus amyloliquefaciens Ba3) 균주 및 이를 함유한 미생물제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388A (ko) * 2004-04-19 2005-10-24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다이옥신을 분해하는 신규한 미생물 슈도모나스속 균주 피에이치-03
KR20160049662A (ko) * 2014-10-28 2016-05-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에토프로포스 살충제를 분해하는 신규 균주
KR20160059296A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한울 예지물 및 대취(thatch) 분해능과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화 기능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3(Bacillus amyloliquefaciens Ba3) 균주 및 이를 함유한 미생물제제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In-Hong Jeong, Se-Keun Park, Bueyong Park, Sang-Bum Lee, Yongzhe Zhu, 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2,4-D butyl ester-degrading Enterobacter sp. M11-3, Agrochemicals, 2015, issue 7, p. 500-502+506.
2. E. Marro´n-Montiel, N. Ruiz-Ordaz, C. Rubio-Granados, C. Jua´rez-Ramı´rez, C.J. Galı´ndez-Mayer, 2,4-D-degrading bacterial consortium Isolation, kinetic characterization in batch and continuous culture and application for bioaugmenting an activated sludge microbial community, Process Biochemistry 41 (2006) 15211528.
3. Sunil S. Adav, Ming-Yuan Chen, Duu-Jong Lee, Nan-Qi Ren, Degradation of phenol by Acinetobacter strain isolated from aerobic granules, Chemosphere 67 (2007) 15661572.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38, pp.522-525(2007.)* *
Curr. Microbiol., Vol.74, pp.193-202(Epub.2016.12.08.) *
Genbank Accession No.MF276667(2017.06.12.)* *
J. Agric. Food Chem., Vol.65, pp.7435-7351(2017.08.0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779A (ko) 2019-06-13 2020-12-23 광주과학기술원 신규한 Sphingopyxis granuli strain HMH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제초제의 생분해 방법
KR102637027B1 (ko) * 2023-01-05 2024-02-15 이승진 미생물을 적용한 농작물의 잔류 농약 제거방법 및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shti et al. Microbial degradation of chlorpyrifos in liquid media and soil
EP2732026B1 (en) Biological product for clearing of water, industrial wastewater and soil from chemicals, which are resistant to degrada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2788512B1 (en) Composition of bacterial strains, bioremediation mixture and use of this composition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the soil and a method for purifying of the soil contaminants
Zeinat Kamal et al. Biodegradation and detoxification of malathion by of Bacillus thuringiensis MOS-5
CN110283755B (zh) 一株土地戈登氏菌rl-jc02及其在降解有机污染物方面的应用
Herrera-González et al. Biodegradation of the herbicide propanil, and its 3, 4-dichloroaniline by-product in a continuously operated biofilm reactor
KR101970336B1 (ko)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m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Kulkarni et al. Bioremediation of methomyl by soil isolate—Pseudomonas aeruginosa
CN111286475B (zh) 一种拟除虫菊酯类杀虫剂残留降解菌株及其应用
KR102124933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mc1147 균주, 이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및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1970333B1 (ko) 농약 분해 능력을 갖는 아시네토박터 속 4-2-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농약 분해용 조성물
CN105112317A (zh) 一株高效阿特拉津降解菌及其筛选方法以及在农田废水中阿特拉津的生物降解的应用
KR101432425B1 (ko)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
KR100817708B1 (ko)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한 신규 내염성 할로모나스 속 균주,이를 함유하는 임해매립지 토양 개량제 및 이를 이용한식물의 생장촉진 방법
CN114525232B (zh) 一种沃式葡萄球菌及其在农药废水的生物强化降解中的应用
WO2020022933A1 (ru) Способ ремедиации загрязненных земель
KR101475589B1 (ko) 연안 갯벌에서 분리 동정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갯벌 유기물 정화제
Rank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growth response study of chlorpyrifos utilizing soil bacterium Pseudomonas putida JR16
Sarkar et al. Biodegradation of dicofol by Pseudomonas strains isolated from tea rhizosphere microflora
Kumar et al. Biodegradation of chlorpyrifos by rhizobacteria Klebsiella pneumoniae M11 isolated from subtropical agricultural land
JP4395712B2 (ja) 農薬分解菌及びそれを用いた浄化方法
CN105234168A (zh) 一株枯草芽孢杆菌的应用
KR101834760B1 (ko) 토양 내 잔존하는 화학살균제의 독성제거용 스핑고모나스 속 c8-2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토양 내 잔존하는 화학살균제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CA2641482A1 (en) Mixed bacterial culture for atrazine degradation
KR100311995B1 (ko) 화학 오염물질 분해성능이 우수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학오염물질 분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